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16세기~17세기 초 영남지역 서원 원규의 구조와 변화

        이경동(Lee, Kyung-dong) 중앙대학교 중앙사학연구소 2022 중앙사론 Vol.- No.55

        본 연구는 조선시대 서원의 건립 초기인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영남 지역 서원의 운영 규정을 분석하고 이에 따른 변화를 통해 시대상을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1543년 백운동서원이 건립되고 주세붕에 의해 원규가 제정되었다. 백운동서원 원규는 12개 항목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대체로 수령이나 원임을 중심으로 한 관리형 성격을 가지고 있다. 백운동서원의 원규는 1559년 제정된 영봉서원의 학규록이나 1562년에 제정된 임고서원 범규 등에 영향을 끼쳤다. 해당 서원들은 백운동서원의 원규를 활용하면서 지역적 특성에 따라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는 형태를 통해 자체적인 원규를 완성하였다. 1559년 이황은 이산서원 원규를 제정하면서 주세붕이 제정한 백운동서원 원규와는 다른 양상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도 백운동서원 원규와 동일하게 12개의 항목으로 구성되었지만, 원생의 강학활동이나 생활규범에 집중되어 있으며 수령을 포함한 관권의 개입을 최소화하는 경향을 보였다. 이는 이황이 지향하는 도학 중심의 서원관이 반영된 것으로서 관학에서 사학으로 변화되어가는 서원 운영의 경향을 보여준다. 이산서원 원규는 이황과 그의 문인들이 건립을 주도한 서원뿐만 아니라, 16세기 중‧후반 건립되었던 서원에 도입되었다. 이들은 이산서원 원규를 기반으로 백운동서원 원규의 사례에서와 같이 일부 조항을 수정하거나 첨입하면서 독자적인 원규를 구축하였다. 16세기 중반 이후 영남지역 전체에 걸쳐 서원이 활발하게 건립되기 시작하면서 운영의 기준이 되었던 원규들도 다양하게 제정되었다. 그 결과점차적으로 서원 원규들이 상세화되는 경향이 나타났다. 1588년 유운룡이제정한 오산서원 학규와 이를 수용한 임고서원 범규는 60여개가 넘는 조항을 제정하였으며, 각 항목을 범주화하여 규정의 성격을 명확히 하였다. 정구는 천곡서원과 도동서원의 원규를 제정하였는데, 두 원규 사이에는공통점과 함께 차이점이 확인된다. 정구는 지역적‧ 시대적 특성에 따라 자신이 제정한 원규라 하더라도 각 조항 사이의 차이점을 두면서 두 서원의원규를 제정하였다. 이상과 같이, 16세기부터 17세기 초반까지 제정되었던 영남지역 서원원규는 상호 관련성 속에서 전개되어 갔으며, 이를 통해 조선 사회에서 전개되었던 서원 운영의 다채로운 특성을 확인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Seowon in the Gyeongsang-do region from the 16th century to the early 17th century, and to analyze the times through changes thereof. In 1543, Baekwoondong-seowon was established, and its operating regulation was established by Ju-Sebung. This academy regulation consisted of 12 items, most of them related to management centered on local government officials and operators. Since then,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woondong-sewon influenced the operational regulations of Yeongbong-seowon established in 1559 and Yimgo-seowon established in 1562. These Seowons established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academy regulation of Baekwoonong-seowon according to regional characteristics. In 1559, Yi-Hwang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 seowon, which showed the difference from the regulation established by Ju Se-bung. The operating regulation of Isan-seowon focused on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living norms, and tended to minimize the intervention of public authority, including local government officials.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was distributed not only to Seowons whose foundation was led by Yi-Hwang and his disciples, but also to Seowon which were built in the mid and late 16th century. They established their own operating regulations by revising or adding some provisions to the regulation of Isan-seowon. As Seowon began to be actively built throughout the Gyeongsang-do region after the mid-16th century, various academy regulations were also established as the guideline for operation. The regulation of Osan-seowon established by Ryu Woon-Ryoung in 1588 and the revised regulation of Yimgo-seowon that accepted the Osan-seowon’s regulation consisted of more than 60 provisions, showing a more detailed trend than before. Jeong-Gu established the operating regulations of both Cheongok-seowon and Dodong-seowon, which were found to have differences along with commonalities. As described above, Seowon’s operation regulations established in Gyeongsang-do from the 16th to the early 17th century developed in the interrelationship between each Seowon, and this shows various characteristics of Seowon’s operation in Joseon society.

