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위헌법률심판절차에서 사법작용의 당부를 심사할 수 있는지(下) - 헌법재판소 2012. 5. 31. 선고 2009헌바123등 전원재판부 결정에 대하여 -

        김시철 사법발전재단 2012 사법 Vol.1 No.22

        구 조세감면규제법(이하 ‘조감법’) 및 그 부칙인 이 사건 부칙규정은 원칙적으로 법인세 부과대상인 법인에 대하여 일정한 조건을 전제로 한시적인 예외를 인정하되, 일정한 기한 내에 조건이 성취되지 않으면 원칙으로 돌아가서 이 사건 부칙규정 등에 근거하여 감면받았던 법인세 등을 제대로 납부하도록 규정하고 있었는데, 입법자가 1993. 12. 31. 조감법을 전부 개정하면서(이하 ‘이 사건 전부 개정’) 이 사건 부칙규정의 효력에 관한 명문규정을 두지 않았다. 이에 관하여 대법원 2008. 11. 27. 선고 2006두19419 판결은 법률의 전문개정에 관한 종래 대법원판례를 유지하면서 특별한 사정의 의미와 판단 방법 등에 관한 구체적 기준을 제시한 다음, 이 사건 부칙규정의 경우 특별한 사정이 있기 때문에 이 사건 전부 개정 이후에도 효력이 유지된다고 판시하였는데, 헌법재판소(이하 ‘헌재’)는 2012. 5. 31. 선고한 2009헌바123 등 전원재판부 결정(이하 ‘이 사건 결정’)에서, “이 사건 전부 개정에도 불구하고 이 사건 부칙규정이 실효되지 않은 것으로 해석하는 것은 헌법에 위반된다.”라는 결정주문을 선고하였다. 헌법재판소법(이하 ‘법’) 제68조 제2항의 헌법소원의 본질은 위헌법률심판과 같으므로, 법 제68조 제2항의 절차에서 해당 법률이 위헌인 이유를 구체적으로 적시하지 아니한 청구는 부적법하고, ‘법률 자체의 위헌 여부’가 아닌 ‘법원의 법률해석의 당부’에 대하여 헌재가 심사하는 것도 부적법하다. 이 사건 결정은 이 사건 부칙규정의 사후적 실효 여부에 관한 문제를 법률의 위헌 여부에 관한 문제로 보고 있는데, 이는 논리의 비약이다. 왜냐하면 헌재가 조세근거 법률을 위헌이라고 결정한 경우도 법률의 사후적 실효원인이 될 수 있지만(상위법우선의 원칙의 문제), 합헌인 구법이 신법에 의하여 폐지되는 경우도 사후적 실효원인이 될 수 있는데(신법우선의 원칙의 구조), 후자는 법률의 위헌 여부와 관계가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청구인들이 이 사건 부칙규정의 위헌성을 언급하지 아니한 채 단지 그 효력이 상실되었다는 주장만 한 상태에서 법원이 이 사건 부칙규정을 유효한 것으로 해석했다는 이유로 헌재가 법률 자체의 위헌 여부에 관한 다툼이 있다고 판단한 것은 논리의 비약이다. 청구인들은 자신들의 주장을 배척한 법원의 법률해석을 비난하고 있을 뿐이므로 적법요건이 충족되었다고 볼 수 없다. 위헌법률심판제도는 본질적으로 국회의 입법작용에 대한 통제제도일 뿐, 행정작용·사법작용에 대한 통제제도가 될 수 없다. 그렇다면 설령 헌재 판시와 같이 이 사건 부칙규정을 유효하다고 본 법원의 해석이 잘못되었고 입법권을 침해하였다고 가정하더라도, 이런 사정을 근거로 적법요건이 충족될 수는 없다. 그 자체로 법원에게 귀책사유가 있다는 것일 뿐, 입법부에게 잘못이 있다는 내용이 아니기 때문이다. 권력분립원칙을 토대로 한 위헌법률심판제도의 본질이나 독일·미국의 헌법판례 등에 비추어 볼 때, 권력분립 원칙을 폐기하지 않는 이상 위헌법률심판제도를 법원에 대한 통제수단으로 활용할 수는 없다. 이 사건 결정은 법률에 대한 한정 위헌결정의 형식을 띠고 있지만, 그 주문 자체에서 실질적으로 재판통제임을 분명히 하고 있다. 재판을 헌법소원의 대상으로 삼을 것인지 여부는 헌법제정권자가 정책적으로 결정할 문제이지만, 우리 헌법규정에 비추어 ... The former Act on Regulation of Tax Reduction and Exemption(“the Tax Reduction Act”) and its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cknowledged temporary exceptions for corporate tax imposition on corporations with conditions, but if conditions are not fulfilled, corporate tax reduction based on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should be paid under the principle. Legislators wholly amended the Tax Reduction Act (hereinafter “the amendment of this case”) on Dec. 31, 1993 and there was no provision as to validity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Supreme Court Decision 2006Du19419, Nov. 27, 2008 affirmed the former Supreme Court precedents and stated the meaning of special circumstances and standards for determination. It held that in case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it is valid due to special circumstances after the amendment of this case. But Constitutional Court Order 2009HunBa123, May 31, 2012 (“the order of this case”) held that “it is unconstitutional to interpret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not invalidated despite the whole