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다석 유영모의 “생사학 담론” 가능성을 위한 시론

        양준석(Jun Seok, Yang) 가톨릭대학교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9

        이 논문은 다석 유영모(1890~1891)의 사상을 생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다석의 사상에서 ‘생사학 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이다. 생사학(生死學)은 삶 [生]과 죽음 [死]에 관해 연구하는 통합적 학문으로 죽음을 통해 삶을 성찰하며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을 목표와 과제로 제시한다. 특히 죽음에 무딘 현대시대에 생사학(生死學)적 관점은 우리 사회의 죽음 문화의 현주소를 밝히고, 왜곡된 죽음 문화의 원인을 분석하는 동시에 존엄한 삶과 죽음을 이루어갈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생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이나 철학만 알아서도 안 되고 종교에 무지해서도 안 된다. 생사학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어느 한쪽에서만 바라보지 않고 과학과 종교, 철학과 심리 등 다양한 범주에서 바라보며 삶과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전개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또한 융합학문으로서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우리 문화 속에서 사유하고 죽음문제를 치열하게 직시하며 삶을 살았던 전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석 유영모는 19세기 말에 태어나 20세기를 거치면서 과학과 철학, 종교를 두루 꿰뚫은 사상가였으며 우리말로 철학을 했으며 죽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삶의 모습으로 그대로 투영하여 살았다. 그야말로 생사학의 본보기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시각에서 먼저 생사학과 한국에서의 생사학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유영모의 사상을 생사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그 결과 다석 유영모의 사상을 통해 ‘한국의 생사학적 담론’을 넓히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is about Daseok Yu Youngmo’s(1890~1981) thoughts, about seeking the possibility of ‘a discourse on thanatology’. Thanatology is the integrative science of ‘life’ and ‘death’. It is a reflection of life through death, considering a person’s sacred life and death as an aim and a task. The thanatological view, especially when a person is insensible to ‘being dead’, is likely to shed light on the ongoing situation in the death culture. This view focuses on ways to lead a sacred life and death, and it analyzes perceived wrongdoing. In terms of constructing ‘a discourse on thanatology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anatology, first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not only science and philosophy but also faith. Thanatlogy does not see themes of life and death as separate. This science is closely related to life and death in a wide variety of fields, ranging from science and religion to philosophy and psychology. Moreover, research is needed on the way that thanalogical thoughts was conceived in Korean culture.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o adopt the thought of Daseok Yu Youngmo, a native philosopher, who reconstituted a new prospect in the oriental and occidental worldviews. Yu was bor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in the 20th century, he became a thinker who was knowledgeable about science, philosophy, and religion. He studied philosophy in his native language. Indeed, he was a model who lived his life as he thought death would be. In this essay, the theme of mortality is discussed in detail, with the particular aim of broadening the scope of Korean thanatology. What thanatology and that in Korea is like in the way above is first studied and looked into Yu’s thoughts through which it would hav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enlarge ‘a discourse on Korean thanatology’.

