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The) innovative performance determinants in biotechnology industrys joint ventures : joint ventures from 1976 to 2013

        성지윤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940

        The main objective of this paper is to develop and empirically examine the determinants of formation and innovative performance in biotechnology industry’s joint ventures measured by number of patents application. Author conducts empirical studies through negative binomial method to test the hypotheses from all biotechnology’s joint venture cases. The combination of two unique characteristics of biotechnology’s industry (long product development cycle, high R&D investment, low success rate) and joint venture (risky, uncertain, and high failure rate) questions the factors that drive the establishment and innovative performance. So far, there has been no study questioning the appropriate quantitative measurement for innovative performance in the biotechnology’s joint venture. This study brings together two bodies of literature. First, we will examine the factors that contribute to establishing joint venture and second, we seek to identify the factors that enhance or impede innovative performance in established joint venture in biotechnology industry. We argue that technology transfer, parent’s business relatedness and prior alliance experience will have positive influence on the innovative performance, which is measured with number of patent count. These hypotheses will be tested using SDC Platinum, DataStream, and the USPTO. The sample covers 1023 joint ventures, which are all the biotechnology’s joint venture established from 1976 to 2013. Amongst them, 699 successfully established joint ventures and 99 joint ventures issued patents to measure the innovative performance.

      • 과학기술의 사회적 수용과정에 관한 연구 : 1980년대 이후 한국의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을 중심으로

