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뇌사판정과 장기이식의 윤리적 문제

        이종원 새한철학회 2012 哲學論叢 Vol.69 No.3

        뇌사 판정과 장기이식과 연관된 사례들을 소개하면서, 뇌사판정과 연관된 윤리적 논점들을 검토하고, 장기이식을 위해서는 뇌사판정이 어떠한 조건들을 충족해야 하는가에 대하여 고찰하고자 한다. 전통적으로 심장과 폐의 기능을 근거로 호흡이 중단되고 맥박이 멈추게 되면 사망으로 판단하였다. 하지만 최근 첨단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하여 뇌사가 심폐사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제시되었다. 뇌사는 삶과 죽음의 경계를 그어야 하는 현실적인 이유에서 제기되었다. 환자가 뇌사상태에 빠져 회복 불가능한 상태로 무의미한 생명 연명 치료를 지속하고 있는 경우에, 어느 시점에서는 치료를 중단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된다. 뇌사에서 심장정지까지 이르는 기간 동안 소용되는 막대한 치료비를 감당하기 어려운 환자 보호자의 경제적 정신적 고통을 고려해야 한다는 것이다. 뇌사는 뇌 기능의 상실 정도에 따라 전뇌사, 뇌간사, 대뇌사로 나뉜다. 전뇌사는 뇌 전체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말하며, 뇌간사는 호흡, 순환, 대사기능과 체온조절 등 생명유지에 필수적인 뇌간의 기능이 상실된 상태를 말하고, 대뇌사는 대뇌의 기능이 상실되었을 경우 사망으로 인정하자는 주장이다. 뇌사는 장기의식과 직접적으로 연관된다. 수많은 사람들이 장기 이식을 기다리다가 죽어가는 현실을 직시한다면 심폐사를 대체하는 개념으로 뇌사를 받아들일 수 있게 된다. 뇌기능의 정지로 인하여 죽음이 머지않아 어차피 초래되는 것이라면 그 죽음을 예측하여 사망선고를 내리고, 그 사체의 장기를 적출하여 이식할 경우, 이식의 성공률을 높일 수 있다. 뇌사자는 자신의 장기를 필요로 하는 사람들에게 제공함으로써 불치병의 환자들에게 새로운 생명을 제공할 수 있다. 따라서 자발적 동의에 의한 장기이식은 자기희생을 통해 사랑이나 자비와 같은 인류애의 보편적 가치를 실현하는 방편이 된다. 장기이식의 긍정적 측면은 첫째, 인간의 장기와 같이 가치있는 자원을 재활용한다는 것은 도덕적으로 정당하다는 것이다. 둘째, 장기의 기증자와 수혜자가 반드시 일방적으로 구분되지는 않는다는 점이다. 그런 점에서 장기이식은 공동체 의식을 고양시키고, 사회의 연대감을 강화시키는 여건을 제공하는 효과적인 수단이 된다. 따라서 자발적인 의사를 근거로 한 뇌사자의 장기제공은 새로운 건강과 행복을 되찾게 되는 불치병의 환자에게는 생명의 자발적인 희생을 대가로 주어진 존엄한 선물로 해석될 수 있다. 뇌사판정의 정확성과 합리성을 객관적으로 확립하기 위한 전제조건은 전체 뇌 기능의 상실로 제안되어야 하며, 무엇보다 인간 생명에 대한 경외심을 갖고 뇌사 판정에 신중을 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In this paper, I will survey the ethical controversy surrounding the definition of brain death. Then, I will suggest the condition definition of brain death for the Organ Transplantation. According to the traditional understanding of death, when the heart and lungs are irreversibly stopped, death has occurred. However, recently medical technical devices are intervening in the natural process of living and dying, thus the issue of brain death has emerged. There are three kinds of brain death, that is, whole brain death, brain-stem death, and higher-brain death. These three definitions of brain death represent the degree of loss of brain function. Normally when the entire brain has died, we consider death has occurred. The key concept of brain death is the irreversible loss of the capacity for bodily integration and social interaction. Brain death directly relates to organ transplantation. The demand for organ transplants exceeds the supply, and this gap is growing. Therefore if we follow the whole brain death definition, we can procure organs from a brain dead person and transplant those organs. The organ donor gives new life to the person who receive the organ. From this viewpoint, organ transplantation with voluntary consent reveals love or mercy by practicing self-sacrifice. There are two positive dimensions of organ transplantation. First, organ transplantation is justified ethically because it can recycle valuable resource, like human organs. Second, it's difficult to differentiate between organ donors and organ beneficiaries. Organ transplantation is a useful means for promoting community spirit and social solidarity. Also it is considered a dignified gift to the organ beneficiaries. The precondition for rationally and correctly defining brain death is limited to the whole brain function loss. First of all, we must be more prudent in defining brain death to preserve the dignity of human life and to prevent its misuse.

