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접촉지대로서의 박물관 : 국립민속박물관의 안내사, 가이드, 중국관광객 간의 갈등과 타협

        이흔이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8671

        这篇论文主要讨论了作为外国人的中国游客、博物馆解说员与旅行社导游在博物馆观光解说的过程中发生冲突与妥协的现象。通过这篇论文,作者意图考察:第一,每个行为者对展览的认识与因此发生的矛盾与纷争;第二,各个行为者之间的妥协过程与中国游客的真实性体验。本论文将博物馆看作一个接触区域,导游与讲解员等文化中介人与游客共存在这个空间内。文化中介人既不是完全迎合中国游客喜好的“创造者”,也不是不能妥协的展览代表人。他们与中国游客在平等的权力下,因自身认知的历史文化差异而产生矛盾。但是当文化中介人意识到矛盾点后,他们也采用了策略与游客达到了妥协的状态并使游客获得了真实性的体验。 本研究以毗邻景福宫的韩国国立民俗博物馆为中心,探讨了来到博物馆的旅行社导游,中国游客与博物馆中文讲解员的相互作用。与文化遗址紧邻的博物馆已然成为现代旅游中的旅游对象场所,国立民俗博物馆也不例外。国立民俗博物馆的发展历史与地理关系无一不与景福宫有着紧密的关系。这也使它成为了中国游客经常来访的旅游胜地。国立民俗博物馆的本馆由“韩民族的生活史”、“韩国人的日常”、“韩国人的一生”三个常设馆组成。然而旅游行为者们并不单纯地将博物馆作为获取知识的场所,而是将博物馆当成景福宫与下一个景点之间的纽带,和游客“消磨时间的地方”。 参观民俗博物馆的过程中文化中介人与中国游客之间因为历史文化意识的差异而产生冲突。首先,中国游客不承认讲解员追求的“正确的知识”。导游虽掌握着游客与讲解员两方的不同观点,但还是以游客为优先,尽量减少与游客的冲突。换言之,导游在解说过程中尽量避免了讲解员或者其他韩国公众知识所产生异议的内容。与此相反的是,讲解员非常注重历史真实以及韩国对世界史的公共立场,并试图利用一些客观的资料去强调这个观点。这是导致讲解员与中国游客的想法产生冲突的重要原因。另外,中国游客在博物馆内的观览行为(具体是指比较与提问行为)也与文化中介人产生了一些不可避免的冲突。然而这两个方面的冲突大多发生在以“文物”展览为中心的第一与第二展馆。这些矛盾与“可见的”文物有着不可分割的关系,也是从文物中直观地表现出来的知识的矛盾。重要的是,这里的矛盾并不是主要发生在文化中介人与中国游客之间,而是讲解员与“导游和中国游客”之间。 在意识到矛盾点之后,文化中介人为了消除彼此和与游客之间的矛盾,开始尝试以第三展馆为中心的解说方式。比起文物中心的第一、二馆,第三馆的脉络展示法给“讲故事”的叙述方式创造了可能。文化中介人开始编起互不相同但是互不冲突的故事,想把重心放在追求文化的意义上面。这也与第三展馆的主题有关--脱离了国家与社会的繁重主题,轻快地叙述一个人的人生故事。从中国移居过来的朝鲜族导游将叙述的重点放在自己作为“韩国人”的人生经历上,讲解员则比较关注展览内容的客观性与和中国的差异性。这些故事的中心脱离不了中国人熟悉的儒家思想。中国人也发现在韩国人的日常生活中儒家思想是非常容易被察觉的,这使中国游客对于中国现代社会所失去的传统文化有了一番反思的机会。与此同时,韩流中传统文化形象的真实性也在第三展馆内被确认。最后,中国游客积极地理解并接受了文化中介人的故事并结合自己的经验经历了来自观光对象的投射印象与自身过去的联想的真实性体验,三个行为者也达到了妥协。 本研究里运用的接触区域的概念不单单把它看成展示方与被展示对象之间的权力不均衡问题,而是意在表明博物馆空间内拥有对等的权力下行为者的相互作用。这样的接触区域里产生的冲突与妥协问题提出了今后对作为接触区域的博物馆的人类学研究新方向。另外,中国游客所体验到的真实性也并非如之前的旅游人类学中所探讨的真实性那样有清晰的分类,而是以一种混合的形态展现出来。本论文也再次对是否有必要把真实性做分类运用提出了质疑。 This thesis mainly discusses the conflicts and negotiation among Chinese tourists, museum interpreters and travel guides. It tries to reveal: First, actors’ cognitive conflicts and disagreements on expedits; Second, the process of negotiation and authenticity experience of Chinese tourists. The museum is considered as the contact zone, in which travel guides and interpreters (collectively, culture brokers) exist in this space with tourists together. In this restricted space, culture brokers does not satisfy Chinese tourists’ view of being the “creator,” and in the meantime, compromise to cater to Chinese tourists. Their common knowledge rift and historical self-esteem come into conflict. While culture brokers realise the controversy, they employ a strategy to negotiate with Chinese tourists and help them encounter authenticity experience.                                                                                                 