amendment of this case.”The essence of constitutional petition under Article 68 (2) of the Constitutional Court Act (“the Act”) is equal to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In Article 68 (2) of the Act procedure, the claim is unlawful if the reason why the pertinent statute is unconstitutional is not specifically shown. It is unlawful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review not "the statute itself's unconstitutionality" but “the court's interpretation of the law.” The order of this case saw the issue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s ex post facto invalidation as the statute's unconstitutionality, but it is illogical, since the Constitutional Court's order to hold a taxation basis statute as unconstitutional may be a cause for the statute's ex post facto invalidation (the principle of the priority of superior law issue), but the constitutional old law repealed by the new law also may be a cause for ex post facto invalidation (the principle of the priority of newly established law), and the latter is unrelated to the statute's unconstitutionality. Thus, where claimants asserted invalidation without mentioning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s unconstitutionality, it is illogical for the Constitutional Court to hold that the statute itself's unconstitutionality is at issue since the court interpreted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s valid. Claimants merely criticised interpretation of the law of the court rejecting their allegation and the elements of lawfulness can not be seen as satisfied. The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system is control over the National Assembly's legislative act, not over administrative·judicial act. As the Constitutional Court reasoning, although the court erred in its interpretation of the addendum provision of this case as valid invaded and invaded legislative power, it does not meet the elements of lawfulness since the court may be responsible, but it does not mean that the legislative branch erred. In light of adjudication system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based on the principle of the separation of powers or the constitutional law precedents in Germany or the US, unless the principle of separation of powers is abolished, the adjudication system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can not be used as control over the court. Despite the form of the order of this case as qualified unconstitutional order, the disposition is clearly control over a trial. Our constitution does not allow a trial petition although it is a matter of constitutional law maker's policy decision. The tests for adjudication on the constitutionality of statutes are constitutional provisions and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aw. The principle of constitutional law undergoing constitutional debate and proof can be the test, and merely conflicts in statutes or relatedness to principle of the...