      • KCI등재후보

        뇌사 담론에 내포된 생명관

        양재섭 ( Jae Sub Yang ),구미정 ( Mi Jung Koo ) 한국의료윤리학회 2006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9 No.2

        The invention of respirators and other life support systems has challenged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death. If the absence of a heartbeat and spontaneous breathing are the signs of death, how do these criteria apply when one is on a respirator? Alongside these technical inventions, the field of organ transplantation continues to develop and has become a significant factor in forcing us to rethink the traditional definition of death, that is, the death of the heart and lungs. The definition of death is further complicated by the fact that dying is a continual and gradual process, although life and death are often considered to be distinct states. For all of these reasons, the definition of death involves an essential interpretive component. Accordingly, this article examines contemporary responses to the new definitions of death, such as whole brain death, neocortical death, and brain stem death. The authors claim that attempts to define death in terms of the loss of a particular function of the brain derive from a mechanical, reductionist, and hierarchical view of life, which has also given rise to the idea that human life begins 14 days after fertilization. It is argued that, from a holistic or organic perspective, the concept of brain death must be treated with caution, although there are pragmatic considerations in support of its use.

      • KCI등재

        성숙한 죽음문화의 모색 - 소극적 안락사의 3가지 대안

        오진탁(O Jin-tak) 불교학연구회 2006 불교학연구 Vol.15 No.-

          Understanding death in the right way is very important. Depending on how well one understands death and in what way one defines death, the discussion on death can lead to denying it or tabooing the issue altogether. Nowadays, the definition of death relies on clinical determination of men"s medical condition in such terms as brain death or heart death. Death should not be defined entirely in terms of the collapsing of the body. The founder of Thanatology (the study of death and dying), Qubler-Ross, states that the human has a soul and that defining death means going beyond the realm of the physical and the material to the realm of the soul, the mind, and life itself. In this context, death doesn"t exist for two reasons. First, such medical pronouncement as brain death or heart death has functioned so far as the definition of death, thus, there has only been the discourse on the criteria for medical decisions, but not on death itself. Secondly, the death as we know only marks the physical death since the soul begins its journey, separating from the body. In a society where there is only the discourse on the medical criteria for physical death, but not the significance of death itself, people tend to think of physical death as the end of it all. As a result, one witnesses the increase of suicides and increasing number of unhappy death. Therefore for the formation of death-culture I offer three suggestions. First Death-Education, second Living Will or Advance-Directive, third Hospice.

      • KCI우수등재

        죽음, 어떻게 정의(定義)할 것인가 : 생사학과 불교의 관점을 중심으로

        오진탁 불교학연구회 2009 불교학연구 Vol.24 No.-

        우리 사회에서 사람들이 왜 그토록 죽음에 대한 거부감이 심한 것 인지, 불행하게 죽어 가는 사람이 왜 그렇게 많은 것인지, 자살사망 률이 최근 들어 왜 급증하는 것인지 문제를 추적해 보니까, 그 근원 에는 죽음에 대한 오해, 육체 중심의 인간이해와 죽음정의가 오해의 근원으로 자리잡고 있었다. 죽음정의는 쉽게 결론 내릴 수는 없지 만, 실용적 차원에서 죽음판정의 육체적 기준 제시라는 의학적 문제 로 축소되었다. 인간의 죽음은 단지 뇌사, 심폐사같은 의학적 죽음 판정의 육체적 기준의 문제로 축소되니까, 사람들의 죽음 이해 역시 육체 중심으로 한정되어 버리는 결과를 초래하게 된 것이다. 달라이 라마는 죽음이란 아무것도 없는 종말이라기보다, 낡아서 헤어졌을 때 갈아입는 옷과 같은 것이라고 말한다. 따라서 죽음을 바르게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죽음을 어떤 방식으로 정의하 느냐에 따라 죽음을 부정하거나 터부시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뇌사 혹은 심폐사같은 죽음판정의 육체적 기준에 따라 죽음을 정의하고 있지만, 육체의 소멸에 입각해 죽음을 정의해서는 안된다. 생사학의 창시자 퀴블러로스는, 인간에게는 영혼이 있으므로, 육체적 물질적 영역을 넘어 있는 것을 고려해 죽음을 정의해야 한다고 말했다. When the reasons are traced back as to why there is so much resentment towards death, why so many people die miserably, why there is a drastic increase in the suicide rate, there resides a misunderstanding of death, a tendency toward body-centered culture and incorrect approaches in defining death. Defining death may not be an easy job. However, it has been reduced to a medical matter in terms of interpreting death based on the body’s medical conditions. Men’s deaths have been defined in such terms as brain-death, heart-death and the whole culture of reducing death to a medical condition causes people’s understanding of death as “the body” business. Dalai Lama says that death is something like changing clothes when they are old and wornout, rather than as some final end. Therefore understanding death in the right way is critical. Depending on how well one understands death and in what way one defines death, the discussion on death can lead to denying it or tabooing the issue altogether. Nowadays, the definition of death relies on clinical determination of men’s medical condition in such terms as brain death or heart death. Death should not be defined entirely in terms of the collapse of the body. The founder of Thanatology (the study of death and dying), Kübler-Ross, states that the human has a soul and that defining death means going beyond the realm of the physical and the material to the realm of the soul, the mind, and life itself.

