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용특성이 기업신뢰 및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 : 중국 SNS 사용자를 대상으로

        장후이위엔 호남대학교 일반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SNS는 인터넷에서 이루어지는 사회적 관계망 서비스로 오늘날 사람들 간의 주요 의사소통의 수단이 되었다. 2020년 중국 인터넷 이용자는 9억 4천만 명으로 전 세계 네티즌의 5분의 1 이상을 차지하고 있다. 따라서 중국은 전 세계에서도 아주 큰 소셜네트워크 서비스 시장이라고 할 수 있으며, 이러한 SNS의 확산은 단지 이용자 수의 증가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정치, 경제, 문화 등을 막론하고 사람들이 생산하거나 소비하는 콘텐츠에 SNS가 막대한 영향을 미치고 있다. 이와 같은 변화로 관광 소비자들이 정보를 얻는 방식의 변화에 따라 소비심리와 행위도 다른 결과를 초래 할 수 있다. 이러한 SNS 기반의 소비자 주도적 커뮤니케이션 환경의 도래는 SNS가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고찰하는 것이 중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SNS는 관광지를 활성화 시키고 관광산업의 중요한 마케팅 수단으로 활용하여 있고 소비자에게는 새로운 소비문화를 이끌며 구매를 촉진하고 있다. SNS 마케팅은 저비용, 고효율로 제품의 홍보 및 고객과의 소통을 극대화 시킬수 있지만 제품 및 서비스에 대한 부정적인 의견이 빠르게 전파되면 제품 및 기업 이미지 실추를 가져올 수 있다. 또한, 2020년 현재 코로나 상태하의 불경기한 관광 시장을 살리기 위해 SNS의 특성의 활용방안과 소비자의 여행상품 구매의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관광기업일수록 기업신뢰를 인지하는 소비자들이 지각하는 소셜네트워크서비스 활용특성과 여행상품 구매의도의 영향관계를 파악하는 것이 중요시하며, 현재 급속도로 성장하고 있기에 중국 관광산업을 대상으로 한 연구는 학문적 및 실무적으로 의의가 있을 것이다. 그리고 SNS사용자의 기업신뢰과 구매의도는 소비자 개인의 의지만으로 생겨나는 것은 아니다. SNS상 믿을만한 흥미로운 정보를 얻거나, 기업과 상호작용을 하거나 이를 이용할 때 기업신뢰가 극대화 될 수 있고, 이는 다시 구매의도를 높이는데 큰 역할을 할 수 있다. 따라서 SNS사용자가 지각하는 SNS활용특성과 기업신뢰 및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을 찾는 것도 중요한 연구과제라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문헌고찰과 실증연구 방법을 병행하였다. SNS상에서 관광정보를 접해본 중국 SNS 이용자를 대상으로 2021년 1월 10일 – 2020년 2월 9일까지 설문 조사를 통하여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분석을 위해 SPSS(PASW) 23.0을 이용하였으며, 빈도분석, Cronbach‘s α계수를 이용한 신뢰성 검정, 탐색적 요인분석, 상관관계분석 그리고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가설검증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SNS 활용특성 요인은 탐색적 요인분석을 통해 정보성, 신뢰성, 상호작용성, 유희성, 접근성, 온라인구전 등 6개 요인이 도출되었으며, 이러한 SNS 활용특성 요인이 기업신뢰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SNS 활용특성 중 신뢰성, 상호작용성, 유희성, 접근성 및 온라인구전이 기업신뢰의 하위변인인 전문성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SNS 활용특성 중 정보성이 기업신뢰 중 전문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SNS 활용특성의 하위변인인 신뢰성, 유희성, 접근성 및 온라인구전이 기업신뢰의 하위변인인 호의성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SNS 활용특성 중 정보성 및 상호작용성이 기업신뢰 중 호의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SNS 활용특성의 하위변인인 정보성, 신뢰성, 유희성, 접근성 및 온라인구전이 기업신뢰의 하위변인인 정직성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하지만 SNS 활용특성 중 상호작용성이 기업신뢰 중 정직성에 미치는 영향은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SNS 활용특성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SNS 활용특성의 하위변인인 정보성, 신뢰성, 상호작용성, 접근성 및 온라인구전이 구매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반면에 유희성만 구매의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을 나타났다. 셋째, 기업신뢰가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검증한 결과 기업신뢰의 하위변인인 전문성, 호의성, 정직성이 구매의도에 정(+)의 방향으로 영향을 미쳤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바탕으로 이론적, 실무적 시사점을 도출하였다. 이론적 시사점으로 첫째, 관광 분야에서 SNS 활용특성, 기업신뢰, 구매의도에 대한 정의를 체계적으로 정리를 하였다. 특히 기업신뢰에 대해 경영 이나 전자상거래에서 연구가 있지만 관광산업에서 기업신뢰에 대한 개념정리가 거의 없기 때문에 관광 연구 분야에 유용한 자료가 될 것이다. 둘째, 현재까지 SNS 활용특성에 대한 연구를 진행해왔지만 기존의 SNS 활용특성 연구들이 주로 태도, 만족, 지속 이용의도를 연구하였지만 SNS 활용특성이 기업신뢰를 통해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는 미비하였다. 본 연구에서 SNS 활용특성이 이용자의 기업신뢰를 증가시키고, 기업신뢰가 구매의도에 대한 영향을 끼친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즉 SNS 활용특성이 이용자의 기업신뢰에 영향을 미치고, 기업신뢰는 또한 여행상품 구매의도에 대하여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밝혔다. 따라서 SNS 활용특성이 기업신뢰를 증가시킴으로 구매의도에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규명한 점은 학문적으로 기여하는 바가 크다고 사료된다. 관광산업에서 SNS 활용특성 및 기업신뢰에 관한 연구의 기초자료가 될 것이다. 다음은 실무적인 시사점이다. 첫째, 관광기업에서 SNS도 구매의도에서 기업신뢰를 형성하는 주요요인임을 확인하였다. 관광기업에서 기업신뢰 형성은 매우 큰 의미를 지니며 전반적으로 소비자가 관광기업에게 기대하는 가장 큰 요인은 기업의 전문성으로 상품 및 서비스를 제공하는데에 풍부한 기술하고 전문적 지식 및 소비자의 요구에 맞는 상품개발을 할 수 있는 능력에 더 많은 가치를 두고 있다. 둘째, 관광기업은 소비자의 신뢰를 유지하고 여행상품에 대한 구매의도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소비자를 배려하는 태도 그리고 상호이익 및 소비자의 요구사항을 잘 수용하는 노력이 필요하며, 정직하고 성실하게 거래규정을 준수하여 정직한 정보를 제공하여야 하며 일관성 있는 경영태도를 가지고 소비자와의 약속을 성실히 이행하는 것을 고려해야 할 것 이다. 셋째, 관광기업은 SNS 마케팅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손쉽게 접근할 수 있고 믿을만 한 흥미적인 정보 및 서비스를 제공해야 하고, 할인 혜택 및 이벤트를 계획하여 고객의 적극적인 참여를 유도해야 한다. 또한, 소비자가 의견을 쉽게 전달할 수 있게 상호 소통의 수단도 기업이 풀어야 할 과제임을 시사한다. 종합하면 관광기업에서 수행해야 할 것은 소비자 중심의 기업활동과 기업의 마케팅 전략 수립에서 실무적인 방향성을 제시하여 차별화 할 수 있는 세부지침이 될 것이다. 키워드 : 소셜네트워크서비스(SNS) 활용특성, 기업신뢰, 구매의도

