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 중학교 교사들의 자유학년제 운영 경험에 관한 사례 연구 : 희망중학교를 중심으로

        윤해수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희망중학교 교사들의 자유학년제 교과 영역에서의 운영 경험과 비교과 영역에서의 운영 경험을 살펴봄으로써 희망중학교의 자유학년제 운영의 장점을 알아보고 더불어 개선점을 찾아 그 발전 방향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자유학년제 시행을 통해 교사들은 교과 영역에서 어떤 경험을 하였 는가? 둘째, 자유학년제 시행을 통해 교사들은 비교과 영역에서 어떤 경험을 하 였는가? 셋째, 희망중학교 자유학년제 운영의 발전 방향은 무엇인가? 본 연구는 재작년(2016년)에 자유학기를 경험하고 작년(2017년)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교사 7명을 본 연구의 참여자로 선택하여 심층면담을 통한 질적 연구를 실시하였다. 자유학년제 운영 경험을 교과 활동 영역면, 비교과 활동 영역 면으로 세분화하여 구체적으로 살펴보고, 이러한 운영 경험을 통해 희망중학교에서 자유학년제가 제 역할을 할 수 있는 발전 방향을 모색해 보았다. 연구결과를 종합하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연구 참여자들은 시험 미실시로 인해 평가문항지 출제의 부담이 없어진 반면에 수시로 실시되는 평가의 기록에 부담감을 갖고 있었다. 둘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유학년제가 시행되면서 이전과는 다른 수업들이 펼쳐진다고 하였다. 이런 현상은 포기자가 많았던 수학이나 영어 교과에서 더 잘 나타나고 있다고 볼 수 있다. 셋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유학년제 실시 이전보다 학생들과의 관계가 많이 호전되었다고 한다. 자유학년제 실시로 인해 학생들 한 명 한명에게 눈이 가고 학생의 이름을 하나하나 불러 주고, 학생들과 눈높이를 맞추어 수업을 진행함으로써 학생들도 적극적으로 참여하게 되고 그만큼 교사의 기준에서 모든 학생들이 예쁜 학생으로 변한다고 했다. 넷째, 자유학년제 시행으로 인해 연구 참여자들은 전보다 더 과도한 업무에 대한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2~3개의 비교과 영역을 담당한 교사들은 자신이 어느 교과 교사인지 정체성의 혼란을 겪고 있었다. 또한 연구 참여자들은 진로 체험 등 학생들이 진로 탐색을 위한 체험처 발굴에 많은 부담감을 가지고 있었다. 다섯째, 연구 참여자들은 자유학년제 비교과 영역에서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개설하는데 있어 장점과 단점을 이야기 하였다. 또한 지역적 인프라의 활용면에서는 적은 수의 지역적 시설을 알차게 활용하는 경우도 있고 지역의 인적 자원을 학교로 들여와 다양한 프로그램을 진행하면서 최대의 효과를 얻기도 하였다. 이에 본 연구 결과와 논의를 바탕으로 자유학년제 운영에 대한 발전 방향과 관련하여 다음과 같은 시사점을 얻을 수 있다. 첫째, 흥미와 실력 사이이의 균형을 맞추어 자유학년제 교과의 학업 결손에 대한 우려를 없애야 한다. 둘째, 학교의 특성과 지역적 요건, 교육 구성원들의 요구에 적합한 진로 탐색의 기회를 부여하고 진로 체험처 발굴에 적극 앞장서야 한다. 셋째, 한 학년의 자유학년제를 넘어 2학년, 3학년으로의 연계 자유학년제의 단절 없는 지속성이 필요하다. 이와 같은 연구의 결과에 대한 정책적인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중학교 교사들의 사례를 연구하기 위해 연구 대상자를 경기도 소재 중학교 교사로 확대한 연구를 제안한다.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경기도 소재 중학교 교사들을 표집 집단으로 하여 심도 있는 면담이 이루어진다면 보다 신뢰로운 연구결과를 얻을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자유학기제를 경험한 교사와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교사를 비교 연구하는 질적, 양적 연구를 제안한다. 셋째,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교사가 일반 학기로 전환하면서 겪는 상황을 알아보기 위한 후속 연구를 제안한다. 교사들이 자유학년제를 경험하고 난 후, 다음 해에 일반 학기를 맡아 교과 수업 및 생활지도, 진로 지도 등을 하면서 경험하고 느끼는 여러 가지 양상을 알아봄으로써 자유학년제가 추구하는 목적과 취지에 맞게 자유학년제가 단절 없이 조기 정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 충청북도 중학교 자유학년제 음악프로그램 분석