      • KCI등재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

        이재석(Lee, Jae-Suk) 한국법학회 2013 법학연구 Vol.52 No.-

        본고에서는 형법에 있어서 생명의 보호와 관련해 제기되는 문제 중 태아에 대한 형법적 보호, ‘죽음의 개념’과 장기이식, 안락사와 존엄사, 특히 후자에 대해서는 ‘연명의료의 환자결정권 제도화’를 중심으로 이것의 당부에 대해 고찰하였다. 첫째 현행법이 기한과 관계없이 임신 후 모든 낙태행위를 원칙적으로 금지하고 예외적으로 허용하는 지금의 입법방식은 재고되어야 한다. 그것은 사회통제(Sozialkontrolle)의 일부로서의 형법은 그 제정 및 운용에 있어 법공동체에서 승인된 기본적인 가치표상에 의존함을 전제할 때 더욱 그러하다. 여기에서 태아의 생명보호와 함께 임부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여 현행보다 낙태의 허용범위를 넓히는 입법방식이 타당하다. 둘째 ‘죽음의 개념’의 문제에 있어서는 뇌사자의 장기이식실시는 죽음의 경험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음은 사실이다. 그러나 뇌사를 심장사와 함께 보편적인 죽음으로 인정하는 것은 국민의 의식변화 등 사회적 합의가 필요한 문제로서 우리의 경우에 있어 아직도 이러한 합의에 도달하였다고 인정될 수 없으며 국민일반의 보편적 죽음의 개념에 반한다고 하겠다. 셋째 말기의료에 있어 환자의 자기결정권에 근거한 안락사와 존엄사의 제도화문제 있어서는, ① 적극적 안락사는 환자의 생명을 고의적으로 끊는 행위이며, 이는 비윤리적임은 물론 불법행위이다. 이것은 자기결정능력이 있는 환자에게 가능한 치료와 성공가능성에 대한 정보를 최선을 다해 전한 다음 모든 치료의 시작과 끝은 환자의 결정을 존중해야 한다는 의학적 처지의 거절권과는 또 다른 문제영역이다. ② ‘연명의료의 환자결정권 제도화’는 입법이 가지는 장점 이상으로 그것의 가장 큰 단점은 남용의 위험성으로 의학적 타당성과 적절성을 기본으로 신중하게 판단하여야 한다. 그것은 입법이 직접 의료현장에서 직면하게 될 모든 상황을 제도화하는 것은 한계를 가지기 때문이다. This thesis considers ‘The Protection of life in Criminal Law’ and explores several solutions to the problem. This thesis consists of five main parts. Ⅰ. Introduction, Ⅱ. Criminal protection for the unborn child, Ⅲ. ‘Definition of death’, Ⅳ. Active Euthanasia and the Death with Dignity,Ⅴ. Conclusion. To begin with, I analyse ‘criminal protection for the unborn child’. Its contents are as follows: Are embryos and fetuses ‘persons’ worthy of legal protections? Should the potential to be a person give embryos and fetuses a right to life? Does a fetus gain rights as it gets closer to birth? Does a woman have an absolute right to determine what happens in and to her body? Secondly, this thesis deals with the ‘Definition of death’. That is “what is human death and how can we determine that it has occurred?” Traditionally, death was defined as the cessation of all body functions, including respiration and heartbeat. However in recent decades, the concept of ‘brain death’ has emerged. Brain death applies to the situation when the heart continues to beat with the breathing maintained mechanically after the brain has permanently ceased to function. In many countries it has been accepted that when the brain is dead the person is dead. Thirdly, this thesis researches ‘active euthanasia and the death with dignity’. To begin with, active euthanasia is the termination of life by a doctor at the express wish of a patient. The request to the doctor must be voluntary, explicit and carefully considered and it must have been made repeatedly. Moreover, the patients suffering must be unbearable and without any prospect of improvement. But suicidal intent is typically transient and modern medicine has the ability to control pain. So, active euthanasia is an illegal act of murder. Finally, I analyse the disputation on the death with dignity and explore current issues facing the institutionalization of death with dignity.

