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소규모 사업장의 밀폐공간작업 안전사고 저감 방안에 관한 연구

        권혁조 한국기술교육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32316

        본 연구의 목적은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이루어지는 밀폐공간작업의 안전수준을 파악하여 일반 산업재해보다 사망사고 발생률이 높은 밀폐공간 내의 질식사고, 가스중독사고를 저감하기 위한 방안을 제시 하는데 있다. 1981년 산업안전보건법 제정 이후에도 산업재해는 지속적으로 발생하고 있으며 밀폐공간 안전사고는 감소하지 않고 있다. 밀폐공간작업에서 발생 하는 사고는 예상하지 못한 결과를 초래하는데 그 이유로는 2차재해의 발생이다. 밀폐공간작업 사고자의 구조를 위해 진입한 구조 자 까지 재해를 당하는 2차 재해의 빈도와 사망률이 높다. 이에 본 논문에서는 밀폐공간 작업에 대한 이론적인 검토와 충북지역 사업장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사업장별 안전보건수준과 근로자 안전의 식을 살펴보고 밀폐공간작업 안전사고를 저감 할 수 있는 방안을 찾고자 하였다. 첫째, 산업안전보건법 제15조의 규정에 의하여 사업장별 안전보건 관리자를 지정하여 안전에 관한 기술적인 사항에 관하여 사업주 또는 관리 책임자를 보조하도록 규정하고 있다. 조사대상 사업장에서 안전보건 관리의 업무를 겸직하는 사례는 37%였고 외주관리에 의존하는 사업장도 39% 로 파악되었다. 안전보건교육, 밀폐공간작업 교육, 작업 전 교육 및 작업장 관리에 있어 전담 관리자가 상주하여 근무하는 것 보다 겸직 형태의 안전보건 관리는 소규모 사업장으로 갈수록 증가되는 양상을 보였고 관리의 맹점이 확인되었다. 안전보건관리자의 지정과 교육의 확대, 외주관리의 실정에 부합한 안전보건 대행업체의 업무 전문화, 협의체 점검 강화를 통한 사업장 관리는 밀폐공간사고 예방에 유효한 요소가 될 것이다. 둘째, 밀폐공간작업의 특성상 발생하는 사고는 중대재해가 빈번한데 특히 소규모 사업장 일수록 그 작업환경은 열악하다. 밀폐공간작업의 빈도수가 낮은 사업장 일수록 관리의 소홀로 연결되어 사고의 위험은 증대 되었다. 밀폐공간작업장 관리에 있어서 소규모 사업장에서 실행 가능한 작업환경측정과 위험성평가의 도입이 필요하다. 안전보건 관리자는 밀폐 공간작업의 위험성을 사전에 파악하고 작업 전 안전보건 교육에 반영하여 밀폐공간에 대한 관리의 수준을 높여야 한다. 셋째, 중소규모 사업장에서 밀폐공간작업에 필요한 안전보호장구와 유해가스 농도 측정기, 산소농도 측정기를 구비하지 않은 사업장이 38%로 조사되었고 그 이유로는 작업 대비 높은 구매 및 관리 비용이었다. 산업 안전보건공단에서 장비대여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으나 85%의 조사대상 근로자가 이용해 본적이 없다고 하였으며 이용경험이 있는 응답자는 4% 에 불과하였다. 밀폐공간 장비대여 프로그램 이용성 제고를 위하여 사업장 규모별 대여 규정을 명시하여 영세한 사업장일수록 사용이 용이하도록 개선해야 한다. 외주업체에 의한 밀폐공간작업 사업장도 46%로 조사되었 는데, 외주 공사업체의 자격여건 강화와 작업 전 교육, 작업허가서의 제출 및 승인 시스템을 보완하고 현장에 적용해야 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measures to reduce the risk of suffocation and gas intoxication in confined spaces with a higher rate of death accidents than general industrial accidents by understanding the safety level of confined space work at small and medium sized workplaces. After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was enacted in 1981, industrial accidents continue to occur and confined space safety accidents are not decreasing. Accidents arising from confined space operations have unexpected consequences and its reason is the occurrence of secondary disasters. Secondary disaster where the rescuer who entered for the construction of the occupant in confined space also gets disaster are high in frequency and mortality rate. Therefore, in this paper, a theoretical review on the closed space work and a survey on the workplaces in Chungbuk area were conduct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urvey, it aims to review the level of safety and health at each workplace and the safety consciousness of workers and look for ways to reduce safety accidents in confined work spaces. First, according to the Article 15 of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ct, a safety and health manager for each workplace is designated to assist the employer or the manager in charge of technical matters related to safety. It was found that 37% of the employees in the surveyed workplaces were responsible for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and 39% of workplaces were dependent on outsourcing management. In terms of safety and health education, closed space work training, training before and after work and workshop management, concurrent type of safety and health management tends to increase in small businesses compared to that a dedicated manager is working and the blind spot of management was identified. Designation of safety and health manager and expansion of education, work specialization of safety and health agency in line with the outsourcing management’s reality, workplace management by strengthening inspection of consultation committee will be effective factors in preventing confined space accidents. Second, due to the nature of the confined space work, the accidents that occur are serious disasters and especially, the small the workplace, the poorer the working environment. The lower the frequency of confined space work, the greater the risk of accidents due to the negligence of management. It is necessary to introduce "work environment measurement" and "risk assessment"that can be carried out in a small workplace in the management of closed space workplace. The safety and health manager should increase the level of management of the confined spaces by identifying the risks of confined space work in advance and incorporating them into the safety and health education before work. Third, 38% of workplaces at small and medium-sized businesses were surveyed not equipped with safety protective gear, harmful gas concentration meter, and oxygen concentration meter which are required for confined space work and the reason for this was higher purchase and management costs compared to the work. The Industrial Safety and Health Agency operates equipment lending programs, but 85% of surveyed workers said they have never used them, and only 4% of them have used it. In order to improve the availability of the confined space equipment leasing program, it is necessary to specify the rental regulation by the size of the workplace and improve the ease of use for the small business workplaces. As the workplace of the confined space work by subcontractors were surveyed 46%, strengthening of the qualifications of outsourcing companies, training before work and supplementing of the work permit submission and approval system should be made and these should be applied on the field.

