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목판 교환 방법을 활용한 다색 협힐 제작기법에 관한 연구

        이정은,스가노 켄이치 복식문화학회 2020 服飾文化硏究 Vol.28 No.5

        The aim of this study is to define the new expressive techniques for multicolored clamp resist (hyuphill) dyeing, based on empirical verification on relics that are estimated to be dyed by the exchange of more than two wood blocks: a previously undiscovered technique. Clamp resist dyeing (assumed to be made by exchanging wood blocks) have uneven resist printing lines or cloudy gradation. These are reproduced as follows: first, they have uneven contour lines, particularly with the color blue. It is possible to exchange wood blocks separately on patterns with uneven resist printing lines, and it has been verified that the exchange of wood blocks makes these irregular resist printing lines. It has also been verified that exchanging the wood blocks according to the gradation (to emphasize the cubic effect on the patterns) yields clamp resist dyeing with no resist printing lines but with cloudy gradations that have accented borders. This study provides basic information that enables methods of multicolored clamp resist dyeing through wood block exchange to be deduced (something that has not been attempted for a long time). Thus, the revival of the modern Korean dyeing culture based on the conservation and perseverance of the traditional dyeing techniques can be achieved.

      • KCI등재

        경남 의령지역의 문집 간행양상

        송정숙,김시내 한국도서관·정보학회 2019 한국도서관정보학회지 Vol.50 No.4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explore some aspects and characteristics of 109 volumes of collections of works at Uiryeong area in Gyeongsangnam-do Province. The author analyzed type of printing, type of collections of works, their birth year and the family name of the author, the place and the year, and the publisher of the publication of these different 109 kinds of the collections of works. The results are as follows: The collections of works demonstrate their forefathers’ academic competencies. The types of printings were divided into 4 types, wood block printing, wooden movable-type printing, new lead-type printing, lithography printing. Of the collections of works 48% were wooden movable-type printing. The types of collections of works were divided into 3 types, Munjip(文集), Yujip(遺集), and Silgi(實記). Of the collections of works 49% were Munjip. The authors were local intellectuals. Of these authors 67% of authors were born in the 19th century. Twenty nine lineage groups published collections of works at Uiryeong area. 90% of the publications were published in the 20th century. In terms of place, 81% of the collections of works were published in the worshipping halls for their ancestors. 63% of the collections of works were published within 50 years after the author had died. 이 연구는 경상남도 의령지역에서 간행된 109종의 문집을 대상으로 문집 간행의 구체적인 양상과 출판문화적 의미를 파악하고자 문집의 판종, 유형, 저자사항, 간행사항을 분석하였다. 연구의 결과 다음과 같은 사실이 밝혀졌다. 경남 의령지역 간행 문집 109종의 판종, 유형, 저자사항, 간행사항을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판종은 목활자본(52종, 47.7%), 석판본(25종, 22.9%), 신연활자본(18종, 16.5%), 목판본(14종, 12.8%)의 순이다. 2) 유형은 문집(53종, 48.6%), 유집(47종, 43.1%), 실기(9종, 8.3%)의 순이다. 3) 문집 저자의 출생연도는 1318년부터 1902년까지 584년의 간극이 있다. 1318년생은 <경은실기>의 저자인 전조생이고, 1902년생은 <회동유고>의 저자인 전용기(1902-1978)이다. 전체 저자 104명 가운데 19세기 전기 출생자가 16명(15.4%), 19세기 후기 출생자가 54명(51.9%)로서 19세기에는 전체의 67.3%에 해당하는 70명이 출생하였다. 4) 109종 문집 저자의 성관은 모두 29개로서 담양전씨(15종) > 고성이씨(12종) > 진양강씨·탐잔안씨(각9종)의 순이다. 5) 의령에서 문집의 간행년도를 보면, 1610년대부터 1980년대까지 370년간 간행되었고, 1820년대까지는 문집이 목판으로만 간행되었고, 1850년대에 목활자본 문집이 처음 나타나며, 1930년대에 석판본, 신연활자본 문집이 나타난다. 6) 저자 사후 문집간행에 소요되는 기간을 살펴보면. 저자가 별세하는 당해년부터 사후 545년까지 간행되었고, 저자 사후 50년 이내에 63%인 69종이 간행되었다. 7) 문집의 간행소는 판종에 구분없이 조상의 제향공간인 누정과 재실에서 가장 많이 간행되었다. 이는 문집간행이 선조의 학문과 행적을 선양하고자 하는 혈연공동체의 사업이었음을 말해준다.