      • KCI등재

        서원 교육의 이념과 실제가 지니는 현대적 시사점 연구 -‘원규(院規)’와 ‘강회(講會)’를 중심으로-

        김민재 영남퇴계학연구원 2019 퇴계학논집 Vol.- No.25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raw modern educational implications from wongyu(院規), which was the foundation of seowon(書院) during the Joseon Dynasty, and to consider the modern use of the educational methods practiced in seowon. And the ultimat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mote the interest of the educational field about the seowon. ⓐ This study first analyzed various kinds of wongyus and drew three modern educational implications. First, wongyu presents an opportunity to reconsider what the nature and value of the school is. Second, wongyu provides an opportunity to contemplate the fundamental purpose of study and what posture is required. Third, wongyu gives an opportunity to think about the right relationship between the teacher and the student. ⓑ This study then analyzed the data on ganghye(講會) and considered two aspects of the modern educational use of seowon ganghye. First, the rules of ganghye or the order of progress can be actively utilized in the actual operation of the new subject <Classics and Ethics>. Second, the debate attitudes and techniques of the Confucian scholar as seen in ganghye can be used in the class of <Ethics and Thoughts>. ⓒ Finally, this study mentioned two follow-up tasks. First, the education method using ganghye should be developed to the level of generalized teaching learning and evaluation method, distributed to the class site, and continuously improved after receiving feedback from the site. Second, by steadily excavating, translating and introducing materials that have not been excavated or properly translated, we should capture the lively ganghye we can find in seowon during the Joseon Dynasty. 본 연구의 목적은 조선시대에 서원을 운영하는 근간이 되었던 ‘원규(院規)’에서 엿보이는 현대 교육적 시사점을 도출하고, 이 공간에서 행해졌던 교육방법의 현대적 활용 방안을 고찰하는 것이다. 그리고 이를 통해 서원에 대한 교육 현장의 관심을 고취시키는 것이 본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의 달성을 위해, ⓐ 본 연구에서는 먼저 이황의 ‘이산서원 원규’, 이이의 ‘은병정사 학규’, 정구의 ‘도동서원 원규’ 등을 분석하여, 현대 교육적 시사점을 세 가지로 도출하였다. 첫째는 서원의 원규가 학교의 본질 및 가치가 무엇인지 재고할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점이고, 둘째는 공부의 근본적인 목적과 요구되는 자세가 무엇인지 숙고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한다는 점이며, 셋째는 스승과 제자 사이의 관계, 즉 사도와 존사에 대해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부여한다는 점이다. ⓑ 다음으로 본 연구에서는 정구의 ‘강법’, 김원행의 ‘석실서원 강규’, 호계서원의 「강회 일기」 등을 분석하여, 서원 강회의 현대 교육적 활용 방안을 두 가지 측면에서 고찰하였다. 첫째는 『2015 도덕과 교육과정』에서 신설된 <고전과 윤리> 과목의 실제 수업 운영에서 강회의 규칙이나 진행 순서 등을 적극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고, 둘째는 강회에서 엿볼 수 있는 유생들의 토론 태도 및 기법을 <윤리와 사상> 과목의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이다. ⓒ 마지막으로 본 연구에서는 두 가지 후속과제들에 대해 언급하였다. 첫째는 강회를 활용한 교육방법을 일반화된 교수⋅학습 및 평가 방법의 수준으로 승화시켜 현장에 보급하고 다시 현장의 피드백(feedback)을 받아 지속적으로 개선해 나가야 한다는 것이고, 둘째는 발굴되지 않았거나 제대로 번역되지 않은 ‘서원지’ 등을 꾸준히 발굴, 번역 및 소개함으로써 서원에서 발견할 수 있는 생동적인 강회의 모습을 포착해야 한다는 것이다.

      • KCI등재

        대전 도산서원(道山書院)의 강학 관련 자료와 시사점

        최광만 영남대학교 민족문화연구소 2021 민족문화논총 Vol.79 No.-

        본 연구는 대전 소재 도산서원의 강학 관련 자료를 검토하여, 조선 후기 서 원 강학 활동에 관한 새로운 접근 가능성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이 있다. 주요 자료는 이택재(도산서원 전신)의 운영규정인 「이택재중대소사해식」・「일과정업」, 도선서원의 「원규」, 그리고 1750년에 시행한 춘추도강의 강회입규이다. 이 들 자료를 검토한 결과 확인된 사항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이택재의 운영규정은 권시가 1653년에 기존의 서당을 확대하면서 작 성한 것으로, 연령별・능력별 운영방식을 제시한 내용이다. 그런데 권시가 이 러한 조치를 취할 당시에는 지역 수령이 취반승・보직・시탄 등 공적인 지원을 하였고, 여기에는 1651년에 제정된 「교수제독의구례복설사목」이 영향을 미쳤 다고 판단된다. 따라서 이택재의 설립은 권시 개인에 관한 사실을 넘어, 지방 교육 진흥책의 추진과 관련된 사항으로서 주목된다. 둘째 도산서원의 「원규」는 18개 조항으로 구성되는데, 1~5조는 「이산원규」 를 반영하고, 6~18조는 「문헌서원학규」를 기반으로 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은 도산서원이 남인계 서원과 서인계 서원을 절충한 것을 보여주지만, 다른 면으로는 「이산원규」를 통해 위기지학의 이념을 제시하고, 「문헌서원학규」를 통해 운영세칙을 정리한 것으로도 볼 수 있다. 따라서 원규를 바탕으로 서원 의 유형을 구분하는 데에는 보다 신중한 태도가 요청된다. 셋째 강회입규는 1750년에 시행한 춘추도강의 운영규정인데, 그 직접적 인 계기는 1749년 12월에 반포한 영조의 「권학문」이다. 이것은 18세기 중반 에 미사액 서원까지 교육행정체계에 편입되었을 가능성을 보여준다. 또한 운 영방식을 감안할 때, 춘추도강은 학습자 개인의 학업 증진보다는 도산서원 전 체의 학업 완성이라는 상징적인 의례 행사로서 의미를 갖는다고 판단된다. 이 것은 서원의 강학활동에는 일상적 활동 이외에 다양한 층위의 활동이 있었음 을 시사하고 그만큼 강학 관련 자료를 그 성격에 따라 유형화할 필요성을 제 기한다.

