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배아의 존재론적ㆍ도덕적 지위에 관한 연구

        곽만연,김나나 한국시민윤리학회 2005 한국시민윤리학회보 Vol.18 No.1

        배아복제는 이식용 장기의 대량 생산 및 난치병을 해결 할 수 있고, 불임 부부들에게 희망의 빛을 던져 줄 수 있다는데 그 유용성이 제기되어 왔다. 그러나 이러한 유용성을 지닌 배아복제가 인간에게 반드시 유익함만을 가져다주는 것은 아니다. 배아복제는 기술상?윤리상 예측 불가능한 사태진전에 따른 큰 문제점을 지니고 있다. 배아복제의 허용은 필연적으로 인간 개체 복제로 이어지게 되어 있다. 인간개체복제로 인한 인간의 도구화, 인간의 유일성과 개성의 침해, 부모-자식간의 관계 파괴 등의 문제점은 곧 현실의 문제로 대두될 것이다. 또한 배아의 상업적 이용 가능성과 생명의 존엄성 문제도 간과해서는 안 될 것이다. 현재 많은 사람들이 배아복제의 허용과 그로인한 인간복제의 가능성에 대하여 비판의 목소리를 내고 있다. 또한 근원적 문제인 인간 생명의 시작점에 대한 배아의 생명여부에 관한 논쟁이 일어나고 있다. 그러나 배아복제 연구의 찬반 이전에 배아의 정체성에 대한 정확한 인식과 배아의 존재론적?도덕적 지위에 대한 선행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이 같은 상황에서 우리는 끝없는 찬반논쟁보다, 하나의 사실이 된 생명공학과 의학이 제기하는 윤리적 물음을 포괄 할 수 있는 ‘새로운 윤리’가 요청된다고 하겠다. 배아복제의 물음 역시 이러한 맥락에서 다루어질 때, 제대로 된 윤리적 평가가 가능할 것이다. The usefulness of embryo cloning has been proposed in that it can produce transplanting organ massively, solve some hard-to-cure diseases, and bring promising hopes to sterile spouses. But embryo cloning cannot always be beneficial to human beings as it necessarily presuppoese great unpredictable problems in both technological and ethical aspects. Once permitted, it will eventually lead to human cloning. Before long, we will have real problem about us, such as the instrumentation of human beings, the invasion of human uniqueness and individuality, the destruction of parent-children relations and so forth. Also, we will face the possibility of using the embryos commercially and hurting human dignity. At present, lots of people are raising their voices against the permission of embryo cloning and the possibility of human cloning. In addition, there's a heated controversy about the life of embryos, the beginning point of human life. However hard is opposition, however, scientists will continue to experiment embryo reproduction by triggering the basic human instinct to have eternal life. Further conjeture in this direction would take us away from our main theme, and for the present we will simply note that embryo loss poses no real problem to the Buddhist belief that individual life when it begins, begins at fertility. The phenomenon of embryo loss does not show that the embryos which are lost cannot be human individuals. The statistic quoted in that connection are simply irrelevant one way or the other to the question of when life beings. The prospect of an embryo surviving the process and remaining viable is very low, and a survival rate as 8 per cent has been quoted. There are, moreover, serious legal problem concerning the “ownership” of frozen embryos and there are also concerns about the psychological effects upon a child who may be born many years after either or both of its parents are dead. Couples contemplating resorting to this technique should ask themselves carefully about their reason for wishing to be parents and consider whether their efforts are genuinely altruistic or for the satisfaction of their own desires.

      • KCI등재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윤리적 고찰 -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 차별성과 배아편집 기술의 윤리적 문제를 중심으로

