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서울퀴어퍼레이드의 장소성을 통한 성소수자의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 연구

        정하늘 한국외국어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184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ether the placeness of the Seoul Queer Parade(Pride Parade), a festive event that has both playful and rallying qualities, facilitates or assists LGBTQ+ people in their trans-identity process. Due to the marginalisation of LGBTQ+ people in Korean society, LGBTQ+ people are highly constrained in their ability to express their identity. In a city centre public space dominated by heterosexual norms, they use the one-day annual Seoul Queer Parade as a site of queerness, and each participant uses the site-specificity of the festival to perform trans-identity. The placeness of the Seoul Queer Parade is based on two main factors. Firstly, it is the perceptual aspect of the gathering of LGBTQ+ people. The perception that LGBTQ+ people are gathered in a specific space in the city centre gives meaning to the space and creates a sense of place through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 of their bonds. Second, the symbols that can be seen in the Seoul Queer Parade create a sense of place. The ‘Queer goods’ and ‘Pride flags’ worn by the participants function as signs of trans-identity, revealing and sharing the same sexuality with other participants. Together, they create a sense of place, a disconnected, Queer-only place that is created within the city centre through the high fence that separates the festival site from the city centre. Based on the sense of place that can be experienced at the Seoul Pride Parade, LGBTQ+ people perform trans-identity. LGBTQ+ people who have not been able to easily perform trans-identity as LGBTQ+ people use the sense of security and bonding provided by the place of the Seoul Queer Parade to rebuild the ‘Identity Bridge’ and cross it smoothly. The representations worn by festival-goers who have crossed the bridge and solidified their identity as LGBTQ+ can influence other participants' perceptions of the festival's sense of place and help them to perform trans-identity. This in turn reinforces the sense of place, i.e. the trans-identity performance of LGBTQ+ people reinforces the sense of place, and this sense of place enables other LGBTQ+ people to perform trans-identity. The ‘trans-identity cycle’ is revealed. In-depth interviews also confirmed the same trans-identity practices as the literature research. Participants in the Seoul Queer Parade were able to physically experience the sense of place of the festival, which helped them to perform their trans-identity. In addition, performing their trans-identity contributed to a sense of solidarity among LGBTQ+ people and resistance to heteronormativity, and helped them to release their feelings of oppression. LGBTQ+ people in Korea publicly display their repressed identities through trans-identity performance at the Seoul Queer Parade. While many of them experience temporary identity transitions, they express a sense of connection and solidarity by performing trans-identity within the festival space of the Seoul Queer Parade. 