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스타트업의 애자일 문화 영향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 : 애자일 조직문화, 조직몰입의 다중매개효과 중심으로

        엄미선 한성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디지털 혁신에 기반한 4차 산업혁명은 다가올 미래가 아니라 현실이 되었고, 최근 코로나19와 같이 예측하지 못한 환경이 발생되고, 여기에 4차 산업혁명의 시대 혹은 디지털 전환의 시대에 스타트업들에게 경영 불확실성은 더욱 강하게 증폭되고 있으며 위협과 위험이 내재되며 급변하고 있는 경영 환경에 스타트업의 경쟁력과 차별화된 자원의 확보가 보다 절실히 요구되고 있는 상황이다. 이렇듯 경영환경의 불확실성이 커지고 빠르게 변화하면서 애자일(Agile) 경영기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최근 애자일이 기업 경영 전반에 걸쳐 적용할 수 있는 조직 운영 방식의 하나로 자리매김하고 있는 이유는 고객 요구의 변화에 유연하고도 신속하게 대응하고 시장 변화에 빠르게 반응할 수 있는 조직문화의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이는 모든 스타트업들에게 요구되는 생존 및 성장전략이라 할 수 있다. 스타트업의 생존과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 역량 있는 창업가, 기발한 비즈니스 모델 및 아이디어, 기술력과 자본 외에도 성공한 스타트업은 모두 그들 조직 만의 조직문화가 있다. 스타트업이 수많은 인재를 모아 그들의 시너지를 기반으로 지속적으로 성장 할 수 있었고 그것이 결국 그들을 성공으로 이끌었던 힘이라고 하였다. 특히 지금처럼 코로나 19에 의한 특별한 시기에서의 스타트업에게는 적응력이 높은 애자일 조직문화는 더욱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급변하는 환경에서 스타트업의 생존 및 성장을 위한 방안으로 조직 문화적 관점에서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따라 스타트업에서의 애자일 문화 영향요인이 경영성과에 미치는 영향력을 확인하였으며, 이 과정에서 애자일 조직문화와 조직몰입의 다중매개효과도 확인하였다. 기존 선행연구에서의 애자일 조직문화에 관한 연구는 대기업, 중견기업을 기반으로 주로 이루어졌으며,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진행된 선행연구는 부족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는 스타트업을 대상으로 애자일 문화 영향요인과 애자일 조직문화, 조직몰입, 경영성과에 관한 연구를 진행함으로써 새로운 개념 및 학문적 시사점을 제공한다는 것에 큰 의미가 있다고 하겠다. 또한 스타트업의 생존과 성장발전을 위한 방안으로 조직관리 차원으로 접근함으로써 스타트업의 생존 및 성장전략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7년 미만의 스타트업의 임직원을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수집된 233부 데이터를 SPSS 22.0와 AMOS 22.0을 통하여 분석하였다. 표본의 인구통계학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빈도 분석을 실시하고, 기술통계분석, 탐색적 요인 분석, 크론바흐 알파(Chronbach’s alpha)계수를 사용하여 신뢰성 분석, 확인적 요인분석을 통한 집중타당성과 판별타당성 검증, 가설검증을 위해 구조모형모델 분석을 시행하였다. SPSS PROCESS macro Model 6을 사용하여 다중매개효과 분석을 시행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 번째, 애자일 문화 영향 요인으로 조직적 요인은 애자일 조직 문화의 지속적 학습과 임파워먼트,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애자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심을 가지며 애자일에 대한 적극적인 최고경영진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반면에 조직적 요인이 협업에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는데, 이것은 대기업이나 중견기업에 비해 스타트업은 소규모라는 특성상 멀티 플레이어를 하는 기업이 대부분이고 부서 또는 동료 간의 협업에 관한 체계적인 프로세스가 구축되지 않았기 때문에 기존 선행연구 결과와 상이한 결과가 나왔다고 해석해 볼 수 있다. 두 번째, 애자일 문화 영향 요인으로 기술적 요인은 애자일 조직 문화의 협업, 지속적 학습, 임파워먼트,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정보기술의 사용 및 구축이 높을수록 애자일 조직 문화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세 번째, 애자일 문화 영향 요인으로 환경 불확실성은 애자일 조직 문화의 협업과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스타트업을 둘러싼 다양한 이해관계자들과 고객들의 반응에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해 협업과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이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지속적인 학습과 임파워먼트는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것은 조직 구성원 간에 애매모호한 역할 및 책임 등으로 동기부여가 결여된 상황에서 발생될 수 있을 것으로 판단 해 볼 수 있으며, 이를 바탕으로 조직 내 구성원 간의 역할에 대한 명확한 제시가 필요하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네 번째, 애자일 문화 영향 요인으로 조직적 요인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애자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심을 가지며 애자일에 대한 적극적인 최고경영진의 지원이 높을수록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도 높아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적 요인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정보기술의 사용 및 구축 등은 조직 구성원의 내재적 동기요인에는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해석할 수 있다. 환경 불확실성은 조직몰입에 부적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높은 조직몰입은 급변하는 환경 불확실성에 대한 불안한 요소를 감소시키는 역할을 할 수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다섯 번째, 애자일 문화 영향 요인으로 조직적 요인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즉 애자일에 대한 중요성을 인식하고 관심을 가지며 애자일에 대한 적극적인 최고경영진의 역할은 조직관리 관점에서의 활용방안을 구축할 수 있고 경영성과를 향상 시킬 수 있다고 할 수 있겠다. 기술적 요인과 환경 불확실성은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즉, 정보기술의 사용 및 구축 등은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 관계는 아님을 알 수 있었고, 환경 불확실성 역시 경영성과에 직접적인 영향 관계가 아님을 알 수 있었다. 여섯 번째, 애자일 조직 문화로 협업은 조직몰입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반면에 지속적 학습, 임파워먼트,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은 조직몰입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즉 조직 내 지속적 학습의 수준과 임파워먼트의 수준, 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의 수준이 높을수록 조직 구성원의 조직몰입을 향상 시킬 수 있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일곱 번째, 애자일 조직 문화로 협업과 지속적 학습은 경영성과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는 조직 내 협업의 수준과 지속적 학습의 수준이 높을수록 경영성과에 미치는 직접적인 영향력이 증가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반면에 임파워먼트는 경영성과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여덟 번째, 조직몰입은 경영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확인 되었다. 이는 조직 구성원들이 자각하는 업무수행 난이도 대비 적절한 보상이 이루어지지 않는다면 조직 몰입도가 낮아지고 이에 따라 경영성과에도 부의 영향을 미친다는 것으로 해석해 볼 수 있겠다. 아홉 번째, 애자일 문화 영향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애자일 조직문화(협업)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서는 조직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에 단일매개효과(협업), 다중매개효과(협업, 조직몰입)은 없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환경 불확실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 다중매개효과(협업, 조직몰입)도 없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에 조직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기술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헙업)과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은 매개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다중매개효과(협업, 조직몰입)도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 번째, 애자일 문화 영향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애자일 조직문화(지속적 학습)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서는 기술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 다중매개효과(지속적 학습, 경영성과)는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반면에 조직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지속적 학습),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 다중매개효과(지속적 학습, 조직몰입)은 모두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환경 불확실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지속적 학습),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 다중매개효과(지속적 학습, 조직몰입)은 모두 매개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한 번째, 애자일 문화 영향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애자일 조직문화(임파워먼트)와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서는 조직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임파워먼트), 다중매개효과(지속적 학습, 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반면에 조직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기술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임파워먼트), 다중매개효과(임파워먼트, 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고,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환경 불확실성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임파워먼트),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 다중매개효과(임파워먼트, 조직몰입)은 모두 매개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열두 번째, 애자일 문화 영향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애자일 조직문화(개인적 커뮤니케이션)과 조직몰입의 매개효과에서는 조직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 다중매개효과(개인적 커뮤니케이션, 조직몰입)은 매개 효과가 없음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또한 기술적 요인과 경영성과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 다중매개효과(개인적 커뮤니케이션, 조직몰입)은 매개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음으로 환경 불확실성과 경영성과 조직몰입 간의 관계에서 단일매개효과(개인적 커뮤니케이션)은 매개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고, 단일매개효과(조직몰입), 다중매개효과(개인적 커뮤니케이션, 조직몰입)은 매개 효과가 없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연구 결과를 기반으로 스타트업 애자일 문화 영향요인, 애자일 조직 문화, 조직몰입, 경영성과 사이에서의 구조적 관계를 분석하고 기존 선행 연구 결과를 실증적으로 확인한 후 새로운 논의 가능성을 제시해주었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스타트업의 특성과 애자일 문화의 특성을 비교하고 그들의 공통점을 기반으로 스타트업의 조직 문화 구축에 관한 실무적 시사점을 제시하고, 애자일의 기본 가치와 원칙을 조직문화로 녹여 내고 사업 여건에 맞는 애자일 방식과 범위를 활용할 수 있도록 실무적 시사점을 제공하였다고 할 수 있겠다.

