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후보

        혁명사상 전통 계승으로서의 1990년대 한국의 문화연구

        강내희(Kang, Nae-hui) 한국문화연구학회 2013 문화연구 Vol.2 No.2

        한국에서 ‘문화연구’ 전통은 1990년대 초에 본격적으로 모습을 드러내기 시작했다. 이 시점은 현실사회주의 붕괴와 신자유주의 세계화의 전개, 이와 맞물린 변혁운동의 후퇴와 소비자본주의 발흥 등에 대한 한국 진보이론계의 성찰과 반성이 요구되던 때다. 이 글은 당시 문화연구가 새로운 지적 기획으로 등장한 것은 이런 요구에 대한 부응이었다고 보고, 문화연구 전통을 한국 혁명사상 전통의 계승이라는 맥락에서 조명하고 한다. 한국의 혁명사상은 20세기 초 독립운동의 주요 흐름이 중국에서 전개됨에 따라 사회주의와 진보적 민족주의 성향을 띠게 되었고, 해방정국에서도 이런 전통이 유지되었다. 그러나 1950년대 초 이후 한미 동맹이 형성되고 좌파에 대한 숙청이 이루어지면서 혁명사상은 한국에서 크게 퇴조하게 된다. 이런 보수화의 흐름을 꺾고 혁명사상을 새롭게 복원시킨 것이 1980년대에 성장한 변혁운동의 도전이었다. 하지만 ‘혁명의 시대’가 오래 지속된 것은 아니다. 1990년대에 들어와서 현실 사회주의가 붕괴하고 한국 자본주의가 발전하게 되면서 좌파적 혁명사상은 다시 후퇴하게 된다. 이 글은 이런 역사적 국면에서 새로운 지적 기획으로 등장한 한국의 문화연구가 어떤 식으로 독립운동 시기, 해방정국, 1980년대에 발전한 혁명사상 전통을 계승하고자 했는지 살피려는 시도다. The tradition of cultural studies in South Korea began in earnest in the early 1990s when, in the midst of radical social changes such as the collapse of existing socialism, the globalization of neoliberalism, the retreat of revolutionary movement, and the rise of consumer capitalism, there rose a need for the introspection and self-reflection of progressive intellectual circles in South Korea. Taking the rise of cultural studies to be an intellectual response to this changed situation, this paper will focus on the relationship between Korean cultural studies and the tradition of revolutionary thought. Due to the fact that the mainstream liberation movement in the early twentieth century took place in China, Korean revolutionary thought was socialist and nationalist in its tendencies. One can find the same tradition in the post-liberation years. But it soon began to decline in the early 1950s, as there followed a massive surge of the left tradition in the country. In the 1980s, this conservative shift met with a momentous challenge in the formidable growth of the revolutionary movement. The ‘revolutionary decade’ did not last long, however, for new social tendencies emerged beginning in the early 1990s. This paper considers Korean cultural studies as a progressive intellectual project to inherit and renew the tradition of revolutionary thought in this new conjuncture.

