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LESC 온라인 독해 과정 모형에 따른 청소년 독자의 읽기 특성 분석

        최숙기 ( Sook Ki Choi ) 한국독서학회 2013 독서연구 Vol.0 No.30

        이 연구의 목적은 LESC 온라인 독해 과정 모형에 따라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의 읽기 특성을 분석하는 데 있다. 이를 위해 5명의 능숙한 중학생 독자를 대상으로 하여 LESC 모형의 각 독해 과정별로 나타나는 읽기 특성을 분석하였다. 이들 청소년 온라인 독자들은 개방형 인터넷 환경에서 우리나라 청소년의 평균 수면 시간에 관한 온라인 독해 과제에 참여하였고, 온라인 독해의 과정은 안캠코더(AnCamCoder)를 통해 기록되었으며 읽기과정을 세밀하게 살피기 위해 사고구술법을 적용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학생들은 1) 정보 탐색을 위한 읽기, 2) 평가를 위한 읽기, 3) 종합하며 읽기, 4) 의사소통하기 의 4단계의 온라인 독해 과정을 거쳤다. 둘째, 학생들은 정보 탐색적 읽기 단계에서 1) 웹 기반 검색 엔진에 대한 사전지식 활용, 2) 적합한 검색어 선택 및 사용, 3) 전방 추론적 읽기, 4) 훑어 읽기, 6) 찾아 읽기 전략 등을 사용하였다. 셋째, 평가하며 읽기에서 온라인 독자들은 1) 저작자 및 웹사이트 관련 정보 출처에 대한 신뢰도 평가와 2) 정보 내용에 근거한 타당도와 신뢰도 평가하며 읽기 전략을 사용하였다. 넷째, 종합하며 읽기에서 온라인 독자들은 1) 중요 정보에 대한 파악과 종합하기, 2) 여러 정보 자원을 종합하기 전략을 사용하였다. 다섯째, 의사소통하기의 단계는 과제의 제약으로 인해 제한적으로 나타났다. This study explored traits analysis of adolescent online reader based LESC online reading comprehension model. 5 middle school students with high reading score and Internet reading experiences were selected from a population. These 5 completed online reading task that involved reading within websites or using search engine. The results were that 1) online readers processed 4 stage of online reading process involved locating information, critically evaluating information, synthesizing information, communicating information. 2) when located information, they used the strategies; using prior knowledge of search engine systems, key words generating, inferential reasoning reading, scanning. 3) when critically evaluated information, they used the strategies; reliability evaluation of author and websites sources, reliability and validation evaluation of information contents. 4) when synthesized information, they used the strategies; identifying main information and integrating multiple information sources. 5) because of communication task had a limitation, the strategies were not showed apparently.