      • KCI등재

        다석 유영모의 “생사학 담론” 가능성을 위한 시론

        양준석(Jun Seok, Yang) 가톨릭대학교(성심교정) 인간학연구소 2015 인간연구 Vol.0 No.24

        이 논문은 다석 유영모(1890~1891)의 사상을 생사학적 관점에서 살펴보고, 다석의 사상에서 ‘생사학 담론’의 가능성을 모색하는 글이다. 생사학(生死學)은 삶 [生]과 죽음 [死]에 관해 연구하는 통합적 학문으로 죽음을 통해 삶을 성찰하며 누구나 경험할 수 있는 존엄한 삶, 존엄한 죽음을 목표와 과제로 제시한다. 특히 죽음에 무딘 현대시대에 생사학(生死學)적 관점은 우리 사회의 죽음 문화의 현주소를 밝히고, 왜곡된 죽음 문화의 원인을 분석하는 동시에 존엄한 삶과 죽음을 이루어갈 방안을 구체적으로 모색하는 계기가 될 것이다. 생사학을 이해하기 위해서는 과학이나 철학만 알아서도 안 되고 종교에 무지해서도 안 된다. 생사학은 삶과 죽음의 문제를 어느 한쪽에서만 바라보지 않고 과학과 종교, 철학과 심리 등 다양한 범주에서 바라보며 삶과 죽음이라는 주제에 대해 밀접한 관련을 맺고 전개하는 학문이기 때문이다. 또한 융합학문으로서 생사학, 특히 한국적 생사학의 지평을 넓히기 위해 우리 문화 속에서 사유하고 죽음문제를 치열하게 직시하며 삶을 살았던 전형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다석 유영모는 19세기 말에 태어나 20세기를 거치면서 과학과 철학, 종교를 두루 꿰뚫은 사상가였으며 우리말로 철학을 했으며 죽음에 대한 자신의 생각을 삶의 모습으로 그대로 투영하여 살았다. 그야말로 생사학의 본보기라 할 수 있다. 이 같은 시각에서 먼저 생사학과 한국에서의 생사학의 현황을 살펴보고, 이어서 유영모의 사상을 생사학적 관점에서 검토한다. 그 결과 다석 유영모의 사상을 통해 ‘한국의 생사학적 담론’을 넓히는 데 의미 있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essay is about Daseok Yu Youngmo’s(1890~1981) thoughts, about seeking the possibility of ‘a discourse on thanatology’. Thanatology is the integrative science of ‘life’ and ‘death’. It is a reflection of life through death, considering a person’s sacred life and death as an aim and a task. The thanatological view, especially when a person is insensible to ‘being dead’, is likely to shed light on the ongoing situation in the death culture. This view focuses on ways to lead a sacred life and death, and it analyzes perceived wrongdoing. In terms of constructing ‘a discourse on thanatology in Korea’. In order to understand thanatology, first it is necessary to be aware of not only science and philosophy but also faith. Thanatlogy does not see themes of life and death as separate. This science is closely related to life and death in a wide variety of fields, ranging from science and religion to philosophy and psychology. Moreover, research is needed on the way that thanalogical thoughts was conceived in Korean culture. It is considered meaningful to adopt the thought of Daseok Yu Youngmo, a native philosopher, who reconstituted a new prospect in the oriental and occidental worldviews. Yu was born in the late 19th century, and in the 20th century, he became a thinker who was knowledgeable about science, philosophy, and religion. He studied philosophy in his native language. Indeed, he was a model who lived his life as he thought death would be. In this essay, the theme of mortality is discussed in detail, with the particular aim of broadening the scope of Korean thanatology. What thanatology and that in Korea is like in the way above is first studied and looked into Yu’s thoughts through which it would have a meaningful opportunity to enlarge ‘a discourse on Korean thanatology’.