      • KCI등재

        조세심판전치주의와 가구제(假救濟)에 대한 헌법적 검토(Ⅱ)―연혁적 검토 및 헌법상 재판청구권과의 관계 등을 중심으로―

        김시철 한국세법학회 2022 조세법연구 Vol.28 No.1

        The administrative adjudication proceedings operate to provide remedies to parties, self-control of administrative agencies, and decrease burdens of the courts. In principle, the Korean Administration Litigation Act adopts an optional administrative adjudication proceeding system. The Korean National Tax Basic Act, however, takes the mandatory tax-administrative adjudication proceeding system, with an extremely narrow scope of exceptions. Furthermore, the Act encompasses the doctrine of non-suspension of execution concerning decisions, in which the non-standing organizations are given the power to grant preliminary remedies to parties. Tax disputes generally involve expertise in the field, technical knowledge, a vast amount of data and information, and repetitiveness. This paper focuses on the mandatory tax-administrative adjudication proceeding and its preliminary remedies with a specific focus on its relation to the historical background and developments and the Constitutional right to a fair trial. This paper discusses that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optional administrative adjudication proceeding system, the current administration litigation system does not infringe the Constitutional right to a fair trial. On the contrary, the adopted mandatory tax-administrative adjudication proceeding system must be reviewed and analyzed to confirm the validity of such a system. Whether to implement the mandatory tax-administrative adjudication proceeding system or the doctrine of non-suspension of execution is a legislative decision. However, when the related legislation infringed the right to a fair trial guaranteed in the Constitution or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quasi-judiciality prescribed in Article 103, Clause 3 of the Korean Constitution, then such a system should not be approved. The grounds and extent of how tax disputes are resolved can differ in each country. These discrepancies exist because a wide variety of constitutional provisions, different legislative policies, and distinctive social and cultural backgrounds exist among various countries. When analyzing constitutional dimensions of different countries, comparisons related to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should be considered since the constitutional provision's formalities and contents are of significance. Article 103, Clause 3 of the Korean Constitution is unique from the perspective of comparative law research. Consequently, with respect to the mandatory tax-administrative adjudication proceeding system, adopting a foreign country's legal approach on the issue will be problematic. A foreign country's legal framework to this issue will likely have developed under a unique doctrinal premise. In addition, existing discussions criticize Japanese tax dispute resolution system as having excessive restrictions on the taxpayers' Constitutional right to a fair trial and its overprotection of tax agencies. This approach has impacted Korea for a considerable time. There are many cases concerning judicial review over tax laws or issues about administrative interpretations of tax laws in Korean practice. Under the Korean Constitution, the British Tax Chamber of the Tribunal system, established as a non-departmental public body, cannot be established in Korea. As a result, under the current mandatory tax-administrative adjudication proceeding system, upholding the taxpayers' Constitutional right to a fair trial and, at the same time, complying with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quasi-judiciality (Article 103 Clause 3 of the Constitution) is a challenging task. Tax litigation involves a declaratory action, which pursues the confirmation of the non-existence of tax liabilities. Therefore, abuse of discretions by tax authorities cannot be an issue in tax cases. Instead, only the illegality of the disposition of tax agencies can be an issue in the case. The tax payment by self-assessment system, the U.S. tax payment approach, has been introduced and establ...

