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복지관 이용 노인의 사전의사결정 (Advanced directives)에 대한 태도

        이혜림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2 국내석사

        RANK : 249727

        최근 의료기술의 발달로 인간 생명을 연장하는 기술은 나날이 발전하고 있지만 무의미한 연명치료를 행하는 것이 과연 인간으로서의 존엄성을 지킬 수 있는 것인가에 대한 목소리가 높아지고 있는 가운데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논의가 이루어지고 있다. 사전의사결정의 대상자는 주로 노인이 될 것이라고 예상되지만 노인을 대상으로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를 알아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서 현재 거의 이루어진 바가 없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를 파악하여 우리나라 노인이 사전의사결정을 수용할 준비가 어느 선 까지 와 있는지, 사전의사결정 태도에 영향을 주는 관련 요인은 무엇이 있는지 확인하고자 이루어졌다. 본 연구의 자료수집은 2011년 9월 7일부터 30일 동안 이루어졌다. 자료수집 전 S시 소재 2개 노인 종합 복지관의 자료수집 허락을 받고, 서울대학교 간호대학 연구대상자 보호 심의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뒤, 선정과정에 적합한 대상자와 구조화된 설문지로 일대 일 개별면담을 통해 이루어졌으며 총 180명이 설문을 완료하였다. 대상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기 위해 Nolan & Bruder(1997)가 만든 Advance Directive Attitude Survey(ADAS)를 동일 저자가 2003년 수정•보완하여 개정한 것을 번역과 역 번역의 과정을 거쳐 사용하였으며, 도구의 신뢰도는 도구 개발자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가 .74였으며 본 연구에서는 .79 였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 목적에 따라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로 분석하였다. one way ANOVA의 검정에서 유의한 결과는 Scheffe’s test를 이용하여 사후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 째, 본 연구에 참여한 대상자들은 대체적으로 사전의사결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나타냈으며, 사전의사결정 작성에 동의하는 사람은 61.1%였다. 사전의사결정의 하부 항목 중 치료선택의 기회, 사전의사결정이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 사전의사결정이 치료에 미치는 영향에서 모두 긍정적인 태도를 보였다. 반면, 질병의 인식의 경우 사전의사결정을 하기에는 본인의 건강상태를 긍정적으로 자각하는 경우가 많아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진 못하였다. 그리고 사전의사결정을 행하는 시점은 완전히 건강한 단계가 아닌 초기 질병단계에게서 행하여 지길 바랐다. 둘 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중 연령, 교육수준, 소득수준이 대상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하지만 성별, 종교, 배우자의 유무, 건강보험 형태는 사전의사결정의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 째, 대상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긍정적인 측면에서 유의한 영향을 주는 건강관련 특성은 지난 한 달 동안 방문한 의료기관의 수, 한 달 동안 지출한 의료비, 지난 1년 동안 지인의 중환자실 입실과 사망에 대한 경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작성의사 여부였다. 반면 본인이 현재 갖고 있는 만성질환의 수, 자신이 병원에 입원을 했거나 중환자실에 입실했던 경험 유무, 건강상태에 대한 자각 정도는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유의한 관계를 보이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연구 결과, 우리나라 노인들은 사전의사결정에 대해 긍정적인 태도를 갖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사전의사결정에 영향을 주는 대상자의 특성이 선행연구와 상이하게 나온 것을 주목해야 하며, 이는 추후 노인을 대상으로 사전의사결정에 대하여 접근 할 때 단순히 연명치료 유지나 거부의 수단으로서의 접근이 아니라 죽음을 맞이하는 대상자의 인생관과 철학을 이해하는 좀 더 깊이 있는 접근이 필요함을 시사할 수 있겠다 The role of advanced directive has been on the rise, with a controversial view about meaningless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induced by development in medical technology. The older populations are predicted to be main subjects of advanced directives, but there was little research on senior’s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in Korean society. In this study, we investigated 1) Korean senior’s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2) senior’s tendency to accept advanced directives, and 3) which factors influence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Survey for this study was performed from Sep 7th to 30th of September, 2011. Permission for data collection from two senior welfare centers located in ‘S’ city, and approval from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College of Nursing, Seoul National University were obtained before the survey. Total 180 subjects, who met the study criteria, reply to structured questionnaire with individual one-on-one talk. Advanced Directives Attitude Survey (ADAS) was performed according to the reported tool (Nolan & Bruder, 1997; 2003) with an authorized translation into Korean. The reliability of tool was Cronbach’s alpha 0.74 in the author, and 0.79 in this study. The Data were expressed as the mean ± standard error of mean (S.E.M) and analyzed for statistical significance using one 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 followed by Scheffe’s test as a post hoc test and a P value < 0.05 was considered significant. In this study, subjects generally expressed positive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including some subcategories as ‘opportunity for treatment choices’, ‘impact of advance directives on treatment’ and ‘impact of advanced directives on the family’. However, positive tendency in the self-diagnosis disturbed ‘perception of illness’, as a subcategory of advanced directives. In addition, time to have advanced directives was desired to be a beginning stage of illness, not a healthy stage. Second, age, level of education, monthly incom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by socio-demographics characteristics such as sex, religion, marital status, and public insurance type. Third, number(s) of medical service use in one month, medical expense in one month, acquaintance’s ICU hospitalization within one year, experience of acquaintance’s death within one year, or intension to make advanced directives had a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positive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However, among health related characteristics, number(s) of chronic illness, experience of hospitalization within five years, ICU hospitalization experience within five years, or perception of health status had no significant relationship with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In this study, Korean senior had a positive attitude toward advanced directives, in spite of their blindness to the advanced directives with necessity to explain in detail. In addition, there is a controversy about factors influencing subject’s attitude toward advanced directives, suggesting that thoughtful approaches with respecting subject’s view of life and values needs to be considered, not only limited on life prolongation. These comprehensions from present study may provide further insights to derive positive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from subjects, and help senior to exert active rights in the end of life.