      • 중국 스타트업의 혁신이 액셀러레이터의 투자에 미치는 영향 연구 : 환경 동태성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장우청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807

        중국은 '대중 창업, 만중 혁신(大众创业,万众创新)' 경제 심화 발전 정책을 추진함에 따라 사람들은 혁신 창업 활동에 더 많은 관심이 보이고 참여하게 되었다. 중국 스타트업은 경제 발전을 촉진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하고 있지만 스타트업의 자본 및 기술 등 핵심자원이 부족하므로 혁신활동을 하는데 있어 많은 제약을 직면하고 있다. 그래서 중국 내 스타트업의 성장 및 발전에 도움이 될 수 있는 액셀러레이터가 지역별, 산업별, 투자별 등 다양한 형태로 운영되고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액셀러레이터는 기업 혁신과 같은 요인을 고려하고 발전 잠재력이 있는 스타트업을 선정하고 그들의 성장에 필요한 인프라 및 투자기회를 제공하고 다양한 지원 프로그램을 하고 있다.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는 지금까지 산업에서 많은 관심을 받아오면서 학자들도 액셀러레이터의 투자 또한 스타트업의 성과 향상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는 것을 중심으로 연구해왔다. 일부 연구자들이 액셀러레이터 투자의향을 결정되는 제품 및 서비스의 전문성, 창업자의 특성, 혁신 등 요소를 중심으로 연구했지만 스타트업의 혁신에 초점을 두고 액셀러레이터 투자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를 하는 연구가 많지 않다. 그래서 본 연구는 스타트업의 혁신을 상품혁신, 공정혁신, 조직혁신, 그리고 마케팅혁신으로 구분하여 액셀러레이터의 재무적이거나 전략적인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검증하고자 한다. 한편으로 중국 빠르게 변화하는 시장 환경에서는 기술 진보가 가속화되고 시장 수요도 빠르게 변화하고 있다. 따라 기업 외부 환경의 불안정성이 점차 증가하고 있다. 스타트업은 성장 및 발전 과정에서 환경의 동태성을 고려하고 복잡하게 변화하고 있는 경쟁 환경에서 적극적으로 대응할 필요가 있다. 그래서 본 연구에서는 환경 동태성을 조절변수로 도입하고 기술역동성 및 시장역동성을 통해 그 효과에 대해 알아보고자 한다. 이러한 바탕으로 본 연구는 스타트업의 혁신인 상품혁신, 공정혁신, 조직혁신, 마케팅혁신, 환경 동태성인 기술역동성 및 시장역동성, 그리고 액셀러레이터 투자유형 간의 관계를 살펴보고자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연구가설을 제기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중국 창업자 및 액셀러레이터 스타트업에서 근무하는 직원, 그리고 액셀러레이터와 공동협력 프로그램에 참여 경험이 있는 사람을 대상으로 설문 조사하고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수집된 401부 유효한 데이터를 가지고 SPSS 26.0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요인분석, 이항 로지스틱 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핵심적인 분석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중국 스타트업의 혁신유형인 상품혁신, 공정혁신, 조직혁신 및 마케팅혁신은 액셀러레이터의 투자에 모두 유의미한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혁신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실행에 옮기는 것은 스타트업들에게 생존과 성장을 위한 필수 요소이다. 이러한 혁신활동을 통해 스타트업들은 액셀러레이터로부터 더 많은 투자를 받을 가능성이 높아지며, 성장과 발전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고 의미한다. 둘째, 중국 스타트업의 혁신유형인 상품혁신, 공정혁신, 조직혁신 및 마케팅혁신 요소를 종합적으로 고려하여 액셀러레이터는 전반적으로 전략적 투자에 비해 재무적 투자를 하는 확률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스타트업들이 혁신 능력을 향상시키고 경쟁우위를 갖춰야 액셀러레이터로부터 더욱 많은 재무적 투자를 얻을 수 있다. 셋째, 중국 스타트업의 혁신이 액셀러레이터의 투자에 미치는 영향에서 환경 동태성의 조절효과에 대해 알아본 결과는 상품혁신, 공정혁신, 조직혁신, 마케팅혁신과 액셀러레이터 투자의 관계에서 기술역동성 및 시장역동성은 모두 긍정적인 조절효과를 보이고 있다. 따라서 스타트업들은 환경의 변화와 불확실성에 대응할 수 있는 유연성을 갖추어야 한다. 종합적으로 본 연구결과는 스타트업을 위한 혁신전략과 방안을 제시하고 중국 액셀러레이터 산업에 대한 적절한 투자 방향을 제시함으로써 스타트업 액셀러레이터 산업의 발전을 기여할 수 있다. As China advances its economic development policy of "Mass Entrepreneurship and Innovation," more and more people participate in innovative entrepreneurial activities. Chinese startups play a crucial role in promoting economic growth, but they face numerous constraints in their innovation efforts due to a lack of essential resources such as capital and technology. Therefore, various accelerators are operated in China, catering to different regions, industries, and investment types, aiming to support the growth and development of startups. Generally, accelerators consider factors like innovation to select startups with potential growth, providing them with necessary infrastructure, investment opportunities, and diverse support programs. Startup accelerators have garnered significant attention in the industry, prompting scholars to research factors influencing accelerator investments and their impact on startup performance. Some researchers have focused on factors such as the expertise of products and services, characteristics of entrepreneurs and their innovation in determining accelerator investment intentions. However, there have been few studies on how startup innovation affects accelerator investments. Therefore, this study aims to examine the impact of startup innovation on accelerator's financial or strategic investments. Startup innovation is categorized into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Furthermore, in the rapidly changing market environment in China, technological advancement is accelerating, and market demand is also changing rapidly. As a result, the instability of the external business environment is gradually increasing. Startups need to actively adapt to the complex and evolving competitive landscape, considering the dynamism of the environment i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process. Therefore, this research considers environmental dynamism as a moderating variable and aims to explore its effects through technological dynamism and market dynamism. Based on the background, the study designs a research model and proposes research hypotheses to examine the relationships among startup innovation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environmental dynamism (technological dynamism and market dynamism), and accelerator investments. To achieve the objectives of this stud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targeting Chinese entrepreneurs, employees working in startup accelerators, and individuals with experience participating in collaborative programs with accelerators. Data were collected, and 401 valid responses were obtained.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using SPSS 26.0, employing techniques such as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factor analysis, and binary logistic regression. The key findings of the analysis are as follows. First, it was found that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which are the indicators of innovation capability in Chinese startups, all have a significant positive impact on accelerator investments. Consequently, recognizing the importance of innovation and implementing it is a crucial factor for the survival and growth of startups. Through such innovative activities, startups have a higher likelihood of receiving more investments from accelerators, which can greatly assist in their growth and development. Second, considering the comprehensive factors of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and marketing innovation in Chinese startups, accelerators are more likely to make financial investments compared to strategic investments overall. Therefore, startups need to enhance their innovation capabilities and gain a competitive edge to attract more financial investments from accelerators. Third, when examining the impact of Chinese startup innovation on accelerator investments, it was found that both technological dynamism and market dynamism have positive moderating effects on the relationship among product innovation, process innovation, organizational innovation, marketing innovation, and accelerator investments. Hence, startups need to be flexible and able to adapt to environmental changes and uncertainties. In conclusion, the findings of this study can contribute to the development of the startup accelerator industry by providing innovative strategies and suggestions for startups and identifying appropriate investment directions for the Chinese accelerator industry.