        박금식 부산대학교 대학원 2003 국내박사

        RANK : 2939

        과학기술이 한 사회에서 수용되는 과정은 그 사회의 사회문화적 요소에 크게 영향받게 된다. 사회문화적 요소는 그 사회의 특수성에 따라 과학기술에 대한 각 주체의 담론으로 반응하게 된다. 따라서 한 사회의 과학기술의 수용과정은 이를 매개하는 각 주체들, 즉 세계체제, 국가, 자본, 시민사회 등의 상호복합적인 역학관계 속에서 이루어지게 된다. 이 논문에서는 다양한 사회내의 주체세력의 결집장이 될 수밖에 없는 과학기술의 사회적 수용과정이라는 측면에 초점을 맞추어 각 세력간의 상호작용을 분석하였다. 또한 우리 사회의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의 사회적 수용과정과 관련된 사회 구성원의 인식 및 태도를 변화시킬 수 있었던 가장 주요한 동인이 무엇인지를 규명해 보았다. 이를 위해 본 논문에서는 1980년 이후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에 대한 우리 사회의 수용과정의 주체라고 할 수 있는 국가, 자본, 지식의 장, 시민사회(시민운동), 지식의 장 등의 각 주체들이 가지는 역동적 관계를 분석틀로 삼았다. 본 연구에서 드러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1980년대 이후 한국 사회에서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의 수용은 세계체제, 국가, 자본 영역의 역할이 두드러지는 특징이 발견되었다. 또 정보기술의 경우에는 시민운동과 비판적 지식인의 장에 별다른 저항 없이 수용되는 측면이 강하다. 물론 이러한 수용과정으로 인한 예상하지 못한 부작용들에 대한 대책에 있어서는 1990년대 중반이후 시민운동과 지식인 장에서 끊임없는 문제제기를 외면할 수 없는 상태에 직면하게 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전체적으로 1990년대 중반까지는 한국 사회의 정보기술의 수용과정에서는 시민사회와 비판적 지식의 장 등의 동참자를 배제한 측면이 강한 것이 발견되었다. 또 생명공학의 경우에는 우리 사회에서 1980년대 초반부터 세계체제, 국가, 자본 등의 논리를 등에 업고 수용되는 과정을 발견할 수 있었다. 2) 1980년대와 1990년대 초반 한국의 대표 과학기술은 정보기술이었다. 이때 우리 사회는 그 이면에 부여된 각종 이데올로기에 대한 사회구성원들의 문제제기의 과정도 없이 받아들이기에 급급하였다. 물론 1990년대 후반 인터넷의 급격한 증가로 인해 그 역할이 분명해진 정보시민운동으로 대별되는 시민운동의 등장이 있었지만, 1990년대 중반까지 우리는 끊임없이 차세대 국가경쟁력은 정보기술이라고 믿고 있었으며, 설득당하고 있었다. 이런 가운데 생명공학이 일반시민의 공간으로 갑자가 튀어나오게 된 것은 1990년대 중반의 차세대 미래전략산업이라는 국가의 논리와 1997년 이후 복제양 돌리의 탄생으로 인한 전세계적인 생명공학에 대한 문제제기가 요인으로 작용하게 된다. 3) 정보기술의 확산과 시민단체의 성장은 생명공학의 사회적 수용과정에서 낙관적 전망론이 득세를 부리던 정보기술의 도입과는 다른 분위기가 형성된다. 즉 1990년대 중반 이후 우리 사회에서는 생명공학에 대한 낙관적 분위기보다는 사회문화적 맥락 없이 무조건 수용하는 것에 대한 끊임없는 문제제기가 일게된다. 이러한 문제제기의 주요한 공간은 시민사회 영역에서의 시민단체들이었으며, 이러한 단체의 방향을 설정하는 역할을 하게 되는 것은 대항적 지식의 장으로 밝혀졌다. 1980년대 정보기술의 도입기만 하더라도 과학기술에 대한 전망은 발전을 당연한 것으로 받아들이고 그것의 속도를 저울질하는 것이 주종을 이루었다. 그러나 생명공학의 도입과정에서는 과학기술과 사회적 수용능력의 조화가 큰 과제로 등장하고 있다. 즉 우리 사회에서 정보기술의 경우 과학기술이 사회발전의 핵심 동력이라는 점을 강조하기 위해 기술결정론적인 시각이 부상했다면, 생명공학과 1990년대 후반 정보기술의 부작용은 과학기술을 사회적으로 어떻게 조절ㆍ통제할 것인가에 대한 기술의 사회적 형성의 관점으로 이행하게 만들었다. 4) 1990년대 중반이후 한국 사회의 생명공학의 사회적 수용과정에서 부각되는 다양한 세력들의 참여는 맥락모형의 입장에서 이해된다. 즉 이전까지 국가와 자본이라는 어떻게 보면 단일주체적인 성격의 강조가 아니라 다양한 사회구성원들의 복합적인 맥락에서 수용되는 과정을 밟고 있는 것이다. 1990년대 후반 들어 한국에서 시도된 유전자조작식품과 생명복제란 주제로 열린 두 번의 합의회의, 생명윤리위원회의 활동 등은 이러한 맥락모형에 입각한 사회적 수용과정으로 이해될 수 있다. 5) 우리나라의 경우에는 아직 기술의 사회적 형성론과 맥락모형의 접합점인 사회적 합의를 통한 과학기술의 민주화라는 용어 자체부터가 생소하게 여겨지고 있다. 그러나 1990년 후반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에 관련된 시민단체의 운동을 중심으로 과학기술의 민주화에 대한 문제의식이 확산되고 지지되고 있다. 정보기술과 생명공학을 통한 사회적 수용과정을 통해 알 수 있는 사실은 과학기술과 일반시민의 관계가 이전에 유행했던 기술결정론과 결핍모형에서 기술의 사회적 형성론과 맥락모형으로 변화하는 움직임이다. This study presents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 Korea after the 1980’s. The most name of this studying subject is firstly, what social diagnosis is accompanied with the science and technology adoption in Korea after the 1980’s, secondly, what the origin should be if there exists new trends in science and technology adoption in the society. The ado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a society is advanced under the critical influence of its specific culture features normally. Theses features also respond to the ado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due to its social peculiarity. The social ado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is achieved therefore under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international structure, government, companies and civil society. An important focus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property of each bodies which occupied as the main forum for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science and technology for this examination. The searching study is deployed on the main point of its information technological and biotechnological aspect after the 1980’s in Korea. Another is to define the major motive which results in the various social understanding about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 Korea. Accordingly, this study starts at the approach of the dynamic relationship among international structure, government, intellectual sector, and civil society which functions as the social main bodies for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 Korea after the 1980’s. The 'intellectual sector' is defined herein as the group which raises the ideological issue such like bringing-up governmental, social and private competitiveness from the social adoption of science and technology. To resume this studying result is following; In case of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n Korea, there exists obvious influential role of international structure, government, and private sector(such as companies) after the 1980’s. Taking global competitiven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in the angle of civil movement and intellectual sector is certainly possible without many side issues. This relative facility of course would bring about unexpected side effect after the middle 1990’s then we could hardly dodge this emerging new troublesome in civil movement and intellectual sector. However, it deems systematically impossible to play the leading part in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civil society and counter-intellectual sector in Korea. Furthermore, the introduction process for biotechnology has had strong tendency to come under the logical backing of international structure, government and companies since the early 1980’s. Due to for example, the possible disadvantage and unremunerative issue for the matter of benefit to lead the van of biotechnology introduction it was the governmental sector which foots the cornerstone of biotechnology introduction generally. This shows the same logical following to the undergoing 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That is, once it obtains certain outcome in the governmental sector they changes the player as companies. The representative science and technology was informational technology in Korea between the 1980’s and the early 1990’s. In fact, the society was absorbed to promptly accomodate itself with information technology but for looking at its ideological side. Owing to the rapid increase of the internet, the civil movement starts to cover much ground of the society with definite characteristics as information civil movement. However, the continual thirst for information technology with great belief could be the key of national competitiveness for next generation till the middle 1990’s. While this syndrome for information technology continued, biotechnology came to new issuing point over the global raising argument in the middle 1990’s. The government also presents the biotechnology as the strategic industry of further generation and it results in biotechnological interest to the civil society. That is, biotechnology rested behind the black boxing ideology yet in the international sector, government and companies till the 1990’s. The real emerging of biotechnology on the civil ground is since the first successful cloning of sheep, Dolly, in 1997. The expans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growth of civil group at the time did not contribute to optimize the in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biotechnology. This was originally different phenomenon in that of information technology. The ceaseless issue and argument claiming the random adoption without social filtering about biotechnology after the middle 1990’s. It surely seems far from the optimist point of view. Almost critical issue about came to discuss in civil sector or citizen group. The group nearly all would be characterized as counter intellectual sector. One of the most important task for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s, as shown here in previous, is arrived to harmonize the science and technology and social capacity for adopt this new scientific wave in the life of society. As the counter effect of science and technology which could be harmful to human being increases despite its positive effect the harmonization between this science and the society seems indispensable. Mass medium has been concentrated its radar upon several considerable social argument related to science and technology directly and indirectly after 1980’s. There’s been various civil active concerning to information technology. The effort of civil movement to establish bio-ethics fundamental law which should control the GMO(genetically modified organisms), life cloning and biotechnology has been widely deployed after the late 1990’s. Indeed, speedy adoption of information technology has deemed as major social task so to overtake the vision of future science and technology. Biotechnology however, for its adoption the main social point of view is on its harmonization to social adoption capacity. To explain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it was technological determinism mainly indicated under the public opinion saying science and technology. It is one of the essential dynamic feature to progress the society. But the ill effect which result about immaturely adopting information technology and the newly emerging issue of biotechnology make lay the social attention to the regulation and control about science and technology socially in the late 1990’s. The fact that broad participation of various group to the social adoption-process of biotechnology after the middle 1990’s could be understand in the position of the contextual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Means, the social main body would be understand from the moment as complexity of various constituent no more as singularity of state or capital. With the contextual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researchers do not select the methodology based on for example, massive survey and analysis often programmed for the public relation of the social adoption-process any more. But the researchers prefer to choose the local experimental study methode such like participation observation, long term panel interview, structured depth interview which enables the understanding of specific individuals or groups reaction above certain situation. The consensus conference about GMO and the life cloning in twice time and the active of the Korea bio-ethics advisory committee(in the year 2000-2001) in Korea merge into this methodology. The common point of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nd the contextual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is described briefly the technological citizenship. This technological citizenship is recognized politically then is supported socially in several developed country. But this term do not have its popularity and understanding in Korea. In the means time, the civil movement makes expand, however social critical mind about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gradually. The consensus conference, some studies, presents and introduces which led by the participation of citizen in policy making-process is coming out on social ground. The progress about social adoption-progress of information technology and biotechnology is ultimately moving its base from the deficit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to the social shaping of technology and contextual model of public understanding of science.