      • KCI등재

        헌법상 조세법률주의와 세법의 해석방법론 -‘의심스러운 경우 납세자의 이익으로’의 해석방법론을 중심으로

        김시철 사법발전재단 2022 사법 Vol.1 No.59

        The legal relationship between the state and the taxpayer regarding taxes is equivalent to a debtor and creditor. Taxing authorities have no discretionary power to impose taxes because the enacted laws immediately establish tax liabilities. Therefore, all administrative actions of taxing authorities must be strictly bound by taxing statutes. Under conventional interpretative methods, literal/systemic/historical/teleological interpretation must be applied for all legal areas. Furthermore, for specific cases, the interpretation must reflect characteristics of the regulatory law based on a conventional interpretative approach. For example, the principle of legality should be first considered in interpreting criminal law. The British style principle of ‘Taxation by Statutory Law’ (i.e.,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stipulated in the Korean Constitution protects individuals' constitutional rights and gives priority thereto. Likewise, to interpret tax law, the principle of ‘no taxation without representation’ must be given preferential consideration based on a conventional interpretative approach. In a basic framework, the interpretation of laws and contracts applies the same interpretation methodology. The interpretation of the terms and conditions is structurally similar to interpreting laws, which allows the tax laws to be interpreted as the terms and conditions. Thus, the literal approach to interpretation should be the starting point to interpret a tax-law provision. In other words, the strict literal approach is the primary method of interpretation. Based on such an approach, functional interpretation of the law can determine the whole meaning of the provision. Even after this process, when the provision can be interpreted in multiples of modes and each interpretation has a reasonable ground, the ‘in dubio contra fiscum’ is to be applied as the last step in the control-of-interpretation level. Enacting tax laws that the public can easily understand is practically impossible. Yet enacting tax laws that are too complex for even experts such as taxation law professors to comprehend is entirely different matter. There are reports that when faced with ambiguous provisions in the tax laws, the revenue officers aggressively interpret the provision so that the highest amount of tax can be imposed on the taxpayers. If this were to be true, it would be erroneous. Tax law statutes are presumed constitutional and controlling the norms should be approached with caution. However, for the National Assembly to enact unconstitutional tax law statutes or for taxing authorities to make administrative actions contrary to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axation by Statutory Law’ should not be permitted. Therefore, Korean courts and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interpret tax laws in light of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and sustain an inevitable norm regulation ad hoc. Judicial decisions that protect individuals’ constitutional rights are needed because legislations must not violate the constitutional principle of ‘Taxation by Statutory Law.’ Not only that, but the taxing authorities have no power to regulate norms such as tax law statutes or related administration legislations. 조세법률관계는 국가와 납세의무자가 채권자·채무자로서 대립하는 공법상 채권·채무관계에 해당한다. 조세채무는 법률규정에 의하여 바로 성립하기 때문에, 그 성립에 관하여 과세관청은 재량권을 행사할 수 없다. 즉, 조세채무의 성립에 관한 과세관청의 모든 행정작용은 법률에 엄격하게 기속되어야 한다. 모든 법 영역에서 문리적/체계적/역사적/목적론적 해석과 같은 전통적인 해석방법론이 사용되는데, 구체적 사안에서 이루어지는 해석은 전통적인 해석방법을 토대로 하여 해당 영역을 규율하는 법률의 성격을 반영해야 한다. 예컨대, 형사법의 해석에 관하여 죄형법정주의 원칙을 우선시해야 하는 것과 마찬가지로, 세법의 해석도 위와 같은 전통적인 해석방법론을 토대로 하되, 헌법이 개인의 기본권을 보호할 목적으로 채택한 영국식 조세법률주의를 우선적으로 고려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져야 한다. 한편 ‘법률’의 해석과 ‘법률행위’의 해석은 해석방법론의 측면에서 같은 의미를 가진다. 또한 약관의 해석은 구조적으로 법률의 해석과 유사하므로, 세법해석에 관하여 약관통제에 관한 해석방법론을 원용할 수 있다. 즉, 세법조항의 경우 1차적으로 엄격한 문리해석을 해야 하고, 이를 토대로 제한해석의 원칙 등 다양한 기능적 해석방법론들을 적용하여 해당 세법조항의 일의적(一義的) 의미를 파악하기 위한 노력을 해야 하며, 이러한 과정을 거친 후에도 객관적으로 여전히 그 조항이 다의적(多義的)으로 해석되고 그 각각의 해석이 합리성이 있는 경우에는 해석통제단계의 마지막 시점에서 ‘의심스러우면 납세자의 이익으로’의 해석방법론이 적용된다고 봄이 타당하다. 모든 세법을 일반 국민들도 쉽게 내용을 파악할 수 있도록 만드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그러나 세법의 내용이 지나치게 복잡하여 세법 전공 교수들조차 이해하기 어렵다고 공언하는 상황이 정상적이라고 할 수는 없다. 나아가 우리나라에서는 세무공무원이 모호한 세법조항을 일단 ‘적극적으로 해석’하여 ‘최대한’ 세금을 부과한다는 언론보도까지 나오고 있는데, 이러한 상황이 실제로 만연하고 있다면 이는 심각한 문제이다. 합헌으로 추정되는 세법에 대한 규범통제는 신중해야 하지만, 국회가 세법을 제정하거나 과세관청이 조세채무의 성립에 관한 각종 행정작용을 하는 과정에서 헌법이 규정한 조세법률주의에 위배되는 방향으로 공권력을 행사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 따라서 법원과 헌법재판소는 헌법상 조세법률주의의 취지를 반영하는 방향으로 세법을 해석하고, 사안에 따라 필수불가결한 규범통제를 하는 등 적절한 사법적 판단을 함으로써 개인의 기본권을 충분히 보호해야 한다. 국회의 입법은 헌법상 조세법률주의를 위반할 수 없고, 과세관청은 세법 및 관련 행정입법에 관한 규범통제를 할 수 없기 때문이다.

