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 남자대학생의 병역의무수행과 진로변인의 관계

        유승래 忠南大學校 大學院 2016 국내석사

        RANK : 247631

        Most Korean male college students go through mandatory military service and the service is thought among them to be a barrier in their career paths. However, research has rarely been done on whether the students truly perceive the military service as a career barrier and there are any positive resources those young adults utilize from the service. Thus, this study is to examine how military service relates to career development with three research questions: 1)How does military service plan relate to career-related variables? 2)Does fulfilling-or-not of military service make differences to career-related variables? 3)What differences are made to career-related variables by other features among male college students? Questionnaires were collected from two groups of male college students: those expected to be enlisted (n=180) and those of having fulfilled their military service (n=320). The data were analyzed with SPSS 22.0 to conduct reliability analysis, frequency analysis, correlation analysis, independent sample t-test and ANOVA.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military service has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nd career maturity. Also,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show relatively high positive correlations with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career maturity. On the other hand, career barrier has negative correlations with military service,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Secondly, fulfilling-or-not of military service makes significant differences in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career maturity and career barrier.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nd career maturity have higher mean score among those having completed military service than those 'before' the service. Career barrier is lower among those 'after' their military service than those yet to enter the military. Thirdly, longer years in college is related to higher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and lower perception on career barrier. To sum, in this study, college students having fulfilled military service perceive their experience as helpful to career development, which entails positive effects both on career preparatory behaviors and career decision making self-efficacy. Implications of this study include 1)a positive way of anticipating and preparing military service for college students who see the service as career barrier. 2)needs for the military in support of enlisted soldiers to facilitate better military experiences in terms of career development, 3)and a call for further studies specifically exploring career developing aspects of military experiences. 진로는 개인의 전 생애에 걸친 직업발달과 그 과정을 가리키는 포괄적인 용어로 대부분의 남자대학생은 진로준비 중에 병역의무를 수행한다. 남자대학생에게 진로준비과정은 필수적이며, 병역의무수행도 중요한 일이다. 하지만 병역의무수행을 진로에 걸림돌로 인식할수록 불안감이 증가한다. 실제로, 군 생활이 진로에 장벽으로만 인식되는지, 병역의무수행에서 긍정적으로 활용할 자원은 있는지, 병역의무수행은 진로변인에 어떤 차이를 나타내는지 연구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연구문제는 병역의무수행계획과 진로변인의 관계는 어떠한가? 병역의무수행여부에 따라 변인 간에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남자대학생의 일반적인 특성과 군 생활과 관련한 특성이 진로변인에서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가? 이다. 본 연구를 위한 설문조사를 실행하여 입대 전 남자대학생 180명과 전역 한 남자대학생 320명의 자료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2.0을 이용하여 신뢰도분석, 빈도분석, 상관분석, 독립표본 t-검증, 일원배치분산분석(ANOVA)을 하였다. 연구의 주요 결과로는 첫째, 병역의무수행은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와 정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진로준비행동은 진로결정자기효능감, 진로성숙도와 비교적 높은 정적 상관관계가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진로장벽은 병역의무수행과 진로준비행동, 진로결정자기효능감과 부적 상관관계가 나타났다. 둘째, 병역의무수행여부에 따라 진로준비행동, 진로성숙도, 진로장벽에서 유의한 차이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진로준비행동과 진로성숙도는 입대 전보다 전역 후 남자대학생의 평균이 더 높았으며, 진로장벽은 입대 전보다 전역 후가 더 낮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셋째, 학년이 높을수록 진로에 대한 준비행동이나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은 높아지고,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또한, 진로가 결정되지 않은 남자대학생은 진로준비행동이 적고, 진로결정자기효능감도 떨어지면서 지각된 진로장벽에 대한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군 생활이 진로에 도움을 주었다는 인식이 진로준비행동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으며, 군 생활 중 자격증 취득은 진로준비행동의 하나이며, 진로결정자기효능감을 높이는 것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는 예비입대자들에게 병역의무수행이 진로발달에 긍정적인 관계가 있으며, 병역의무수행이후 진로장벽에 대한 부정적인 인식은 감소함을 확인하였다. 아울러, 군 생활은 성취경험의 증가, 삶의 기술 습득, 자기관리능력 향상, 대인관계능력과 문제해결능력 등이 향상됨을 시사한다. 이는 개인에게 군 생활 경험을 긍정적으로 인식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이를 위해 군은 병역의무수행을 진로와 연계하여 효율적으로 활용할 방안을 찾는 노력을 촉구하며 병역의무수행자에 대한 격려와 현실적인 보상이 필요함을 시사하고 있다.

