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정현옥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를 검증하고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이 어느 정도인지를 규명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설정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가설 1.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2. 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3.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4. 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5. 중학생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6. 고교생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 간에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 7. 중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설명해 줄 것이다. 가설 8. 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설명해 줄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강원도 원주시 소재 중학교 2학년 195명, 고등학교 2학년 184명 총 379명을 표집하였다. 선정된 379명의 학생을 연구대상으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검사, 학업적 자아개념검사를 실시하였다. 학업성취도는 해당 학교에서 실시한 국어와 수학과목의 1학기 종합성적을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10.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통계적 분석 기법은 연구문제에 따라 Pearson의 상관관계 분석과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유의한 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중ㆍ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보였다. 셋째, 중ㆍ고교생의 학업적 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의 관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중·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은 학업성취도를 유의하게 설명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중·고교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적 자아개념이 높을수록 학업성취도도 높은 경향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학업적 자아개념이 학업성취압력보다 학업성취도에 더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학업적 자아개념의 향상은 학업성취도 향상에 보다 효과적일 수 있음을 설명할 수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what relationship there was among the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their academic self-concept and academic achievement of secondary school students and to determine what influence their perceived parental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elf-concept on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79 students selected from four secondary schools in Wonju city, Kangwon province. They included 195 eighth graders of middle school and 184 high school juniors. They took two tests in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elf-concept. As for academic achievement, their total first-term grades in the Korean language and mathematics were adopt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10.0 program, and Pearson's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made to test the research hypotheses.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wasn't significantly correlated with their academic self- concept. Second, the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Third, the academic self-concep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had a significantly positive correlation with their academic achievement. Fourth, the perceived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academic self- concept of the secondary school students made a significant prediction of their academic achievement. In other words, the students had a tendency to be a better performer at school when they found themselves to face a more parental achievement pressure and their academic self-concept was more excellent. Specifically, academic self-concept had a bigger impact on academic achievement than academic achievement pressure did. Consequently, it could be said that improved academic self-concept might more successfully lead to better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 객관적·주관적 학업성취도에 대한 영향요인 연구

        추소영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업성취도 향상을 위한 교육 정책의 결과가 미진하다. 국가수준 학업성취도 평가 결과, 중학생의 학업성취수준이 하락하고 있다. 우수학력 비율은 증가하는 반면, 보통학력 비율과 기초학력 비율은 감소했다. 동시에 기초학력미달 비율은 증가하여 교육격차가 심화되었다. 교육부는 정책적·법령적 노력을 통해 학업성취수준 하락 현상을 개선하고자 계속 노력해왔으나 가시적인 성과는 여전히 미흡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의 연관관계를 찾아 기초학력를 향상시키고 두 가지 학업성취수준을 지원하는 것이다. 선행연구에서는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 구별의 개념화와 연구가 이루어지지 않았다. 이를 구별하기 위해 본 연구에서는 두 학업성취도에 대한 가정요인, 개인요인, 학교요인, 사교육요인을 고려한 새로운 연구모형을 제시하였다. 본 논문은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 간의 관계를 경험적으로 연구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한국 아동·청소년 패널조사>의 7개년 중 6차년도 자료를 활용하였다. 설문조사 표본 기간은 2015년으로, 중학교 3학년 시기였다. 총 145개의 문항 중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측정한 10개 항목을 종속변수로 사용하였다. 가정요인, 개인요인, 학교요인, 사교육요인을 측정한 135개 항목을 독립변수로 사용하였다. AMOS를 이용한 구조방정식 연구모형으로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이르는 4가지 요인에 대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경로를 분석하고 찾았다. 구조방정식을 통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분석한 결과, 학교요인과 개인요인은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고, 사교육요인은 객관적 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객관적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의 강도는 역경로의 영향보다 약 6배 더 큰 것으로 나타났다. 경로분석으로 5가지의 유효한 경로를 도출할 수 있었다. 첫 번째 경로는 객관적 학업성취도가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직접효과)이다. 두 번째는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객관적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직접효과)이다.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의 상호적이고 긍정적인 관계를 확인하였다. 세 번째 경로는 학교요인이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거쳐 객관적 학업성취도를 높이는 것(간접효과)이다. 네 번째 경로는 객관적 학업성취도를 통한 사교육요인이 주관적 학업성취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간접효과)이다. 마지막 다섯 번째 경로는 개인요인이 주관적 학업성취도를 통해 객관적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경로(간접효과)이다. 본 연구는 객관적 학업성취도와 주관적 학업성취도가 서로 매우 밀접하고 긍정적인 관계를 가지고 있음을 발견했다. 학업성취수준 향상을 위해서는 학습적 지원과 심리·정서적 지원의 복합 노력으로 두 학업성취도 간의 영향력을 강화해야 함을 제안하였다. 또한 학교요인의 영향력을 확인하여, 현재 시행 중인 학업성취도 향상 프로그램인 협력교사제, 두드림 학교, 학습종합클리닉센터의 정책 강화 및 개선 방향을 제시하였다. 기초학력 보장법안 통과를 위한 입법적 노력과 더불어 교육수준에 관계없는 공평한 지원을 위한 학교의 노력으로 학생의 객관적·주관적 학업성취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필요하다.