      • 도시재생스타트업의 활동 경향과 자생력 확보 과정

        이가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807

        한국 도시재생 정책이 정의하는 도시재생의 개념은 노후 공간의 물리적 환 경개선은 물론, 도시쇠퇴가 불러일으킨 다양한 문제들을 경제, 사회, 환경적으 로 재활성화하는 포괄적 의미를 채택하고 있다. 이에 따라 관련 정책의 흐름 은 이를 구현할 수 있는 실행전략을 구체화하는 방향으로 나아가고 있다. 2003년 제정된 「도시재생 활성화 및 지원에 관한 특별법」(이하 도시재생 법) 이후 벌어진 도시재생사업은 국가 주도의 재정지원 사업이 시행되는 과정 에서 다음과 같은 문제점을 나타냈다. 첫째, 도시쇠퇴의 양상은 다양해짐에도 불구하고, 과거 도시 정비 방식의 물리적 환경 조성 사업을 답습했다는 점이 다. 둘째, 많은 도시재생 주체들이 마중물 사업의 재정에 의지함으로써 사업 종료 후 자생력과 지속성을 갖지 못했다는 점이다. 따라서 다음의 역량을 가진 새로운 도시재생 민간주체의 등장이 필요하게 되었다. 첫째, 다변화된 도시쇠퇴의 문제에 대응이 가능한 해결전략을 도출할 수 있는 창의성과 융합적 역량, 둘째, 공공의 지원에 의존하지 않고, 자생적인 이익을 창출하면서도 공공의 이익을 함께 추구할 수 있는 비즈니스 역량이다. 이를 반영해 2017년 제정된 「도시재생뉴딜사업」은 주요 정책과제로 도시 재생 경제조직 활성화, 민간참여 모델 마련, 뉴딜사업의 일자리 창출 등 ‘도 시재생 경제 생태계’를 조성하는 것을 주요 과제로 내세웠다. 민간부문에서 등장한 ‘도시재생 스타트업’들은, 이러한 공공의 니즈에 한발 앞서 유휴공 간 문제, 구도심 상권 쇠락, 소외계층 주거문제, 커뮤니티 와해 등 도시의 다 양한 문제를 포착하여, 이를 새로운 비즈니스의 기회로 삼고 있다. 이들은 도 시, 건축 분야를 넘어 디자인, 금융, 부동산, 마케팅 등 다양한 보유 역량을 기 반으로 도시문제를 창의적인 콘텐츠와 공간으로 해결하고 있다. 본 연구는 공공주도 또는 재정지원에 의존적인 기존 도시재생 주체의 대안 으로서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성격과 활동지형을 밝히기 위해 진행하였다. 이 들의 활동 지형을 연구하는 것은 다음과 같은 의의가 있다. 첫째로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활동을 분석함으로써, 공공이 미처 대응하지 못했던 도시문제의 빈틈이 무엇이며, 이것이 어떠한 전략을 통해 해결되고 있는지 알 수 있다. 둘 째, 이를 통해 도시재생에 있어 공공의 역할과 민간의 역할을 효율적으로 나 눌 수 있는 기준을 세울 수 있을 것이다. 셋째, 민간 도시재생 주체의 활동유 형 데이터를 통해 다변화된 도시쇠퇴 문제에 맞춤형으로 대응할 수 있는 실행 주체의 매칭이 가능할 것이다. 이를 위해 현재 활발하게 활동을 하고 있는 51개 공간기반 도시재생 스타트 업의 활동 경향과 이들의 주요 비즈니스의 유형을 6개 부문 15개 유형으로 구 분하였다. 이를 통해 정리한 중요한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활동 경향은 다음과 같다. 1) 공간기반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주요 활동은 도시재생 정책과제 중 ‘도 시공간 혁신전략’과제와 밀접한 관계를 맺음으로써, 해당 분야 도시재생 사 업의 대안적 실행주체의 역할을 담당하고 있었다. 2) 공간기반 도시재생 스타 트업의 주요 비즈니스 유형은 공유주거와 같은 ‘대안적 주거’ 관련 비즈니 스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고, 그 외 ‘지역문화 및 커뮤니티공간’, ‘코 워킹스페이스’등의 순서로 나타났다. 이러한 공간 유형은 도시재생 스타트업 이 인식한 도시문제의 공간적 주효한 해결전략이자, 어느 정도 검증된 지속가 능한 비즈니스 모델로 안착 되었음을 알 수 있었다. 3) 2016년 이후 지방을 기 반으로 한 도시재생 스타트업 창업 문화가 확산되며, 지방 소도시의 구도심을 거점으로 융합적인 공간 전략을 통해 도시쇠퇴 문제를 해결하는 기업들의 활 동이 부각되기 시작했다. 이 중 지역기반 융합서비스를 진행하는 기업 세 곳의 비즈니스모델 구축과 정을 심층 사례로 분석하여, 도시재생 스타트업이 기업활동의 지속성을 확보 하는 과정의 특징을 정리하였다. 심층 사례 연구 대상은 군산을 거점으로 활 동하는 ㈜지방의 ‘지역 매니지먼트’모델, 공주 ㈜퍼즐랩의 ‘마을호텔’모 델, 인천 개항로프로젝트의 ‘거점 기반 컨텐츠타운’모델이다. 각 기업의 자 생력 확보과정의 공통점을 추출하여 다음과 같은 공통점을 발견하였다. ①프론티어적 초기 창업가의 등장과 비전형성, ②커뮤니티형 거점 상업 공 간의 운영, ③지역과의 네트워크 형성, ④신규 인적자원 확보 및 창업자 네트 워크 확보, ⑤언론, 학계 등의 주목, ⑥공간 매입을 통한 자산화 등의 과정을 거쳐, 지역 내 선순환적인 비즈니스 생태계를 구축함으로써 사업의 지속성을 확보하고 있었다. 도시재생 스타트업은 도시재생 정책이 추구하는 공공적 가치와 공동의 문제 인식을 가지면서도, 동시에 기업의 지속성을 추구하는 주체로서, 공공서비스의 공백을 메울 수 있는 유력한 대안적 주체이다. 빠른 속도로 변화하는 이들 기 업의 활동 양상과, 이들의 활동이 도시재생에 미치는 실질적 영향 등을 지속 적으로 연구하는 것은 민간주도의 도시재생 체계를 확립해 나가는 중요한 기 틀이 될 것이다. 따라서 1) 초기 발굴 차원을 넘어 도시재생 스타트업의 성장 사이클을 이해하는 맞춤형 지원정책 2) 도시재생의 민간 이행 시대에 맞춘 공 공의 파트너십 역할 재정립 3) 민간 도시재생 체계에 대한 연구 축적과 같은 정책적 활동이 뒷받침 되어야 할 것을 제언한다. The concept of urban regeneration as defined by the Korean Urban Regeneration Policy adopts a comprehensive meaning. It is not only to improve the physical environment of the old spaces, but also to revitalize the various problems caused by urban decline economically, socially and environmentally. Accordingly, the flow of related policies is moving toward the direction of concrete implementation strategies to achieve these goals.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which has been in progress since the 「Special Act on the Activation and Support of Urban Regeneration」, enacted in 2003, caused the following problems in the course of the government-led financial support project. First, despite the diversification of the pattern of urban decline, it followed the past physical environment creation project. Second, many urban regeneration actors were unable to secure self-sustainability and continuity after the completion of the project by resorting to national finances. First, it is a subject with creativity and convergence capable of responding to the diversified urban decline problem. Second, it is a business capability that can pursue both corporate and public interests without relying on public financial support. The 「Urban Regeneration New Deal Project」 enacted in 2017, reflecting these demands, included the activation of the urban regeneration economic organization, the establishment of a private participation model, and the creation of jobs for the new deal projects. This means creating a 'urban regeneration economic ecosystem'. ‘Urban regeneration startups’ that emerged from the private sector are acting one step ahead of these public demands. They have captured various problems in the city, such as idle space problems, the decline of old downtown areas, residential problems in the underprivileged, and community disruption, making them new business opportunities. They have various capabilities beyond design, finance, real estate, and marketing beyond urban and architectural fields. Based on this, they solve urban problems with creative content and space. This study was conducted as an alternative to existing urban regeneration actors that depended on financial support, and was conducted to uncover the characteristics and activity topography of urban regeneration startups. Studying their active terrain has the following significance. First, by analyzing the activities of urban regeneration startups, it is possible to find out what gaps in urban problems the public has not been able to cope with and what strategies are being solved. Second, through this, it will be possible to establish standards that can divide the role of the public and the role of the private in urban regeneration. Third, it will be possible to match the actors who can personally respond to diversified urban decline problems through the data of activity types of private urban regeneration entities. To this end, the activity trends of 51 spatially-based urban regeneration startups currently active and their main business types were divided into 15 types in 6 sectors. The trend of activities of important urban regeneration startups summarized through this is as follows. 1) The main activity of the space-based urban regeneration startup was closely related to the ‘urban space innovation strategy’task of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task, thus playing the role of an alternative execution agent for the urban regeneration project in the field. 2) The main business type of space-based urban regeneration startups was the ‘alternative housing’ related businesses such as shared housing. Others appeared in the order of ‘local culture and community space' and‘co-working space'. It can be seen that this type of space is a spatial effective solution strategy of urban problems recognized by urban regeneration startups and has been established as a somewhat proven sustainable business model. 3) Since 2016, the culture of startups of urban regeneration startups based on the provinces has spread, and companies that solve urban decline problems through more convergent spatial strategies based on the old towns of local small cities have been active. Among them, the business model construction process of three companies that conduct regional-based convergence services was analyzed as an in-depth case, and the characteristics of the process by which urban regeneration startups secured their own self-sufficiency were summarized. The in-depth case study targets are the ‘Local management’model of <Jibang> based in Gunsan, and the ‘Town hotel’model of Gongju <Puzzle Lab>, and the ‘Content town’model of the Incheon <Gaehangro Project>. The common points of each company's self-sufficiency process were extracted and summarized as follows. ① Emergence and vision formation of a frontier entrepreneur, ② Operation of a community-based commercial space, ③ Formation of a network with a region, ④ Securing of human resources and the establishment of a network of local startups, ⑤ Attention of the media and academics, ⑥ Operation of multiple spaces, and It has been revealed that there are processes such as asset expansion through service expansion and space purchase. Case companies have secured business continuity through the process of establishing a virtuous business ecosystem within the region. The urban regeneration startup is a leading alternative that can fill the gap in public services, while having the public values and common problem awareness pursued by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and at the same time, pursuing corporate sustainability. Continually studying the behavioral patterns of these rapidly changing companies and the actual impact of these activities on urban regeneration will be an important basis for establishing a privately-led urban regeneration system. Therefore, 1) Support policies to understand the growth cycle of urban regeneration startups beyond the initial excavation level 2) Re-establishment of the role of the public sector in the era of private sector implementation of urban regeneration 3) Policy activities such as accumulation of research on private urban regeneration systems This should be supported.

