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헌법재판에 있어서의 조약 : 국제(통상·인권)법의 국내 실행과 관련한 판례를 중심으로

        김용훈(Kim Yong-Hoon) 한국헌법학회 2011 憲法學硏究 Vol.17 No.4

        It is unreasonable and unacceptable that domestic area has nothing to do with international area. Rather than that, it is easily seen that international law is connected with domestic field and international law regulates the state even individuals in such states. However, as the implementation and enforcement of international law is up to legal character and enforcement system in the scope of each state, it is easily told that whether international law is implemented or not is at national authorities' disposal, particularly judicial departments' disposal. In particular, based on the fact that the supreme norm of national legal system is constitution and constitutional court has the final authority to judge whether international law is uncompatible with constitutional law, we can't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onstitutional adjudication concerning with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too much. Nevertheless, constitutional court deserves to blame due to the fact that constitutional court has inconsistent position relation to the interpretation and judgement of international law. Actually, though constitutional court admits the direct effect and the direct application in case of international economic law, it denies the direct effect of international human rights law. In other words, constitutional court does not give out its own argument based on its judgement in each case. Of course, constitutional court has good reason to obtain such a inconsistent position to some extent on the ground of separation of powers, the principle of democracy and possibility of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However, it is desirable that constitutional court issues its judgement concerning the implementation of international law because constitutional court is able to get by the legitimacy and persuasiveness from the persuasive argument and constitutional court has influenced the policy of executive branch and legal judgement of other judicial branches. It highly time that constitutional court is equipped with the theoretical argument in giving its judgement concerning international law. 국민생활이 국제화되고 국제법의 관심이 국제관계를 넘어 일반 국민의 권리·의무에 직접 관계되는 사항에까지 미침에 따라 국제적 수준의 규범은 국내 상황과 관계를 맺고 있을 뿐만 아니라 국내 상황을 규율하고 있다. 하지만 국제법의 이행과 준수는 결국 국내적인 수준에서 존재하는 각 규범의 법적 성질과 이행조치에 의하여 좌우되기 때문에 국제법의 운명은 궁극적으로 당해 국제법을 국내법으로 수용하는 각국 법체제의 특성, 각국 정부의 국제법 준수의지와 조치 그리고 국제법에 대한 국내 법원의 사법적 적용에 달려 있다고 보는 것이 보다 법현실에 들어맞는 해석이 아닌 가 한다. 이를 고려한다면 무엇보다 사법기관의 판단이 중요하다. 그런데 국가의 최고법은 헌법이고 조약을 비롯한 국제법규범의 헌법 위반에 대한 최종적인 판단권한이 헌법재판소에게 부여되어 있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헌법재판의 중요성은 더욱 배가된다. 국제적인 차원의 집행수단이 특별히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감안한다면 조약의 운명은 결국 헌법재판소의 결정에 상당 정도 의존하고 있다고 하여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국내적인 수준의 국제조약의 효력나아가 국내 인권보장의 정도가 헌법재판소의 판단과 결단에 달려 있다고 하여도 무리가 아닌 상황에서 헌법재판소의 입장의 중요성은 아무리 강조해도 지나치지 않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국제법에 대한 일관되지 않은 입장을 보이고 있어 문제의 소지가 적지 않다. 국제통상 관련 규범의 경우에는 이의 직접 효력을 인정하고 있지만 국제인권규범의 경우에는 아무런 논거도 없이 이의 효력을 부인하고 있기 때문이다. 물론 권력분립 원리·대의민주주의 원리와 집행가능성 측면에서 그와 입장을 이해 못할 바는 아니다. 나아가 '헌법재판소는 조약의 주인이라는 주장'을 상기한다면 더욱 그러하다. 하지만 헌법재판소는 법적 판단뿐만 아니라 정책 결정에 영향을 끼치는 기관이라는 점에서 판단을 함에는 설득력 있는 논거를 제시하는 것은 필수적인 것이라고 할 수 있을 것이다. 향후 국제조약을 심사의 대상으로 삼는 경우에는 설득력 있는 논거를 제시하는 헌법재판소를 기대해 본다.

      • KCI등재

        Direito constitucional e direito internacional no mundo globalizado

        ( Jo Hee-moon ) 한국포르투갈-브라질학회 2007 포르투갈-브라질 연구 Vol.4 No.1

        There has been an inherent tension between constitutional law and international law. This tension stems from the fact that constitutional law is a fundamental norm to maintain legal order of national society and international law is to support international society. Even though sovereign states played main role in establishing international legal order, desiring those order to regulate relations among nations, international law has expanded its scope of application, entering into the border of domestic jurisdictions. In fact, the development of international society has created tension with domestic society. In the past, sovereign states desired the international law to cover a relatively limited domain of foreign relations among nations with states’ consent and without entering into domestic domain of each state. However, international society has been evolving to the direction to strengthen its power to compulsory adjudication and enforcement mechanism limiting traditional domestic domains. In this sense, the tendency of international tribunals has been always to refer to domestic jurisprudences and national laws as supplementary source and proof. On the contrary, domestic courts tend to not to apply international law and, if possible, interpret international rules so as not to disturb national interests. However, there exist new tendency among states to distinguish international norms in hierarchical order in domestic legal order. For example, some Latin American countries like Brazil treat international human rights norms as ordinary constitutional norms putting them above federal law. This shows influence of globalization on constitutional law, as international law tending to domestication and constitutional law to internationalization as a result of their incessant interactions. In this sense, their relationship is more in détente mode than the past.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get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tional law and international law in a global age through the influence of globalization process in domestic and international societies. For this purpose the article traced the paradigm shift of constitutional laws analyzing some new constitutional norms, and shift of paradigm of international law, assessing the practice of constitutional courts and international adjudications. During 21 century, it will increase the international influences on constitutional law in global society, treating global concerns such as human rights, environment, poverty, terrorism, collective security, social inclusion, digital inclusion. It will also be obvious the migration of constitutional norms into international law as international society tends to be more organized, showing fusion phenomenon in the areas where international cooperation are needed. Consequently, it requires constitutional judges to give more attention and understanding on international law when they interpret legal issues on international concern.

