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우수등재

        폴리스캠ㆍ드론 활용에 따른 공공부문 개인영상정보 규율체계 방향

        박주희 법조협회 2020 法曹 Vol.69 No.2

        공공부문에서 폴리스캠과 드론의 사용이 활성화됨에 따라 개인영상정보의 보호가 시급하다. 현행 개인정보보호법은 이동형 영상촬영기기에 의한 개인영상정보를 별도로 규정하고 있지 않아, 일반적인 개인정보 수집ㆍ이용 규정인 제15조에 규율된다. 그러다보니 폴리스캠과 드론의 사용범위가 ‘공공기관이 법령 등에서 정하는 소관 업무 수행’이라는 매우 넓은 해석이 적용되어, 국가의 국민감시사회나 규범명확성 및 목적구속원칙 위배성의 문제를 초래하고 있다. 더군다나 폴리스캠과 드론에 대한 운용 규칙이 경찰청 내부훈령으로 있지만 법률상 그 사용의 근거가 없어, 개인정보자기결정권 제한의 법률유보 원칙이 지켜지지 않고 있다. 또한 정보주체는 갑자기 출현한 이동형 영상촬영기기에 언제 자신의 영상정보가 수집되는지를 알지 못해 수집ㆍ이용의 투명성이 확보되지 못하고, 특히 개인영상정보의 원본유지와 엄격한 보관시스템이 요구되지만 공공부문 현장이 이를 제대로 이행할 환경이 되는지도 우려된다. 본 논문은 이러한 공공부문 이동기기 개인영상정보 규율의 문제점을 개선하기 위해 보호체계 및 법제 개선방안을 논의하였다. 먼저, 개인정보 보호원칙에 개인영상정보 ‘촬영사실의 인식용이성’과 ‘원본성’을 추가 명시해야 한다. 둘째, 개인영상정보에 대한 규율은 ‘개인정보보호법’에 규정을 추가하여 ‘일원화’된 개인정보 보호체계로 이루어져야 한다. 셋째, 개인정보보호법에 ‘개인영상정보 개념’을 명확히 규정하고 영상촬영기기를 고정형과 이동형으로 분류해 각각 개인영상정보 수집 규정을 별도로 두어야 한다. 넷째, 개인정보보호법령에서 이동형 영상촬영기기 사용범위를 범죄의 예방・진압 및 수사, 국민의 생명・신체 보호 등으로 명시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공공부문에서 사용되는 이동형 영상촬영기기에 대하여 개인정보 영향평가를 의무적으로 거치도록 해야 한다. With the use of police cams and drones in the public sect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is urgent. The current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does not separately regulate personal video information by mobile video recording devices. It is regulated in Article 15, which is a general provision of personal information collection and use. So, a very broad interpretation is applied that the scope of use of police cams and drones is that ‘public agencies perform jurisdiction prescribed by laws and regulations.’ For this reason, the nation's national surveillance society is concerned, or it leads to a problem that violates the principles of clarity and purpose. Moreover, the rules of operation for police cams and drones are only internally ordered by the National Police Agency, and there is no basis for their use in law. The principle of retention of laws regarding the limitation of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is not observed. In addition, the information subject does not know when his video information is collected on the suddenly appearing photographing device, and thus the transparency of collection and use is not secured. In particular, it is required to maintain the original video information and a strict storage system. It is also a concern that the field of the public sector will be an environment to properly implement this. This study discussed regulatory system and legislative measure to improve the problems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regulation in mobile devices in the public sector. First, as a principle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when processing personal video information, it is necessary to additionally specify ‘easiness of recognition of the recording facts’ and ‘video originality’. Second, the regulations for personal video information must be made into a ‘unifie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system by adding regulations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ir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learly defines the ‘concept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and separates video recording devices into fixed and mobile types, and sets personal video information collection rules. Fourth, i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scope of use of mobile recording devices should be specified as prevention and suppression and investigation of crime, and protection of people's life and body. Lastly, it is necessary to undergo a personal information impact assessment for mobile video imaging devices used in the public sector.