      • 생명공학관련발명의 특허 획득전략과 그 법적보호에 관한 연구

        박성민 연세대학교 2003 국내석사

        RANK : 2892

        흔히들 21세기는 생명공학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한다. 생명공학시술은 1970년대 초에 발견된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발견과 함께 발전되어 학문에서뿐만 아니라 의약, 농업, 환경산업에서 전자산업에 이르기까지의 산업적 응용에 있어서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21세기의 핵심기술로 그 중요성을 인정받고 있다. 그리고 생명 공학 기술의 급속한 발전은 생명공학에 대한 인식을 변화시키고 있음은 주지의 사실이다. 생명공학 기술에 의한 발명은 많은 고급인력과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나 일단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기술이 공개되면 제 3 자에 의한 모방생산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투자비를 회수하고 미래의 잠재이익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특허권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따라서 특허권의 획득이 무엇보다도 필요한 것이다. 생며공학 관련 특허를 획득하기 위해서는 발명의 성립성, 산업상의 이용가능성과 신규성 그리고 진보성 이라고 하는 적극적 요건 및 공공질서 또는 선량한 풍속에 위반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 소극적 요건 및 공공질서 또는 선량한 풍속에 위반하지 않을 것이라고 하는 소극적 요건을 들고 있다. 그리고 생명공학 발명에서는 특정이 중요하다. 다른 발명과 달리 단순히 구성요소 기재만으로 특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를 위하여 청구범위에 대한 요건과 명세서에 대한 요건에 어떠한 요건을 추가하여야 하는지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생명공학 특허를 해석하는데 있어 청구범위 기재요소만으로 이를 이해하기란 쉽지 않다. 따라서, 다른 요소들을 참고하는데 그 중 명세서에 관한 기재가 중요하다. 본 논문에서는 특허를 획득하기 위해 취해야할 여러 가지 사항들을 알아보았다. Recent breakthrough of biotechnology alters the recognition of bio-engineering. The 21st century will be the century of Biotechnology. The inventions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requries immense manpower and investment but once they are disclosed and merchandised, it can be copied very easily by the 3rd part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obtain patents in order to collect investment and to protect a potential benefit the useful characteristic does to be provern to present systemic combination. And tospecialize biotechnology, except general factor of patent, another factor is needed. Consequently, the useful characteristic does to be under stand the invention. Consequently, the specifications is necessary. It supplement claim to under stands an invention. In this a treatise, I investigated various subjects to acquire the patent right.

      • 生物工學 관련 발명에 관한 法的보호와 法的 보호요건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