      • KCI등재

        성공적인 초등영어 독자의 웹기반 영어 읽기에 나타난 뉴리터러시 기능 및 온라인 읽기 전략 탐구

        양재석(Jaeseok Yang) 인문사회과학기술융합학회 2019 예술인문사회융합멀티미디어논문지 Vol.9 No.5

        본 연구는 우리나라 초등학생 영어 학습자가 온라인 읽기과업을 수행하면서 나타나는 뉴리터러시 기능의 양상과 온라인 읽기전략의 활용을 조사하였다. 성공적인 독자에게 나타나는 온라인 읽기 전략 및 웹기반 읽기과정에서 수반되는 뉴리터러시 기능을 살펴봄으로서 교육적 적용 방안을 모색하고자 한다. 이를 위해 대구지역 A초등학교에 재학 중인 6학년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1년간 웹기반 읽기 수업에 참여한 학생 중 읽기능력이 높은 참여자 4명을 선정하여 성공적인 독자의 온라인 읽기 전략 활용 및 과정의 양상을 살펴보고자 하였다. 각각의 참여자에게 웹기반 읽기과업을 제시하고 생각말하기 기법 및 심층면접을 실시하여 질적분석을 통해 온라인 읽기전략과 활용양상 및 웹기반 읽기과정에서 나타나는 뉴리터러시 기능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성공적인 온라인 읽기 학습자들은 온라인 읽기 과업을 수행함에 있어 중요한 질문 식별하기, 정보찾기, 정보 재조직하기, 정보 평가하기와 같은 뉴리터러시 기능을 사용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온라인 읽기 전략으로는 전반적 읽기전략, 지원전략, 문제해결전략을 비롯한 다양한 온라인 읽기 전략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영어에서 웹기반 영어 읽기를 적용함으로서 21세기에 요구되는 문해력을 기를 수 있는 교수방안을 적용할 필요가 있다. This study investigates the use of online reading strategies by the successful EFL primary students and identifies their strategic process involved in new literacy practices. Four 6th grade primary students participate in this study. They are successful EFL readers and have taken a Web-based English reading class for one year. The participants are asked to read an online text and answer comprehension questions. The data include observation, think-aloud protocols, and in-depth interviews. Through the qualitative analysis, the emerging characteristics of strategic reading behavior indicate EFL readers demonstrate the fulfillment of new literacy functions including identifying questions, locating information, synthesizing information. In addition, they employ diverse online reading strategies including global reading strategies, support strategies, and problem-solving strategies. On the basis of the findings, it can be suggested that the web-based reading practices be applied to English education and the learning opportunities be offered to the elementary students to develop their strategic process of online reading in English.

      • KCI등재

        청소년 온라인 독자의 LESC 독해 처리 과정 모형에 기반한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

        최숙기(Choi Sook Ki) 학습자중심교과교육학회 2017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Vol.17 No.8

        본 연구는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읽기 교육을 위한 온라인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2013년도에 시행된 1차년도 연구에서는 우리나라 청소년 약 2,000명의 온라인 읽기 수행 및 온라인 읽기 태도에 대한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고 능숙한 온라인 독자에 해당하는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온라인 독해 처리 양상을 질적으로 분석하였다. 2014년도 시행된 2차년도에서는 1차년도 연구 결과인 우리나라 청소년 온라인 독자 특성 분석과 Leu et al.(2004)의 LESC 모형에 관한 선행 연구를 토대로 청소년 온라인 독자의 LESC독해 처리 과정 모형에 기반한 읽기 교수 학습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실시하였다. LESC 단계별로 9개의 온라인 독해 기능을 추출하였고, 18개의 온라인 독해 전략을 추출하였다. LESC 온라인 독해 과정 및 온라인 독해 기능 및 전략에 대한 개관 단원, 2개의 온라인 읽기 실제 단원 총 3개의 단원을 약 20차시 단위로 구성되어 있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온라인 읽기 교수법인 인터넷 상보적 교수법(The Internet Reciprocal Teaching Model)을 적용하여 교사의 안내된 읽기 지도와 모델링, 동료들과 협력, 독립적 탐구의 3단계로 수업이 이루어지도록 구성되었고, 온라인 읽기의 실제성을 높이기 위해 DocZoom creator 저작 도구를 활용하여 웹 기반의 교재를 개발 하였다.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develop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LESC online reading process model for adolescent online reader. LESC online reading process entail the reading to locate, reading to evaluate, reading to synthesize, reading and writing to communicate. LESC online reading model was developed by Leu, Kinzer, Coiro, & Cammack(2004), this model was the initial basis of korean adolescent readers LESC reading process model.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based LESC online reading process model for Korean adolescent online reader is consist of 9 online reading sub skills and 18 online reading strategies related LESC reading process. This Online reading instruction program consist of 3 units based internet reciprocal teaching(IRT). In First unit, teacher introduce LESC online reading process, phased online reading sub-skills and online reading strategies and students practice online reading task examples. In Second unit, teacher suggest authentic online reading task about Korean students sleep problems and students read online texts searching internet. In third units, teacher suggest authentic online reading task about the relating SNS and Students friendship and students read online texts searching internet.