      • KCI등재

        법학전문대학원 시대의 학부 헌법교육 정상화를 위한 시론 -시민교육과 광의의 전문교육의 투트랙(two-track) 교육방안-

        윤성현 ( Sung Hyun Yoon ) 한국법교육학회 2014 법교육연구 Vol.9 No.2

        2009년 법학전문대학원 체제가 도입된 이후 대한민국의 법학교육과 법조인 양성체제는 근본적인 변화를 겪고 있다. 법학전문대학원 체제를 도입한 근본 목적은 과거 사법시험과 달리 법조인을 시험이 아니라 교육을 통해 양성하고, 또한 법학 외의 다양한 전공자들을 유입시켜 다양하고 창의적인 인재를 길러낸다는 것이었다. 그러나 도입 후 6년이 지난 지금의 현실은 그리 녹록하지 않다. 특히 법전원 자체만의 문제가 아니라 학부에서의 법학교육, 특히 헌법교육이 제도적으로 쇠락하는데 원인을 제공한 측면도 크다. 하지만 대한민국의 헌정현실은 1987년헌법 이후로 선거민주주의가 정착되고 헌법재판이제 역할을 하게 되면서, 이제 대한민국은 헌법에 기초한 정상적인 국가·사회 시스템이 정착되어가고 있다. 따라서 헌법은 과거와 달리 사법엘리트 집단의 전유물이 아니라 국가운영의 실무를 맡은 모든 사람들, 나아가 대한민국의 국민이라면 누구나 갖춰야 할 지식이자 소양이 되었으므로, 헌법교육의 필요성은 과거보다 오히려 증가하였고 이는 곧 전문교육의 확대와 동시에 시민교육의 보편화라는 현상으로 나타나게 되었다. 이러한 상황에서 필자는 우리 학부에서의 헌법교육의 공백을 딛고 일어나 정상화의 길로가도록 하기 위해 현행 학부 헌법교육의 쟁점을 검토하고 해결책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우선 학부 헌법교육은 과거 사법엘리트 양성의 협의의 전문교육을 목표로 했던 것에서 탈피하여 이제는 국가운영 전반에 대한 광의의 전문교육을 목표로 함과 동시에 모든 국민이 배우고 익혀야 할 주권자로서의 시민교육의 성격을 목표로 해야 한다. 이렇게 재구성된 새로운 헌법교육의 목표에 따를 때, 교육내용은 기본권과 입헌민주주의의 핵심가치를 균형있게 가르치는 것이다. 기본권은 우리 헌법상 보장받는 개인의 권리이고, 입헌민주주의는 국민의 의사와 법에 의해 국가의 조직과 운영이 이루어져야 하고 국가권력의 행사는 종국적으로 헌법의 통제를 받아야 한다는 원리를 뜻한다. 이러한 교육내용을 교육의 대상에 따라 법학사와 비법학사에 대한 교육으로 나누어보면, 전자는 과거의 사법전문교육과 국가운영 전반에 대한 전문교육으로 확대하여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후자 또한 시민교육과 확대된 전문교육의 목표에 따라 다양한 교육과정을 편성하는 것이 가능할 것인데, 운영주체는 전담학과를 두고 전임교원이 맡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이러한 교육내용을 제대로 전달하기 위해서는 이론강의를 수요에 맞게 다양하게 디자인하고, 학교에서의 이론강의를 뒷받침할 수 있는 헌법실무현장의 지원이 병행되어야 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러한 학부헌법교육이 자율적으로 정상화되기를 기대하기 어렵다면, 입법정책적인 지원도 고려해봐야 할 것으로 생각한다. Since the law school system was first introduced in 2009, Korea’s legal education and professional training have been going through major changes. The new system was implemented to raise professionals through a course of education instead of an exam. It was designed to bring in diverse and creative atmosphere where talented individuals from different backgrounds could be invited to the field. However, the system is now confronting unexpected challenges. We see students enrolled in law schools becoming slaves of bar exam and law school graduates are struggling to find job openings and move on in their career. Such fierce competition in the job market resulted in undermining value of constitutional education on campus. To make matters worse, the current system doesn’t allow universities to provide law cours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his led to a lack of constitutional education available for undergraduate students. On the other hand, we, as a society, have made enormous progress in building advanced social systems on the basis of our constitution. It was followed by 1987 Constitution and constitutional adjudication. Democracy prevailed in every corner of our society. Such progress now calls for our legal education, including constitutional education, to push its boundaries to reach more people. In the past, constitutional education was confined to judges, prosecutors and attorneys. Today, however, government officials and many workers in public sector who are involved in legislating, interpreting and enforcing the law are in dire need of the education. Citizens need to be educated as well. We all know that democracies depend upon citizens who are aware of their rights and responsibilities as citizens. In that sense, restoring opportunities for undergraduate students to learn the constitution means more than a small change in education systems. It involves a wide range of issues that I’d like to address and find ways to deal with. The constitutional education, when it comes as a part of our undergraduate programs, should serve as an opportunity where students learn fundamental ideas of how democratic society works and its citizens`` basic role. For years, it has been designed to train professionals. It remains, up until now, exclusive for those who plan their future career around law, such as judges, prosecutors and attorneys. However, we should remind ourselves that citizenship education is essential for all students, regardless of their major. If a student pursues career path at public sector such as government agencies, this program holds greater importance. In other words, universities should require all students on campus to take part in constitution related courses. Then, the question is what to offer through those courses. I believe the constitutional education as a part of undergraduate programs should explore two spheres - constitutional right and constitutional democracy. For constitutional right, the class should discuss the right our constitution guarantees to individuals. For constitutional democracy, the class should look at how the nation is run by the law and the people. It should help the students understand the notion that political power is exerted under the control of our constitution. The courses can vary upon students`` major. For students who major in law, it can be more comprehensive, covering from jurisdiction to administration and legislation. For students who major in other fields, it can offer basic citizenship education which enables students to leave college with an understanding of political and legal functions of democratic society. For those who do not major in law but still want to apply for positions dealing with the law, the course should give them more specialized knowledge about how the law is legislated, interpreted and enforced. For our curriculum to be effective, we need to develop tailored class materials, improve teaching skills for better delivery, and introduce field programs through which students can apply their knowledge to cases in real world. It``s the job of the education system to prepare our young people for challenges and opportunities of a changing world. The constitutional education is becoming a cornerstone subject to reach the goal. Thus, we should think about supportive measures to turn these ideas into realities.