서울퀴어퍼레이드는 유희와 집회의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는 축제 콘텐츠다. 이 연구의 목적은 서울퀴어퍼레이드가 가진 장소성이 성소수자에게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을 촉진하거나 도움을 주는지 밝히려는데 있다. 한국사회의 성소수자에 대한 주변화로 성소수자는 정체성을 드러내는 데 큰 제약이 존재한다. 이성애 규범이 지배하는 도심의 공공공간을 이들은 연중 하루 동안 열리는 서울퀴어퍼레이드를 이용해 성소수자의 장소로 이용하며, 각 참가자는 축제 장소의 장소성을 이용하여 트랜스아이덴티티를 수행한다. 서울퀴어퍼레이드 축제 장소의 장소성은 크게 두 가지에 기반하고 있다. 첫째, 성소수자가 모여 있다는 인식적 측면이다. 도심의 특정 공간에 성소수자가 모여 있다는 인식을 통해 공간에 의미를 부여하고 이들의 유대감을 직·간접적으로 경험하며 장소성을 형성한다. 둘째, 서울퀴어퍼레이드에서 살펴볼 수 있는 상징을 통해 장소성이 형성된다. 참가자들이 착용하는 ‘퀴어 굿즈(queer goods)’와 ‘프라이드 플래그(pride flag)’ 등이 트랜스아이덴티티의 표상으로 작동하며 다른 참가자들과 같은 성소수자임을 드러내고 공유한다. 함께 축제 장소를 도심의 공간과 분리하는 높은 펜스를 통해 도심 내에 생겨난 단절된, 성소수자만의 장소라는 장소성을 형성한다. 서울퀴어퍼레이드에서 경험할 수 있는 장소성을 기반으로 성소수자는 트랜스아이덴티티를 수행한다. 쉽게 성소수자로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을 할 수 없었던 성소수자들은 서울퀴어퍼레이드의 장소성이 주는 안정감과 유대감을 이용해 ‘정체성 다리(Identity Bridge)’를 재구축하고 원활히 횡단하게 된다. 정체성 다리를 횡단하여 성소수자로 정체성을 공고히 한 축제 참가자들이 착용한 표상은 다른 참가자의 축제 장소성 인식에 영향을 주고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을 하는 데 도움을 준다. 이로 인해 장소성은 더욱 강화된다. 즉, 성소수자의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이 장소성을 강화하고 이 장소성을 다른 성소수자가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을 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트랜스아이덴티티 순환’이 이뤄진다. 실제 심층 면접에서도 문헌연구와 동일하게 성소수자의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을 확인했다. 서울퀴어퍼레이드에 참가한 성소수자는 실질적으로 축제 장소의 장소성을 체감할 수 있었고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을 하는데 도움을 받았다. 또한,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이 성소수자간의 연대의식과 이성애 규범에 저항하는 데 영향을 주었으며 각 개인이 가지고 있던 억압감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었다. 국내의 성소수자는 서울퀴어퍼레이드에서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을 통해 본인의 억압된 정체성을 공공에 드러낸다. 많은 경우 일시적인 정체성 횡단을 경험하지만 서울퀴어퍼레이드 축제 장소 내에서 트랜스아이덴티티 수행을 통해 유대감과 연대의식을 드러낸다.

      • 북한 열병식 무기 공개의 특징과 의도

        이무헌 북한대학원대학교 2022 국내석사

        RANK : 1593

        이 글의 목적은 김정은 시기 열병식과 열병식에서의 무기 공개의 특징을 파악하고 그 의도를 분석함으로써 김정은 시기 사회주의강국 건설에 있어서의 중요한 한 축인 국방력 강화의 방향과 의미를 밝히고자 함이다. 김정은 시기에는 총 11번의 열병식이 실시되었다. 김정은 시기의 열병식에서는 화성-12/13/17형, 북극성-2/4ㅅ/5ㅅ형, 자행고사로케트, 초정밀무인타격기, 300mm 방사포 등 지금껏 본적 없는 새로운 무기들이 김일성-김정일 시기에 비하여 적극적으로 공개되었다. 국방공업의 성과인 무기 장비들을 공개하는 무대로서의 역할을 한 것이다. 열병식과 무기 공개는 대내외적으로 여러 가지 성격을 모두 내포하고 있지만 시대적 상황에 따라 그 성격은 조금씩 달라진다. 열병식과 그 핵심이라고 할 수 있는 무기 공개의 의도가 김일성-김정일 시기에는 대내적으로 내부 결속, 대외적으로 외교적 압박의 의미가 컸다면, 김정은 시기에는 대내적으로 안보우려 해소, 대외적으로는 군사적 억지의 의미가 더욱 컸다. 냉전이 한창이던 김일성 시기에 북한은 열병식을 기본적인 국가기념일 행사로서 주로 인민들에게 체제의 성과와 우월성을 과시하였다. 탈냉전에 접어든 김정일 시기에도 열병식은 기본적으로 체제의 우월성을 과시하며 동구 사회주의 국가들의 붕괴 후 고난의 행군을 거치면서도 자신들만은 사회주의 체제를 고수하면서 인민들을 결속하는 역할을 하였다. 또한 열병식과 무기 공개를 통해 억지력을 과시하면서도, 세계 유일 초강대국인 미국에 체제의 안전보장이 달려있다는 인식하에 무기 공개를 억지력 보다는 외교적 타협을 압박하는 수단으로서 활용하려는 의도를 갖게 되었다. 김정은 시기에는 인민생활의 향상을 목표로 하였지만 거듭되는 핵실험과 미사일 발사로 대북 제재가 강화되고 경제발전이 더뎌지게 되었다. 김정은이 인민들에게 내세울 수 있는 성과가 없는 상황에서 자신의 실패와 부진을 어느 정도 인정하며 인민들에게 고개를 숙이고, 국방력 강화의 성과를 내세워 인민들이 생산활동에 힘쓸 수 있게 고무추동하는 것 외에 방법이 없게 되었다. 