      • 기업 페이스북의 이용과 마케팅형태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 및 선호도 변화 연구 : 스타벅스 팬페이지를 중심으로

        정지은 건국대학교 언론홍보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기업은 좀 더 효과적인 방법으로 소비자와 커뮤니케이션하기위해 마케팅의 수단으로 SNS를 적극 활용하고 있다. 그러나 SNS의 영향력에 비해 학문적인 연구가 아직 미흡한 실정이고 과연 SNS가 마케팅의 수단으로 효과적인지에 대한 연구의 필요성이 제기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마케팅의 새로운 영역으로 각광받고 있는 SNS마케팅에 대해서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구체적으로 SNS중에서 최근 급부상하고 있는 페이스북을 통해 기업이 어떠한 방법으로 마케팅을 하고 있는지 분석함으로써 기업 페이스북의 이용여부와 메시지 유형에 따른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의 변화에 대한 효과성을 측정하고자 한다. 기업 페이스북 페이지의 이용여부와 메시지 노출여부에 따라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과 메시지 유형에 따른 브랜드 선호도의 변화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가설을 설정하고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브랜드 이미지 문항은 9문항으로 전문성, 신뢰성, 사회공헌성 세 가지 요인으로 분류하였고 브랜드 선호도 문항은 5문항으로 설정하였다. 페이스북 페이지의 노출 메시지 유형은 기업홍보, 신제품홍보, 쿠폰․상품증정이벤트, 댓글달기이벤트 등 4가지 유형을 선정하여 설정하였다. 가설을 검증하기에 앞서 측정도구의 신뢰도를 검사하였으며 조사대상의 인구통계학적 특성과 페이스북 이용행태를 파악하기 위해 빈도분석을 실시하였다. t검증을 실시하여 스타벅스 페이스북 페이지의 이용자와 비이용자의 차이와 메시지 노출 전후의 차이, 메시지 유형별로 노출 전후의 차이가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 변화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였다. 분석결과, 스타벅스 페이스북 페이지의 이용자가 비이용자에 비해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가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페이스북 페이지의 메시지를 노출하기 전보다 노출 후에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가 상승했으나 브랜드 이미지의 문항 요인 중 전문성 요인에서는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메시지 유형에 따른 선호도 변화 연구에서도 브랜드 선호도가 상승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나 설정했던 4가지 메시지 유형 중에서 세 가지 유형에서만 유의미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즉, 페이스북을 통한 기업의 마케팅은 소비자가 긍정적인 브랜드의 이미지를 구축하는데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SNS마케팅을 통해 소비자와의 지속적인 커뮤니케이션으로 친근감 형성과 신뢰를 확보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업이 전문성을 가지고 SNS를 잘 활용한다면 차별화된 마케팅이 수단이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본 연구는 기업의 페이스북 이용과 메시지 노출 유형에 따라 브랜드 이미지와 선호도에 미치는 영향의 효과에 대해 의의를 두었기 때문에 향후 기업의 SNS 마케팅 전략을 수립하는데 실질적인 활용이 가능할 것이라고 기대한다.

      • SNS 활용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 학습몰입, 학습만족, 인지된 학습성과 간의 구조 관계 분석

        장재홍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SNS를 활용한 수업을 통해, 학습자와 학습내용, 학습자와 학습자, 학습자와 교수자간의 상호작용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고자 하였다. 또한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다양한 형태의 학습자 상호작용이 학습몰입, 학습만족도, 인지된 학습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며 각 변인간의 구조관계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으로 경기도 도시에 소재한 공립초등학교 6학년 135명으로 하였으며, SNS 활용 수업 후 설문을 통해 수집한 자료 중 무응답 및 성실하지 않은 응답을 제외하고 총 107명의 자료만을 분석에 사용하였다. SNS 활용 수업은 질의·응답, 토의·토론, 실시간 자료 공유, 과제 제출, 투표 등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 SNS를 활용한 수업에서 학습자 상호작용은 학습몰입에, 학습몰입은 학습만족도와 인지된 학습성과에 정적인 영향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학습자 상호작용과 학습만족도, 학습자 상호작용과 인지된 학습성과 사이에서 학습몰입이 매개하여 효과를 나타냈다.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한 후속 연구를 위한 제언은 학습 환경 및 학습자 배경 등 연구 결과에 영향을 미칠 수 있었던 변인들이 구체적으로 고려되지 않았으며, 학습자의 SNS 사용경험 횟수, 사용 숙달도 등 SNS 이용 특성에 따른 학습자의 특성을 반영한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또한 SNS 유형과 특징에 따라 다양한 SNS 종류로 연구를 다양화 할 수 있으며, 수업 유형을 체계화 하여 수업의 목표에 따라 SNS의 사용 효과를 가장 극대화 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한 논의가 필요하다.

