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만 4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과 언어 및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https://www.riss.kr/link?id=A103626277
2008
Korean
KCI등재
학술저널
387-410(24쪽)
3
0
상세조회0
다운로드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만 4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과 언어 및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
본 연구의 목적은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을 만 4세 유아에게 적용하여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과 언어 및 사고 능력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전라북도 1시에 소재한 M 유치원의 만 4세 유아 40명이다. 연구자는 2학급을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임의 배정하였다. 실험집단 유아에게는 음성언어 중심의 언어교육활동이 13주 동안 39회 적용되었다. 자료분석은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와 언어 및 사고 능력을 측정하기 위하여 사전-사후 증가분에 대한 독립표본 t-검증을 실시하였다. 적용결과 음성언어 중심의 유아 언어교육 프로그램은 유아의 음성언어 지식과 과정기술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었다. 즉, 음성언어의 지식 관련해서는 유아의 표현언어 및 이해언어 능력이 향상되었고 음성언어의 과정기술 관련해서는 지각적ㆍ분석적ㆍ종합적ㆍ추리적으로 사고하면서 듣고 말하는 능력이 향상되었다.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find out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s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for young children and find out its effects on young children's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40 children of age 4, who were enrolled in two classes at a kindergarten located in I city, Jeollabuk-do. One class was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other to the control group. For the children in the experimental group,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was for 13 weeks. Independent t-tests were administered for these children to evaluate their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capabilities as well as their language and thinking abilities.
The spoken language-focused language education program brought about the following effects.
The program produced positive effects in terms of knowledge and process regarding their spoken language skills. Specifically, there were improvements in the children's expression and comprehension as well as in their procedural skills needed for listening and speaking while thinking perceptively, analytically, synthetically and reasonably.
목차 (Table of Contents)
참고문헌 (Reference)
1 강경화, "효과적인 말하기 지도 방안:1학년 말하기ㆍ듣기를 중심으로" 9 (9): 129-152, 1997
2 송주연, "활동중심 유아 언어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말하기ㆍ듣기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수영, "환상동화를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27 (27): 81-94, 2006
4 우창현, "학교 국어 교육에서의 효율적인 말하기ㆍ듣기 교육" 4 : 330-350, 2002
5 유구종, "통합 음성언어 접근법과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유아의 읽기능력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10 (10): 5-28, 2006
6 이연승,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 시안 개발 연구" 27 (27): 143-166, 2007
7 조정숙, "유치원의 문자언어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1 (1): 115-140, 1997
8 김윤전, "유치원 읽기 지도 교육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9 문교부, "유치원 교육과정령" 문교부 1987
10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령"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2
1 강경화, "효과적인 말하기 지도 방안:1학년 말하기ㆍ듣기를 중심으로" 9 (9): 129-152, 1997
2 송주연, "활동중심 유아 언어 평가 도구 개발을 위한 기초연구:말하기ㆍ듣기를 중심으로"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4
3 김수영, "환상동화를 통한 이야기 꾸미기 활동이 유아의 언어표현력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 27 (27): 81-94, 2006
4 우창현, "학교 국어 교육에서의 효율적인 말하기ㆍ듣기 교육" 4 : 330-350, 2002
5 유구종, "통합 음성언어 접근법과 멀티미디어 콘텐츠가 유아의 읽기능력과 쓰기능력에 미치는 효과" 10 (10): 5-28, 2006
6 이연승, "제 7차 유치원 교육과정 언어생활영역 시안 개발 연구" 27 (27): 143-166, 2007
7 조정숙, "유치원의 문자언어 교육 실태에 관한 연구" 1 (1): 115-140, 1997
8 김윤전, "유치원 읽기 지도 교육 실태에 대한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9 문교부, "유치원 교육과정령" 문교부 1987
10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령"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2
11 문교부, "유치원 교육과정령" 문교부 1981
12 문교부, "유치원 교육과정령" 문교부 1979
13 교육부, "유치원 교육과정 해설" 대한교과서 주식회사 1998
14 안영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교사 및 학부모를 통한 취학 전 유아의 읽기 쓰기 지도 실태" 589-605, 2003
15 김재은, "유아지능검사 4-7세용" 중앙적성연구소 1970
16 임양금, "유아의 이름글자를 활용한 균형잡힌 문자언어 접근법의 효과"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6
17 이지현, "유아의 어휘습득에 있어서 명시적, 직접적 어휘지도법과 맥락적, 간접적 어휘지도법의 효과의 차이" 10 (10): 297-316, 2005
18 류관수, "유아의 문법구조 습득에 관한 연구" 18 (18): 157-17, 2000
19 이차숙, "유아언어교육의 이론적 탐구" 학지사 2004
20 이경화, "유아언어교육" 창지사 2003
21 이기숙, "유아놀이 표현지도" 교육인적자원부 2000
22 이혜진, "유아기 읽기ㆍ쓰기 교육에 대한 유치원 교사와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5
