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전통과 근대 : 한국의 유교적 근대성 논의를 중심으로

        나종석(Na, Jongseok) 사회와철학연구회 2015 사회와 철학 Vol.0 No.30

        오늘날 한국사회와 조선사회의 유교전통은 어떤 관계 속에 있는가? 이 글은 이 물음을 한국 근대성(m odernity)에 대한 새로운 해석의 가능성과 관련하여 다루어보고자 한다. 우리의 전통, 특히 유교적 전통과 한국사회의 근대성 사이의 관계에 대한 물음은 한국사회 발전 경로의 고유성이 무엇인지를 해명하는 작업이기도 하다. 이 글의 주된 목적은 오늘날 한국사회의 근대성을 해명하는 작업에서 가장 주목할만한 이론인 장은주의 유교적 근대성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이다. 이 글에서 필자는 오늘날 한국사회의 근대성을 유교적 전통과 관련하여 해명하는 작업에서 매우 중요한 성과로 평가될 수 있는 그의 유교적 근대성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한다. 필자는 장은주의 유교적 근대성 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유교전통과 한국의 근대사회와의 만남에서 그 부정적 측면에 주목하는 그와는 달리 둘 사이의 접합에서 출현하는 긍정적 계기에도 응당 관심을 기울여야 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고자 한다. 아울러 유교전통의 한국적 특성 그리고 그런 한국고유의 유교적 전통문화의 영향사의 맥락에서 한국 근대성의 고유한 동력학과 그 병리적 현상의 정신사적 조건을 해명하기 위해서는 반드시 조선사회에서부터 누적되어 온 우리사회의 유교전통을 동일한 유교문명권에 속하는 중국 및 일본의 유교전통과 비교하는 연구가 필요함을 입증하고자 한다. 특히 일본 유교전통과 조선 유교전통의 유사성과 차이점을 염두에 두지 않고서는 한국 근대성의 고유성을 형성하는 데 작동하는 유교전통의 존재 방식을 해명하는 작업에서도 불가피하게 여러 심각한 오류를 초래하지 않을 수 없다는 점을 보여줄 것이다. How relevant is Joseon Dynasty Confucianism in present-day Korea? This thesis aims to answer this question, and in doing so, present an alternative interpretation of Korean modernity. Defining the ties between Korea’s Confucian traditions and Korea’s modernity offers insight into unique characteristics that m ark Korea’s development.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offer a critical review of Chang E un-joo’s theory on Confucian modernity, which is one of the most prominent theories used to analyze Korea’s modernity. The author w ill present a critical review on Chang Eun-joo’s Confucian modernity theory and illustrate the positive effects that Confucian traditions had on present-day Korea, in contrast to Chang Eunjoo’s unfavorable analyses. Furthermore, the author emphasizes that to understand the unique Korean aspects of Korean Confucianism , and to elaborate on the inner logic of Korean modernity and the cultural conditions of its pathological phenomena in the context of Korea’s distinct Confucian tradition culture, one must first understand East Asian Confucianism in general - especially China and Japan, as the three East Asian countries are widely considered to belong to the sam e sphere of Confucianism - to comprehend the cumulative effects of Korean Confucianism, which dates back to the Joseon Dynasty. A point of special focus is the necessity of understanding th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between Japanese and Korean Confucianism to accurately assess the impact that Confucian traditions had on the formation of Korea’s modernity.