      • SIPS와 Fuzzy-AHP를 이용한 기업의 SNS 활용도 평가모델에 관한 연구

        안종철 서울과학기술대학교 2013 국내박사

        RANK : 247807

        Our lives have been changed since birth of the Internet. The Internet Technology has been developed and changed a lot. What is the most innovative change in this internet industry? We can answer the question many ways. But I can tell you that two of the most remarkable things among those changes are the advent of Web 2.0 age and SNS(Social Network Service). Web 2.0 technology, Blog, Wiki and SNS have made general and ready-made multimedia environment dramatic.(Rad 2010). This field called 'SNS' has experienced steady growth in terms of the size and the number. In the early stage of SNS, People just expressed themselves or just shared their own opinions. However, People currently use this SNS as one of marketing spaces. The function of SNS is not just for making connections among people. New devices like Smart phones have made the influence of SNS more powerful Businesses also have started to recognize and use SNS as an important way of marketing. SNS became a valuable communication tool between consumers and businesses,. Nowadays, many businesses have set up a unit to take charge of it in order to appeal to consumers much more effectively. Those units are aggressively utilizing SNS sites such as Twitter or Facebook as an important way of communication. Businesses take advantage of this SNS. American consumers are actively exchanging much information and many opinions on some products or some brands through Facebook, Twitter, Youtube and so on. Businesses are also taking care of these changes at the level of consumers' eyes. At the same time, Effective utilization of SNS and marketing methodology by SNS are being studied. Thus, Some evaluation indicators were already made so that those indicators are being applied. But the ready-made models don't issue strict and exact standards and measurements of the evaluation indicator. So businesses need certain strategies and evaluation models that can effectively show how to use SNS, which makes consumers and businesses meet the half way, especially related to investments and marketing. Features of each type of various channels of SNS were considered in this study. Based on the features, this study is intended to show CSF which is an important element of their success of SNS-utilizing businesses in Korean Social media market. To propose the differentiation strategy for each SNS channel and evaluation model of business' relative competitiveness on the basis of CSF, Operating cases of each SNS channel and key elements of competitiveness should be understood first. So In-depth interviews and documentary surveys were conducted. And the evaluation index(KPI) of Social media came from the interviews conducted with SNS experts through 델파이 . Moreover, The survey on the KPI was conducted with people in charge of SNS of some businesses ,the scholars and the experts related to SNS. After understanding the key elements of CSF for each SNS channel such as Facebook, Twitter or Blog classified by standards of SNS service, superior SNS strategy for competition between businesses were arranged on the above-mentioned basis. To overcome existing difficulties in terms of ways of evaluation ,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lements were spontaneously considered and SIPS (New model of consumer reaction in this Social media age presented by Dentsu Institute) was used. Because it's easy to arrange the standard in terms of compassion, confirmation, participation and share & spread given by SIPS. 4 Above-mentioned viewpoints were organized with environment analysis of Social media and marketing strategy for Social media. The evaluation model for SNS-operating channels of businesses was arranged after considering weights on the evaluation index and evaluation item which can exactly estimate each standard item. The way of evaluation is Fuzzy-AHP. Before the research, 3 SNS-operating businesses were chosen