      • 공간디자인회사 근무자들의 업무특성별 업무공간 레이아웃 선호에 관한 연구

        조성민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5 국내석사

        RANK : 232316

        라이프스타일의 변화와 더불어 국내 몇몇 대기업을 중심으로 업무능률의 향상을 위한 오피스 환경 조성을 위한 시도가 나타나고 있다. 또한 노령인구의 급증, 정년(停年)의 증가, 삶의 질에 대한 높은 기대 등이 명확히 예측되어지는 추세로 볼 때, 업무공간이 건강하고 생산적이며 자율적인 업무를 할 수 있는 장소로서의 요구는 점점 더 크게 증가할 것으로 보인다.업무공간의 설계는 기존의 전통적인 레이아웃보다 더욱 많은 과제를 제시한다. 과거의 전통적인 레이아웃에서는 서열이나 계층별로 워크스테이션을 계획에 옮기도록 하였다. 하지만 현재의 업무공간에서는 서열이 아닌 업무상의 필요에 따라 다양한 유형의 레이아웃에 대해 고민해야 한다. 사업상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개인공간, 공유공간, 공간의 위치 등이 고민의 대상이다. 업무공간을 설계하는 일은 더욱 어려워졌고 디자이너는 이 작업을 명확하게 수행해야 할 것이다.본 연구는 디자인실무자들의 직종에 따른 업무특성에 다른 업무공간 레이아웃을 파악하는데 그 목적과 의의가 있다. 연구방법으로는 문헌조사와 설문조사를 병행하였다. 조사대상자는 서울 및 수도권 지역의 건설회사, 실내디자인 관련사, 전시디자인 관련사, 실내 건축 사무실, 건축 설계 사무실에서 근무하는 디자인실무자를 모집단으로 설정하여 직접 설문지법으로 작성한 173부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설문조사를 통해 조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과 업무형태의 특성, 업무공간 레이아웃에 관한 특성, 업무공간 레이아웃에 대한 선호 조사를 실시하여 전반적 업무환경 만족도를 조사하고 레이아웃 결정의 주요인들과 개선사항들을 파악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2.0 for Windows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고 통계방법으로는 빈도, 백분율, 분산분석(ANOVA)과 던컨의 다중범위검정, 상관관계 분석, 회귀분석 등을 사용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첫째, 20대 여성의 비율이 높았고 3년 미만의 경력을 소지한 사람이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계약직 및 임시직의 비율도 상대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여성 근무자의 입장을 반영한 레이아웃의 제시를 검토해야 할 것으로 사료되며 제한된 공간 내에서 업무특성의 질을 높이고 원활한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업무환경의 제시가 요구된다.둘째, 디자인 실무자들의 업무특성상 자신의 업무공간에서 설계 및 도면 작업의 업무를 장시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업무시간이 길수록 재석시간이 길게 나타났다. 업무시간과 재석시간 간에는 유의한 상관관계를 나타내어 노동집약적 업무특성을 나타냈고 전문지식의 요구도가 높게 나타났다. 모형작업과 같은 공동작업의 경우 회의실과 같은 타용도로 사용되는 공간을 주로 이용하는 것으로 나타나 별도 작업공간의 설치가 시급한 것으로 나타났다. 레이아웃 재배치의 필요성에 대하여는 대부분이 긍정적이었으며 직종과 소속부서에 따른 업무공간 레이아웃에 관한 연구를 검토하고 시행할 필요가 있다.셋째, 현재 업무환경 내에서의 가장 큰 문제점으로 쾌적성의 보장과 업무공간의 확보를 요구하는 것으로 나타나 협소한 업무공간의 개선이 시급한 문제로 제시되었다. 또한 업무환경의 변화로 다양한 형태의 업무공간과 레이아웃의 형태가 나타나고 있지만 디자인 실무자들의 경우 자신의 지정된 업무공간에서 집중형 업무를 수행하는 것을 선호하였으며 시각적 프라이버시와 청각적 프라이버시가 보장되는 공간을 요구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디자인실무자들의 직종, 소속부서, 직위에 따라 레이아웃의 유형과 선호에 차이가 있었으며 대부분의 근무자들은 집중형 업무공간과 함께 동료 간 커뮤니케이션이 가능한 레이아웃을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나 공동작업의 업무특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디자인 실무자들의 공간은 차별화된 업무환경 계획이 요구되며 이러한 특성을 파악하여 업무공간의 융통성을 높일 수 있는 전략이 필요하다. 따라서 생산성 향상을 위한 업무공간 레이아웃을 계획할 경우 업무환경과 업무특성을 파악하여 디자인 실무자들의 업무특성을 수용할 수 있는 업무공간 레이아웃의 기준을 제시해야 할 것이다. Together with the changes of life-style, new attempts are coming forth to create better office environment for work performance by several major enterprises.In consideration of the tendancy of the country toward increase in population of the old ages, prolongation of retiring ages, and raising expectation of the quality of life, the necessity of working place as the space carring out jobs in healthy, productive and autonomous conditions will increase in large number every year.Work space planning present much more problems to be considered in compare with conventional layout. In the conventional workplace layout, workstations were designed and executed in the order of ranks and classes of the staffs. However, in the present work space planning, designers should take much pains for developing various forms of layout adequate to the job requirement and not for the rank of staffs.For attaining companies objects, planning of individual spaces, common spaces and arrangement of spaces are the subject of study to be settled, planning of workplace have come to a more difficult work and the