      • Evaluation of drug price policy for improving patient access to new drugs during 2007-2018 in South Korea

        유승래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7615

        본 연구는 한국의 건강보험에 있어 신약에 대한 급여결정 과정에서 환자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제도를 고찰하고, 이에 대한 평가 분석 및 향후 정책 방향에 대하여 논하고자 한다. 한국의 건강보험에서는 고가 항암제 및 희귀의약품 등재 관련, 환자의 접근성 향상을 위하여 위험분담계약, 진료상 필수의약품 지정, 경제성평가특례 등 제도를 시행하고 있다. 위험분담계약은 주로 재정기반의 계약이 체결되고 있으며, 경제성평가특례 및 필수의약품의 대상 의약품인 경우 비용효과성 입증 없이 외국의 가격을 기준으로 등재될 수 있다. 이렇게 신약에 대한 환자 접근성 향상을 위한 여러 제도들이 시행되고 있지만, 이와 함께 보험자는 건강보험 재정에 대한 부담, 비용 효과성에 대한 불확실성 등의 이유로 보험 등재를 매우 신중하게 결정하고 있다. 반면에 제약사는 글로벌 약가 유지, 개발비용 회수 및 지속적 R&D 투자를 위하여 일정 수준 이상의 약가를 주장하고 있으며, 환자들은 신약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보다 신속한 급여 결정을 주장하는 등 이해관계자 간 의견이 대립되고 있다. 본 연구는 신약의 환자 접근성을 나타낼 수 있는 지표를 보다 실증적으로 분석하고자, (1) 국민건강보험공단과 제약사 간에 실시한 약가협상 내역을 2007년부터 2018년까지 전수 분석하여 “약가협상 합의율”, “허가 이후 급여 등재까지 소요기간”, “외국 대비 국내 신약의 가격 수준”을 확인하였고, (2) 동 기간 건강보험 청구자료를 분석하여 전체 신약 약품비 중 진료상 필수, 희귀 의약품 등의 현황 및 이들 중증질환 약제가 사용된 환자의 본인부담금 절감 기여도를 확인하였다. 그 결과, 협상 제도를 통하여 현재까지 대부분 신약들이 등재 되었지만 여전히 비급여 상태 신약도 존재한다는 점, 총 약품비 중 희귀 & 항암제 비율이 계속 상승세이며 동시에 이들의 등재기간이 다른 일반 적응증 신약보다 장기간 소요되는 점, 그리고 환자별 본인 부담금 절감액 또한 희귀 & 항암제에 편중되어 있다는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향후 우리나라는 건강보험 보장성 강화를 위하여 고가 중증 질환 의약품의 접근성 향상을 위한 정책과 함께 고가 희귀, 항암제를 비롯한 중증질환 치료제에 대하여 건강보험 재정을 효율적으로 관리할 수 있는 사후관리 방안도 함께 마련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지속 가능한 건강보험 재정 운영 및 합리적 약가제도 설계를 위해, (1) 경제성 평가의 투명성 및 합리성 제고, (2) 위험분담제도 적용대상 확대 등의 개선방안, (3) 현행 심평원과 공단으로 이원화되어 있는 등재 시스템의 중복요소 배제 및 협상 기전 다양화, 또한 (4) 향후 중장기적으로 고가 중증질환 치료제들에 대한 건강보험 이외의 별도 재정마련 필요성 및 활용방안에 대하여 제언하였다. Keywords: Drug Pricing; Patient Access; Reimbursement; Risk-Sharing Agreement; Pharmaco-Economics; National Health Insurance; Positive List This study reviews the system for improving patient access in the decision-making process for new drugs in health insurance of Korea and discusses evaluation and future policy directions. In Korea's health insurance technology evaluation, a risk-sharing system, a mandatory drug designation, and a special economic evaluation exemption system are implemented to improve patients' access to expensive anti-cancer drugs and orphan drugs. Risk-sharing contracts are usually based on financial contracts, and in the case of special economic evaluation exemptions and essential drugs, they can be listed based on foreign prices without cost-effectiveness. In Korea, various systems are being implemented to improve patients' access to new drugs. However, the insurer decides on the insurance list very carefully because of the burden on health insurance finance and uncertainty about cost-effectiveness. Even so, pharmaceutical companies are claiming more than a certain level of drug prices to maintain global drug prices, recover development costs, and invest in continuous R & D. Patients are in conflict with stakeholders, including insisting on rapid pay decisions to improve access to new drugs. In this study, we wanted to make a more empirical analysis of the indicators of patient accessibility of new drugs and the key arguments of stakeholders. Thus, the results of drug price negotiations conducted by NHIS and pharmaceutical companies were analyzed from 2007 to 2018, and the drug price agreement rate, the duration of reimbursement required, and the level of new drug prices in Korea compared with foreign countries were verified. In addition, the NHIS claim database was analyzed for the same period, and the current status of drug cost and co-payment savings account of patients were analyzed for each group of new drugs with severe diseases. In this study, the analysis results in the future sustainable health insurance system, based on rational drug prices, to develop the system operates. (1) Improving the transparency and rationality of economic assessment; (2) Improving the reimbursement plans, including expansion of the scope of the risk-sharing contract; (3) Improving the current HIRA and NHIS dualized listing system and diversifying negotiation methods; (4) In the mid- to long-term future, it was proposed that other financial funds, other than health insurance, should be utilized for treatment of expensive serious diseases. Keywords: Drug Pricing; Patient Access; Reimbursement; Risk-Sharing Agreement; Pharmaco-Economics; National Health Insurance; Positive List