      • KCI등재

        CCTV 영상정보의 적법한 압수에 대한 연구

        김형규 경찰대학 경찰대학 2019 경찰학연구 Vol.19 No.1

        Today, the use of CCTV video information is very high in the criminal investigation. In practice, investigative agencies seem to obtain CCTV video information by consent. However, according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CCTV video information may not be submitted by consent for investigation purposes depending on the subject of CCTV installation. If CCTV video information is related to the crime, the investigation agency can confiscate the information by pre-warrant. However, there are cases where it is difficult to meet the requirements for issuing pre-warrant. Even if a pre-warrant is issued, confiscation by pre-warrnat may be highly contrary to the efficiency of the investigation and the actual protection of the victim, since it takes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for issuing and executing a warrant. With post-warrant, CCTV video information may be confiscated for the purpose of securing evidence for a crime but not for the purpose of tracking the criminal or protecting the victim. Submission of CCTV video information by consent for investigation purposes is possible when CCTV is installed by a public institution. If an individual who is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has installed CCTV, it is impossible to submit the information unless the information is gathered for that purpose. Tracking criminals or protecting victims are not less important than protecting personal information. However, when CCTV is installed by individual it is difficult to confiscate the video information for the purposes above.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ACT. On the other hand, CCTV video information may be sensitive one, so it is highly likely that the seizure by the investigation agency will infringe the basic rights of the information subject. Therefore, the confiscation of CCTV video information should be done by warrant, and considering the effectiveness of the investigation and the protection of the victim. it should be by post-warrant In addition, under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f an individual and a personal information processor installed CCTV, he may be subject to criminal penalties for submitting video information for investigation purposes. In order for such criminal punishment to function as a practical security device to prevent excessive restriction or infringement on basic rights, revision of the Act to punish the prosecutor or judicial police officer rather than the establisher of CCTV is required.

      • KCI등재

        경찰장비로서 드론 이용에 따른 개인영상정보 보호방안에 관한 연구

        송가영(Song, Ga Young) 경찰대학 경찰학연구편집위원회 2020 경찰학연구 Vol.20 No.4

        드론은 신기술과 결합하여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 하는 등 드론의 업무 범위는 점차 확대될 전망이다. 경찰 내부에서도 드론이 경찰장비인지에 관하여 「경찰관직무집행법」에서는 명백한 근거를 찾을 수 없지만, 경찰청 훈령에 수색과 구조업무에 드론을 사용할 수 있다고 규정하고 있는 것으로 보아 드론을 경찰장비로 간주하는 것으로 보인다. 드론 항공촬영 기술이 국가기관 업무에 활용된다면, 인력·시간·비용 등의 낭비를 줄일 수 있다. 하지만 이를 남용하여 국민의 기본권을 침해하면, 심각한 사회적 문제로 확대될 것이다. 더욱이 드론 항공촬영에 따른 개인정보보호와 관련하여 ‘영상정보처리기기’는 법적으로 배제되어 이를 규제할 명확한 법적 근거가 없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경찰장비로서 드론 이용으로 인한 개인영상정보 보호를 중심으로 인간의 존엄성과 가치 및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를 근거로 보장하는 개인정보자기결정권 등 헌법적 기본권이 실질적 보장될 수 있게 함이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목적을 실현하고자 드론 항공촬영의 특징과 개인영상정보 보호의 보호 필요성 등을 검토하여 법률과 명확한 개념의 부재의 한계를 통해 관련 규정의 법률개선을 검토하고자 한다. The scope of the drone"s work is expected to gradually expand, with new technologies combined to create new added value. Even inside the police, there is no clear evidence in Act on the Performance of Duties by Police Officers regarding whether drones are police equipment. However, given that the National Police Agency instruction stipulates that drones can be used for search and rescue operations, it seems to regard drones as police equipment. If drone aerial video shooting technology is used for work at national organizations, waste of manpower, time, and cost can be reduced. However, if it is abused to violate the basic human rights, it will escalate into a serious social problem. Sometimes drones cause physical, property, and mental damage. Furthermore, it creates a problem of invasion of privacy. However, there are insufficient legal regulations on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to solve this problem.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Devices" are legally excluded in relation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following drone aerial video shooting. Therefore, there is no clear legal basis to regulate this. As a result, there is no direct regulation for the protection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ensure that basic human rights such as the right to self-determin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which are guaranteed based on human dignity, value, and privacy, are practically guaranteed, focusing on protecting personal video information through the use of drones. To realize this purpose of research, we will review the characteristics of drone aerial video shooting and the need for protection of personal video information to study the legal improvement of relevant regulations through the limitations of the absence of laws and clear concepts.