      • KCI등재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대응 방안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 설계

        신윤경 한국국어교육학회 2021 새국어교육 Vol.- No.127

        Purpose :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larify the concept of online false information and to support learners by designing a teaching/learning model for learners to cope with online false information. Methods : Previous studies and discussions related to the concept of online false information were analyzed. In particular, Korean language and achievement standards related to critical reading strategies of online false information were analyzed, and reading strategies to be suggested were derived. I designed a critical reading teaching and learning model of online false information. Results : Reading strategies that should be strengthened to cultivate learners' ability to critically read false information online are presented as strategies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In addition to this, we proposed the steps to check and approach by designing a teaching/learning model, confirming facts, reading, evaluating, reading, communicating, and searching for further reading. Conclusion : The problem of online false information is regarded as a problem that must be solved not only in the present but also in the context of continuously reading digital media in the educational field. Therefore, there is a need for a widespread discussion to suggest an educational method that allows learners, who are readers, to independently judge the authenticity of false information and critically read it. 목적 : 본 연구는 온라인 허위정보의 개념을 밝히고, 학습자가 온라인 허위정보에 효과적으로 대처하기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하는 데 목적이 있다. 방법 : 온라인 허위정보의 개념과 관련된 선행 연구와 논의를 분석했다. 또한, 온라인 허위정보의 비판적 읽기 전략과 연관된 국어과 성취기준을 분석하였으며 제안할 읽기 전략을 도출하였다. 온라인 허위정보의 대응을 위한 읽기 교수․학습 모형을 설계했다. 결과 : 학습자의 온라인 허위정보 비판적 읽기 능력 함양을 위해 강화되어야 할 읽기 전략을 읽기 전, 읽기 중, 읽기 후 전략으로 제시했다. 이와 더불어 교수․학습 모형 설계로 확인하며 접근하기, 사실 관계 확인하며 읽기, 평가하며 읽기, 소통하며 더 찾아 읽기 단계를 제안하였다. 결론 : 온라인 허위정보의 문제는 현재뿐만 아니라, 지속적으로 디지털 매체 읽기의 맥락 속에서 해결해야 할 과제라고 본다. 따라서 독자인 학습자 주체적으로 허위정보의 진위 여부를 판단하고, 비판적으로 읽을 수 있는 교육 방법을 제안하는 확산적 논의가 이어질 필요가 있다.

      • KCI등재

        디지털/온라인 읽기의 개념과 국내 연구 동향 : 2000년에서 2022년까지 연구물을 바탕으로

        김성엽 ( Kim Seongyeup ) 한국독서학회 2022 독서연구 Vol.- No.65

        본 연구는 디지털 읽기와 온라인 읽기의 의미 영역을 밝히고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한 연구다. 우선 선행 연구를 통해 용어의 의미 영역을 밝히는 인식론적 기반을 바탕으로 두 개념의 영역 범주를 설정함으로써 용어 개념을 고찰했다. 그 뒤 두 개념의 교호성을 수용해 본격적인 디지털/온라인 읽기가 시작된 2000년대 이후 국내 연구 동향을 분석해 실정을 파악하고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했다. 분석 결과, 본 연구 분야와 시대·사회적 맥락의 긴밀한 영향 관계를 파악했고, 연구 주제별 편차와 각 주제별 세부 유형의 편차도 매우 큰 실정을 파악했다. 연구 방법은 균형 있게 수행되고 있었고, 연구 대상 역시 실정에 맞게 수행되고 있었다. 하지만 연구 주제의 편중으로 인해 디지털/온라인 읽기 전략과 교사 교육 연구가 부족한 실정을 특히 문제적으로 제시했으며, 이런 분석 결과를 토대로 추후 디지털/온라인 읽기 연구를 위한 보완점과 제언을 제시하고 논의하였다. This study reported on the meaning domain between digital reading and online reading and analyzed their domestic research trends. The research aimed to establish the meaning domain of two concepts and considered the notion of terms by considering an operational definition of the two concepts. The result reported a close relationship between era and reading form and identified a big deviation between the research topics (furthermore, specific parts of the same topic). There was a balance between the research methods and subjects. However, due to the topic bias, research on digital/online reading strategy or teacher training is lacking. Based on this conclusion, suggestions and countermeasures for future studies have been discussed.