      • KCI등재
      • 부부간의 과거의 부양료 지급의무에 관하여

        김시철 사법발전재단 2008 사법 Vol.1 No.5

        This paper primarily discusses the Supreme Court ruling in 2005 Seu 50 ( June 12, 2008) where the court dealt with the issue of whether an application for retroactive spousal maintenance (spousal support/ alimony) to the court should be allowed in general. Traditionally, the main objective of the court's award of spousal maintenance is to provide necessaries for the dependent spouse, which the supporting spouse may be compelled to contribute to the dependent spouse only for future living expenses. Following this traditional legal principles, the Supreme Court of Korea in earlier cases such as 90Meu781, 798 ( October 8, 1991), held that the retroactive spousal support should be granted only in exceptional cases where specific conditions are satisfied. Meanwhile, in the later case of 92Seu21 (May 13, 1994), the Supreme Court in a full bench decision took the position that the retroactive child support can generally be imposed. This decision caused controversies on whether the ruling could be applied to spousal support cases and conflicting views have continued until recently. In the case for review in this paper, the Supreme Court clarified its position while the trial and the appellate court took different views regarding retroactive spousal support. In particular, the Court drew a distinction between the current case and the Full Bench Decision and recognized the precedents on the retroactive spousal support as still being valid. This ruling seems to be persuasive and well-grounded as a sound principle of law compared with the views adopted by other countries. 이 논문은 부부간의 과거 부양료 지급청구가 일반적으로 허용될 수 있는지에 관한 판례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부부 사이에서는 要扶養者의 생계유지를 위하여 부양료를 청구하는 것이기 때문에, 특별한 사정이 없는 이상 이미 경과한 기간에 관한 과거 부양료를 扶養義務者에게 나중에 청구하는 것은 허용될 수 없다는 것이 전통적인 법리로서, 대법원 1991. 10. 8. 선고 90므781, 798 판결 등을 비롯한 기존 판례는 이러한 전통적 법리를 그대로 반영하고 있다. 그 후 ‘부모 중 일방이 미성년자녀의 양육에 지출한 과거 양육비의 상환청구’를 원칙적으로 허용하는 대법원 1994. 5. 13.자 92스21 전원합의체 결정이 고지된 다음, 위 전원합의체 결정의 법리가 부부간의 과거 부양료 청구사건에 적용될 수 있는지 여부에 관하여 견해의 대립이 있었다. 이 사건에서 제1심법원과 원심법원은 각각 다른 견해를 취하였다. 이 사건 연구대상결정은 기존 판례가 여전히 정당한 판례로서 그 유효성이 인정된다는 점, 그 사안과 위 전원합의체 결정의 사안은 서로 구별될 수 있다는 점 등을 확인한 것이다. 이 사건 연구대상결정의 법리는 상당한 설득력이 있고, 비교법적인 검토 등에 비추어 보더라도 그 법리적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다.

