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연구

        하정옥(Ha, Jung-Ok) 한국여성연구소 2015 페미니즘 연구 Vol.15 No.1

        이 논문은 한국에서 ‘대리모’라는 말과 연관된 현실과 담론을 연구하는 데서 허용/반대를 논하기에 앞서 먼저 고려해 보아야 할 사항을 검토한다. 이 글에서는 ‘대리모’ 대신 ‘임신·출산 거래’라는 용어로, 한국에서 재생산을 둘러싼 규범과 제도가 생식기술의 도입과 부모됨(parenthood)의 문화적 변동으로 어떤 파열음을 내고 봉합되고 있는가를 분석한다. 구체적으로 검토하고자 연구 질문은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와 관련하여 당연시되는 전제 세 가지이다. 첫 번째는 임신·출산 거래의 불가피성을 강조하는 데서 반드시 등장하는 최근 한국의 불임 인구의 증가 관련 수치이다. 증가한 것은 불임 인구가 아니라 정부의 체외수정(시험관아기) 시술비 지원에 따른 불임으로 진단받은 인구의 증가이다. 두 번째는 아이를 원하는 것은 자연적 본능이라는 전제이다. 오늘날 부모됨을 규정하는 주요한 요소는 혈연적 본능이 아니라 부모가 되고자 하는 의지이다. 그리고 마지막으로 임신·출산 거래에 대해 선별적인 규제와 친자 관계 보완이 필요하다는 전제이다. 이타적 호혜와 상업적 거래의 구분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며, 출생의 가족주의에 대한 성찰 없이 친자 관계 보완만으로는 아동의 권리를 보장할 수 없다. 한국의 임신·출산 거래 현실은 낯설지만 익숙한 다른 사회적 현실과 연동하고 있기에 의료기술의 적용에 대한 분석 이상을 요구한다. 성별 규범에서 모성의 의미, 가족관계로만 인식되고 인정되는 출생, 아이의 권리 부재 등 오늘날 한국 사회가 직면하고 있는 이슈들을 함께 고려해야 임신·출산 거래에 대한 연구와 현실적 대안 마련이 가능할 것이다. This paper attempts to question taken-for-granted assumptions about the current situation of and discourse about “surrogacy” in Korea (though I prefer the term “pregnancy and birth (P&B) transactions” rather than “surrogacy” to examine the reality and theoretical issues). The first assumption relates to the statistics about Korea’s current rise in infertility that are used to emphasize the need for P&B transactions. The rise is not in the infertile population itself but in the population diagnosed with (“unexplained”) infertility who needs a purposive procedure in order to get a government subsidiary for IVF treatments. The second is the naturalist assumption of parenthood. The essential factor of contemporary parenthood is increasingly considered to be not blood-ties (“genetic parents”) but intention (“intended parents”). The last issue is the selective regulation of P&B transactions. Distinguishing between “altruistic” and “commercial” transactions is not only impossible but also undesirable. P&B transactions may seem odd and unfamiliar, but because they interlock with other, more familiar social realities, analysis of more than the technology itself is called for. The meaning of motherhood within gender norms, birth that is only perceived and given official recognition as a family relationship, children’s lack of rights ― only when we think together about these issues that Korean society faces today does it become possible to produce research about and realistic alternatives to P&B transactions.

      • KCI등재

        현행 법체계에서 대리모에 관한 소고

        정화성 ( Jeong Hwa Seong ) 중앙대학교 법학연구원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법연구소 2020 문화.미디어.엔터테인먼트 법 Vol.14 No.2