      •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가족기능

        이민혜 서울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727

        국내에서 노인암환자가 증가하고 연명치료 중단 및 자기결정권에 대한 관심이 부각되면서 관련된 법안, 정책, 제도가 논의되고 있다. 앞으로 도입될 제도는 서구의 철학이 담긴 사전의사결정 제도가 아닌 우리나라의 사회 문화적 현실과 특성을 반영한 제도이어야 한다. 노인암환자는 앞으로 사전의사결정제도가 도입되면 가장 적용가능성이 높은 집단임에도 불구하고 아직 국내에서 연구가 미비하다. 따라서 본 연구는 노인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와 이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여 앞으로 정착될 사전의사결정 제도가 고려해야 할 부분을 확인하고자 하였다. 자료 수집은 서울대학교병원 연구대상자 보호심사 위원회의 승인을 받은 후 외래를 내원하거나 입원치료를 받는 65세 이상 노인 암환자 130명을 편의 표출하여 2013년 10월 1일부터 12월 5일까지 시행하였다. 연구의 도구는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를 측정하는 Nolan과 Bruder(1997)가 만든 Advance Directive Attitude Scale(ADAS)를 동일 저자가 2003년 수정 및 보완한 것을 이혜림(2012)이 한국어로 번역한 것을 사용하였으며, 신뢰도는 도구개발자의 연구에서 Cronbach’s alpha 0.74, 본 연구에서는 0.79이었다. 수집한 데이터는 평균과 표준편차, 비율 등의 기술통계로 산출하고, 유의한 차이는 t-test, one way ANOVA를 통해 검증하였다. ANOVA를 통해서 p- value < 0.05로 유의하게 나타난 결과는 Scheffe’s test, Dunnett T3 test로 사후분석을 시행하였다. 요인간의 상관관계 및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규명하기 위해서 Pearson’s correlation과 stepwise linear regression을 통해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사전의사결정에 대해서 들어본 대상자는 33.1%였으며, 이 중 의료진을 통해서 접한 경우는 9%에 불가하였다. 사전의사결정의 의사가 있다고 밝힌 경우는 93.1%로 매우 높았다. 대상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는 평균 48.3점으로 대체로 긍정적이었으며, 건강할 때 사전의사결정 하는 것을 선호하고 사전의사결정이 가족의 돌봄 부담감을 덜어주는 역할을 할 것이라는 믿음이 큰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건강관련 특성 중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연령과 학력, 지각하는 건강상태와 치료비 지불 형태이었다. 셋째,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 가족기능, 지각하는 건강상태, 교육기간, 나이, 배우자 유무의 5개 변수에 의한 회귀모형이 설명력 54.2%로 유의하였다.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태도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가족기능이었다.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노인암환자는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지식이 부족하며, 의료진을 통해 사전의사결정을 접한 경우가 매우 적었다. 그러므로 노인암환자에게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이 필요하며, 의료진에 의한 논의가 활성화되어 반복적인 의사소통을 할 수 있도록 장려해야 한다. 또한 노인 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가족기능과 배우자유무가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노인암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서 가족을 중요한 요인으로 고려하여 대상자가 가족과의 상의를 원하면 가족이 참여하는 의사결정 형태를 지지해야 하며, 가족이 참여한 논의 과정에서 간호사는 가족기능을 사정하고, 가족 역동, 역할 등을 고려하여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해야 한다. Increasing interest in patients’ self-determination and concern about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s is being reflected by an increase in discussions on related laws and policies in Korea. Older cancer patients are predicted to be the main subjects of advance directives that are completed in the future; however, there has been little research on older cancer patients’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in Korea. In addition, because the healthcare system should reflect Korea’s social and cultural characteristics, it is important to identify factors affecting the attitudes of older cancer patient’s toward advance directives. In this study, attitudes among older cancer patients toward advance directives were investigated. In addition, factors such as family function that may influence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were assessed. This study was performed with the approval of the Institutional Review Board of Seoul National University Hospital. The study survey was conducted by using a questionnaire to measure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nd to obtain information on socio-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factors and on family function.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130 patients between October 1 and December 5 2013 at outpatient and inpatient departments at a large university hospital in Seoul, Korea. Survey responses were scored according to the Advance Directive Attitude Scale and the FACE III scale. The data were analyzed by applying Student’s t test, one-way ANOVA followed by Scheffe’s test, Dunnett T3 test as a post hoc test, Pearson’s correlation, and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All statistical analyses were performed by using SPSS version 21.0. Major findings of the study are: First, 33.1% of the participants were aware of advance directives, only nine percent of them had been informed about advance directives by healthcare providers. Most (93.1%) participants intended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Among the participants, the mean score for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was 48.3 ± 5.57, and participants generally expressed a positiv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Most participants preferred to complete advance directives while healthy and believed that advance directives would reduce the family’s care burden. Second, some aspects of the participant’s socio-demographic and disease-related characteristics, (age, educational level, perceived health status, and type of medical expenses payment) significantly influence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 Third, results of the stepwise linear regression analysis indicated that family function, perceived health status, period of education, age, and marital status accounted for a significant percentage (54.2%, p < 0.001) of the variance in participants’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The variable with the greatest effect was family function.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 the presence of low levels of participant awareness and discussion with healthcare providers about advance directives in Korea. Thus, increased communication between healthcare providers and older cancer patients about advance directives is needed. The results also demonstrate that family function and marital status significantly affect older cancer patients’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ccordingly, if a patient wants to discuss advance healthcare preferences with their family, then healthcare providers should include family members in advanced care planning discussions. During such discussions, it is important to consider family function and family dynamics that can affect advance directives.