      • KCI등재

        현대문학 :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이일림 ( Il Rim Lee )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본고에서는 1930년대에 한국 시의 주류를 형성했던 한 시인으로서 백석 시의 근대성의 구현양상에 대해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이유는 백석 시의 근대성에서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인데,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근대성의 내면에 강고하게 병리학적인 성격으로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연구사 검토를 통해 전통적 시작에 몰두하였던 백석의 시세계에 나타나는 전통성에 근거해서 보들레르가 말하는 미학적 개념과 상통하는 점을 고찰하고 그 여파로 나타나는 백석 시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행해졌던 백석 시에 대한 논의를 살핀다. 백석 시의 근대성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토속성의 이면과 모더니티의 접합과정을 살피고 백석 시가 이룬 모더니티의 경로에 대한 이해관계를 고찰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백석 시의 토속성은 김기림이 주장하는 모더니티의 구성요소들과 접합된다. 방언의 리얼리티와 모더니티를 절묘하게 혼합하는 방식의 창조된 주지주의적 시선은, 백석이 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시세계의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점에서 모더니즘이 토속성의 이면으로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장에서 이러한 백석 시의 속성을 고찰했다면, 3장에서 중요한 것은 본고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구체적 요인이 되는 백석 시 근대성의 구현을 병리학적 샤머니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이다.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에 있어서 절실하고 확연하게 드러나는 시세계가 전통적이고 신화적인 샤머니즘적 시세계이다. 본고의 고찰은 백석 시에 나타나는 토속성을 포괄적인 범위로 다루는데, 그 한 갈래의 경향인 토속성의 이면을 좀 더 세부적으로 연구하는 차원에서시세계에 내재하는 근대성의 방향을 점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이다. 그러기 위해 백석 시의 근대성과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교섭점을 알아본다. 백석 시의 근대성에 있어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은 치유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그것은 백석 시의 근대성이 치유의 형식으로도 나타나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방편이며, 일제강점기에 말살 위기에 놓인 전통 신앙인 무가에 대한 애착심과 민족심의 발로였다는 것을 밝히는 과정이다. 결국 이는 백석 시의 근대성이 내포한 희원의 우회적인 기법이며 시대상황을 퇴치할 방도를 찾기에 고심한 치유의 흔적으로써, 민간 전통신앙인 샤머니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 기저로 작용하고, 그의 시문학에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수용하게 된 계기로 수렴된다. 백석 시는 동시대 시인들이 전통과의 단절을 미덕으로 삼고 도회적 이미지와 서구적 감각을 찾으려 노력한 반면, 백석 시는 과거의 것에서 시어를 끌어올렸다는 점, 그리고 사라져가는 전통관습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점, 고유의 전통인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치유의 방도로 시문학에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모더니티의 의미가 오히려 더 깊게 다가온다. 백석 시의 근대성의 획득은 전근대성을 저변에 깔고 있다. 시공간 의식에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시편들은 전근대성의 토대를 가지는 전통성에서 출발한다. 이는 근대적 주체가 인식하는 민족 수난과 상실감에서 비롯된 것이며, 타자에 의한 인식의 변화가 호응할 때 가장 근대적인 것을 획득한다. 샤머니즘적 시세계는 대부분 유년의 시절에 근거한 기억에서 끌어오고 있다. 그러나 가장 토속적이고 민족적인 소재와 언어의식을 통하여 근대적 주체를 확립하며, 고유의 옛것을 통속화시키지도 않고 그렇다고 표면적인 모더니티도 아니게 가장 신선하고 가장 사실적인, 보다 심층적인 ‘모더니티’를 구현하는데 성공하고 있다. 가장 전통의 것을 소환하여 현실에 환기시키는 형식은 극도의 통감을 끌어들이게 충분하며, 나아가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시적 국면은 백석 시의 미적 형상화에서 한 걸음 더 진보하여 독특한 백석 시 고유의 ’모더니티‘를 개척한 것이다. 백석 시의 ‘모더니티’가 추구한 귀결점은 전통성을 담지하면서 동시에 그것을 담아내는 형식의 모더니티한 면모를 보인다는 점에서 근대성의 핵심적인 요소를 획득한 데 있고, 전통을 통해서 모더니티를 획득하는 백석 시의 전략은 동시대에 아무도 범접할 수 없는 그만의 창조성으로 평가되어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ifestation patterns of modernity in the poetry of Baek Seok, one of the poets that formed a mainstream in the poetic circles of Korea in the 1930s, with a focus on pathological shamanism since the shamanistic works could never be neglected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were firmly present inside modernity as a pathological nature.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to examin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the poetic world of the poet, who was committed to writing traditional poems, that would correspond with the aesthetical concept of Baudelaire and look into the resulting discussions about hi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and modernism in his poetry. Th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converging with modernity and the interest relations of the modernity path established in his poetry to investigate modernity in his poetry. The folk nature of his poetry merged with the