        김광연 범한철학회 2016 汎韓哲學 Vol.80 No.1

        과학 기술 발전 이전, 수정란과 배아와 태아는 동등한 인간생명으로서 존엄한 가치를 가졌다. 그렇지만 현재 기술로서 수정란과 배아 사이에는 불연속과 연속적인 면의 미묘한 차이가 발생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수정란과 배아는 모두 ‘잠재적’ 인간 생명체로서 공통점을 가진다. 수정란은 착상 이전 단계에서 인간 생명으로 나아가는 과정이고 배아는 착상을 거쳐 태아로 접어드는 단계에 놓여있다. 그러나 수정란은 착상 이전 ‘자연적으로’ 소멸할 가능성이 있는 반면, 배아는 태아에 이르기까지 자연적 손실이 발생하지 않고 연속성을 지닌 존재이다. 이들에게서 발견된 지위에 관한 미묘한 차이는 인간생명과 관련해서 지위의 동등성과 차별성을 우리에게 과제로 남겨두게 되었다. 이 글에서는 수정란과 배아의 지위에 관한 물음을 시작으로 수정란과 배아의 ‘생명의 동등성’과 ‘선천적 지위’의 차이점을 살펴볼 것이다. 이를 검토한 후, 배아의 지위에 나타난 ‘연속성’의 함의와 그것의 존엄성을 검토하고, 존엄한 존재로서의 배아 실험을 할 때 나타나는 윤리적 문제를 논의하게 될 것이다. 배아복제 실험은 인간과 동등한 지위를 가진 배아를 대상으로 하는 실험이라는 점에서 그것의 지위와 윤리적 논의가 불가피하다. 이러한 실험의 과정을 염두에 두고 배아복제와 인간복제가 우리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게 되고, 생명복제 시대에 우리는 어떠한 윤리적 과제를 가져야 하는지에 대한 논의를 할 것이다. In the past that was not benefited any help from biotechnology, a fertilized egg, sperm, and embryo have same value in terms of human dignity. From a today’s perspective, however, a subtle difference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between fertilized egg and embryo. Both of them have a common ground in terms of potential human life. A fertilized egg is the part of being a human being from the beginning, while an embryo is being placed at a certain point to be a fetus. Here a fertilized egg has a natural possibility to be destroyed like before coupled stage, while an embryo has a continuity to grow to the fetus without any natural loss. Such a subtle difference between them give us to find out more about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is research is designed to examine what are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life equality' and difference of 'innate status' by questioning what is the substance of them, on the such a basis, will figure out a continuity in embryo’s dignity and its status with some ethical issues in it. Embryo cloning inevitably accompanies ethical debate as long as it test with a embryo reckoned as a human. So this paper will examine to search how the embryo and human cloning affect on human race, and what is our response to that questions.

      • KCI등재

        줄기세포 연구의 법적 규제에서 공리성 비판과 사회적 합의도출을 위한 절차적 공정성 확보

        이을상 대동철학회 2006 大同哲學 Vol.36 No.-

        이 글은 오늘날 배아복제 연구가 진정으로 도덕적․법적인 정당성을 확보하고 있는가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한 것이다. 난치병 치료를 위한 줄기세포의 확립에는 선행적 연구로서 배아복제가 반드시 요구된다. 왜냐하면 이로써 이른바 환자 개인에 대한 맞춤형 의학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배아복제 실험을 둘러싼 찬성론자와 반대론자의 견해가 첨예하게 대립하고 있는 것도 사실이다. 찬성논변이 근본적으로 공리주의의 공리성을 그 논거로 삼는 반면에, 반대논변은 공리성의 원리가 가져올 인간성의 위기 문제에 초점을 맞춘다. 물론 이런 양자 사이의 오해와 불신을 조정해야 할 1차적인 책임은 국가에 의한 법적 규제에 있다고 하겠다. 그러나 국가의 법 정책 수립은 언제나 정치적 타협을 통해 그 갈등을 해결하려고 함으로써, 여전히 효용성의 한계를 벗어나지 못하는 것이 사실이다. 이런 법정책상의 한계는 생명의 규범적 가치와 생명의 과학적 현상을 슬기롭게 접목시키지 못함으로써 사회적 갈등을 불러오는 요인이 된다. 법정책상의 한계로 인해 생명의 규범적 가치에 대한 판단은 결국 윤리의 몫으로 돌려진다. 그러나 배아복제의 도덕성 논쟁을 통해 윤리는 근본적으로 규범적 논거와 과학적 사실 사이에 건너뛸 수 없는 괴리가 있음을 확인시켜 줄 따름이다. 이로써 과학과 윤리 사이에는 화해와 의사소통의 필요성이 강하게 제기되며, 이에 이 글은 그 현실적 대안으로서 의사결정에 이르는 “공정한 절차”와 “중첩적 합의”가 요구됨을 지적하고, 그 의의를 살펴본다. This thesis is a critical study how the embryo cloning, which is a preceding study in order to establish the Stem Cell for curing of terminal ill patients, can be justified ethically and legally. An embryo cloning will enable us to settle an adjusted medicine for a patient in the future. But It is true that there are many controversies between an approval argument and disapproval argument about an embryo cloning experimentation today. The former argument supports the right and interest of patient prior to those of embryo, but the latter reversely. In the first chapter I observed what stem cell is and the sources of ethical-legal conflict between an approval argument and disapproval argument that stem cell research evokes. And the substances and disputed points of legal regulation to protect the human embryo are discussed in the second chapter. The status of cloned embryo and the axiological standard of an experimentation using the cloned embryo for terminal ill patients are discussed in the third chapter. Finally are searched the problems how we can arrive at overlapping consensus on the consented embryo experimentations and secure a procedural fairness to be required here.