        박희지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2019년도 자유학년제 운영계획서와 2019학년도 학교교육계획서를 바탕으로 충청북도 중학교를 대상 자유학년제 음악 프로그램의 운영 모형을 알아보고 운영 실태를 조사하여 앞으로의 자유학년제에서 음악 프로그램을 계획하고 운영하는데 도움을 주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충청북도 중학교 126개 중 121개교를 대상으로 자유학기제, 자유학년제, 자유학기-일반학기 연계학기 운영 현황을 알아보고, 자유학년제 중점 운영모형을 알아보며, 자유학기 활동 내 음악 프로그램의 개설현황을 수집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로는 첫째, 충청북도 중학교 121개 중 105개교(86.77%)로 대부분의 학교가 자유학년제로 운영되었다. 둘째, 자유학년제 운영 모형은 b타입의 1학기 일부 영역 + 2학기 4개 영역이 된 모형이 126개 중 78개교(69.64%)가 가장 많았다. 셋째, 자유학년제 자유학기 활동 4가지 중 음악 프로그램 운영은 예술⦁체육 활동에서 가장 많이 이루어졌으며 동아리, 주제선택, 진로탐색 순으로 나타났다. 넷째, 충청북도 중학교 ‘주제선택 활동’ 내 음악 프로그램을 운영한 학교는 121개 중 17개교로 음악 프로그램의 비율은 표현 영역의 가창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충청북도 중학교 ‘예술⦁체육 활동’ 내 음악 프로그램을 운영한 학교는 121개 중 85개교로 음악 프로그램의 비율은 표현 영역의 기악 활동이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다. 여섯째, 충청북도 중학교 ‘동아리 활동’ 내 음악 프로그램을 운영한 학교는 121개 중 44개교로 음악 프로그램의 비율은 표현 영역 중 기악 활동의 프로그램이 주를 이루었다. 일곱째, 충청북도 중학교 ‘진로탐색 활동’ 내 음악 프로그램을 운영한 학교는 121개 중 3개교로 가장 적은 수치를 차지하였다. 현재 자유학년제가 전면적으로 도입되어 운영된 지 1년이 넘는 시간이 흘렀다. 이제는 자유학년제의 음악 교육은 제대로 이루어지고 있는지 계속해서 연구하며 ‘자유학기 활동’내 음악 프로그램이 활성화 될 수 있도록 프로그램 개선 및 개발을 연구하고 개선 방향을 찾는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 自由學年制에 따른 漢文科 授業 事例 硏究