We focus on National Folklore Museum next to Gyeongbokgung Palace, revealing the interactions among travel guides, Chinese tourists and interpreters. Museums next to cultural sites play an important role in contemporary tourism, National Folklore Museum is never an exception. The history of National Folklore Museum is closely correlated to Gyeongbokgung Palace; Because of being geographically near, National Folklore Museum has been an attraction for Chinese tourists, which consists of three exhibition halls: “History of Korean People,” “The Korean way of life,” and “Life cycle of  Koreans.” However, tourists do not consider the museum as an educational institution but a transitional position between Gyeongbokgung Palace and next attraction. The museum is purely “a place to kill time.” In the museum,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culture brokers and Chinese tourists lead to conflicts of opinions. Firstly, Chinese tourists does not believe interpreters are delivering the “correct knowledge.” Even though travel guides understand the conflicts of opinion between the both sides, they always choose avoidance of conflicts against the tourists. However, museum interpreters take a firm position to historical facts and Korean perspective to World History, and by showing objective exhibits to convince tourists. In addition, questions and comparison of Chinese tourists to Chinese culture also cause conflicts against the culture brokers. Those conflicts mainly happen in first and second exhibition halls, and closely associated with relics. More importantly, conflicts are not provoked between culture brokers and Chinese tourists, but between interpreters and “travel guides and Chinese tourists.” Realising the controversies, culture brokers try to focus on the third exhibition hall. The third exhibition hall applies the method of storytelling to reveal the “Life circle of Koreans,” completely different from the first and second exhibition halls which are relic-centred. Culture brokers start making up unidentical and compatible narration, focusing on the meaning of culture. It is closely related to the theme of the third exhibition hall: Getting rid of the burdensome theme on the patriotism and society, it concentrates on the narration of a Korean’s life. Joseonjok guide account for the majority of travel guides tells their stories of living as a Korean, yet interpreters centre on exhibits and their differences to Chinese culture. The centre of the stories which culture brokers are telling follows the course of Confucianism which Chinese tourists are very familiar