        박미영 延世大學校 法務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889

        21 세기는 생물공학의 세기가 될 것이라고 한다. 생물공학기술은 1970 년대 초 유전자 재조합 기술의 발견과 함께 학문에서 뿐만 아니라 의약, 농업, 환경산업에서 전자산업에 이르기까지의 산업적 응용에 있어서 무한한 잠재력을 지닌 21 세기의 핵심기술로 그 중요성을 인정 받고 있다. 생물공학은 현재 인류 최대의 난제인 암, 에이즈, 유전병 등의 치료와 에너지, 식량, 환경공해 문제 등을 획기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기술이며, 다양한 생명체의 연구로부터 얻어진 고도의 지식을 활용하여 생물정보업, 인공지능/신경망, DNA 칩, DNA 핑거프린트 등 수많은 새로운 산업과 고임금의 고용을 창출하는 미래산업으로서 2022 년에는 그 시장규모가 1 조 달러를 넘어설 것으로 예측되고 있다. 생물공학 기술에 의한 발명은 많은 고급인력과 막대한 투자비가 소요되나 일단 개발되어 상품화되고 기술이 공개되면 제 3 자에 의한 모방생산이 비교적 용이하므로 투자비를 회수하고 미래의 잠재이익을 실현시키기 위해서는 특허권의 확보가 필수적이다. 그런데 특허제도는 전통적으로 일반 공업제품에 대하여는 적극적으로 그 독점적 권리를 인정해 왔지만 생명체 자체에 대한 특허권의 부여에 다소 부정적인 입장이었다. 생물공학특허는 일반적인 세가지 특허요건 즉, 산업상 이용가능성, 신규성, 진보성 이외에 유전물질의 서열목록작성과 미생물의 기탁을 해야 한다. The 21^(st) century will be the century of Biotechnology. Biotechnology started when genome was discovered in the early 1970's. It is regarded as the most important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with unlimited potentials ranging from mere studies to industrial application such as medicine, agriculture, environment engineering and electronics. Biotechnology is the ultimate solution to cancer, AIDS, hereditary diseases, energy crisis, famine, and pollution. The knowledge obtained from the study of various organisms will bear new industries such as Bioinformatics, fuzzy, DNA chip, DNA finger printing. In the year 2022, the market gross of biotechnology will exceed one billion dollars. The inventions in the field of Biotechnology requires immense manpower and investment but once they are disclosed and merchandised, it can be copied very easily by the 3^(rd) party. Therefore, it is essential to obtain patents in order to collect investment and to protect a potential benefit. But the conventional patent system showed somewhat negative attitude toward issuing patents on organism itself since organisms have been considered as creations by God or Nature and it is also difficult to be expressed in written form such as specification and/or claims. The patent law requires Industrial Applicability, Novelty and Non-obviousness to issue a patent. In addition, applicant has to file a order chat of hereditary element and has to deposit Microbe.

      • 動物 關聯 發明의 法的 保護에 關한 硏究

        이경하 延世大學校 法務大學院 1998 국내석사

        RANK : 2879

        20세기는 물리학의 시대라 할 수 있다. 수많은 물리학자들은 원자 이론, 상대성이론, 양자이론 등을 도출해냈고, 자그마한 실리콘칩의 위력을 보여주었다. 또 원자폭탄과 트랜지스터, 레이저, 반도체 등을 통해 세상을 바꾸어 놓았다. 그러나 21세기를 앞둔 지금 미래의 새로운 과학 시대가 인류 앞에 펼쳐지기 시작했다. 생명공학이 21세기를 대표할 과학으로 비약적인 발전을 거듭하며 바야흐로 생명공학 혁명의 시대를 예고하고 있는 것이다. 20세기 후반부에 나타난 분자생물학은 전통적으로 생물학의 중요한 분과로 인식되던 분류학, 생리학, 유전학, 미생물학, 생태학, 진화론 등에도 응용됨으로써 명실공히 생물학의 중심 학문으로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분자생물학의 발달에 힘입어 유전공학과 생명공학은 우리의 의식주 생활을 바꾸어 놓을 만큼 영향력이 지대하게 되었고, 최근에는 양의 체세포를 통한 복제 및 태아 복제 실험에 성공함으로써 복제 인간의 量産이 가능한 게 아닌가 하는 우려도 낳고 있다. 따라서 생명공학에 대한 윤리성 문제를 심각하게 검토해야 한다는 여론이 전세계적으로 일고 있다. 생물산업은 개발 기간이 길고 많은 투자가 필요하여 특허 보호가 필수적인데, 특허 심사시 특허 요건과 함께 윤리성 문제를 검토해야 하는 바, 인간의 신체와 그 부분, 인체 유전자 및 동물 발명의 특허 여부가 논란의 대상이다. 기존의 과학 기술 수준으로는 불가능한 것으로 간주되어 왔던 고등동물의 완전한 복제와 인간 태아의 복제 실험이 성공하게 됨으로써 복제 인간의 출현 가능성을 앞에 놓고 대다수의 사람들은 기존 사회 체계가 통째로 무너져 내리는 절망감 내지 공포감을 갖는 경향이 있다. 그러나 복제 기술 자체에 대해서는 그 효율적 이용과 의미를 깊이있게 고려해 보아야 할 것이다. 연구를 적정 수준 이상으로 규제해야 한다고 한다면 오히려 위험하다. 이미 역사적인 일보를 전진한 과학적 발견은 되돌이킬 수 없는 일이다. 인간 복제의 허용은 절대 피해야 하겠지만 지나친 연구의 제한에는 주의가 요구된다. 왜냐하면 복제 기술에는 인류에게 건강한 삶을 비롯하여 다양한 혜택을 줄 수 있는 잠재력이 있기 때문이다. 중세시대에 과학과 예술에 대한 지나친 통제로 암흑시대가 초래되었다는 것을 상기하면, 그리고 복제 기술을 포함한 생명공학 기술이 21세기 산업 혁신 기술로 성장할 것이라는 예측을 염두에 둔다면, 한창 선진국가로서 발돋움하려는 우리 나라로서는 복제 기술은 물론 기타 생명공학 기술을 바라보는 시각이 긍정적이어야 할 것이다. 18세기 이후 자연 과학, 특히 생명 과학의 발전으로 변모해 가고 있는 생명관의 변천에 따라 사회 윤리 체계를 조화시켜 가야 할 때이다. 인간을 대상으로 하는 생명공학 연구 역시 기본적인 사회윤리 체계의 틀로써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The 20th century can be said to be an age of physics. A number of physicians succeeded in introducing diverse theories including the atomic theory, the theory of relativity, the quantum theory, showing a wielding power of tiny silicon chips. They have changed the entire world with atomic bombs, transistors, laser beams and semiconductors. With the 21st century coming ahead, however, a new age of science is beginning to unveil its shape in front of our faces. Making great strides as a science to represent the 21st century, biotechnology has now come to announce an era of biotechnological revolution. Molecular biology, which appeared in the latter half of the 20th century, is taking its own seat as a core science of biology, both nominally and virtually, being applied to taxonomy, physiology, genetics, microbiology, ecology and theory of evolution, etc. which used to be considered as important sectors of biology in the field of science. By virtue of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biology, genetic engineering and biotechnology have come to grow their own influences to an extent of changing our daily lives. With the recent success of cloning of a sheep based on a somatic cell of another sheep as well as of a human embryo, a great concern is directed to a feasible massive cloning of human beings. Under these circumstances, the public opinion prevalent worldwide is that the problem of ethics must be seriously taken into account with biotechnology. The biological industry requires a long period of time and much investment for its development, necessitating legal protection by acquiring patents. In the course of patenting procedure, however, ethical issues must also be counted along with the patentibility of a biological invention itself. The most arguable issues would be patenting human beings and their parts, human genes, animals and plants. With the realization of an absolute cloning of a higher animal and the success of a cloning of human embryo which used to be regarded as an impossible dream under the conventional technology, a majority of people tend to experience frustrations, being fearful of a possible collapse of existing social structures in the prospect of a feasible cloning of human beings. As to the cloning tecnology per se, however, a discretion must be directed toward its effective utilization and its meaning. Any excessive regulations of the related studies might lead to a danger. The scientific discovery once advanced in the history is irrevocable. While human cloning needs to be prohibited by any means, a careful restriction is required on the cloning technology, which has a potential of allowing diverse benefits to the humankind in terms of health and welfare. If reminded that an excessive restriction on the science and arts in the middle age brought about the Dark Ages, and if foreseen that biotechnology including the cloning technology will grow to an innovative technology in the 21st century, our nation which is just about to stand on tiptoe to be an advanced nation should cast a positive eye at biotechnology including the cloning technology. It is the time for us to harmonize the social and ethical structures with the changing view of life which has been in tune with natural science, particularly with bionomy, since the 18th century. Directed to human beings, the biotechnology can also be controlled by our fundamental social and ethical structures.