      • 실천적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

        정정숙 ( Chung Sook Chung ) 한국성경적상담학회 2013 성경과 상담 Vol.12 No.-

        칼빈주의는 기독교의 단순한 교리가 아니라 하나의 독특한 사상체계로서의 특성을 가지고 있다. 칼빈주의는 역사적으로 크게 두 가지 형태로 발전되었는데 하나는 주관적 행동을 강조하는 것으로서 영국의 청교도와 독일의 경건주의 같은 신학이다. 다른 하나는 객관적 신학체계로서 기독교 스콜라주의 신학으로 발전하였다. 산국에 소개된 칼빈주의는 이 두가지 형태의 영향을 동시에 받았다. 칼빈주의 신학의 특성은 하나님 중심의 신학, 성경중심의 신학 그리고 교회중시의 신학이다. 이런 특성 속에서 실천적 칼빈주의가 논의되는데 이것은 아브라함 카이퍼(braham Kuyper)의 주장에서 구체화된다. 카이퍼는 칼빈주의를 삶의 체계라고 규정하였고, 일반은총론과 영역의 주권이론을 통해 실천적 칼빈주의를 구체화하였다. 실천적 칼빈주의의 원리는 하나님의 절대주권, 성경의 절대권위, 변혁주의적 문화사명이다. 이것은 칼빈주의의 핵심을 제시하고 믿음과 행함의 일치를 통하여 하나님의 주권을 확립하는 것이다. 성경적 상담과 실천적 칼빈주의라는 말은 성경적상담은 반드시 성경적이여야 하고 실천적이어야 하며 칼빈주의적이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칼빈주의의 근본원리가 하나님의 주권에 있는 것처럼 성경적 상담 역시 하나님을 바탕으로 해야 한다. 일반상담과 기독교상담 가운데서도 성경을 인간행동의 절대원리로 받아들이지 않는 입장에서는 옳은 것과 잘못된 것을 판단하는 기준이 심리학 중심주의, 자아중심주의, 반기독교적 사고들이다. 이런 상황 속에서 성경을 바탕으로 한 하나님의 주권적 역사를 강조하는 성경적 상담은 실천적 칼빈주의의 한 형태로 구체화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고의 연구목적은 실천적 칼빈주의를 구체화하는 방안으로서 성경적 상담을 활용할 수 있다는 것을 밝히고. 그 근거를 하나님의 주권을 강조하는 칼빈주의와 성경적 상담의 근본원리와 목적의 동일성을 제시함으로 성경적 상담의 정체성을 논의하는데 있다. 실천적 칼빈주의를 논의하기 위해서 칼빈주의의 역사와 특성, 실천적 칼빈주의의 가능성과 실천적 칼빈주의의 원리를 살펴보고, 실천적 칼빈주의로서의 성경적 상담과 미래에 대한 전망을 제시했다. Calvinism is not simply a Christian doctrine but it has unique philosophical characteristics. Calvinism developed into two distinct forms throughout history. One, as in English Puritanism and German pietism, emphasizes subjective behaviors, whereas the other, in scholastic theology, emphasizes objective theological doctrines. The form of Calvinism introduced in Korea has influences from both branches of such theological development. The theoretical characteristic of Calvinism centers around the concept of total and absolute sovereignty of God and the Church. Abram Kuyper (1837-1920), a Dutch theologian, defined the concept of practical Calvinism (also known as neo-Calvinism) as the fundamental way of life where God continually influences the life of believers. By elaborating on the concepts of common grace (also called efficacious grace) and the theories of sovereign grace, Kuyper advanced and gave content to Calvinism.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is a cultural mandate of God`s absolute sovereignty, the absolute authority of the Bible, and transformation. This is to define and establish God`s sovereignty through the unity of faith and action. The term “Practical Calvinism and counseling” implies that biblical counseling must be rooted firmly in the Bible and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Just a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Calvinism lies in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biblical counseling also must be God-centered. Among secular and Christian counseling practitioners, there are those who do not accept the Bible as the absolute principle of human behavior and rather base their practice on psychological egocentrism and anti-Christian beliefs. It is imperative, therefore, for biblical counseling to emphasize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through its biblical foundation. This monograph seeks to provide ways in which biblical counseling can further advance practical Calvinism. Calvinism and biblical counseling have a common goal of emphasizing the absolute sovereignty of God, and thus a discussion of Calvinism`s history and characteristics must take place. This volume will examine the principles of practical Calvinism and contemplates the future prospects of practical Calvinism and biblical counseling.