      • KCI등재

        삶과 죽음을 성찰하는 싸나톨로지(죽음학)의 대학 공교육을 위한 인식조사

        김재경,임병식 한국교양교육학회 2020 교양교육연구 Vol.14 No.5

        이 연구의 목적은 싸나톨로지(죽음학) 개념과 공교육 현황을 살펴보고 대학생 학습자들을 대상으로싸나톨로지 과목의 공교육 실행을 위한 인식 조사를 하는 것이다. 그 연구를 위해 설문 조사와 심층인터뷰가 시행되었다. 설문 참가자는 182명과 164명의 한국 대학생이었고 직접적인 질문(182명)과 간접적인질문(164명) 그룹으로 하여 두 그룹에 설문이 무작위로 배정되었다. 설문 질문으로는 ① 죽음을 생각해본 적이 있다, ② 죽음이 가까이 있다고 생각한다, ③ 상실이나 아픔을 겪은 경험이 있다, ④ 상실이나아픔을 겪은 사람을 위로해 주고 싶다, ⑤ 상실이나 죽음에 대한 강의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는가라는것으로 설문이 시행되었다. 심층인터뷰 질문은 “죽음과 삶의 성찰을 다루는 싸나톨로지(죽음학) 강의가필요하다고 생각하십니까? 그 이유는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였다. 결과는 죽음을 생각해 보거나죽음을 가까이 느낀다에 과반수이상이 그렇다는 답변을 보였다. 아울러 죽음을 포함한 상실에 관한설문 질문과 죽음학 강의의 필요성에도 과반수이상의 학생들이 필요성에 긍정적으로 응답하였다. 심층인터뷰에서도 싸나톨로지 과목의 장점을 피력하는 긍정적 답변이 많았지만 일부 부정적 답변도 있었다. 결론적으로 대학생 학습자들이 싸나톨로지 과목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어 싸나톨로지를 공교육에서개설해야 한다는 시사점을 얻을 수 있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current status and perceptions of Thanatology (the study of death), and to investigate the perceptions of certain Thanatology subjects for public education at the college level. A questionnaire survey and an in-depth interview were conducted using the following method: 182 and 164 Korean college students were randomly assigned to two groups: a “direct” question group (182) and an “indirect” (164) question group. The questionnaire included the following questions: ① I have thought about death, ② I think death is near, ③ I have experienced loss or pain, ④ I want to comfort someone who has suffered loss or pain, ⑤ Is there a lecture on loss or death? Also, the questionnaire asked students whether they believed that such a lecture was necessary. The in-depth interview questions read as follows: “Do you think it is necessary to have a lecture on the psychology of life and death? What do you think is the reason for this?” As a result, more than half of the respondents answered that they think about death or feel that death is near. In addition, we found that the students deemed the necessity for such a lecture as ‘high’, and that more than half responded that lectures on loss and death were necessary. During the in-depth interviews, there were many positive answers, but also some negative ones, and overall the study illustrated the high necessity for lectures on Thanatology. In conclusion, we were able to determine that college students felt the necessity for receiving at least some rudimentary level of death education through the study of Thanatology for public education.

      • KCI등재

        현대 생사학을 위한 불교 생사관의 제언 -죽음의 납득에서 보리심 각성의 생사학으로

        양정연 한국종교교육학회 2020 宗敎敎育學硏究 Vol.64 No.-

        In Thanatology, the discussion of death includes both the death of oneself and others. Since death is an event that takes place in various human relationships, the problem of death in Thanatology should be discussed with interest in this world rather than in the after life. This article aims to examine these issues through the thoughts of Mahayana Bodhisattva. When death was brought into individual sphere, the reflection on death is based on personal autonomy. This thought is evident in the discussions about the cessation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Korea and Taiwan, and the ‘Syukatsu’ activity in Japan which is held towards the end of one’s life. However, these perceptions and attitudes need to be reviewed in the point that the reflections on death are practiced at the individual level. Since Thanatology fundamentally deals with the sufferings for others' perceptions of death, examining Mahayana Bodhisattva's view of life and death will help to broaden our understanding of Thanatology.