      • KCI등재

        영주 伊山書院의 건립과 퇴계 이황 제향의 의미

        김의환 한국서원학회 2022 한국서원학보 Vol.15 No.-

        영주(榮川) 사족들은 일찍부터 학문적 열의가 높아 매년 醫局(濟民樓)을 잠시 빌려 함께 공부하였다. 이때 지역 사족들과 李滉・李瀣 형제도 함께 참여하여 서로 교유하였다. 제민루에서 강학은 여러 면에서 불편하여 안정적 공간 확보가 필요하 였다. 이에 이들은 명종 13년(1558) 군수 安瑺의 지원 아래 이산면 번천 고개(樊 峴)에 32칸의 이산서원을 건립하였다. 이것은 朴承任・張壽禧 등 이황의 문인들이 주도하였다. 이때 이황은 서원의 건립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자문하고 지도하였다. 그는 ‘爲己之學’의 이념에 따라 강당은 敬止堂, 동재와 서재는 誠正齋와 進修齋, 누대는 觀物臺라고 이름을 짓고 편액까지 써 주었다. 이황은 건립 당시 제향 인물이 없더라도 서원의 규모를 갖추었기 때문에 ‘書院’ 으로 할 것을 자문하였다. 서원 이름은 ‘山伊村’이라는 지명과 ‘志伊學顔’의 의미를 더하여 ‘伊山書院’이라 하였다. 그리고 이들은 이황에게 「伊山書院記」와 「伊山院規」를 받아 서원의 운영규칙을 제정하였다. 이 원규는 영남 남인계의 서원은 물론 일부 서인계 서원의 원규 제정에 典範이 되었다. 영주 사족들은 선조 6년(1573) 서원에 이황을 제향하였다. 이 서원은 이제 서재 형태의 서원에서 벗어나 道學者를 제향한 서원으로서 그 위상이 한층 높아졌다. 이는 최초로 이황을 제향(사액)한 서원이라는 점과 함께, 처음으로 공자-주자-정 몽주-이황으로 이어지는 영남학파의 道學的 正統을 확립한 의미가 있었다. 이산서원은 선조 6년(1573) 11월 ‘伊山’이라는 사액을 받아 지역을 대표하는 서원으로 자리매김하였고, 광해군 7년(1615)에는 수구리(林丘)에 이건되었다. 그리고 이 서원에서는 이황의 「聖學十圖」와 「戊辰封事」가 간행되었고, ≷嘯皐集≸과 ≷榮州誌≸ 등이 편찬되었다. 이산서원의 건립・사액은 이후 새로운 서원을 건립하는 자극제가 되었다. 이후이 서원의 건립・제향 등을 주도한 인물을 제향하는 鄕賢祠(龜江書院)가 세워졌고, 다시 이황을 제향한 郁陽書院이 세워지는 등 많은 서원이 건립되었다. 이 지역의 서원은 壯巖書院(1691)을 제외하고 모두 남인계 성향을 고수하였다.