      • KCI등재후보

        기독교 문화비평의 토대 : 리차드 니버(Helmut Richard Niebuhr)의 『그리스도와 문화』다시 읽기

        신응철 중앙대학교 중앙철학연구소 2006 철학탐구 Vol.19 No.-

        기독교인으로서 문화비평과 문화철학 혹은 문화학 분야에 관심을 두고 연구하고자 할 때 거기에는 한 가지 사실이 전제되어 있다. 그것은 바로 '기독교 세계관'이다. 문화와 기독교의 관계를 다룰 때에도 예외는 아니다. 이제 문제는 문화와 기독교의 관계를 어떻게 설정하느냐에 달려있다. 그 관계설정의 방향에 따라 문화비평의 방식도 달라진다. 오늘 우리가 기독교적 관점에서 문화 비평을 수행한다고 할 때 가장 바람직한 관계설정은 어떤 것이어야 할까? 기독교적 문화비평에서 참조할 수 있는 모델은 어떤 것인가? 이러한 물음은 기독교 문화비평의 토대(土臺)에 대한 문제제기이다. 다문화 시대를 살아가는 기독교인들에게 이 문제는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핵심 과제중의 하나이다. 우리가 기독교와 문화의 관계설정을 염두에 둘 때, 이 문제를 가장 분명하게 제시한 인물로 리차드 니버(Helmut Richard Niebuhr)를 꼽는데 이견을 보이는 사람은 드물다. 그만큼 니버의 견해는 기독교 문화권 세계에 큰 영향을 미쳤으며, 한국의 기독교계와 개혁주의 신학 진영에도 많은 영향을 주었다. 그가 구분하고 있는 다섯 가지 유형의 기독교 문화관은 이미 '기독교적 문화읽기'를 위한 고전(古典)으로 정평이 나 있다. 지금 우리가 다시 니버를 만나 그의 『그리스도와 문화』를 꼼꼼하게 읽어 보려는 이유는 기독교 문화비평과 기독교 문화학의 논의, 특히 문화관 비평에 있어서 절대 빠질 수 없는 사유의 틀을 우리들에게 제공해 주고 있기 때문이다. 기독교 문화관에 대한 니버의 풍성한 논의들을 확인해 봄으로써 우리는 이 시대에 맞는 선교 전략의 하나로서 '문화선교(文化宣敎)'를 위한 전략적 도움도 얻어낼 수 있을 것이다. 그러니까 니버의 논의는 문화선교에 있어서 문화변혁의 원리와 지향점을 분명히 확인하는 계기가 될 수 있을 것이다. 이 점을 확인하고 분명하게 드러내는 것이 이 글의 궁극적인 목적이다. This article aims to review the meaning of the Christian view point of Culture focused on the H. Richard Niebuhr's Christ and Culture(1956) as a basis of the Christian Philosophy of Culture and the Christian Criticism of Culture. The Christian Philosophy of Culture has a presupposition of Christian Word-View. Helmut Richard Niebuhr is famous for us as a theorist of Christian Culture-View. He deals with five types christian culture-view in his Christ and Culture. We called it, so to speak, (1)Type of Opposition, (2)Type of Agreement, (3) Type of Synthesis, (4)Type of Paradox, and (5)Type of Transformation. These types are considered as a classic for Reading Christian Culture. Through the discussion about Christian Culture of Niebuhr's, we will find a new strategy for the Mission of Culture. Niebuhr will suggest a principle and goal of transformation of Culture to us.

      • KCI등재

        기독교 세계관에 기초한 변혁주의 문화관으로 바라보는 4차 산업혁명

        이윤석 ( Lee Yoonseok ) 한국개혁신학회 2024 한국개혁신학 Vol.81 No.0

        본 논문에서는 4차 산업혁명이란 문화적 현상에 대해 그리스도인들이 어떤 견해를 가질 수 있을지를 기독교적인 관점에서 고찰하고자 하였다. 4차 산업혁명에 대해 비그리스도인들은 대체로 긍정적으로 생각하며 과학기술의 발전으로 구현될 테크노피아를 기대한다. 특히 커즈와일이나 하라리처럼 인간이 생물학적인 한계를 뛰어넘어 신과 같은 존재가 될 것이라는 트랜스휴머니즘을 기대하는 이들도 있다. 그러나 팀 켈러의 변혁주의 문화관을 기준으로 하여 4차 산업혁명에 대해 살펴보면 기독교 문화관은 이런 세속적 문화관과는 다르게 생각한다. 기독교 세계관에 입각한 변혁주의 모형이 4차 산업혁명을 바라보는 특징들은 다음과 같다. 첫째, 4차 산업혁명의 주체는 유한한 인간이다. 둘째, 4차 산업혁명의 동인은 인간의 창조성과 일반은총이다. 셋째, 4차 산업혁명의 목적은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는 한에서의 인간의 행복이다. 넷째, 4차 산업혁명은 막대한 가치를 갖고 있다. 다섯째, 4차 산업혁명의 문화적 산물은 영원한 천국에도 연속성을 갖고 존재할 것이다. 여섯째, 4차 산업혁명 시대에 그리스도인에게는 중요한 문화적 사명이 주어졌다. In this paper, I tried to examine what kind of views Christians can have on the cultural phenomenon of the 4th industrial revolution(4IR) from a Christian perspective. Non-Christians in general think positively about the 4IR and expect technopia to be realized through the development of science and technology. In particular, like Kurzweil and Harari, there are those who expect transhumanism that humans will transcend biological limits and become godlike beings. However, if we look at the 4IR based on the transformationist model of Keller, the Christian view of culture thinks differently from this secular view of culture.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formationist model, based on the Christian worldview, about the 4IR are as follows. First, the subject of the 4IR is finite human beings. Second, the driving forces behind the 4IR are human creativity and common grace. Third, the purpose of the 4IR is human happiness insofar as it glorifies God. Fourth, the 4IR has enormous value. Fifth, the cultural products of the 4IR will exist with continuity even in the eternal heaven. Sixth, an important cultural mission was given to Christians in the era of the 4IR.