as samples in advance. And The measuring process of the performance of those 3 businesses was shown. Weights on 4 above-mentioned viewpoints were measured through Fuzzy-AHP in a concrete way. To consider qualitative and quantitative elements at the same time, quantitative elements should go through the step of normalization on thequantitative measured value elements in the process. And The model which can evaluate the elements within range of SIPS were consisted through the concept of Fuzzy. In order words, the evaluation model measuring 4 above-mentioned viewpoints by utilizing SIPS and Fuzzy AHP was developed. SNS-utilizing strategy for businesses was suggested based on the evaluation model. Finally, I expect the validity of the evaluation method can be verified Because It's possible to compare with one anther by determining the ranking of the selected businesses. I hope 3 SNS-operating businesses can measure their level of using SNS for the purpose of enhancement of SNS competitiveness and they can take advantage of SNS through this study. 인터넷 매체의 등장 이후 Web 2.0 시대의 도래와 함께 소셜네트워크 서비스((social network service : SNS)의 등장은 커뮤니케이션 매체 환경변화의 가장 두드러진 특징 중 하나이다. 웹 2.0 기술의 출현과 블로그, 위키, 그리고 소셜네트워트의 등장은 전반적인 웹 구조를 드라마틱하게 변화시키고 있다(Rad, 2010). 이러한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는 그 수와 규모면에서 꾸준한 성장을 해오고 있다. 각자의 생각을 표출하고 의견을 공유하거나 인맥형성 공간으로서의 초기 SNS개념을 넘어서 이제 SNS는 중요한 마케팅 공간이 되고 있다. 또한 스마트폰과 같은 소셜미디어의 발전과 더불어 SNS의 영향력은 더욱 커지고 있다. 이제 기업들 역시 SNS를 강력한 마케팅 도구로 인식하고 있다. 기업들이 소비자와의 의사소통 수단으로써 SNS를 이용하기 시작하였고, 기업 마케팅 전략의 주요한 도구로써 적극 활용하고 있다(한은경, 2010). 많은 기업들이 SNS를 담당하는 전담부서를 만들고 보다 적극적인 고객들과의 의사소통을 위하여 기업들은 페이스북, 블로그, 트위터와 같은 소셜네트워크 사이트(SNS)를 통하여 마케팅 활동을 펼치고 있다. 최근 미국 소비자들은 페이스북, 트위터, 유투브 등과 같은 소셜네트워크 서비스를 통해서 제품 및 브랜드에 대한 다양한 의견과 정보를 다른 사람들과 활발히 주고받고 있고 기업 또한 소비자 커뮤니케이션 관점에서 이러한 변화의 흐름에 적극적으로 대처해 나가고 있다. 그러나 SNS의 효과적인 활용과 마케팅 방법론에 대한 많은 연구들이 진행되고 평가지수도 일부 개발되어 적용하고 있지만 기존의 모델들은 그 평가 기준 측정치의 구체적인 기준과 방법을 제시하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기업들은 마케팅의 도구이자 고객 커뮤니케이션의 접점인 SNS에 대한 활용과 투자를 체계적이고 효율적으로 할 수 있는 전략 및 평가모델이 필요하다. 본 연구는 SNS의 특성과 각 채널별 SNS의 특징 등의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한국 소셜미디어 시장에서의 SNS 활용 기업의 성공요소(CSF)를 파악하고 이에 기초하여 차별화 된 채널별 SNS 전략 및 기업의 상대적 경쟁력을 평가하는 평가모델을 제시 하고자 한다. SNS의 경쟁력 파악에 있어서 기존의 채널별 운영사례 및 경쟁력 핵심 성공요소에 대하여 문헌조사와 심층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델파이법을 이용하여 SNS 전문가들에 대하여 수차례 인터뷰를 진행하여 SNS의 핵심평가측정지표(KPI)를 도출하였다. 도출한 각 핵심평가측정지표에 대해 SNS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전문가, 기업 SNS 담당자 그리고 SNS 관련 학자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진행하여 SNS 서비스 기준에 의한 분류에 따른 페이스북, 블로그, 트위터 등 SNS의 채널별 핵심성공요소(CSF)를 파악하고 이를 근거하여 SNS의 기업경쟁우위전략을 제시한다. 채널별 경쟁력 평가방법에 있어서 기존의 문제점을 극복하여 정량적, 정성적 요소를 동시에 고려한 SIPS(덴츠연구소가 발표한 SNS 시대의 새로운 소비자 행동 모델 개념)의 공감관점, 확인관점, 참가관점, 공유 및 확산의 4가지 관점에 SNS의 특성상 상당한 영향을 미치는 SNS의 환경분석과 치열한 시장경쟁에서 중요한 마케팅전략을 매칭 시켜 4개의 기준 관점을 제시하고, 각각의 기준 항목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항목과 평가지표에 가중치를 고려하여 기업의 SNS 채널 운영에 대한 평가모델을 제시하고자 한다. 평가방법은 Fuzzy-AHP를 활용하였으며 SNS 운용 기업 4개를 선정하여 기업성과의 측정과정을 제시하였다. 측정하는 과정은 구체적으로 Fuzzy-AHP를 활용하여 SIPS 관점의 요소들에 대한 가중치를 측정하고, 정량적 요소와 정성적인 요인을 함께 고려하기 위해 정량적 요소의 측정치에 대한 정규화 과정을 거친 후, Fuzzy 개념을 활용하여 SIPS 내의 요소들을 평가하는 모델(CSEM:Corporation SNS Evaluation Model)로 구성하였다. 즉, SIPS와 Fuzzy AHP을 활용하여 SISP 관점의 요소들에 대한 평가모델을 개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기업의 SNS 활용 전략을 제시 하였다. 마지막으로 선정된 기업에 대한 순위를 도출하여 상대적 비교가 가능하게 하였으며 평가방법의 타당성을 검증하였다. 기업의 SNS 운영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을 개발하기 위해 기존 문헌 연구와 전문가 인터뷰와 1차 설문조사를 통해서 평가기준을 정하고 평가기준에 따른 평가항목과 사용자 설문 조사를 통해 SNS 채널을 성공적으로 운영하기 위한 핵심 평가 지표를 도출 하였다. 평가 기준으로는 소비자 행동모델에 근거한 SIPS와 마케팅 믹스 이론에서 제시하는 평가 기준을 결합하여 CSEM(Corporation SNS Evaluation Model) 모델을 제시 하였으며, 평가항목은 기존 문헌 연구와 기존 평가모델에서 제시한 항목, 그리고 전문가 인터뷰와 설문조사를 통해서 평가항목을 제시하였다. 결과를 도출하기 위해 델파이 기법, AHP와 퍼지 기법을 통해 각각의 가중치를 도출하였고, 가중치와 평가 지표를 통해 조사된 결과를 바탕으로 기업의 SNS 채널 운영현황을 평가할 수 있는 평가모델과 평가 등급표를 제시하였다. 기업의 SNS 채널 중에서는 페이스북(0.47), 블로그(0.36), 트위터(0.17) 순으로 가중치가 높