      • 농촌과 도시 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른 자기효능감의 비교

        박주일 전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농촌과 도시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에 따라서 자기효능감이 어떻게 나타나는지 알아보고자 하였다. 농촌지역 초등학교 6학년 69명과 도시지역 초등학교 6학년 110명을 대상으로 전국 모든 초등학교에서 동시에 실시되는 국가수준 학업성취도평가 결과와 그 학생의 자기효능감 설문지 자료를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농촌 지역 초등학생과 도시 지역 초등학생 모두에서 학업성취도가 높으면 자기효능감도 높고 학업성취도가 낮은 학생은 자기효능감도 낮았다. 즉 지역에 관계없이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이 정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 농촌 지역의 초등학생의 학업성취도는 도시 초등학생들에 비하여 조금 낮게 나타났다. 자기효능감도 농촌 지역 초등학생들이 도시 초등학생들에 비하여 약간 낮게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은 농촌 지역과 도시 지역에서 공통적으로 유의한 정적 상관관계를 가지며 농촌 지역 초등학생들이 도시 초등학교 학생들보다 학업성취도와 자기효능감이 낮았다. 그러나 학업성취도가 같은 수준의 학생들은 지역에 관계없이 자기효능감의 수준도 같았다.

      •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요인에 관한 연구 : 대입전형유형·사교육·대학생활만족도 중심으로

        이현준 건국대학교 2017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degree the types of college admission, private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and satisfaction with campus life affect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The study conducted an empirical analysis of data collected from students at a regional National University from March 23 to April 12, 2017. The collected data was analyzed empirically including t-test, ANOVA, correlation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In the study,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was chosen as the dependent variable. Based on the literature review, four variables that may influence the dependent variable were identified, which were college admission types, private education(two variables: duration of private education and average monthly expenses on private education),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learning(five variables: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teachers' lectures, major courses and lessons, liberal arts courses and lectures, and environmental satisfaction), and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four variables: satisfaction with support and preparation for employment, welfare for the encouragement of study and counseling, relationships with friends, and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The four areas contained total 12 variables. The control variables of the study included gender, location of alma mater, major in college,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The findings were as follows. First, college admission types had no significant effects on the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respondents.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divided by the areas and groups, however, college admission types based on the excellent students' aptitude scores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and a greater influence than the type of admission based on the excellent students' school grades. The analysis of four college admission types produc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GPA, which was highest in the order of the type of college admission based on the students' aptitude scores, based on the students' overall school records, based on the students' scores in College Scholastic Ability Test, and the one based on the students' school grades. Second, both the duration of private education and average monthly expenses on private education under the category of private education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their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When the independent variable was divided by the areas and groups, however, those two private education-related variables had significant positive impacts. That is, private education had positive impacts on the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hen high average monthly expenses on private education were combined with a long duration of private education. Third, satisfaction with major courses and lessons, and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courses and lessons under the category of satisfaction with teaching and learning had significant positive influences on the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respondents. Satisfaction with major courses and lessons had the biggest influences on their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being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courses and lessons. The remaining three variables, which include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professors' lectures, and educational environment, had no significant influences on the respondents’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When differences in GPA were analyzed according to those variables, however, satisfaction with the curriculum and satisfaction with professors' lectures had significant impacts on differences in GPA with the students of higher satisfaction recording