      • KCI등재

        온라인 학습도구를 활용한 읽기 학습방안 연구

        유용태 ( Yongtae Yu ) 사단법인 아시아문화학술원 2020 인문사회 21 Vol.11 No.6

        이 연구는 온라인 학습도구를 활용한 학습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NCS 문서이해능력에 기반하여 읽기 학습을 인지주의 관점에서 구성하였다. 읽기학습은 단어 문장 수준의 의미 파악과 문서 수준의 목적, 의도 파악으로 나누었고 문서이해 절차의 6단계에 따라 12개의 읽기 학습으로 설계하였다. 전문대학의 교육여건에 적합하도록 온라인 학습도구를 활용한 읽기 학습을 제시하였다. 구글 클래스 룸을 활용한 읽기 학습은 의사소통 수업과 병행하여 총 12주차로 진행되며 학습 분량을 10분 정도로 설계하였다. 읽기 자료는 의사소통 수업과 연관된 내용을 다루며 교수자는 읽기 성취를 검토함으로써 학생들의 참여도를 높여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대응하는 방안이다. 그러나 이 연구는 이론과 문헌에 기반한 연구로 그 성과를 직접적으로 제시하지 못했다는 한계가 있다. 다양하게 변화하는 교육환경에 적합한 읽기 교육의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기를 기대한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cognitive reading and to present educational methods with onlinelearning tools. The NSC document understanding ability is focused on information perception. Therefore, reading study is form by decoding the meaning in words & sentences on documents, and understanding goals & meanings on documents using an aspect of cognitivism. The reading study is constructed with the following 6 steps of the document- understanding procedurals in 12 weeks of the study. This study suggests the reading study ways, suitable for educational conditions of community college, through onlinelearning tools. The reading study that is structured as ten-minute curriculums under the platform of Google study room and communication studies in the regular study room is performed at the same time. The reading materials of the reading study are involved in communication studies. Also, the instructor of the studies tries to bring students’ attention by examining the accomplishment of reading. This online-learning is a way of a response to fit into a changing atmosphere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However, this study is based on theory and has a limitation in that it has not been able to directly present its results. The reading study, that is a proper way to deal with the rapidly changing educational environment is expected to be developed more.

      • KCI등재

        Anaphor Resolution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김명수(Myungsoo Kim),황민아(Mina Hwang)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7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2 No.3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이해부진 아동의 읽기이해 과정에서 대용어 참조해결 특성을 범주단서와 문맥단서에 따라 살펴보는 것이다. 방법: 초등학교 3-6학년 읽기이해부진 아동 13명과 일반아동 13명을 대상으로 대용어 참조해결에 대해 범주단서와 문맥단서 조건으로 온라인 읽기과제를 진행하였다. 문항은 선행어 문장과 대용어 문장의 두 문장으로 구성되었다. 문항 이후에 대용어 참조해결을 확인하는 판단문장이 제시되었다. 아동들은 테블릿으로 제시되는 문항을 문장단위로 읽었고, 대용어 문장의 읽기시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두 조건 모두에서 일반아동보다 대용어 문장의 읽기시간이 느렸다. 일반아동은 범주조건의 대용어 문장읽기 시간이 문맥조건 보다 빨랐지만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문맥조건의 대용어 문장읽기 시간이 범주조건 보다 빨랐다. 논의 및 결론: 읽기이해부진 아동은 대용어 참조해결에 낮은 수행을 보이고 대용어 참조해결 단서를 적절히 활용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읽기이해부진 아동과 일반아동의 범주단서와 문맥단서에 따른 대용어 참조해결 양상이 다름을 확인하였다. Objectives: This study investigated anaphor resolution during discourse reading in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13 children with poor reading comprehension and 13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in grades 3 to 6. The children performed an online reading task where they were presented 40 discourses of two sentences where the first sentence containing two antecedents and the second containing an anaphor. The discourses were divided into half based on the types of cues that the children could utilize for anaphor resolution: categorical cues and contextual cues. The children were asked to press a button as soon as they comprehended each sentence and the reading times were measured online. A verification sentence followed each discourse to confirm the children’s anaphor resolution. Results: The reading time of the sentences with an anaphor were significantly slower in the poor comprehenders compared to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read anaphor sentences with categorical cues faster than those with contextual cues. However, the poor comprehenders read anaphor sentences with contextual cues faster than those with categorical cues. Conclusion: The poor comprehenders’ performances during the online reading task indicated that they had difficulties in anaphor resolution. In addition, the poor comprehenders and the typically developing children appeared to be different in utilizing the two types of cues (categorical and contextual cues) during the process of anaphor resolution.