      •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사, 간호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 분석기법

        이지애 고려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727

        Today there are many terminal cancer patients on the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s, which has produced many issues in legal and ethical aspects in health care systems. However, researches dealing with such issues have been scarcely conducted in medical and nursing societies. Therefore, this study was aimed at delineating the medical personnel's perceptions regarding advanced directives inclu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for terminal cancer patients with focus group interview analysis method. The study was carried out from March, 2009 to May, 2009. Data were collected from three group interviews, which were respectively composed of doctors of a hospice ward of K hospital, Seoul, registered nurses of the hospice ward of the hospital and nurses of the I.C.U. of the hospital. The interviews were carried out 1-2 times of each group, and lasted about one and half hour for each interview. The data were coded by open coding and topic coding, and analysed by focused group interview analysis method. From the findings, 7 themes with 22 categories were delineated. Throughout the 7 them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as summarized as following; 1. Advanced directive concern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s should be recommended to patients in desperate circumstances with no possibilities of revival with current treatment modalities. 2. The person who decides about advanced directive inclu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s should be the patient him/her-self. Because it should be the expression of the patient's self-determination with free will. 3. When explaining about advanced directive, medical personnel should consider patients' socio-demographic status such as age, job, education, etc, and should explain about advanced directive itself and related factors to patients at regular basis to prepare patients or guardians about advanced directive, and to have opportunities to change their decisions regarding advanced directive. 4. Advanced directive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enables patients to be prepared for their death with their family members and medical personnels to establish the trust relationship with their patients and their medical guardians in preparing patient's good death. 5. By the advanced directive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terminal cancer patients and their families could have chances to aware about the other modalities to ease the sufferings in dying process from medical personnels, therefore, modalities with new paradigm different from traditional treatment modalities that focus on patients' quality of life more than physical treatments were established between medical personnels and patients and their families. 6. There was consensus that patient's decision on advanced directive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is a careful recommendation for medical personnel. The current systematic problems on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are; 1. There are lack of principles and legitimated ways and regularizations to deal with problems coming from advance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2. There are lack of consensus among hospitals and health care members regarding ways on dealing with advance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o set the desirable system for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the agreed consensus of medical personnels were; 1. Ethically, and socially accepted legitimated standards on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should be established and formalized and systematic formats that can be shared with health care setting should be developed. 2. Realistic medical cost systems for caring patients who decide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should be developed, and patients who decide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should be eligible for medical insurance to ensure to have divergent modalities focusing on quality of life. 3. Patients should be informed about their serious diseases that lead to death from medical personnels to decide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at their free will. Today, the quality of life in patient impending death is becoming social issue, therefore, the concern about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of terminally ill patients is increasing in health care setting. Within that context, this findings have a important meaning in establishing a desirable system and can be utilized in setting principles about advanced directives regarding withdrawal of meaningless life-sustaining treatment. 사전의사결정을 담당하는 전문가 그룹 인터뷰를 통하여 말기 암환자의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인식을 조사하고, 의견과 경험을 분석하여 향후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될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의료적 결정에 대한 지식체를 산출하고자 본 연구를 시도하였다. 본 연구는 서울시 K대학병원의 호스피스 병동 의사와 간호사, 중환자실 간호사 3그룹으로 나누어 2009년 3월부터 5월까지 각각 1~2차례의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개방형코딩과 토픽코딩의 자료분석을 통하여 7개의 주제와 22개의 범주, 76개의 개념이 도출되었다. 도출된 주제는 ‘기존 치료의 한계가 노출되는 상황’, ‘환자가 중심이 되는 결정’, ‘번복할 수 있는 준비과정’, ‘환자&#8228;보호자&#8228;의료인이 함께하는 새로운 관계 설정’, ‘사회적 합의 구성을 위한 당사자 결정’, ‘아직도 받아내기 난감한 방법’, 그리고 ‘환자, 보호자, 의료인 모두를 위한 조심스런 선택’이다. 본 연구의 결과로 도출된 주제 및 범주를 포함한 간호사, 의사 집단의 의견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은 기존 치료의 한계가 노출되어 회생 가능성이 없는 절박한 상황에서 요구되는 결정이다. 2. 사전의사결정의 주체는 환자가 중심이 되어야 하며 이는 환자의 자율적 의지에 따른 자기결정권의 표현이다. 3.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설명을 제공할 때 환자나 보호자의 사회적(연령, 직업, 교육정도 등) 수준을 고려해야 하며, 일정한 간격을 두고 반복적으로 제공해야한다. 또한 환자가 언제든지 번복할 수 있는 준비과정이 되어야 한다. 4.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은 환자에게는 생을 정리할 수 있는 시간을 주고, 가족과 함께 준비된 죽음을 맞게 도와주며, 의료인에게는 환자, 보호자와 임종까지 함께하는 신뢰관계를 설정하는 계기를 제공해 준다. 5. 사전의사결정을 계기로 말기 암환자나 보호자들은 무의미한 연명치료에 대한 인식을 갖게 되고, 그동안 신체적 안위에만 초점이 맞춰져 있던 전통적 치료 방식에서 벗어나, 치료적 패러다임을 삶의 질 향상으로 바꾸게 되는 서로간의 새로운 관계궤도 설정이 일어난다. 6.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관련된 사전의사결정은 아직은 환자, 보호자, 의료인 모두를 위한 조심스런 선택이다. 개선을 위한 문제점으로 지적된 것은 다음과 같다.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의 관련 규율이나 법적 장치가 미비하며, 사전의사결정의 공통된 양식이나 규정된 방법이 없다. 2. 병원 간 사전의사결정의 공유가 어렵고, 동일 병원 내에서도 의료인간에 사전의사결정을 공유할 수 있는 제도적 통로가 없다. 이에 따라 다음과 같은 필요성이 제시되었다. 1. 무의미한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사회적 즉 법적, 윤리적, 의료적으로 합의를 이룬 기준과 체계적인 서식 마련이 필요하고, 작성여부 및 내용에 대한 통합적인 공유책 개발이 필요하다. 2. 많은 시간과 의료 인력을 필요로 하는 과정이니만큼 여기에 맞는 현실적인 의료수가가 개발되어야 하고, 환자가 왜곡된 선택을 하지 않도록 의료 보장의 폭을 넓혀야 한다. 3. 환자-의료인간의 대화가 단절되지 않도록 하고 환자의 상태를 고려하여 질병의 위중함을 솔직히 알림으로 환자의 자율적 선택이 될 수 있도록 하여야 한다. 본 연구는 암환자들의 말기 생의 질적인 부분에 대한 사회적으로 관심이 대두되는 시기에서, 중요성에 비해 상대적으로 논의가 이루어 지지 않았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공통된 의견의 분석으로 추후 무의미한 연명치료와 사전의사결정과 관련된 연구 및 제도 마련에 기초 연구 자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