higher GPA than those of lower satisfaction. Fourth, satisfaction with welfare for the encouragement of study and counseling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respondents in the area of satisfaction with school life with the three remaining variables having no significant effects. The analysis results of differences in GPA, however, show that satisfaction with supports and preparations for employment and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with professors were significantly higher among the students with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lower satisfaction. Satisfaction with relationships with friends was lower among the students with higher satisfaction than those with lower satisfaction. Finally, the gender variable had significant positive effects on the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f girls with greater influences on girls than boys. The location of alma mater had significant negative effects on the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f the students that graduated from a high school in farming or fishing villages. Major in college and average monthly household income had no significant impacts on the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Those findings have the following policy implications. First, college admission types based on the students' excellent aptitude scores had the biggest influences, which implies that aptitude should be considered as the most important element in college admission. Colleges and universities should search for autonomous selection plans according to their features by taking into consideration the aptitude, individuality and academic ability of a student rather than his or her scores and grades. Second, private education for high school students had positive effects on their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Third, satisfaction with major courses and lessons had the biggest impact on the colleg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being followed by satisfaction with liberal arts courses and lessons. Colleges and universities need to focus all of their capabilities on the enhancement of their educational level and power by making plans to maximize the students' satisfaction with major and liberal arts courses and lessons and improving their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이 논문의 연구 목적은 대입전형유형, 고교 사교육 및 대학생활만족 변수가 대학학업성취도에 어느 정도 영향을 미치는가를 규명하는 것이다. 이 연구는 지방소재 국립대학 1개교 재학생을 대상으로 2017년 3월 23일부터 4월 12일까지 설문조사한 자료를 t-test, ANOVA분석, 상관관계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등으로 실증적 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에서는 종속변수를 대학학업성취도로 하고, 종속변수에 미치는 영향변수는 문헌연구를 토대로 전형유형 변수, 사교육관련 변수(사교육기간, 월평균 사교육비 : 2개 변수), 교수학습관련 만족변수(교육과정, 교수강의, 전공과목 및 수업, 교양과목 및 수업, 교육환경 만족도 : 5개 변수), 학생생활관련 만족변수(취업지원․준비행동, 장학복지․상담, 교우관계, 교수관계 만족도 : 4개 변수) 등 4개 영역별 변수와 그 하위 12개 변수를 선정하여 사용하였다. 또한 성별, 출신고교 소재지, 대학전공계열, 월평균 가구소득 등 4개의 통제변수를 사용하였다. 이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전형유형 변수가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독립변수를 영역별 그룹변수로 분석한 결과는 학생적성우수전형이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하고 학생부교과성적우수전형보다 영향력이 더 컸다. 그리고 4개 전형유형별 GPA 차이 분석 결과 유의미하였고 학생적성우수전형, 학생부종합전형, 수능성적일반전형, 학생부교과성적우수전형 순으로 GPA가 높았다. 둘째, 사교육관련 변수의 경우에는 대학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사교육 기간과 월평균 사교육비 변수 각각은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러나 독립변수를 영역별 그룹변수로 분석한 결과에서 사교육관련 변수는 대학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하였다. 이것은 월평균 사교육비가 높고 동시에 사교육 기간도 길 때 긍정적 영향을 미쳤다. 셋째, 교수학습관련 만족변수의 경우에는 전공과목 및 수업 만족도, 교양과목 및 수업 만족도, 이 2개 변수가 대학학업성취도에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하였다. 대학학업성취도에 가장 큰 영향변수는 전공과목 및 수업 만족도이고, 그 다음으로 교양과목 및 수업 만족도로 나타났다. 그리고 교육과정 만족도, 교수강의 만족도, 교육환경 만족도, 이 3개 변수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만, 각 변수별 GPA 차이분석에서는 교육과정 만족도, 교수강의 만족도 변수가 유의미하였고 만족도가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GPA가 높았다. 넷째, 학생생활관련 만족변수의 경우에는 장학복지·상담 만족도가 대학학업성취도에 부(-)의 영향으로 유의미하였고, 취업지원․준비행동 만족도와 교수관계 만족도 및 교우관계 만족도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다만, 변수별 GPA 차이 분석에서는 취업지원․준비행동 만족도, 교수관계 만족도는 만족도가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았다. 그러나 교우관계 만족도는 만족도가 높은 학생이 낮은 학생보다 오히려 낮았다. 끝으로 성별 변수는 여학생이 정(+)의 영향으로 유의미하여 남학생보다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컸으며, 출신고교 소재지 변수는 농어촌지역의 학생이 부(-)의 영향으로 유의미하여 농어촌지역의 학생이 도시지역의 학생보다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력이 낮았다. 그리고 대학전공계열과 월평균 가구소득 변수는 유의미하지 않았다. 그리고 정책적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전형유형 중 학생적성우수전형 영향력이 가장 크게 나타나 적성이 가장 중요한 전형요소로 고려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점수화된 성적위주 학생선발보다 적성과 개성 및 학업능력 등을 고려하여 대학특성에 맞는 자율적 선발방안이 모색되어야 한다. 둘째, 고교 사교육도 대학학업성취도에 긍정적 영향을 주고 있었다. 학력주의 가치관과 경쟁입시가 있는 한 사교육은 피할 수 없어, 실질적인 공교육 내실화 방안을 마련하고 학업결손을 보충하는 정도로 사교육 경감대책을 마련하여야 한다. 셋째, 전공과목 수업 만족도, 교양과목 수업 만족도 순으로 대학학업성취도에 영향력을 미치고 있었다. 대학은 전공과목과 교양과목 수업 만족도를 극대화할 수 있는 방안을 마련하고 교수학습방법의 개선 등 교육수준과 교육력을 제고하는 데 모든 역량을 집중하여야 할 것이다.