        공민정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박사

        RANK : 248703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observe and analyze a case study of a Chinese character lesson according to free school year system, and to find how to improve or supplement the Chinese character lesson and evaluation of middle schools. Also, it is to look for a method of coping with difficulties when operating Chinese character class and linkage-type subject selection activities according to free school year system and of effectively reaching achievement and evaluation standards. And, I hope this study may serve as a good reference and may be positively utilized for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 teachers to operate free school year system which promotes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class, course-centered evaluation and the ability of students. The researcher, from the subjective standpoint, observed and analyzed a case study of 3 persons Chinese character lessons based on key concepts-related learning activities that account for the largest portions among unit composition and learning activities of 17 kinds of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s textbooks, on the basis of instruction learning methods and tests. And, on the basis of the materials collected through class observation of 3 persons Chinese character teachers and interviews, and results of students’ learning activities and interviews, the researcher criticized and reviewed characteristics of Chinese character class according to free school year system related to the effect of student participation-centered class and course-centered evaluation substantiality. Like this, as a result of examination of in what aspects the intent of free school year system appeared in 3 persons Chinese character class, the characteristics and implication of Chinese character class according to free school year system can be largely summarized as reinforcement of teacher ability and student participation expansion. Under the condition in which Chinese character field teachers recompose educational courses and textbooks realistically according to educational policies and schoolžstudent conditions and studies on methods of evaluating growth processes of students have not been made so much, though it was not easy to discuss middle school Chinese character class, through this discussion, it is widely expected that studies on class which may be actually helpful to Chinese character class under free school year system and on evaluation methods are actively made.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과 수업을 분석하여 중학교 한문 수업과 평가가 어떻게 변화해야 할지를 찾는 것이다. 또한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교과 수업과 한문교과 연계형 주제 선택 활동을 운영할 때의 어려움을 극복하여 한문교과의 평가기준과 성취수준에 도달할 수 있는 방법을 찾는 것이다. 학생 참여 중심 수업, 과정 중심 평가, 학생의 역량을 길러 주는 자유학기 활동을 운영하고자 하는 중학교 한문교사들이 이 연구 결과를 적극 활용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이 연구의 실마리는 자유학년제에서 중학교 한문 수업과 평가가 어떻게 이루어져야 하는지에 있다.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교과 수업 혹은 한문교과 연계형 주제 선택 활동에 있어서의 질적 향상을 도모할 방법과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초점을 둔다. 한문과 시수가 부족한 상황에서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교과 수업을 하거나 한문교과와 연계한 자유학기 활동인 주제 선택 활동을 하게 될 경우, 교과 성취도를 산출하지 않고 특기 사항 란에 교과세부능력 및 특기사항, 자유 학기 활동 상황을 문장으로 기록할 수 있는 중학교 한문 수업 방법이 필요하다. 즉, 학생이 직접 수업에 참여하고 활동할 수 있게 하여 학습 참여도, 관심사, 성장 과정, 배움이 일어나는 모습 등을 관찰하고 학습 과정 평가가 가능한 수업 방법이 마련되어야 한다. 연구자가 근무하는 지역은 중학교 1학년에 한문과가 배치되어 있기보다 중학교 2, 3학년에 배치된 경우가 대부분이다. 그리고 중학교 1학년에 한문과가 배치되어 있는 일부 학교는 한문 수업 시수가 1단위여서 한문교과 연계형 주제 선택 활동 개설이 거의 없었다. 또한, 다른 교과에 비해 교사 수가 소수이다 보니 교육청 주관의 한문교과 연구회가 구성되어 있지 않고, 2015 개정 교육과정의 ‘교수·학습’과 ‘평가’ 부분에서 강조된 내용은 자유학년제의 취지와 목적 달성에 반드시 고려되어야 할 사항인데 이와 관련한 연수도 개설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실정이다 보니 자유학년제의 핵심 과제인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및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에 적합한 한문과 교수․학습 방법이 무엇인지, 학교 현장에서 한문과 평가가 어떤 형태로 운영되고 있는지에 관한 연구가 거의 없다. 그리고 중학교 한문교사들이 학교 현장에서 자유학년제와 관련한 수업을 운영하는 데 참고할 만한 자료를 구하는 것도 어렵다. 연구자는 주관적 관점에 입각해 17종 중학교 한문 교과서 단원 구성 및 학습 활동 중에서 가장 많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는 핵심 개념 관련 학습 활동을 토대로 하는 3인의 한문과 수업 사례를 교수․학습 방법 및 평가를 기준으로 관찰․분석하였다. 그리고 3인의 한문교사의 수업 관찰과 면담, 학생의 학습 활동 결과물과 면담으로 수집된 자료를 토대로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및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의 취지와 관련한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과 수업의 특징을 비평하고 시사점을 검토하였다. 먼저, 연구자의 수업은 답을 찾아가는 과정을 통해 지식을 쌓아가는 탐구 학습을 기반으로 한다. 학생들은 교사가 제시한 과제에 대한 탐구 계획을 세우고 개인별 혹은 공동체별 탐구 활동을 하여 지식을 발견하고 이해한다. 그리고 학생 스스로 자신의 독해 과정을 기록한 한문 독해 쓰기 노트를 통해 학생들의 한문 독해 능력 성장 과정을 관찰하는 포트폴리오 평가를 실시한다. G 교사의 수업은 한 명 또는 그 이상의 학생이 특정 주제에 대한 깊이 있는 탐구를 하는 프로젝트 학습을 활용한다. 교사는 학습 내용 요소에 맞는 프로젝트를 학생들에게 제시하고, 학생들은 자기 주도적으로 프로젝트 활동을 위한 계획을 세우고 실천한다. G 교사는 루브릭 평가를 실시하는데, 루브릭 평가는 다양한 결과물이 산출되는 수행 평가에서 좀 더 객관적인 평가가 이루어지도록 하고, 학생들이 프로젝트 활동을 하면서 가장 핵심적인 측면에 초점을 맞추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다. K 교사의 수업은 창의성 계발 학습을 기반으로 한다. 즉, 교사의 시범과 설명, 교사와 학생의 문답을 先行하고, 기본적인 한자와 한자 어휘 학습이 이루어졌다고 판단되면 창의적 사고 기능을 훈련할 수 있는 학습 활동을 제시하여 학생들이 다양한 아이디어를 생성해 발표한다. 그리고 학생의 한문 지식을 활용한 의사소통 능력, 문제 해결 능력과 같은 인지적 영역 뿐 아니라 창의적 사고 능력, 한문 학습에 대한 태도와 수업 참여도 등과 같은 정의적 영역까지 평가할 수 있는 관찰 평가를 실시한다. 이 같이 자유학년제의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및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의 취지가 3인의 한문교사 수업에서 어떤 양상으로 나타났는지 살펴본 결과,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과 수업의 특징과 시사점은 크게 교사 역량 강화, 학생 참여 확대로 정리할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 드러난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과 수업의 특징과 시사점은 다음과 같이 부연할 수 있겠다. 첫째, 危機를 機會로 바꾸는 시점이다. 변화된 시대에 맞는 인재를 기르기 위해 교육은 변하고 있는데 예전의 교육 방법만 고집한다면 결국 과목 경쟁에서 도태될 수밖에 없다. 따라서 21세기를 살아가는 학생들의 필요에 따라 한문 수업도 학생 참여 중심의 역량 함양 교육을 시도해야 하고 이 같은 시도가 한문과로서는 배워야할 교과로 부상할 수 있는 기회가 될 수 있다. 둘째, 학습과 놀이의 간극을 最小化한다. 학생 중심의 수업과 평가가 제대로 이루어지기 위해서는 성취기준과 평가기준에 맞게 계획된 학습 활동이 제시되어야 한다. 즉, 학생들이 학습 활동을 수행하면서 자신들이 하고 있는 활동이 ‘놀이’가 아니라 ‘학습’임을 인식하게 해야 한다. 셋째, 다양한 시도를 촉진하는 架橋 역할을 한다. 한문 수업을 통해 학생들은 자신의 언어생활을 되돌아볼 수 있고, 관심 분야와 연결하여 심화 학습하고 진로와도 연계해 볼 수 있다. 또한, 한문 수업이 한문 지식을 쌓고 한문과 핵심역량 요소 함양으로만 제한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교과 혹은 다른 분야의 교육을 시도하게 하는 연결 다리 역할까지 할 수 있다. 넷째, 선택과 집중을 통해 敎學相長을 실현한다. 한문교사는 학생들의 수준과 관심 정도, 교육 여건 등을 고려하여 교수․학습 내용을 선택하고 최대한의 한문 학습 효과를 불러올 수 있는 학습 활동을 연구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학생들은 스스로 학습 활동을 해결하는 과정을 통해 한문 학습의 필요성과 즐거움을 알고 미래 사회에 필요한 역량을 함양할 수 있도록 한다. 다섯째, 경직되지 않은 허용적인 수업 분위기를 조성한다. 학생들로 하여금 잘 모르는 것은 배우면 되고, 틀린 것은 고쳐서 제대로 알면 된다는 생각을 갖게 하여 한문 수업에 대한 부담감을 낮출 수 있다. 또한, 교사는 질책이 아닌 학습 오류를 교정해 주는 역할을 하고 학생들마다의 반응 차이, 과제 표현의 차이 등을 학습 자료로 활용하여 학생들의 학습 격차를 줄이고 해답을 공유하는 수업 태도를 가질 수 있게 한다. 여섯째, 교사의 授業 力量에 따라 수업 성과가 좌우된다.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과 수업 성과가 긍정적이기 위해서는 한문교사가 자유학년제의 취지에 맞게 한문과 교육과정과 교과서 내용을 재구성할 수 있어야 하고, 학생 참여 중심 수업 및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에 적합한 교수․학습 방법과 평가 방법을 찾아 자신의 수업에 적용할 수 있어야 한다. 현장 한문교사들이 교육정책과 학교․학생 여건에 맞게 실질적으로 교육과정과 교과서를 재구성하고 학생의 성장 과정을 평가하는 방법에 관한 연구가 많지 않은 現 상황에서 중학교 한문 수업에 대한 논의를 전개하기는 쉽지 않았지만, 이 같은 논의를 통해 자유학년제에 따른 한문과 수업에 실질적으로 도움을 줄 수 있는 수업과 평가 방법에 관련한 연구가 활발해지길 기대한다.