with. The dominating Confucianism in Koreans’ daily lives inspires and incites Chinese tourists to rethink many lost tradition and culture during the modernisation and liberalisation of China. Meanwhile, the image of Korean traditional culture has been echoed at the third exhibition hall as well. Chinese tourists understand and accept the stories from the culture brokers, they then use their experience and finally reach the authenticity of both projected expectations and envisagement of their past. The contact zone in this thesis not only means the inequality between exhibitors and exhibits, but also discloses the close interaction between the equal actors. The conflicts and negotiation reveals a new direction for Museum Anthropology. Additionally, authenticity indicated by Chinese tourists does not fit into the category defined by Tourism Anthropology. On the contrary, authenticity crosses among many categories. Therefore, we question about the necessity of classifying the authencitity. 본 논문은 박물관 관광에서 등장하는 외국인으로서 중국관광객과 여행사 가이드, 박물관 안내사가 전시를 둘러싸고 부딪치는 이해 방식 및 해설과정에서의 타협 현상에 주목한다. 연구자가 논문을 통해서 살펴보고자 하는 것은 다음 두 가지이다. 첫째, 행위주체가 각각 전시를 서로 다르게 이해함으로써 불거지는 갈등과 분쟁이 어떤 것이지 살펴본다. 둘째, 갈등을 해소하고 타협하는 과정은 어떠하고 이 과정에서 중국관광객에게 진정성은 어떻게 경험되는지 살펴볼 것이다. 본 논문에서는 박물관을 하나의 접촉지대로 본다. 가이드와 안내사를 비롯한 문화중개자는 이 접촉지대 안에서 공존하는 행위주체로, 단순히 중국관광객의 비위를 맞추는 ‘창조자’나 타협 불가능한 전시 대변자가 아니다. 이들은 중국관광객과 평등한 권력 하에 서로 체화된 지식으로 접촉하고 지식의 차이로 인해 갈등을 빚는다. 문화중개자는 서로 간, 그리고 관광객과의 갈등을 염두에 두어 새로운 전략으로 세 행위주체의 타협을 이루어지게 하였다. 문화중개자의 전략 하에 중국관광객은 자신의 연상과 경험을 경해서 진정성을 경험한다. 본 연구는 경복궁 옆에 위치한 국립민속박물관을 중심으로 그 안에서 등장하는 여행사 가이드, 중국어 전담 안내사와 중국관광객 사이의 상호작용에 주목한다. 현대대중관광에서 유적지와 연동하여 박물관은 이미 불가피한 관광대상이 되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자신의 발전역사와 지리요인 등으로 경복궁과 뗄 수 없는 관계에 있어 점차 중국관광객이 자주 방문하는 관광의 장이 되었다. 국립민속박물관은 “한민족의 생활사”, “한국인의 일상”, 그리고 “한국인의 일생”이라는 3개의 실내상설 전시가 완비되어 있다. 그렇지만 관광 행위주체들은 국립민속박물관을 단순히 지식을 획득하는 공간으로만 보지 않고 경복궁과 기타 관광지의 연결고리이자 “시간 때우는 곳”이라는 관점이 앞선다. 문화중개자와 중국관광객은 해설과정에서 서로 체화된 역사문화의식의 차이에 따라 갈등을 초래한다. 중국관광객은 안내사가 추구하는 ‘정확한 지식’을 부인한다. 여행사 가이드는 중국관광객과 안내사의 입장을 모두 파악하고 있지만 관광객의 수요를 우선적으로 고려하기 때문에 중국관광객과 크게 충돌하지 않는다. 말하자면 가이드는 해설과정에서 안내사를 비롯한 한국의 공식적인 역사관과 중국관광객의 사고를 모두 고려해 최대한 무난하게 해설하는 모습을 보여주었다. 이에 비해 안내사는 역사적 사실, 세계사에 대한 한국의 공식입장과 객관적 자료에 의한 내용을 더욱 강조한다. 이는 중국관광객의 생각과 부딪치고 갈등과 충돌을 초래한다. 뿐만 아니라, 중국관광객의 비교와 질문이라는 관광행위도 박물관에서 충돌을 빚는 또 다른 요인이다. 이 두 요인은 대부분 유물 중심의 1, 2 전시실에서 드러난다. 즉, 이는 유물과 문서 등에서 직관적으로 보여주는 지식에 관한 갈등이다. 더불어 여기서 갈등의 상대방은 문화중개자와 중국관광객이 아니라 안내사 대 ‘가이드와 중국관광객’의 구도이다. 문화중개자는 서로 간 갈등 및 중국관광객과의 충돌을 없애기 위해 제3전시실 중심의 해설방식을 시도한다. 제1, 2전시실의 유물 중심의 전시에 비해 제3전시실의 맥락적 전시가 스토리텔링의 가능성을 열어주기 때문이다. 