designer have to perform the work in right path.The object and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for grasping the situation and meaning of the work space layout of designing staffs in accordance with the job classifications and characters. The study was formulated by refering the literatures and questionnaire method in paralled.The object of this study, who were set up as the population of this questionnaire, were the designing staffs of the construction companies, interior design related companies, exhibition design related companies, interior design offices, and construction design offices located in seoul and it''s outskirts. the survey results of the direct questionnaires from 173 respondent were put to use for analysis.The questionnaires have carried out into effects including inquiries about personal characteristics of the objects, characteristics of service form, characteristics of work space layout, and preferences of workspace layout etc. for surveying satisfication level of their working environment.The questionnaires also have tried to find out the essential factors of layout design and room for improvement. Collected data were analysed by applying statistic package of SPSS 12.0 for windows. And as for the statistical method, applied frequency, percentage, ANOVA, Duncan''s multiple range test.The study results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1. Women in the age of 20s and less than 3years experienced persons are occupying high proportion. Short term and temporary employees are also sharing relatively high ratio.Thoughtful considerations for women employees in layout designing is to be reflected and applied upon. Furthermore, reforming office environment is required for improviding work efficiencies and communications each other.2. It was found that, due to their specific job character, design staffs are usually spending long time in their workplace for designing and drawing. And persons who are working longer time, they are spending more time for sitting. There are indicating significant inter-relationship in working time and sitting time. It shows also labor intensive characteristics and requirement of high level specialized knowledge. Since most of the joint works, for example, model making works, are carried out in the places provided for other purposes, like meeting room etc, it is highly required to prepare suitable workplace for those works.Most of the company members have positive opinions on the necessity of rearrangement of workplace layout and so careful study and execution of efficient workplace layout in accordance with the specific work character is to be take place.3. It is found that under the existing work environment, the most important matter at moment is to extend confined workplace for improviding efficiencies and securing pleasantness. According to the changes of work environment, various types of workplace and layouts become to appear and the designing staffs prepare a workplace in where they can perform works concentrately and exclusively secured from visual and auditory obstacles.Judging from the result of this study, there are differences in preference of layout forms and types in accordance with designers staffs classification, position and rank.However, most of them prefer a concentrated workplace with communication provision to their fellow workers and this state of things affirm the specific character of joint work in designing procedures.Therefore in the work space layout planning procedures, for improving productivity, it is essential to provide a basic yardstick of work space layout which could fulfill job requirement by analysing specific charactor of work environment.