        의학의 발전은 인간이 예전에 예상하지 못한 부분까지도 가능성을 열어주게 되었고, 이러한 부분은 생명윤리적으로나 사회적 갈등을 모두 포함하고 있어 쉽게 결정을 내리기에는 어려운 현실이다. 이와 같은 복잡한 쟁점에 대해서는 완벽한 해결방안도, 완전한 합의점도 도출해 내기 쉽지 않다. 하지만 다양한 첨단 의료기술의 발전은 자연적으로 아이를 가질 수 없는 상황임에도 불구하고 보조생식술을 이용하여 난임 부부들의 어려움을 해결하는 좋은 해결방법이 되었다. 특히 첨단 의료기술에 힘입은 보조생식술은 인공수정뿐 아니라 체외수정, 그리고 이를 응용한 이른바 대리모까지도 가능하게 만들었다. 다만 아직까지 국내에서는 대리출산과 대리모를 어떻게 규율할 것인지에 관한 사회적 합의가 이루어졌다고 평가하기에는 어렵다. 그렇기 때문에 대리모 문제는 어떠한 구체적인 규율을 통해 어떻게 해결할 것인지, 어떤 방식으로 규제할 것인지에 관한 사회적 합의를 위한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또한 멀지 않은 시기에 대리모는 인공자궁으로 대체되어 관련 법규가 무의미해질수도 있지만, 현재와 같이 적지 않은 규모의 대리모 암시장이 활성화 되어 있는 상태라면 법 외적인 영역으로 판단하여 방치할 수는 없다는 점에 대해서만큼은 반드시 의견의 일치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이렇듯 대리출산 및 대리모와 관련한 문제를 해결할 법률이 제정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이러한 문제들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서라도 대리모 여성과 그 여성으로부터 태어나는 출생자의 최소한의 보호를 위한 법률은 필요하다. 특히 대리모를 통해 태어난 출생자의 지위를 명확하게 해줄 입법은 시급한 과제라고 판단된다. This paper aims to review the legal validity of surrogacy under Korean existing law and to find implications for surrogacy legislations. Although medical advances including assisted reproductive techniques(ART) provide the infertile couples with having an opportunity to become parents, surrogacy has created a fierce controversy between bioethics and a human right to be a parent. Korean society is not premature enough to forge a social consensus on surrogacy. Moreover, Korea has not enacted a legislation on surrogacy yet. While the number of infertile couples has been increasing, the surrogate issues arise acutely at the same time. Thus the examination of necessity for specific regulations on surrogacy is essential to solve the ramifications including a black market problem. The issue concerning legal status of children from surrogate motherhood is the most exigent problem.

      • KCI등재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된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에서 법적 부모 결정 문제: 서울가정법원 2018.5.9.자 2018브15 결정 관련 사례에 대한 논의를 중심으로

        김은애,유수정 한국의료윤리학회 2018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21 No.3

        자녀를 두어 가족을 형성하고자 하지만 만혼 등을 이유로 자연적인 방법으로는 임신ㆍ출산이 불가능하거나 어려운 사람이 증가하고 있다. 이러한 상황이 체외수정시술을 중심으로 하는 보조생식술의 발전과 맞물리면서, 자신의 난자를 사용하지 않고 임신ㆍ출산의 과정만을 대신해주는 완전대리모/자궁대리모가 개입되지만 부모가 되고자 하는 남녀의 생식세포를 통해 생성된 배아를 대리모에게 이식하는 방식인 배우자간 보조생식술을 통해 아이가 태어나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그러나 난임에 있어 다양한 보조생식술을 이용하는 것이 보편화된 현실 상황을 현행「민법」과「가족관계의 등록 등에 관한법률」이 반영하고 있지 못한 상태이다. 따라서 이러한 방식으로 태어나는 아이와 대리모와 아이의 출생을 의도한 부모 사이에서 법적 부모자관계를 형성하는 일에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실제로 아이의 출생신고 시 제출된 출생신고서에는 모(母)가 되기를 의도한 여성(의도모)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으나 출생증명서에는 임신ㆍ출산을 대신 담당한 여성(대리모)의 인적사항이 기재되어 있어 서로 일치되지 않는다는 이유로 출생신고가 불수리처분된 사례가 발생하였다. 이 사례에 대해, 최근 서울가정법원은 현행「민법」상 부모 결정 기준 유지의 필요성, 출생신고서와 출생증명서상 모의 정보 불일치 시 출생신고 불수리의 정당성, 대리모의 법적 허용 불가능과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되는 대리모계약의 무효를 이유로 해당 출생신고의 불수리처분이 적절하다는 결정을 내린 바 있다. 이에 이 논문에서는 최근 서울가정법원 결정 관련 사례의 사실관계와 결정의 주요 내용을 살펴봄으로써 대리모 개입임신ㆍ출산의 윤리적 법적 측면, 특히 의도부모와 아이의 법적 부모자관계 형성과 관련된 문제에 대한향후 대응방안을 모색해보고자 하였다. South Korea’s “Civil Act” and the “Act on the Registration, etc. of Family Relationships” does not reflect the reality concerning the use of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nd surrogate pregnancy. Legal questions still arise for children born through surrogate pregnancies. In some cases, birth registrations are being rejected because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intended mother listed on the birth registration form is inconsistent with the personal information of the surrogate mother listed on the birth report. Moreover, the Seoul Family Court recently ruled that the rejection of birth registrations in such cases is appropriate due to the invalidity of surrogate contracts that violate public order, citing the need to maintain parent decision standards as per the existing “Civil Act.” This article addresses some of the ethical and legal issues surrounding surrogacy, especially the formation of legal parenting policies for parents and children, by examining the facts and recent decisions of the Seoul Family Court.