문화중개자 사이에 서로 상이하지만 상충되지 않는 스토리텔링의 전략은 구체적으로 의미를 추구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즉, 제3전시실 중심의 해설은 역사의 상대적 부재를 전략적으로 활용하며, 국가 및 사회보다 가벼운 개인에 관하여 서술하기 때문에 문화중개자가 보다 적극적으로 의미를 구성해 갈 수 있다. 구체적으로 조선족 가이드는 자신의 ‘한국인’으로서 인생경험에 의미를 부여하는 한편, 안내사는 전시내용에 주목하여 객관성과 차이점을 부각한다. 문화중개자가 의미를 구축하는 핵심적인 전략은 중국관광객에게 익숙한 이념을 적극 활용하는 것이다. 한국인의 삶 속에 유가사상이 스며있음을 제3전시실을 통해서 체계적으로 중국관광객에게 전달된다. 이는 중국관광객이 현대사회에서 잃어버린 중국의 전통문화를 재고찰하게 되는 기회이기도 한다. 동시에 제3전시실에서 그들은 자신이 기대했던 한류 콘텐츠의 진정성 또한 확인한다. 결과적으로 중국관광객은 제3전시실에서의 스토리텔링을 적극적으로 수용하고 자신의 경험을 더해 기대를 투사하고 과거를 연상함으로써 진정성을 경험한다. 동시에 세 행위주체는 제3전시실에서 서로 타협하는 모습을 보인다. 본 연구는 접촉지대를 단지 전시자와 피전시자 간 권력 불균형 문제로 다루지 않고, 박물관이라는 공간 안에서 행위주체가 평등한 권력 아래 상호작용하는 양상을 조명한다. 이러한 접촉과정에서 벌어지는 갈등과 타협은 향후 접촉지대로서의 박물관에 대한 인류학적 연구의 필요성을 제기한다. 그리고 중국관광객이 문화중개자와 상호작용에서 얻는 진정성 경험은 이전의 관광인류학자가 구분하듯 단순히 하나의 진정성 분류에만 따르지 않고 여러 성격이 섞여 있다는 측면을 보여준다. 이러한 점에서 본 논문은 관광연구에서 진정성 분류의 의의에 대해 다시금 의문을 제기한다.

      • 마테오 리치의 世界地圖가 中國人의 空間觀에 끼친 影響

        이재신 延世大學校 大學院 2008 국내석사

        RANK : 248649

        본 논문은 마테오 리치의 세계지도가 중국을 중심으로 한국과 일본의 공간관에 끼친 영향을 프랫(Pratt)의 문화횡단적(transcultural) 공간으로서의 ‘접촉지대’(contact zone) 개념을 사용하여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마테오 리치의 세계지도에 대한 기존의 연구 성과들은 지리학과 역사학, 과학사의 영역에서 이루어져 왔다. 사료에 대한 고증적 연구의 한계를 넘어 마테오 리치의 세계지도가 중국인의 공간관에 끼친 영향을 연구하는 대안적 방법으로 단선적이고 일방적인 관점이 아닌 공간적이고 역동적인 관점에서 보기위해 프랫의 ‘접촉지대’ 개념을 사용할 것을 제안하였다.고대 중국과 그리스의 상이한 자연 환경에 의해 각기 다른 사유방식과 독특한 공간관이 형성되었다. 중국은 유기체적인 시공관념을 형성하였고 유럽은 연역적 사유방식에 의한 기하학적인 공간관념을 발전시켰는데 세계지리와 공간관의 직접적인 대면은 명말 예수회 선교사들의 지리지식 전래로 이루어졌다.明末의 중국은 『書經』「禹貢」에서 기원하는 중화주의적 공간관과 『山海經』으로 대표되는 상이한 공간관이 통일되지 않고 혼재되어 있었다. 또한, 漢代부터 체계화되기 시작한 중국 중심의 전통적 세계 질서가 동아시아의 정치, 외교에 있어서 공고한 지배력을 행사하고 있었다.한편, 유럽에서 종교개혁에 대항한 반종교개혁운동의 조류 가운데 이냐시오 로욜라에 의해 창설된 예수회는 도시의 중심에 본부를 두는 적극적인 선교정책을 택하였고, 신교와의 경쟁에서 우위를 점하고, 선교를 효과적으로 하기 위하여 과학교육을 중시하였다. 마테오 리치는 예수회 선교사로서 로마의 예수회 대학에서 학문적 수련을 받았는데, 지도제작과 직접적인 관련이 있었던 천문학, 지리학, 수학은 당대 최고의 천문학자이자 수학자였던 클라비우스에게 사사받았다.또한 신학적으로는 선교지에서의 경험을 반영한 ‘제2토미즘’의 영향을 받아 타민족의 사람도 일방적인 선교의 대상으로만 생각하지 않고, 타문화를 존중한 적응주의적 선교방침을 채택하였다. 이러한 수련배경은 실제 마테오 리치의 중국 선교에서 그대로 재현되었다. 마테오 리치가 중국의 언어와 문화를 존중하면서 중국 문화와 유럽의 문화 사이에 ‘접촉지대’를 형성할 수 있었던 이유는 로마의 예수회 대학에서 받았던 제2토미즘의 영향과 인도 고아에서의 경험이었다는 견해를 제시하였다.마테오 리치의 세계지도를 중심으로 형성된 ‘접촉지대’ 내부의 양상은 중국의 다양한 지리학적 관념들과 보수와 개혁의 정치적 노선에 따라 복잡다기한 양상들을 보였다. 이 ‘접촉지대’를 우호적 공간과 적대적 공간으로 나누어 그 구체적인 반응과 영향을 살펴보았다. 또한 마테오 리치의 세계지도에 대해 중국의 지리학 전통이 보인 반응을 당시의 중국인들이 남긴 기록이나 중국인들에 의해 제작된 지도를 통해 관찰하였다. 중국의 전통적 세계 인식과 유럽의 지리학 지식이 혼종된 독특한 세계지도의 제작은 당시 중국 사회 내부에 ‘접촉지대’가 형성되었음을 입증하는 결정적인 증거이다.‘접촉지대’는 중심의 문화가 주변으로 전달되는 것뿐만 아니라 주변의 문화가 중심으로 전달될 가능성을 버리지 않는 ‘상호응시’의 공간이다. 동양과 서양이 일방적이고 폭력적인 방식으로 ‘타자’와의 거리를 두는 단절의 공간에서 대화적 소통을 하기 위해 마테오 리치의 문화적 소통방식은 적절한 전례가 될 수 있을 것이다.