      • 초기 창업자의 아이덴티티 구축을 위한 국내 스타트업 로고 색채 연구

        윤주현 연세대학교 생활환경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807

        과학기술의 발달과 다양성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의 확대로 우리의 삶은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고 있다. 이 과정 속에서 유연성과 참신함을 강점으로 내세우며, 기존에 없던 서비스를 만들어내는 스타트업 기업들의 활약이 두드러지고 있다. 최근 몇 년 사이 대기업과 어깨를 견주는 스타트업의 수가 늘어나면서 스타트업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더 나아가 스타트업의 활약을 보며 창업의 꿈을 꾸는 이들의 수도 증가하는 추세이다. 이러한 흐름에 따라 정부 및 관련 기관에서는 창업 장려 프로그램을 개설하거나, 창업 보육 시설을 운영하는 등의 노력을 하고 있다. 스타트업에 대한 사람들의 관심 및 관련 기관의 지원은 증가하고 있지만, 실제 초기 창업을 진행하는 이들에게는 상당한 어려움이 따른다. 특히 적은 자원으로 모든 문제를 해결해 나가야 하는 초기 창업자들은 디자인이나 브랜딩에 많은 관심을 기울이지 못하는 실정이다. 이러한 초기 창업자들의 어려움을 해소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컬러이다. 컬러는 소비자들이 기업이나 브랜드를 쉽게 인지, 기억할 수 있도록 한다. 때문에 대기업과 글로벌 기업에서는 컬러를 마케팅 수단으로 적극 활용하고 있다. 하지만 아직까지 국내에서 스타트업 컬러에 대한 연구는 이루어지지 않고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기존의 대기업, 글로벌 기업과 차별화되는 스타트업 로고의 색채 특성에 대해 알아보고, 초기 창업자들이 컬러 선정 시 활용할 수 있는 가이드라인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연구에서는 국내 스타트업 로고의 색채 특성을 알아보기 위하여 2021년 3월 기준 누적투자금이 300억 원 이상인 국내 스타트업 75곳의 로고를 수집하였다. 대상 기업은 스타트업 전문 기관인 ‘(사)스타트업 얼라이언스(Startup Alliance)'에서 발행하는 ‘KOREAN STARTUP MAP’에서 확인하였다. 연구는 5단계로 나누어 진행하였다. 첫 번째, 각 스타트업 홈페이지와 공식 SNS를 통해 기업의 로고를 수집하였다. Adobe photoshop 2021을 이용하여 로고의 색을 RGB 값으로 추출하였다. 두 번째, Munsell Conversion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RGB 값을 색의 3속성(H V/C) 값으로 변환하였다. 세 번째, Pantone Connect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각 로고의 RGB 값과 가장 유사한 팬톤 컬러를 확인하였다. 네 번째, 각각의 로고 컬러를 ‘I.R.I 이미지 스케일’에 대입하여 스타트업 로고 컬러에서 연상되는 이미지를 알아보았다. 마지막으로, 색채 분석 결과를 바탕으로 초기 창업자를 위한 로고 컬러 제안을 진행하였다. 연구 결과, 스타트업의 로고 컬러는 다음과 같은 특성을 가진다. 첫째, 스타트업에서는 중·고명도, 고채도의 색을 선호한다. 가장 많이 사용한 색조(Tone)는 선명한(Vivid) 톤이며, 다음으로는 밝은(Light) 톤을 많이 활용하였다. 선명(Vivid)하고 진한(Deep) 색조를 선호하는 국내외 대기업들과 달리, 스타트업에서는 밝은 색조를 많이 사용하고 있다. 둘째, 국내외 대기업에서 업종에 따라 선호하는 컬러가 존재하는 것처럼 스타트업에서도 업종별로 많이 사용하는 컬러가 존재하였다. 셋째, 스타트업 로고 컬러에서는 ‘경쾌한’, ‘새로운’, ‘자유로운’, ‘선명한’, ‘친근한’, ‘개성적인’, ‘기운찬’, ‘기능적인’과 같은 이미지 언어가 연상되었다. 본 연구는 스타트업 로고 컬러에 대한 초기 연구로서 예비 창업자, 초기 스타트업 운영자의 로고 컬러 선정을 돕고, 이들의 아이덴티티 구축에 참고가 되는 기본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의의를 둔다. Our lives are changing every day due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dissemination of the social zeitgeist that values diversity. Under these circumstances, flexible and novel start-up companies that offer services that are unique are becoming more prominent. In the past few years, a large number of start-ups have been seen standing shoulder-to-shoulder with large corporations; these start-ups have also piqued people’s interest. People are observing these successful businesses and are considering launching their own ventures. Based on this trend, the government and related organizations are establishing start-up incentive programs and creating start-up incubators. Although a large number of people are interested in start-ups, and support from start-up-related organizations is on the rise, initial start-ups are experiencing significant difficulties. Especially initial founders who have to solve all of their problems with few resources cannot pay enough attention to their design or branding. To address this issue, entrepreneurs should take the colors used for branding, into consideration. Color makes it easier for consumers to recognize and recollect a company or brand; therefore, colors are actively used by large-scale global corporations as a marketing tool. However, research on start-up colors in Korea is limited. This study, thus, analyzes the color characteristics that differentiate the logos of start-ups from those of large global corporations, and offers guidelines that can be used by entrepreneurs when selecting the colors for their start-up.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start-up logos, the logos of 75 start-ups with a cumulative investment of 30 billion won or more as of March 2021, were collected. These companies were identified from the “Korean Start-up Map” published by the Start-up Alliance, a private non-profit organization specializing in start-ups. Research was conducted in five stages. First, the company logos were collated from the website of each start-up and the official social media page. Adobe Photoshop 2021 was used to extract the RGB values from the logo colors. Second, the Munsell Conversion Software program was used to convert the RGB values into H V/C values. Third, the Pantone Connect program was used to check the RGB values of each logo with the closest Pantone colors. Fourth, the impressions associated with the start-up logo colors were identified by measuring each of them against the I.R.I. adjective image scale. Finally, logo color proposals were made for entrepreneurs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Results indicated that the logo colors of start-ups have the following characteristics. First, start-ups prefer colors that have medium-to-high brightness and are highly saturated. The most frequently used tone was vivid, followed by light. Unlike the vivid and deep colors used by Korean and international large corporations, start-ups often use bright colors. Second, just as there are different colors preferred by different industries among Korean and international large-scale corporations, there are also different colors preferred by different industries among start-ups. Third, start-up logo colors are associated with impressions such as “light,” “new,” “free,” “bright,” “friendly,” “unique,” “cheerful,” and “functional.” As an early-stage study for start-up logo colors, this research aims to help initial start-up entrepreneurs select logo colors and provides basic data that they can use as a reference for building corporate identities.