핵무력의 발전과 신냉전의 도래, 미국 국력의 상대적 약화 등 국제정치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열병식과 무기 공개의 성격도 외교적 압박 보다는 군사적 억지력을 강화하는데 초점이 맞춰지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identify the characteristics of the military parade as well as the intention behind the showcasing of the weapons during the parade in the Kim Jong Un era. This study also aims to reveal the direction and the meaning of strengthening national defense, an important axis in building a powerful socialist country. A total of 11 military parades have been held under Kim Jong Un. At the military parade with Kim Jong Un as the leader, more new weapons(such as Hwasong-12/13/17, Pukguksong-2/4ㅅ/5ㅅ, self-propelled rocket, ultra-precision unmanned strike aircraft and 300mm multiple rocket launcher) were unveiled compared to the Kim Il Sung or Kim Jong Il era. The parade served as a stage to showcase weapons which are considered to be achievements of the national defense industry. Although the military parade and the showcasing of weapons have various characteristics both internally and externally, they vary depending on historical circumstances. If the intention of the military parade and the showcasing of weapons at its core were used as a means to internally unite the country and externally put diplomatic pressure onto the international community during Kim Il Sung and Kim Jong Il era, under Kim Jong Un, it was to internally settle national security concerns and externally perform military deterrence. During the Kim Il Sung era and the height of the Cold War, the DPRK used the military parade as a basic national commemorative event to mainly show off the achievements and superiority of the system to its people. Even with Kim Jong Il as the leader, during which the world entered the post-Cold War period, military parade was used as a channel to show off the superiority of the system and unite the people even while suffering from the March of Hardship, as a country that adheres to their own socialist system even while other socialist countries in Eastern Europe collapsed. In addition, while demonstrating deterrence through military parades and showcasing of weapons, the DPRK had an intention of putting pressure for diplomatic compromise rather than deterrence, onto the United States, the world's only superpower. While the country aimed to improve people's living standards under Kim Jong Un’s regime, economic development showed slow progress due to repeated nuclear tests and missile launches, which in turn intensified sanctions against North Korea. In a situation where Kim Jong Un has no achievements he can present to the people, there was no way but to bow his head, acknowledge his failures and sluggishness to some extent, and promote accomplishments made in strengthening the national defense so to encourage the people to focus on production activities. As the international political situation constantly changes with the development of the DPRK‘s nuclear forces, the advent of the New Cold War, and the relative weakening of American national power, the nature of military parades and the showcasing of weapons has become to focus on strengthening military deterrence rather than diplomatic pressure.