      • KCI등재후보

        법령에 대한 헌법소원에 관한 고찰

        여운국 사법발전재단 2011 사법 Vol.1 No.15

        “모두 헌법을 읽자!”는 표어로 전 국민 헌법 읽기 운동이 전개되고 있다. 우리가 그 동안 우리의 실정헌법에 얼마나 관심과 애정을 가졌는지, 그리고 헌법 조문 하나하나를 정성스럽게 읽어 본 있이 있는지 자문해본다. 특히 우리나라는 근대화 이후 서양의 법체계를 받아들인 이른바 계수법 국가이다. 우리는 그 동안 우리 실정헌법 조문에 관심을 가지기 보다는 외국 헌법에 대한 비교법적 연구에 치중해온 점을 부인하기 어렵다. 헌법소원심판은 1987년 여야 합의에 의한 개헌안 마련 과정에서 도입되었는데, 당시에는 독일식 헌법소원제도에 대한 이해가 부족한 상태였다. 헌법 입안자들은 협상을 서두르기 위하여 헌법소원의 대상은 장래 법률로 정하기로 하고 성급하게 헌법소원제도를 도입했다. 우리가 독일 기본법 및 연방헌법재판소법에 관한 비교법적 연구를 함에 있어 항상 주의할 바가 있다. 우리나라의 헌법ㆍ헌법재판소법과 독일의 기본법ㆍ연방헌법재판소법은 그 내용이 다르다는 점이다. 우리 헌법상 사법권은 대법원을 정점으로 한 법원에 속하지만, 독일 기본법상 사법권은 연방헌법재판소를 정점으로 한 각 재판소에 속한다. 우리 헌법 제107조 제2항은 “명령ㆍ규칙 또는 처분이 헌법이나 법률에 위반되는 여부가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에는 대법원은 이를 최종적으로 심사할 권한을 가진다.”고 규정하고 있는데, 독일 기본법상으로는 이러한 조항 자체가 없다. 헌법재판소법을 살펴보면, 독일 연방헌법재판소법 제93조 제3항, 제95조 제3항은 명문의 규정으로 ‘법률을 직접 대상으로 하는 헌법소원’을 인정하고 있으나, 우리 헌법재판소법에는 그러한 조항이 없다. 따라서 헌법 제111조 제1항 제5호가 정한 ‘법률이 정하는 헌법소원에 관한 심판’ 부분을 해석함에 있어서도 독일의 판례와 학설을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는 안 될 것이다. 우리 헌법재판소는 ‘법원의 제청에 의한 법률의 위헌여부’ 심판을 담당한다(헌법 제111조 제1항 제1호). 우리 헌법을 순수하게 문리해석하면 국민의 대표인 국회에서 제정된 법률을 위헌으로 결정하기 위해서는 ‘법원의 제청’이라는 1차적인 심사절차를 거치도록 하고 있다. 또한 우리 헌법 제107조 제2항은 명령ㆍ규칙에 대한 최종적인 위헌심사권을 대법원에 부여하고 있다. 독일에서는 법률 및 명령ㆍ규칙을 직접 대상으로 한 헌법소원이 인정된다. 그러나 이러한 독일식 헌법소원제도는 우리나라의 실정헌법 및 헌법재판소법 조항과는 합치되지 않는다. 법률 및 명령ㆍ규칙을 직접 대상으로 한 헌법소원은 우리나라의 현행 헌법 및 헌법재판소법 하에서는 허용될 수 없다고 본다. 즉 우리 헌법 제111조 제1항은 구체적 규범통제제도를 채택하여 법률이 헌법에 위반되는 경우 그것이 재판의 전제가 된 경우에 한해서 그 효력을 다툴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법률에 의해 국민의 기본권이 침해된 경우라고 하더라도 그 문제가 구체적인 쟁송사건으로 법원에 계속되지 않는 경우에는 위헌심판이 불가하고, 헌법소원의 대상도 되지 않는다. 또한 명령ㆍ규칙의 경우에도 헌법 제107조 제2항이 대법원의 최종적인 심사권을 명확히 규정하고 있으므로 헌법소원의 대상으로 보기 어렵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법률 및 명령ㆍ규칙에 대한 헌법소원이 가능하다는 것이 확고한 헌법재판소 판례로 자리를 잡은 상태이다. 이는 일종의 헌법변천이라고 할 ... One Korean law professor advocated a slogan, “Let's read our Constitution!” in recent years. We, regretfully, lack interests in and love for our own Constitution. It is well known that Korea adopted western law system. Also, it is hard to deny that we paid little attention to our own Constitution and focused too much on issues regarding comparative researches between the Korean Constitution and foreign Constitutions.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was established in 1987 by the consensus between the then ruling party and the opposition party during the process of Amendment to the Constitution. At that time, most of Korean people did not have much understanding about the German style Constitutional complaint. The drafters of the Korean Constitutional Amendment rushed to draw a conclusion and adopted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system leaving too much upon congressional legislation. Whenever we conduct a comparative research on the German Constitution and the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Act, we need to be fully aware of the fact that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is different from those of Germany in many aspects. Above all, whereas the Korean Constitution provided that judicial power is endowed to the courts, the German Constitution vests the Constitutional Court and other subordinate courts with Judicial power. Moreover, while the Article 107 (2) of the Korean Constitution says that “The Supreme Court shall have the power to make a fin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of administrative decrees, regulations or actions, when the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thereof is at issue in a trial.”, there is no such corresponding provision in the German Constitution. Similarly, while the German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Act clearly allows a Constitutional complaint directly targeting laws which are supposedly against the Constitution, the Korean Constitution does not so. Therefore, when we interpret the Korean Constitution Article 111(1)(5), dealing with ‘Constitutional complaint as prescribed by laws’, we should not uncritically accept German precedents and theories without the full understanding of undeniable differences between the German Constitution and the Korean Constitution. The Korean Constitutional Court shall have the jurisdiction over the constitutionality of a law upon the request of a court pursuant to the Article 111(1)(1) of the Korean Constitution. If we interpret the Korean Constitution purely literally, the invalidation of laws enacted by the National Assembly requires “the request of the courts” as a prerequisite thereof. In addition, the Supreme Court of Korea shall have the power to make a fin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f administrative decrees and regulations.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bout laws, administrative decrees and regulations are allowed in Germany. However, this German style constitutional complaint system in not analogous to the Korean Constitution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I think the Constitutional complaints directly targeting laws supposedly against the Constitution is not in conformity with the Korean Constitution. In other words, we can invalidate a law pursuant to the Article 111(1)(1) of the Korean Constitution only when the constitutionality of a law become an issue in a trial. Therefore, even though a person's Constitutional right is infringed upon by a law supposedly against the Constitution, the review of that law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s impossible and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bout that law is not allowed unless the constitutionality of that law is not at issue in a trial. Moreover, administrative decrees and regulations can not be invalidated by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since the Article 107(2) of the Korean Constitution provides that the Supreme Court shall have the power to make a final review of the constitutionality or legality thereof. Nevertheless, a Constitutional complaint about laws, ...