      • KCI등재

        치료 발전을 위한 인간복제배아 연구의 허용성 여부에 대한 검토 및 관련 생명윤리법 규정의 타당성

        오정한(Oh, Jung-Han) 한국형사법학회 2013 刑事法硏究 Vol.25 No.4

        Bei der Kernfrage in der Embryonenforschung durch die Klontechniken handelt es sich nicht um die Frage der technischen Errungenschaften, sondern um die Frage, ob ein geklonter Embryo ein menschliches Individuum ist. Der Embryo soll hier als Person angesehen werden, weil bei ihm ein Verwandtschaftsverhältnis mit Personen besteht, die ihn als ein 'jemand" und nicht als ein 'etwas" verstehen. Medizinische oder biotechnische Eingriffe zum menschlichen Embryo, bei dem es sich um Person-Sein handelt, könnten daher gerechtfertigt werden, falls diese Eingriffe nur therapeutisch sind. Zum Wesen des Menschen gehören außerdem seine Unvollkommenheiten und Unzulänglichkeiten, aber auch zumindest die potentielle Fähigkeit, über die eigene Unvollkommenheit hinauszuwachsen. Bei aller zugestandenen Unklarheit des Würdebegriffs kann die Würdeinhaberschaft nicht vom Zustimmungsurteil der Gesellschaft abhängig gemacht werden, sondern wird jedem Menschen bedingungslos zuerkannt, was gerade 'die Pointe des Menschenwürdegedankens" ist, der Mensch also vor Instrumentalisierung geschützt werden soll. Die bloße Zugehörigkeit zur Gattung Mensch muss deswegen genügen, damit die Menschenwürde in vollem Umfang begründet werden kann. Wenn das Forschungsziel nur unter Rückgriff auf geklonte Embryonen erreicht werden kann, so würde es sich bei einer Alternativlosigkeit in diesem Sinne um eine unabdingbare Voraussetzung für die Rechtfertigung von Forschungsvorhaben handeln, bei denen auf Embryonen zurückgegriffen wird. Jedoch kann in diesem Fall die Zulässigkeit der Aufopferung auf der Wertungsgrundlage des Gesetzgebers nicht gerechtfertigt werden. Wenn die Zerstörung des Embryos durch Klontechniken die Verletzung des menschlichen Lebensrechts und der Menschenwürde nach sich zieht, kann diese Tat durch therapeutische oder reproduzierende Ziele nicht gerechtfertigt werden. Mit der bio- bzw. gentechnischen Forschung, die sich auf menschliches Leben bezieht, soll der Grundsatz der Freiheit und Verantwortung gleichzeitig einhergehen. Daher handelt es sich bei dem Leben überhaupt nicht um den Gegenstand, der Wissenschaftlern zur Disposition steht. Die Handlungsfreiheit ist möglich, insoweit ihr der Gedanke der Verantwortung zugrunde liegt.