      • 스타트업의 지배구조에 관한 법적 연구

        이나래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스타트업을 통한 혁신과 경제성장을 이루려고 하는 정부의 적극적 정책과 IT 기술의 발전에 따라 미국 실리콘밸리 스타트업을 모델로 하는‘스타트업’형태의 회사가 증가하고 있다. 스타트업은 회사의 주식이 공개시장에서 거래되지 않고 정보가 공개되지 않아 조합적 성격을 가진 폐쇄회사의 특수한 형태로 상장을 최종적인 목표로 하는 과도기적 회사를 지칭한다. 스타트업의 지배구조가 일반적인 주식회사와 다른 특성을 가짐에도 불구하고 스타트업의 특성에 주목해서 스타트업의 지배구조에 대해 법적인 관점에서 수행된 연구가 부족했다. 그러나 스타트업의 양적 성장을 넘어 질적 성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스타트업의 지배구조의 바람직한 규율을 통해 지배구조상 발생하는 문제를 해결해야 한다. 그래서 본 논문은 스타트업의 지배구조에 주목해서 지배구조상 발생하는 문제를 규명하고, 현재 법률과 계약으로 지배구조상의 문제를 어떻게 규율하고 있는지 현황을 검토한 뒤 현재 규율상의 한계를 밝혀서 스타트업 지배구조 규율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스타트업 지배구조상 발생하는 문제는 스타트업의 특수한 자금조달 방법과 임직원에 대한 보상 방식에서 기인한다. 창업자의 기술력과 사업모델에 대한 비전 이외의 자산이 없는 스타트업은 전통적 방식의 자금조달은 어렵고, 모험투자자인 벤처투자자로부터 우선주식의 형태로 투자를 받는다. 여러 단계에 걸쳐 벤처투자자로부터 투자를 받는 과정에서 스타트업의 지분 구조가 계속 변화하고 보통주주인 창업자의 지분이 희석된다. 최근에는 스타트업 자금 조달 활성화를 위해 일반투자자인 엔젤투자자나 개인투자조합이 스타트업에 보통주식으로 투자하는 경우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스타트업은 유능한 임직원을 고용하기 위해 주식형태의 보상을 적극적으로 이용하고 임직원이 주식매수선택권 등을 행사해서 임직원이자 보통주주로서의 중첩적 지위를 가진다. 스타트업 자금 조달 과정에서 스타트업의 주주는 벤처투자자인 우선주주와 창업자나 임직원 등 보통주주가 층위를 이루는데, 스타트업의 창업자의 경험부족이나 사익추구 등으로 다른 주주들 간에 전통적 맥락의 대리인 문제가 발생한다. 그러나 스타트업에 대한 정보는 대부분 공개되지 않아서 이사회나 주주 또는 외부 규제기관이 대리인 문제를 발견하고 해결하기 어렵다. 스타트업 주주들은 스타트업의 성공에 대한 전체적인 이해관계는 일치하지만 스타트업이 온건한 하락세에 있는 경우에 회사 매각, 다운라운드 후속투자 유치 등과 관련해서 우선주주와 보통주주간, 우선주주 상호간, 보통주주 상호간에 이해관계가 달라진다. 스타트업의 우선주주인 벤처투자자 내부에서도 업무집행조합원과 출자자인 유한책임조합원간의 중층적 대리인 문제와 이해상반의 문제가 발생한다. 또한, 스타트업의 이사회는 벤처투자자의 지명이사를 비롯한 창업자 등 주요 주주의 이해관계를 대변하는 이들로 구성이 되어서 대리인 문제를 감시하거나 주주간의 이익충돌을 조정하는 역할을 사실상 수행하지 못한다. 이처럼 스타트업 지배구조상 문제가 발생함에도 스타트업의 주식이 공개시장에서 거래되지 않아 시장을 통한 통제는 어렵고 법률과 계약상의 규율을 통해 해결해야 하는데, 스타트업 지배구조상의 특징에 대한 고려없이 일반 회사에 대한 법규정을 적용하는 것만으로는 스타트업 지배구조상의 문제를 제대로 규율하지 못한다. 특히, 스타트업 지배구조의 과도기적 특성과 이질적인 주주 구성 및 이사회 구성 등이 충분히 반영되지 않은 현행 규율로는 스타트업의 지배구조 상의 문제를 규율하기에 충분하지 못하다. 또한, 벤처투자에 관해 제정된 특별법 역시 벤처투자에 관한 특별법과 여신전문금융업법에 따른 이원화된 체계를 구성하고 있어 양자 간에 규제 차익이 발생하고, 벤처투자자에 대한 행위 규제 이외의 측면을 규율하지 않고 있다. 스타트업 지배구조에 적용되는 법률상의 한계를 보완하고자 벤처투자자 등이 계약을 통해 추가적인 사전동의권, 정보요청권, 이사지명권 등을 부여받지만, 엄격하게 주주평등의 원칙을 해석하는 견해에 따르면 그 법적 효력이 인정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또한, 벤처투자자는 출자자인 유한책임조합원에 대한 의무로 인해 투자 회수 방법을 확보하는 것이 중요한데, 간주청산우선권을 약정하더라도 그 법적 효력이 인정되지 않을 가능성이 높고 상환권을 행사하더라도 사실상 행사 재원이 없을 가능성이 커서 투자 회수 방법이 제한적이다. 스타트업이 발달된 미국에서는 계약을 통해 벤처투자자에게 지배권을 분배하고 간주청산우선권을 통한 투자 회수를 가능하게 하여 스타트업 투자의 높은 위험에도 불구하고 벤처투자가 활발해졌다는 점을 고려할 때, 우리나라에서 계약을 통한 지배권 분배의 어려움과 투자 회수의 어려움은 벤처투자 활성화에 걸림돌이 되는 주요 요인이다. 그리고 스타트업이 유능한 임직원을 채용하기 위해서는 주식 보상 제도를 적극적으로 활용할 필요가 있는데, 벤처기업법상 주식매수선택권에 대한 규정은 부여 절차나 행사 기간, 행사 요건 등을 엄격하게 정하고 있고 강행규정으로 해석될 가능성이 높아서 스타트업이 자율적으로 주식매수선택권을 활용하기 어렵다. 또한, 양도제한조건부 주식은 주식매수선택권보다 주식 보상의 성격이 강함에도 불구하고 발행할 근거 규정이 없어서 매우 제한적으로만 이용되고 있다. 그리고 창업자를 감시하고 주주 간의 이해관계를 조정하는 등의 역할을 수행해야 할 스타트업 이사회는 주주들의 이해관계를 대변할 뿐 실질적인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고 형해화 되는 경우가 많다. 특히, 스타트업의 자금 조달 과정에서 벤처투자자 지명이사의 수가 증가하는데, 이들은 이중 신인의무자로 스타트업에 대한 의무 이행와 지명주주인 벤처투자자의 이익이 상반될 때 양 측 모두에 대한 의무를 이행하기 어려워서 의무 간의 충돌 문제가 발생함에도 이런 측면에 대한 논의가 부족하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스타트업의 양적 성장을 뛰어넘는 질적 성장을 위한 지배구조 규율에 대한 개선방안을 제안한다. 먼저, 스타트업 생존에 필수적인 자금조달 활성화를 위해 벤처투자에 대한 이원적인 법제를 통일하고, 벤처투자조합의 법적 성격을 명확히 하며, 소송당사자 적격을 인정함으로써 벤처투자자의 법적 권리를 명확히 할 필요가 있다. 또한, 스타트업 투자에 수반되는 높은 위험을 고려해서 벤처투자에 관한 특별법상의 전문개인투자자로 개인투자조합 등에 대한 출자 자격을 제한하고 스타트업과 업무집행조합원에 전문개인투자자에 대한 설명의무를 부과하여 일반투자자의 보호를 도모할 필요가 있다. 다음으로, 스타트업의 자금 조달 방법과 지배권 분배에 대한 약정 및 주식 보상에 대한 자율성을 허용할 필요가 있다. 스타트업의 경우 벤처기업법 개정을 통해 다양한 종류의 주식을 발행할 수 있도록 해서 유연하게 자금 조달을 할 수 있도록 하고, 벤처투자자와 약정을 통해 사전 동의권, 정보 요청권, 이사 지명권 등을 합의한 경우에는 실질적인 주주평등원칙에 따라 합리적인 범위 내에서 그 효력을 명확히 인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벤처투자 활성화를 위해 벤처기업법상 스타트업에 한해서는 상환권 행사에 대한 재원을 지불불능 기준과 이익잉여금 기준으로 구체화할 수 있도록 하고, 정관에 근거를 두고 간주청산우선권을 약정한 경우 그 효력을 인정할 필요가 있다. 그리고 스타트업이 임직원에게도 주식보상제도를 통한 인센티브를 적극적으로 부여할 수 있도록 벤처기업법상 주식매수선택권에 대한 규정을 임의규정으로 해석하고 주주총회에서 이사회에 위임해서 행사 요건이나 부여 대상 등을 확정할 수 있도록 하고, 벤처기업법상 양도제한조건부 주식의 발행 근거를 규정하여 활발히 이용될 수 있도록 해야 한다. 마지막으로 스타트업 지배구조에 대한 규율에 자율성을 부여하는 대신 이사의 신인의무를 강화하고 벤처투자자 지명이사의 스타트업에 대한 법적 의무의 내용을 실질에 맞게 구체화할 필요가 있다. 벤처투자자 지명이사의 이중신인의무자로서의 현실을 고려해서 이사의 비밀유지 의무나 회사기회유용금지 의무의 내용을 구체화하고, 지명이사가 스타트업의 이익의 범위 내에서 지명주주인 벤처투자자의 이익을 고려할 수 있도록 행위규범을 해석하는 법리를 발전시킬 수 있다. 또한, 스타트업의 매각이나 후속 투자 결정 등 주주 간의 이해관계가 상반되는 사항에 대한 이사회의 결정에 대해 사후적으로 이사가 스타트업과 주주 전체의 이익을 위한 고려를 했는지 여부를 기준으로 의무 위반 여부를 판단하는 법리를 발전시켜서 이사의 신인의무를 강화할 필요가 있다. The Korean startup ecosystem has developed through government policy and the incorporation of the government-sponsored Fund of Funds (FoFs), modeled after the remarkable growth of the Silicon Valley startups in the United States. Although the Korean startup ecosystem has experienced unprecedented growth over the last twenty years, with successes including Coupang and Woowa Brothers, not enough attention has been directed to startup governance issues. As demonstrated by the failure of a few Korea-based unicorn startups, there has been a lack of research exploring startup governance issues despite its expansion. Therefore, this dissertation sheds light on startup governance issues from a legal perspective and finds the gaps in the current legal framework. Based on a review of the current legal framework, this dissertation suggests ways to improve the startup governance. Because of the unique funding mechanisms of venture capital, startups attain different features from conventional close corporations in terms of the composition of shareholders and the board of directors. Venture capital investors, who play a significant role in startup growth, not only provide monetary investment in startups but also actively engage in startup governance through startup boards. Because venture capital investors usually invest in redeemable convertible preferred shares (RCPS) of startups in Korea, many startups have stratified shareholding structures among preferred and common shareholders. With the increasing volume of venture capital investments, founders' stake in startups has become significantly diluted. Startup governance not only demonstrates conventional agency problems between founders and shareholders but also reveals conflicts of interest among shareholders. Startup founders, who are relatively inexperienced and equipped with less expertise, often exacerbate agency problems, seeking private benefits while exploiting information asymmetry. In addition, contrary to the assumption that shareholders have homogenous interests, startup shareholders’ interests are not necessarily aligned when startups struggle with a moderate downside, particularly with decisions regarding whether to sell a company or commit to down-round investments. Venture capital investors’ internal agency problems concerning their relationships with limited partners also cause downstream agency problems in the startups in which they have invested. With the government-sponsored FoFs acting as a significant limited partner to most venture capital funds, the policy goals of the FoFs often collide with the profit goals of the venture capital investors, the general partners. Furthermore, preferred venture capital shareholders themselves do not have aligned interests in startups depending on their investment terms in the course of staged financing when it comes to important corporate decisions in a startup’s moderate downside. Like venture capital financing, recruiting competent employees is a main driver of startup growth. Because most startups actively deploy stock option schemes to incentivize employees, many startup employees have overlapping status as common shareholders. However, as startups expand, startup employees often do not have enough information to make an informed decision regarding whether to exercise their stock options. Although the board of directors needs to oversee and control founders and coordinate the conflicting interests among shareholders, most startup boards fail to fulfill such roles as the board members represent each shareholder class’s interests. Despite the complex governance issues in startups, there are gaps in the current Korean legal framework in terms of fostering the growth of startups and governing the problems identified above. Korea’s mandatory corporate law framework permits little room for private ordering for venture capital investments, employee compensation schemes, or conflict resolution measures among shareholders. Although new laws governing startups and venture capital investments, including the Venture Company Law (VCL), have been promulgated, they only adress a fraction of the governance issues mentioned above. First, the scope of the class rights permitted to be granted to preferred shareholders is limited under the Korean Commercial Code, leaving little room for private ordering for investors to gain additional rights to offset the risks associated with startup investment. Furthermore, although many venture investors have contractual governance rights over startups, including consent rights over critical corporate matters and board seat rights, those rights can be invalidated by strict application of the equality of shareholders principles under Korean corporate law. For example, the Seoul High Court decided in 2021(2020na2049059) that preferred shareholders’ prior consent rights are invalid according to equality of shareholders principles despite these rights being contractual provisions, which has caused a grave controversy in the venture capital industry. Although the Supreme Court, upon the appeal of the case, finally reversed the decision(2021da293213) under specific conditions, further discussion is needed regarding the scope of preferred shareholders’ prior consent rights and the legality of the enforcement measures. Despite the importance of exit options for venture investors, liquidation preference rights are not legitimately acknowledged under Korean corporate law. With limited governance rights and exit options for venture capital investors, the current legal framework is unable to accommodate the typical venture capital investment schemes deployed in Silicon Valley. In addition, the statutory employee stock options provisions in the VCL for startups are restrictive regarding the grant process and requirements for option exercise, leaving little room for the board and managers to arrange stock option schemes. Although Restrictive Stock Units (RSUs) are commonly used in many US startups, startups in Korea rarely adopt RSUs, as the current legal framework does not explicitly authorize their boards to issue shares as RSUs. Lastly, despite the distinctive composition of startups’ boards, there has been less recognition of the dual fiduciary status of venture- investor-nominated directors (‘VC nominee directors’). According to court precedent that a director, regardless of her position, owes identical statutory duties to the company, VC nominee directors might have a level of legal duties that does not correspond with their actual roles and responsibilities. Therefore, this dissertation proposes ways to incorporate private ordering schemes for startups and to develop an enabling legal framework for startup governance. First, in the case of startup investments, corporate law should permit startups to design and issue diverse class shares at the board’s discretion. Venture capital investors’ contractual governance rights, including prior consent and director nomination rights, must be construed as valid, permitting exceptions that may benefit all shareholders through venture capital investment under the practical interpretation of the equality of shareholders principles. In addition, statutory exemptions should be permitted for venture investors to attain liquidation preferences based on the articles of incorporation to ensure their exit options. Second, to drive startup growth with competent employees, stock option provisions in the VCL need to be construed as a default rule while permitting startups to delegate discretion to the board of directors and streamlining the option grant process. In addition, the VCL should authorize startup boards to issue RSUs as a stock compensation scheme so that startups can deploy and adjust stock compensation schemes to better recruit and maintain competent employees. Third, in response to the enabling legal framework for startups, startup boards should enhance their accountabilities to prevent agency problems and coordinate shareholders’ conflicting interests. VC nominee directors’ duties to startups need to be reconstrued to reflect their practical roles while developing legal principles to evaluate the fairness of the boards’ decisions ex post regarding major corporate decisions, including mergers or liquidation of the company. Furthermore, providing incentives for startups to appoint independent directors, who are free from ties to the founders and venture capital investors, can help startup boards reinforce their role in resolving conflicts among shareholders and monitoring management and founders.