      •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 및 생활습관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

        유승래 성균관대학교 과학기술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7615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학교 5, 6학년 남·여학생을 대상으로 학업성취도가 건강체력 및 생활습관과 어느 정도 관련이 있는지 알아보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가설을 설정하였다. 1) 건강 체력은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2) 생활습관과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연관성이 있을 것이다. 본 연구의 참여 대상자는 경기도 수원시내 소재하고 있는 P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 총 336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모든 참여 학생들의 비만평가(키, 몸무게, 체질량지수, 체지방율)및 건강관련체력평가(심폐지구력, 유연성, 근력, 순발력)와 학업성취도(국어, 사회, 수학, 과학, 영어 교과) 그리고 가정환경(부모의 직업과 학력, 거주형태, 대상자의 체형 및 체중에 대한 자신감), 식습관(식사속도, 과식 및 편식여부, 열량섭취, 아침식사유무)에 관한 생활습관을 조사하였다. 모든 자료는 SPSS(Version 17.0) 통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항목의 평균, 표준편차를 산출하였고, 회기분석을 이용하여 중간고사와 기말고사 각각에 대한 독립예측변인 즉, 비만지표(키, 몸무게, BMI, %FB), 체력지표(심폐지구력, 근력&#8231;근지구력, 유연성, 순발력), 그리고 가정환경 및 식습관 지표와의 인과관계에 관한 결과 분석을 실시하였다. 초등학생의 건강 체력(PAPS) 및 생활습관과 학업성취도와의 관계를 조사한 결과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었다. 1) 근력(p=0.007), 아침식사유무(p<0.001), 주거형태(p<0.001), 열량섭취(p=0.008), 체중변화에 대한 자신감(p=0.022), 아버지의 학력(p=0.029) 등이 중간고사성적에 대한 독립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2) 체력 등급(p=0.007), 아침식사유무(p<0.001), 주거형태(p<0.001), 열량섭취(p=0.006), 체중변화에 대한 자신감(p=0.022) 등이 기말성적에 대한 독립예측변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론을 종합해 보면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의 건강 체력(PAPS) 및 생활습관과 학업성취도와의 연관성을 조사한 결과, 건강 체력(근력, 체력 등급)과 생활습관(아침식사유무, 주거형태, 기름진 음식의 열량섭취, 체중변화에 대한 자신감, 아버지의 학력)은 학업성취도와 유의한 상관관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높은 건강 체력과 올바른 식생활과 더불어 높은 수준의 생활습관은 학업성취도에 좋은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된다. 다만 본 연구 방법의 본질이 횡적연구라는 사실을 감안할 때 추후 중재 프로그램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 밝혀진 학생들의 학업성취도에 대한 체력과 생활습관요인의 역할에 대해 재차 검정되어야 할 것으로 판단된다. 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analyze the relationship of physical fitness for health and lifestyle factors with academic performance in elementary school children limited to those who were in the 5th and 6th grades. The following research hypotheses were tested in the current study: 1) physical fitness for health would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2) lifestyle factors would be significantly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and 3) both physical fitness for health and lifestyle factors would be independently related to academic performance. A total of 336 school students were recruited from a local elementary school located in the city of Suwon, Gyeonggi Province. Indices of obesity indices and physical fitness measured in the study included height, weight, BMI, percent body fat (%fat), cardio/respiratory endurance, flexibility, muscular strength, and agility. In the present study, multivariate regression analyses showed that muscular strength(p=0.007), breakfast(p<0.001), residential type(p<0.001), calorie intake(p=0.008), self-confidence(p=0.022), and father's academic carrier(p=0.029)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mid-term exam; 2) PAPS(p=0.007), breakfast(p<0.001), residential type(p<0.001), calorie intake(p=0.006), and self-confidence(p=0.022) were significant predictors for individual variations in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final-term exam. The current findings of the study suggest that both physical fitness and lifestyle factors such as breakfast, caloric intake, and self-confidence were important factors to the academic performance of elementary school children. For practical purpose, however, those findings need to be confirmed in an intervention stud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