      • KCI등재

        국제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

        임효준(Im Hyo Jun) 원광대학교 법학연구소 2022 圓光法學 Vol.38 No.1

        이 글에서는 그동안 헌법학계에서 잘 다루어지지 않았던 국제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 전반에 관하여 시론적 연구를 시도해 보았다. 국제관습법은 국제적으로 형성된 일반적 관행에 법적 확신이 부여된 것으로서, 조약과 함께 국제법원의 양대산맥을 이룬다. 우리나라의 현행 헌법상 국제관습법은 형식적 의미의 법률과 동일한 효력을 갖는 것으로 봄이 타당하므로, 이에 대한 위헌심사 역시 위헌법률심판이나 규범통제형 헌법소원심판에 의함이 타당할 것이다. 다만 구체적인 위헌심사에 있어서는 형식적 의미의 법률에 대한 것과 비교하여, 문제되는 규범이 부존재할 여지가 존재하고, 입법자의 존재를 전제로 하는 과잉금지원칙, 평등원칙 등을 통한 구체적 심사가 어려우며, 위헌판단을 하더라도 일반적인 효력을 상실시킬 수 없는 등의 특성이 있으므로, 이를 충분히 고려할 필요가 있다. 우리나라 헌법재판소에서는 아직 국제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를 수행한 바 없고, 최근 하급심 판결에서 이를 행한 바 있으나 위와 같은 특성을 충분히 반영하였는지에는 의문이 있다. 독일에서는 국제관습법 인증절차를 마련하고 있어, 법원의 제청을 통해 연방헌법재판소에서 국제관습법의 존부와 연방법의 구성부분인지 여부 등이 판단되고 있다. 그 과정에서 문제되는 국제관습법 자체가 존재하기는 하나 기본법에 저촉된다는 이유로 연방법의 구성부분이 아니라는 판단이 내려질 가능성이 있다. 이탈리아의 경우, 문제되는 국제관습법이 헌법질서의 기본원칙 및 불가침의 기본권과 모순되는 경우 국내법 질서로 편입되지 못한다는 ‘대항한계’ 법리를 채택한 헌법재판소 결정이 행해진 바 있다. 이를 종합해 볼 때, 국제관습법에 대한 위헌심사의 구체적 절차를 (1) 국제관습법의 존재 및 내용 확인, (2) 국내법으로의 편입여부 판단으로 구성하고, (2) 단계에서 우리나라 헌법에 위반되는지, 즉 헌법상 기본원칙 및 제도보장/기본권보장의 취지에 저촉되는지 여부에 관한 심사를 행하는 방식을 고안해 볼 수 있을 것이다. 심사 결과 문제되는 내용의 국제관습법이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면 ‘부존재 취지의 결정’을, 존재하는 것으로 확인된 국제관습법이 헌법에 위반되지 않으면 ‘국내법으로 편입되어 있다는 취지의 결정’을, 헌법에 위반되면 ‘국내법으로 편입되어 있지 않다는 취지의 결정’을 하는 방식이다. ‘각하’, ‘합헌’, ‘위헌’ 결정의 의미를 위와 같이 새길 수도 있을 것이고, 국제관습법의 편입통제에 특유한 변형결정 형태를 도입할 수도 있을 것이다. This study gives an overview of constitutional review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ccording to Korean Constitution, it is persuasive to understand that customary international law has same legal effect as domestic statutes enacted by Korean legislature, so constitutional review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lso should be carried out through ‘constitutional review of statutes upon request’ procedure(Korean Constitutional Court Act §41(1)) or ‘constitutional review-type of constitutional complaint’ procedure(Korean Constitutional Court Act §68(2)). In these procedures, following characteristics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should be considered enough. (1) It can be proved that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does not exist. (2) It is hard to apply the standard of review requiring the presence of legislator, such as proportionality test or equality test. (3) Even a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cannot abolish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Korean district courts carried out kinds of constitutional review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last year, but it is doubtful that these judgments considered above characteristics enough. Federal Constitutional Court of Germany has ‘verification of customary international law’ procedure, and makes a decision on whether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exists and is a part of German federal law, etc. If it is proved to be unconstitutional, the court might make a decision that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is not a part of German federal law. On the other hand, Constitutional Court of Italy has accepted ‘counter-limit doctrine.’ According to this doctrine, if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is inconsistent with basic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order and inviolable fundamental rights, it cannot enter into Italian domestic legal order. The followings are suggestions of constitutional review on customary international law of Korean Constitutional Court. This procedure can be composed of 2 steps; (1) verifying existence and content of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2) determining whether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can enter into domestic legal order or not. And in (2) step, whether the customary international law at issue is inconsistent with Korean Constitution can be tested. 3 types of decisions can be made; ‘non-existence(corresponding to dismissal)’, ‘existence and incorporation(corresponding to constitutional)’, ‘existence but non-incorporation(corresponding to unconstitutional).’