      • KCI등재

        람림(Lam rim)에서의 죽음 억념과 수행 - 생사학적 관점을 중심으로

        양정연 한국선학회 2012 한국선학 Vol.31 No.-

        본 논문에서는 생사학의 관점을 바탕으로 람림(Lam rim, 道次第)에 나타난 죽음관과 수행 내용을 고찰 하였다. 생사학에서는 죽음을 삶의 한 과정으로 보고 죽음 교육을 통하여 존엄한 죽음을 맞을 수 있다 고 말한다. “죽음을 맞이하는 방식, 죽어 가는 환자를 돌보는 방식, 나아가 삶을 영위하는 방식에 대한 논의와 철학적 성찰이 필요하다”고 말하는 것은 죽음을 육체적 관점만이 아닌 정신적, 영적 관점에서 이해하는 생사학의 태도를 보여준다. 람림의 수행체계는 인간 존재의 가치를 절실하게 일깨워 주는 것에서 시작한다. 쫑카빠는 인간의 삶의 방식을 하사, 중사, 상사 세 단계로 나누고 각 단계에서 배워야 할 가르침과 의요, 실천의 내용을 체계 적으로 설명한다. 그는 욕망 충족의 삶을 궁극적인 진리의 완성으로 점차 전환시켜야 한다는 점을 강 조한다. 삼사도는 단계에 따른 가르침의 내용이지만, 하사도와 중사도는 상사가 공통으로 수행해야 하 는 단계로서 보리심을 내기 위해 먼저 요구된다. 상사가 자신의 적정을 구하지 않고 중생을 제도하고 자 기꺼이 윤회 세계에 들어가는 것은 이러한 체득을 미리 했기 때문이다. 람림에서는 죽음에 대한 억념을 통하여 “우리는 죽는다”는 사실과 “죽음이 예고없이 우리에게 온다”는 사실을 직시하게 한다. 죽은 뒤에 다시 인간으로 태어난다는 것은 윤회 세계에서 너무나도 희귀한 일 이며 인간은 깨달음을 얻을 수 있는 가장 좋은 조건을 갖고 있기 때문에 바로 지금 수행해야 한다고 말 한다. 람림의 가르침은 범부의 삶을 어떻게 궁극적인 진리의 길, 완성의 길로 이끄는가에 대한 이론과 실천의 가르침을 제공한다는 점에서 죽음 준비교육을 위한 자료로도 이용될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perspective on death and Buddhist practices in Lam rim, the stages on the path to Enlightenment, on the basis of Thanatology. Death is a natural process of life and death education allows us to die with dignity from the viewpoint of Thanatology. The notion that we should discuss and reflect on how to die, how to care for the dying patients, and how to live is connected with the basic attitude to Thanatology which understands death not only from the physical point of view but also from the spiritual point of view. Lam rim makes us realize human values from the first stage. Tsong-kha-pa classified people into three levels according to their aspirations and way of lives. He stressed that our lives should be converted from satisfying our desires to accomplishing the truth. Three levels which are the lower scope, the middle and the higher, show the teachings gradually and the lower and middle scopes are required for the higher to generate Bodhicitta. The higher would not attain the liberation from the sufferings of Samsara only for himself. He would gladly go into Samsara to save all living things because he went through the two lower practices. The meditation on death reminds us that we die and death comes to all of us without notice. It is extremely rare to be born as a human in Samsara and only human has ideal conditions for attaining Enlightenment, so Lam rim encourages us to practise right now. Lam rim offers theory and practices about how to get people to seek the truth and completion and we can use them for death education.

      • KCI등재

        『예기』에 나타난 생사관 특성 고찰

        임병식 서울대학교 철학사상연구소 2022 철학사상 Vol.84 No.-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one characteristic of the view of life-and-death in Yegi(禮記) from the ritual point of view of Thanatology’, which has become in academia recently. Through this, I examine the fundamental worldview and the view of Confucianism on life-and-death and ultimately seek the possibility that this could contribute to our current attitude toward life. In fact, Confucianism’s view on life-and-death, and its wisdom have many implications of modern people’s attitude toward life-and-death. In particular, the basic characteristic of Confucianism’s view of life-and-death is that it consistently insists on the identity and unity of life-and-death from the perspective that life and death are correspondingly with each other. These perspectives and views of Confucianism on life-and-death provide useful clues to critically consider the problems of modern biopsychology and economic index-centered well-being and well-dying craze. The view of life-and-death in Yegi(禮記) was formed, based on the tradition of ‘Bo-bon-ban-si(報本反始)’ of the Eun(殷) Dynasty, ‘Cheon-myeon-mi-sang(天命靡常)’ of the Zhou(周) Dynasty, ‘Go- jong-myoung(考終命)’ of Seo-Gyoung(書經), Cheon-myoung-gwan(天命觀) of Confucius, and the Ye-ron(禮論) of Sunja(荀子). They commonly present the virtues of filial piety in relation to the establishment of the right view of life-and-death, and the background for the nobleman to pursue it as a lifelong task has a premise for the consciousness of worries over the troubled(憂患意 識) world handed down from Pre-Confucianism and ideological clues on filial piety. In particular, transforming the concept of filial piety actively, Yegi(禮記). newly established the content and scope of life-and death which belonged to the recipient of filial piety into the value of life of subject of filial piety and its meaning. Based on this change in the notion of filial piety, the existing ancestral rites and mourning ceremony enrich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life that are the cultivation of virtue and completion of human relations. Accordingly, the value and significance of death are also differentiated into the modes of termination and death. This time, termination means the begging and ending of a voluntary and active life centered on the morality and humanity expressed in the character of a Gunja(君子). Therefore, it can be said that the ‘Bo-bon-ban-si(報本反始)’ of filial piety in ancestral rites and mourning ceremony penetrating the human view of life from traditional rites for the gods of heaven and earth, ancestors, and ghosts in terms of practical context. The characteristics of this view of life-and-death in Yegi(禮記), make those of us who have suffered loss and death, think about how we should live a life more humane, In particular, in the modern society where death is forbidden, even the feeling of mourning is rejected and distorted. In modern situation where consciousness is gradually replaced with material, and pathological emotions appear everywhere, the healing methods and procedures for how to restore humanity are described in Yegi(禮記).

