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KCI등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 Factors Affecting Academic Stress in Adolescents

      한글로보기

      https://www.riss.kr/link?id=A105683015

      • 0

        상세조회
      • 0

        다운로드
      서지정보 열기
      • 내보내기
      • 내책장담기
      • 공유하기
      • 오류접수

      부가정보

      다국어 초록 (Multilingual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ively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adolescents academic stress, the personal factor, the learning - related factors, the family - related factors, and the school inside outside - related factors. For thi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llectively identify the factors related to the adolescents academic stress, the personal factor, the learning - related factors, the family - related factors, and the school inside outside - related factors. For this purpose, a total of 177 students were enrolled in two high schools in G City and C county. The Data were analyzed using descriptive statistics, t-test, ANOVA,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stepwise regression analysis using the SPSS Statistics 21.0 progra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academic stress of youth was 2.27 points out of 5 points, which was a little low. First, Female students compared to boys, students with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compared to poor subjective health status,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classes had significantly higher academic stress than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after-school classes. Second, the academic stress of adolescents showed a significant correlation with ego - resilience, academic self - efficacy, teacher attachment, and peer attachment. Third, academic self - efficacy, after - school class participation, peer attachment, and gender were the factors that influenced the academic stress of adolescents, and the explanatory power of the students was 18.1 (F=9.50, P<.001)%.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discussed the direction of future research and implications for education.

      더보기

      국문 초록 (Abstract)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관련 요인, 학습 관련 요인, 가정 관련 요인, 학교 내외 관련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G시...

      본 연구는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관련 요인, 학습 관련 요인, 가정 관련 요인, 학교 내외 관련 요인들을 통합적으로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경상북도 G시와 C군에 소재한 2개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청소년을 대상으로 2018년 5월 14일부터 6월 22일까지 자료를 수집하였으며, 최종 177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Statistic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기술통계, t-test, ANOVA, 피어슨 상관분석, 단계적 회귀분석을 하였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5점 만점에 2.27점으로 조금 낮은 수준이었다. 여학생이 남학생에 비해, 주관적 건강상태가 좋지 않은 학생이 좋은 학생에 비해, 방과후 수업에 참여하는 경우 학업스트레스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는 자아탄력성, 학업적 자기효능감, 교사애착, 또래애착과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 학업적 자기효능감, 방과후 수업 참여, 또래애착, 성별이었으며,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상대적 영향력이 가장 높았고 이들의 설명력은 18.1(F=9.50, P<.001)% 였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추후 연구의 방향과 교육 현장에서의 시사점에 대해 논하였다.

      더보기

      목차 (Table of Contents)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 Ⅰ. 서 론
      • Ⅱ. 연구방법
      • Ⅲ. 연구 결과
      • Ⅳ. 논의 및 결론
      더보기

      참고문헌 (Reference)

      1 김영지,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Ⅳ"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2 변지선,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독서 프로그램 효과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4 김아영, "학업동기" 학지사 2010

      5 민경수, "학업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우울간의 관계연구 :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7 (7): 5-31, 2015

      6 김경호, "초기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스트레스 및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1 (11): 1-22, 2014

      7 정인경,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93-211, 2016

      8 강명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65-293, 2013

      9 신현균, "청소년의 학업 부담감,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및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171-187, 2002

      10 정미라,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99-407, 2017

      1 김영지, "한국아동·청소년 인권실태 연구 Ⅳ"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16

      2 변지선, "학업적 자기효능감 향상을 위한 독서 프로그램 효과 연구" 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3 김아영, "학업적 자기효능감 척도 개발 및 타당화 연구" 39 (39): 95-123, 2001

      4 김아영, "학업동기" 학지사 2010

      5 민경수, "학업 스트레스, 학업적 자기효능감, 우울간의 관계연구 : 외국어 고등학교 학생을 대상으로" 7 (7): 5-31, 2015

      6 김경호, "초기 청소년의 부모-자녀 의사소통과 부모의 양육태도가 학업스트레스 및 사이버 비행에 미치는 영향" 미래를 여는 청소년학회 11 (11): 1-22, 2014

      7 정인경, "청소년의 학업적 자기효능감과 학업소진의 관계에서 스트레스 대처의 조절효과" 한국교육문제연구소 34 (34): 193-211, 2016

      8 강명희, "청소년의 학업스트레스와 심리적 안녕감의 관계에서 희망 및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한국청소년학회 20 (20): 265-293, 2013

      9 신현균, "청소년의 학업 부담감, 부정적 정서, 감정표현불능증 및 지각된 부모양육행동과 신체화 증상과의 관계" 한국임상심리학회 21 (21): 171-187, 2002

      10 정미라, "청소년의 긍정심리자본, 학업적 자기효능감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한국콘텐츠학회 17 (17): 399-407, 2017

      11 옥 정, "청소년기 애착 안정성과 우울성향의 관계 : 지각된 유능감(Perceived Competence)의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梨花女子大學校 大學院 1998

      12 김요셉, "청소년기 스트레스의 영향요인: 긍정적 자아개념과 자기신뢰감의 영향을 중심으로" 한국청소년학회 18 (18): 103-126, 2011

      13 장효원,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정도에 따른 건강관련 생활습관 및 정신건강 비교" 한국가정과교육학회 24 (24): 57-72, 2012

      14 오미향, "중학생의 학업스트레스 요인 및 증상분석과 그 감소를 위한 명상훈련의 효과" 15 : 63-96, 1994

      15 김동원, "중학생을 위한 학업상담 프로그램의 개발과 효과 : 학업스트레스와 학업동기를 중심으로" 전북대학교 대학원 2008

      16 김아영, "자기결정성 이론에 따른 학습동기유형 분류체계의 타당성" 한국교육심리학회 16 (16): 169-187, 2002

      17 배병훈, "자기 결정성과 학업 꾸물거림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다변량 잠재 성장모형을 이용한 종단 분석" 아주대학교 대학원 2007