      • KCI등재후보

        한국 서원 장서의 구축과 관리 제도의 변화

        이병훈 ( Lee Byoung-hoon ) 한국서원학회 2021 한국서원학보 Vol.12 No.-

        이 글은 한국 서원의 도서관적 기능을 장서 구축과 관리라는 측면에서 살펴본 것이다. 한국 서원 장서는 기증, 구매, 출판 등의 방법에 의해 구축되었다. 서원별ㆍ시기별로 차이는 나지만 장서의 토대를 형성한 것은 국가에서 내려준 내사본과 지방관, 후손, 문인들의 기증본이었다. 초창기 서원 운영과 관련하여 이들 서적의 기증은 서원 재정을 크게 경감시켜 주었다. 또한 당시 기증된 도서는 원규에 명시된 대로 유생들의 교육에 필수적인 경전과 사서, 성리서 등이 대부분이었다. 17세기중반이후부터 국가에 의한 반질보다는 지방관 개인내지 여타 서원ㆍ문중에서의 서적 기증이 증가하였다. 이외에도 상호교환 내지 등서(필사)를 통한 서적 구비도 보인다. 한편 구매를 통한 서적 구입은 초창기 서원 이래로 서원 장서를 구성하는 가장 일반적인 방법이었다. 또한 각 서원에서 필요로 하는 서적을 갖출 수 있다는 점에서 꾸준히 활용되었다. 하지만 서적의 구입은 구매처의 제한과 비용 부담으로 인해 대량 구매는 어려웠으며, 원하는 서적을 구매하지 못하기도 했다. 그래서 비용 부담이 적은 인출이나 필사, 교환을 통한 방법도 선호되었다. 출판을 통한 장서 구비는 제향인의 위상과 서원의 경제력에 따라 차이가 났다. 그래서 서원에서의 출판은 각 지역의 거점 서원을 중심으로 진행되었다. 18세기 이후에는 제향인의 후손과 문인의 문집을 서원에서 간행함으로써 혈연적, 사회적 네트워크를 강화하여 서원의 사회적 위상을 유지하고자 했다. 이렇게 수집된 장서와 제작된 책판들을 관리하는 것도 서원의 주요 업무 중 하나였다. 서원은 서적을 장서각ㆍ어서각 등에 보관하였다. 이중에서 서원에서도 특별히 중요하게 여기는 책들은 별도의 상자에 보관하였다. 책판은 속사에 보관하거나, 장판각 등을 건립하여 보관하였다. 수많은 장서는 서원 교육뿐만 아니라 서원의 위상을 알리는데도 주요했다. 대부분의 서원은 원규로서 정기적 점검과 서책의 반출을 금지하였다. 하지만 18세기 이래로 서원의 재정이 어려워지고 많은 원사가 건립되면서 서원 운영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지방관과 후손가 및 일부 유력 가문들의 서적대여 요청을 들어주지 않을 수 없었다. 이에 서적대여를 단속하고, 관리를 강화했지만 별다른 효과를 거두지 못하였다. 그래서 서적 반출을 막기 어렵다는 현실을 반영하여 서적을 대여하는 규정을 개정하되, 서적의 분실ㆍ훼손에 대한 책임을 명확히 하였다. 이상과 같이 한국의 서원은 16세기 이래로 오랜 세월에 걸쳐 다양한 방법으로 장서를 축적해 왔으며, 향촌의 지식인들은 서원을 이용하면서 지식을 습득ㆍ보급해 나갔다. 이 과정에서 서원은 사회적 연결망을 구축ㆍ확대하는 한편, 그것을 통해 해당 지역을 대표하는 교육기관이자, 공론 형성기관으로 자리매김할 수 있었다. The collection of seowon in Korea was built by donation, purchase, and publication. Although there are differences by seowon and period, the foundation of the collection was formed by internal copies issued by the government and copies donated by local officials, descendants and writers. In connection with the operation of the early seowon, the donation of these books greatly reduced the seowon's finances. Also, most of the books donated at that time were scriptures, librarians, and neo-confucian book, which were essential for the education of Confucian scholars as specified in the original rules. From the middle of the 17th century onwards, the donation of books from individual local government officials or other seowons and families increased rather than banjil by the state. In addition to this, the provision of books through mutual exchange or transcripts is also shown. On the other hand, purchasing books through purchase has been the most common way to organize a collection of seowon since the early days of seowon. In addition, it was continuously used in that it was possible to obtain the necessary books for each seowon. In fact, most seowon had to have their own collections since their establishment. The collection of collections through donation and visitation corresponds to some special vows. However, it was difficult to purchase books in bulk due to the restrictions and cost burden of the place of purchase, and some were unable to purchase the books they wanted. Therefore, methods such as withdrawals, transcriptions, and exchanges, which are less costly, were preferred. However, since the 18th century, most of the seowon lost their educational function due to financial deterioration, and many seowon did not even have a collection. The availability of collections through publication differed according to the status of the jehyangin and the economic power of the seowon. Therefore, the publication of the seowon was carried out centering on the base seowon in each region. Most of the books published in Seowon are the collections and books of Jehyangin. One of the main tasks of the seowon was to manage the books collected in this way and the bookshelves produced. In the seowon, books were stored in Jangseogak and Seogak, etc., covered with bookcases. In addition, manuscripts and documents generated during the operation of the seowon were stored separately according to their characteristics. Among them, the books considered particularly important in the seowon were kept in separate boxes. Bookboards were stored in the Jangpangak. Most of the seowons wongyu, and regular inspections and taking out of books were prohibited. However, since the 18th century, as the finances of the seowon became difficult and many seowons were built, they had to comply with the book rental requests of local officials, descendants, and some influential families who directly affect the operation of the seowon. In response, Wanmun and Wanui were enacted to crack down on book rental and strengthen management, but to no avail. Therefore, reflecting the reality that it is difficult to prevent books from being taken out, the regulations for lending books were revised, but responsibility for loss or damage of books was clarified. As such, Korean seowon have accumulated collections in various ways over a long period of time since the 16th century, and intellectuals in rural areas acquired and disseminated knowledge while using seowons. In addition to this library role, Jehyangin's books were transmitted and spread by publishing and disseminating his books. In the process of book plate production and book dissemination, seowon was able to establish and expand social networks, and through it, it was able to establish itself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representing the region and an institution for forming public opinion.