      •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진출 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 : 글로벌 지향성 매개효과를 중심으로

        김경철 한성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807

        저성장 추세와 4차 산업혁명의 진행에 따라 고도성장과 일자리 창출의 주역인 스타트업의 지속적인 창출과 성장이 중요시 되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국내 스타트업들의 해외진출성과를 배가시키고자, 스타트업의 내부역량, 외부환경지원시스템과 글로벌 지향성이 해외진출성과와 영향관계를 실증분석을 하였다. 이러한 검증과정을 통하여 국내 스타트업의 해외진출성과에 미치는 영향 요인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기업의 특성 중 CEO특성, 제품기술, 시장특성, 해외마케팅역량이 해외진출성과에 미치는 영향관계를 파악하였으며, 기업의 특성 중 CEO특성과 시장특성은 해외진출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고, 해외마케팅역량은 해외진출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기업의 외부지원시스템 특성 중 인프라지원과 네트워크지원은 해외진출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컨설팅지원 특성은 해외진출성과에 유의미한 정(+)의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글로벌 지향성이 독립변수들을 종속변수인 해외진출성과에 매개하는 효과를 분석한 결과, 시장특성을 제외하고는 모든 독립변수들이 글로벌 지향성 변수를 매개하여 해외진출성과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보여 주었다. 본 설문지 방식의 연구의 한계성이 있으나 실증분석 결과에 따라 스타트업의 해외진출성과 창출 방안을 강화시켜야 하며 향후 해외진출성과에 미치는 여러 요인 변수를 연구할 필요성이 있다.