      • Today’s Fashion : Alexander McQueen & Iris Van Herpen Retro-Futuristic Collections Research

        NUNEZ BARRANCO ALFONSO NOEL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1547

        Fashion has always been an activity dependent on time and space. Nonetheless, the presence of past and future as a connection between tradition and evolution, has marked a dominant factor in the development of fashion. Since the mystic images of the future related to the paradise after death typical of ancient cultures and traditions, the imaginary about the future has been constantly changing due to the advances in science and technology (Renaissance, Space Age, Avant-Gardes, etc.).The relation of all these changes with ideas as futurism, utopia or nostalgia, bring us to the focus of this research, the concept of Retro-Futurism. Nevertheless, due to the lack of studies about this concept, this exploratory research establishes a framework that defines its main features and conception in fashion. Through the historical and conceptual comprehension from the literature review, the visual analysis of retro-futurism expression, the categorization of the different aspects, motifs and ideas related to this concept and the case of study based on the retro-futuristic designs of Alexander McQueen and Iris Van Herpen, it has been possible to create an arena of the characteristics of retro-futurism in fashion, which results in the comprehension of that typical mixture proper from retro-futurism, where scientific, utopic, fantastic, primitive or avant-garde elements are present.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o show how the idea of retro-futurism could serve as a tool for the creation of futuristic designs, aesthetics and styles and how it transforms the way in which future fashion is understood. Similarly, the constant presence of biomorphic and technological elements proper from utopic science and technology-based futures within the fantastic and mystical elements from religion and primitive customs turns the idea of retro-futurism as a perfect connection between past, present and future fashion and, at the same time, it becomes an excellent instrument for the inspiration and development of new ways of future in the fashion industry. Besides, the visual study of the color, shapes and textiles used in all the selected designs within the categorization of the idea of retro-futurism make us understand how variated is this idea typical from alternative realities and how the power of the imagination has resulted into an infinite tool for the creation of idealized and alterative times and spaces based on the future. Key Words Retro-Futurism, Retro, Futurism, Nostalgia, Shamanism, Primitivism, Paradism, Utopism, Spirituality, Religion, Archaic, Avant-Garde, Technology, Science, Robotic, Politic, Military, Space, Science Fiction, Anti-Fashion, Traditional, Ethnic, Tribal, Vintage, Antique, Steampunk, Cyberpunk.

      •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 패션 메이크업의 기호적 해석

        김현미 제주대학교 일반대학원 2010 국내박사

        RANK : 1545

        메이크업은 신체의 형태, 재질, 색, 냄새를 일시적 혹은 영구적으로 변형시키는 재구성형(re-constructing) 복식의 일종이며, 개인의 미적 표현을 위한 수단일 뿐만 아니라 의미를 담은 시각언어이다. 즉, 기호학 관점에서 메이크업은 메시지를 담지하고 있는 기호이며, 수신자와 발신자간의 커뮤니케이션을 위한 수단이라고도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기호적 측면에서의 패션 메이크업 기호를 해석함으로서 패션 메이크업이 사회적 작용을 지닌 기호임을 규명하기 위함이다. 이를 위해서 모리스의 기호학과 파노프스키의 도상해석학을 토대로 새로운 해석 패러다임을 제시하고, 제시된 해석 패러다임을 적용하여 패션 메이크업 기호를 해석함으로서 동시대의 예술들이 지니는 특성들이 패션 메이크업에도 반영되고 있음을 재규명하기 위한 것이다. 연구 방법은 문헌자료를 중심으로 한 이론적 연구와 패션 메이크업의 작품분석을 위한 실증적 연구를 병행하였다. 또한 실증적 연구를 위해 최근 10년 2001년부터 2010년까지 프레타 포르테 컬렉션(Prêt-à-porter Collection)에 발표된 패션 메이크업 중 네오아방가르드의 특성을 가장 두드러지게 표현한 존 갈리아노(John Galliano)와 알렉산더 맥퀸(Alexander McQueen) 등의 디자이너들을 선정하여, 그들의 패션메이크업들을 중심으로 기호적 해석을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네오아방가르드는 1960년대 후기 산업시대가 되면서 역사로의 회귀, 대중문화수용, 이분법적 사고의 해체 등의 특성을 지닌 아방가르드를 지칭한다. 