      • SNS 이용, 지각된 SNS 압력, SNS상의 외모 비교 및 마른 몸매의 내면화가 부정적 신체 이미지에 미치는 영향 : 사회비교이론을 중심으로

        Wu, Hao 경희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사람들은 항상 타인과 비교하면서 산다. SNS가 빠르게 발전함에 따라 일상생활의 일부가 됐으며 이제는 사회 비교의 새로운 플랫폼이 되었다. 사람들은 SNS에서 긍정적인 것만 게시하는 경향이 있으므로 SNS는 이미 외모의 경연장을 제공함으로써 여성의 신체 이미지에 대해 중요한 영향력을 행사하고 있다. 이러한 현상에 관해 본 연구는 중국 18~29세 여성을 대상으로 SNS의 수동적 및 능동적 이용과 지각된 외모에 대한 SNS의 압력이 SNS에서 여성의 외모 비교 경향, 마른 몸매의 내면화, 그리고 자기 신체에 대한 불만족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아울러 외모 비교 및 마른 몸매 내면화와 신체 불만족 간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그리고 이 관계에서 외모 자기 가치가 어떤 역할을 하는지를 살펴보고자 했다. 연구 결과, 수동적 SNS 이용이 외모 비교에만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마른 몸매의 내면화와 신체 불만족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능동적 SNS 이용은 외모 비교와 마른 몸매의 내면화에 영향을 미치지 못했지만 직접적으로 신체 불만족에 부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지각된 SNS 압력은 외모 비교, 마른 몸매의 내면화 그리고 신체 불만족에 모두 정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외모 비교와 신체 불만족 사이에 마른 몸매의 내면화가 매개효과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하여 전통 미디어와 마찬가지로 SNS도 여성의 신체 이미지에 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연구는 SNS 이용을 능동적·수동적으로 구분하여 이 변인들이 외모비교 및 신체 불만족에 대해 서로 다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보여줌으로써 이같은 SNS 이용 행태의 구분이 중요하다는 점을 제시하였다. 향후 SNS 이용을 이용의 빈도 등 일차원적으로 측정하기 보다는 SNS의 다양한 기능을 고려하여 SNS의 영향력을 탐색하고자 하는 노력이 필요하다는 점을 시사한다. 아울러 SNS의 외모에 대한 압력이 외모비교, 마른 몸매의 내면화, 그리고 신체불만족에 모두 영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여성의 신체 이미지를 연구할 때 지각된 SNS 압력이 매우 중요한 영향변인임을 밝혔다. 미에 대한 그릇된 인식과 추구는 여성이 자기 신체에 대해 불만족하게 만듦으로써 각종 심리적 고통과 섭식장애를 초래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여성의 신체 만족도에 부정적 영향을 미치는 위험 요소를 확인함으로써 향후 올바른 자아 인식과 건강한 신체 이미지를 확립하는데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기대된다. The main purpose of the current investigation was to examine how the passive andactive SNS uses, the perceived pressure from SNS, the comparison of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thin ideal affected women's own body dissatisfaction. Results showed that the passive SNS us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and didn’t significantly affect the internalization of the thin ideal and the dissatisfaction with one’s own body. The active SNS use did not have a significant effect on the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and the internalization of the thin ideal, but I found that the active SNS use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women’s own body dissatisfaction directly. And the perceived SNS pressure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physical appearance comparison, the internalization of thin idea, and one’s own body dissatisfaction. Furthermore, the internalization of the thin ideal has been shown to have a mediating effect between appearance comparison and body dissatisfaction. Through this study, I have confirmed that SNS, like traditional media, could affect women's body images. The wrong perception and pursuit of women's beauty could causes various psychological distress and eating disorders by making women dissatisfied with their own bodies. Therefore, this study is expected to serve as a foundation for establishing the appropriate self-awareness of women's healthy body images in the future by identifying risk factors that negatively affect women's body satisfaction. Limitations and suggestions for future studies were proposed there after.

      • 현대인들의 SNS의존에 대한 기독교 상담적 진단과 대안

        강윤미 서울여자대학교 일반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7807

        The topic of this study was the SNS phenomenon from the perspective of the object relations theory. The investigator estimated that there was a relational desire at the center of all desires to express oneself or have oneself recognized in the SNS space. SNS users meet their need for emotional relations, which is not satisfied in reality enough, in the SNS space and cannot exist without SNS as a means of maintaining their attachment to their internal objects. Their internal psychological structure and motivations were examined according to Fairbairn's theory. In addition, Winnicott's theory was used to point out the harmful effects of SNS and search for ways for SNS to serve as an instrument to take a leap into reality. Instead of suggesting a superficial solution to demand that SNS-dependent individuals should separate and sever themselves from SNS, the study looked into their internal psychological causes and structures and took a step to a theoretical solution, thus holding its significance. The study raised a need for a community in a hugging environment and counselors, who could exist as good objects in psychological existence, before the numerous possibilities of the traumatic situations experienced by the initial ego being manifested. Only when there are these supports, SNS can settle down as a space in which individuals can experience independent and realistic truth. It has been hardly 20 years since the Internet generation called the "I generation" appeared, but the cyber space is working as space that is as important as the real world. Even though the harmful effects of SNS increase gradually, there is no blocking them in the first place. It will not be an enough solution to tell SNS users to have some distance from SNS and sever their relations with it. We exist in the whirlpool of changes whether we want it or not. We cannot turn our back on SNS or separate ourselves from it completely in a process of putting up the next generation according to the flow of the times. The present study thus agreed with and accepted the arguments about the negative elements or harmful effects of SNS usage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em, the study focused on proposing ways to use SNS more efficiently, which is one of its advantages. The investigator raised a need to discuss the psychological factors and motivations of individuals dependent on SNS in greater depth from more diverse perspectives, hoping that SNS like a double-edged sword will serve as a tool for individuals to perceive others as independent and realistic beings and interact with them rather than having subjective and projective experiences. Individuals will hopefully have an opportunity to explore ways for them to exist in a whole form together and take a step further. Finally, modern people in anxiety and suffering will hopefully remind themselves of the meanings of being together and achieving together in life and find a path to integration instead of division for one another. 본 논문은 대상관계 이론적 관점에서 SNS 이용 현상을 주제로 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SNS 공간에서 자신을 표현하거나 인정받고 싶어 하는 모든 욕구의 중심에는 관계적 욕구가 존재한다고 보았다. SNS 사용자들이 현실에서 충분히 얻지 못한 정서적 관계의 필요를 SNS 공간에서 충족하고, 내적대상과의 애착을 유지하기 위한 수단으로 SNS가 없이는 존재할 수 없는 개인들의 내면적 심리구조와 동기를 페어베언의 이론으로 점검하였다. 또한 위니캇의 이론을 통해 SNS의 폐해를 지적하고, SNS가 현실로 도약할 수 있는 도구로 작용할 수 있는 방안을 모색해 보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SNS에 의존하여 살아가는 개인에게 SNS와의 분리와 단절만을 요구하는 피상적인 해결책이 아니라 심리 내적원인과 구조를 살펴보고 원론적인 해결을 향해 한걸음 나아가는 데 의미가 있다고 생각한다. 본 연구에서는 최초의 자아가 경험한 외상적 상황이 발현될 수 밖에 없는 수많은 가능성 앞에서 안아주는 환경의 공동체와 심리적 실재 안에 좋은 대상으로 존재할 수 있는 상담사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한다. 이것이 뒷받침될 때 비로소 SNS가 독립적이고 현실적인 실체를 경험할 수 있는 공간으로 자리할 수 있다고 보기 때문이다. ‘I 세대’ 라고 불리는 인터넷 세대가 등장한지 20년도 채 되지 않았지만, 사이버 공간은 이제 현실 세계 못지않은 중요한 공간으로 작용하고 있다. 더구나 SNS의 폐해가 점점 늘어가고 있지만, 이를 원천봉쇄할 수 없을 뿐더러 거리를 두고 단절하라고 제안하는 것으로도 충분한 해결책이 되지 못한다. 우리는 원하던 원치 않던 모두 변화의 소용돌이 속에 존재하고 있다. 또한 시대적인 흐름에 맞추어가면서 다음 세대를 세워가는 과정에서 SNS를 외면한다거나 완벽하게 분리되어 살아갈 수 없다. 따라서 기존 연구에서 제기한 SNS 이용에 관한 부정적인 요소나 폐해에 대해 우려하는 주장들에 동의하고 수용한다. 이를 토대로 본 논문에서는 조금 더 효율적으로 SNS를 사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안하는 데 초점을 두었고, 이는 본 논문이 가진 장점이라고 생각한다. 본 연구자는 SNS 의존성에 담긴 개인의 심리적 요인에 대한 고찰과 동기요인 파악이 보다 더 다양한 관점에서 심도 있게 논의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이로써 양날의 검과 같은 SNS가 주관적이고 투사적인 경험이 아닌 독립적이고 현실적인 존재로 타인을 지각하고, 상호작용할 수 있는 도구로써 사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또한 개인이 온전한 자신으로 존재할 수 있는 방안을 함께 탐색해 보는 기회를 갖고, 한걸음 더 나아갈 수 있기를 기대한다. 마지막으로 불안과 고통을 떠안고 살아가는 현대인들의 삶 속에서 함께하고, 함께 이루어가는 것에 대한 의미를 되새기며 서로가 서로에게 분열이 아닌 통합으로 가는 통로가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여행 중 SNS 이용 동기와 이용 행태가 여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 방한 중국인 관광객을 대상으로