      • 만성질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식과 생애말기 치료 선호도

        윤선영 동아대학교 대학원 2011 국내석사

        RANK : 249727

        의학기술의 발전, 첨단 의료장비들의 보편적 사용으로 인해 회생가능성이 희박한 환자들까지도 생명유지 장치에 의존하며 무의미한 삶을 연장하고 있어 연명치료의 중단에 대한 논의와 함께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보장할 수 있는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관심이 증대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만성질환자의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식과 생애말기 치료 선호도를 파악하여 사전의사결정의 제도화에 대한 인식 증진 및 생애말기 간호 중재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서술적 조사연구로서 일개 지역의 종합병원 2곳의 외래에 내원하는 고혈압, 당뇨병, 신부전 환자 161명을 대상으로 하였다. 조사도구는 문헌고찰을 통해 연구자가 제작한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에 관한 설문지와 이윤정과 김신미가 Gauthier와 Froman의 Preferences for Care Near the End of Life Scale(PCEOL)을 번역하여 제작한 한국판 임종치료선호도(PCEOL-K)이었다. 자료 수집은 2010년 8월 10일부터 9월 30일까지 하였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18.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ANOVA, χ2-test로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사전의사결정에 대해 알고 있는 대상자는 21.7%이었으며, 필요성에 대해서는 88.8%가 찬성하였다. 사전의사결정서를 작성할 의사가 있는 대상자는 49.7%이었으며,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의료인의 설명은 95%의 대상자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2. 사전의사결정의 주체는 대상자의 73.3%가 본인이라고 하였다. 사전의사결정서 작성 시기는 대상자의 34.8%만이 건강한 시기라고 하였고, 작성 방법은 46.0%는 구두표현, 40.4%는 문서화라고 하였다. 사전의사결정의 법적 제도화는 대상자의 54.0%가 필요하다고 하였다. 3. 생애말기 치료 선호도의 총점 평균은 3.26(±0.37)점이었으며, 요인별 평균 점수는 통증 요인이 3.92(±0.44)점으로 가장 높았고, 다음으로 가족 요인이 3.68(±0.73)점,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 요인이 3.27(±0.88)점, 영성 요인이 3.11(±0.76)점이었으며, 연명치료에 대한 자율적 의사결정 요인은 2.28(±0.76)점으로 가장 낮았다. 4. 연명 치료에 대한 자율적 의사결정 요인 점수는 중환자실 입원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투병 기간이 10년 이상인 대상자가 10년 미만인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 요인 점수는 남자가 여자보다, 50세 이상이 50세 미만에 비해, 직업이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영성 요인 점수는 종교가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투병 기간이 10년 이상인 대상자가 10년 미만인 대상자에 비해, 유서가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유의하게 높았다. 가족 요인 점수는 중환자실 입원 경험이 있는 대상자가 입원 경험이 없는 대상자보다 유의하게 높았다. 통증 요인은 종교가 있는 대상자가 없는 대상자에 비해, 투병 기간이 10년 미만인 대상자가 10년 이상인 대상자에 비해, 그리고 신부전 환자에 비해 고혈압 환자가 유의하게 높았다. 5. 사전의사결정에 찬성하는 대상자의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 요인 점수가 반대하는 대상자의 점수보다 유의하게 낮았다. 사전의사결정의 주체는 본인이 되어야한다고 답한 대상자가 타인이라고 답한 대상자에 비해 연명 치료에 대한 자율적 의사결정 요인과 의료인에 의한 의사결정 요인, 가족 요인의 평균점수가 유의하게 낮았으며, 영성요인의 평균점수는 유의하게 높았다. 이상과 같이 만성질환자들은 사전의사결정의 필요성에 대해서는 긍정적이지만 그 내용과 방법에 대해서는 아직 인식이 낮은 편이다. 또한 생애말기 치료에 관하여 만성질환자들은 의료인과 가족의 개입에 긍정적이며 효과적인 통증 조절과 영적 요구의 충족을 원하고 있으나 연명치료에 대한 선호도는 낮았다. 이러한 결과를 바탕으로 지속적인 홍보와 교육을 통해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개개인의 선호도를 고려한 생애말기 간호중재 프로그램의 개발과 함께 생애말기 치료 선호도를 바탕으로 한 사전의사결정의 지침을 제정하기 위해 노력해야겠다.