      • KCI등재후보

        인간배아연구의 도덕성 논란과 인간생명의 시작

        최경석 ( Kyung Suk Choi ) 한국의료윤리학회 2005 한국의료윤리학회지 Vol.8 No.1

        The main moral dispute on human embryonic research lies in the status of embryo. Embryo means actually pre-embryo here. Proponents for the research argue that an pre-embryo is not an human being because it does not have any personality. But I argue that this argument is too weak to fall down because it must be applied to a new-born baby. But we consider a new-born baby as an human being. A strong argument for the research is to claim that a human life begins at the formation of primitive streak because this streak indicates the establishment of an individual identity. Proponents for the research based on this argument claims that there is no person to hold any rights because there is no entity to establish any individual identity. They consider this argument to fall down the view that human life starts at the conception. But I argue that the above argument only shows when an individual identity is established, rather than when an human life starts. The reasons are as follows. First, biological identity, that is, genetic identity as an human species is formed in zygote at the conception. Second, the potentiality to grown up into an adult is developed from the conception while the same genetic identity is kept. The reason we think that human life is respected lies in the potentiality. The numbers of individuals is not important in considering this potentiality. Therefore, despites discontinuity in individual identity we have to think that human life begins at zygote from which genetic identity and potentiality to build up an individual or individuals are continuously kept. The same view can be applied to cloned human embryo through implanting the nuclear of a somatic cell. So, the research of cloned human embryo is not morally justified. The current Korean law to allow this research should be reconsidered.

      • KCI등재
      • KCI등재

        생명공학과 헌법

        조홍석(Cho, Hong-Suck) 한국비교공법학회 2015 공법학연구 Vol.16 No.3

        배아의 생명권 주체성과 관련하여, 언제부터 생명이 시작되는지는 자연과학적 인식과 전혀 상반될 수는 없다. 그러나 인간의 생명을 정의할 때, 윤리적?도덕적 관점도 중요한 기준이 되어야 한다. 연구의 자유와 인간존엄의 보호라는 헌법적 가치가 서로 충돌할 수 있다. 이 경우 규범조화적 해석방법에 의하여 해결되어야 할 것이지만, 경우에 따라서는 연구의 자유의 본질에 해당한다고 하더라도 제한될 수 있다. 헌법에는 생명권에 대한 명문규정이 없다. 이론적으로 생명권의 헌법적 근거는 인간의 존엄과 가치에서 찾는 것이 더 설득적이다. 입법자는 생명보호의무를 이행함에 있어서 폭넓은 형성의 자유를 가진다. 헌법재판소의 통제권한도 그에 따라 최소한 되어야 한다. 그러나 헌법재판소의 통제의 강도가 언제나 일률적일 수는 없다. 관련 기본권적 법익의 중대성, 침해의 심각성 등에 따라 달라져야 하기 때문이다. 생명윤리법의 경우에도 동법률상 금지 규정들이 어떤 법익을 침해 하는가 또는 침해할 가능성이 있는가에 따라서 통제의 기준이 달라져야 한다. There are many different point of views in concerning of the beginning point of human life. The method of the natural scientific approach and the method of the ethical, moral approach are to be used appropriately in balance. As the legal status of embryo is also connected with value-oriented awareness, the former must not predominate the latter. According to circumstances two constitutional value, the human dignity and the right to research and experiment - could be in conflict. In that case the related norms should be interpreted to keep the two values in harmony. Even if not usually in normal case, even if the core of the right to research is involved, the right could be constrainted in the name of the protection of human dignity and human identity. Though there are not any norms in the korean constitutonal law to suggest the grounds of the right to life, it"s basis is to be found in the article 10 of human dignity and value. Law maker has broad discretion in the selecting of the means of the protection of rights. So, the control over the legislative selections of the constitutional court should be remained in the minimum. But the control density of the court could be not always in uniform. The density of the control could be changed in terms of importance of the benefit of the law, the intensity and type of the violation usw.

      • 체세포복제배아 줄기세포의 최근 연구 동향과 관련 윤리지침

        권복규,안경진 이화여자대학교 생명의료법연구소 2007 생명윤리정책연구 Vol.1 No.1

        NT-hESC research has been receiving much attention, because it holds an immense potential to cure incurable diseases. However, many ethical debates are waged concerning NT-hESC. The debates center around the issue of destroying embryos and acquiring egg donations, because in order to get stem cell lines, the artificial making and destroying of embryos are necessary. Many stem cell scientists around the world continue NT-hESC research within the boundaries of their country’s laws, policies and ethical guidelines. In this article, I first examine the recent NT-hESC research and the naturally accompanying ethical debates regarding the moral status of embryos. Differences in the interpretation and understanding of the moral status of embryos stemming from various cultures, religions and social structures enhance the debate as current scientific technology requires the artificial creation and destruction of embryos in order to get stem cell lines. Second, I examine the ethical issues related to the acquisition of research materials such as egg donation. I explore the National Academy of Science’s “Guidelines for Human Embryonic Stem Cell Research” which contains detailed articles related to policy and ethical considerations. Based on this, I propose that Korea extend the basic ethical and practical regulations in determining ethical and policy guidelines for NT-hESC resea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