      • KCI등재

        「鏤板考」에 수록된 경남지역 서원 藏板 - 서원 刊板을 대상으로 -

        윤상기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50 No.-

        This study identified whether wooden printing blocks were published by seowons(서원) in Gyeongnam(경남) province, listed on Nupango(「鏤板考」) and analyzed their characteristics. In this research, only the wooden printing blocks almost certainly published by seowons were analyzed. To prove their publication in seowons, this study examined the publications connected with wooden printing blocks and relevant documents. The result shows that five of nineteen titles listed in Nupango are sure to be published in seowons: Nammyeong-seonsaeng munjib(南冥先生文集), Ijonrok(彛尊錄), Haman Jo-ssi sipchung sillok (咸安趙氏十忠實錄), Eogye-seonsaeng jib (漁溪先生集), and Guam- seonsaeng jib (龜巖先生集). Three titles among them belonged to the subclass of a personal anthology in the Class of Collection of works and two were categorized into a biography in the Class of History. All authors or the subjects of these works were the people shrined by the seowons which published those titles or their descendents. So they were all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people worshipped by the related seowons. These five titles of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used for publishing nine editions. Each of three editions had been respectively published in the early 16th and 17th centuries, and the late 17th century. Five of them were the first editions and four were the later editions. 이 글은 「鏤板考」에 수록된 경남 지역 서원들에서 소장하고 있던 책판들을 대상으로 서원 간행 여부를 밝히고 그 성격들을 분석하되, 우선 서원 간행이 확실한 책판들만을 대상으로 살펴본 것이다. 대상 책판들과 관련된 판본들을 찾아내어 분석하고, 관련 기록들도 이용하여 그 책판들이 서원에서 간행한 것임을 증명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鏤板考」에 수록된 19종의 대상 책판들 중 南冥先生文集, 彛尊錄, 咸安趙氏十忠實錄, 漁溪先生集 및 龜巖先生集의 5종이 서원에서 간행한 것이 확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5종의 책판 중 3종은 集部 別集類에 속하고 2종은 史部 傳記類에 속하는 것이다. 그리고 책판에 판각된 작품들의 저자 혹은 피전자는 모두 책판을 간행한 서원의 배향자이거나 그 후손들로서 배향자와 직․간접으로 관련이 있었다. 이들 5종의 책판들은 총 9종의 판본의 간행에 이용되었는데, 17C 전기, 18C 전기 및 18C 후기에 각각 3종씩 간행되었다. 그리고 그들 중 5종은 초간에 해당되고, 4종은 중간에 해당된다.

      • KCI등재

        조선후기 책판의 간행공간에 관한 연구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을 중심으로 -

        손계영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49 No.-

        Though not found in the printed book, the vivid informations at the time of publish can be found in the wooden printing blocks thereof. From the places of publish, the people therein and lives thereof also can be detected. This paper tried to examine the publishing places of wooden printing block in the Late Joseon and the people therein. Based on the publish records carved or written on the wooden printing blocks possessed by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this paper classified the official publishing places of wooden printing block into local government office, Confucianist auditorium, village school and private family house, and checked out whether the official publishing places and real publishing places were same or not. Through the publish cases of 18th and 19th Century confirmed by above check, the figure and conditions of publishing places could be examined. The publishing of wooden printing blocks were done in the places where the geographical position and other conditions were very good to procure the personal and material resources. The working and residential space for manpower were also essential for the publishing. In addition, the distances to the main agent of publishing was close enough for smooth communication. Otherwise, they had some system that could close the distance by the efficient operation and practical communication between members. 인쇄된 서책에서는 볼 수 없지만 그것의 모체인 책판에는 간행할 당시 살아있는 정보들이 숨어있다. 간행이 이루어졌던 공간, 그 공간 속 사람들과 그들의 삶을 포착해낼 수 있는데, 본고는 조선후기 책판 간행 공간과 간행 여건에 대해 다루고자 한다. 본고에서는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에 새기거나 墨書한 刊記를 통해 책판의 공식 간행처를 지방관아․서원․서당․문중[私家] 등으로 나누어 살펴보았다. 또한 책판의 공식 간행처가 실제 간행이 이루어졌던 간행공간과 일치하는지를 검토하였다. 그 결과 공식 간행처가 실제 간행공간과 반드시 일치하는 것은 아니었다. 이러한 검토과정에서 확인된 18~19세기의 간행사례를 통해 책판이 간행되었던 공간의 모습과 간행공간을 이루었던 여러 조건들을 살펴보았다. 책판의 간행은 물력․인력 조달이 지리적 위치 또는 상황에 따라 매우 용이한 조건을 갖춘 공간에서 이루어졌다. 또한 간행의 참여인력들이 작업하고 생활할 수 있는 공간이 필수적으로 확보 가능한 곳이었으며, 이들의 숙식을 해결할 수 있는 조건의 공간이어야 책판간행이 가능하였다. 이외에도 간행주체와 소통할 수 있는 거리에 위치하여야 간행작업이 원활할 수 있었고, 그렇지 못한 경우에는 물리적 거리를 좁힐 수 있는 운영구조와 구성원들의 실질적 업무를 통해 소통 가능한 시스템을 갖추고 있었다.