이 아방가르드는 포스트 아방가르드, 네오아방가르드, 현대적 아방가르드, 그리고 포스트 모던적 아방가르드 등의 다양한 명칭으로 불려지고 있으나, 본 연구에서는 네오아방가르드, 좀 더 구체적으로 ‘포스트모던시대의 네오아방가르드’를 선택 ․키워드로 하였으며, 특성으로 대중성, 역사성, 해체성을 도출하였다. 둘째, 기호적 해석을 위해 모리스(C. W. Morris)의 기호학과 파노프스키(E. Panofsky)의 도상해석학을 보완하여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 3단계를 도출하였다. 1단계는 ‘패션 메이크업 기호의 형태 인식 단계’이며 패션 메이크업 기호의 기표(형태, 색상, 소재, 질감 등의 조형요소 및 조형요소들을 구조화시키는 구성 원리)를 객관적으로 기술하고, 분석된 기표를 통해 전해지는 분위기를 서술하는 단계이다. 2 단계는 ‘패션 메이크업 기호의 유형에 따른 의미 분석단계’로서, 시대적 상황 및 사회․문화적 배경분석을 통해 메이크업의 기호 유형의 발생 맥락을 분석하고 패션 메이크업 유형이 내포하는 의미를 분석하는 단계이다. 3 단계는 ‘패션 메이크업 기호의 상징성 분석 및 의사소통단계’로서 패션 메이크업 기호를 통해 표현된 상징성을 분석하고, 패션 메이크업 작품 속에 내재된 미적가치를 공유함으로서 디자이너와의 의사소통을 시도하는 단계이다. 셋째, 예비조사를 통해 선정된 갈리아노와 맥퀸의 패션 메이크업 기호 중 네오아방가르드의 특성이 두드러지게 표현된 패션메이크업을 6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먼저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 에 의해 갈리아노의 대표적인 패션 메이크업 기호 유형을 실증적으로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유형은 화이트컬러의 피부, 핑크 새도우, 가늘고 긴 눈매, 앵두입술로 구성된 형태를 통해 오리엔탈 문화를 새로운 패션 메이크업 디자인으로 제시하려는 의미와 역사성과 해체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오리엔탈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2유형은 플라스틱과 펄과 같은 독특한 소재들로 구성된 형태로 키치적이고 유머러스한 이미지를 표현함으로서 세련미와 우아미에 대한 반격적 의미와 대중성과 해체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키치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3유형은 영화배우 보우(C. Bow)의 대표적인 메이크업인 가늘고 긴 눈썹, 블랙새도우와 화살형의 입술과 실크스크린 기법을 응용한 형태로 복제 및 반복의 의미와 부정성과 대중성, 그리고 역사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팝아트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4유형은 블랙컬러의 새도우를 림드기법으로 표현한 후 펄을 콜라주한 형태로 20세기 초 부르주아 계층인 카사티(M. Casati)의 메이크업을 차용한 것으로, 전통적인 미적 범주를 파괴하는 의미와 비대중성과 미래성 그리고 실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림드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5유형은 오렌지 골드컬러의 피부표현으로 구성된 형태로 인도 할리페스티벌에서 염료를 물들이는 풍습에서 차용된 것이며, 평등의 의미와 다양성과 실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카니발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6유형은 의도적으로 테크닉이 미숙해보이도록 한 형태로 영화의 어린 여주인공과 빅토리안 인형에서 차용된 것이며, 어릴 적 향수를 자극하는 의미와 다양성과 실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달리식 패션 메이크업기호이다. 두 번째로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 에 의해 맥퀸의 대표적인 패션 메이크업 기호를 실증적으로 해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1유형은 굵은 직선형 눈썹과 아쿠아블루 새도우로 눈을 강조한 형태로 고대 이집트의 메이크업에서 차용한 것이며, 종교박해의 의미와 역사성과 적대주의가 상징적으로 내포된 이집트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2유형은 블랙컬러를 사용해 연잎모양으로 새도우를 하고 금속판을 콜라주한 형태로 비주류 문화였던 고스족의 메이크업을 차용한 것이며, 인간내면의 어두운 감정까지도 미적 범주로 수용하는 의미와 퇴폐주의와 실험성 그리고 해체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고딕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3유형은 굵은 상승형의 아이브로우를 그린 미완성적인 형태로 빅토리아시대의 절제된 메이크업에 영향을 받은 것이며, 성 정체성을 초월한 다양한 성에 대한 의미와 퇴폐성과 해체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앤드로지너스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4유형은 레드컬러로 입술만을 아웃라인으로 표현한 형태로 비닐과 캔을 이용한 헤어장식과 코디네이션시킴으로써 환경에 대한 경고의 의미는 물론 투쟁주의와 대중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누보 팝아트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5유형은 새의 깃털을 오브제로 사용한 형태로 맥퀸의 멘토였던 블로우(I. Blow)를 상징하는 새를 차용한 것이며, 환상의 세계를 통해 존경과 그리움의 의미는 물론 허무주의와 실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판타지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6유형은 부조물을 이용한 입체적 메이크업 형태로 미래의 생명체를 표현한 것이며, 생태계의 붕괴와 종말의 의미는 물론 실험성과 미래성이 상징적으로 내포된 미래 변종식 패션 메이크업 기호이다. 이상과 같이 실증적으로 해석한 결과, 패션 메이크업은 디자이너의 예술적 의도가 포함된 언어로서 충분한 역할을 수행하고 있음을 입증하였고, 메이크업이 사회 문화적 가치를 지닌 기호임을 재규명할 수 있었다. 또한 패션 메이크업의 의미체계를 분석하면서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의 중요성을 재확인 할 수 있었으며, 그 중요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에 의한 해석에 있어서 디자이너의 의도를 분석함으로서 디자이너의 아비투스(habitus)를 이해할 수 있다. 