      18 최정용, "일반고등학교 야간자율학습 운영과정에 관한 질적 사례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17 (17): 375-403, 2017

      19 최희진, "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적 자기 효능감 증진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 개발"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20 김현옥, "아동의 사회적 관계망이 역량지각 및 자아탄력성과 심리적 안녕감에 미치는 영향" 동덕여자대학교 대학원 2010

      21 신지연, "소통하는 하브루타 수업의 효율성: 고등학교 1학년 ‘다항식’단원을 중심으로" 동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7

      22 김유정, "부모자녀 의사소통이 고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와 교우관계에 미치는 영향" 한국간호교육학회 22 (22): 326-333, 2016

      23 선헤연,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스트레스의 관계에서 학업적 자기효능감의 매개효과: 초등학생과 중학생 중심으로" 교육연구소 14 (14): 197-212, 2013

      24 강갑원, "또래와 함께 하는 단계별 코칭 훈련을 통한 대인관계 능력 향상방안" 대진대학교 교육대학원 2012

      25 김종백, "교원평가를 위한 지표로서 학생-교사 애착관계도구(STARS) 개발과 타당화" 한국교육심리학회 23 (23): 697-714, 2009

      26 이은희,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신체화 증상, 사회적 지지가 대처유형에 미치는 영향" 한국학교보건학회 28 (28): 56-66, 2015

      27 황여정, "고등학생의 학업 스트레스 지각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19 (19): 85-114, 2008

      28 김영철, "고등학생의 영성과 자아탄력성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숙명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29 성명좌, "고등학생의 열등감이 학교생활부적응에 미치는 영향 : 교사애착과 또래애착의 조절효과" 대구가톨릭대학교 교육대학원 2018

      30 김미경, "고등학생의 성적이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성별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한국청소년복지학회 14 (14): 165-187, 2012

      31 朴榮信, "韓國 學生이 知覺한 學業에 대한 成敗歸因과 學習動機化過程에 관한 硏究" 淑明女子大學校 大學院 1990

      32 朴庸植, "兒童의 學業 스트레스와 學業成績과의 關係" 全南大學校 敎育大學院 1996

      33 Huan, V. S., "The impact of adolescent conccerns on their academic stress" 60 (60): 169-178, 2008

      34 Armsden, G. C., "The Inventory of parent and peer attachment : Individual differences and their relationship to psychological well-being in adolescence" 16 (16): 427-453, 1987

      35 Kim. A., "Taxonomy of student motivation" 2002

      36 Bandura, A., "Social foundations of thought and action: A social cognitive theory" Prentice-hall 1986

      37 Ciehettie, D., "Resilience in maltreated children : Process leading to adaptive outcome" 5 : 629-647, 1993

      38 Rutter, M., "Resilience in face of adversity : and Protective mechanism" 57 : 316-331, 1985

      39 O’connell-Higgins, R., "Psychological resilience and the capacity for intimacy" Harvard Graduate School of Education 1983

      40 Ryan, R. M., "Perceived locus of causality and internalization : Examining reasons for acting in two domains" 57 : 749-761, 1989

      41 Block, J. H., "Minnesota Symposia on Child Psychology, 13" Erlbaum 39-101, 1980

      42 Block, J., "IQ and ego-resiliency : conceptual and empirical connections and separateness" 70 : 349-361, 1996

      43 Hayamizu, T., "Between intrinsic and extrinsic motivation : Examination of reason for academic study based on the theory of internalization" 39 : 98-108, 1997

      44 교육부, "2020학년도 대학수학능력시험 기본계획 발표 보도자료"

      45 교육부, "2017년 초·중·고 사교육비 조사 결과 발표 보도자료"

      46 이정연, "2016 경기도 학생인권 실태 조사 보고서" 경기도교육연구원 2016

      더보기

      동일학술지(권/호) 다른 논문

      동일학술지 더보기

      더보기

      분석정보

      View

      상세정보조회

      0

      Usage

      원문다운로드

      0

      대출신청

      0

      복사신청

      0

      EDDS신청

      0

      동일 주제 내 활용도 TOP

      더보기

      주제

      연도별 연구동향

      연도별 활용동향

      연관논문

      연구자 네트워크맵

      공동연구자 (7)

      유사연구자 (20) 활용도상위20명

      인용정보 인용지수 설명보기

      학술지 이력

      학술지 이력
      연월일 이력구분 이력상세 등재구분
      2027 평가예정 재인증평가 신청대상 (재인증)
      202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재인증) KCI등재
      201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5-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11-01-01 평가 등재학술지 유지 (등재유지) KCI등재
      2008-01-01 평가 등재학술지 선정 (등재후보2차) KCI등재
      2007-01-01 평가 등재후보 1차 PASS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6-01-06 학술지명변경 외국어명 :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 The Journal of Learner-Centered Curriculum and Instruction KCI등재후보
      2006-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유지 (등재후보1차) KCI등재후보
      2004-01-01 평가 등재후보학술지 선정 (신규평가) KCI등재후보
      더보기

      학술지 인용정보

      학술지 인용정보
      기준연도 WOS-KCI 통합IF(2년) KCIF(2년) KCIF(3년)
      2016 1.29 1.29 1.31
      KCIF(4년) KCIF(5년) 중심성지수(3년) 즉시성지수
      1.37 1.42 1.436 0.33
      더보기

      이 자료와 함께 이용한 RISS 자료

      나만을 위한 추천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