      • KCI등재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접속부사 처리 특성: 인과적, 부가적 접속부사를 중심으로

        손정진,황민아,최경순 한국언어청각임상학회 2015 Communication Sciences and Disorders Vol.20 No.4

        배경 및 목적: 본 연구의 목적은 읽기이해부진아동의 읽기처리 과정에서 인과적 접속부사와 부가적 접속부사의 처리의 효율성이 또래 일반아동과 어떠한 차이를 보이는지 비교하기 위함에 있다. 방법: 이를 위하여 3-5학년 읽기이해부진아동 10명과 또래 일반아동 10명을 대상으로 인과 및 부가 접속부사 유무 조건의 온라인 읽기과제를 실시하였다. 실험도구로서 읽기이해부진아동이 이해 가능한 수준의 단문 2개로 구성된 짧은 덩이글 60개를 제작하였다. 덩이글 중 20개는 인과적 접속부사 유무 조건이고, 나머지 20개는 부가적 접속부사 유무 조건이었으며, 채움(filler) 문장 20개였다. 아동들은 모니터에 무작위로 제시되는 덩이글을 어절단위로 읽었고, 접속부사 제시 또는 생략된 후행문장의 읽기시간을 실시간으로 측정하였다. 결과: 연구의 결과, 읽기이해부진아동은 모든 조건에서 또래 일반아동과 비교하여 유의미하게 느린 읽기시간을 보였다. 접속부사 유무에 따른 읽기시간에 있어서 일반아동은 부가적 접속부사와는 달리 인과적 접속부사 제시에 따른 읽기촉진효과가 나타난 반면, 읽기이해부진아동은 부가적 접속부사뿐만 아니라 인과적 접속부사 조건에서도 유무에 따른 읽기촉진효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논의 및 결론: 이러한 결과를 통해 읽기이해부진아동은 이해 가능한 쉬운 글에서도 느린 읽기시간을 보이고 있으며, 글 이해에 있어 긍정적 영향을 미치는 문법적 장치인 접속부사를 적절히 활용할 수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 KCI등재

        온라인 정보 검색 과정에서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

        왕효성 한국국어교육학회 2013 새국어교육 Vol.0 No.95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patterns of reading strategies used by proficient readers when searching and locat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In order to accomplish this research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is constructed:What kinds of reading strategies proficient readers use when searching and locating information on the internet? Data sources were from questionnaires, interview, observation, and think-aloud protocols. These data sources were conducted from six Chinese college students with high Korean language proficiency in K University. Qualitative analysis was used for data analysis. The findings of data analysis suggested that skilled readers applied following strategies when reading online, 1) activating prior knowledge sources, 2) using inferential reasoning strategies, 3) self-regulated reading strategies and 4)critical reading strategies. Also, language switching strategies appeared frequently during online reading. Finally, implications for reading education and future research are discussed. 본 연구는 능숙한 독자들을 대상으로 그들의 온라인 정보 검색 과정에서의 읽기 전략 사용 양상에 대해 살펴보았다. 주로 K대학 대학원 재학 중인 중국인 대학원생 20명에게 설문조사를 실시하여, 이 중 참여자 조건에 가장 잘 맞고, 또한 연구 참여 가능한 6명을 최종 참여자들로 선정하였다. 참여자들에게 1) 특정한 정보 웹사이트, 2) 검색 엔진을 사용하여 특정한 정보를 검색하고, 평가하고, 종합하도록 요구하는 과제들을 부여하였다. 참여자들이 두 개의 읽기 과제를 수행하는 동안 머릿속에 떠오르는 모든 생각들을 생각 말하기 방법(think-aloud method)을 통하여 수집하고 녹화하였다. 실제의 온라인 정보 검색 과정에 나타나지 않았거나, 미처 표현되지 못한 독자들의 초인지적 사고 과정(metacognitive thought process)을 포착하기 위하여, 사전 인터뷰와 사후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설문지, 생각말하기 프로토콜, 관찰, 인터뷰 등 자료를 바탕으로 분석한 결과, 능숙한 독자들은 다음과 같은 읽기 전략을 사용한 것으로 나타났다. 1) 선행 지식 자원, 2) 추론적 전략, 3) 자기 조정적 읽기, 4) 비판적 읽기가 그것이다. 이외에는 온라인 읽기 과정에서 언어 전환(language switching) 양상도 자주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연구의 제한점들과 시사점들을 제시하였다.