      • KCI등재

        책판의 주석에 관한 연구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을 중심으로 -

        김기화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연구 Vol.50 No.-

        This study examined distinctive features of the relation between the text and the meaning of notes contained in the wooden printing blocks held by Korean Studies Advancement Center. The result shows that in some cases, the explanatory notes included in the wooden printing blocks gave an explanation of the contracted phrase in the text and in other cases, the headnotes were used to examine the appropriate usage of some characters or texts in question. In these wooden printing blocks, such characters which means a king as ‘sang(上)’, ‘seong(聖)’ or ‘wang(王)’ are marked on the upper side by one or two characters above other characters in the text. On the headnotes, the author’s thoughts and philosophy are provided as an explanatory notes with the mark “○”.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에 나타나는 주석이 지니는 의미와 본문 내용과의 관계에 특징적인 사항을 살펴보았다. 그 결과, 한국국학진흥원 소장 책판에 나타나는 주석은 본문의 축약된 내용을 설명해주는 경우와 본문에서 의심이나 의문이 나는 字를 선별하여 문장의 쓰임에 있어 타당한가의 여부를 살펴서 두주에 표기하는 방법도 있다. 책판에는 임금을 의미하는 “上”字나 “聖”字 또는 “王”字를 의도적으로 본문의 字보다 한 두 글자씩 올려 변란위에 수록하여 나타내고 있다. 頭註에 문집의 著者가 지닌 사상과 철학이 수록된 행의 난상에 “○”으로 표시하여 주석으로 나타내는 방법도 있다.

      • 『鏤板考』에 수록된 경남지역 서원 藏板 - 서원 未刊板과 불확실판을 대상으로 -

        윤상기 한국서지학회 2011 서지학보 Vol.0 No.38

        이 글은『鏤板考』에 수록된 경남 지역 서원들에서 소장하고 있던 책판들을 대상으로 서원 간행 여부를 밝히고 그 성격들을 분석하되, 서원에서 간행하지 않은 책판과 서원 간행이 불확실한 책판만을 대상으로 살펴본 것이다. 대상 책판들과 관련된 판본들을 찾아내어 분석하고, 관련 기록들도 이용하여 그 책판들의 간행사항들을 밝히고자 하였다. 그 결과, 『鏤板考』에 수록된 19종의 대상 책판들 중 3종은 서원에서 간행하지 않은 것이고, 11종은 서원 간행이 불확실한 것으로 드러났다. 이들 14종의 책판 중 1종만 史部 傳記類에 속하고 나머지 13종은 모두 集部 別集類에 속하는 것들이다. 그리고 책판에 판각된 작품들의 저자 혹은 피전자는 모두 책판을 간행한 서원의 배향자와 직․간접으로 관련이 있었다. 이들 14종의 책판들은 총 18-20종의 판본의 간행에 이용되었는데, 17c 전기에 2종, 17c 후기에 6-9종, 18c 전기에 2-3종, 18c 후기에 7종이 각각 간행되었다. 그리고 그들 중 3종만 중간에 해당되고, 나머지 15-17종은 모두 초간에 해당된다. This study identified whether the wooden printing blocks were published or not by seowons(서원들) in Gyeongnam(경남) province and analyzed their characters. These seowons which have the wooden printing blocks were listed on the Nupango(『鏤板考』). In this paper, the wooden printing blocks that had not been and might have been published by seowons were analyzed. To identify facts of publication, this study used publications connected with wooden printing blocks and relevant documents. The result is that three of nineteen titles listed on the Nupango are sure not to be published in seowons and eleven titles might have been published. One of these fourteen titles was categorized into biography of the class of History and thirteen were categorized into individual works of the class of Collection of works. All of the author of works and the subject one of biography were inscribed on the wooden printing blocks were directly or indirectly related to the worshiper of related seowons. There fourteen titles of wooden printing blocks have been used in the published eighteen to twenty editions. Two editions of these had been published in the first half of the 17C, six to nine editions in the late 17C, two to three editions in first half of the 18C and seven editions in the late 18C. Three editions of these were the later edition and fifteen to seventeen editions were the first edition.