      • KCI등재

        대리모를 둘러싼 쟁점과 해결방안

        현소혜(Hyun, Sohye) 한국가족법학회 2018 가족법연구 Vol.32 No.1

        There are various types of legislation about surrogacy according to the cultural background, family law tradition and reality of each country, especially about whether to allow a surrogate contract, if so, under what conditions and who is to be considered as legal parents of the child born from the surrogate mother. However there is no statute nor precedent handling the surrogate motherhood issues in South Korea, though a lot of previous studies has dealt with these problems.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based on the prior academic achievements and the research results of foreign legislation, to propose a bill draft on surrogate motherhood for not only solving the situation of interest-conflicts between surrogate mother and genetic mother but stabilizing the legal status of the child born from the surrogate mother. The conclusion is as follows: (1) the effect of gestational surrogate motherhood contract should be recognized under some strict conditions on the qualification of surrogate mother and infertility of intent parents, etc.; (2) the surrogate mother who has given birth has the status of legal mother by priority; (3) one of parties to the contract can file a complaint for granting the status of legal mother to the genetic mother; (4) the surrogate mother may withdraw the surrogate contract within a certain period after the birth, in which case judges cannot decide the genetic mother as a legal mother.

      • KCI등재

        대리모계약의 효력과 모자관계 결정- 서울가정법원 2018. 5. 18. 자 2018브15 결정을 계기로 하여 -

        최성경 홍익대학교 법학연구소 2020 홍익법학 Vol.21 No.2

        This court rule was the first decision on the mother-child relationships decision criteriaon a child born by surogate mother and on the efect of surogate contract. In this case,a maried couple made contract on surogacy and tried to register the baby under theirnames with the birth certifcate writen under surogate mother as mother. The registrarrefused to acept it. Father insisted this is not commercial surogacy contract baned byBioethic law, neither is it ilegal to implant fertilzed eg to surogate refusing to takethe first decision court order. Thus, he made an apeal to the Seoul Family Court. The court made a decision that the mother-child relationships decision criteria of‘mother giving birth should be mother’ should be aplied to it and acordingly themother suplied eg could stil be mother by adoption by Civil Law. On the other hand,gestational surogate by implanting fertilzed eg by other couple is not alowed by lawand void by Civil Law§103. In this study, the meaning and laws relating surogate mother of other countries andthe discusion of the court and scholars are reviewed. This study has a view thatsurogacy contract is void and it does not ned to be alowed. On the birth of a child,without delay, gestational mother should be apointed as mother without private rule. In the next step, the private rule could be aplied by judging apropriate mother inraising the child by adoption system. In this step, court could consider the endeavor tobecome father and mother, the environment to the child and the harmony of the familyto intervene for the benefit of the child. This court rule was reasonable both on the efect of the surogate contract and abovediscusion as wel. 대상결정은 대리모계약의 효력과 대리모를 통하여 출생한 자와의 모자관계 결정기준을 정면으로 다룬 첫 번째 결정이다. 이 결정은, 출산대리모계약을 체결하고 대리모가 출산한 아이를 의뢰부모가 자신들의이름을 기재하여 출생신고하면서, 대리모가 모의 이름으로 기재되어 있는 출생증명서를 첨부서류로 제출하자, 가족관계등록공무원이 출생신고서에 기재된 모의 이름과 출생증명서상의 모의 이름이 일치하지 않는다는 이유로 불수리한 것에 대한 것이다. 이 불수리처분에 대하여 불복 신청을 하였으나, 1심 법원은 이를 각하하였다. 이에 대하여 신청인은 생명윤리법이 금지하는 영리 목적의 대리모계약도 아니며, 수정란을 착상하는 방법에 의한 대리모의 경우 법률상 금지된 것도 아니므로, 1심법원의 판단은 부당하다고 주장하면서 항고를 하였고, 2심법원인 서울가정법원은 대리모계약에 대한 판단을 하게 되었다. 법원은 우리 민법상 모자관계의 결정기준인‘모의 출산사실’이 대리모출산의 경우에도 그대로 적용되어야 한다는 점을 밝히면서 난자를 제공한 사람은 민법상‘친양자 입양’을 통하여 법적 친자관계를 가질 수 있다고 하였다. 또 부부의 정자와 난자로 만든 수정체를 다른 여성의 자궁에 착상시킨 후 출산케 하는 이른바 ‘출산대리모’도 우리 법령의 해석상 허용되지 아니하며,이러한 대리모를 통한 출산을 내용으로 하는 계약은 선량한 풍속 기타 사회질서에 위반하는 것으로써 민법 제103조에 의하여 무효라고 판단하였다. 이에 대하여 대법원에 재항고하였으나, 이후 재항고를 취하하여 위 결정은 확정되었다. 이 연구에서는 법원의 이 결정과 관련하여, 대리모의 의의와 각국의 입법례를 정리해보고, 대리모와 관련된 사안이 다뤄진 우리 사법부의 동향 및 학계의 논의를 검토하여 본다. 이후 대리모계약은 무효라는 입장에서, 입법 등으로 허용하자는 견해에 반대하는 사견을 밝힌다. 대리모계약이 허용되지 않더라도 여전히 대리모를 통한 아동이 출생할 가능성이 있는데, 그러한 경우 아동의 모(母)의 결정에 대하여는 출생시에는 출산모(대리모)가 모가 되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대리모를 통한 출생아의 모의 결정은 두 단계로 나누어 볼 필요가 있다. 즉 아동은 출생시에는 출산한 모가 모(母)로 인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것은 사적 자치로 달리 정할 수 없다. 이후 양육단계에서부터는 - 그 시간적 간격이 출생시로부터 매우짧더라도- 사적자치가 관여할 수 있는 단계로 친양자 제도 등을 통해 양육에 적합한 자가모(母)로 될 수 있다. 그리고 이 단계에서 법원은 부모의 지위를 얻으려고 의도했던 노력,아동의 성장에 필요한 환경, 가족 구성의 원만함 등의 특별한 사정도 감안하여 아동의 최선의 이익과 복리를 고려하여 간섭할 수 있다. 대상결정은 위와 같은 검토사안에 비추어 보아 대리모계약의 유효성에 대한 판단이나,모의 결정 등이 모두 타당한 의미 있는 결정이다.