      • 남북한 출신 청년이 만드는 접촉지대의 문화번역과 협력적 생애사 : A 독서모임을 중심으로

        Hidaka, Sawako 연세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637

        The aim of this thesis is to identify different shapes of power dynamics and identities that are constructed, exchanged and modified within a contact zone between young South Koreans and young North Koreans. Conducting a fieldwork on a book club organized by these young people called “Book Club A,” it finds that the gathering is a place of daily and micro-cultural activities where the cultural medium of books allows its members to share views. The club serves as a physical space of contact for the two groups of young Koreans and also deepens, psychologically and cognitively, their understanding of each other. The number of North Koreans who have defected to South Korea exceeded 30,000 in 2017. Ever since, South Korea has searched for ways to better support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s to "coexist". A series of developments in the two Koreas’ 2018 international relations, including the inter-Korean summit and the North Korea–United States Summit, has heightened much of the South Korean society’s interest in its Northern counterpart. Some in the South have advocated that North Korean defectors should be integrated into South Korea referring to their shared ethnicity. Indeed, South Korea has been an active party of the inter-Korean relations in a macroscopic sense, and yet it has overlooked the fact that there emerged another form of inter-Korean relations at a microscopic level – that between South Koreans and North Korean defectors. This thesis attempts to translate the varying terms through which the young people of two Koreas build their relationships in a cultural space of a book club, and to inquire into the ensuing changes in how they identify themselves in the course of such development. It employs participatory observation and in-depth interviews to reveal what conventions are mutually understood by the members and what their respective locations imply. It may be safe to assume that young South Koreans are the majority while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are minority in the South Korean society. And it is an uncontested fact that power relations between them already exists in many areas. Book Club A becomes a space inconsistent with the outside world. Books lay the foundation for conversations led by shared interests while the formality and rituals set by the club endorse equitable social membership. Here in this quotidian and microscopic space, all members, those native to South Korea and those who defected