      • 중년 남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

        안순녀 부산가톨릭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9726

        본 연구는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한 상관관계 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40∼64세의 중년 남성을 대상으로 2016년 10월 20일부터 10월 26일까지 온라인 조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김정희[30]와 이은자[31]가 개발하고 김명숙[32]이 수정·보완한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도구와 Nolan과 Bruder[33]가 개발한 Advance Directive Attitude scale(ADAS)를 2003년 동일 저자가 수정·보완한 것을 이혜림[26]이 번역한 사전의사결정 태도도구를 사용하였다. 자료분석은 SPSS WIN 21.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빈도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및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은 4점 만점에 평균 평점 3.07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정의·철학은 3.23점, 대상자 2.94점, 서비스 내용 3.06점, 윤리 및 심리 2.93점, 홍보 및 교육의 필요성은 3.20점이었다. 사전의사결정 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평점 2.81점으로 나왔다. 하위 영역별로 살펴보면 치료 선택의 기회 2.68점, 가족에게 미치는 영향은 2.86점, 치료에 미치는 영향은 3.04점, 질병의 인식은 2.05점이었다. 2.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은 가족형태(F=6.99, p<.001), 호스피스완화의료에 대해 들은 경험(F=3.91, p<.001),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의향(F=3.45, p=.001)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결과 가족형태에서는 독신가족이 핵가족보다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사전의사결정 태도는 지역(F=2.70, p=.048), 경제상태(F=2.87, p=.039), 호스피스완화의료 이용 의향(F=2.95,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경제 상태에서 401만원 이상이 200만원 이하보다 사전의사결정 태도의 인식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는 양의 상관관계(r=.55,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이 높을수록 사전의사결정 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중년 남성의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과 사전의사결정 태도는 모두 호스피스완화의료이용 의향에 따라 차이가 있었으며, 호스피스완화의료 인식은 사전의사결정 태도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확인 할 수 있었다. 따라서 본 연구를 기반으로 호스피스완화의료 활성화를 위한 다양하고 실질적인 교육과 홍보 프로그램 개발을 제안하고자 한다. This study is a correlation study to investigate the relationship between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and attitude toward advanced directives in middle - aged men. The data collection was conducted online between October 20th and October 26th, 2016 for middle-aged men aged 40-64 through a web service company. The instrument of this study for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was the structured questionnaire developed by Kim’s and Lee’s and structured by Kim. To know the attitude towards advanced directive, Advanced Directive Attitude Survey created by Nolan and Bruder at 1997 and revised at 2003 and translated by Lee, Hye-rim at 2012.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percentage, mean and standard deviation, t-test, one-way ANOVA, Scheffe’s test and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using SPSS 21 for window.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degree of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showed an average of 3.07 out of 4 points. In terms of sub-domains, Definition and Philosophy was 3.23, subjects was 2.94, service content was 3.06, ethical and psychological was 2.93, need for promotion and education was 3.20 points. The degree of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showed an average of 2.81 out of 4points. In terms of sub-domains, opportunity for treatment choices was 2.68, Impact of Advanced Directives on the Family was 2.86, Impact of Advanced Directives on Treatment was 3.04, Perception of Illness was 2.05 points. 2.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degree of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subjects according to the family type (F=6.99, p<.001), the experience that heard the hospice(F=3.91, p<.001) and intention to use hospice (F=3.45, p=.001). The results of the post test showed that the recogni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was higher than a single family than nuclear family. In addition, the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was significantly different according to area(F=2.70, p=.048) and Economic condition (F=2.87, p=.039) and intention to use hospice (F=2.95, p=.008). 3.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showed that degree of correlation between th amount of intermediate size (r=.55, p<.001).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the higher the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As a result, we could confirm hospice palliative care perception and attitudes toward advanced directives of middle aged men’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develop diverse and practical education programs and public relations programs to activate hospice palliative care based on this study.