      • NCS 기반 루브릭 적용이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 : 피부미용 교과 '모델링 마스크하기' 중심으로

        이다연 성결대학교 성결교육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NCS 피부미용 ‘얼굴 팩ᐧ마스크’ 학습모듈 중 ‘모델링 마스크하기 교과목으로 개발된 루브릭이 고등학교 2학년 40명의 학업성취도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았다.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피부미용 과목 '모델링 마스크' 단위의 달성기준에 따라 평가항목으로 실습계획, 실습과정, 실습결과, 실습태도를 설정하여 루브릭을 개발하였다. 둘째, 루브릭의 적합성 평가 결과 상대적으로 ‘결과의 활용도’, ‘평가도구의 이해도’가 높게 나타나 학생이나 교사, 전문가에게 유용하게 활용 가능한 평가 자료임이 검증되었다. 셋째, 루브릭을 제공하지 않은 비교집단과 루브릭을 제공받은 실험집단의 사전 학업성취도 평가에는 차이가 없었다. 넷째, 실습계획서의 '모델링 마스크도해도'와 실습과정에서의 '작업자세'에 대한 사전 사후평가에서 비교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다섯째, 모든 항목의 사전 사후 평가, 실천 계획, 과정, 결과 및 태도에서 실험 집단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관찰되었다. 모델링 마스크 평가에 루브릭을 적용한 결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향상되었습니다. 본 연구 결과는 실습과목에 대한 수행평가 루브릭의 개발 및 적용이 보다 효과적인 학습 성과를 가져올 수 있음을 보여주었다. This study examined the effects of the rubric, developed for the ‘Modeling mask’ subject out of the NCS skin-beauty ‘Face pack-mask’ learning modules, on the academic achievement of 40 high school sophomores. The results are described as follows. First, the rubric was developed by establishing the practice plan, practice process, practice result, and practice attitude as evaluation items according to the achievement standards of the skin beauty subject 'Modeling mask' unit. Second, the suitability of the ‘modeling mask’ rubric for students, teachers, and experts was verified for reasons that included high ‘results availability’ and ‘understanding of the evaluation tool’. Third, no difference in pre-evaluation of academic achievement was observed for the comparative group, to whom the rubric was not provided, and the experimental group, who received the rubric. Fourth,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re-post evaluation on the ‘modeling mask diagram’ in the practice plan and ‘working posture’ in the practice process were observed in the comparative group. Fifth, meaningful differences in the pre-post evaluation of all items, practice plan, process, results, and attitude were observed in the experimental group. Application of the rubric to the ‘modeling mask’ evaluation resulted in improvement of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The findings of this study demonstrated that development and application of a rubric for performance assessment for practice subjects can result in more effective learning outcomes.