둘째, ‘패션 메이크업 기호 해석 패러다임’에 의한 해석에 있어서 유형에 따른 의미 분석을 통해 해석을 수정 · 보완함으로써 해석자의 오독을 최소화 할 수 있다. Barthes proposed that fashion is a silent form of communication with a sign which consists of icon, index, and symbol. Makeup is also a part of fashion and a visual language that expresses individual beauty by re‐constructing shape, texture and fragrance of human body temporarily or permanently. In the semiotics standpoint, makeup is a sign, specifically an icon, which contains designers’ message that can be interpretable by investigating elements of the makeup. Therefore, sign senders (e.g., designers) and sign receivers (e.g., spectators) are able to communicate each other through a sign (e.g., makeup). Interpreting signs may be subjective depending on interpreter’s background and educ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systemic analysis paradigm to interpret fashion make-up signs in terms of semiotics and to re-establish that fashion makeup sings reflect ‘neo-avantgarde of the post-modern era' considered as the spirit of the contemporary society by appling the suggested paradigm. As methods this study performed both of a theoretical study focusing on literature and an empirical study for analysis of fashion makeup works. For an empirical study John Galliano and Alexander McQueen were chosen through a preliminary study and the data for analysis were limited to make-up presented in Prêt-à-porter Collection from 2001 to 2010 to analyze fashion make-up for the last 10 year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neo-avantgarde means avantgarde with characteristics such as return to the history, acceptance of popular culture and deconstruction of dichotomy after the industrial era of the late 1960s compared to avantgarde in 1900s. This avantgarde is called variously as post-avantgarde, neo-avantgarde and post-modern avantgarde, but this study selected ‘neo-avantgarde in post-modern era’ and used it as a key word and drawed that its characteristics were antagonism, futurism, experimentation, popularity, historicism and deconstruction. Second,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supplementing Morris's semiotics and Panofsky's iconology theory consists of three steps. Step 1 or ‘recognition of form’ is a step depicting objectively signifier of fashion makeup signs (plastic elements such as form, color, material and texture and plastic principles structuralizing them) and describing a mood felt through the analyzed the signifier. Step 2 or ‘analysis of connotation meanings’ is a step analyzing occurrence of type of makeup signs through analysis on periodical circumstances and social․cultural background and analyzing implicit meanings of each makeup type. Step 3 or ‘analysis of symbolic meanings and communication’ is a step analyzing symbolism expressed through fashion makeup signs and trying to communicate with designers by sharing aesthetic values in makeup works. Third, this study selected six fashion makeup signs of John Galliano and Alexander McQueen based on the types of make up classified in previous studies and literature. When types of representative fashion makeup signs of John Galliano were interpreted empirically based on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following results were found. Type 1 was showing white color skin, pink shadow, narrow and long eye pattern and cherry-red lips and was an oriental fashion makeup sign suggesting a new design under the oriental culture and including historicism and deconstruction symbolically. Type 2 was presenting kitsch and humorous images with distinctive materials such as plastic pearl and was a kitsch makeup fashion sign meaning counterattack