      • KCI등재

        자율주행자동차 시대 개인정보 보호의 공법적 과제

        윤성현 ( Sunghyun Yoon ) 법과사회이론학회 2016 법과 사회 Vol.0 No.53

        4차 산업혁명 시대의 자율주행자동차는 과거 하드웨어 중심의 자동차 개념에서 소프트웨어 중심의 디지털 정보를 광범위하게 처리하는 이동식 컴퓨터의 개념으로 바뀌어가고 있다. 이는 일면적으로는 과학기술을 통한 혁신(innovation)이지만, 다른 한편으로는 이러한 기술적ㆍ산업적 변화에 따라 인간의 삶이 어떻게 변해갈 것인가에 대한 인문학적ㆍ철학적ㆍ법적 문제를 동시에 제기하는 것이다. 과학기술의 발전에 따라 도래하고 있는 `인공지능`과 `포스트휴먼`(posthuman)의 시대는, 그동안 `인간`(human) 존재의 본질로 여겨졌던 이성과 신체능력의 상당 부분을 과학기술과 컴퓨터 시스템이 대신하게 됨으로 인해 생기게 되는 인간 개념에 대한 재해석과 함께 인간에 대한 새로운 위험의 문제를 제기하게 된다. 자율주행자동차를 긍정적으로 이해하는 논자들은, 인간에게 더 나은 안전과 편의를 제공한다는 점을 내세운다. 물론 이러한 논변이 전적으로 틀렸다고 볼 수는 없고, 궁극적으로는 이러한 이상에 도달되기를 필자도 소망한다. 그러나 원자력 등 다른 신기술의 도입과정 등을 통해서도 알 수 있듯이, 과연 자율주행자동차가 과연 종전의 자동차보다 편리하고 좋기만 한 것인지, 신기술이 가져오는 새로운 위험이나 간과하고 있는 위험의 요소는 없는지에 대해서 고민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고, 만약 예상되는 위험이 있다면 우선 기술적으로 이를 방지할 수 있는 대책을 강구해야 하며, 기술 및 산업이 자율적으로 고려하지 않는 부분에 대해서는 법제도와 정책을 통해서 위험을 줄이는 방향으로 유도·강제하는 방안을 모색해야 한다. 오늘날 논의되는 자율주행자동차는 그 자체로서는 중립적이고 단지 생활에 편리한 도구(device)에 불과해보일 수도 있지만, 자율주행자동차는 각각 수많은 디지털 정보를 입력하여 이를 처리하면서 작동되는 시스템이고, 이것이 사물인터넷과 통신으로 서로 연결되면(connected) 이는 곧 엄청난 개인정보의 수집ㆍ저장ㆍ유통기능을 담당하게 되기 때문에, 개인정보 보호와 사생활 보호의 관점에서 종전과는 다른 새로운 위험이 발생하게 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배경에는 근대 이후로 개인의 자유가 보장되면서도 한편으로는 그러한 개인의 권리를 충실히 보호하고 복지를 확대한다는 이유로 공리주의적 사회통제가 강화되어온 감시사회라는 모순적 현실이 자리잡고 있다. 특히 고도화된 정보화시대에 개인정보는 더 많이 노출, 유통되고, 디지털화된 정보에 대한 수집, 감시는 더욱 용이해지고 있는데, 자율주행자동차 시스템도 디지털화된 수많은 개인정보, 특히 위치정보와 영상정보, 통신정보 등으로 운영되기 때문에 이들에 대한 노출과 침해의 위험성에서 자유로울 수 없다. 그리고 이들에 대한 침해는 곧 사생활의 비밀과 자유는 물론 인격권에 대한 침해로 이어질 수 있고, 나아가서는 자유민주적 기본질서에 대한 침해로까지 이어질 수 있기 때문에, 미국과 유럽의 법제 등을 참고하여 사전에 개인정보 보호와 관련한 공법적 규제의 틀을 면밀하게 마련해 놓을 필요가 있다고 생각한다. 디지털 시대에도 여전히 주권자이기 위해서는 깨어있어야 한다. 개인정보에 대한 권리와 주권을 지키는 문제에 있어서도 우리는 개별적으로 또 집단적으로 사전에 단단히 감시등을 켜두어야 자율주행자동차의 새로운 시대가 도래할 경우 편의를 누리는 동시에 기술이 초래할 위험을 방지할 수 있을 것이다. Concept of Automated Vehicle in the era of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is transforming from the `vehicle` that had its focal point in the hardware to the `portable computer` that has its focus in the software that processes broad range of digital information. The phenomenon in one aspect is innovation through scientific technology. However on the other hand, it is raising humanistic, philosophical and legal questions about how human life will change according to the technological and industrial transition. Age of `Artificial Intelligence` and `Posthuman` emerging through the development of technology is creating new concept of human and bringing forward the issue of new danger that is occurring when reason and physical abilities thought as the essence of `human` is being substituted by scientific technology and computer. The advocates of automated vehicle assert that it provides more safety and convenience to human. Such argument cannot be completely be false, and I wish to reach the same conclusion eventually. However, as other process of introducing new technology like nuclear energy tell us, to consider whether automated vehicle is more convenient and better than the previous vehicle system and whether there are no new danger that new technology is bringing about or overlooked elements of danger is severely important. Therefore, if certain danger is expected, technological prevention should be devised as a first step, and for the sections where technology and industry is not self-regulating, it is legislations and policies` role to lead and force to a human-friendly direction. Automated vehicle that is being discussed nowadays can be neutral itself and seem to be no more than a convenient device. However, since each automated vehicle is activated by entering massive amount of digital information and since it collects, stores, and distributes a welter of personal information when connected to Internet of Things(IoT), whole new danger from the previous era is created in terms of personal information and privacy. The ironic reality of surveillance society since the modern times that has assured freedom of an individual on the one hand and has reinforced utilitarian society control on the grounds of fully protecting one`s right and expanding welfare on the other lies beneath this near future. Especially, personal information is more being exposed and distributed and collection and surveillance of digital information is becoming easier in the information age. Automated vehicle system cannot be free from such exposure and danger of violating since it is operated with geolocation, video, and communication information as well. Moreover, since violation of personal information can lead to violation of privacy and human dignity, and damage the basic order of liberal democracy, arranging the frame of public regulation relating to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by researching U.S. and European Union legislation and seems more than necessary. Being awake is what sovereign needs in the digital era. Likewise, to secure right to personal information, we should remember to turn the monitoring lamp on in advance not only as an individual, but also as a group in order to obtain convenience and prevent danger of new era of automated vehicle.