      •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결정동기와 진로성숙도의 관계

        최정미 경인교육대학교 2014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학업성취도 수준에 따른 초등학교 고학년의 자기결정동기와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알아보고자 수행하게 되었다. 이를 위하여 인천에 소재한 6개 초등학교 5, 6학년 학생들을 600명을 대상으로 정익중․임진영․황매향(2011)이 개발한 초등학생용 진로성숙도 검사와 Kim(2002)이 제작한 한국형 자기조절검사(K-SRQ-A)를 실시하였다. 연구문제에 답하기 위하여 SPSS 18.0을 사용하여 일원변량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진로성숙도는 학업성취도 수준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즉, 학업성취도 수준이 높을수록 진로성숙도 수준이 높았는데, 학업성취도 상위권 집단과 중위권 집단이 하위권 집단에 비해서 진로성숙도가 높게 나타났다. 둘째, 자기결정동기 수준은 학업성취도별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자기결정동기의 지표인 자율성지수가 높아 학업성취도 상위권, 중위권, 하위권 순서로 평균이 높았다. 내적 조절 동기와 확인된 조절 동기 역시 상, 중, 하위권의 차이가 분명했다. 외적 조절 동기는 중, 하위권이 상위권보다 평균이 높게 나타나, 학업성취도가 높을수록 자기결정동기 수준이 높은 것을 알 수 있었다. 셋째, 진로성숙도와 자기결정동기의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를 살펴보면, 진로성숙도 전체는 자율적 동기와는 정적 상관관계를 통제적 동기와는 부적 상관관계를 나타내는데 상위권 집단이 가장 큰 상관계수를 나타낸다. 이는 학생들의 낮은 진로성숙도가 외적 조절 동기를 높일 수 있음을 의미하며 학생들의 높은 진로성숙도와 자기결정성의 상승은 동시에 나타날 수 있음을 나타내며 이러한 경향은 상위권 학생일수록 두드러지게 나타난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연구결과는 학업동기와 진로성숙도의 관계를 밝힘으로써 진로지도 및 진로상담과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의 관련성을 교육현장에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학년이 올라갈수록 내적 조절 동기 수준 낮아지고 외적 조절 동기가 커지는데, 이는 학업성취도의 하락을 유발할 수 있어 진로교육을 통한 진로성숙도의 상승은 자기결정동기의 상승으로 이어져, 학업성취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줄 수 있다. 이는 교육현장에서 진로교육 활성화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among the academic achievement,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of upper elementary school graders.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0 students who were in their fifth and sixth grades in six different elementary schools located in Incheon. The instruments used in this study were Jeong Ik-joong, Lim Jin-young & Hwang Mae-hyang(2011)'s Elementary Student Career Maturity Test and Kim(2002)'s K-SRQ-A. The statistical package SPSS 18.0 was employed to address the research questions of the study, and one-way ANOVA and correlation analysis were utilized. The major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maturity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Higher academic achievement led to better career maturity, and the upper-tiered students were ahead of the student in the middle and lower tiers in terms of career maturity. Second,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ccording to academic achievement. Higher academic achievement led to a higher autonomy index, which was one of the indicators of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e upper-tiered students scored highest, followed by the students in the middle tier and the students in the lower tier. There were distinctive differences among the three groups in internal regulatory motivation and confirmed regulatory motivation as well. The students in the middle and lower tiers scored higher than the upper-tiered students in external regulatory motivation, which indicated that the students whose academic achievement was higher were more excellent in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Third,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rrelation between career maturity an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overall career maturity had a positive correlation with autonomous motivation and had a negative correlation with controlled motivation. The correlation coefficients between these variables were largest in the upper-tiered students. It denoted that the poor career maturity of the students might result in heightening their external regulatory motivation, and that they could improve in both career maturity and self-determination at the same time. This trend was more obvious among the upper-tiered students. This study is of significance in that it clarified the relationship between academic motivation and career maturity and provided information on the relationship of career guidance and career counseling to the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As the students moved up to higher grades, their internal regulatory motivation became weaker, and their external regulatory motivation became stronger, instead. That might end up lowering their academic achievement. If the career maturity of students is taken to another level through career education, that will be followed by improved self-determination motivation and then affect academic achievement in a positive way, which suggests the necessity of the revitalization of career education.

      •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 및 생활습관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유승래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가 건강체력 및 생활습관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1) 건강 체력은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2) 생활습관과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는 경기도 수원시내 소재하고 있는 P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 총 3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참여 학생들의 비만평가(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체지방율)및 건강관련체력평가(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순발력)와 학업성취도(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 그리고 가정환경(부모의 직업과 학력, 거주형태, 대상자의 체형 및 체중에 대한 자신감), 식습관(식사속도, 과식 및 편식여부, 열량섭취, 아침식사유무)에 관한 생활습관을 조사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Version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항목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회기분석을 이용하여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각각에 대한 독립예측변인 즉, 비만지표(키, 몸무게, BMI, %FB), 체력지표(심폐지구력, 근력&#8231;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그리고 가정환경 및 식습관 지표와의 인과관계에 관한 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PAPS) 및 생활습관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근력(p=0.007), 아침식사유무(p<0.001), 주거형태(p<0.001), 열량섭취(p=0.008), 체중변화에 대한 자신감(p=0.022), 아버지의 학력(p=0.029) 등이 중간고사성적에 대한 독립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체력 등급(p=0.007), 아침식사유무(p<0.001), 주거형태(p<0.001), 열량섭취(p=0.006), 체중변화에 대한 자신감(p=0.022) 등이 기말성적에 대한 독립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의 건강 체력(PAPS) 및 생활습관과 학업성취도와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건강 체력(근력, 체력 등급)과 생활습관(아침식사유무, 주거형태, 기름진 음식의 열량섭취, 체중변화에 대한 자신감, 아버지의 학력)은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건강 체력과 올바른 식생활과 더불어 높은 수준의 생활습관은 학업성취도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 방법의 본질이 횡적연구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추후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체력과 생활습관요인의 역할에 대해 재차 검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fitness for health and lifestyle factors with academic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limited to those who were in the 5th and 6th grades.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in the current study: 1) physical fitness for health would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2) lifestyle factors would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and 3) both physical fitness for health and lifestyle factors would be independently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A total of 336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local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Suwon, Gyeonggi Province. Indices of obesity indices and physical fitness measured in the study included height, weight, BMI, percent body fat (%fat), cardio/respiratory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agility. In the present study,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uscular strength(p=0.007), breakfast(p<0.001), residential type(p<0.001), calorie intake(p=0.008), self-confidence(p=0.022), and father's academic carrier(p=0.029)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mid-term exam; 2) PAPS(p=0.007), breakfast(p<0.001), residential type(p<0.001), calorie intake(p=0.006), and self-confidence(p=0.022)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final-term exam. The curren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both physical fitness and lifestyle factors such as breakfast, caloric intake, and self-confidence were important factors to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practical purpose, however, those findings need to be confirmed in an intervention study.