      • 자유학년제 활동을 위한 대전지역 무형문화재 '들말두레소리' 지도방안 연구

        백은영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자유학년제는 지역별 특색을 살린 학생 참여 중심의 수업 방식을 추구하고 있으며 학생들은 교과 및 진로와 관련한 자유학년 활동에 직접 참여하여 경험하고 체험함으로서 자연스럽게 소질과 적성을 찾을 수 있다. 자유학년제의 취지이기도 한 꿈과 끼를 키울 수 있는 학생 중심의 활동이 강조됨에 따라 자유학년제의 네 가지 활동인 예술·체육 활동, 진로탐색 활동, 주제선택 활동, 동아리 활동에 음악 교과를 중심으로 한 다양한 프로그램들이 개발될 수 있다. 그러나 실제 학교 현장에서 이루어지는 자유학년제 음악 관련 활동의 대부분은 예술·체육 수업과 예술·체육 활동의 경계가 모호하여 기존 교육과정의 연장선에서 차시만 장기적으로 늘려 구성되기 쉽다. 자유학년제 활동에 적용되는 프로그램이 편향적이며 기존의 교과교육에서 자주 해오던 활동 중 학생들의 흥미 위주나 교사의 지도능력 범위 안에서만 다루어지거나 실기 중심의 반복 학습으로 운영되는 경향이 있으며 특히 국악의 경우 프로그램 부재로 학생들에게 다양한 음악 경험을 제공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지역사회와 연계할 수 있는 학습 내용이 자유학년제의 활동으로 구성된다면 지역의 특색이 반영된 다채로운 프로그램의 효율적 운영이 가능할 것이다. 지역과 연계한 음악 문화 교육을 위해 적합한 교육 소재는 무형문화재이다. 특히 지역의 무형문화재에는 그 지역만이 지닌 고유의 문화가 고스란히 반영되어 있기 때문에 교육적 활용 가치가 크며 음악뿐 아니라 다양한 교과내용을 포함하고 있어 범교과적인 자유학년제 활동을 구성하는데 효과적이며 관련 분야의 폭넓은 진로 탐색도 가능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지역의 무형문화재, 그 예시로 대전지역의 무형문화재인 ‘들말두레소리’를 중학교 1학년을 대상으로 한 자유학년제 활동에 적용하여 수업에서 활용할 수 있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먼저 지역의 음악 문화, 지역의 무형문화재, 대전지역 무형문화재와 관련한 연구물을 교육적 관점에서 살펴보았고, 자유학년제에 활용된 국악 프로그램 내용을 분석하여 한계점을 찾은 후 이를 통해 자유학년제에서 국악 프로그램이 나아가야 할 방향을 제시해보았다. 자유학년제 활동에서 음악 관련 프로그램의 학습내용으로 대전지역의 무형문화재 중 지역의 특색이 잘 드러나는 ‘들말두레소리’를 중심으로 교육적 가치를 ‘자연환경과 인간 삶’, ‘두레와 공동체 문화’, ‘들말두레소리와 미래의 삶’으로서 고찰하였다. ‘들말두레소리’는 가무악 일체의 총체적 음악 문화이기 때문에 우선 음악 교과적인 관점에서 가무악에 해당하는 민요(소리), 놀이, 농악(두레풍장)으로서의 들말두레소리에 따른 지도 내용을 세 단계로 연구하였으며, 맥락적인 관점에서는 ‘들말과 더불어 사는 삶’, ‘두레와 함께하는 지역문화 공동체’를 학습주제로 ‘들말두레소리’를 더 깊이 있게 내면화 할 수 있는 활동을 제시하였다. 특히 타 교과와 통합적으로 연계하고 지역사회와 연계하는 가운데 과거, 현재, 미래의 관점에서 학습 경험을 단계적으로 내면화 시키는 과정을 통해 학생들로 하여금 핵심역량을 함양 할 수 있도록 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들말두레소리’를 중심으로 자유학년제의 네 가지 활동에 적용하기 위한 체험·참여형 국악 중심 프로그램 지도방안을 제시하여 다양한 활동을 통해 자연스럽게 학생의 흥미를 고려한 체계적인 진로 탐색의 기회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자유학년제 활동 별 학습주제에 따른 학습목표와 교수·학습활동, 음악 교과의 영역에 따른 기능과 성취기준, 핵심역량을 함께 고려하였으며, 특히 중학교 1학년의 타 교과와 연계 가능한 성취기준을 제시하였다. 진로와 관련하여 자유학년제 활동 중 주제선택 활동에서는 홀랜드의 직업 흥미 유형에 따른 6개의 어울림 공동체를 구성하도록 하였으며 학습활동별로 적성유형별 직업군을 제시하였다. 또한 자유학년제 활동별 평가 기록 예시를 기재함으로서 실제 학교 현장에서 교사들이 학생생활기록부를 작성할 때 도움이 될 수 있도록 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현 시대에 요구되는 음악교육 및 자유학년제 활동에서 국악 관련 프로그램 개발이 활성화 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