      • KCI등재후보

        16세기 한국 서원의 출현과 정비

        이병훈 한국서원학회 2020 한국서원학보 Vol.10 No.-

        In the 16th century, Seowon emerged as an alternative to the collapse of the school system. Since it was built for the purpose of cultivating Hyangchon under the Local Governors’ efforts, the early Seowon had a great personality as an auxiliary institution for school administration. The Confucian scholar education was also centered on the Highest-Level State Examination. On the one hand, the case of the Sahak(私學) led by the Seodang Seowon and Jeongsa has been increasing since the Baekdong Dynasty. After the petition for a private amount in the retirement of the Paekdong Seowon, the private petition became general. The purpose was to secure national recognition and stable operating bases based on private school through private money. As Seowon increased, various problems arose. In the process of resolving this, the potter was selected as the yanghyang or the original rule was materialized by section. On the other hand, in the situation where the government-led promotion plan due to the decline of the official school had little effect, the expansion of private studies, especially the establishment of Seowon and its influence, were increasing. As the role of Seowon, which had been established as an auxiliary organization for the official school, has increased, the King also sanctioned it. The effect of promoting Salim's morale was not to prevent the establishment of Seowon, but even Seonhyun limited the influence of Seowon by carefully considering the amount. However, in the Hyangchon society, as the school system centered around Seowon was established, it grew even further with the support of local government regardless of the amount of private money. On the other hand, the damage caused by the infringement of the financial resources of the local government has also appeared due to the excessive demand from Seowon. 16세기 서원은 관학 시스템의 붕괴에 따른 대안으로 출현하였다. 수령의 주도하에 향촌교화를 목적으로 건립되었기에 초기 서원은 관학의 보조적 기구로서의 성격이 컸다. 유생 교육도 과거중심으로 진행되었다. 한편으로는 서당과 정사를 중심으로 유생의 강학과 장수가 진행되어 오던 사학 시스템은 백운동서원 이후 사림 주도의 건립 사례가 증가해갔다. 백운동서원에 대한 퇴계에 사액 청원이후 신설된 서원들은 사액 청원이 일반화되어 갔다. 사액을 통해 관학에 준한 국가의 인정과 안정된 운영기반을 확보하려는 목적이었다. 서원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문제점들이 드러났다. 이를 해결하는 과정에서 도학자를 제향인으로 선정하거나, 원규가 조목별로 구체화되어 갔다. 한편 관학의 쇠퇴에 따른 국가 주도의 진흥책이 별다른 효과를 보지 못하는 상황에서 사학의 확대, 특히 서원의 신설과 그 영향력이 증대되고 있었다. 관학의 보조적 기구로 설립되었던 서원의 역할이 증대하면서 관학을 대처하자 국왕은 이를 제재하기도 했다. 사림의 사기를 진작하는 효과가 있었기에 서원 신설을 막지는 않았지만 선현이라도 사액을 신중히 함으로써 서원의 영향력을 제한했다. 그러나 향촌사회에서는 서원을 중심으로 한 교학체제가 자리 잡으면서 사액 유무와는 상관없이 지방관의 지원을 받아 더욱 성장하였다. 한편으론 서원 측의 무리한 지원 요구로 지방행정의 재원이 침해를 당하는 폐해가 나타나기도 했다.