      • 경북지방(慶北地方) 사찰(寺刹) 소장(所藏) 판본(板本) 및 전적(典籍) 고찰(考察)

        윤동원 ( Dong Won Yun ) 한국디지틀도서관포럼 2014 디지틀 도서관 Vol.74 No.-

        본 연구는 경북지역의 사찰에서 소장하고 있는 판본 및 전적을 대상으로 고찰해 보았다. 경북지역 사찰에 소장된 판본은 23곳에서 162종, 4,075장이 판각되어 소장되고 있었다. 이를 주제별로 나누어 보면, 經史子集이 골고루 분포되어 있다. 따라서 사찰에서도 불경뿐만 아니라 여러 주제의 목판들이 다양하게 판각되었다. 판각연도를 살펴보면, 임란이전에 판각된 목판은 32종이었다. 전적이 소장된 곳은 7곳으로 142종 511책이 소장되어 있다. 이 중 제일 많이 소장된 곳은 대둔사였으며, 다음이 불영사였다. 간행연대 분석에서는 대부분의 전적이 영.정조 이전에 간행된 전적들이다. 귀중서로 취급될 수 있는 임란이전에 간행된 것이 모두 43종으로 파악되었다. 간행지가 확인된 전적은 92종, 간행처가 확인된 전적은 97종이었다. 판본은 목판본이 대부분이었다. 施主者가 기록된 전적은 6종이다. 그러나 이 연구에서는 전적조사에서 누락된 것도 많을 것으로 보여 아쉽지만 차후의 연구과제로 남겨 놓고자 한다. This study examined traditional printing blocks and books housed in Buddhist temples located in the area of Gyeongbuk Province. The total number of printing blocks is 4075, housed in 23 temples, with 162 varieties. When classified according to their subjects, they are found to have a variety of subjects: Confucian principles, history, important scholars` biographies, and literature. Thus, it is found that Buddhist temples engraved printing blocks of other various subjects as well as Buddhist scriptures. Regarding the time of engraving, 32 varieties of printing blocks were engrave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called Imjinwaeran. 511 traditional books are housed in seven Buddhist temples with 142 varieties. Daedunsa (temple) houses the largest number of such books, followed by Bulyeongsa (temple). Regarding the time of publishing, most of the books were published before King Yeongjo`s and King Jeongjo`s reign. 43 varieties of those books published before the Japanese Invasion of 1592 are regarded as valuable. 92 varieties of those books showed which magazine they belonged to, and 97 varieties revealed their publishers. Printing blocks were mostly made of wood. Only six varieties of those books showed the records of their donors. However, this study seems to have overlooked many records, leaving them to the following research.