        LIANG FANG 세종대학교 일반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807

        As social media software of maintaining interpersonal relationship, SNS has been widely applied in industry application, especially in tourism industry. Research report has shown that during the trip, the using frequency of SNS as well as the time ratio of using SNS is increasing and the using time of SNS during the trip for some people even takes up the whole journey. From 2011, the Korean wave is gaining soaring popularity in China and the Chinese travelers going to Korea for traveling ranked the top among all foreign visitors. Therefore, this paper has made discussion from three backgrounds of tourism information acquisition, tourism experience sharing and the dependence of travelers on SNS during each traveling stage and studied the effect of the using motivation and behavior of SNS among travelers on the travel satisfaction by taking the Chinese travelers traveling to Korea as object. First, this paper summarized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SNS using motivation, using behavior as well as travel satisfaction through documentation and attained definition of determination applicable to this paper; and then sorted out the research model of pilot study design; finally collected 234 questionnaires by making questionnaires among Chinese travelers who traveled to Korea between March and April 2016 and made causality analysis for three key factors with SPSS21.0 statistics software to make simple frequency analysis, factor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regression analysis method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ing, first, the social key factor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ling had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key factor; second, the amusement key factor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ling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key factor; third, the amusement key factor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ling had direct effect on psychological key factor; fourth, the social key factor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ling had direct effect on functional key factor; fifth, the social key factor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ling had direct effect on travel satisfaction; sixth, the amusement key factor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ling didn't have a direct effect on travel satisfaction; seventh, the psychological key factor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ling had direct effect on travel satisfaction; eighth, the functional key factor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ling had direct effect on travel satisfaction. The summarization of above using motivation and using behavior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ing has great influence on travel satisfaction. The attained enlightenments based on above research are as following, first, it has drawn out the influence of social key factor and travel satisfaction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ing and provided basic material for following research. Second, it has provided dynamic behavior of mastering travelers quickly through the influence relationship among psychological key factor, functional key factor and travel satisfaction. Third, the amusement key factor has no influence on travel satisfaction, which is opposite to current research result. It has proven that in the research on travel satisfaction of travelers using SNS during traveling, the amusement key factor is not important. Last, the influence index of social key factor and psychological key factor is the highest among all factors. It can be analyzed that the SNS using behavior starting from self-expression has already separated from the past derogatory range of simply showing off and become the positive behavior of willing to sharing information. This change attributes to the fact that compared with massive Google searching, the travel information as well as individual travel experience of people shared by SNS is with higher reliability, which is in line with current research result. SNS의 발전에 따라 사람의 일상생활에서 잘 활용하고 있지만 여행에 대한 수요는 기하급수적으로 증가하게 하였다. SNS 이용자 여행객들의 특성과 패턴을 파악하고 여행만족도에 대한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대해 알아보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여행정보 탐색과 수용, 여행경험 공유, 여행 단계별 SNS이용의존도 3가지 배경측면으로 방한 중국인 여행객을 대상으로 여행 중 SNS 이용 동기와 이용행태가 여행만족도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목적으로 연구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연구의 측정변수 SNS 이용 동기, 이용 행태, 여행만족도를 정의하고, 이론적 문헌고찰을 통해 설정된 연구모형에 대한 측정변수들 간의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한다. 우선 선행연구를 바탕으로 각 측정변수에 간의 관계 모형을 설정하였다. 그 이후 이론적 문헌고찰과 기존 선행연구를 통하여 측정항목을 수집하여 수정 및 보완하고 본 연구에 맞게 측정항목을 도출하여 설문지를 만들었다. 연구모형에 영향관계를 실증적으로 검증하기 위하여 한국 여행 경험을 있는 중국인 여행객들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시시하였고, 수집된 데이터는 연구목적에 따라 SPSS 21.0 통계 패키지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가설 검증결과를 보면 첫째, 여행 중 SNS 이용자의 사회적 요인은 심리적 요인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여행 중 SNS 이용자의 유희적 요인은 심리적 요인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여행 중 SNS 이용자의 사회적 요인은 심리적 요인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여행 중 SNS 이용자의 사회적 요인은 기능적 요인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여행 중에 SNS 이용자의 사회적 요인은 여행만족도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섯째, 여행 중 SNS 이용자의 유희적 요인은 여행만족도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일곱째, 여행 중에 SNS 이용자의 심리적 요인은 여행만족도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덟째, 여행 중 SNS 이용자의 기능적 요인은 여행만족도에 정(+)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위의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정리해 보면 다음과 같다. 우선 여행 중에 SNS 사회적 요인은 여행만족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제시하였다는 것이다. 후속 여행 관련 다른 변수들과의 영향관계에 대한 연구를 진행하는 데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심리적 요인과 기능적 요인 및 여행만족도에 유의한 영향관계를 제시함으로써 여행 중 SNS 이용 여행객들의 이용 행태를 쉽고 빠르게 파악할 수 있는 이용 행태 측정항목을 제시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고와 달라 유희적 요인은 여행만족도에 영향을 미치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나는 것으로 이는 본 연구에서 여행 중 SNS 이용자 여행객들이 유희적 요인은 만족도에 더 이상 중요하지 않은 새로이 논의를 라고 하고 선행연구와 차별화되는 점이라고 한다. 마지막으로 사회적 요인과 심리적 요인 및 여행만족도 간의 높은 영향관계 지수를 나타나 자기표현과 지기확인 차원으로 과시하는 행동이 과거 많은 연구에서 단순한 일차적으로 타인과 구분하기 위한 부정적인 개념에서 행위를 벗어나오는 연구결과와 다르다. 정보신뢰차원부터 차기표현이나 지가확인으로 공유하는 여행정보에 더욱 호응하고 신뢰하는 동시에 여행경험과시성향으로부터 자기표현의 형식으로 여행경험을 공유하는 정보생산자라는 장심열(2014)과 김종현(2015)의 연구결과와 통일하게 나타났다.