from the North alike, encounter and practice mutual recognition that cannot be experienced beyond its doors. Also, the discussion about books is based on their life experience, which heals them related to the historical division of Korean peninsula and forms mental bond between them. This process can be analyzed through the concept, Collaborative Life History as well as the example of German reunification and separated Korean people. Book Club A is different from public institutions in that it does not provide financial supports to the young North Korean defectors in the South Korean society. Its impact, after all, lies in offering the young North Koreans with the experience of social recognition and interaction that are as crucial to a settlement in the Korean society as is any public support. The presence of this space has a great social significance; it signals to the young generation of the Korean society, whose ethnic diversity exhibits continuous growth in the face of globalization, to explore the possibility of interaction and communication with the minorities of their society. 본 연구는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접촉지대에서 역동적인 권력 관계와 정체성을 만들어내고 그것을 서로 교환하며 변화시키는 모습을 분석(번역)하는 연구이다. 연구현장인A 독서모임은 책이라는 문화적 장치를 통해 의견을 나누는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문화활동의 장소이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을 단순히 한국과 북한 출신 청년이라는 두 집단이 물리적으로 접촉하는 공간으로만 보는 것이 아니라 그들이 서로에 대한 이해를 심화시켜나가는 심리적, 인지적 공간으로서의 문화적 접촉지대로 본다. 한국에서는 북한이탈주민 3만 명 세대라고 불리던 2017년쯤부터 본격적으로 북한이탈주민과 한국 사람이 ‘상생’하기 위한 방향성이 계속해서 모색되어 왔다. 특히 2018년에 들어 남북정상회담과 북미정상회담이 연이어 개최되는 등 국제관계가 요동치는 가운데 한국 사회에서는 북한에 대한 관심이 한층 더 높아지고 있다. 한편 한국 사회에서는 민족성을 언급하면서‘한국 사람’인 북한이탈주민을 ‘우리’안에 편입시켜야 하는 존재로 보는 시선이 존재한다. 또한 국제관계라는 거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은 남북관계의 주체라고 하지만 국내라는 미시적인 관점에서 볼 때 한국 사람과 북한이탈주민 간의 작은 남북관계에 대해서는 별로 관심을 보이지 않는다. 본 연구에서는 A 독서모임이라는 문화적 공간에서 남북한 출신 청년들이 다양한 방식으로 관계를 맺어가는 모습과 그들의 변화하는 정체성을 참여 관찰과 심층 면접을 통해 분석(번역)하고 일상적인 현장에서의 남북한 출신 청년의 상호이해와 그들의 위치가 시사하는 의미를 밝혔다. 한국 사회에서 한국 출신 청년은 다수를 차지하며 북한이탈주민인 북한 출신 청년은 소수자인 것은 사실이다. 이들 간에는 여러 분야에 걸쳐 권력 관계가 이미 존재한다. 그러나 A 독서모임에서는 책이라는 문화적 매개체를 통해 그들 간의 대화를 가능케 한다. 또한 동등한 사회적 동료로서 이야기를 나눌 수 있도록 만들어진 의례를 토대로 남북한 출신 청년은 일상적이고 미시적인 공간에서 외부 사회에서는 경험하지 못하는 상호인정의 관계를 실천하고 있다. 또한A 독서모임에서 이루어지는 토론과 논의는 개개인의 인생경험을 공유함으로써 역사적인 분단, 민족의 이산 등의 경험으로 인한 고통과 고독감이 치유되고 구성원 간에서의 공동체성이 생기는 효과를 낳는다. 이러한 과정은 독일통일과 한민족 이산의 사례와 같이 협력적 생애사라는 개념으로 해석할 수 있다. A 독서모임은 공공기관의 지원정책과는 달리, 북한 출신 청년을 경제적으로 지원하지는 못하지만, 한국 사회에 정착하는 데에 있어 경제적 지원 못지않게 중요한 사회적 인정의 감각과 소통의 경험을 제공해준다. 이것은 앞으로도 지구화로 인해 다문화사회가 진행될 한국 사회를 만들어가는 주체인 청년에게 소수자와의 교류와 소통의 가능성을 깨닫게 해준다는 사회적 의미를 지니고 있다.