      • KCI등재

        법형성이 아닌 법발견(법해석)인 합헌적 법률해석

        허완중 사법발전재단 2017 사법 Vol.1 No.41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is guided by the principle of statutory construction that provides for the interpretation of a statute as conforming to the Constitution, if possible, when the wording of the statute is interpreted diversely and leaves room to be construed as either constitutional or unconstitutional. In that sense, all interpretation that renders an unconstitutional statute as constitutional is not a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Regarding the formation of law, the institution that interprets and applies the law usurps the authority of the legislative branch. This is considered the constitutional formation of law rather than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given that the latter is entrusted to the institution in charge of interpreting and applying the law, not to the legislative branch. Therefore, the constitutional formation of law that includes analogy and teleological reduction should be distinguished from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inasmuch as the constitutional formation of law is impermissible in certain areas and requires more careful consideration backed by rigorous reasoning, especially related to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by the Constitutional Court because such interpretation is deemed generally binding as opposed to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by other government institutions. Accordingly,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al Court itself can have influence over the legislative authority. Thus, the constitutional formation of law that is viewed as an area of exercising authority in place of the legislative branch should be allowed only if strict requirements are met. In this respect, the constitutional formation of law may set certain limitations upon decisions of limited constitutionality and limited unconstitutionality, which cannot be explained solely based on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As such,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and the constitutional formation of law should be strictly distinguished and their permissibility separately examined. In short, the constitutional interpretation of law should be confined to meanings that are assigned to words in a statute. 합헌적 법률해석은 법률 문언이 다의적이어서 위헌으로도 합헌으로도 해석될 수 있으면, 합헌으로 해석될 여지가 있는 한, 이를 위헌으로 판단하여서는 아니 되고 헌법에 합치되는 쪽으로 해석하여야 한다는 ‘법률’의 해석원칙이다. 따라서 위헌인 법률을 합헌으로 만드는 모든 해석이 합헌적 법률해석이 아니다. 법률해석을 넘어 법률형성에 이르면 법률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기관이 입법부의 권한을 찬탈하는 결과를 낳을 수 있다. 이것은 합헌적 법률해석이 아니라 합헌적 법률형성이다. 합헌적 법률해석은 입법부가 아닌 법률을 해석하고 적용하는 기관이 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그래서 유추와 목적론적 축소를 아우르는 합헌적 법률형성은 합헌적 법률해석과 구별되어야 한다. 합헌적 법률형성은 합헌적 법률해석과 달리 허용되지 않는 영역이 있을 뿐 아니라 합헌적 법률해석보다 허용 여부가 더 신중하게 검토되고 엄격한 논증이 뒷받침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특히 헌법재판소가 하는 합헌적 법률해석에 관하여서는 깊은 숙고가 필요하다. 헌법재판소의 합헌적 법률해석에는 다른 국가기관의 합헌적 법률해석과 달리 일반적 구속력이 인정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헌법재판소는 합헌적 법률해석만으로도 입법부의 권한에 지대한 영향을 미칠 수 있다. 그래서 입법부의 권한을 대신 행사하는 결과를 낳는 합헌적 법률형성은 엄격한 조건이 충족되었을 때만 허용되어야 한다. 이러한 점에서 합헌적 법률해석만으로 설명할 수 없는 한정합헌결정과 한정위헌결정에 일정한 한계를 합헌적 법률형성이 설정할 수 있다. 결국, 합헌적 법률해석과 합헌적 법률형성은 엄격하게 구별되고 그 허용 여부도 달리 검토되어야 한다. 즉 합헌적 법률해석은 법률의 가능한 의미에 국한되어야 한다.

      • KCI등재후보

        헌(憲), 헌법, 그리고 행정법

        김민호(KIM, Min Ho) 한국행정법학회 2020 행정법학 Vol.19 No.1

        헌법과 행정법의 관계에 관한 선행연구들은 주로 ‘헌법 원칙과 행정법의 원칙’을 비교하거나 ‘헌법재판과 행정재판’의 관계를 살펴보는 분석 틀을 사용하였다. 나름 의미 있고 현실적인 접근법으로 여겨진다. 하지만 헌법과 행정법 모두 법치주의와 법치행정이라는 태생적 동질성을 기반으로 하고 있다는 점과 재판은 절차적 제도적 차이는 있을지언정 권리구제라는 본질적 목적이 동일하다는 점에서 이러한 분석 틀을 사용할 경우 궁극의 결론은 행정법의 정체성이 오히려 미궁 속에 빠질 수 있다는 한계가 있다. 헌법과 행정법의 관계를 보다 가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해서는 헌법학과 행정법학의 탐구대상이 무엇인지, 헌법과 행정법은 상호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등을 규명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헌법과 행정법을 관통하는 공통분모는 이른바 憲(국헌)이다. 물론 헌법학과 행정법학 어디에도 국헌에 관한 이론을 따로 때어 연구하고 있지는 않다. 또한 국헌학, 헌법학, 행정법학이 병렬적으로 존재하는 것도 아니다. 결국 국헌학은 별도로 존재하는 학분분야가 아니라 ‘국헌이론 + 헌법전 해석론 = 헌법학’, ‘국헌이론 + 행정법규 해석론 = 행정법학’이다. 물론 국헌, 헌법, 행정법은 계속해서 상호 연동하며 발전한다. 국헌을 구체화한 것이 헌법이고, 헌법의 위임에 의해 국헌을 구체화한 것이 행정법이다. 행정법은 정치권력(의회)에 의해 국헌의 원리를 구체화할 뿐만 아니라 국헌의 원리를 계속해서 수정 보완한다. 이렇게 수정 보완된 국헌의 원리는 또 다시 헌법과 행정법에 영향을 미칠 것이다. 결국 행정법은 화석화되어 있는 헌법전의 규정을 구체화하는 법이 아니라는 점은 분명하다. 국헌의 원리와 위임원칙에 의해 행정법(규제법)이 법원의 통제(위헌통제)를 받을 수밖에 없지만, 법원에 의해 행정결정의 적법성 통제(실체적 통제)는 물론 위헌통제라는 2중적 통제로부터 행정의 자율성(물론 권력분립의 원칙 범위 내에서)을 확보하는 것이 행정법학의 사명이다. Other studie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tio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mainly used an analysis framework that principles of constitutio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or examines the relationship between constitutional trial and administrative cases. It seems to be a meaningful and realistic approach. However, if we use the analysis framework like that, both are bound to reach the same conclusion that the Constitutional law and the Administrative Law are based on the innate homogeneity of the rule of law. In order to more visually expla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constitutio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it is effective to investigate what the constitutio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are to be investigated, and how the constitutio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have mutual influence. The common denominator penetrating the constitutio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is the so-called CONSTITUTION(national constitution). Of course, neither constitutional law nor administrative law studies theories on CONSTITUTION (national constitution). Also, CONSTITUTION(national constitution) studies, constitutio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studies do not exist in parallel. In the end, CONSTITUTION(national constitution) theory is not a separate field of school, but is ‘the theory of national constitution +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 constitutional study’ and ‘theory of national constitution + interpretation of administrative law = administrative law’. Of course, CONSTITUTION(national constitution), constitutio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continue to interoperate and develop. The constitutional law embodies CONSTITUTION(national constitution), and the administrative law embodies CONSTITUTION(national constitution). The administrative law not only embodies the principles of CONSTITUTION(national constitution) by political power (parliament), but also continuously amends and supplements the principles of the national constitution. This revised and supplemented principle of CONSTITUTION(national constitution) will again affect the constitutional law and administrative law. After all, it is clear that administrative law is not a law that embodies the provisions of the constitutional law, which are fossilized. Although the administrative law (regulatory law) is bound by the court s control by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national constitution) and the delegation principle, administrative autonomy from the dual control of unconstitutional control as well as legality control of administrative decisions by the court. It is the mission of administrative law to secure.