      • 대전시 일반계 고등학생 학업성취도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박지은 한국교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8703

        '학업성취도의 지역 간 격차는 어느 정도 존재하는가?' 라는 의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하였다. 학업성취도 자료 분석과 학업성취도에 따른 거주지의 공간적 특성을 파악하고 여러 사회.경제적 변수와의 관련성을 밝히는 것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이 연구를 위해 대전시 일반계 고등학생들의 학력고사 자료를 표집하여 분석하고 거주지 동별로 지도화하였다. 그리고 대전시 일반계 고등학교 학생과 학부모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고, 설문조사 자료를 검토, 분석하였다. 학업성취도 자료를 가지고 거주지 특성과 주요 변수 간의 관계를 알아보고, 왜 그런 관련이 나타나는지를 연구관련 주요지역에 대해 현지답사를 실시하여 해석하였다. 부모의 학력과 수입, 교육지원 정도, 학생의 학교생활, 부모와 친밀도, 통학거리, 통학 시 교통수단 등의 변수를 가지고 거주지 동별로 학업성취도와 관련하여 연구하였다. 이상의 과정을 통해 연구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의 학업성취도는 유성구, 서구의 각 동이 중구, 대덕구, 동구의 각동의 학업성취도에 비해 언어, 수리, 외국어, 사회탐구, 과학탐구 영역에서 높게 나타나 지역격차가 심각함을 알 수 있었다. 둘째, 학생들의 통학거리 보다 통학 시 교통수단이 무엇인가에 따라 학업성취도 격차가 더 높게 나타났다. 이는 통학거리와 학업성취도 사이에는 상관관계가 높다는 기존의 연구와 차이를 보였다. 그리고 교통수단 중 임대승합이나 자가용을 이용하는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나는데, 이는 사회.경제적 배경이 중요함을 시사하는 것이다. 셋째, 부모의 학력이 높고 수입이 많을수록, 부모와 친밀도가 높을수록 학생들의 학업성취도가 높게 나타났다. 특히 부모의 학력과 수입은 자녀의 학업성취도에 많은 영향을 미쳤다. 넷째, 문화시설이 많은 지역은 학업성취도가 높았고, 자녀를 동반하여 문화체험 활동을 많이 하지 못한 부모의 학생들은 학업성취도가 낮았다. 그리고 학생들은 학교 교사와의 친밀도 보다 친구와의 관계를 중요시 하였고 성적향상에 친구의 영향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외를 하는 가장 큰 이유는 기초 학력 보충 때문이라고 답하였으며, 학부모들은 교육격차가 생기는 원인에 대해 학생의 기초.기본 학력이 부족하여서라고 답하였다. 자녀교육비는 가정수입을 고려하여 알맞게 지원하고 있었다. 대전시 동.서의 거주지 간 학업성취도 격차는 교육 및 문화시설을 균형있게 배치하면 완화될 것이다. 그리고 학업성취도의 지역 간 격차를 완화하기 위해서는 대전시 전체 동을 대상으로 한 획일적인 교육정책보다는 거주지 동별로 부족한 시설을 보충하고, 보완해 갈 필요성이 있다. 이와 같이 한다면 대전시의 공간적 학업성취도 격차는 줄어들 것이다. This study began with a inquire, 'what extent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residential areas exist?' and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academic achievement data, to explore the spatial characteristics of residential area in connection with academic achievement, and to clarify the relationship of various socio-economic elements. For this study, achievement test data of general high school students in Daejeon city were collected and analyzed, and residential areas were mapped based on district. A set of questionnaire survey were performed to students and parents of Daejeon city general schools and survey results were reviewed and analyzed. With academic achievement data, the relation between residential area characteristics and key elements was investigated and the reasons of such relation were analyzed through on-site survey on the researched areas. In relation to academic achievement, various elements such as income, educational background and educational supporting ability of parents, student's school life, intimacy with parents, transportation distance, and transportation means were studied in connection with residential districts. The finding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 First,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in Yuseong-gu and Seo-gu were higher than those of Jung-gu, Daeduk-gu and Dong-gu in the subject of language, mathematics, foreign language, society, science, and achievement gap between residential areas showed very severe. Second, achievement gap showed higher in terms of transportation means, rather than transportation distance. This result was different from previous research that the relation between transportation distance and academic achievement is high. Academic achievement of students who are using rental bus or private car were high, and this result showed the importance of socio-economic background. Third, academic achievement were showed high when parents have higher educational background, more income, and close intimacy with children. Specially. educational background and income of parents were influenced very much for academic achievement. Four, the area where have sufficient cultural facilities showed high academic achievement, but students who have parents enjoying little cultural activities with children showed low academic achievement. Students showed that intimacy with friends are very importance rather than school teachers, and friends are influenced deeply to improve academic achievement. The principal reason that students are doing out-of-school studies was to elevate their poor fundamental scholastic. Educational expenses were supported properly in proportion to family income. Academic achievement gap between east and west area in Daejeon city will be reduced if educational and cultural facilities are arranged in balance. To reduce regional gap of academic achievement, it is necessary to supplement insufficient facilities of each regions, rather than uniform education policy over Daejeon city. With these activities, spatial academic achievement gap of Daejeon city will be highly reduced.