      • Developing Molecular Tools for Applications in Metabolic Engineering and ProteinPurification

        lahiry, ashwin The Ohio State University ProQuest Dissertations & 2017 해외박사(DDOD)

        RANK : 2879

        Biotechnology is an important field of science that utilizes the principles of biology and engineering to build applications in multi-disciplinary research areas. This dissertation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molecular tools in two such research areas: 1) industrial biotechnology and 2) medical biotechnology.Chapters 2 and 3 of this dissertation focus on the development of a multi-targeting small regulatory RNA (sRNA) as a potentially useful tool for metabolic engineering applications in industrial biotechnology. sRNAs can govern gene expression by base-pairing with the translation initiation regions (TIRs) of mRNAs. These sRNAs can be engineered to target the TIRs of non-cognate mRNAs by altering their antisense sequences. Due to their modular, tunable and portable nature, they possess unique regulatory qualities for optimizing metabolic pathways. In Chapter 2, an Escherichia coli-based genetic system was created for the development of dual-acting sRNA variants. These variants were built on the DsrA scaffold, a well-characterized multi-acting E. coli sRNA and assayed for the regulation of two separate TIRs fused to independent reporter genes. Expression of the sRNA and each reporter mRNA was independently controlled, and regulatory effects were quantified in vivo using a microtiter plate assay. Using this system, semi-rationally designed DsrA variants were screened in E. coli for their ability to simultaneously regulate two key TIRs from the Clostridium acetobutylicum n-butanol synthesis pathway. In Chapter 3, this system was utilized to successfully design and test the functionality of DsrA variants in two industrially relevant microorganisms, Bacillus subtilis and Clostridium acetobutylicum. This study demonstrates the value of the genetic system and the sRNA scaffold for designing DsrA variants that specifically target desired mRNAs, and thus provides a platform for retargeting and characterizing multi-acting sRNAs for metabolic engineering applications.Chapter 4 discusses the development of a self-cleaving affinity tag for the purification of recombinant proteins and has applications in medical biotechnology. Process development of new recombinant biotherapeutic proteins involves complex optimization and scale up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of each protein. There is no simple, low-cost platform that can be utilized to purify these diverse proteins. Thus, it is desirable to create an affinity tag-based platform for purification of any recombinant protein, but with the requirement that the purified protein be tagless and traceless. Consequently, our lab has developed a pH-controllable self-cleaving tag based on the Npu DnaE intein from Nostoc punctiforme for affinity-based purification of recombinant proteins. Previous work done with self-cleaving inteins has shown that the target protein residues (extein residues) at the cleavage junction can strongly affect cleavage kinetics of the tag. Therefore, in Chapter 4, the extein dependence of this tag is characterized using model (eGFP) and biotherapeutic (streptokinase (SK) and granulocyte colony stimulating factor (GCSF)) proteins. Through these studies, N-terminal extein residues that result in accelerated or diminished cleavage kinetics were identified. An eGFP model system was also established to predict the effect of the primary extein sequence on the cleavage kinetics of this tag. Finally, the information from this study was utilized to improve cleavage kinetics of the tag with GCSF.