      • 중학교 자유학년제 음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음악흥미도 및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영향

        김소정 동아대학교 교육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4차산업 미래 사회가 요구하는 핵심역량을 갖춘 창의 융합형 인재를 목표로 둔다. 이러한 핵심 역량 함양 목표 위하여 입시 위주 교육에서 벗어나 자신의 꿈과 끼를 찾고 창의·인성·자기주도학습능력을 키울 수 있도록 하는 교육이 자유학년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자유학년제 음악 프로그램이 학생들의 음악흥미도와 자기효능감에 어떠한 영향을 주는지 살펴보았다. 연구 대상은 부산시 해운대구에 소속한 중학교 2개교의 자유학년제 음악 프로그램 중 보컬반 학생들 54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빈도분석,Cronbach’s α,t-검정, SPSS 등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결과를 도출 하였으며 결과는 다음과 같다. 음악흥미도는 전체 점수가 사전 대비 사후에 증가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변화를 보여 자유학년제 음악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음악흥미도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자기효능감은 하위영역별 결과의 변화를 보면 과제수준선호도나 자신감은 유의한 증가를 보이지 않은 반면, 자기조절효능감은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한 것으로 검증되었다. 즉 자유학년제 음악 프로그램은 중학생의 자기조절효능감 개선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이러한 결과에 따른 제언으로는 첫째, 자유학년제의 활동은 학생들의 수준을 고려하여 더 높은 과제에 도전할 수 있는 과제수준선호도와 자신감 함양을 위해 구체적인 방법을 모색해야 한다.둘째, 자유학년제의 효과 여부는 학교 안의 교사와 강사의 역량에 달려있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 교육청과 지자체가 협력하여 세미나, 협의회, 직무연수 등 전문적학습공동체의 지원이 필요하다. 자유학년제의 취지가 아무리 좋다하여도 교사와 강사의 역량이 부족하다면 자유학년제의 큰 효과를 얻기는 힘들 것이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유학년제의 음악 프로그램에 따른 활동들이 더욱다양하고 체계적으로 활성화 되어 학생들의 학교생활에 대한 즐거움,삶에 대한 만족감 뿐만 아니라 자신의 잠재된 재능을 파악하여 자아실현의 욕구를 충족 시킬 수 있는 자유학년제가 실시되기를 기대한다.