      • KCI등재

        조선시대 유교목판 제작 배경과 그 의미

        설석규(Sul Suk-Kyu) 한국국학진흥원 2005 국학연구 Vol.6 No.-

        이 글은 조선시대 유교목판의 제작이 활성화하게 된 배경과 실상을 역사적 관점에서 조명한 것이다. 유교목판은 조선시대 성리학에 입각한 도덕적 질서구현을 지향하는 도학의 대두와, 그에 근거한 사림의 학파형성에 따른 정치ㆍ사회적 역학관계의 확립에 따라 경전뿐만 아니라 문집의 발간이 보편화하게 되면서 활발하게 제작되었다. 그리하여 그것은 우리나라 인쇄문화를 주도하면서 주자성리학과 비교되는 한국성리학의 독자성을 보장하는 중추적 역할을 담당하게 되었다. This paper illuminates the background and actual situation of how the production of Confucian wooden blocks for printing became active from the historical point of view. The introduction of Do-hak(道學), which aims at the true materialization of ethical order based on the Neo-Confucian in Choseon Dynasty, enabled wooden blocks to be actively produced. Moreover, the introduction of Do-hak caused a political and social power relationship to be established, which made it more common to publish anthologies as well as sacred books and activated the production of wooden blocks, according to the formation of the schools by Sarim. These led the printing culture of Korea and played a central role for Korean Neo-Confucian to secure its uniqueness, when compared to the Juja Neo-Confucian.

      • KCI등재

        다색 협힐 재현을 위한 제작 기법 연구 - 일본 정창원 소장 협힐을 중심으로

        이정은(Lee, Jung Eun) 한국색채학회 2020 한국색채학회 논문집 Vol.34 No.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the basic data for reproducing the principles of the manufacturing method of the Clamp resist dyeing at that time by analyzing the artifacts of the Clamp resist dyeing in Shosoin and producing Wooden Printing Block and dyeing the template. To this end, director of Shosoin found clues for the production of the Clamp resist dyeing in Clamp resist dyeing pattern and actually produced and solved many of the questions arising from verifying each process. In particular, the method of manufacturing the Wooden Printing Block, the method of fixing the Wooden Printing Block, the method of sandwiching the fabric between the Wooden Printing Block, and the method of injecting dyeing solution were studied. Through this, it is meaningful to provide basic data of each dyeing step for reproduction of Clamp resist dyeing, and it is considered that continuous reproduction research will be required by selecting various materials and patterns in the future. Furthermore, it is expected that a variety of Clamp resist dyeing crafts will be developed by grafting with modern technology based on the reproduced dyeing technology.

      • KCI등재

        해인사 대장경판의 기능 및 수량 재지정 문제에 관한 고찰

        김성수 한국서지학회 2015 서지학연구 Vol.64 No.-

        This study discusses the functions and reassigning the number of the wooden printing 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Major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in Chapter Two, it was discussed that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had its roots in the Jinbyong Tripitaka Koreana, that is, the First Edition of Tripitaka Koreana which helped defend Goryeo from the war. Therefore,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had been carved to inherit the spirit of defending the country represented in the Jinbyong Tripitaka Koreana. Second, in Chapter Three, the functions and significance of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were discussed. It was confirmed that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had ① the function of defending the country, ② the function of cumulating the extant collection of Buddhist treatises, laws, and scriptures, and ③ the function of completing it as the most comprehensive version of the Tripitaka Koreana. Third, in Chapter four, the whole quantity of wooden printing 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was discussed. It was computed that 81,234 pieces of the original woodblocks and 118 pieces of the supplementary woodblocks made a total of 81,352 pieces of woodblocks of the Tripitaka Koreana stored in Haeinsa. 이 논문은 해인사 대장경판의 기능 및 총수량(總數量)의 재지정에 관하여 논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제2장에서는, 해인사대장경의 뿌리(根源)는 전쟁을 진압한 대장경인 진병대장경(鎭兵大藏經: 고려 初雕大藏經)에 있음을 논술하였다. 그리하여 해인사대장경(再雕大藏經)은 진병대장경의 護國精神을 이어받아 판각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둘째, 제3장에서는 해인사대장경판의 기능 및 가치에 대하여 논술하였다. 그 결과, 해인사대장경판의 기능은 ① 國家守護의 기능, ② 三藏結集의 累加性의 기능, ③ 대장경으로서의 완결성(完結性)의 기능 등이 있음을 살펴보았다. 셋째, 제4장에서는 해인사대장경판의 총수량(總數量) 문제를 논급하였다. 그 결과, 해인사대장경판은 ‘원판분류경판 81,234판’과 ‘보각경판 118판’으로 구성됨으로써 그 총수량(總數量)은 ‘81,352판’으로 집계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