      • 중개플랫폼 스타트업의 특성이 투자유치금액에 미치는 영향 : 벤처캐피탈 공동투자의 조절효과를 중심으로

        조경식 숭실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박사

        RANK : 247807

        In order for a startup to continue to grow, it is necessary to secure growth resources in a timely manner. Among startups, there are companies that have succeeded in attracting investment from external investors, while there are also companies that have failed to attract investment. Among the startups that have been invested, some companies are valued well, while others are underestimated. What is this fundamental reason? What differences exist? From this question, this study started. In this study, the scope of research was limited to the intermediary platform, a business-oriented commerce platform, with a focus on the platform field, where the influence of the digital economy and investment ecosystem is growing among startups. To this end, in order to examine the impact of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ry platform startups on the amount of investment, we derived fiv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intermediary platform startups, including intermediary platform type, sales growth rate, equity capital, number of employees, and business history, through previous research. The platform type was classified as a platform characteristic factor, sales growth rate and equity capital were classified as financial characteristic factors, and the number of employees and business history were classified as organizational characteristic factors. In addition, venture capital syndication was selected as an external factor, and a study was conducted on how intern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funding amount depending on external factors. This study established five hypotheses on the effect of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of the intermediary platform on the amount of investment attraction based on the Signaling Theory and the Herd Behavior Theory, and analyzed the main effect depending on the venture capital syndication. Three hypotheses were additionally established to analyze the interaction effect of how the internal characteristics affect the funding amount differently. As a result of the study, it was found that the type of intermediary platform, equity capital, number of employees, and business history, excluding the sales growth rate,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funding amount. Innovation-leading intermediary platforms, organizations with a large number of employees, and intermediary platform startups with relatively high equity capital and long history attracted large amounts of investment from venture capital. On the other hand, in the analysis of the moderating effect of venture capital syndication, there was no synergistic effect due to the composition of syndication in sales growth rate. However it was confirmed that the innovation-leading intermediary platform and the intermediary platform with a large number of employees had a positive interaction effect between venture capital syndication. Venture capitals, which are investors, tend to invest with interest in intermediary platforms that are innovative and increase customer value, so multiple investors form an investment syndication, which increases the amount of investment attracted by startups. In addition, venture capital will decide to invest in a intermediary platform startup with a large number of employees by highly evaluating the future growth potential based on securing sufficient human resources, and expand the scale of investment by jointly investing. In other words, in order for a intermediary platform startup to increase the amount of investment through venture capital syndication, the role of the platform type and number of employees is more important than the sales growth rate. 스타트업이 지속하여 성장하기 위해서는 적기에 성장 재원을 확충하는 것이 필요하다. 스타트업 중에는 외부 투자자로부터 투자유치에 성공한 기업이 있는 반면에 투자유치에 실패한 기업도 존재한다. 투자받은 스타트업 중에서도 어떤 기업은 기업가치를 제대로 평가받고 다른 기업은 가치를 낮게 평가받는다. 이러한 근본적인 이유는 무엇일까? 어떠한 차이가 존재하는 것일까? 이런 질문에서 본 연구는 시작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스타트업 중에서도 최근 디지털 경제와 투자 생태계의 영향력이 커지고 있는 플랫품 분야에 초점을 맞추고 비즈니스 중심의 상거래 플랫폼인 중개플랫폼으로 연구범위를 한정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중개플랫폼 스타트업의 내부 특성이 투자유치금액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고자 선행연구를 통하여 중개플랫폼 유형, 매출액증가율, 자기자본, 임직원 수, 업력 등 중개플랫폼 스타트업의 5가지 내부 특성을 도출하고, 플랫폼 유형은 플랫폼 특성요인으로 매출액증가율과 자기자본은 재무적 특성요인으로 임직원 수와 업력은 조직적 특성요인으로 분류하였다. 또한, 벤처캐피탈 공동투자 여부를 외부요인으로 채택하여 내부 특성들이 외부요인에 따라 투자유치금액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관한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는 신호이론과 군집행동이론을 이론적 기반으로 중개플랫폼의 내부 특성이 투자유치금액에 미치는 영향에 대하여 5개의 가설을 설정하여 주 효과를 분석하였고, 외부요인인 벤처캐피탈의 공동투자 여부에 따라 내부 특성이 투자유치금액에 미치는 영향이 어떻게 다르게 나타나는지 조절효과를 분석하기 위해 3개의 가설을 추가로 설정하였다. 연구결과 매출액증가율을 제외한 중개플랫폼 유형, 자기자본, 임직원 수, 업력은 투자유치금액에 긍정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혁신 선도형 중개플랫폼, 자기자본이 많은 스타트업, 그리고 상대적으로 임직원 수가 많고 업력이 오래된 중개플랫폼 스타트업이 벤처캐피탈로부터 많은 투자금을 유치하였다. 한편 벤처캐피탈 공동투자의 조절효과에 대한 분석에서 매출액증가율은 공동투자 구성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발생하지 않았으나 혁신 선도형과 임직원 수가 많은 중개플랫폼은 벤처캐피탈 공동투자 간에 긍정적인 조절효과가 발생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투자 주체인 벤처캐피탈은 혁신적이고 고객가치를 높이는 중개플랫폼 유형에 관심을 가지고 투자하는 경향이 있어 복수의 투자자가 투자 신디케이션을 구성하게 되고 이에 따라 스타트업의 투자유치금액은 증가하게 된다. 또한, 벤처캐피탈은 임직원의 수가 많은 중개플랫폼 스타트업에 대해서도 충분한 인력확보에 따른 미래 성장 잠재력을 높게 평가하여 투자를 결정하게 되고 공동 투자함으로써 투자 규모를 확대하게 된다. 즉, 중개플랫폼 스타트업이 벤처캐피탈 공동투자를 통해 투자유치금액을 증대시키기 위해서는 매출액증가율보다 플랫폼 유형과 임직원 수의 역할이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 스타트업 지원 정책 효과 비교연구 : 지원대상 및 지원수단 비교분석

        정재영 서울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7807

        In the Fourth Industrial Revolution, startups play a critical role in leading global competition. Thus, the government aggressively expands the scale of startup support projects by introducing policies such as "creating an innovative start-up ecosystem" and "a strategy to spread the second venture boom." Public institutions under the government also begin to launch supportive packages for startups. Therefore, this study explores the impact of startup support policy, especially whether its efficacy varies across startups (i.e., general vs., innovative) and contents (i.e., financial vs. non-financial supports). Specifically, we examine the impact of supportive policies on startups’growth and profitability by using the data of financial (i.e., the credit guarantee) and non-financial support (i.e., accelerator program) of the Korea Credit Guarantee Fund. We find that the impact of financial support is generally greater for innovative startups than general ones, especially when it comes along with non-financial support. First, among the credit guarantee support effects by support target, the growth index was compared and analyzed by selecting the sales growth rate and sales amount. It was analyzed that startups outnumber general start-ups in sales due to the benefits of credit guarantee support, but the sales growth rate was rather inferior. Regarding profitability indicators, the operating profit ratio of sales was found to have a positive effect of credit guarantee support for startups than for general start-ups, but the net return on equity capital was analyzed to have a greater negative effect for startups. Looking at the change in the number of employees, it was found that startups had a better employment improvement effect due to credit guarantee support than general start-ups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in both t+1 and t+2. The support means were analyzed by dividing it into a single credit guarantee support and a package support that provides both credit guarantee and acceleration. Growth-related indicators are interpreted as a result of relatively slowing sales growth, although the increase in sales is greater than that of a single credit guarantee support when supporting packages. Regarding the profitability index, package support showed a more positive effect than single support in the case of sales operating profit ratio at a significant level of 5% in both t+1 and t+2. On the other hand, the net return on equity capital showed a result that single support was superior to package support in the t+1 period, and no significant result was found at the 5% significance level in the t+ period. Finally, regarding the employment rate, which is a non-financial performance of a company, it was found that package support had a greater employment effect than single support at a significance level of 5% in both t+1 and t+2. This study provides the policy implications by showing that financial and non-financial supports are complementary rather than substitute. However, due to data constraints, we limit our focus to providing the correlational evidence for the short-term effects of the policy. Thus, future studies should investigate the causal evidence, long-term consequences of the startup support policies, or the theoretical mechanism that underlies the complementary relationship between supports we found. 4차산업 혁명 시기에 스타트업이 관련 기술에서 주도적인 역할을 수행하며 전 세계적인 혁신 경쟁을 이끌고 있다. 이에 발맞춰 정부도 ‘혁신 창업 생태계 조성방안’, ‘제2벤처 붐 확산 전략’ 등을 발표하며 스타트업 창업 지원 사업 규모를 사상 최대 규모로 확대해 나가고 있으며, 정부 산하 공공기관들도 앞 다투어 스타트업 관련 지원정책을 쏟아내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최근 정부 및 공공기관이 시행하고 있는 스타트업 지원 정책을 지원대상과 지원수단으로 구분하여 비교분석하고자 하였다. 지원대상은 일반 창업기업과 혁신형 스타트업, 지원수단은 단일지원과 패키지지원으로 분류하며 신용보증기금의 금융 및 비금융 지원 사례를 통해 비교분석 하고자 한다. 한편 본 연구의 종속변수는 성장성지표와 수익성지표 그리고 고용인원으로 선정하였다. 먼저 지원대상별 신용보증 지원효과 중 성장성 지표는 매출액증가율과 매출액을 선정하여 비교분석 하였다. 신용보증 지원 수혜로 매출액은 일반 창업기업보다 스타트업이 더욱 우세하나, 매출액증가율은 오히려 열위한 것으로 분석되었다. 수익성 지표 관련하여 매출액영업이익률은 스타트업이 일반 창업기업보다 신용보증 지원에 따른 긍정적 효과가 발생하는 것으로 나타났으나, 자기자본순이익률은 스타트업이 부정적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고용인원의 변화를 살펴보면, t+1기, t+2기 모두 유의수준 5%에서 스타트업이 일반 창업기업보다 신용보증 지원에 따른 고용개선 효과가 우세한 것으로 나타났다. 지원수단은 신용보증 단일지원과 신용보증과 액셀러레이팅을 함께 제공하는 패키지지원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성장성 관련 지표는 패키지 지원시 신용보증 단일지원보다 매출액의 증가 폭은 더욱 크나, 매출액증가율은 상대적으로 둔화되고 있는 결과로 해석된다. 수익성 지표 관련하여서는 매출액영업이익률의 경우 t+1기, t+2기 모두 5% 유의수준에서 패키지 지원이 단일지원보다 더욱 긍정적 효과가 나타났다. 반면 자기자본순이익률은 t+1기에 단일지원이 패키지지원보다 우세한 결과가 나타났으며, t+2기에는 5% 유의수준에서 유의미한 결과가 나타나지 않았다. 마지막으로 기업의 비재무적 성과인 고용률 관련하여 t+1기, t+2기 모두 5% 유의수준에서 단일지원보다 패키지 지원이 고용효과가 큰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최근 관심이 증대되고 있는 스타트업과 액셀러레이터에 대해 합리적으로 접근을 시도하여 분석한 점에 의미가 있다고 할 수 있다. 그러나 자료수집의 제약으로 장기적 영향에 대한 분석이 이루어지지 않았으며, 액셀러레이터가 기업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에 관한 이론적 고찰이 미비하다는 점은 한계로 제시하였다. 본 연구를 통해 스타트업에 대한 체계적 관리 및 단계적 지원의 필요성이 증대되길 기대한다.