      • 대학생의 SNS(Social Network Service)상호작용에서 자기개방과 공감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 : 사회적 현존감의 매개효과

        김주현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새로운 대인관계의 장인 SNS에서 타인과 친밀감을 경험하게 되는 상호작용에 관해 알아보기 위한 연구이다. 우선, 친밀감의 형성 과정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알려진 자기개방과 공감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봄으로써 친밀감의 과정이 SNS 상호작용에서도 적용 가능한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또한, 그 과정에서 SNS 공간의 특성을 설명하기 위한 변인으로 사회적 현존감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대상은 SNS를 이용하고 있으며, 대학교에 재학 중인 대학생을 대상으로 하였고, 온라인 설문지를 통해 배포 및 자료를 수집하였다. 총 403명의 자료를 분석에 사용하였다. 분석 프로그램은 SPSS 21.0과 Mplus 7.2를 이용하였으며, 변인 간 상관분석을 실시하였고, 자기개방과 공감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과 사회적 현존감의 매개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구조방정식 방법으로 경로분석을 실시하였으며 매개효과의 유의성 검증을 위해 부트스트랩을 실시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Pearson의 상관분석을 통해 변인 간의 상관관계를 알아본 결과, SNS 상호작용에서 자기개방과 공감은 친밀감에 정적 상관을 보였으며 사회적 현존감은 친밀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고 자기개방과 공감은 사회적 현존감과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자기개방과 공감이 친밀감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현존감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자기개방과 공감 모두 친밀감과의 관계에서 사회적 현존감이 부분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자기개방과 공감이 친밀감을 경험하는 데 직접적인 영향을 미칠 뿐 아니라, 사회적 현존감을 통해서도 유의한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의미한다. 이상의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은 함의를 지닌다. 첫째, 사회적 현존감이 SNS 상호작용에서 자기개방과 공감이 친밀감을 경험하는 데 효과적인 매개변인이라는 점을 확인하였다. 이는 SNS 상호작용 상황에서 상대와 친밀한 관계가 되기 위해서 자기개방과 공감, 사회적 현존감의 향상이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둘째, SNS상호작용이 친밀감을 경험할 수 있는 대인관계의 하나의 장면으로 기능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제한점과 제언을 논의하고자 하였다. This study is designed to find out about the interaction you experience with others on SNS, the master of new interpersonal relationships. First of all, we wanted to see if social networking was also significant by looking at the impact of self-disclosure and empathy on intimacy as variables that affect the formation of intimacy. In addition, we wanted to examine the mediated effects of social presence as a variable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s of SNS space in the process.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using SNS, college students, and distribution and data were collected through online questionnaires. A total of 403 people were used for analysis. The analysis program used SPSS 21.0 and Mplus 7.2, performed a correlation analysis between the variables, performed a path 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s of self-disclosure and empathy on intimacy and the mediated effects of social presence, and performed bootstrap to verify the significance of the mediated effects.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Pearson's correlation with the variables was examined. In SNS interaction, self-disclosure and empathy showed a static correlation between intimacy. Social presence showed intimacy and static correlation, and self-disclosure and empathy showed social presence and static correlation. Second, as a result of verifying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presence in the influence of self-disclosure and empathy on intimacy, both self-disclosure and empathy showed that social presence partially mediated in the relationship with intimacy. This means that self-openness and empathy not only have a direct impact on experiencing intimacy, but also have a significant impact through social existentiality. The abov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implications. First, it was confirmed that social presence is an effective parameter for self-disclosure and empathy to experience intimacy in SNS interactions. This suggests that in the context of SNS interaction, self-disclosure, empathy, and improvement of social presence are necessary in order to become intimate with each other. Second, it suggests that SNS interaction can function as a scene of interpersonal relationships that can experience intimacy. Based on these results, we wanted to discuss the limitations and suggestions of this study.