      • 인간유전체에 관한 특허법적 보호범위에 관한 연구

        김향미 단국대학교 2007 국내석사

        RANK : 2876

        인간의 모든 유전자의 집합을 유전체(Genome)라고 하며, 인간유전체연구사업(Human Genome Project, HGP)의 결과가 발표된 이후 학문적인 면에서는 인체기능에 대한 이해가 유전자수준에서 보다 체계적이고 종합적으로 이루어지게 되었으며, 이를 바탕으로 하여 질병 예방의 조기진단, 치료방법들에 대하여 연구되고 있으며 빠르게 진행되고 있다. 산업적으로는 새로운 기능성 유전자를 특허화 함으로써 산업재산권을 확보하고, DNA chip이나 단백질 chip과 같은 고성능 진단기술의 개발, 질병 메커니즘에 정확히 대응하는 약품의 개발, 개인별 유전체 차이에 근거한 개인용 맞춤의료기술, 유전자치료 및 세포치료기술 등의 다양한 고부가가치의 생명공학을 통한 산업기술들이 개발되고 있다. 오늘날 세계 각국은 특허를 통한 생명공학적 발명을 보호하고자 힘쓰고 있다. 유전체학은 생명공학산업의 가장 핵심이며, 유전체 특허는 그의 중요한 산물이다. 그러나 유전자 및 유전체 연구에 관한 특허에 대해서는 논란이 되고 있다. 유전체 특허의 부여에 관한 문제 뿐 아니라 특허부여 이후에 이의 운용상에서 많은 문제점이 노출되고 있다. 과도한 특허에 대한 경쟁은 발명자를 보호하고 산업의 발전을 도모하기 위하여 특허를 통하여 권리를 보호한다는 고유의 목적을 벗어나서 공공에게 해를 미칠 수 있는 부작용을 낳고 있으며, 이에 대한 자구책을 마련하지만 실효성에 대해서는 지켜보아야 할 필요성이 있다. 본 연구는 생명공학의 발전과 더불어 각국마다 국가의 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노력을 경주하고 있는 현재의 상황에서 생명공학의 큰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인간유전체와 관련된 법적인 문제점을 살펴보고, 인간유전체의 특허가능성에 대한 윤리적 고찰과 산업상 이용가능성, 신규성, 진보성, 발명의 단일성, 실시가능 요건 등에 대한 특허법적인 비교 연구를 통하여 인간유전체특허의 법적인 규제와 관련하여 인간유전체 특허의 보호와 그의 문제점을 살펴보고 이를 통한 효율적인 규제에 대하여 조망을 하였다. 생명공학은 기본적으로 인간의 편의를 추구한다는 점을 고려할 때 공공의 성격을 띄고 있다. 따라서 이에 관한 사업은 기업의 이윤추구에 몰두하는 것은 지양해야 할 것이며, 사회와 환경에 대한 책임감을 갖고 임해야 할 것이다. 또한 모든 사회 구성원에게 좋지 않은 영향을 미칠 수 있는 가능성이 있으므로 사회구성원의 합의하에서 연구자나 기업가에게 합리적인 제제를 가함으로써 이에 대한 윤리와 안전을 확보해야 할 것이다. 인간유전체에 관한 특허의 문제는 헌법의 기초 이념인 인간의 존엄과 가치가 지켜지고 사회정의와 공공의 질서 및 선량한 풍속에 반하지 않는, 윤리가 훼손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허용되어야 한다. 현대의 사회는 생명공학을 미래에 발전 가능성이 큰 기술로 보고 있다. 국제사회에서 국가 경쟁력의 향상을 위하여 미래에 받아 드려야 할 생명공학기술의 분야와 도덕적, 윤리적인 면에서 허용되어서는 아니 되는 생명공학 기술이 무엇인지에 대한 합의에 도달하기 위해 많은 시간과 노력을 들여 왔으며 앞으로도 지속적인 논란이 될 것이다. 특허의 대상에 대해서는 조심스럽게 제한을 두어야 하며 국가간의 경쟁력의 문제가 아닌 전 인류의 존재와 삶의 보존을 위해서 국제적인 차원에서의 실효성 있는 규제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그러나 인간 유전체와 관련되는 연구는 생명공학적인 기술의 기초적이고 필수적으로 중요한 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므로 인간의 존엄이 관여되는 면은 반드시 지켜져야 하겠지만 자연과학적인 방법의 개발은 인류의 문명이나 과학발전에 있어서는 행해져야 하는 부분이다. 따라서 내부적으로는 특허에 관한 요건에 맞추어서 철저히 보호되어야 하며, 인류 전체가 공유하고 누려야 할 부분에 강제적인 실시권을 고려하는 등의 특별한 보호와 실시를 위하여 인간유전체 특허와 관련되는 업무의 관리를 하는 국가 차원의 위원회 형식의 기관을 따로이 설치하는 것이 필요할 것이며, 국제적으로도 특허를 부여하고 보호하는데 통합적인 장치가 필요할 것으로 생각된다. Since the result of Human Genome Project has been reported, at the academic field, the interpretation on the function of human body becomes more systematic and synthetical. On the base of it, early diagnostic methods for disease prevention and treatment start to study and rapidly be progressing. At the field of industry, by patenting the genes that code new function, they can achieve the intellectual property rights. The various higher value-added biotech industry like highly efficient diagnostic technique (DNA chips or protein chips), development of medicine just targeting to disease mechanism, and medical technique made to order by individually genetical differences, gene therapy, and cell therapy techniques are developed. Now a days, world nations make efforts to develop the inventions of biotechnology. Genomics is the core of biotech industry, and gene patenting is its important product. But there is a debate on patenting the gene and the researches of genome. There are disclosing many problems that is not only giving the gene patent, but also managing it. The excessive competition achieving the patent is against the original purpose that protects the inventor and the right by the patent for the development of industry and causes the adverse effects of being harm to the public. Even though preparing for the self countermeasure, we must watch its effectiveness. In this study, at the present moment of making efforts for highly improving the national economic status with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the legal problem with human genome that takes the important proportion of biotechnology will be examined, and observed the protection of gene patenting and its problems by the ethical consideration on the patentability of human genome and through comparing studies of patenting law, and will prospect the effective regulations. In the consideration on improving the human life basically, biotechnology has the good nature for the public. So, its industry must prohibit the pursuit to only making money, and have the responsibility for the society and environment. It has the possibilities to be harmful to social members, and so the ethics and security must be taken by pressing to researchers and men of enterprise under mutual consent of society. The problem of human genome patenting must be permitted on keeping human dignity and value for the protection of public security and the physical integrity of individuals as a part of society and not being against social justice, public order and public morality. Biotechnology is the promising field of technology for development in the future. Among the international society, it has taken much time and efforts to achieving the agreement of accepting or not the biotech and the gene patenting for their development in the future, and the debates will be continued. But from now on, we need the regulations having the effectiveness for the existence of whole mankind and preservation of life , not the problem of competition within the nations. To the object of patent, there need to have the limitation. I insist that we need to have the effective regulation at the international level for existing of mankind and prevention of the human life , not the problem of the competition between the nations. The research related to human genome is the fundamental and essential part of biotechnology. The portion of human dignity must be kept. But the development of the process to natural science must be going at the portion about the culture of mankind and the development of science. Therefore internally it must be protected by the required condition, and it needs to have the national committee for controlling of the human genome patent. Internationally, we must have the integrated system for giving and protecting the patent.