      •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

        천호정 부산가톨릭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9725

        본 연구는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를 파악하기 위한 서술적 조사연구이다. 자료 수집은 B광역시, Y시 소재 3차 상급종합병원 내과병동에 6개월 이상 근무한 간호사 중 본 연구의 목적을 이해하고 연구 참여에 동의한 218명을 대상으로 2017년 11월 17일부터 11월 24일까지 설문지 조사연구를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는 Schwartz 등이 개발하고 Jeong이 번안하여 사용한 좋은 죽음 개념 측정(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도구와 Jezewski 등이 개발한 The Knowledge, Attitudinal, Experiential Survey on Advance Directives (KAESAD) 중 태도관련 부분을 발췌하여 연구자가 수정·보완한 사전의사결정태도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WIN 23.0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실수와 백분율, 평균과 표준편차, Independent t-test, one-way ANOVA, Scheffė's test,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 및 stepwise multiple regression으로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대상자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정도는 4점 만점에 평균 2.99점으로 나타났다. 하위 영역별로 친밀감 3.22점, 임상증상 2.84점, 통제감 2.62점이었다. 2. 대상자의 사전의사결정태도는 4점 만점에 평균 3.11점으로 나타났다. 3.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차이는 연령(F=4.445, p=.013), 총 임상경력(F=4.910, p=.008), 근무형태(t=-2.668, p=.008)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연령에서 31세 이상이 25세 이하보다, 총 임상경력에서는 6년 이상이 3년 미만보다 좋은 죽음 인식이 높게 나타났다. 4. 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사결정태도는 연령(F=6.386, p=.002), 결혼상태(t=-2.516, p=.015), 총 임상경력(F=6.419, p=.002), 근무부서(F=4.172, p=.003), 근무형태(t=-3.785, p<.001), 좋은 죽음 교육경험(t=2.666, p=.008),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지도(F=7.913, p<.001),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교육경험(t=3.481, p=.001), 사전의사결정서의 작성시기(F=8.008, p<.001), 사전의사결정서의 작성 의향(t=3.181, p=.005)에 따라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사후검정 결과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지도 문항에서 ‘조금 안다’와 ‘들어보기는 했지만 알지 못 한다’ 보다 ‘매우 잘 안다’라고 응답한 그룹에서 사전의사결정태도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으며, 사전의사결정서의 작성시기를 묻는 문항에서 ‘질병말기(임종기) 진단 시’, ‘호흡곤란, 혈압저하 등 임종 임박 시’ 보다 ‘건강할 때’ 라고 응답한 그룹에서와, ‘호흡곤란, 혈압저하 등 임종 임박 시’ 보다 ‘암 진단 및 입원 시‘라고 응답한 그룹에서 사전의사결정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5.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과 사전의사결정태도는 양의 상관관계(r=.470, p<.001)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상급종합병원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이 높을수록 사전의사결정태도가 긍정적인 것으로 나타났다. 6. 사전의사결정태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은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 사전의사결정에 대한 인지도(더미변수1=매우 잘 알고 있다), 사전의사결정서의 작성시기(더미변수1=건강할 때), 총 임상경력으로 확인되었으며 이에 대한 설명력은 33.3%로 나타났다. 이상의 결과를 통하여 간호사의 사전의사결정태도는 긍정적이었으며, 영향을 미치는 가장 중요한 변수는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임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결과를 토대로 간호사를 대상으로 좋은 죽음 교육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을 제안한다. 이는 간호사의 좋은 죽음에 대한 인식을 개선함과 동시에 환자 및 보호자의 사전의사결정 과정에 긍정적인 역할을 할 수 있고, 나아가 연명의료결정 법률안의 효율적 정착에 기여할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is a descriptive research to identify the nurse's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This descriptive study used a self-report questionnaire of 218 nurses who were recruited from two tertiary hospital medical wards in Pusan and Yangsan. The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rom November 17, 2017 to November 24, 2017 in 218 subjects who understood the purpose of this study and agreed to participate in the study. The instruments used for this study were the Concept Of Good Death Measure developed by Schwartz et al. translated by Jeong and revised version of KAESAD(The Knowledge, Attitudinal, Experiential Survey on Advance Directives) developed by Jezewski et al. The data were analysed with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Independent t-test, one way-ANOVA, Pearson's correlation coefficients, Stepwise multiple regression by using SPSS/WIN program version 23.0.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1. The mean score of perception of good death is 2.99 out of 4. The intimacy was 3.22, clinical symptom were 2.84, and personal control was 2.62. 2. The mean score of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is 3.11 out of 4. 3.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perception of good death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F=4.445, p=.013), total work career(F=4.910, p=.008), and shift work(t=-2.668, p=.008). More than 31 years of age are more perception of good death than age 25. And more than 6 years of experience in the total work experience showed a higher perception of good death than under 3 years. 4.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ttitudes toward advance directives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according to age(F=6.386, p=.002), married(t=-2.516, p=.015), total work career(F=6.419, p=.002), work department(F=4.172, p=.003), shift work(t=-3.785, p<.001), Good death education experience(t=2.666, p=.008),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 (F=7.913, p<.001), Educational experience in advance decision making(t=3.481, p=.001), The time of documenting written advance directives(F=8.008, p<.001), Intention to write an advance directive(t=3.181, p=.005). The results of the post test, In the question about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th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was positive in the group that responded "I know a little" and "I know very well" rather than "I listen but I don't know". At the time of documenting written advance directives, The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was positive in the group who answered 'when I am healthy' rather than 'when I was diagnosed at the end of my illness(end of life)', 'dyspnea, hypotension etc. when death is imminent', And was positive in the group who answered 'cancer diagnosis and when i hospitalized' rather than 'dyspnea, hypotension etc. when death is imminent'. 5. There were significant positive correlations between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s.(r=.470, p<.001). In other words, the higher the perception of the good death of the tertiary hospital nurse, the more positive the attitude toward the advance directive. 6. The significant influencing factors on attitude toward advance directive were perception of good death and time of documenting written advance directives(dummy1="when I am healthy") and awareness of advance directives(dummy1="I know very well"), total work career, explaining 33.3% of the variance in the multiple regression model. The results showed that the attitude toward nurses' advance directive was positive, and that the most important variables influencing were the perception of good death.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we propose developing a death education program for nurses. This can improve the perception of the nurse's good death, play a positive role in the pre-decision making process of patients and caregivers, Furthermore, it will contribute to efficient settlement the Law of Determination of Medical Care for Life Prolongation.