      • 폐쇄형 SNS를 통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효과 분석 : 검도도장 내 BAND를 중심으로

        전승엽 용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는 경기도 용인지역에서 검도를 하는 만 19세 이상의 성인들을 대상으로 폐쇄형 SNS 이용행태가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데 목적이 있다. 본 연구를 위한 연구 도구로는 설문지를 이용 하였으며, ‘개인적 특성’, ‘이용행태’,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효과’ 총 3가지 항목에 걸쳐 34개의 문항으로 구성되어 하였다. 표집 방법은 편의 표본 추출법을 이용하여 300부를 배부하였고 이중 적절치 못한 설문지를 제외한 205부의 설문지가 본 연구에 사용되었다. 선정된 205부의 설문지는 SPSS 18.0을 통해 신뢰도분석, 탐색적 요인분석, 빈도분석, 교차분석, 독립 t-검정,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쨰, 조사자들의 개인적 특성 중 폐쇄형 SNS의 이용여부와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학력과 운동경력만이 이용여부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조사자들의 개인적 특성 중 폐쇄형 SNS의 이용형태와의 차이를 조사한 결과, 주당 운동 횟수와 운동경력만이 이용행태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이용패턴이 조직 내 커뮤니케이션 효과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분석한 결과, 참여 만족도를 제외한 조직 동일시, 조직 충성도, 구전의도에서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is aimed to analyse how Closed SNS Use Behavior influences o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Effect. The Study conducted a survey targeting adults who are over 19 years old train kumdo in Yong-In, Gyeonggi. I used a questionnaire on study tool and it was formed 34 questions in 3 strands: 'Individual Characteristic', 'Use Behavior' and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Effect'. As sampling method of this study, convenience sampling method was used and 205 copies out of 300 distributed copies were used after excluding inappropriate copies. The selected 205 questionnaires were utilized in the analysis, statistical treatment was done using SPSS18.0, and Reliability Analysis , Factor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hi-square test, Independent samples t-test, one- way ANOVA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arried out.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 as a result of analysis on the differences in uses of closed SN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the academic career and exercise career wa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second, as a result of analyzing on the differences in Closed SNS Use patterns among individual Characteristics, exercise frequency and exercise career was appeared to be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difference in Organizational communication Effect according to use behavior , Use behavior has significant impact on organizational identification, organization loyalty,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part from satisfaction with participation

      • SNS 특성이 주얼리 제품 및 온라인 쇼핑몰에 대한 태도형성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차진경 경기대학교 서비스경영전문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807

        본 연구의 목적은 SNS의 기능적 속성이 주얼리 제품을 소비하는 소비자 만족도와 구전의도에 미치는 영향과 주얼리 온라인 쇼핑몰 구매의도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는데 있다. 기존의 문헌연구를 통해 SNS의 특성 중 4가지가 대표성을 가지고 판단되어 다음과 같이 기능적 속성 4가지를 선정하였다. 속성 4가지는 다음과 같다. 맥락성, 대응성, 사회적실재감, 상호작용성으로 세분화하였다. 구축된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317명의 대상으로 설문을 실시하였다. 주얼리 제품 구매 경험이 있는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한 설문을 바탕으로 분석을 실시하여 가설을 검정하였다. 결과를 보면, SNS의 기능적 속성 요소인 맥락성이 주얼리 제품 구매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대응성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실재감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 만족도에 긍정적인 영향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상호작용성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 만족도에 무의미한 영향 관계를 발견하였다. SNS의 기능적 속성인 상호작용성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들의 만족도와는 아무런 관련성이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기능적 속성들과 구전의도와의 관계 가설 검정에서 역시 같은 결과를 얻었다. SNS의 기능적 속성 요소인 맥락성이 주얼리 제품 구매자의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대응성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의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사회적 실재감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의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변인으로 나타났다. 주얼리 제품 구매자들은 SNS를 다른 사람과 다른 세계를 연결해 주는 부드러운 이미지를 부여할 때 주얼리 제품을 구매할 가능성이 높다고 볼 수 있고 구전의도에도 밀접하게 연결되어 있는 것으로 보여진다. 상호작용성은 주얼리 제품 구매자의 구전의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SNS의 기능적 속성인 상호작용성이 원활하게 될수록 구매자들의 구전의도가 높아간다고 할 수 있고 주얼리 제품 구매자들의 구전의도에도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소비자 만족도는 구전의도와 관계 가설에서는 소비자 만족도는 소비자들의 구전의도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전의도 역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 만족도는 구매의도와 가설에서는 긍정적인 영향 관계를 발견하였다. 소비자 만족도는 소비자들의 제품 구매의도를 형성하는 데 결정적인 요소라 할 수 있다. 만족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 역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소비자 구전의도는 구매의도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드러났다. 구전의도가 높을수록 구매의도 역시 높아진다고 할 수 있다. The objective of the study is to explore how to influence SNS’s characteristics on attitude formation toward jewelry product and online shopping mall. SNS’s characteristics are contextuality, responsiveness,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as independent variables. Consumer satisfaction, worth of mouth and purchase intention are considered as dependent variables. Data were collected from a survey of 317 consumers who have experience to purchase jewelry product to examine their attitude toward SNSs, jewelry product, and online shopping mall from November 1 to November 15 2013. In order to test hypotheses, CFA analysis with covariance structure analysis was conducted using EQS6b. The results of the CFA show that contextuality, responsiveness and social presence of SNS’s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consumer satisfaction. But the relationship between interaction and consumer satisfaction did not. As well as, contextuality, responsiveness,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of SNS’s characteristics have a positive influence on word of mouth intention. Consumer satisfaction is positively effect on word of mouth intention. Consumer satisfaction and word of mouth intention are influenced on purchase intention of jewelry product. SNS’s users have a tendency to perceive SNSs as bridge to connect other people and to get new information as well as they are willing to feel familiarity on SNSs. Users, who have a higher contextuality, responsiveness, social presence, and interaction of SNS’s characteristics, are willing to have word of mouth intention of jewelry product as well as have high satisfaction. The study found that interaction is not effect on consumer satisfaction because interaction factor is to evaluate SNSs as one of the media.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