      • 공유오피스 공간특성에 관한 연구 : 면적비율 분석을 중심으로

        박미홍 연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32315

        Based on the relevant pre-researching of shared office, this paper presents the direction of spatial composition classification and examines the scale of each space area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future space planning of the shared office. In order to analyze the space composition characteristics of co-office space, on the basis of the space composition classification method studied in pre-researching, the public space is classified as business space, business support space, and public space. Business space is the main space of co-working space, according to the open form of space and composition of actual personnel, it can be divided into private office area, multi-person office area and open-plan office area. Business support spaces are classified as conference rooms, multipurpose rooms, phone booths, OA device spaces, and information spaces, it can carry out incidental tasks so that efficient work progress and natural collaboration can take place in shared offices. The public space is a space that induces informal encounters between people who take a simple break from work or share an office together, including rest areas, tasting spaces, sports spaces, entertainment spaces, passageways and other (cloakrooms, mailboxes). As time goes on and changing trend of area ratio of co-working space, the business space and the business support space show a relative trend of change. Business support space and public space show the same trend. It is understood that the shared office is divided into three sizes: small (less than 500m2), medium (500m2 to 1,500m2), and large (more than 1,500m2). As the size of the space increased, the ratio of work space decreased, and the ratio of work space and public space was found to be correlated, it regardless of the size. Through analysis, it can be confirmed that in small co-working space, the proportion of business space is larger than that of public space. In large co-working space, the proportion of business space is smaller than that of public space. In the medium co-working space, the proportion of business space and public space is basically the same. Based on prior research, the form types of shared office can be classified into three types: cafe type, incubating type and network type. It is understood that the area of cafe type is listed in the order of public space > work space> work space> work space, and the incubation type and network type are in the order of work space > public space> work support space. Among the three types of forms, the largest ratio of work space is the network type, and the largest ratio of work support space and public space is the cafe type. The space program of the shared office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depending on the region. In Asia, the workplace shows a trend of work support space and public space, and in non-Asian areas, the work space and public space show a proportional trend, but the clear correlation between public space and two other spaces could not be confirmed. In Asia, the ratio of work space to public space is larger than that of public space, and in non-Asian areas, the ratio of work space to public space is smaller than that of public space. In the existing data, it is difficult to calculate the proportions and criteria of the entire space composition, because it is only used by the General Office guide without the Shared office space planning criteria. but in this study, the ratio and the composition of each type of space were confirmed based on the area. Although these space program characteristics cannot be an absolute guideline at this point, it is expected that they will be used as basic data in the scale setting, space composition, and area allocation when constructing and remodeling shared offices. 본 논문은 공유오피스의 관련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공간구성 분류 방향을 제시하고 각 공간 영역별 규모를 검토하여 향후 공유오피스의 공간계획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공유오피스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을 분석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공간구성 분류방법을 바탕으로 공유오피스 공간을 업무공간, 업무지원공간, 공용공간으로 분류하였다. 업무공간은 공유오피스에서 업무를 수행하는 주요 공간으로 실(室) 형태의 개방 여부와 실의 인원 구성에 따라 개인오피스, 다중오피스, 오픈오피스 공간으로 구성된다. 업무지원공간은 공유오피스에서 효율적인 업무 진행과 자연스러운 협업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부수적인 업무를 수행하기 위한 공간으로 회의실, 다목적실, 폰부스, OA기기공간, 안내공간으로 분류된다. 공용공간은 업무에서 벗어나 간단한 휴식을 취하거나 함께 오피스를 공유하는 사람들 사이의 비공식적인 만남을 유도하는 공간으로 휴게공간, 시음공간, 체육공간, 오락공간, 통로와 기타(락카룸, 메일함)공간이 포함된다. 시간의 흐름에 의한 공유오피스의 면적비율 변화 추세에서 업무공간은 업무지원공간과 상대적인 변화의 추세를 보이고 업무지원공간과 공용공간은 같은 변화의 추세로 나타나고 있다. 공유오피스는 소형(500㎡이하), 중형(500㎡∼1,500㎡), 대형(1,500㎡이상) 3가지 규모로 특징이 구분되고 있음을 파악하였다. 규모가 증가함에 따라 업무지원공간의 비율은 줄어들고 업무공간과 공용공간의 비율은 규모와 관계없이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을 파악하였다. 소형에서는 업무공간의 비율이 공용공간보다 크고, 대형에서는 업무공간의 비율이 공용공간보다 작으며, 중형에서는 업무공간과 공용공간의 면적비율이 거의 일치하게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공유오피스의 형태유형은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카페형, 인큐베이팅형, 네트워크형 3가지로 분류하여 특성을 파악할 수 있다. 카페형은 공간별 면적순위가 공용공간> 업무공간> 업무지원공간 순으로 나타났고, 인큐베이팅형과 네트워크형은 업무공간> 공용공간> 업무지원공간 순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파악된다. 3가지 형태유형 중 업무공간의 면적비율이 제일 큰 것은 네트워크형이고, 업무지원공간과 공용공간의 면적비율이 제일 큰 것은 카페형인 것으로 나타났다. 공유오피스의 스페이스 프로그램은 지역에 따라 특성이 다르다. 아시아지역에서는 업무공간이 업무지원공간 및 공용공간과 반비례의 추세를 보이고, 업무지원공간과 공용공간은 비례의 추세를 보이지만 비아시아지역에서는 업무공간과 공간이 반비례 추세가 나타나지만, 공용공간과 다른 두 공간의 명확한 상관관계는 확인할 수 없었다. 아시아지역에서는 업무공간의 면적비율이 공용공간보다 크고 비아시아지역에서는 업무공간의 면적비율이 공용공간보다 작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기존의 자료에서는 공유오피스의 공간계획 기준이 없이 일반 오피스의 지침 위주로만 구성되어 전체적인 공간구성의 비율과 기준을 산정하기 어려웠으나, 본 연구에서는 면적을 바탕으로 공간별 비율과 유형별 구성을 확인하였다. 이러한 스페이스 프로그램 특성은 절대적인 지침이 될 수는 없으나 현시점에 있어 공유오피스 건립 및 리모델링 시 규모설정, 공간구성 및 면적 배분에 있어서 기초적인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디지털 테크놀로지와 노동의 시·공간적 확장