      • 보안사업 발전에 따른 영상정보관리의 개인정보보호법상의 정책제언 : 민간경비업체 CCTV를 중심으로

        김종범 한국경찰복지연구학회 2018 경찰복지연구 Vol.6 No.1

        이 논문은 민간분야 보안 산업이 발전함에 따른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신기술도입 및 그 제품의 다양성과 보급이 확대. 증가되고 있는 상황에서 공공 및 민간영역에서 의 범죄예방·단속, 사유재산 보호, 화재예방 등의 긍정적인 순기능의 효과와 더불 어 개인정보유출 등의 사생활 및 초상, 인격권 침해 등 역기능 또한 증가되며 이에 논란이 되고 있다. 이에 정부는 시대의 흐름에 맞추어 2011년 3월29일「개인정보보호법」을 제정하 여 영상정보처리기기의 정의와 설치. 운영여건 등에 관하여 규정 하였다. 그러나 「개인정보보호법」의 수차례 개정에도 불구하고 디지털기술의 고도화와 영상기기 등의 발전에 따라“개인영상정보”를 취득, 활용하는 새로운 기기의 등의 출현과 더불어 점차 그 영역이 확대되고 있는 상황에서 현행 법률이 이를 규제 할 수 있는 범위를 벗어나는 등의 심각한 한계성과 문제점이 발생하고 있다. 이로 인해 현 개인영상정보보호의 신뢰성에 대한 사회적 불안감이 고조되고 있는 상황에서 특히 민간경비회사의 영상정보처리기기 관련하여 최근의 현황 및 사례를 살펴보고 이에 국한하여 개인정보보호법의 현행법상의 규정 및 규제내용을 살펴 이 를 통해 문제점을 검토하고 개인정보의 침해를 보완·최소화 할 수 있도록 정부차원 의 규제정책 등 개선방향을 제시하여 향후 민간경비분야에 관한 개인정보보호법상 의 개인영상정보와 관련 정책 수립과정에서 고려해야 할 여러 정책에 대해 제언하고자 한다. In this paper, introduction of new technology and diversification and dissemination of video information processing equipment are expanding as the development of private security industry. Under the growing number of cases, the positive effects of positive functions such as crime prevention and control in the public and private sectors, protection of private property, fire prevention, and other adverse effects such as personal information leakage and privacy violations are becoming increasingly controversial. As a result, the government enacte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in accordance with the trends and operating conditions of March 29,2011. However, despite several revisions to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the development of digital technology and video equipment have led to the emergence of new devices that acquire and utilize "personal image information" but in the context of the present law, there are serious limitations and problems such as the deviation from the scope of regulation. By social anxiety about the credibility of personal image information security is increasing especially, the status and cases of video processing equipment of private security companies are examined and investigated, especially in the context of the growing social uncertainty over the reliability of the current government's privacy policy. This paper contains various proposal to review the problem and to supplement and minimize the person information infringement, the government introduced the directions of improvement such as the regulation policy of the government.