components of modernity argued by Kim Gi-rim in the process. The view of created intellectualism according to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dialect reality and modernity reveals that modernity emerges as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in that the poet used the approach to seek after newness in the poetic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Chapter 2 covered those attributes of his poetry. Chapter 3 investigated the manifestation of modernity in his poetry, which was the specific element to be examined in th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pathological shamanism. A traditional and mythical shamanistic poetic world makes a desperate and definite appearance in the research on modernity in his poetry.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folk nature in his poetry within a comprehensive scope as a way approach the directionality of modernity in his poetic world in a gradual fashion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one of the tendencies, more in-depth. The study thus looked into the negotiation points between modernity and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ry. Pathological shamanism includes the concept of healing as for modernity in his poetry. It is a means to demonstrate that modernity also took the form of healing in his poetry and a process to show that it was the expression of his nationalist sentiment as well as love for shamanistic songs, part of the traditional faith at the risk of abolition during the Japanese rule. In the end, it was a detour technique for the hope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the trace of healing to contemplate a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t served as the bas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hamanism, a traditional faith, and the opportunity to include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ic literature. Unlike his contemporary poets that found a virtue in separation from traditions and tried to find urban images and western senses, Baek Seok added more depth to the meanings of modernity in that his poetry pulled up poetic words from the past and awakened the consciousness of disappearing traditional customs and that the works based on shamanism, a unique tradition, settled down as the means of healing in poetic literature. The achievement of modernity in his poetry is based on pre-modernity. In the consciousness of time and space, the works of pathological shamanism start with the heritage with a pre-modern foundation. It stemmed from the people`s suffering and sense of lost perceived by the modern subjects. When a change to the consciousness of others reacts, the most modern can be obtained. The shamanistic poetic world mostly comes out of childhood memories. However, he succeeded in manifesting the most refreshing and realistic and more profound "modernity," which was not superficial, by establishing a modern subject with the most folk and national materials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and not popularizing the unique oldness. The form of summoning the most traditional and rousing them in reality is enough to induce an extremely keen sensation. Furthermore, the poetic aspects of pathological shamanism pioneered "modernity" unique to his particular poetry, making a further step forward from aesthetic embodiment in his poetry. The ultimate point that "modernity" of his poetry sought after obtained the essential elements of modernity in that it maintained the traditional value and, at the same time, exhibited a modern aspect of the form holding it. The strategy of attaining modernity through tradition in his poetry should be evaluated as his own creativity that no other contemporary figures of his could approach.

      • KCI등재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이일림 배달말학회 2013 배달말 Vol.53 No.-