        신도연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32281

        This thesis examines how white-collar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engage in labor on mobile messaging applications which dismantle the previous time-space boundary of work. It researches about the discipline and control that make them embody the resulting long hour performance of work, and analyzes how the workers respond to the work-discipline enforced upon them by the instantaneity of mobile messaging. The long hour labor discussed in this thesis which is the work performed on a mobile messenger that blurs the time and space boundaries of communication has emerged as a social problem.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provide a critical analysis on this issue and to suggest countermeasures. The researcher used in-depth interview, literature review and discourse analysis for the methodology of this thesis. Thirteen Korean office workers in their 20s or 30s, who have high rates of smartphone usage, participated as informants for the in-depth interviews between February and March of 2017. The findings of the research are as follows. First, a mobile messenger functions as a virtual workplace that is an extension of physical work space. It creates the effect of enforcing workers to work through self-censorship regardless of the time and space of work which they initially agreed upon. Workers perform work outside their contractually negotiated hours because communication on the mobile messenger demands immediate action and intimacy. This demand of intimate responses on the mobile messenger is combined with the hierarchical order existing in the workplace to compel workers to perform emotional labor. Second, workers who are subordinated to the extended working hours are reacting to the current labor system by securing their own time and space, which attempts are made through the use of digital technology. Workers whose working hours have been extended through smartphones use the smartphones to engage in activities which are perceived as 'taking rest', such as hobbies or access to information of their interests online. This contradiction results in blurring not only the temporal boundaries but also the spatial boundaries of work and life. Third, the researcher argues that government intervention is needed in the negotiation on work hours and work disciplines between workers and corporations. The workers do not hold equal status as the corporations in negotiating work hours but the labor with ambiguous time-space boundaries continues to be imposed upon them. This situation demands counter-measures prepared at government level. France, which presented institutional measures against expanding working hours through the use of