      • KCI등재

        대리모에 의한 출산자의 모자관계

        이영규 ( Young Gyu Lee ) 한국법정책학회 2010 법과 정책연구 Vol.10 No.1

        Because of recent technology in the way a child can be conceived, it became apparent that new laws defining parentage were needed. A legal mother is one who carries a child to birth. But it can now also be one whose egg was fertilized, someone who has been adjudicated as such through adoption, or one under a gestational agreement. Under these last three instances, the woman who carried the child to birth would not be the legal mother. There are two types of surrogacy. The first type is the traditional surrogacy arrangement, in which a couple contracts with a surrogate mother to have the intentional father`s sperm artificially inseminated into the surrogate. Here the surrogate will use her own egg, thus she will be genetically related to the child. The second type of surrogacy, called gestational surrogacy, can take place several ways. The intentional mother can use her own egg and the intentional father will use his own sperm, and the embryo, which is fertilized outside of the womb, will then be transplanted into the uterus of the surrogate mother. In this case, the surrogate mother is not genetically related to the child. As the use of surrogates has become more prevalent, courts and legislatures have been challenged by the legality of surrogacy agreements. Our society must determine the appropriate degree of legal regulation of these procedures. In family law is three types of motherhood including biological motherhood, legal motherhood, and social motherhood. However, the relationship between a child and her legal mother is social motherhood.

      • KCI등재

        대리모계약에 대한 유효성 논란과 법리분석

        박철호(Park, CheolHo) 한양법학회 2009 漢陽法學 Vol.28 No.-

        Today the advancement of life scientific technique contributed it solves a sterility effectively. It does so, it is this possibility of the artificial pregnancy such as the Artificial Insemination, the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the gamete intrafalopian transfer etc. The birth of the child who leads the surrogate mother became accomplished. But the surrogate mother contract appears and the problems which forecast it cannot entirely before are proposed, There is to surrogate mother contract, the surrogate mother and the client where becomes the mother legally changes. The problem of many law will be able to occur. Each nations are taking the position which differs each other in about permission and prohibition of surrogate mother system. However the surrogate mother occurs from all countries, the nation which permits a surrogate mother contract or the nation which forbids a surrogate mother contract. Our country is not legal provision to about the surrogate mother contract. It does to entrust in interpretation of civil law. The legal interpretation as a matter of surrogate mother contract violates in the 103 provision of civil law. And so, the multiple position as invalidity thought a surrogate mother contract. But forbidding a surrogate mother contract restricts the desire of race preservation. Also the surrogate mother contract is contracted majority actually. The illegal behavior is promoted is containing a problem consequently. This Article is composed 6 part. The first and last part are introduction and conclusion. The second part is a meaning and background of surrogate mother contract. The third part is a argument in about effect of surrogate mother contract. The forth part is a juridical relation of surrogate mother contract. The fifth part is a our country legislation trend in about surrogate mother contra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