      • KCI등재

        이동형 영상정보 처리기기의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법·정책 개선방안

        계태화,손승우 한국경호경비학회 2021 시큐리티연구 Vol.- No.69

        4차 산업시대, 드론·자율주행 자동차와 같은 ‘이동형 영상정보 처리기기’로 수집 된 개인 영상정보의 처리·이용에 대한 「개인정보 보호법」의 법제 정비 요구가 계속 되어왔다. 이에, 국회와 정부에서는 제·개정안을 통해 이동형 영상정보 처리기기의 정의규정을 신설하고, 사후동의(opt-out) 제도를 도입하는 것으로 이를 해결하고 자 하였다. 그러나, 이동형 영상정보 처리기기의 특성상 정보주체가 촬영 대상 여부 를 인지하기가 쉽지 않고, 정보주체는 개인정보 보호에 대한 추상적 인식으로 사후 적 통제 수단을 활용할 의지가 약하다. 본 연구에서는 유럽과 미국의 드론·자율주행 자동차 관련 규율체계 중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제도와 정책을 검토하여, 당면한 문제를 보완할 제도적 개선방안을 제 시하고자 하였다. 그 결과, 정보주체의 ‘동의’ 책임을 경감하기 위해 기업의 개인정 보 보호책임을 강화하는 방향으로 ‘Privacy by Design’의 개념을 도입하고, 현재 운영 중인 ‘개인정보 영향평가제도’의 개선을 제안하였다. 또한, ‘개인영상정보 침해 실태조사’를 통해 정보주체의 인식수준과 기대하는 활용범위 등을 확인하여 ‘사회 통념상 이용 가능한 개인정보 활용범위’를 정하는 것이 필요하다. ICT기술이 내재 된 영상정보 처리기기의 경우에는 ‘융합보안’ 기술을 적용하여 자율방어체계를 갖추 도록 정책적으로 지원해야 한다. In the 4th industrial era, there have been continuous requests for legislative revision of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regarding the processing and use of personal data through video devices collected by UAS and Automated vehicles. Accordingly, the National Assembly and the Government have attempted to amend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 new legal definition of a ‘movable video devices', such as a 'UAS' and 'Automated vehicles' with a camera attached, was introduced as part of a bill in order to make amendments. It is allowed if the data subject does not indicate his/her intention to refuse (Opt-out) even though he/she has indicated or informed the fact of the filming. However,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 'movable video devices', it is difficult for the data subject to know whether he or she is being filmed. Additionally, data subjects have a weak will to use ex post control measures due to their abstract awareness of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In this study, Acts and Regulations, codes of conduct, and guidelines for the protection of privacy of UAS and autonomous vehicles in the European Union and the United States were identified. Through this, we intend to suggest a systematic improvement plan to supplement the current legislative problems. As a result, we have come to the conclusion that it is necessary to reduce the responsibility of the data subject's act of consent and strengthen the company's responsibility to protect privacy. To this end, the concept of ‘Privacy by Design’ should be applied, and it is necessary to improve the ‘privacy Impact Assessment’ currently in operation. In addition, ‘Infringement of privacy investigation[survey]’ should be conducted. This will be helpful in determining the perception of the data subject's personal information and the scope of use of the personal information. In the case of movable video devices with embedded ICT technology, policy support should be given to equipping an 'autonomous defense system' by applying ‘convergence security’ technology.