      • Biotechnology development and government policies: : a comparative study of Korea and Germany

        Scheffler, Frank Graduate School of International Studies, Korea Un 2011 국내석사

        RANK : 2687

        The purpose of this comparative study was to better understand how differences in government structure, stage of economic development and public perception have influenced the development of a modern biotechnology industry and the design of government policies aimed at helping this development in Germany and Korea. The general environment for the biotechnology industry, ethic concerns and public perception, government promotion programs and the state of the biotechnology industry for both countries has been revised and compared. For both countries developing a biotechnology industry had some challenges. Whereas Korea had to make a transition towards a more knowledge based and innovation creating economy for Germany the challenge was to develop a promotion plan that took into account the federal organization of the country and often decentralized political authority structures. Biotechnology has made good progress in both countries despite the difference in the government support programs. Yet there are also differences in how their biotechnology sectors look like today. It is difficult to say which government was more successful in developing a national biotechnology industry due to the differences in the initial stage of development.

      • Locational Determinants of Biotechnology firms in Seoul Metropolitan Area

        김민준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687

        본 연구는 바이오 기업들의 입지 요인을 종합적으로 분석하고, 향후 급증할 바이오 기업들이 입지를 선정하는 데에 있어 고찰해야 할 점을 목적으로 하였다. 바이오 기업의 입지와 관련된 선행연구들을 살펴보면 고급인력자원, 산학연 연계 등이 중요하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하지만 통계청의 2019년 바이오산업 실태조사 보고서를 살펴보면 바이오산업은 타 산업 대비 석사비율이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선행연구들은 설문조사, AHP 같은 방법론을 통해 증명하였으며, 석사인력의 중요성을 제시하지 않았다. 이에 본 논문은 바이오 기업의 입지를 정량적으로 연구하기 위해 공간계량모형을 활용하여 분석하였으며, 석사인력자원의 분포도가 바이오 기업입지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살펴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은 다음과 같은 사항을 증명하여 선행연구와 차별성이 존재한다. 첫째, 바이오산업은 소규모 다품종 생산 형태를 띄고 있어 충분히 숙련된 노동인력이자 과한 임금이 요구되지 않는 석사인력자원을 선호한다. 둘째, 연구의 결과를 통해 바이오 기업의 해당 시군구 석사자원은 바이오 기업 입지밀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영향권 내 대기업이 존재하면 입지밀도가 증가한다는 것을 계량적으로 증명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존재한다. 본 연구에 이용된 시군구 별 학사, 석사, 박사자원은 바이오를 전공한 인력을 구할 수 없어 바이오 관련 전공자가 아닌 전체 전공자 데이터를 사용했다는 점에서 본 논문의 한계가 존재한다. 데이터의 부재로 인해 온전히 바이오 인력자원 영향력을 설명하기에는 어려우나 전체 시군구별 학사, 석사, 박사자원 비율은 전국적으로 바이오 노동인력 대비 학사, 석사, 박사 비율과 큰 차이가 없을 것이라 간주하여 연구를 진행하였다. 전 세계를 공황에 빠뜨린 코로나 19 사태를 해결할 열쇠로 주목되는 바이오산업은 산업 가치 및 일자리 창출효과가 크며, 국가의 3대 중점 산업으로서 선정되었다. 바이오산업의 중요성은 점점 커지고 있으며, 미래의 전염병에 대응하기 위한 바이오산업의 입지분석은 필수적이다. 본 연구는 국가의 바이오산업 육성 의지 및 바이오 기업들의 증설계획으로 인해 앞으로 더욱 늘어날 기업 수를 대비하여 국가 및 기업들에게 입지 선정 시 고려해야 하는 요인들과 수도권 바이오 클러스터 발전 방향을 제시하는 데 의의가 있다. 주변 석사자원과 대기업 및 대학 유무는 바이오 신설 기업 수와 정의 관계를 가지며, 아파트 기준시가, 소득수준은 부의 관계를 가진다. 대부분의 신설 바이오 기업들은 정책적 지원을 받아 창업하였으며, 상대적으로 지가가 낮은 경기 남부지역에 입지한 것으로 판단된다. 기업의 영향권 내 대기업의 유무가 바이오 기업 입지 밀도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대략 살펴볼 수 있었으나, 향후 바이오산업의 특성을 보다 정밀하게 분석하기 위해 대기업 수준변수를 반영하는 연구가 필요하다고 판단된다. This dissertation aims to reveal the locational determinants of biotechnology firms in Seoul Metropolitan area, in order to present urban planning strategies 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of the biotechnology industry. The biotechnology industry has experienced remarkable growth since 1970s and is drawing attention as the key to overcome COVID-19 pandemic. Koran government has strongly expressed its willingness to foster the biotechnology industry in November 2020 and announced biotechnology industry as the “Big Three” industries that will propel economic development along with automobiles and semi-conductors. The biotechnology firms, capable of multi-breed production in small sizes, prefer employing master’s degree holders who are generally employed at relatively lower wages compared Doctorate personnel. Thus, the availability of master’s human resources of the cities and counties will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location decision of biotechnology firms. Furthermore, the biotechnology industry has a high cooperative relationship ratio compared to other industries thus has a large agglomeration effect, Therefore, the location of biotechnology companies will be affected by the existence of large conglomerates within the firm’s sphere of influence than the accessibility of the location. Spatial panel regression model was used to identify the locational determinants of the biotechnology firms. The result showed that the number of Master’s degree holders and the existence of large conglomerates within the firm’s sphere of influence have positive influence to the number of biotechnology firms in that corresponding cities and counties. Although the result of spatial panel regression model analysis has shown that Master's degree holders of cities and counties have a significant influence on the number of biotechnology firms at a significance level of 0.05, a Granger Causality analysis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causality between two variables in a time series. The result shows that the increase in the number of Master's degree holders affects the number of biotechnology firms after two years, but not the otherwise. Based on the analysis result, this study suggests the urban properties for new biotechnology firms to consider when entering the market. It also proposes guidelines for future urban planning strategies responding to the development of biotechnology industry.