      • 형벌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

        김시철 사법발전재단 2009 사법 Vol.1 No.8

        This paper primarily examines and analyzes the Supreme Court Decision 2004Do7111a delivered on January 15, 2009 where the Court dealt with the issue of whether a legislative act or its provision thereof related to criminal penalty should be invalidated retroactively, especially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declares that such act or its provision fails to conform with the Constitution--i.e., the Constitutional Court's “nonconformity with the Constitution” decision. Under the current principle of law, a criminal statute, once decided as unconstitutional by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not applied retroactively and such decision of unconstitutionality requires prior convictions of the courts based on such statute to be readjudicated. The judgment of non-conformity of statute to the Constitution rendered by the Constitutional Court implicates that such statute violates the Constitution. Thus, in a criminal case where such “non-conformity with the Constitution” decision has absolute retroactive effect, the court should not apply that statute, which decided as not conforming to the Constitution, to penalize criminal defendants. Also, the retroactive application of newly revised act, which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as “nonconforming act to the Constitution”, to the conduct committed before such newly revised act comes into effect is against the principle of nonretroactivity since the people should be free from retroactive criminal law according to Section 1, Article 12 and Section 1, Article 13 of the Constitution. Therefore, ex post facto application of laws to defendants in criminal cases is against the principle of nonretroactivity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has held the statute as nonconformity with the Constitution. In the case for review in this paper, the trial court ruled the defendant as not guilty by reasoning that the criminal laws should lose its effect retroactively when the Constitutional Court decided such laws as nonconforming to the Constitution. The appellate court and the Supreme Court also sustained the decision of the lower court, reasoning that the amendment of criminal statutes cannot be applied retroactively to determine the defendant's conviction. In particular, the Supreme Court drew a distinction between criminal statutes and other types of statutes in relation to the retroactive effect of nonconformity with the Constitution decisions. The opinion of the Court states strong persuasive grounds for its decision, and in light of a comparative law viewpoint to this matter, this decision also maintains a highly logical and justified stance. 이 논문은 헌법재판소가 형벌조항에 대하여 헌법불합치결정을 선고한 경우, 그 형벌조항이 소급적으로 실효되는지 여부에 대하여 검토한 것이다. 현행 법제도에 의하면, 형벌조항에 대한 위헌결정은 그 법률의 효력을 소급적으로 상실시키는 것이고, 이러한 위헌결정은 이미 확정된 유죄판결에 관하여도 전면적인 재심사유가 된다. 그리고 어떤 법률조항이 헌법에 합치되지 않는다는 헌법재판소의 결정은 그 법률이 헌법에 위반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위와 같이 위헌결정의 전면적인 소급효가 미치는 형사사건에서 법원은 이미 헌법불합치결정을 받은 법률규정을 더 이상 피고인에 대한 형벌조항으로 적용할 수 없고, 헌법불합치결정으로 인하여 사후적으로 개정된 개선입법을 그 시행 이전에 종료한 행위에 대한 처벌근거법률로서 소급적용하는 것은 헌법 제12조 제1항, 제13조 제1항에 규정된 형벌불소급의 원칙에 위배되는 것이다. 이 사건 연구대상판결의 당해 형사사건을 심리하였던 제1심법원은 이 사건 헌법불합치결정에 의하여 이 사건 법률조항의 형벌조항으로서의 효력이 소급적으로 소멸하였음을 전제로 하여 피고인에게 무죄판결을 선고하였고, 원심법원과 대법원은 사후적으로 입법화된 개선입법을 그 시행 이전에 종료한 행위에 대한 처벌근거법률로서 소급적용할 수 없다는 등의 이유로 제1심판결을 그대로 유지하였다. 특히 대법원은 형벌조항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의 효력과 다른 법률규정에 대한 헌법불합치결정의 효력은 구별된다는 점을 분명히 하였다. 이 사건 연구대상판결의 법리는 상당한 설득력이 있고, 비교법적인 검토 등에 비추어 보더라도 그 법리적 타당성을 인정할 수 있다.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