      • KCI등재

        한국계 미국 드라마에 나타난 디아스포라적 사생관

        정미경 ( Jung Mi-kyung ) 한국드라마학회 2022 드라마연구 Vol.- No.68

        본 연구는 한국계 미국 드라마, <가지>와 <클리블랜드에 내리는 비>에 나타난 한국문화와 죽음재현의 의미를 디아스포라적 관점으로 살펴본다. 죽음은 보편적이지만, 죽음에 이르는 삶의 여정은 인종적 특수성을 가진다는 전제하에 두 드라마에 나타난 한국계 미국인의 죽음 혹은 상실을 ‘한국계 미국인의 디아스포라적 생사관’으로 명명한다. 그리고 한국계 미국인의 디아스포라적 죽음재현을 다음의 두 가지 주제로 분석한다. 첫째, 현대 서구 의학의 ‘좋은 죽음’을 한국문화에서 정의하는 ‘좋은 죽음’의 의미와 비교한다. 둘째, 한국의 전통 무속 제의를 디아스포라적으로 변용한 연극 형식적 특징에 대해 살펴본다. This study aims to delve into the representations of the death or loss and their meanings in two Korean American dramas, Aubergine and Cleveland Raining. As death is universal phenomenon but the paths of life leading the death are different depending on ethnic and cultural features, this study pays attention to the following three points; first is how Korean Americans’ deaths or losses are being represented in those dramas; second is how they are differentiated from western definition of death; and finally whether this approach could be called Korean American Diasporic Thanatology. For this purpose, two topics are discussed; one is what are the differences of ‘good death’ between in western hospice care and in Korean traditional culture; the other is how two Korean American dramas appropriate Korean traditional rituals of death.

      • KCI등재

        '호모 후마니타스 死生學' 교육프로그램 필요성에 관한 탐색적 연구 - 부산·경남 지역 대학생들의 죽음인식을 중심으로 -

        정효운,정경태,황원덕,안장혁,김도희,박종식,강창완,김경아,김은희,김인호 한국자료분석학회 2010 Journal of the Korean Data Analysis Society Vol.12 No.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atterns of recognition of death of college students in Busan․Kyong-nam area in order to suggest the need for death education modified in cultural contexts in South Korea. The survey was conducted by 800 college students (Male: 298, Female: 500). The subjects expected to live until the age of 84. 75.2% of the subjects experienced death of their family members and relatives. 54.7% of the subjects had thought about their own death. Female subjects recognized their death more frequently and strongly than male subjects. 62.5% of the subjects thought that education to prepare their death is needed. Further studies on educational program for several issues related death are required is suggested for college students. 본 연구는 부산·경남 지역 대학생들을 대상으로 죽음에 대한 인식 패턴을 파악함으로써 한국형 죽음준비교육이라 할 수 있는 ‘호모 후마니타스 사생학’의 교육적 필요충분성에 중점을 두었다. 조사 결과를 요약하면, 죽음 체험에 대한 인식의 경우 조사 대상자 대부분(75.2%)이 가족 및 주변 사람들의 죽음을 경험한 바 있으며, 죽음을 맞이하게 될 미래의 자신 모습에 대해서도 54.7%가 생각해 본 적이 있는 것으로 파악되었다. 또한 죽음인식의 빈도와 강도 면에서는 여자가 남자보다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차지했으며, 예상 수명의 경우는 남녀평균 83.14세로 나타났다. 아울러 대학생 대부분이 죽음준비교육의 긴요성을 느끼고 있다고 응답한 점을 감안할 때, 사생학 교육프로그램의 효용성에 관한 본 연구는 향후 죽음준비교육의 로드맵을 마련하는 데 유의미한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톨스토이의 『세 죽음』연구