      • The study of Sustainability Development in the Biotechnology for Accelerating Nigeria's Bioeconomy by Comparing with South Korea and USA : Sustainability Development in Biotechnology

        THOMAS CHIMAOBI ANYA 전남대학교 2024 국내석사

        RANK : 2683

        초록 국민 복지, 사회 및 경제 발전과 환경보호 등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유엔과 국제사회는 지속 가능한 개발 목표를 설정하여 노력하고 있다. 한국과 미국은 2030년까지 달성하고자 하는 17가지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로드맵이 매우 우수한 국가로 나이지리아는 발전을 위해 이들 국가를 이해할 필요가 있다. 오늘날, 한국과 미국은 생명공학기술을 활용한 산업분야가 지속적으로 성장하여 바이오 경제 성장을 가속하여 경제분야에 차지하는 비중이 높아지고 있다. 생명공학은 농업 분야에서 농부와 소비자가 재배할 작물을 정보에 입각하여 선택을 할 수 있게 하고, 정책 입안자와 규제 기관이 상업화를 위한 생물안전 지침을 마련하여 산업계가 고용 창출을 이룰 수 있게 하는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또한, 보건의료 분야에서 임상 시험에 의한 새로운 의학적 접근 방식은 의료 부문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 논문에서는 국가 소득 수준에 따라 나이지리아, 미국과 한국을 중 저소득 경제 국가와 OECD 고소득 국가로 분류하여 세 국가의 연구개발(R&D) 투자가 GDP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여 살펴보았다. 생명공학 분야에 대한 투자는 특정 국가의 혁신, 발명 및 발전을 촉진시키고, 경제 성장의 중요한 동력이 될 수 있음을 많은 보고서, 연구 논문, 보도 자료 등에서 확인할 수 있었다. ABSTRACT The Sustainable Development Goals are ways to achieve a facilitating environment to support human well-being. Nigeria should emulate some of the best countries on the road map to achieving the United Nations (UN) 17 Sustainability Development Goals (SDGs) by 2030, like South Korea and USA, by following their pattern of biotechnology, which is leading to acceleration of their bioeconomic growth and the continuous growth of the industrial field utilizing the technology, the proportion of bioeconomy in the economic field is increasing. Biotechnology has a positive impact in the agricultural field, where farmers and consumers can make informed choices on what crops to grow, to the policymakers and regulators to craft enabling biosafety guidelines for commercialization, on the industry as it creates much employment. It positively impacts the healthcare sector as it helps to know how new medical approaches work on people via clinical trials. This paper reveals the income level economies of Nigeria, USA, and South Korea in the context of Lower-middle-income economies, Upper-middle-income economies, High-income economies, and High-income OECD Members. The impact of the government of the three countries on Research and development (R&D) investment as a percentage of their GDP shows why USA and South Korea are doing fantastic, and Nigeria is seriously lagging far behind. Investments in biotechnology are essential drivers of economic growth as they spur innovation, invention, and progress in a particular country. For this study, many reports, research papers, and press releases were review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