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因果關係의 否認과 醫療上 過失에 대한 損害賠償責任

        金度亨 민사판례연구회 2008 民事判例硏究 Vol.- No.30

        의료행위 과정에서 의료진의 조치에 어떠한 잘못이 있더라도 환자에게 발생한 나쁜 결과와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으면 환자로서는 그 나쁜 결과로 인한 손해의 배상을 구할 수 없다. 그런데 평석 대상인 대법원 2006. 9. 28. 선고 2004다61402 판결은 전신마취에 따른 충수돌기염 수술을 받은 환자가 통상의 마취 회복 기간이 경과하도록 정상적인 의식상태로 돌아오지 못한 채 소뇌동정맥 기형이라는 특이체질로 인한 뇌출혈로 사망한 사안에서, 수술 후 경과관찰 등 사후 관리를 소홀히 한 의료진의 불법행위책임 여부가 다투어지자 “의료행위상 주의의무 위반과 악결과 사이에 상당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더라도 그 주의의무의 위반 정도가 일반인의 처지에서 보아 수인한도를 넘어설 만큼 현저하게 불성실한 진료에 해당하면 그 자체로서 불법행위를 구성하여 환자 본인 및 그 가족이 위자료의 배상을 구할 수 있다”고 판시하였다. 이는 의료상 과실과 나쁜 결과 사이에 인과관계가 입증되지 않는 경우에도 의료상 주의의무의 이행 태양과 그 위반 정도를 살펴 의사 측의 배상책임을 인정할 수 있는 요건과 범위를 적극적으로 제시한 최초의 대법원 판결로서 그 의미가 자못 크다. 이 글에서는 의료상 과실에도 불구하고 환자에게 발생한 나쁜 결과와의 인과관계가 인정되지 않는 경우에 의료진의 배상책임이 성립할 수 있는 근거와 함께 그 구체적인 요건과 책임범위를 살펴봄으로써 위 판결의 의미와 향후 의료과오소송에 미칠 영향을 검토하고 있다. Even proving the breach of duty of standard care on the part of the defendant, physicians or other health-care providers, a plaintiff can not recover damages for medical malpractice resulting in injuries or death unless he/she establishes that the breach of duty was a proximate cause of the injury or death. However, on Sep. 28, 2006, the Supreme Court of Korea made a decision on a medical malpractice case where, after the defendant performed an operation to remove the patient's appendix, the patient could not come out of the anesthesia and died of cerebral hemorrhage caused by arteriovenous malformation, a kind of diathesis, after falling unconscious while under general anesthesia. The issue for the court to decide was whether the defendant-physician or the other health care provider is liable for damages due to his negligent practice of medical care such as negligence in monitoring the patient's condition after the surgery as a negligent conduct in the postoperative care. The court made a judgment on this case that "an injured patient or surviving family can recover damages for medical malpractice resulting in injuries or death when duties of standard care were breached by physicians or the other health-care providers so grossly that an ordinary reasonable person can not endure, constituting tort per se, even there was no causation between the breach of standard care and the injuries or death." This is the first decision of the Supreme Court providing some guidelines for elements and liability extent to make physicians or the other health-care providers be liable for the damages on the patients depending on the degree of breach of standard care even in the case where a plaintiff fails to establish the proximate causation between the breach of care and the injuries. This article will examine legal basis and elements in detail to make physicians or the other health-care providers, who breached duties of standard care, be liable for the damages on the injured patient even without establishing causation between the breach of care and the injuries. This article will also review the effect of above Supreme Court ruling on the cases of medical malpractice hereafter.

      • KCI등재

        연구논문 : 연명치료중단의 허용성과 법제화에 대한 고찰

        김성규 ( Seong Gyu Kim ) 한국형사정책학회 2014 刑事政策 Vol.26 No.1

        연명치료의 중단에 관한 법안은 일정한 요건 하에서 연명치료의 ‘중단’ 내지 ‘중지’ 또는 ‘보류’를 허용하고 있다. 법안은 말기환자에 대해 아직 생명유지장치의 삽입·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에서 환자의 결정에 따라 그 삽입·장착을 취하지 않는 경우뿐만 아니라 이미 생명유지장치가 삽입·장착되어 있는 환자로부터 그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는 경우도 적법화의 대상에 포함시키고 있다. 그런데 이미 삽입·장착되어 있는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는 것과 아직 생명유지장치의 삽입·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에서 환자의 결정에 따라 그 삽입·장착을 취하지 않는 것이 각각 작위와 부작위로서 달리 평가되는 것인지에 관해서는 견해의 차이가 있다. 의료행위의 시계열적 연속성에 비추어 생명유지를 개시한 시점부터 종료하는 시점까지의 처치를 일체의 의료행위로 파악한다면, 이미 삽입·장착되어 있는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는 조치는 새로운 의료행위로서의 작위가 아니라 이전부터 연속되고 있는 치료행위를 중단하는 부작위로 평가될 수 있다. 한편, 의료수준에 따른 치료의무의 한계는 아직 생명유지장치의 삽입·장착이 이루어지지 않은 단계에서 환자의 결정에 따라 그 삽입·장착을 취하지 않는 경우에 있어서는 객관적으로 판단되는 법적 치료의무의 한계로 파악될 수 있고, 이미 생명유지장치가 삽입·장착되어 있는 환자로부터 그 생명유지장치를 제거하고 그것에 의한 치료를 중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법적 치료의무의 중요한 판단요소로 파악될 수 있을 것이다. The criminal law gives rise to a duty to provide life-sustaining treatment in the terminal phase of an illness, even if the patient no longer wishes to receive such medical treatment. This duty is identified as the significant source of criminal responsibility for those involved in decisions to withdraw life-sustaining treatment, so the Article 252 of the Korean Penal Code prescribes `murder upon request or with consent`. This article discusses whether this duty do not require the provision of treatment that is deemed to be futile. In the context of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ebates, this article discusses arguments about the distinction between act and omission, on the one hand, and the relationship of those concepts to the distinction between causing death and letting die, on the other. Focused on the continuity of medical care process, it might be argued that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hat was initiated is not the initiation of a new process, but the resumption of a process that was suspended when the treatment was initially implemented. In so arguing, this article points out that there is a conceptual distinction betwee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active euthanasia. Indeed, traditional medical ethics recognizes that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simply allows the patient to die, rather than causing the patient`s death. Independent from the question of causation,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s justified, as long as a duty to treat does not exist. In the absence of any duty to provide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does not cause death. This article examines where, in any event, should the line be drawn between the cases where a duty is held to exist and those where it is held not to.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