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Establishment of an optimal culture system for the human IVF-ET program by comparative studies on culture media and oxygen concentrations

        윤정 Graduate School, Korea University 2020 국내박사

        RANK : 232367

        Since in vitro fertilization program was first established, assisted reproductive technology (ART) have advanced significantly over the last three decades resulting in higher implantation and take home baby rates. To optimize embryo development in vitro and maintain the viability of the concep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culture systems consisting of the media, gas phase, type of oil overlay, the culture vessel, the incubation chamber, and ambient air quality. The concept of an embryo culture system emphasizes all parameters within the laboratory, as well as the interactions that exist between the embryo and the environment. Quality-controlled commercial medium has been used in many in vitro fertilization (IVF) laboratories. However, it is expensive and difficult to compare directly because the exact composition is not clearly marked. The use of in-house defined sequential media would be desirable to avoid disadvantages associated with commercial media and to obtain a high pregnancy rate. In chapter III, the efficacy of in-house MRC media was compared to that of commercially available media in human in vitro fertilization-embryo transfer (IVF-ET) program. There were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s in fertilization rates, clinical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between the groups. However, the proportion of embryos with good quality on day 3 was significantly higher in the MRC media group than the Sydney IVF media. The present study implies that MRC media can be a suitable alternative to commercially available media for the human IVF-ET program. The reproductive capacity in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is significantly lower than that in women under 35 years of age. The major factors in the reproductive capacity of older patients are the decrease in oocyte quality, low fertilization rate, poor embryonic development, low pregnancy rate, and increased rate of chromosomal aberrations. Therefore, understanding the mechanisms of reproductive aging is essential to improving pregnancy rates in advanced age women. In chapter IV, the effects of resveratrol, GM-CSF, or DCA in the culture media was investigated. Among the three substances, resveratrol significantly improved pregnancy and implantation rates. It is thought to be due to the biological activities of resveratrol as an anti-oxidant and/or a mitochondrial nutri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addition of resveratrol to culture media may potentially increase pregnancy outcomes in women of advanced maternal age. In most IVF clinics, embryos are routinely cultured under 5% oxygen concentration for 3-6 days, which represents the state of chronic hypoxia. Expressions of O2 regulated genes had important roles in the regulation of pre-implantation embryonic metabolism and low oxygen tension increased embryo development. HIF is an essential mediator of transcriptional metabolic responses to hypoxia in various cell types. HIF-1α protein can also be induced by IGF-I treatment in various cell lines. However, the expression and function of HIF-1α in embryogenesis is still unclear. In chapter V, the effects of oxygen tension and IGF-I on embryonic development and HIF-1α expression were investigated. Reduced oxygen tension along with IGF-I supplementation increased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mouse blastocysts. However, HIF-1α protein levels were independent of oxygen concentration or IGF-I treatment. These results suggest that the use of reduced oxygen tension and IGF-I supplementation may increase embryo developmental potential. Human embryos can develop in vitro in different types of media and culture environments, but only media and culture systems designed specifically for the embryo is better able to maintain normal development and viability. Therefore, it is important to recognize the importance of culture medium and to optimize culture conditions. In that respect, this study showed that 1) the series of MRC media can be a suitable alternative to commercially available media for human IVF-ET programs, 2) the MRC media supplemented with resveratrol may be a suitable solution for patients with advanced maternal age, and 3) reduced oxygen tension along with IGF-I supplementation can increase the developmental potential of the embryo. In conclusion, applying these results may improve the efficiency of the human IVF-ET program and increase the implantation and pregnancy rates.

      • 자궁근층의 두께가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

        염현식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31962

        본 연구는?자궁근층의 비후가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의 결과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시행되었다.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을 시행 받은 413명의 환자, 551주기를 대상으로 자궁근층의 두께를 기준으로 ?A군 (<2.00cm), B군 (2.00-2.49cm), C군 (≥2.50cm)으로 구분하여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또한 B군과 C군에서 질초음파상 자궁선근증의 진단 기준 중 자궁근층의 비후 이외의?진단 기준, 즉 자궁근층의 줄무늬, 이질적 자궁근층, 자궁근층 낭포, 자궁내막과 자궁근층 접합부 경계의 모호함의 동반 유무에 따른 임상적 결과를 비교하였다. 착상율, 임상적 임신율, 출산율은 A군과 B군에 비해 C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았다. 유산율은 A군과 B군에 비해 C군에서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높았다. B군 중 자궁근층의 비후 이외의 자궁선근증의 다른 질초음파 영상 소견을 동반하는 군에서 동반하지 않는 군에 비해 통계학적으로 유의하게 낮은 착상율, 임상적 임신율, 출산율 및 높은 유산율을 보였다. ?이 결과로 2.50cm 이상의 자궁근층의 비후가 있는 경우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의 결과에 전반적으로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경증의 자궁근층의 비후가 있는 경우에도 자궁선근증의 다른 질초음파 영상 소견이 동반되었을 경우 체외수정 및 배아이식의 결과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침을 확인할 수 있었다.