      • 도시언어사용자로서 영어 학습자 정체성 연구 : 국내 대학생의 온라인 학습 사례연구로부터

        김세희 중앙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32218

        In the postmodern globalization era, people with different language and ethnic backgrounds interact with each other on a daily basis. The online sphere blurs geo-political borders and enables users to access a wide range of global communities. People can now easily congregate in international groups online based on their hobbies or passions rather than being limited by shared nationality, language, or ethnicity. The growth of such contact zones has drawn the attention of applied linguistics scholars who seek to examine a new type of language use that has simultaneously emerged. In these spaces, speakers frequently utilize multiple languages, including English as the lingua franca, mixing them in a hybrid form. Such mixing pays no regard to grammar distinctions for effective communication, and often is done simply for the cool factor. The essentialist point of view on language use which distinguishes mother tongue and second language, native and non-native speaker becomes obsolete and inapplicable in understanding such dynamic language users. English as the lingua franca and the identity of its users have not yet received much attention in Korean studies of foreign language acquisition. A large part of Korean studies in the discipline have focused on motives relating to neoliberalism, highlighting language learners whose primary drive to study English is to increase their competitiveness for school admission or career prospects. This leaves a number of questions for additional study. Are there English learners who are motivated to study the language for a personally meaningful cause? If so, in what ways do they learn and practice English? This paper takes a qualitative research approach to these questions using the case studies of three English learners with Pennycook’s metrolingualism as the main framework. Expanding the concept of a metropolitan city into an online space where the interactions among speakers of different linguistic and cultural backgrounds take place, this research explores the ways in which the participants performed and practiced language(s) based on specific contexts and relations. Among the many characteristics of metrolinguals that Pennycook suggests, five attributes were considered to interpret language use and identity: everydayness, multi-tasking, playfulness, re-localization, and fluidity and fixity of identity.  This study found that each participant was motivated to learn English largely due to their fascination with Western pop culture during their teen years. Desire to learn more about pop music and online games led them to actively utilize online content while engaging with other online users who share the same passion. During this process, English learning and practice occurred in an organic way. All three research participants demonstrated the characteristics of a metrolingual of learning and practicing English as part of everyday life; utilizing and mixing the language resources that best fit a specific situation; choosing to use a certain language over another for hip factor and incorporating it as part of self expression; re-localizing the content of another culture; and exhibiting a fluid language identity while also highlighting the fixed identity of being a Korean speaker at times for strategic reasons.  