      • KCI등재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

        전상현(JEON Sang-Hyeon) 한국헌법학회 2021 憲法學硏究 Vol.27 No.4

        구 조세감면규제법의 전부개정에 따라 폐지된 부칙조항을 과세의 근거로 할 수 있는지에 대해, 헌법재판소는 그러한 과세는 조세법률주의에 위반한다고 보아 ‘부칙조항이 실효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된다’는 주문을 선고하였다. 이 결정은 한정위헌결정의 형식을 취하였지만, 그 결정의 내용은 법원의 유추적용, 즉 법형성에 대한 위헌결정이었다. 그동안 법률해석에 대한 위헌결정으로서의 한정위헌결정에 대한 논의는 많이 있었지만,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적 통제에 관한 논의는 부족했다. 법관의 법형성은 사법작용의 한 부분으로서 헌법이 법원에 부여한 사법권에 의해 정당화될 수 있고, 법원의 헌법구속성에 의해서도 정당화될 수 있다. 그러나 재판작용을 통해 법규범을 창설한다는 점에서 입법권을 침해할 우려가 있으며, 법관이 법률에 대한 구속을 회피하는 수단으로 기능할 가능성도 있다. 법형성은 권력분립원리, 법치주의 원리와 같은 헌법적 한계 안에서만 행사될 수 있으며, 무엇보다도 죄형법정주의와 조세법률주의와 같이 헌법의 명시적인 금지에 의해 제한된다. 법관의 법형성은 규범통제의 기능도 가질 수 있는데, 17세기 영국 보통법원의 보넘 판결(Dr. Bonham’s Case)을 둘러싼 논의는 이 점을 잘 보여준다. 법형성이 규범통제로서 기능할 수 있다는 것은 법형성이 입법부의 권한 뿐 아니라 헌법재판소의 권한과도 충돌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위헌이 의심되는 법률을 헌법재판소에 제청하지 않고 법형성이라는 이름으로 법원 스스로의 판단에 따라 적용을 배제할 수 있기 때문이다. 헌법의 우위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법관의 법형성에 대해서도 헌법적 통제가 필요하고, 헌법해석의 통일성을 관철하기 위해서는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가 필요하다. 법관의 법형성에 대한 헌법재판소의 통제방식은 재판소원이어야 하지만, 재판소원이 허용되지 않고 있는 현재로서는 위헌심사형 헌법소원의 절차를 통해 위헌법률심사의 방식으로 통제할 수밖에 없다. 이러한 통제방식은 법형성을 법률해석과 구별하지 않는 법원의 실무에 대응한 것이기도 하다. 헌법재판소가 법원의 법형성에 대해 통제할 수 있는 근거는 헌법재판소가 법원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이 아니라 헌법이 사법권보다 우위에 있기 때문이다. This article examines judge-made law from the perspective of constitutional law. While judge-made law belongs to the judicial power which is vested on the judiciary by the Constitution, there is a risk of infringing on the legislative power in that it creates a legal norm by judges, and there is a possibility that judges may evade the binding effect of statutes. Judge-made law is allowed within the limits of the constitution, such as separation of powers and the rule of law, and above all, it is bound by explicit prohibitions such as the principle of “nullum crimen, nulla poena sine” and “no taxation without statutory law”. It is the Dr. Bonham s Case, which was decided on early seventeenth century by the British Court of Common Pleas, that shows that judge-made law sometimes functions as a judicial review. In the case, the Court of Common Pleas ruled that the common law will control act of parliament and adjudge it to be void when it being against common right and reason. This means judge-made law may conflict with the power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s well as the powers of the legislative branch. The supremacy of the Constitution requires the unity of the interpretation of the Constitution, which can be achieved through the Constitutional Court’s review on the constitutionality of judge-made law as well as statutory interpretation of the ordinary courts. Though the constitutional complaint against judicial judgment is an appropriate procedure for examining the constitutionality of judge-made law, It has not been allowed under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herefore,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no choice but to review the judge-made law through the procedure for constitutional review of statutory laws. This is also in response to the practice of the ordinary courts that do not distinguish between the statutory interpretation and judge-made law. It is not for the superiority of the Constitutional Court over the ordinary courts, but for the Constitution over the judicial power that the Constitutional Court can control the judge-made law and interpretation of laws by the ordinary courts.