      • KCI우수등재

        임의제출 형식으로 CCTV 영상정보를 제공받는 행위에 대한 해석론 및 입법론

        李炯根 ( Lee Hyoung Keun ) 법조협회 2021 法曹 Vol.70 No.1

        전국적으로 800만대 이상의 CCTV가 우리 사회 곳곳을 촬영하고 있는 가운데, CCTV 영상정보의 활용은 빼놓을 수 없는 수사기법 중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다. 수사실무상 CCTV 영상정보의 확인은 통상 CCTV 운영자에 의한 임의제출에 따라 이루어지고 있는데, 이러한 수사방식의 인부에 대한 정부, 법원과 학계의 입장 및 논거가 서로 달라 적지 않은 혼란이 있다. 이에 본연구는 관련 법제 및 정부, 법원과 학계의 입장을 검토한 후, 이 문제에 대한 해석론과 입법론을 함께 제시해 보았다. 제2장의 고찰을 통해서는, CCTV 영상정보의 임의제출 문제가 형사소송법 및 개인정보 보호법의 규율 범위에 속한다는 사실, 형사소송법상 임의제출에 관한 해석 및 개인정보 보호법상 CCTV 영상정보 제공에 관한 해석 모두에 있어 일정한 견해차가 있다는 사실을 확인하였다. 제3장의 고찰을 통해서는, 정부의 입장이 개인정보 보호법의 문리적 해석에서 크게 벗어나 있다는 사실, 대법원의 입장은 CCTV 영상정보의 임의제출을 긍정하고 있다는 점에서는 일관되나 개개 판결마다 긍정의 논거가 다르다는 사실, 학계의 선행연구는 목적 외 제공이라는 측면에서 수사 목적 일반을 위한 CCTV 영상정보의 임의제출을 부정하고 있으나 목적 내 제공에 해당할 가능성을 고려하지 않고 있다는 사실 등을 확인할 수 있었다. 제4장에서는 이상의 고찰을 토대로 해석론 및 입법론에 적용할 7가지 기준을 설정한 후, 해석론과 입법론을 순차적으로 제시하였다. 해석론으로는, CCTV 영상정보의 임의제출을 목적 내 제공으로 보는 대법원 판결의 관점을 채택한 후, 동 판결의 논거를 일부 수정·보완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입법론으로는, 「수사 목적 일반을 위한 CCTV 영상정보 임의제출의 허용 + 계속 압수할 필요가 있는 경우 사후영장 청구 + 공공기관에 대한 개인정보 제공자 불벌 + 영상정보 이용·관리의 규율」이라는 입법적 정비 체계를 조문화안과 함께 제시하였다. 결론에서는 연구의 의의와 제약점을 설명하였다. Under the condition that over eight million CCTV cameras are installed around the country, CCTV video information is one of the indispensable method of the crime investigation. In practice CCTV video informations are commonly produced by the owners, arguments and the grounds for the arguments on the admissibility of the practice are different upon the agencies or theories. So this study explored concerning laws, stances of the government, court and academia, and suggested interpretation and legislation methodology on the theme. In chapter 2, the facts that Criminal Procedure Act and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re concerning laws on the issue, and differences of the arguments and grounds are exist in the interpretations of both laws were identified. In chapter 3, the facts that government’s interpretation is in discord with the literary interpretation on the Personal Information Protection Act, and Supreme Court consistently affirms the admissibility of the practice but the grounds for the affirmation differ case by case, and precedent researchs consistently negate the admissibility of the practice but the possibility of the in-the-purpose use or provision is ignored were identified. In chapter 4, interpretation and legislation methodology were suggested according to 7 principles abstracted from previous contemplation. As an interpretation methodology, the method applying amendment and supplement to the judicial precedent which affirms the admissibility of the practice by the grounds of in-the-purpose use the information was suggested. As a legislation methodology, the structure which consist of 「seizuring CCTV video information voluntarily produced is admissible generally + in case of necessary to keep in custody continuously, warrant of seizure and search should be requested + producing information to public institution should be decriminalized + information use and management should be regulated strictly」 was suggested along with the provinces. In the conclusion, the implication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were discussed.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