      • 교사들의 자유학년제 경험에 대한 인식

        김다영 충북대학교 2021 국내석사

        RANK : 248703

        Based on years of experience in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how teachers perceive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Starting with research schools in 2013, the free semester system, which was fully implemented in 2016, is seen as an innovative policy characterized by expanding the autonomy of school curricula, improving classes and evaluation methods, and strengthening career experience activities. Based on years of experience in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this study tried to examine teachers' perceptions to examine the changes in the curriculum, and to examine their implications for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The research questions in this study are as follows. 1.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experience? 2. What is the teacher's perception of how to improve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Among middle schools located in Gyeongsangbuk-do, 408 teachers who operated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or experienced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were selected. According to research results, firstly, "cooperative learning," "problem-solving learning" and "project learning" have been carried out a lot in teaching methods, while "flipped learning" has not been carried out much. In particular, the more teaching experience I had, the more I did not proceed with "flipped learning." Second, there is an urgent need to improve the evaluation method since the evaluation method recognized the atmosphere of forcing evaluation only in a positive direction regardless of the student's personality as the difficulty of evaluation method, and there is an opinion that it needs to be revised in the preparation of school life records. Third, teachers were feeling burdened about the work of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This shows no improvement in the problems (Shin Chul-kyun, Park Min-jung, 2015) or problems that were implemented and discussed, so it needs to be improved in consultation with local communities and school authorities and experts in education policy. Fourth, teachers recognized the goal and purpose of the free school year as well as helping students develop their careers. On the other hand, the teacher's own recognition of the free school year experience and the willingness to volunteer to run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in the future were negative. Fifth, as an advantage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teachers chose to ease the burden of assessment on students and expand opportunities for career exploration. On the other hand, we recognized the decline in academic background and the adaptation of learning after the free school year as a major problem. Sixth, teachers felt the need to improve the contents of the free school year system, and were negatively aware of the continuation of the free school year system. In addition, teachers who oppose the timing of the current free school year system need to be expanded to high schools to suit the situation of each school, not limited to middle schools. Seventh, it was recognized as an essential requirement for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to be operated and successfully settled in accordance with its purpose by revising the management guidelines for the development of program manuals and the preparation of school records. Eighth, the teachers' perception of the improvement plan of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recognized that for a successful free school year program, the administrative work of the general teacher and the work of the teacher in charge of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should be reduced and operated mainly on classes and student life guidance. In addition, it was deemed necessary to secure class research time for teachers to provide quality education by revising the guidelines for the management of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of the school records and reinforcing professional teachers in charge of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Ninth, most schools preferred the free semester program over the free school year because it was difficult to guide students' basic living habits and improve basic education or self-directed learning due to the one-year free school program. Finally, there was a minority opinion that the free school program should be expanded to all grades in order to abolish the compulsory implementation of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and leave it to the discretion of the unit school like the curriculum system, or to apply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without much expectation. Through this study, the implications and improvement measures for the free school year program were presented. 본 연구는 다년간의 자유학년제 경험을 바탕으로 교사들이 자유학년제에 대해 어떻게 인식하고 있는지에 대한 조사를 목적으로 하였다. 2013년부터 연구학교를 시작으로 2016년 전면 시행한 자유학기제는 학교 교육과정의 자율권 확대, 수업과 평가방법의 개선, 진로체험활동의 확대 강화 등의 특징을 지닌 혁신적 정책으로 평가되고 있다. 이러한 자유학기제는 일반학기와 연계 필요성 논의로 인해 2016년부터 자유학년제 희망 학교를 운영하였고, 2020년에는 자유학년제를 전국적으로 확대 시행하고 있다. 이에 대해 본 연구는 다년간의 자유학년제 경험을 바탕으로 교사들의 인식을 조사하여 교육과정의 변화를 살펴보고, 자유학년제에 대한 시사점을 살펴보고자 했다. 본 연구의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들의 자유학년제 경험에 대한 인식은 어떠한가? 2. 자유학년제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어떠한가? 경북에 소재한 중학교 중에서 자유학년제를 운영했거나 현재 운영하고 있는 27개 학교에서 자유학년제를 경험한 교사 408명을 대상으로 설문지를 표집하였다. 연구결과로는 첫째, 수업방법에서 ‘협력학습’과 ‘문제해결학습’, ‘프로젝트 학습’은 많이 진행해 오고 있는 반면, ‘거꾸로 학습’은 많이 진행되지 않았다. 특히, 교직경력이 많을수록 ‘거꾸로 학습’을 진행하지 않았다. 둘째, 평가방법에서 학생의 인성과 상관없이 긍정적인 방향으로만 평가를 강요하는 분위기를 평가방법의 어려움으로 인식했고,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에도 수정해야 할 필요가 있다는 의견이 있으므로 이에 대한 개선이 시급하다. 셋째, 자유학년제 업무에 대해 교사들은 부담감을 느끼고 있었다. 이것은 자유학기제가 시행되고 거론되었던 문제(신철균, 박민정, 2015)이나 이에 대해 전혀 개선을 보이지 않고 있으므로 지역사회와 학교 당국과 교육정책 분야의 전문가들과 협의하여 개선할 필요가 있다. 넷째, 교사들은 자유학년제의 목표와 취지 및 학생들의 진로 발달 형성에 도움을 준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반면, 교사 스스로가 인식한 자유학년제 경험과 추후 자유학년제를 자원하여 운영할 의사에 대해서는 부정적인 반응을 보였다. 다섯째, 자유학년제 시행의 장점으로 교사들은 학생의 평가 부담 해소 및 진로 탐색의 기회 확대를 뽑았다. 반면, 학력저하와 자유학년제 이후의 학습의 적응에 대해 큰 문제점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여섯째, 교사들은 자유학년제 수업 내용을 개선할 필요가 있다고 느꼈고, 자유학년제 지속 여부에 대해 부정적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현재 적용하는 자유학년제 실시 시기에 대해 반대하는 교사들은 중학교에 국한할 것이 아니라, 고등학교까지 확대하여 각 학교의 상황에 맞게 실시할 필요가 있다고 보았다. 일곱째, 자유학년제가 취지에 맞게 운영되고 성공적으로 정착하기 위한 필수 요건으로 프로그램 매뉴얼 개발과 학교생활기록부 작성의 관리 지침개정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여덟째, 자유학년제의 개선방안에 대한 교사들의 인식은 성공적인 자유학년제를 위해 일반교사의 행정 업무와 자유학년제를 담당하는 교사의 업무를 줄여 수업과 학생 생활 지도 중심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인식하고 있었다. 또한, 학교생활기록부의 자유학년제 관리지침을 개정하고, 자유학년제를 담당할 전문 교사를 보강하여 교사들이 질 좋은 교육을 하도록 수업 연구 시간 확보가 필요하다고 보았다. 아홉째, 자유학년제가 대부분의 학교에서 중학교 1학년 1년간 진행됨으로 인해 학생들의 기본 생활 습관 지도 및 기초학력 향상이나 자기주도학습을 지도하는 데 어려움이 있으므로 자유학년제보다 자유학기제를 선호하고 있었다. 마지막으로 자유학년제의 반 강제적인 실시를 폐지하고 교과교실제처럼 단위학교 재량에 맡겨 자유학년제를 자유롭게 선택하도록 하거나, 1개 학년제 적용하는 것은 큰 기대효과가 없으므로 올바르게 정착하려면 전 학년에 넓혀가야 한다는 소수의 의견도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자유학년제에 대한 시사점 및 개선방안을 제시하였다.