      • KCI등재

        민사관습법에 대한 헌법적 통제

        이홍민 단국대학교 법학연구소 2018 법학논총 Vol.42 No.3

        Customary laws refer to practices that have become the rule of law because of theopinio juris sive necessitatis. The customary laws as such are recognized as standardsfor trials under Article 1 of the Civil Act despite that the grounds for recognizingtheir existence are not clear unlike written laws. However, in order for the customarylaws as such to be recognized as the rule of law, they should not violate theconstitution and there are conflicts of opinions regarding which judicial authoritybetween the court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examine whether the customarylaws as such are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Court focuses onthe aspect of the effect of the customary laws and argues that the customary lawshave the same effect as the law and that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examine whether the law is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the Constitutional Courtshould also examine whether the customary laws are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On the other hand, the Supreme Court focuses on the aspect of the validity of thecustomary laws and argues that for the customary laws to have the effect as the law,the opinio juris sive necessitatis of the public in general should be recognized andsince the recognition as such requires judgments on facts, the court should examinewhether the customary laws are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However, both ofthese two positions are not valid. First, when the customary laws are assumed to be standards for trials, whether ornot to apply the customary laws is entirely up to the court, which is in charge oftrials. Since the constitutionality of general laws is assumed in a sense of respecting the legislative organization under the principle of division of powers, whether or noteach law is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is not required to be examined in everytrial but the judgment on whether a law is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isrequested to the Constitutional Court only when the law is particularly suspected tobe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judgment is made according to the result ofexamination by the Constitutional Court. However, constitutionality cannot be assumedfor customary laws since the principle of division of powers cannot be applied tocustomary laws. Therefore, for the opinio juris sive necessitatis of the public ingeneral to be recognized as a requirement for the validity of customary laws, itshould conform to the constitution. Therefore, for customary laws to be applied asstandards for trials, whether they are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should beexamined by the court. Meanwhile, there are cases where the court cannot examine whether a customarylaw is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First, such cases include cases where whethera customary law is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is related to whether a separatelaw is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In such cases, the customary law cannot bejudged to be unconstitutional without examining whether the relevant law is in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and since the examination of whether a law isunconstitutional or not is entirely up to the Constitutional Court, the court cannotexamine whether the customary law is unconstitutional or not until theConstitutional Court judges that the law is unconstitutional. Second, as withcustomary laws regarding inheritance, in cases where customary laws in the pastshould be judged, it is difficult to investigate and judge whether the customary lawswere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when the customary laws were established. Insuch case, the court shall wait for the judgment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ndproceed with trials based on the judgment because unlike the Constitutional Court,which can examine whether old laws are in 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based onthe current constitution, the court should examine whether customary laws are inviolation of the constitution based on the constitution at the time when thecustomary l... 관습법이란 관행이 법적 확신에 의해 법규범으로 된 것을 의미한다. 이러한관습법은 성문법처럼 그 존재를 인식할 수 있는 근거가 명확한 것이 아님에도민법 제1조에 의해 재판기준으로 인정된다. 그런데 이런 관습법의 위헌 여부를 법원과 헌법재판소 중 어느 사법기관에서 심사할 것인지에 대해 견해의 대립이 있다. 그러나 기존의 논의는 관습법의 위헌 여부에 대한 심사를 법원과헌법재판소 중 어느 한 쪽 이 독점적으로 수행해야 한다는 것으로서, 법원과헌법재판소는 서로 대립하는 기관이 아니라 국민의 권리를 보호하기 위한 기능을 함께 담당하고 있는 사법기관으로서 서로 조화를 이룰 수 있도록 해야할 것이라는 점에서 동의하기 어렵다. 법원에서 관습법을 확인하기 위하여 관습법의 성립요건으로서 관행과 법적 확신이 존재하는지 판단할 때에, 헌법에 반하는 관습에 대한 국민 일반의 법적 확신이 인정될 수는 없으므로, 관습법을 인정하기 위해서는 필연적으로 당해 관행에 대한 법적 확신이 헌법질서에 반하는지 여부에 대하여 판단할 수밖에 없다. 이 점에서 법원은 관습법의 위헌여부에 대해 심사할 수 있다고 볼수 있다. 한편 관습법은 국민 일반의 법적 확신에 의하여 법규범성을 인정받게 된다는 점에서, 국민주권을 바탕으로 하는 헌법상 대의제를 통한 국회의입법이 가지는 정당성과 같은 수준의 정당성을 인정해야 하므로, 법률로서의효력이 인정된다고 할 수 있다. 이처럼 관습법에 대한 법률로서의 효력은 이미 대법원과 헌법재판소 모두 인정하고 있기도 하다. 그렇다면 관습법에 대한헌법재판소의 위헌법률심사 역시 가능하다고 해야 한다. 다만 법원과 헌법재판소가 중복하여 관습법의 위헌여부를 심사하는 것은재판소원을 금지하고 있는 취지에 반할 우려가 있다. 이러한 우려를 피하기위해서는 원칙적으로 법원이 관습법이 헌법에 합치하는지 심사한 경우 헌법재판소가 다시 심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고 생각한다. 다만 이는 어디까지나두 사법기관의 중복된 심사를 피하기 위한 것이므로, 중복된 심사가 발생할우려가 없는 경우이거나, 또는 다른 사정에 의하여 법원에서 판단할 수 없는경우라고 한다면 재판소원을 금지하는 취지에 반할 우려가 없으므로, 헌법재판소에서 그 위헌여부를 심사해야 할 것이다. 이런 경우로는 과거의 관습법에대해 현행 헌법에 따라 판단해야 하는 경우와 관습법이 형식적 의미의 법률을전제로 하고 있어서 관습법의 위헌여부를 판단하기 위해서는 그 전에 법률의위헌여부에 대한 판단이 전제되는 경우, 두 가지 경우를 들 수 있다.