      •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의 관계

        이계선 강원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이 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는지를 알아보고,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 및 학업성취도사이에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를 규명하여 이들의 학업 및 생활지도에 필요한 기초 자료를 제공하려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러한 연구목적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이 가설이 설정되었다. <가설1>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2>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은 계열 간에 유의한 차이가 있을 것이다. <가설3>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3-1>일반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3-2>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은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4>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 상관이 있을 것이다. <4-1>일반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4-2>전문계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가설5>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5-1>일반계 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5-2>전문계 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을 것이다. 연구 가설을 검증하기 위하여 원주시와 원주시 인근 읍면지역에 소재하는 일반계고 2개교와 전문계고 5개교, 1, 2학년 학생 970명을 표집하여 총 925명을 최종 연구대상자로 하였다. 연구에 사용된 측정도구는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검사, 학업자아개념 검사, 학업성취도검사이며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검사와 학업자아개념검사는 기존에 개발된 검사지를 사용하였으며, 학업성취도검사는 각 학교의 2009년 1학기 기말지필평가 국어, 수학, 영어 세 과목의 표준점수를 활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들은 SPSS를 이용하여 처리하였으며, t검정과 Pearson의 적률상관관계 분석방법을 실시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은 일반계 학생이 전문계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은 일반계 학생이 전문계 학생보다 유의하게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은 유의한 정적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구체적으로 일반계 학생의 경우는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자아개념이 유의한 부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전문계 학생의 경우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고등학생이 지각한 부모의 학업성취압력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나 전문계 고등학생의 경우에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섯째, 고등학생의 학업자아개념과 학업성취도는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일반계 고등학생의 경우나 전문계 고등학생의 경우에도 유의한 정적상관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 미용전공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외모자신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최형전 호남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논문개요 미용전공 대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외모자신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 제 출 자 : 최 형 전 지 도 교 수 : 전 현 진 최근 COVID-19 확산으로 미용전공대학생들의 졸업 후 취업의 어려움이 예상되어 원활한 취업을 위한 대응책을 찾고 있는 실정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미용을 전공하는 남, 여 대학생을 대상으로 그들의 학업성취도와 외모자신감을 파악하여 취업준비행동에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으로 실증하고 이 과정에서 각 변인들 간 인간관계가 존재하는가를 구명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광주, 전남에 소재하고 있는 미용전공대학생들을 편의추출하였다. 설문지는 응답자가 직접응답에 기입하는 자기기입식 설문지 기법을 이용하였다. 예비조사는 현재 광주, 전남에 소재한 4년제 대학교 재학중인 미용전공 대학생 30명을 대상으로 2021년 3월22일~3월30일까지 실시하였고, 본 조사는 2021년 4월 12일~4월 30일까지 실시하였다. 총 260부의 설문지를 배포하여 250부를 회수하였고, 회수된 설문지 중 응답이 불완전하거나 무성의한 응답을 한 설문지 16부를 제외한 총 234부를 최종 분석에 이용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SPSS for windows 21.0 통계 package를 이용하였으며 설정한 연구가설 검증을 위해 빈도분석, 요인분석, 신뢰도분석, 상관관계분석, 선형회귀분석 및 매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미용전공 대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취업준비행동의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도구준비행동, 정보수집행동, 목표달성행동, 학업취업준비행동, 예비취업행동의 5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학업성취도는 하위요인별 학과실기교과, 학과이론교과, 학과교과운영 전공실기인식, 학업적숙달목표의 5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성취도는 취업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p<.01, ***p<.001). 둘째, 미용전공 대학생의 학업성취도가 외모자신감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먼저 외모자신감의 차원을 분류하였다. 그 결과 외모‧미용자신감, 외모만족, 좋은 인간관계, 창의적 인상의 4요인으로 분류되었고, 학업성취도는 5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학업성취도는 외모자신감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p<.01, ***p<.001). 셋째, 미용전공대학생들이 지각하는 외모자신감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차원을 분류한 결과 5요인으로 분류되었고, 외모자신감은 4요인으로 분류되었다. 전체적으로 미용전공 대학생이 지각하는 외모자신감은 취업준비행동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정적(+)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p<.01, ***p<.001). 넷째, 미용전공대학생들이 지각하는 학업성취도가 외모자신감을 매개하여 취업준비행동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해 3단계 매개 회귀분석을 실행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직⬝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p<.05, **p<.01, ***p<.001). 