smartphones, decided to prohibit corporations from demanding workers to work outside the working hours based on the "right to disconnect". Germany introduced measures to block company e-mail servers in order to prevent workers from sending or receiving e-mails outside of working hours. The Japanese government is taking measures to the social issue of long working hours as these have caused overwork suicides and deaths. In Korea, a bill introducing the “right to disconnect” was proposed. Korean workers in their 20s and 30s today are experiencing the expansion of working hours which is sustained by the hierarchical order of workplace, and are forced to perform emotional labor. The interface characteristics of mobile messengers contribute to implementing work discipline and control. Workers are responding to this situation by securing private time and newly defining this time. This thesis argues that the issue should be resolved by providing detailed classification in identifying what is working hours and by initiating related measures. 본 논문은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 이로 인해 장시간 노동의 수행을 내재하게 하는 규율과 통제에 대해 분석한다. 나아가 즉각적 반응을 이용해 강요된 노동 규율에 대한 20-30대 직장인들의 대응을 알아보고자 한다. 본 연구가 다루는 장시간 노동은 소통의 시∙공간적 경계를 해체하는 모바일 메신저 상에서 이루어지는 업무이며 사회적 문제로 부상했다. 이에 대한 비판적인 분석을 진행하고 대응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본 연구를 위해 심층면접과 문헌조사, 담론 분석을 이용했다. 심층면접은 2017년 2월에서 3월 사이에 진행되었으며, 스마트폰 이용률이 높은 한국의 20-30대 사무직 직장인 13명을 대상으로 수행되었고, 이를 통해 도출한 분석은 다음과 같다. 첫째, 모바일 메신저는 물리적 직장 공간의 연장선상에 있는 직장 공간의 역할을 수행하게 한다. 이는 직장인들로 하여금 자기 검열을 통해 지정된 업무의 시∙공간과 무관하게 노동자로서 일하게 하는 효과를 갖는다. 모바일 메신저가 유발하는 즉각성과 친밀성이 커뮤니케이션에 요구되면서 직장인들은 자신이 계약상 협의한 노동 시간 외에도 업무를 수행하고 있다. 또, 친밀성의 표현이 요구되는 모바일 메신저 공간과 직장 내 존재하는 위계질서가 결합되면서, 직장인들은 업무뿐만 아니라 감정 노동의 수행을 강요 받는다. 둘째, 확장되는 노동시간에 예속된 노동자들은 자신 고유의 시간과 공간을 확보하려는 방식으로 현 노동 체제에 대응하고 있으며, 이러한 시도는 디지털 테크놀로지를 통해 이루어지고 있다. 노동시간이 스마트폰을 통해 확장된 상황에서 직장인들은 스마트폰을 이용해 취미나 관심사에 접속하여 휴식을 취한다고 믿게 되고, 이러한 모순성은 일과 생활의 시간적 경계뿐만 아니라 공간적 경계까지 흐려지게 하는 결과를 초래한다. 셋째, 연구자는 노동자와 기업 사이의 노동 시간 및 규율의 협상에 있어 정부가 개입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현재 노동시간의 협상에 있어 기업과 노동자의 관계가 동등하지 못하며, 시∙공간적 경계가 불분명한 노동이 지속되고 있기 때문에 이에 대한 대책의 마련이 정부의 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한다. 스마트폰의 이용을 통해 노동시간이 확장되는 상황에 대한 제도적 대책을 마련한 프랑스는 ‘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바탕으로 근무 시간이 아닌 시간에 노동하는 것을 노사간 합의 하에 금지하도록 했다. 독일의 경우 근무시간 이외에 메일을 주고 받지 않기 위해 기업의 이메일 서버를 차단하는 대책을 내놓기도 했다. 과로로 인한 자살, 사망사건이 대두되면서 장시간 노동이 사회적 문제로 부각되고 있는 일본의 경우 정부 차원의 대책을 마련하려는 움직임을 보이고 있다. 한국에서는‘연결되지 않을 권리’를 중심으로 하는 법안이 발의되었다. 현재 한국의 20-30대 직장인들은 직장의 위계질서 노동시간의 확장을 경험하며 감정 노동의 수행도 강요 받고 있고, 여기에서 모바일 메신저의 인터페이스적 특성이 노동통제와 규율의 이행을 돕는다. 직장인들은 이러한 상황에 자신의 시간을 확보하고, 새롭게 의마화하는 방식으로 대응하고 있다. 나아가 이 문제는 근로시간의 의미를 세분화하고, 이에 대한 꾸준한 법안의 발의를 통해 개선 되어야 한다.