      • 연명치료 중단과 사전의사결정에 관한 고찰

        이금미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9710

        말기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은 임상에서 종종 시행되고 있으나, 이에 대한 법체계는 물론이고, 사회적 합의도 되어있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는 말기환자의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를 확인하고, 사회적 합의를 얻어, 사전의사 결정서의 필요성을 제시하고자 시도하였다.본 연구는 2006년 8월과 9월에 의무기록을 중심으로 사례를 수집하였으며, 사례별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일반인의 태도는 서울시 Y대학병원의 환자를 제외한 보호자나 방문객 38명, 병원외 일반인 83명으로 본 연구 참여에 동의한 사람만을 상대로 2006년 10월에 구조화된 설문지를 통해 이루어졌다. 수집된 자료는 부호화하고 SPSS 12.0 for Window program을 이용하여 기술통계, chi-square test로 분석하였다.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1.사례별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태도에서 환자 의식이 있으면서, 본인이 연명치료 중단을 원하는 사례1의 경우 중단 할 수 있다는 응답이 94명(79%)이었고,의식이 혼미하고 치매인 회복 불가능한 고령의 환자인 사례2는 전체 응답자의 71명(59.7%)가 연면치료 중단을 할 수 있다고 하였으며, 사례3의 경우는 전체 72명(60.5%)가 연명치료 중단을 할 수 있다고 답하여 비교적으로 사례1에서 연명치료를 중단할 수 있다는 비율이 높았다(표4). 그러나, 세 개의 사례 모두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2. 사례별 연명치료 중단 결정의 이유는 ‘환자의 고통을 덜어주어 존엄한 죽음을 맞도록 한다.‘라고 답한 사람이 사례1,2,3 각각 81명(86%), 47명(66%), 42명(58%)로 다른 이유보다 가장 빈도가 높았다.3. 연명치료 여부에 관한 결정권자는 환자가 의식이 있을 때는(사례1) 환자가 결정해야 한다고 답한 경우가 76명(63%)이었고, 환자가 결정을 내릴 수 없는 경우(사례2, 사례3)는 가족과 주치의가 결정해야 한다는 대답이 55명(46.2%), 56명(47.1%)으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일반적 특성에 따른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4. 사전의사 결정서가 필요하냐는 질문에 대상자의 98명(82.4%)이 ‘필요하다.’라고 했으며, 20대와 30대에서 ‘필요하지 않다.’라는 응답이 5%, 9.2%에 비해 40대이상에서는 14.3%로 다소 높았으며, 성별로는 남녀 불문하고 80%이상에서 사전의사 결정서가 ‘필요하다’ 라고 답하였다. 말기환자 간호경험에서 직접간호한 사람의 25명(92.6%)이 전혀 경험하지 않은 52명(78.8%)보다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전의사 결정서의 필요성에 대한 유의한 차이는 없었다.5. 자기 자신에게 사전의사 결정서를 작성할 것인지를 묻는 질문에 81명(68.1%)이 ‘예’라고 하였고, ‘잘 모르겠다.’라고 한 사람도 25명(21%)이었다. 사전의사 결정서 작성시기로는 전체의 62명(52.1%)이 말기병 진단시 작성하겠다고 응답하였고 24명(20.2%)은 임박한 죽음의 증상시에 작성하겠다고 응답하였다.6. 병원 윤리위원회가 필요하다고 생각하냐는 질문에 전체의 72명(61%)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나머지 47명(39%)은 필요하지 않다라고 응답하였다. 다른 일반적 특성에 따른 병원 윤리위원회의 빈도차는 크지 않았다.7. 병원 윤리위원회의 법적 효력에 대해서는 47명(65%)가 법적 효력이 있어야 한다고 하였다. 또한, 치료중단의 결정권자와 절차에 대한 정당한 법적 장치 마련시 치료 중단을 행할 것이냐는 질문에 87명(73%)이 필요하다고 나타났다. 말기환자 간호경험에서는 직접간호한 사람의 85.2%에서 필요하다고 응답하였다.결론적으로 일반인은 환자의 자기결정권을 존중하고 있었으며, 사전의사 결정서와 병원 윤리위원회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연명치료 중단에 대한 법적 장치에 대해서도 필요성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환자의 의식이 있을때 연명치료에 대한 본인의 의사를 담은 사전의사 결정서를 제도화하고 미처 준비가 되지 않았을 경우 병원 윤리위원회의 자문을 얻는 절차적인 제도가 마련되어야 할 것이다. Even though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on patients in the terminal stage is often being exercised clinically, we have not set up a social agreement as well as the legal basis for this matter yet.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uggesting the requirement of the advanced directive form for the suspension of life expending therapy by checking out the people's attitudes to this practice, and winning the social agreement.The cases in the study were collected based upon the medical records in August and September, 2006. With regard to the people's attitudes to the case-by-case suspension of life expending therapy, the survey wasdone through the patterned questionnaire among 38 of protectors or visitors except for the patients of Y university hospital, and another 83 people besides hospital, who agreed upon participating in the study in October, 2006. The data collected was coded, and analyzed in the manner of chi-square test of descriptive statistics with the use of SPSS 12.0 for Window program.The result of the study is as follows.1. As for the people's attitudes to the case-by-cas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in case 1 that the patient is conscious, and wants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94(79%)of respondents answered positively 'Ca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and in case 2 of the aged patient diagnosed as senile dementia whose consciousness is in confusion, 71(59.7%) among the total respondents gave positive answer. In case 3, 72(60.5%) of respondents replied positively; the case 1 showed relatively high ratio of 'can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Table 4). But in all cases of three, the attentive differences by generally characteristic were not found out.2. Regarding the reason for the withdrawal of life-sustaining treatment, 'To help patients to face the dignitary death by relieving them from pains' was the most frequent answer compared to other reasons; it was selected by 81(86%) of respondents in case 1, 47(66%) in case 2, and 42(58%) respectively.3. Regarding the decision-maker on whether to practice life-sustaining treatment , in case 1 that the patient is conscious, 76(63%) of respondents answered 'Patient should decide', and in case 2, 3 that the patient is not able to decide, 'Family members or doctors in charge are responsible for decision', was answered by 55(46.2%), 56(47.1%) of respondents each showing the highest frequency. The attentive differences by general characteristic were not found out.4. For the question on the requirement for writing a advanced directive, 98(82.4%) of respondents answered 'Required', and 'Not required' was relatively a bit higher as 14.3% in the answers of over 40s than in 20s and 30s whose ratio shower 5%, and 9.2% each. Also 'Required' was over 80% in both sexes, and 25(92.6%) among the respondents who experienced nursing the patients in terminal stage, higher than 52(78.8%) from the respondents who had no experience of nursing. But the attentive differences about the requirement for writing a advanced directive by general characteristic were not found out.5. About the question asking whether to write advanced directive, 81(68.1%) of respondents answered 'YES', and 25(21%) of respondents responded as 'DO NOT KNOW'. With regard to the timing of writing advanced directive, 62(52.1%) among the total respondents answered 'When diagnosed as being critically ill', and 24(20.2%) answered 'At the symptom of impending death'.In conclusion, people respect the right of self-decision of patients, recognizing the requirement for writing a advanced directive, organizing ethics committee in hospital, and legal device for the suspension of life expending therapy. Accordingly, writing advanced directive, which contains the patients' opinion on the life extending therapy while they are conscious, should be institutionalized, and also the procedures, which enable the patients to get help through the advice of ethics committee in hospital should even in case that it is not prepared in time, should be institutionalized.