        서상국(Sang Guk Suh) 한국노어노문학회 2013 노어노문학 Vol.25 No.3

        톨스토이의 『세 죽음』은 1859년에 발표된 단편으로 그 내용이 대단히 단순하다. 제목 자체가 시사하고 있듯이 이 작품에는 죽음 세 개를 다루고 있다. 첫 번째는 귀족부인 마리야 드미트리예브나의 죽음이고 두 번째 죽음은 마부 표도르의 죽음이며 마지막 죽음은 한 나무의 죽음이다. 이 작품이 발표되자 같은 해에 피사레프가 이 작품에 대해 대단히 부정적인 평을 내렸고 이후 이 작품에 대한 학자들의 태도는 피사레프의 그것과 대동소이하다. 피사레프가 이 작품을 부정적으로 평가한 근본적인 이유는 이 작품에 “공통의 실마리” 즉 “유기성”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이었다. 피사레프의 주장은 톨스토이가 이 작품에서 서로 아무런 연관이 없는 죽음 세 개를 단순히 나열하고 있다는 것이었다. 이런 견해는 최근의 연구인 콘기나의 주장에서도 발견할 수 있다. 이 논문에서는 대부분의 비평가들이 “유기성” 부재로 인해 부정적인 평가를 하고 있는 톨스토이의 『세 죽음』을 다시 분석하면서 “유기성”이 주어진 작품의 시학 근간을 이루고 있다는 것을 주장하고자 한다. 이 작품은 세 가지 차원에서 대단히 “유기적”인 작품이다. 이 작품에서 다뤄지고 있는 세 죽음은 구조적 차원, 사망학적 차원, 톨스토이주의의 차원에서 긴밀한 유기성을 가지고 있다. 구조적 차원과 사망학적 차원에서는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이 점강법의 원칙에 따르고 있으며 톨스토이주의의 차원에서는 점층법의 원칙에 따르고 있어 내적 유기성이 확보되어 있을 뿐만 아니라 균형이 잘 맞고 있다. 구조적 차원과 사망학적 차원에서 마리야 드미트리예브나의 죽음이 가장 부정적이며 표도르의 죽음은 부정적인 측면과 긍정적인 측면이 공존하며 나무의 죽음은 부정적인 측면이 전무하여 완벽하게 긍정적이다. 세 죽음에서 부정적인 측면은 최대치에서 무(無)로 이동하고 있어 점강법을 따르고 있다. 반대로 톨스토이주의의 차원에서 긍정적인 측면은 귀족부인 마리야 드미트리예브나의 죽음에서 전무(全無 )한 것에서 나무의 죽음에서의 극한치로 이동해 감으로 점층법을 따르고 있다. 부정적인 측면이 점강법을 따라, 긍정적인 측면이 점층법을 따라 시학을 이루고 있음으로 피사레프가 보았던 묘사의 단순 분량의 차이에 기인한 유기성 부재 또는 불균형이 내적으로는 대단히 유기적이고 균형적인 구조를 이루고 있음을 알 수 있게 되었다. 이 작품이 발표된 동시대 인물인 피사레프와 투르게네프를 비롯한 지성인들이 작품의 ‘유기성 부재’를 원인으로 부정적으로 평가했고 그 이후 학자들의 견해 역시 이들의 주장에서 크게 벗어나지 못했다. 그러나 작품 분석의 틀을 달리함으로 이 작품이 대단히 유기적이며 균형이 잘 맞는 작품이라는 것을 증명할 수 있었다. Dmitrij Pisarev succinctly summarized the content of L.N. Tolstoj"s Three Deaths in the same year of its publication in 1859, claiming that this work lacks in its organic unity: "Рассказ Толстого состоит из трех отдельных эскизов, связанных между собою тольк о характером содержания; общей нити рассказа нет. Автор изобразил только три момента, три смерти, происшедшие при различных условиях, при различной обстановке, и, обрисовав самыми яркими красками это различие, выставил во свех трех те общие явления, которые сопровождают собою разрушение всякого организама." Pisarev"s assertion on the absence of the organic poetic unity in Tolstoy"s Three Deaths is well known fact and widely accepted by many scholars. Konkina also shares this point of view: "Три плана повеств ования, связанные между собой только внешним композиционным единством, не имеют вну тренней связи, отражения одной сюжетной линии в другой." However, the organic poetic unity plays significant role in this short story. Finding out and analyzing the poetic unity in this literary work are the main thesis of this paper. Despite Pisarev"s and Konkina"s assertions, there is an organic poetic unity in this story. I contend that this unity is a combination of two opposite poetic techniques; the law of diminishing poetics dominates on the level of description of the tree deaths. The noble woman"s death is the largest part of this work, whereas the death of a tree is such simple and sublime as a poem. The cab driver Fedor"s death is located in the middle of these two deaths. Thus it functions as a pivotal linkage