      • 자유학년제 체육활동 참여 중학생의 수업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관한 연구

        임헌조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8703

        이 연구의 목적은 자유학년제 체육활동 참여 중학생의 수업만족도와 진로성숙도에 대해 연구함으로써 수업만족도와 진로성숙도의 상관관계를 분석하고 이를 향상시킬 수 있는 방법을 도모하기 위함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연구는 서울과 충청도 소재 중학교 중 자유학년제를 시행하고 있는 학교를 대상으로 연구를 진행하였으며 자료 수집을 위한 설문지는 자유학년제 체육활동 수업만족도에 대한 질문 18문항(수업내용, 수업환경, 수업효과, 수업방법), 자유학년제 체육활동에 대한 진로성숙도 질문 34문항(태도, 능력), 일반적 배경변인 4문항(성별, 학교규모, 학급형태, 참여종목) 총 56문항으로 구성하였고, 일반적 특성을 제외한 모든 문항은 5점 Likert 척도로 이루어졌다. 총 380부가 회수되었으나, 불성실하다고 판단된 설문지 33부를 제외한 347부가 연구에 활용되었다. 자료 처리는 SPSS 25.0 통계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독립 t-test와 일원변량분석, 다중회귀분석을 실행하였으며,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 체육활동 참여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교규모, 학급형태, 참여종목)에 따른 수업만족도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체육활동 수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효과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규모에 따라서는 소규모 학교가 대규모, 중규모 학교보다 체육활동 수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내용, 수업환경, 수업효과, 수업방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급형태에 따라서는 혼성반이 남학생반, 여학생보다 체육활동 수업만족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내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참여종목에 따라서는 단체종목에 참여한 학생들의 체육활동 수업만족도가 개인종목, 대인종목에 참여한 학생들보다 높았으며 수업효과, 수업방법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둘째, 자유학년제 체육활동 참여 중학생의 일반적 특성(성별, 학교규모, 학급형태, 참여종목)에 따른 진로성숙도 차이는 다음과 같다. 성별에 따라서는 남학생이 여학생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자기이해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교규모에 따라서는 소규모 학교가 대규모, 중규모 학교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내용, 수업환경, 수업효과, 수업방법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학급형태에 따라서는 혼성반이 남학생반, 여학생보다 진로성숙도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내용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참여종목에 따라서는 모든 영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자유학년제 체육활동 참여 중학생의 수업만족도가 진로성숙도에 미치는 영향은 다음과 같다. 수업내용은 독립성, 자기이해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환경은 계획성, 독립성,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 정보탐색에 모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수업효과는 정보탐색에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고 수업방법은 계획성, 독립성, 자기이해, 합리적 의사결정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수업방법이 진로성숙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종합해 보면 자유학년제 체육활동 수업만족도는 진로성숙도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고 볼 수 있으며, 체육활동 수업만족도가 높을수록 진로성숙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체육활동 수업만족도의 하위 요인 중 수업방법이 진로성숙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기 때문에 다양하고 효율적인 체육활동 수업방법의 개발에 대한 깊이 있는 연구가 진행되어야 할 것이며, 모든 학생들이 자유학년제를 경험하는 동안 자신의 진로를 발견하고 자아정체성을 확립할 수 있도록 교사와 학교의 지속적인 노력이 필요할 것이다.

      • 중학교 자유학년제 효과 분석 : 자유학기제와의 비교를 중심으로

        김리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8703

        본 연구는 자유학년제의 효과를 자유학기제와 비교하여 실증 분석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최근 자유학기제 및 자유학년제 시행 기간에 대해 변동이 극심해 학교의 혼란이 가중되고 있다. 따라서 자유학년제와 자유학기제의 효과를 비교하여 정책적 시사점을 도출하는 것이 중요하다. 본 연구는 특히 부수효과 모형에 입각하여 자유학년제가 의도한 효과와 의도하지 않은 효과를 함께 검토하였다.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년제가 자유학기제에 비해 중학생의 진로성숙도와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자유학년제가 자유학기제에 비해 중학생의 학업성취도와 사교육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분석을 위해 부산교육종단연구(BELS) 데이터를 통상자승회귀분석법(Ordinary Least Square)과 경향점수매칭법(Propensity Score Matching)을 활용하여 효과를 추정하였다. 주요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유학기제와 비교했을 때 자유학년제가 학생의 진로성숙도 및 창의성에 미치는 효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단순히 시행 기간을 두 학기로 연장하는 것만으로는 자유학년제가 의도한 효과가 나타나기 어려움을 본 연구는 시사한다. 둘째, 자유학년제는 자유학기제에 비해 학생의 국어, 수학, 영어 학업성취도를 모두 유의하게 저하시켰다. 자유학년제 시행 이후 학력이 저하될 것이라는 우려의 시선이 기우가 아니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학생의 학력이 저하되지 않도록 자유학년제 정책 집행에 주의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셋째, 자유학년제는 자유학기제에 비해 학생의 사교육 참여율을 유의하게 높였다. 자유학년제로 인해 공교육에 대한 신뢰가 저하되고 학생 및 학부모의 불안이 높아지고 있음을 시사한다. 결국, 자유학년제가 의도했던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은 반면 자유학년제가 의도하지 않았던 부정적인 효과는 유의하게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은 정책적 제언을 하였다. 첫째, 적극적인 물적·인적 지원을 제공하여 자유학년제에 대한 교사의 업무 과중을 해소해야 한다. 자유학년제가 본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교사 개인의 역량에 의지하기보다 예산 부족, 체험처 중복, 인력 부족 등의 문제를 해소하여 양질의 교육을 제공할 필요가 있다. 둘째, 과정 중심 평가 내실화 및 기초학력보장을 위한 제도적 노력이 필요하다. 지필평가가 시행되지 않는 대신 새로운 평가방법인 과정 중심 평가를 체계적으로 운영할 수 있도록 지원해야 한다. 과정 중심 평가 결과를 기반으로 성취수준에 도달하지 못하는 학생들을 확인하고, 이들을 위한 학습 지원을 적극적으로 제공할 필요가 있다. 셋째, 자유학년제 및 자유학기제 정책에 대해 증거 기반 의사결정(evidence-based decision-making)을 할 필요가 있다. 자유학년제에 대한 데이터 기반 연구들을 바탕으로, 실효성이 높은 정책을 채택하여 안정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examines the effect of the Free-year program by comparing it with the Free-semester program in South Korea. Recently, there have been many changes between Free-semester program and Free-year program, causing substantial confusion in schools. It is important to draw implications by comparing the effects of the Free-year program and Free-semester program. In particular, this study examined the intended effects and the unintended effects simultaneously based on the side-effects evaluation model. The research questions are as follows. First, what are the effects of the Free-year program on the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Second, what are the effects of the Free-year program on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and shadow education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o answer these questions, this study conducted the Ordinary Least Square and Propensity Score Matching analyses, using the Busan Education Longitudinal Study (BELS) data. The main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he effect of the Free-year program on students' career maturity and creativity was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suggests that simply extending the implementation period to two semesters does not guarantee a positive effect. Second, the Free-year program significantly affected negatively the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n Korean, Mathematics, and English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his finding supports the concern that students will underachieve after the implementation of the Free-year program, suggesting that caution for students' academic achievement is more needed while implementing the Free-year program. Third, the Free-year program significantly increased students' participation in shadow education compared to the Free-semester program. This suggests that trust in public education is decreasing and parents' anxiety is increasing. Overall, the positive effects intended by the Free-year program are not significant, while the negative effects which were not intended by the Free-year program are significant. Based on the findings, this study concludes with suggestions for the policy. First, it is necessary to relieve the burden of teachers' work through material and human support. To achieve the policy's goal, it is required to provide good quality education, by solving problems such as lack of budget, overlapping experience centers, and lack of manpower, rather than relying on teachers' manpower. Second, institutional efforts are needed to enhance process-fortified assessment and guarantee basic education. It is important to support process-fortified assessment, which is a new evaluation method compared to traditional assessment. Based on the results, it is important to actively provide learning support for students who do not reach the achievement level. Third, it is necessary to make evidence-based decision-making for the Free-year program and Free-semester program. Based on the data-based studies, it is necessary to adopt an effective policy and operate it stably.