      • Working Space

        정우진 홍익대학교 국제디자인전문대학원 2007 국내박사

        RANK : 232271

        We are always struggling to meet both needs of work and life at the same time. Thanks to technology development in the recent years, we can handle things much more fastly. In-ternet, for instance, is the most critical tool to bring us a simultaneous worldwide commu-nication which has never been thought before. So people have expected to have work-life balance with this amazing technology and everything seems to be going well. People can work where they are with their cellphone or laptop. However, as you are aware of the meaning to have a cellphone in your pocket, you can not escape from work. It follows you until you go to sleep, even on the bed. Work-life balance is not only about time management but also about personal sense of value, personnel relationship, social structure, and so on. Working condition in the rural area would be quite different from in the urban area. Blue collar, white collar, IT worker, banker, designer, or any type of worker has different condition from each other. Neverthe-less, We all suffer from failure of balancing work and life partially because of the technol-ogy. It makes us work more and more. Maybe we glorified technology and it's high produc-tivity and efficiency too much and neglected to fit it into our life in a proper way. We need to find a solution to use those technology and working tools and arrange them for indi-vidual working style. Design can be involved in this adventure as a connector between technology and our living environment. Here are some ideas to weave them for a family. In the future, we will have numerous working tools, much more than now, and we should know what to choose and how to arrange them. Everywhere could be our workspace, but, we should not be lost.

      • Minimum spacing을 고려한 Work sampling에 관한 硏究

        황규성 東亞大學校 大學院 1987 국내석사

        RANK : 232254

        This thesis is a study on Work Sampling method which is one of the important Parts in the fileds of work measurement today. This thesis considers the problem of sampling from a finite population defined on the interval (1,2,3,………,T), using a restricted form of random sampling in which the spacing between consecutive observations must be at least some minimum value, M. Sample size N, the value M can be arbitrarily specified in the range from zero, corresponding to simple random sampling with repacement, to a maximum of T/N, corresponding to systematic random sampling. An efficient procedure is developed for generating a sample for specified values of N, M and T. It is then shown, by computer simulation, that values of M in the range from 60 to 90 percent of T/N retain most of the advantages of Systematic Random Sampling, while avoiding most of the disadvantages for some special processes.

      • Series Elastic Actuators-Driven 3-DOF Parallel Robot for Dynamic Human Interaction

        Hyunwook Lee DGIST 2022 국내박사

        RANK : 232234

        This paper proposes a novel parallel robot – Virtual Ground Robot (VGR) - that is driven by three Series Elastic Actuators (SEAs) to interact with a human. For developing the robot, Reaction Force-sensing Series Elastic Actuator (RFSEA) which enables accurate force control is applied as the actuator system, and the parallel structure is applied as the mechanism to generate a large force. The control algorithms are introduced for RFSEA to achieve high force performance and to render desired impedance. To guarantee the stability of the controller with the unknown environment, the passivity concept is applied and analyzed in the frequency domain. Utilizing the passivity analysis, the new Passivity Observer and Passivity Controller (POPC) is introduced to relax the passivity violation, which preserves the passivity while achieving the higher desired stiffness. All analyses developed to control RFSEA are extended to the VGR. The VGR provides a virtual ground on which a human can stand on and interact in three directions: the pitch, the roll and the height directions. Kinematics and statics of the VGR are theoretically analyzed, which validate that the VGR mechanism can achieve wide torques and impedance range compared to the existing 3-RPS mechanisms. And the Spatial POPC for VGR is designed to dissipate energy and relax the passivity violation in the work-space. The developed VGR is utilized as a device to measure and train the balance of a human; a human can stand on the VGR, and the balance-related values such as force, position, and the center of pressure are observed. The features and performance of the developed robot are theoretically examined and validated through experiments. 본 논문은 인간과 상호 작용을 위한 세 개의 직렬탄성구동기로 구동되는 새로운 병렬 로봇인 Virtual Ground Robot (VGR)을 제안한다. 로봇 개발을 위해 구동 시스템으로 정확한 힘 제어가 가능한 Reaction Force-sensing Series Elastic Actuator (RFSEA)를 적용하고, 큰 힘을 발생시키는 메커니즘으로 병렬 구조를 적용했다. RFSEA에 대한 제어 알고리즘이 도입되어 높은 힘 성능을 달성하고 원하는 임피던스를 구현한 다. 알 수 없는 환경과의 접촉에서도 컨트롤러의 안정성을 보장하기 위해 주파수 영역에서 수동성 개념을 적용하여 분석한다. 수동성 분석을 활용하여 수동성 위반을 완화하기 위해 새로운 수동성 관찰자 및 수동성 컨트롤러가 도입되어 원하는 더 높은 강성을 달성하면서 동시에 수동성을 유지하게 한다. RFSEA를 제어하기 위해 개발된 모든 분석은 VGR로 확장된다. VGR은 피치, 롤, 높이 방향의 세 가지 방향으로 사람이 서서 상호작용할 수 있는 가상의 지면환경을 제공한다. VGR의 운동학 및 정역학을 이론 적으로 분석하여 VGR의 메커니즘이 기존 3-RPS 메커니즘에 비해 넓은 토크 및 임피던스 범위를 달성할 수 있음을 검증한다. 그리고 VGR을 위한 공간상의 수동성 제어기는 작업 공간에서 에너지를 소산시키고 수동성 위반을 완화하도록 설계된다. 개발된 VGR은 인간의 균형을 측정하고 훈련하는 장치로 활용된다. 사람이 VGR 위에 설 수 있으며 힘, 위치, 압력 중심 등 균형 관련 값이 관측된다. 개발된 로봇의 기능과 성능을 이론적으로 분석하고 실험을 통해 검증한다.