against refinement and grace and including popularity and deconstruction symbolically. Type 3 was applying the representative makeup of actress Clara Bow with narrow and long eyebrows, black shadow, arrow-shape lips and silk screen technique and was a pop art-style fashion makeup sign meaning a repeatable makeup and including antagonism, popularity and historicism symbolically. Type 4 was made up collage after expressing black-color shadow with rimed technique by borrowing the makeup of Marchesa Casati, a bourgeoise, in the early 20the century and was a rimed style fashion makeup sign meaning destruction of the traditional aesthetical range and including non-popularity, futurism and experimentation symbolically. Type 5 was showing orange gold color skin by borrowing the custom dyeing on Holi festival in India and was a carnival fashion makeup sign meaning equality and including diversity and experimentation symbolically. Type 6 was expressing immature techniques intensionally by borrowing young heroines in movies and Victorian dolls and was a dolly fashion makeup sign meaning stimulation of memory of the childhood and including diversity and experimentation symbolically. When types of representative fashion makeup signs of Alexander McQueen were interpreted empirically based on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following results were observed. Type 1 was showing thick linear eyebrows and emphasizing eyes with aqua blue shadow by borrowing the makeup of the antient Egypt and was an Egyptian fashion makeup sign meaning religion persecution and including historicism and adversaryism symbolically. Type 2 was presenting black color shadow and collage of a metal plate by borrowing the makeup of the Goths, a nonmainstream culture and was a Gothic makeup fashion sign meaning the acceptance of dark emotion of the human within the aesthetical range and including decadence, experimentation and deconstruction symbolically. Type 3 was showing incomplete form with thick eyebrows affected by a moderate makeup of the Victorian era and was an androgynous fashion makeup sign meaning various sexuality beyond gender identity and including decadence and deconstruction symbolically. Type 4 was expressing only lips with a red color outline with coordinating with hair ornaments using vinyl and a can and was a Nouveaux Pop art fashion makeup sign meaning warning for the environment and including militancy and popularity symbolically. Type 5 was using feathers of birds as objects by borrowing the bird symbolizing Isabella Blow, a mentor of McQueen and was a fantasia fashion makeup sign meaning respect and longing through a fantastic world and including nihilism and experimentation symbolically. Type 6 was expressing future organisms with three-dimensional makeup and was a futuristic variant fashion makeup sign meaning the destruction of ecosystem and the end and including experimentation and futurism symbolically. From all of these results of this empirical interpretation, fashion makeup was found to play its role as a language containing an artistic intension of a designer sufficiently and makeup was determined again to be signs with social and cultural values. In addition, this study confirmed again the importance of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in analyzing the meaning system of fashion makeup, and its importance was as follows. First,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helped to understand habitus of a designer by analyzing designers intension in interpreting the paradigm. Second, ‘paradigm for interpretation of fashion makeup signs’ could minimize a wrong interpretation from the point of observers in interpreting the paradig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