This paper sheds light on methods of daily language learning for purposes that are outside the scope of previous studies and identifies ways in which learners can expand their understanding of themselves and others through language learning. While neoliberal scholarship continues to predominantly focus on English learning in the context of schools, institutions, and testing,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provide an example of Koreans actively learning English for the purpose of engaging in a community of multilingual participants with shared cultural interests. As Korea and the world become increasingly interconnected, multicultural, and interdependent with the global system,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that it illustrates new potential ways to facilitate language learning outside of traditional venues. This study also highlights the need for future research into novel ways of language learning and adaptation in new socio-linguistic contexts to embrace a learning environment that is more receptive towards multilingual speakers. 후기-세계화 시대에 접어 들면서 우리는 점점 더 빈번하게 다양한 언어 민족적 배경을 가진 사람들이 교류하는 공간과 상황을 일상적으로 조우하게 되었다. 특히 국경의 구분이 무색해지는 온라인상의 공간에서 누구나 손쉽게 관심 분야의 정보를 원하는 언어로 취하고, 그 흥미를 공유하는 이들과 국가, 언어, 민족적 경계를 넘어 유대함으로써 이러한 ‘접촉 지대’에 출현하는 새로운 형태의 언어 사용에 학계는 주목하였다.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를 비롯한 여러 언어가 효과적인 의사소통을 위해 문법을 무시하고 뒤섞이거나, 그저 ‘쿨’해 보이기 위해 유희적으로 사용되는 등, 기존의 본질주의적 관점에서 모어/외국어, 원어민/비원어민 등으로 구분하여 설명할 수 없는 역동적인 언어 사용자들이 등장한 것이다. 그러나 국내에서는 아직 이러한 링구아 프랑카로서의 영어 담론 및 그 사용자 정체성에 대한 연구가 풍부하게 이루어지지는 않았다. 신자유주의의 기제 하에서 진학과 취업 등의 목표를 위해 영어를 학습하고 TOEIC 등의 언어 시험을 통해 평가받는 주체들에 대한 논의가 주로 이루어졌을 뿐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주류 담론에 예속되지 않은 채 자신에게 유의미한 영어 학습을 추구하는 학습자 주체가 존재하는지, 그렇다면 그들은 어떤 방식으로 영어를 배우고 사용하고 있는지에 대해 질문하게 되었다. 이를 살펴보기 위해 Pennycook의 도시언어현상(Metrolingualism) 이론을 중심으로 국내 영어 학습자 3명을 질적으로 사례연구 하였다. 위에서 언급한 접촉 지대를 온라인 공간까지 확장된 ‘도시적 공간’, 즉 다양한 언어문화적 배경을 가진 이들이 서로 상호작용하는 공간으로 간주하고, 그 안에서 그들이 어떻게 영어를 맥락과 관계에 기반 하여 ‘수행’ 및 ‘실천’하는지에 초점을 맞추어 살펴보았다. 그리고 Pennycook이 제시한 도시언어사용자의 속성 중, 일상성, 멀티태스킹, 유희성, 재지역화, 유동성과 고정성을 범주로 삼아 연구 참여자들의 언어 사용 양상 및 정체성을 해석하였다. 그 결과 연구 참여자들은 각자가 청소년기 때 매료된 영미권 음악 및 게임에 몰두하는 과정에서 온라인상의 콘텐츠를 통해 스스로 영어를 학습하였고 비슷한 관심사를 공유하는 이들과 소통하고자 하는 열망과 함께 영어를 사용해 왔음을 볼 수 있었다. 도시언어사용자로서 이들은 영어를 정복 목표물이 아닌 일상적으로 학습하고자 했고, 자신의 언어 자원들을 상황에 따라 멀티태스킹 적으로 혼용했다. 더 ‘힙’한 언어를 일종의 장식물처럼 선택하여 자기표현의 일부로 활용하기도 하고 게임이나 음악을 재지역화 작업하여 선보이기도 했다. 한편 특정 상황에서는 전략적으로 자신의 한국인 화자 정체성을 드러내기도 했는데, 이는 도시언어사용자의 유동적이면서 고정적인 언어 정체성을 적절히 보여주는 예이다. 본 연구는 언어 학습과 실천을 통해 성장하며 자기 확장을 경험한 이들을 조명함으로써 언어를 더 이상 학교, 기관, 평가의 영역이 아닌 개인의 정체성에 관여하는 삶의 일부로 바라보고자 했다. 자신이 소속하고 싶은 문화적 공동체에 참여하기 위해 적극적으로 다중 언어를 사용하고, 기존의 주류 언어 담론에 저항하면서 자기를 재구축하는 이들의 모습은 현시대에 퇴색되어버린 언어 학습의 본래 의미에 큰 시사점을 제시한다. 앞으로 이러한 주체적인 언어 사용자들이 등장하며 그려낼 창발적인 도시 언어실천 모습을 상상하며, 그들이 구성하는 다면적인 언어 정체성에 주목하는 사회언어적 연구가 국내 언어 학습 및 수행 현장에서 활발히 이루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