      • KCI등재

        칼빈의 개혁사상과 교회

        김재성(박사) ( Jae Sung Kim ) 한국복음주의신학회 2010 성경과신학 Vol.53 No.-

        우리는 이 글을 통해 칼빈 사상의 역사적 문맥을 개괄적으로 살펴서 그의 정체성을 규정짓고, 그동안의 연구자들의 연구를 통해 핵심적인 교리, 방법,구조분석을 간추려 그의 개혁사상의 독특성을 규명하고자 한다. 그리고 더나아가서, 그의 사상 속에 담겨진 “변혁적인 역동성”(transformative dynamics)을 논증하여 한국교회에 변화와 갱신의 에너지를 제시하고자 한다. 결론적으로는 어두움을 비추는 빛이신 예수 그리스도를 통해서 세상을 변혁시키는 역동성이 바로 칼빈이 남긴 사상과 업적이다. 칼빈은 르네상스의 수사학과 논리학의 패턴을 사용하면서도 ‘말씀의 신학자’로서 성경적인 개혁을 시도하였다. 혼란한 상황에서 성경적인 해답을 모색하였기에 놀라운 확신과 감동을 주고 있으며, ‘변혁적인 에너지’를 제공하였고, 고난과 시련을 돌파하는 ‘새로운 역동성’으로 칼빈주의자들에게 힘을 불어넣었다. 칼빈은 청년기 초반 에라스무스로 대표되는 기독교 휴머니즘 운동의 영향을 받았다. 이 운동은 성경과 초대 교부들을 연구하도록 이끌었고, 어거스틴을 비롯한 수많은 교부들의 글을 통해 성경 해석의 근간을 얻어냈다. 칼빈의 개혁사상은 성경과 교회가 핵심 위치를 차지한다. 그의 개혁은 성경을 근간으로 교회를 개혁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뿐만 아니라 사회와 정치, 생활의 전반에 깊숙이 영향을 미쳤다. 칼빈은 성경에서 신학을 정립했고, 그방식대로 신학을 전개함으로써 권위 있는 힘과 역동성이 있었다. 그는 성경의 가르침을 모두 다 중요시했고, 계시된 하나님의 뜻으로 총체적으로 가르치는데 역점을 두었다. 칼빈은 교리에 대해서 이론적인 사색보다는 성경에 철저히 의존함으로써 순수한 신앙을 유지한다. 이것이 칼빈이 제공하는 역동적인 힘의 논리가 된다. 칼빈에게 있어서 믿음의 지식은 성령에 의해서 그리스도와의 교통을 즐거워하는 것이다. 이는 삶과 괴리되지 않는 바탕이었고 삶의 원동력이 되었다. 이렇듯 칼빈에게는 성경과 더불어 성령의 강력한 역사가 개혁의 역동적인 힘이었다. 칼빈의 신학사상이 전 세계에 큰 영향을 미치고 있는 것은 그의 저술 속에 흐르는 경건의 자세에 기인한다. 칼빈이 세속화와 세상 중심의 이론들과 맞서서 긍정적이며, 창조적으로 대응하는 경건과 거룩함을 추구할 수 있었던 바탕 역시 성경이었다. 이처럼 성경에 입각한 칼빈의 교회 개혁은 교회뿐 아니라 교육과 사회 복지, 시민 윤리, 정치, 시장경제와 자본주의의 기초를 놓았으며 개개인의 삶과생활 전체의 개혁을 가져왔다. 칼빈의 참된 신앙의 가르침과 경건은 당시 뿐아니라 오늘날에도 “변화와 감화”를 주고 있다. 그리고 계속해서 타성을 깨뜨리고 변화의 소망을 낳을 것이다. “개혁교회는 항상 개혁한다”(Ecclesia reformata, quia semper reformanda) This study aims to define Calvin’s theoretical identity through look over the cultural context of 16th century, and to examine the uniqueness of Calvin’s reformation ideas till contemporary studies focusing on central dogma, methodology and structural analysis of Calvin’s writings and sermons. For the more Transformative dynamics in Calvin’s thought give the energy of change and reformation to the Korean church. we came to the conclusion that Calvin’s dynamic ideas and works based on Jesus Christ in the light of the world. In early youth, Calvin impressed by christian humanism represented by Erasmus. Humanistic studies were directed toward ministry opportunities and the study of Word of god and Early Fathers writings. From that experience he acquired the basis of Bible hermeneutics. Bible and Church are at the very core of Calvin’s Reformation. In addition, He had a powerful influence over the world. Calvin has touched every sphere of life and penetrated every century since its formulation under Calvin’s pen, preaching, public debate and personal counseling. He had formed theology from Bible. through this manner he had an authority and a dynamic power. He set much store by all over the biblical teaching and spoon-fed his successors with Bible as revealed God’s Will. He was a speculative genius of first order, and in the cogency of his logical analysis. But it was nat on these gifts that he defended in forming and developing his theological ideas. His instrument of research was not logical amplification, but exegetical investigation. In one word, he was distinctly a Biblical theologian. This is Calvin gives us the keystone of dynamic power. Those who have the knowledge of faith shall enjoy eternal and immediate communion with Christ by Holy Spirit. This is the basement without alienate from life and the motive power. therefore the Holy Scripture and the dynamic works of Holy Spirit are the power in Reformation. Calvin struggled against secularization and an worldly theory. and His positive and creative affect on the world was from the Word of God. Calvin’s works from biblical principle made the church reformed as well as set out to order education, social affairs, civil law, economic system and personal life. His teaching of a real faith and piety gives “transformation and satisfaction” then and now. Still it breaks an inertia and births the hope of transformation. “Ecclesia reformata, quia semper reformanda.”