      • 생산 일정을 고려한 최적 작업 공간 배치 계획

        윤용덕 인천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31982

        LCD 제조장비, 반도체 제조장비와 같은 제조업체는 수주를 받아 청정환경의 Clean Room에서 기계장비를 생산한다. Clean Room은 청정도를 유지하기 위하여 수주가 증가하여 생산 제품이 증가하여도 작업 공간을 벗어날 수 없으며, Clean Room 증설 및 관리 비용도 많이 소요된다. 또한, 모든 수주 기반의 생산업과 같이 납기의 준수가 기업의 신뢰성과 즉결되기 때문에 모든 생산 계획은 납기를 만족할 수 있도록 수립되어야 한다. 제약된 환경에서 기존의 방법은 전문가의 수작업에 의하여 작업 위치 결정과 생산 계획이 결정되고 있었다. 그러나 이런 방법은 전문가의 Know-How와 경험에 의존하고 있기 때문에 항상 최적의 공간 배치와 일정 계획 수립을 보장할 수 없으며, 작업 시간 또한 많이 소요된다. 이러한 수주 기반의 배치생산 제조기업의 문제와 비슷한 문제로는 “설비간의 물류 흐름을 고려하여 설비 최적 배치 문제”, 조선 산업에서 철판을 배치할 때 “철판의 낭비를 최소화시키는 배치 문제”, 의류산업분야에서 원단에 패턴을 배치할 때 “효율적인 원단 활용방법을 찾는 문제” 등 다양한 알고리즘이 연구되었다. 하지만 본 연구에서 다루고자 하는 문제와 같이 생산 일정 계획을 고려하는 최적 배치 문제는 연구되고 있지 않아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필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이러한 융합적인 문제를 제품 배치와 일정을 동시에 고려하여 연구하였다. 작업장의 가로, 세로 크기, 생산 장비의 가로, 세로의 크기, 넓이, 납기까지의 남은 일, 생산 소요일 정보를 입력 받아 가로 혹은 세로의 방위을 고려하여 선택적으로 배치하도록 하였다. 또한, 각 제품의 납기를 기준으로 제품군을 생성하였다. 생산 일정을 고려하여 제품을 배치하기 위해 제품군간의 거리, 배치한 제품을 제외한 남은 작업장의 넓이, 여유 납기의 합을 최소화하는 배치 목록과 각 제품의 위치를 알 수 있는 수리모델을 제시한다. 납기 지연일을 최소화하기 위하여 납기까지 남은 일과 예상 생산 소요 일의 차를 납기 지연일과 여유 생산일로 정하고, 납기 지연일이 클수록, 여유 생산일이 작을수록 우선 배치하게 된다. 본 논문에서 제시하는 “생산 일정을 고려한 최적 배치 모델”과 CAD 시스템을 응용하여 최적 배치 의사 결정 시스템을 개발 할 수 있다. 그 효과로 제조업체의 Clean Room 작업배치 계획 수립, 수주물량의 납기 내 제조가능성 여부판단, 수주장비의 Clean Room 입고 가능 시점 파악이 신속하게 이루어질 것으로 기대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an optimal layout planning of work space, considering the production schedule in the semiconductor equipments manufacturing company. The company adopts the make to order policy to assemble the products in the clean-room considering optimal layout for work spaces and due dates of orders. Therefore, the object of this problem is minimizing the sum of distance of each product, the total area of empty spaces and total tardiness. Input data include the size of Clean-Room, due dates of orders and the size of ordered products. Output is an optimal work place allocation plan for considering the production schedule. To improve quality, we suggest a mathematical model for the problem with consideration of due dates of order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