이상과 같은 결과를 통해 최근 COVID-19로 인해 취업난의 어려움을 겪고 있는 미용전공대학생들의 학업성취도와 외모자신감이 취업준비행동에 영향요인이라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각각의 독립변인들이 취업준비행동에 미친 직접적인 영향이 간접적인 영향보다 크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독립변인의 학업성취도와 외모자신감에 미치는 경로에 인과관계가 존재하지 않는다는 것을 실증하였다. ABSTRACT Impact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nfidence in Appearance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Submitted by : Choi Hyeong-jeon Advisor : Jeon Hyun-jin Due to the recent spread of COVID-19, it is expected that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will face difficulties in finding employment after graduation, and therefore, response measure being sought after for employment. Thus, this study aims at identifying the academic achievement and confidence in appearance of male and female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to substantiate in detail whether it affects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in this process, investigate whether there is human relations among these variables. Subjects for this student were convenience sampled among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at college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The questionnaire used the self-administered questionnaire where the respondent enters responses manually. The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from March 22 to March 30, 2021 on 30 college students currently majoring in cosmetics at four-year universities located in Gwangju and Jeonnam, and the main survey was conducted from April 12 to April 30 of 2021. A total of 260 questionnaires were distributed and 250were collected. 16 questionnaires that were incomplete or had insincere answers among the collected questionnaires were excluded to use a total of 234 questionnaires for the final analysis. SPSS for Windows 21.0 statistics package was used to analyze the collected data, and in order to verify the research hypothesis, frequency analysis, factor, reliabilit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linear regression analysis, and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ere performe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spect was categorized first.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the five factors of tool preparation behavior, information collection behavior, goal accomplishment behavior, academic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and preliminary employment behavior,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categorized into the five factors of department practice curriculum, department theory curriculum, department curriculum operation, major practice recognition, and academic proficiency goal. Overall,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p<.05, **p<.01, ***p<.001). Secon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academic achievement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on confidence in appearance, the confidence in appearance aspect was categorized first. In result, it was categorized into the four factors of confidence, appearance perception, good human relations, and creative impression, and academic achievement was categorized into the five factors. Overall,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confidence in appearance (*p<.05, **p<.01, ***p<.001). Third,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confidence in appeara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the aspect was categorized into the five factors and confidence in appearance was categorized into four factors. Overall, confidence in appearance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positive (+) impact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p<.05, **p<.01, ***p<.001). Fourth, in order to identify the impact of academic achievement perceived by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using confidence in appearance as a medium, a three-stage mediation regression analysis was conducted, and it was found to have statistically significant direct/indirect impact (*p<.05, **p<.01, ***p<.001). Through the above results, it was possible to confirm that academic achievement and confidence in appearance of college students majoring in cosmetics facing difficulties due to the shortage of jobs because of the recent COVID-19 situation was an impact factor on employment preparation behavior. Furthermore, by confirming that each independent variable had greater direct impact than indirect impact on employment preparation activities, it was proven that there was no cause-effect relationship on the path for affecting the independent variables of academic achievement and confidence in appearance.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