      • KCI등재

        촛불시위의 사회문화적 변화와 의미

        김종법 조선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부설 동북아연구소 2019 동북아연구 Vol.34 No.1

        This paper will analyze the political meanings of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16, concentrating on the analysis of social-cultural changes after Keun-Hye Park’s government and comparing it to the previous cases of candlelight demonstrations. The Korean democratic system had been so fast changed into a more regressive one since Myoung-Park Lee's government. But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recurred in 2016 was a crucial phenomenon that could be interpreted as a new form of democratic political participation to resist against the deterioration of Korean democratic system. This study argues that we can understand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16' as a new symbolic sign of Korean democracy, providing some explanations of the processes and social-cultural impacts of the 'Candlelight Demonstration in 2016'.

      • KCI등재

        교권침해를 경험한 초등학교 교사의 회복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장세린(Chang, Se rin),정윤경(Chung, Yun-kyoung) 한국질적탐구학회 2021 질적탐구 Vol.7 No.3

        본 연구의 목적은 한 초등학교 교사의 교권침해 경험과 그 회복과정을 조명하는 것이다. 이를 위하여 교권침해 교사의 경험을 통해 교권침해 문제해결을 어렵게 하는 학교의 구조적 메커니즘을 분석하고, 공론화를 통해 학교 차원에서 교권침해 문제를 해결해 가는 과정을 서술하였다. 연구방법은 경험 당사자의 목소리를 효과적으로 들려줄 수 있는 자문화기술지를 사용하였다. 연구 결과는 크게 침해경험과 회복과정으로 나누어 서술하였다. 침해경험은 교권침해 문제 해결을 어렵게 하는 학교 시스템의 구조적인 문제점을 보여주고, 학부모와 학생에 의한 교권침해 경험을 보여준다. 교권침해로부터 회복하는 과정은 첫째, 관리자 교체와 더불어 공론화를 위한 연구자의 노력으로 학교 차원의 연대 형성이 가능했고, 둘째, 학부모와 관계 회복 셋째, 교사로서의 권위와 수업권 회복이 필요했음을 시사한다. 연구 결과가 주는 시사점은 다음과 같다. 첫째, 교권침해 문제를 공론화하고 학교 차원에서 해결하기 위해서는 변혁적 리더십을 가진 관리자가필요하다. 둘째, 암묵적 능력주의에 젖은 교직 사회의 분위기와 교사들의 인식이 변화할 필요가있다. 셋째, 교권 보호를 위한 절차 중심의 해결 방식이 수정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교권 회복의 최종 목표는 수업의 정상화이며, 교사의 원활한 수업을 위해 어떤 지원이 필요한지 고민해 볼필요가 있다 This papers aims to shed light on an elementary school teacher’s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and its recovery process. For this purpose it analyzed the structural mechanisms of schools that make it difficult to solve problems of teachers’ rights infringement through the experience of teachers’ rights violations, and described the process of solving problems at the school level through public discussion, not by individual teachers. For the research method, autoethnography was adopted as it could effectively speak the voices of experienced partie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largely described as damage experiences and recovery processes. The damage experience shows the structural problems of the school system that make it difficult to solve the problem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and shows experience of infringement on teachers’ rights by parents and students. The process of recovering from the challenge against teaching authority implicated first, it was possible to form a solidarity at the school level with researchers’ efforts to make public discussions along with the replacement of managers, second, restore relationships with parents, and third, recover the authority and teaching rights of teacher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 manager with transformative leadership is needed to have public discussion on and resolve the issue at school level. Second, the attitude relying on implicit competence in teaching society and the perception of teachers need to change. Third, procedure-oriented solutions to protect teaching rights should be revised. Lastly, the final goal of restoring teachers’ rights is normalization of classes, and it is necessary to figure out what support is needed to help teachers lead their classes seamlessly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