      • KCI등재

        무성서원의 역사적 특징과 원규

        진성수 ( Chin Sung-su ) 충남대학교 유학연구소 2019 儒學硏究 Vol.49 No.-

        무성서원(武城書院)은 전라북도에서 유일하게 세계문화유산에 등재된 서원이다. 무성서원의 역사는 통일신라 시기 태산(泰山) 군수로 선정(善政)을 베풀었던 최치원(崔致遠)의 생사당(生祠堂)에서 기원하여 조선시대 태산사(泰山祠)로부터 시작한다. 1615년에 건립된 무성서원은 초기부터 일반적인 서원과는 달리 지방관에 의해 향촌의 흥학(興學)과 교화(敎化)를 목적으로 운영되었다. 1868년, 흥선대원군의 서원철폐령에도 훼철되지 않은 47개 서원 중 하나였던 무성서원은 일찍이 정극인(丁克仁)이 창시한 고현동향약(古縣洞鄕約)이 시행된 곳이었다. 또한 구한말에는 호남 최초의 의병운동인 병오창의(丙午倡義)가 일어났던 역사적 장소이기도 하다. 무성서원 「원규(院規)」의 저작연대와 작성자는 현재 정확히 알 수는 없다. 다만 이이(李珥)의 「은병정사학규(隱屛精舍學規)」와 김원행(金元行)의 「석실서원학규(石室書院學規)」를 종합하여 17개항으로 요약하고 있는 점으로 볼 때, 18세기 말경으로 추정된다. 본 연구에서는 한국 서원의 성립과정과 역사적 배경을 살펴보고, 조선시기 전라우도(全羅右道)의 대표 서원이었던 무성서원의 성립 과정과 강학(講學) 활동을 검토할 것이다. 특히, 그동안 연구되지 않은 『무성서원원지(武城書院院誌』에 들어있는 「원규」 내용을 분석하여 향학(鄕學)의 중심지로서 무성서원의 강학활동과 특징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통해 무성서원의 역사적 특징과 의의를 재조명하고 향후 보존 및 활용방안을 검토할 것이다. Museong Seowon(武城書院) is the only seowon(school) in Jeollabuk-do that is listed as a World Heritage Site. The history of the Museong Seowon(武城書院) originates from the shrine of Choi Chi-won(崔致遠), the governor of Taesan county of the Unification Shilla period who is lauded for his wise governance. Museong Seowon’s history starts from Taesansa(泰山寺) during the Joseon Dynasty. Built in 1615, the Museong Seowon, unlike the general seowons, was governed by the local government for the purpose of encouraging academic studies and education from the beginning. In 1868, the Museong Seowon, one of the 47 seowons that was not destroyed by the Heongseon Daewongun’s order to abolish all seowons, was the place where the Gohyundong-Hyangyak(古縣洞鄕約) created by Jeong Geuk-in(丁克仁) was practiced. It is also a historical place where Byung-Oh Changyi(丙午倡義), the first righteous army movement in Honam(湖南), took place in the latter era of the Joseon Dynasty. The time of work and the author of the Museong Seowon “Educational regulations(院規)” is unknown at present. However, it is combining and summarizing Lee Yi’s The educational regulations of Eunbyeongjeongsa(隱屛精舍學規) and Kim Won-haeng’s The educational regulations of Suk-Sil Seowon(石室書院學規) into 17 sections so the date of the work is presumed to be the end of the 18th century. This study examines the establishment process and historical background of Korean seowons and examines the formation process and teaching activities of the Museong Seowon, the representative seowon of Jeollawoo-do of Joseon Dynasty. In particular, it will examine the teaching activities and characteristics of the Museong Seowon as the center of regional school(鄕學) by studying Educational regulations(院規) original texts of the Museong Seowon, which has not been studied so far. It will reexamine its historical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s of Museong Seowon and review future conservation and use methods.