      • 스타트업의 특성과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이 국제화 성과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이동기 건국대학교 대학원 2022 국내박사

        RANK : 247807

        스타트업들은 세계 대부분의 나라에서 빠른 성장을 보여주고 있을 뿐만 아니라 자국 내는 물론 글로벌 비즈니스 활동에서도 그 역할이 점차 확대되고 있다. 스타트업들은 투자유치를 통한 빠른 성장(scaleup) 전략을 추구한다. 빠른 성장을 위해서는 단기적인 매출·이익 목표 달성보다는 고객 수 증가, 신규 시장 진입 및 점유율 확대와 같은 보다 공격적인 목표가 필요하다. 국제화는 이처럼 빠른 성장을 위해 보다 많은 고객 확보와 보다 큰 시장 진입을 추구하는 스타트업에게 매우 중요한 경영전략일 수 있다. 스타트업들이 이처럼 빠른 성장을 할 수 있는 것은 스타트업이 전통 기업과는 다른 어떤 특성을 가지고 있기 때문일 수도 있고, 전통 기업의 성장환경과는 다른 어떤 외부요인이 있기 때문일 수도 있다. 전통 기업들이 기업의 내부 자원·역량이나 정부지원에 기반을 두어 성장했다면, 스타트업들은 창업 과정에서부터 기업공개(IPO)나 인수합병(M&A)에 이르기까지 체계적인 지원을 하는 민관영역의 지원기관·기업들이 다수 존재한다. 이러한 스타트업 생태계에서도 창업 초기의 스타트업에게 멘토링·컨설팅을 제공하고, 산업·투자 분야의 네트워크를 연결해 주고, 초기 시드투자까지 하는 액셀러레이터(accelerator)는 스타트업의 생존과 성장에 가장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고 볼 수 있다. 본 연구는 전통기업과 구별되는 스타트업의 특성이 무엇인지를 규명하고, 그러한 특성들이 국제화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고찰해 보고자 한다. 또한 스타트업의 빠른 성장을 지원하는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에 대해 살펴보고,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이 국제화에 미치는 영향을 함께 고찰하고자 한다. 이러한 연구목적 달성을 위해 먼저 기업 국제화에 대한 선행이론들을 살펴보고, 스타트업에 대한 선행연구를 통해 스타트업의 특성을 도출하고자 한다. 다음으로 액셀러레이터에 대한 선행이론 검토를 통해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을 규명하고자 한다. 선행연구를 통해 도출된 스타트업의 특성과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이 국제화 성과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연구모형을 설계하고, 실증분석을 수행하였으며, 주요 결과는 아래와 같다. 첫째, 스타트업의 특성으로 도출된 혁신성, 학습 지향성, 네트워크 지향성, 재무적 특성, 글로벌 지향성 중 혁신성, 학습 지향성과 글로벌 지향성이 국제화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둘째, 액셀러레이터의 역할이 스타트업의 국제화 성과에 유의미한 영향을 미친다는 점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시사점은 첫째, 국가 간, 산업간 융·복합의 시대에 스타트업들이 국제화 성과를 제고하기 위해서는 혁신성, 학습 지향성과 글로벌 지향성을 갖추어야 한다는 것이다. 글로벌 투자유치, 글로벌 기업들의 개방형 혁신(open innovation) 프로그램 참가, 해외 개념증명(proof of concept) 기회 확대 등은 스타트업들의 혁신성, 학습 지향성과 글로벌 지향성을 함께 높이는 방안이 될 수 있다. 둘째, 스타트업의 국제화 성과 제고를 위해 스타트업과 중소기업 지원정책에서 액셀러레이터 모델의 확산이 필요하다는 점이다. 또한 액셀러레이터의 글로벌 역량 강화를 위해 액셀러레이터들의 해외조직망 공동운영, 무역진흥기관들과의 협업, 외국 액셀러레이터들과의 협력 등을 고려할 수 있다. Startups are growing rapidly across the globe and also playing more important roles in global business activity. There can be several factors that contribute to startups’ fast growth. Startups might have some characteristics that are different from traditional businesses, or their growth can be facilitated by some other environmental factors when compared to the environments for traditional businesses. Startups scale their business through investment funds. This scaling strategy requires them to be more ambitious than simply achieving sales or revenue targets. They need to expand their market share and customer base, and also explore new markets. In this context, “internationalization” can be a highly useful tool for many startups in pursuit of business acceleration. Unlike traditional companies which grew on the back of their own resources and capabilities, or on government support at best, startups are systematically supported by various organizations and companies, both in public and private, across different spectrums from foundation to IPO or to M&A. Among these supporters, accelerators are most essential for early-stage startups to stay alive and grow. They engage with founders with a broad range of supporting activity, such as mentoring, bringing industry partners and investors, and even providing seed funds. In this study, I will shed light on the characteristics of startups that are distinctive from those of traditional companies, and further analyze their implications on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tartups. Then, I will further examine accelerators for their roles in facilitating startup growth, and their effects on internationalization. For the purpose of this study, I will examine preceding theories on firm internationalization, and also extrapolate startups’ characteristics from the preceding research on startups. Then, I will further review preceding theories on accelerators to clarify their roles. To understand the effects of startup characteristics and accelerator roles on internalization, I designed a research model and conducted analysis to establish some significant findings. First, startups are illustrated by innovation, learning orientation, network market orientation, financial characteristics, and born-globalness. Among these five characteristics, it is found that innovation, learning orientation and born-globalness have useful effects on internationalization. Second, it is found that accelerators are playing roles in a way that positively affects the internationalization of startups. These findings offer some important implications to deliberate. First, startups need to become innovative, learning-oriented and born-global in order to further internationalize in the age of convergence with blurring national and industrial boundaries. For this, startups can use global funding, open innovation partnership and cross-border PoC opportunities as a good stepping stone. Second, policies for startups and SMEs need to adopt the accelerator-model to further promote internalization. Meanwhile, domestic accelerators can strengthen their global competitiveness by creating a joint community network with overseas accelerators, and collaborating with other trade support organiz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