that connects the two basically different types of deaths. The law of diminishing poetics is applied to the level of thanatology. The noble woman"s death shows the most various aspects of thanatology; especially the second stage of fatally ill patient"s reactions; anger, zealous. The noble woman does not conceal her own discomfort and discontentment. She also shows zealousness toward her maid"s health, her husband ordinary way of life and her children"s health. To describe this type of negative death, the law of diminishing poetics is utilized. The death of a tree does not contain any kind of thanatological negative aspects at all. This death is nothing but positive example of desired death by all human beings. The law of diminishing describing poetics does not fortify the organic unity in this work. There is an opposite poetics that makes this apparently unbalanced work perfectly balanced; the law of increasing poetics. The noble woman"s death completely lacks in positive aspects in terms of "Tolstoyism." There is no altruism in her death. But the altruism is increased in the death of driver Fedor. Fedor gives his boots to Serega. Thus the boots, fit perfectly to Serega"s feet, live a new life. This death, however, stays in the middle of the two different deaths. Fedor gives his boots to Serega with one condition; to buy a stone for his tomb. The culmination of altruism is in the death of a tree: there is nothing negative. There, thus, no reason to describe as long as the noble woman"s death. The death of a tree is simply altruism itself. So, the two opposite poetics consist of this short text being based on the well balanced organic unity.

      • KCI등재

        일본인의 죽음관과 재해 - 생사학적 관점에서의 동일본대지진 -

        배관문 단국대학교 일본연구소 2014 일본학연구 Vol.42 No.-

        How have Japanese people who have been suffering from incessant disasters accepted death and how have they overcome it mentally? An analysis and overview of changes in thought require a considerable amount of time. Through an analysis of Namazue right after the Ansei Great Earthquakes, the present study paid particular attention to the treatment of the deceased and the aspects of conflict and reconciliation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living and the dead caused by a disaster is also closely linked to the funeral and the service for the repose of the deceased. So this paper explored problems concerning funerals at 3.11 Great East Japan Earthquake. Also, the 3.11 Earthquake prompted Japanese society to lively discussion on death as well as to reconsideration of the meaning of religion. How can religion and philosophy respond to the grief and pain that the survivors of a disaster encounter in the relationship with the deceased? It is the very task in thanatology. Before 3.11, the view of death and life was mainly approached from the viewpoint of decreasing children and aging society. But at least it seems certain that the post-3.11 view of death and life would see a sea chang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