      • KCI등재

        호림박물관소장 1377년명 白紙墨書 『妙法蓮華經』寫成記에 대한 고찰 - 寫成者 德蘭에 대한 新해석 -

        양삼분 한국불교학회 2016 韓國佛敎學 Vol.79 No.-

        The Lotus Stura is only the work designated as the National treasure for White Paper and Black Inked Book. It is the one and only possessed in the nation among the Five pieces completion with illustration and its text together. And also it is in a good condition. The formulaic style is very important to understand the flow of the Lotus Sutra’s illustration. And also rewriting dates were recorded in the texts of the Sutra so that we are able to assume the period spent for Rewriting, as its special point. However, some important mistakes are found in the interpretation of the rewriting record, which was made before. First, it misinterpreted ‘Deokran Sunim’, the rewriter monk, as 'Ha Deokran', second, it misinterpreted ‘the great Seon master Wongyu’, the prayer and the donor monk, as the producer and its prayer. These interpretations are often repeated and imitated in the existing guides and researches by national organizations and others. Hence I wrote this paper with the purpose to let this have right meaning. In this paper, I looked into the formal characteristics and the value of source of the Lotus Sutra in the 2nd Chapter, and the contents of rewriting records at the ends of Vol. 1 to Vol. 7 in the 3rd Chapter. In such a process, I was able to find out the records flown into Japan and the reference for the intention of the prayer from the Sutra. In the 4th Chapter, I could newly interpret some of wrong explanations based on the existing interpretation about the writer and the prayer. Those are Deokran, the real rewriter Sunim staying at Bulho temple, was requested for rewriting by the great Seon master Wongyu, and the prayer, the donor was the great Seon master Wongyu, the monk ‘Ha Wongyu’. Therefore, this Lotus Sutra was written by Deokran to wish the great Seon master Wongyu’s mother for her rebirth in Heaven and his father for long-life. 본『法華經』은 고려시대 白紙 墨書로는 유일하게 국보로 지정되어 있는 작품으로『법화경』가운데 사경변상도와 經文이 함께 갖추어져 있는 5본의 완질본 가운데 유일하게 국내에 소장되어 있고 그 상태 또한 매우 양호하며, 변상도의 정형화된 형식은 고려후기『법화경』사경변상도의 흐름을 이해하는데 있어 중요하다. 또한 경문 중간에 사경 날짜가 기록되어 있어 寫經에 소요되는 기간을 짐작할 수 있는 점도 이 사경의 특징으로 꼽을 수 있다. 하지만 기존에 진행된 寫成記 해석에서 중요한 오류가 발견된다. 첫째, 사성자인 승려 ‘덕란 스님’을 ‘河德蘭’이란 인물로 잘못 해석하고 있는 것이며 둘째, 발원자이자 功德主인 승려 ‘元珪 大禪師’를 製作者이자 발원자로 잘못 해석하고 있는 것이다. 이런 해석들은 각 국가기관이나 기존의 연구서 및 해설서에서 반복, 답습되고 있어 이를 바로잡고자 하는 목적으로 본 논고가 작성되었다. 본 논고에서는 이를 밝히기 위해 제Ⅱ장에서는 본『법화경』의 형식적 특징과 자료적 가치를, 제Ⅲ장에서는 권1에서 권7 末尾에 있는 사성기의 내용을 각 각 살펴보았다. 이 과정에서 일본으로 유출되었던 기록들인 松尾大明神을 비롯한 글자들이 적혀 있어 그 내력을 알 수 있었다. 제Ⅳ장에서는 사성자와 발원자에 대한 기존의 해석을 토대로 잘못 해석된 부분을 새롭게 해석할 수 있었다. 그것은 ‘덕란’이 일반인 ‘하덕란’이 아니라, 승려 ‘덕란스님’으로 원규 대선사의 요청에 의해 사경을 직접 筆寫한 사경자임을 밝힐 수 있었고, 발원자 즉 공덕주는 원규 대선사로써 원규 대선사가 승려 ‘하원규’임을 밝혔다. 따라서 본『법화경』은 원규 대선사의 돌아가신 어머니의 극락왕생과 살아계신 아버지의 수명장수를 위해 덕란 스님이 사경을 하였고, 발원자이자 공덕주는 원규 대선사임을 밝혔다.

      • KCI등재

        <서원십영> 배향 인물을 통해 본 퇴계 이황의 서원관

        차삼임 ( Cha Sam Im ) 온지학회 2022 溫知論叢 Vol.- No.70

        이 논문은 <서원십영(書院十詠)> 서원 배향(配享) 인물을 통해 본 퇴계(退溪) 이황(李滉)의 서원관을 고찰한 글이다. 주지하다시피 이황은 우리나라 최초의 서원으로 일컬어지는 백운동서원(白鹿洞書院)을 사액서원(賜額書院)으로 승격시킨 인물이다. 백운동서원은 신재(愼齋) 주세붕(周世鵬)이 1543년 풍기군수 재직 중 안향(安珦)의 학덕(學德)을 기리기 위해 주희(朱熹)가 중수한 백록동서원(白鹿洞書院)을 본 따 풍기군 순흥면에 백운동 서원을 건립하였는데, 이 서원에 사액이 내려지면서 소수서원(紹修書院)으로 개칭되었다. 이황은 최충(崔冲)·우탁(禹倬)·정몽주(鄭夢周)·길재(吉再)·김종직(金宗直)·김굉필(金宏弼) 등 선정(先正)의 자취가 있고 향기가 뿌려져 있는 곳에 모두 서원을 건립해야 한다고 하면서, 생전에 자신은 물론 제자들과 함께 10여개의 서원 건립과 중건에 직·간접으로 관여한 인물로, 이러한 기록이 잘 남아 있는 작품이 <이산서원기(伊山書院記)>, <역동서원기(易東書院記), <영봉서원기(迎鳳書院記)>, <서원십영(書院十詠)>이다. 이황은 서원 건립의 당위성에 대해 하·은·주(夏殷周) 삼대(三代)가 융성할 때 교법(敎法)이 매우 잘 갖추어져 있었으나, 후세에 와서 가르침과 배움이 무너져 국학과 향교는 겨우 형식만 남아 있었기 때문에 배우기를 간절히 원하는 선비들의 바램에 의해 서원이 생기게 되었다고 하였다. 아울러 서원의 교육 효과에 대해 국학이나 향교가 사람이 많이 모이는 성곽(城廓) 안에 있을 뿐 아니라 학령(學令)에 구애되고 과거 등의 일에 유혹되기 때문에 위기지학(爲己之學)을 추구하는 유학 본령에 비추어 볼 때 관학보다 크다고 자신하였다. 이러한 연유로 이황은 제자들과 함께 서원 건립에 직·간접으로 참여하면서 지은 <이산원규>는 영남지역 서원 운영의 정형화를 제시한 것으로 높이 평가된다. This article investigates Yi Hwang’s view of Confucian scholars canonized in private academies in his Ten Poems of Private Academies. Yi Hwang played a prominent role in elevating the White Cloud Grotto[Baekundong 白雲洞書院] Academy, the first neo-Confucian private academy in Korea, to the status of the “Royal Plaque Private Academy”[賜額書院]. This academy had been established by Ju Sebung(1495-1554), magistrate of the Punggi County, in 1543 to commemorate the famed Goryeo scholar An Hyang(1243-1306), and in emulation of the White Deer Grotto Academy[Bailudong shuyuan 白鹿洞書院] restored by Zhu Xi in Song China. The academy was renamed as the Sosu (紹修) Private Academy after it was granted a plaque by the throne. Yi Hwang advocated establishment of private academies in places where one can find traces of great scholars as Choe Chung(984-1068), U Tak(1262-1342), Jeong Mongju(1337-1392), Gil Jae(1353-1419), Kim Jongjik (1431-1492), and Kim Goengpil(1454-1504). Yi Hwang and his disciples were instrumental in establishment or restoration of more than ten private academies, and their efforts are well documented in Record of Isan Private Academy, Record of Yeokdong Private Academy, Record of Yeongbong Private Academy, and Ten Poems of Private Academies. Yi Hwang stated that Confucian scholars of the time established private academies as places of learning. Conditions of the National Academy and local schools had deteriorated since the flourishing of learning in ancient Xia, Yin, and Zhou periods. Yi Hwang was confident that private academies were more effective in teaching of the Confucian study of self-cultivation. On the other hand, the government sponsored National Academy and local schools, located within crowded town centers, were subjected to various regulations and practices. Yi Hwang’s Regulations for Isan Private Academy is a very valuable source for the study of management standard of private academy in Southeastern region of Korea.