      •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 연구

        이현정 부산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8703

        2015 개정 교육과정에 따라 미래 핵심 역량을 기를 수 있는 중학교 교육과정 중 가장 중요한 부분이 자유학년제이며, 자유학년제 고유의 교육과정 중 하나가 바로 주제선택활동이다. 지금의 COVID-19 시대 뿐만 아니라 미래의 포스트 코로나 시대에서도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이 교사와 학생 모두에게 교육적으로 의미 있는 활동이 되기 위해서는 주제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에 대한 연구를 통해 앞으로 나아가야 할 방향 및 개선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필요하다. 이에 본 연구는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 차이를 분석하여 교육적 효과와 운영상의 어려움 및 개선안을 찾고, 주제선택활동의 지속 가능한 발전을 위한 방안이 무엇인지 알아보기 위해 혼합 연구를 실시하여 다음과 같은 결과를 얻었다. 첫째,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와 학생의 인식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고, 교사에 비해 학생들의 인식도는 상대적으로 낮았다. 다만,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의 정의적 영역에 대한 인식 중 학생들의 적극적인 참여와 만족감에 대한 인식은 교사와 학생 사이에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는 등 활동 자체에 대해서는 학생들도 긍정적인 인식을 보였다. 둘째,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에 대한 교사의 인식 차이를 교사의 배경 변인에 따라 분석한 결과, 교사의 성별에 따른 인식은 모든 설문 내용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또한, 교사의 직위에 따른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에 대한 인식은 다른 영역에 비해 교수․학습 방법과 관련하여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교사의 교직 경력에 따른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에 대한 인식은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였다. 셋째,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에 대한 학생의 인식 차이를 학생의 배경 변인 중 성별에 따라 분석한 결과, 전반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넷째,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의 문제점 및 개선 방안에 대한 설문 분석 결과,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 운영에 있어 개선되어야 할 점으로 교사는 콘텐츠의 다양성 부족을, 학생은 콘텐츠의 흥미도 부족을 가장 많이 응답했다. 또한,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의 내실 있는 운영을 위해 필요한 요소로 교사와 학생 모두 흥미 있는 콘텐츠 개발을 가장 먼저 지원되어야 한다고 응답했다. 이와 같은 연구 결과를 통해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의 운영 목적 및 취지를 살리며 내실 있는 학생 중심 운영을 위해 학생들의 삶과 연계되며 학생들의 요구와 호기심을 충족해 줄 수 있는 다양한 콘텐츠이 개발이 필요하고, 개발된 자료를 교사들이 효율적으로 활용할 수 있는 공유 기회를 충분히 제공해 주어야 한다. 수준 높은 콘텐츠 및 교육과정을 다양하게 개발하고 보급하여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질적 제고를 이끌어내야 한다. 둘째,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에 대한 학생 선택권 확보를 위해 요구 분석이 반드시 선행되어야 하며, 학교별 상황에 따른 프로그램 운영에 대한 제약을 해결하고자 하는 노력도 수반되어야 한다. 학생들의 적성과 흥미가 최대한 반영되도록 운영 프로그램 수를 다양화하고, 학급 당 인원수도 적정화하여 수업의 질을 향상시키기 위한 정책과 행‧재정적 지원도 따라야 할 것이다. 셋째, 자유학년제 주제선택활동의 본연 취지에 맞는 교과 심화 및 다양한 진로 탐색의 기회가 되기 위해 지역의 다양한 기관들과 유기적 협력 체제를 구축해 나가는 시스템도 반드시 보완되어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