      • KCI등재

        日本における改正臓器移植法の成立と人の「死」について

        이치하라 아키코(一原 亜貴子)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의생명과학과 법 Vol.9 No.-

        2009년(평성21) 일본 장기이식법개정의 주요한 특징은 첫 번째로 제6조제2항의「뇌사자의 신체」의 정의에서 이식술을 위한 장기적출이 행해진 자라는 전제를 삭제한 것|두 번째로 뇌사판정 및 장기적출에 관하여 본인의 서면에 의한 의사표시가 없는 경우에도 가족의 동의만으로 뇌사 판정 및 장기적출이 가능하게 된 것|세 번째로 친족에게 우선제공의 의사표시가 인정되어진 것이다.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특징과 관련하여|동법은 뇌사를「사람의 죽음」으로 인정했다고 해석하는 입장도 적지 않지만|제6조제3항은 한편으로 뇌사판정의 가부를 본인 및 그 친족의 의사에 의존시키고 있는 등|동법은 또 종래의 삼징후사와 뇌사라는 2개의 죽음을 인정하고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법적인「죽음」은 삶에서 죽음으로의 잠시적인 과정 중에 있는 시점으로써 사람 개체로써의 죽음으로 인정해야 한다. 이에 대하여 현재의 뇌사는 의사의 입장에서 본 현재의 소생의료에서 소생한계점|바꾸어 말하면 의사가 그 이상의 치료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시점을 가리키는 것으로 파악해야 한다. 최근에 뇌가 신체에서 유기적통합성의 중핵기관이 아니라는 가능성이 시사되는 등|뇌사설의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또 현행의 뇌사판정기준에도 의문이 들고 있다. 적어도 뇌가 신체의 통합성의 중핵기관이다고 단언할 수 없는 현 시점에서는 법적인 사람의 죽음은 또 삼징후를 기준으로 해야만 한다. 개정 장기이식법도 뇌사를 일률적으로 사람의 죽음으로 규정했던 것이 아니라|이식술을 전제로 하는 장기적출의 경우에만|(전)뇌사를 사람의 사망으로 인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형법 제202조는 동의살인을 처벌하고 있지만|장기이식법의 뇌사판정의 경우에는「뇌사」라는 의사의 치료의무의 한계시점을 객관적 기준으로 해서 온 정주의에 의한 생명보호보다도 본인의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이 우선되어지고 있다.

      • KCI등재
      • KCI등재

        日本における改正臓器移植法の成立と人の「死」について

        一原 亜貴子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13 의생명과학과 법 Vol.9 No.-

        2009년(평성21) 일본 장기이식법개정의 주요한 특징은 첫 번째로 제6조제2 항의 「뇌사자의 신체」의 정의에서 이식술을 위한 장기적출이 행해진 자라는 전제를 삭제한 것, 두 번째로 뇌사판정 및 장기적출에 관하여 본인의 서면에 의한 의사표시가 없는 경우에도 가족의 동의만으로 뇌사 판정 및 장기적출이 가능하게 된 것, 세 번째로 친족에게 우선제공의 의사표시가 인정되어진 것이다. 첫 번째 및 두 번째의 특징과 관련하여, 동법은 뇌사를 「사람의 죽음」으로 인정했다고 해석하는 입장도 적지 않지 만, 제6조제3항은 한편으로 뇌사판정 의 가부를 본인 및 그 친족의 의사에 의존시키고 있는 등, 동법은 또 종래의 삼징후사와 뇌사라는 2개의 죽음을 인정하고 있다고도 해석할 수 있다. 법적인 「죽음」은 삶에서 죽음으로의 잠시적인 과정 중에 있는 시점으로써 사람 개체로써의 죽음으로 인정해야 한다. 이에 대하여 현재의 뇌사는 의사의 입장에서 본 현재의 소생의료에서 소생한계점, 바꾸어 말하면 의사가 그 이상 의 치료의무를 부담하지 않는 시점을 가리키는 것으로 파악해야 한다. 최근에 뇌가 신체에서 유기적통합성의 중핵기관이 아니라는 가능성이 시사되는 등, 뇌 사설의 전제가 흔들리고 있다. 또 현행의 뇌사판정기준에도 의문이 들고 있다. 적어도 뇌가 신체의 통합성 의 중핵기관이다고 단언할 수 없는 현 시점에서는 법적인 사람의 죽음은 또 삼 징후를 기준으로 해야만 한다. 개정 장기이식법도 뇌사를 일률적으로 사람의 죽음으로 규정했던 것이 아니 라, 이식술을 전제로 하는 장기적출의 경우에만, (전)뇌사를 사람의 사망으로 인정한 것에 지나지 않는다. 형법 제202조는 동의살인을 처벌하고 있지만, 장기이식법의 뇌사판정의 경우에는 「뇌사」라는 의사의 치료의무의 한계시점을 객관적 기준으로 해서 온 정주의에 의한 생명보호보다도 본인의 죽음에 대한 자기결정이 우선되어지고 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