      • 補助生殖에 관한 民法上의 問題點

        맹광호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5 국내박사

        RANK : 231960

        生殖醫學의 진보는 자연적인 생식방법으로는 子를 가질 수 없는 불임부부 등에게 희망을 성취시킬 수 있는 여러 가지 가능성을 실현해 왔다. 이에 따라서 체내인공수정이나 체외수정 그리고 대리모임신과 같은 補助生殖術은 이미 보편적인 불임치료의 수단으로 이용되고 있다. 그러나 보조생식술을 이용한 출산의 증가와 함께 많은 민사법적 문제들이 발생하게 되었지만, 보조생식으로 인한 子의 출산을 예견하지 못하고 제정된 민법을 비롯한 민사법 체계는 이를 규율할 수 있는 법규범으로서 기본적인 한계를 가지고 있다. 2005년부터 생명윤리및안전에관한법률’이 시행되었지만, 주로 생명윤리의 관점에서 생식세포의 매매금지나 배아의 보호를 위한 규제적 성격을 가지고 있을 뿐이어서 보조생식으로 인해 발생되는 법적 문제를 처리하는 기준으로는 미흡하다. 그러므로 보조생식으로 출생한 子의 친자법적 지위, 친자관계 결정 문제, 정자제공자의 법적 지위, 대리모계약의 유효성, 생식세포와 배아의 법적 성격 등에 대한 민사법적 문제점들은 현행 민법 등의 해석론이나 판례의 입장에 의해 규율될 수밖에 없다. 體內人工授精과 관련하여, 夫의 동의 없는 비배우자간 인공수정(AID)으로 출생한 子도 원칙적으로 모의 배우자인 夫의 친생자추정을 받는다고 해야 하고, 다만 이러한 子의 母와 그 배우자인 夫가 이미 이혼한 경우처럼 이미 보호할 가정의 평화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만 그 夫의 친생자추정이 미치지 않는다고 보아야 한다. 夫가 비배우자간 인공수정에 동의한 경우에, 인공수정자는 동의한 夫의 친생자추정을 받는다. 이 경우에 출생자와 모의 夫 사이에 자연적인 혈연관계가 없다는 것을 이유로 夫가 친생부인의 소를 제기하는 것은 신의칙 등에 반하는 것으로서 부정되어야 한다. 그리고 예외적으로 인공수정자에 대한 夫의 친자관계가 부정되고 정자제공자를 특정할 수 있는 경우에, 정자제공자가 任意認知를 하거나 인공수정자가 認知請求할 수 있는지의 문제가 발생하는데, 子와의 친자관계를 형성할 의사가 없었던 정자제공자가 법적인 친자관계를 인정받아 부양과 상속의무를 부담하는 것은 부당하므로고 이를 인정할 수는 없다고 본다. 體外受精에 관련하여, 체외수정의 유형 중에서 子의 출생을 의도하는 부부의 생식세포를 전혀 이용하지 않고, 모두 제공자의 난자나 정자만으로 체외수정하여 자를 출산하는 것은 입법적으로 금지해야 한다. 생식세포인 정자와 난자의 법적 성격에 대해서는, 인체으로부터 분리된 신체의 구성부분은 物件이라는 통설에 따라서 그 물건으로 인정하고 분리전의 귀속자가 그 소유권자라고 본다. 그러나 생명의 기초인 생식세포라는 특성상 인체로부터 분리된 정자나 난자에 대하여 일반적인 소유권의 내용이 그대로 인정될 수는 없다고 하겠다. 체외수정으로 생성된 배아의 법적 성격에 대하여는 배아가 인간으로 발현될 수 있는 가능성이 있는 존재라는 이유만으로, 배아에게 權利能力을 인정하는 명문의 규정이 없음에도 불구하고 보관중인 배아에게 비록 제한적이라도 권리능력을 인정할 수는 없다고 본다. 배아도 인체로부터 분리된 정자와 난자가 수정을 통해 결합된 것이고, 관리가능하고, 인체의 구성부분이 아니므로 이를 물건으로 보아 소유권의 객체가 된다고 해석해야 할 것이다. 따라서 원칙적으로 배아의 소유권은 배아를 구성하는 정자와 난자의 귀속권자인 체외수정을 시술받은 부부에게 있다고 본다. 다만 그 법적 성격을 물건으로 본다는 것은 배아가 動産과 동일한 고유의 성질이 있다는 의미가 아니라, 현행 민법상으로는 배아의 성격을 물건으로 취급할 수밖에 없다는 점에 의한 것이다. 그러나 이처럼 배아의 법적 성격을 물건으로 보아 소유권의 객체가 된다고 해석하는 경우에도, 자궁에 착상되면 세포분열, 성장, 分化를 통하여 인간 생명체로 발전될 수 있다는 그 잠재적 가능성을 고려하여 정자나 난자와 마찬가지로 動産에 대한 일반적인 所有權의 내용이 그대로 적용될 수는 없다고 본다. 대리모임신과 관련하여, 대리모계약의 효력을 인정하지 않는 견해의 주요 논거인 대리모계약이 민법 제103조의 반사회질서행위에 해당한다는 것은 ‘선량한 풍속’과 ‘사회질서’의 그 개념이 확정적인 것이 아닌 유동적인 개념이므로 그 효력을 부인할 수 있는 절대적인 근거는 아니다. 따라서 대리임신 ․ 출산에 대한 보상으로서 금전지급이 있는 代理母契約도 유효성을 인정하여 대리모계약에 수반되어 발생하는 법적 분쟁을 당사자들이 약정한 계약의 내용에 따라 규율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타당하다. 그리고 대리모계약의 내용 중 일부가 계약당사자 일방에게 지나치게 불리하거나 불합리한 경우에는, 민법 제137조의 一部無效의 法理를 적용하여 원칙적으로 그 부분만을 무효로 보거나, 경우에 따라서는 계약전체를 무효화면 당사자 일방을 법적으로 보호할 수 있을 것이다. 그리고 대리모가 출산한 子에게 유전적인 모와 출산한 모(대리모)가 있는 경우에는 자연적 혈연관계를 중시하여 遺傳的인 母를 법적인 모로 인정해야 할 것이다. 그러나 이러한 민법을 비롯한 민사법에 대한 해석론만으로는 보조생식으로 인하여 발생되는 법적 문제점과 분쟁을 해결하는 것은 분명히 한계가 있으므로, 이를 구체적으로 규율할 수 있는 민법 등의 개정이나 특별법의 입법이 필요하다고 하겠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