      • KCI등재후보

        위헌법률심판절차에서 사법작용의 당부를 심사할 수 있는지(下) - 헌법재판소 2012. 5. 31. 선고 2009헌바123등 전원재판부 결정에 대하여 -

        김시철 사법발전재단 2012 사법 Vol.1 No.22

        구 조세감면규제법(이하 ‘조감법’) 및 그 부칙인 이 사건 부칙규정은 원칙적으로 법인세 부과대상인 법인에 대하여 일정한 조건을 전제로 한시적인 예외를 인정하되, 일정한 기한 내에 조건이 성취되지 않으면 원칙으로 돌아가서 이 사건 부칙규정 등에 근거하여 감면받았던 법인세 등을 제대로 납부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는데, 입법자가 1993. 12. 31. 조감법을 전부 개정하면서(이하 ‘이 사건 전부 개정’) 이 사건 부칙규정의 효력에 관한 명문규정을 두지 않았다. 이에 관하여 대법원 2008. 11. 27. 선고 2006두19419 판결은 법률의 전문개정에 관한 종래 대법원판례를 유지하면서 특별한 사정의 의미와 판단 방법 등에 관한 구체적 기준을 제시한 다음, 이 사건 부칙규정의 경우 특별한 사정이 있기 때문에 이 사건 전부 개정 이후에도 효력이 유지된다고 판시하였는데, 헌법재판소(이하 ‘헌재’)는 2012. 5. 31. 선고한 2009헌바123 등 전원재판부 결정(이하 ‘이 사건 결정’)에서, “이 사건 전부 개정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부칙규정이 실효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된다.”라는 결정주문을 선고하였다. 헌법재판소법(이하 ‘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의 본질은 위헌법률심판과 같으므로, 법 제68조 제2항의 절차에서 해당 법률이 위헌인 이유를 구체적으로 적시하지 아니한 청구는 부적법하고, ‘법률 자체의 위헌 여부’가 아닌 ‘법원의 법률해석의 당부’에 대하여 헌재가 심사하는 것도 부적법하다. 이 사건 결정은 이 사건 부칙규정의 사후적 실효 여부에 관한 문제를 법률의 위헌 여부에 관한 문제로 보고 있는데, 이는 논리의 비약이다. 왜냐하면 헌재가 조세근거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한 경우도 법률의 사후적 실효원인이 될 수 있지만(상위법우선의 원칙의 문제), 합헌인 구법이 신법에 의하여 폐지되는 경우도 사후적 실효원인이 될 수 있는데(신법우선의 원칙의 구조), 후자는 법률의 위헌 여부와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구인들이 이 사건 부칙규정의 위헌성을 언급하지 아니한 채 단지 그 효력이 상실되었다는 주장만 한 상태에서 법원이 이 사건 부칙규정을 유효한 것으로 해석했다는 이유로 헌재가 법률 자체의 위헌 여부에 관한 다툼이 있다고 판단한 것은 논리의 비약이다. 청구인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배척한 법원의 법률해석을 비난하고 있을 뿐이므로 적법요건이 충족되었다고 볼 수 없다. 위헌법률심판제도는 본질적으로 국회의 입법작용에 대한 통제제도일 뿐, 행정작용·사법작용에 대한 통제제도가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설령 헌재 판시와 같이 이 사건 부칙규정을 유효하다고 본 법원의 해석이 잘못되었고 입법권을 침해하였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런 사정을 근거로 적법요건이 충족될 수는 없다. 그 자체로 법원에게 귀책사유가 있다는 것일 뿐, 입법부에게 잘못이 있다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권력분립원칙을 토대로 한 위헌법률심판제도의 본질이나 독일·미국의 헌법판례 등에 비추어 볼 때, 권력분립 원칙을 폐기하지 않는 이상 위헌법률심판제도를 법원에 대한 통제수단으로 활용할 수는 없다. 이 사건 결정은 법률에 대한 한정 위헌결정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주문 자체에서 실질적으로 재판통제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재판을 헌법소원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지 여부는 헌법제정권자가 정책적으로 결정할 문제이지만, 우리 헌법규정에 비추어 ... The former Act on Regulation of Tax Reduction and Exemption(“the Tax Reduction Act”) and its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cknowledged temporary exceptions for corporate tax imposition on corporations with conditions, but if conditions are not fulfilled, corporate tax reduction based on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should be paid under the principle. Legislators wholly amended the Tax Reduction Act (hereinafter “the amendment of this case”) on Dec. 31, 1993 and there was no provision as to validity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06Du19419, Nov. 27, 2008 affirmed the former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stated the meaning of special circumstances and standards for determination. It held that in case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it is valid due to special circumstances after the amendment of this case. But Constitutional Court Order 2009HunBa123, May 31, 2012 (“the order of this case”) held that “it is unconstitutional to interpret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not invalidated despite the whole amendment of this case.”The essence of constitutional petition under Article 68 (2)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he Act”) is equal to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In Article 68 (2) of the Act procedure, the claim is unlawful if the reason why the pertinent statute is unconstitutional is not specifically shown. It is unlawful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review not "the statute itself's unconstitutionality" but “the court's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order of this case saw the issue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s ex post facto invalidation as the statute's unconstitutionality, but it is illogical,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s order to hold a taxation basis statute as unconstitutional may be a cause for the statute's ex post facto invalidation (the principle of the priority of superior law issue), but the constitutional old law repealed by the new law also may be a cause for ex post facto invalidation (the principle of the priority of newly established law), and the latter is unrelated to the statute's unconstitutionality. Thus, where claimants asserted invalidation without mentioning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s unconstitutionality, it is illogical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hold that the statute itself's unconstitutionality is at issue since the court interpreted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s valid. Claimants merely criticised interpretation of the law of the court rejecting their allegation and the elements of lawfulness can not be seen as satisfied. The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system is control over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ve act, not over administrative·judicial act. As the Constitutional Court reasoning, although the court erred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s valid invaded and invaded legislative power, it does not meet the elements of lawfulness since the court may be responsible,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legislative branch erred. In light of adjudication system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or the constitutional law precedents in Germany or the US, unles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s abolished, the adjudication system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can not be used as control over the court. Despite the form of the order of this case as qualified unconstitutional order, the disposition is clearly control over a trial. Our constitution does not allow a trial petition although it is a matter of constitutional law maker's policy decision. The tests for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are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aw.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aw undergoing constitutional debate and proof can be the test, and merely conflicts in statutes or relatedness to principle of th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