23 조희숙, "유아기 읽기ㆍ쓰기 교육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24 민지영, "유아 문해 교육에 대한 교사와 학부모의 인식 차이" 중앙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25 전지형, "유아 문자 언어교육에 대한 유치원 학부모의 인식조사연구" 10 (10): 15-167, 2005
26 주영희, "유아 교육프로그램을 위한 언어 및 사고능력의 연구"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1982
27 김소양, "쓰기 기능에 대한 유아의 인식" 60-70, 2001
28 이영란, "소집단 토의학습이 초등학교 1학년의 말하기ㆍ듣기 기능에 미치는 효과" 계명대학교 교육대학원 1999
29 이주섭, "상황맥락을 반영한 말하기ㆍ듣기 교육의 내용 구성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1
30 이도영, "말하기듣기 교수 방법 연구" 국어교육학회 26 (26): 253-276, 2006
31 전은주, "말하기ㆍ듣기 교육론(2판)" 박이정 2001
32 김희정, "말하기ㆍ듣기 교수-학습 방안 연구:지식과 소집단 토의가 미치는 영향을 중심으로"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1998
33 석희숙, "말하기ㆍ듣기 교과에서 통합적 접근 방법이 초등학교 1학년 아동의 말하기ㆍ듣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04
34 최영희, "말하기 능력 신장을 위한 놀이학습 활용 방안 연구" 공주대학교 교육대학원 2001
35 이도영, "말하기 교육목표 어떻게 설정할 것인가" 25 : 341-363, 2006a
36 정상섭, "듣기ㆍ말하기 활동철 평가에 관한 연구" 한국교원대학교 2001
37 임상도, "동화구연 및 동시낭송 활동경험이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16 (16): 217-290, 2007
38 이미향, "동화 듣고 이야기 해보기 활동이 유아의 말하기 태도와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39 신효영, "동화 구연 프로그램이 유치원 어린이의 말하기 학습에 미치는 영향" 한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0 이윤경, "동시 확장 활동이 유아의 어휘력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20 (20): 165-187, 2000
41 강병도, "단계별 동화구연을 통한 말하기 능력 신장에 관한 연구" 서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42 한혜선,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와 구연활동이 아동의 언어 창의성 및 언어 표현력에 미치는 효과" 28 (28): 189-204, 2007
43 윤진주, "글 없는 그림책을 활용한 이야기 꾸미기가 유아의 언어표현력과 이야기구조 개념에 미치는 영향" 원광대학교 대학원 2005
44 이혜경, "구연동화가 유아의 말하기 능력에 미치는 영향"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2003
45 정귀옥, "교재 중심 듣기 학습을 통한 듣기 능력 신장 방안" 12 : 121-148, 2002
46 교육부, "교육부 (2007). 2007년 개정 유치원 교육과정 확정. http://www.moe.go.kr/main.jsp?idx=0506010101에서 2007년 12월 13일 인출"
47 마송희, "교사의 동화제시 방식이 동화에 대한 유아의 이해도 및 회상능력에 미치는 영향" 1 : 22-41, 1994
48 김윤옥, "공식적 말하기 교육내용 고찰" 72 : 5-26, 2006
49 송태규, "가정에서 읽기ㆍ쓰기지도에 대한 어머니의 인식과 실태" 충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04
50 文部省, "幼稚園 敎育要領" 文部省 1998
51 "Utah State office of Education (2003). Pre-kindergarten curriculum guidelines. http://www.tea.state.tx.us/ curriculum/early/prekguide.html에서 2007년 3월 13일 인출"
52 Blank, M., "The language of learning: Preschool years" Grune and Stratton 1978
53 "Texas Education Agency (1999). Pre-kindergarten curriculum Guidelines. http://www. Tea.state.tx.us에서 2007년 3월 13일 인출"
54 Dunn, L. D., "Peabody Language Development kits(Teachers Guide, Level P), Circle Pines" American Guidance Service 1981
55 김정미, "K-CDI 아동발달검사" 특수교육 2006
56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K-12 curriculum guidelines" National Communication Association 1996
57 "International Listening Association(2007). Listening lights the way!. http://www.listen.org/ Templates/try_ new. htm에서 2007년 8월 25일 인출"
58 Wood,M., "Essentials of classroom teaching elementary language arts" Allyn & Bacon 1994
59 Homan, S, P., "Effects of repeated readings and nonrepetitive strategies on students' fluency and comprehension" 87 (87): 94-99, 1993
60 Hamilton, M., "Children tell stories: A teaching guide" Longman 1991
61 Ireton,H., "Child development inventory manual" Behavior Science System 1992
62 한국교육과정평가원,한국유아교육학회, "2007년 유치원 교육과정"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07
그림책 읽기 방식이 유아의 이야기 이해, 어휘 학습과 읽기 흥미에 미치는 영향
남녀 유아의 거친 신체 놀이와 또래유능성 및 또래인기도와의 관계
뇌 발달 연구모임을 통함 영아반 교사들의 교수지식 구성과정
학술지 이력
연월일 | 이력구분 | 이력상세 | 등재구분 |
---|---|---|---|
2027 | 평가예정 |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 |
202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 ![]() |
2018-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5-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11-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9-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7-03-22 | 학회명변경 | 한글명 : 열린유아교육학회 -> 한국열린유아교육학회 | ![]() |
2007-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 ![]() |
2004-01-01 | 평가 |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 ![]() |
2003-01-01 | 평가 |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 ![]() |
2001-07-01 | 평가 |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 ![]() |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 WOS-KCI 통합IF(2년) | KCIF(2년) | KCIF(3년) |
---|---|---|---|
2016 | 2.35 | 2.35 | 2.39 |
KCIF(4년) | KCIF(5년) | 중심성지수(3년) | 즉시성지수 |
2.52 | 2.45 | 2.634 | 0.6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