      • 존엄사에 대한 임상 의사들의 경험 연구

        신영태 연세대학교 보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2

        의학의 발달과 사회의 변화로 인하여 생명연장술의 시행 및 중단에 관한 법적, 윤리적 문제들이 동반되게 되었으며 이미 의료 현장에서 기존의 법률과 윤리준칙이 보편적으로 적용되는데 어려움이 있다. 본 연구는 지도전문의들을 대상으로 존엄사와 관련한 경험에 대하여 질적 연구를 시행하여 현장의 윤리적 갈등과 의사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인자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연구 참여자는 모두 8명 이었으며 인터뷰는 각각 약 1시간 정도 시행하였다. 연구결과 현장에서 최선의 의사결정을 방해하는 요소로 가족주의에 근거하여 가족이 환자를 대리하는 한국사회의 가족관계의 특수성, 의료진과 환자의 가족간의 의사소통의 문제, 의사결정에 있어서 의사의 부담감과 이에 따른 소극적 태도 등이 도출되었다. 의사의 부담감은 의학적 판단의 불확실성에 기인한 법적 책임에 대한 부담감이 우세하였다. 또한 우리 사회의 문제로는 존엄사에 대한 사회적 인식전환의 필요성, 윤리적 부담과 상충되는 경제적 부담을 덜어주기 위한 제도적 완충장치의 필요성, 의사에 대한 의사소통기술을 포함하는 표준화된 임종대처기술의 교육의 필요성, 전문의 중심의 의료전달체계의 문제점, 수익을 올려야 하는 의료급여체계의 문제점 등이 도출되었다. 결과에서 언급했던 여러 가지 현상들과 이에 따른 우리 사회의 문제들은 서로 유기적으로 맞물려 있다. 우리사회는 문제해결을 위하여 세브란스병원 사례와 같이 이슈화된 단편적인 사례를 넘어 존엄사 문제 전반에 관련된 사회적 인프라를 구축하는 방향성을 가지고 총체적으로 접근하여야 하며 법령의 제정도 마찬가지일 것이다. 그리고 우리사회도 이제는 사전의사결정제도의 도입을 고려하여야 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