      • 韓國 書院의 歷史

        정만조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07 한국학논총 Vol.29 No.-

        Korean Seowon(書院, the Private Confucian Academy) has been considered as a closing phenomenon of the time, so it could not avoid a negative valuation. However, Seowon had been a key to the development and changes of Chosun, the Lee dynasty. Especially, Seowon was very closely related to Sarim, which was a highly influential organization. The history of Seowon had begun in mid 16th century, originated from Seowon of Baek Woon Dong(白雲洞書院). Since 16th century, empowered by Sarim(士林, the Literati) who had a great deal of influence on political circles, Seowon started the role as a school for cultivating ‘Sarim of influence’, and as a mecca of social and political activities. Eventually, Seowon provided a large number of Sarim to the political world. As a result, Seowon achieved to grasp the political power up to early 18th century, and this period of time was called "period of Sarim". Seowon was the very matrix of this "period of Sarim" and was one of the central organization that supported it. These Seowon end up its great duty by Tangpyung(蕩平, Impartiality) policy in 18th century and decline of Sarim following social change or down fall, and then it had transformed just as one of the clan organization of gentlemen. Seowon came out from official area of Sarim and it was under control of a clan functioning by being a private stake organization. It have to be undertood through this circumstance for the bad name, 'the lair of extraction against the commons', in later period of chosun. 한국 서원은 그동안 말기적 현상으로만 이해되어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그러나 서원은 조선시대의 역사 전개과정, 특히 사림이라는 사회세력의 변천과정과 밀접히 연관되면서 각 시대마다 그 내용과 역할을 변화시켜 나갔다. 한국 서원의 역사는 16세기 중반 백운동서원(후에 소수서원)부터 시작되었다. 16세기 이래 향촌에서는 물론 중앙 정계에서 두각을 드러내기 시작하던 사림세력에 의해, 사림 세력의 재생산을 위한 학교이며 향촌과 중앙에서 사회, 정치 활동을 전개하는 근거지로 기능하였다. 이를 통해 많은 사림을 양성하여 정계에 공급하였고 그 결과로서 16세기 후반 마침내 집권을 실현, 이후 18세기 초까지 ‘사림의 시대’를 주도하였다. 서원은 바로 이 ‘사림의 시대’를 있게 한 모태였고, 그것을 유지시키는 핵심기구의 하나였다. 이러한 서원은 18세기 탕평이라든가 사회변동에 따른 사림세력의 쇠퇴, 몰락으로 그 역사적 사명을 끝낸 채 양반들의 문중조직으로 변모하는 모습을 보이게 된다. 사림의 공적 영역에서 벗어나 문중의 수중으로 주도권이 넘어가면서 문중의 사적인 이해관계를 위한 기구로 변화하였던 것이다. 조선후기 서원에 붙여져 온 대민착취의 소굴이란 표현은 이런 사정 속에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