      • KCI등재

        검사동등화를 통한 지필-온라인 모드 효과 분석 :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용 영어 읽기 시험을 대상으로

        유진은(Jin EunYoo) 한국교육평가학회 2009 교육평가연구 Vol.22 No.3

        시험지 복사·운송과 관련한 비용 절감,혁신적인 문항의 실시,문항 당 반응 시간과 같은 부가적인 정보 획득 등의 여러 가지 이점으로 인해 최근 온라인 시험이 각광받기 시작했다.그러나 컴퓨터로 보는 온라인 시험은 컴퓨터 단말기가 학생 수만큼 있어야 하므로 지필 시험에서처럼 모든 학생들이 한번에 시험을 보기가 힘들다.현장에서는 같은 시험을 지필 시험과 온라인 시험 중 하나로 선택하여 볼 수 있도록 하는 것이 일반적인데,이렇게 같은 시험이 지필·온라인의 두 유형으로 공존하는 상황에서는 지필 시험을 선택한 학생과 온라인 시험을 선택한 학생이 그 결과에 있어 차이가 없는지 비교·분석하여 해석하고 그에 따라 의사 결정을 내릴 필요가 있다.본 연구는 영어가 모국어가 아닌 학생용 영어 읽기 시험의 지필-온라인 모드 효과를 Stratified-Matched Sample Comparability Analyses(Stratified-MSCA;층화-MSCA)방법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Stratified-MSCA방법은 지필 시험을 본 학생이 능력 급간도 같고 인구통계학적 특성도 같은 온라인 시험을 본 학생과 매치(match)되도록 표집하여 원점수에서 척도점수로의 변환을 부트스트랩 방법을 이용해 구한다.연구 결과,최고 학년 급을 제외한 모든 학년에서 모드 차이가 있었다.학년·피험자의 능력·성별 등에 따라 패턴이 달랐으나,모드 차이가 있을 때 피험자들은 온라인 시험에서 더 유리한 경향을 보였다.특히 2·3학년 여학생의 경우 같은 학년 남학생보다 온라인으로 시험 보는 것이 더 유리했다.지필 시험이 온라인 시험으로 한 번에 전환되기 힘들기 때문에 온라인·지필 시험이 공존하는 상황에서 모드 효과가 계속 논란거리를 제공할 여지가 있다.앞으로의 지속적인 후속 연구로 온라인·지필 시험에서의 모드 효과가 이론적으로 정립될 필요가 있다. Due to well-known advantages of online testing, several U.S. statede partments of education have been implementing, and many more are interested in online tests. As all schools do not have the in frastructure to test all students at one time online, online and paper-and-pencil tests have to coexist. When a test is offered both in paper-and-pencil and online, the comparability of the results needs to be examined with professional standards. This study analyzed the mode effect of paper-and-pencil and online tests of English reading for nonnative speakers grades 2 to 12, using Stratified-Matched Sample Comparability Analyses (Stratified-MSCA). Stratified-MSCA matches paper sample to online sample of the same demographic profiles and in the same ability level, performs bootstrap replications, and yields as eparate raw-score-scale-score conversion table, if mode difference is detected. All grade-bands except the grade-band 10~12 showed mode effect. When mode effect exists, the online sample was favored. Particularly, grades 2 and 3 female students had greater advantage of taking tests online, compared to their male counterparts. Aspaper-and-pencil tests cannot be converted to online tests all at once, mode effect between them can be of great issue. Further studies are needed to establish mores table theories in paper-and-pencil and online mode effec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