        본고에서는 1930년대에 한국 시의 주류를 형성했던 한 시인으로서 백석 시의 근대성의 구현양상에 대해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중심으로 살펴보는 데에 목적이 있다. 그 이유는 백석 시의 근대성에서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은 결코 간과할 수 없는 부분인데,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근대성의 내면에 강고하게 병리학적인 성격으로 내재하고 있기 때문이다. 우선 연구사 검토를 통해 전통적 시작에 몰두하였던 백석의 시세계에 나타나는 전통성에 근거해서 보들레르가 말하는 미학적 개념과 상통하는 점을 고찰하고 그 여파로 나타나는 백석 시의 리얼리즘과 모더니즘의 관점에서 행해졌던 백석 시에 대한 논의를 살핀다. 백석 시의 근대성을 연구하기 위해 먼저 토속성의 이면과 모더니티의 접합과정을 살피고 백석 시가 이룬 모더니티의 경로에 대한 이해관계를 고찰한다. 그러한 과정에서 백석 시의 토속성은 김기림이 주장하는 모더니티의 구성요소들과 접합된다. 방언의 리얼리티와 모더니티를 절묘하게 혼합하는 방식의 창조된 주지주의적 시선은, 백석이 모더니즘의 영향 아래 시세계의 새로움을 추구하기 위한 방편이었다는 점에서 모더니즘이 토속성의 이면으로 드러나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2장에서 이러한 백석 시의 속성을 고찰했다면, 3장에서 중요한 것은 본고에서 연구하고자 하는 구체적 요인이 되는 백석 시 근대성의 구현을 병리학적 샤머니즘 관점에서 구명하는 것이다. 백석 시의 근대성 연구에 있어서 절실하고 확연하게 드러나는 시세계가 전통적이고 신화적인 샤머니즘적 시세계이다. 본고의 고찰은 백석 시에 나타나는 토속성을 포괄적인 범위로 다루는데, 그 한 갈래의 경향인 토속성의 이면을 좀 더 세부적으로 연구하는 차원에서시세계에 내재하는 근대성의 방향을 점층적으로 접근하기 위한 방안이다. 그러기 위해 백석 시의 근대성과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교섭점을 알아본다. 백석 시의 근대성에 있어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은 치유의 개념을 포함하는 것으로써 그것은 백석 시의 근대성이 치유의 형식으로도 나타나는 것을 입증하기 위한 방편이며, 일제강점기에 말살 위기에 놓인 전통 신앙인 무가에 대한 애착심과 민족심의 발로였다는 것을 밝히는 과정이다. 결국 이는 백석 시의 근대성이 내포한 희원의 우회적인 기법이며 시대상황을 퇴치할 방도를 찾기에 고심한 치유의 흔적으로써, 민간 전통신앙인 샤머니즘의 중요성을 깨닫게 되는 기저로 작용하고, 그의 시문학에 병리학적 샤머니즘을 수용하게 된 계기로 수렴된다. 백석 시는 동시대 시인들이 전통과의 단절을 미덕으로 삼고 도회적 이미지와 서구적 감각을 찾으려 노력한 반면, 백석 시는 과거의 것에서 시어를 끌어올렸다는 점, 그리고 사라져가는 전통관습에 대한 경각심을 일깨웠다는 점, 고유의 전통인 샤머니즘적인 시편들이 치유의 방도로 시문학에 자리 잡았다는 점에서 모더니티의 의미가 오히려 더 깊게 다가온다. 백석 시의 근대성의 획득은 전근대성을 저변에 깔고 있다. 시공간 의식에서 병리학적 샤머니즘의 시편들은 전근대성의 토대를 가지는 전통성에서 출발한다. 이는 근대적 주체가 인식하는 민족 수난과 상실감에서 비롯된 것이며, 타자에 의한 인식의 변화가 호응할 때 가장 근대적인 것을 획득한다. 샤머니즘적 시세계는 대부분 유년의 시절에 근거한 기억에서 끌어오고 있다. 그러나 가장...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manifestation patterns of modernity in the poetry of Baek Seok, one of the poets that formed a mainstream in the poetic circles of Korea in the 1930s, with a focus on pathological shamanism since the shamanistic works could never be neglected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were firmly present inside modernity as a pathological nature. The study first reviewed the research history to examine the traditional elements of the poetic world of the poet, who was committed to writing traditional poems, that would correspond with the aesthetical concept of Baudelaire and look into the resulting discussions about his poetry from the perspective of realism and modernism in his poetry. The study examined the process of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converging with modernity and the interest relations of the modernity path established in his poetry to investigate modernity in his poetry. The folk nature of his poetry merged with the components of modernity argued by Kim Gi-rim in the process. The view of created intellectualism according to the exquisite combination of dialect reality and modernity reveals that modernity emerges as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in that the poet used the approach to seek after newness in the poetic world under the influence of modernism. Chapter 2 covered those attributes of his poetry. Chapter 3 investigated the manifestation of modernity in his poetry, which was the specific element to be examined in the study, from the perspective of pathological shamanism. A traditional and mythical shamanistic poetic world makes a desperate and definite appearance in the research on modernity in his poetry. The present study dealt with folk nature in his poetry within a comprehensive scope as a way approach the directionality of modernity in his poetic world in a gradual fashion in an attempt to investigate the other side of folk nature, one of the tendencies, more in-depth. The study thus looked into the negotiation points between modernity and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ry. Pathological shamanism includes the concept of healing as for modernity in his poetry. It is a means to demonstrate that modernity also took the form of healing in his poetry and a process to show that it was the expression of his nationalist sentiment as well as love for shamanistic songs, part of the traditional faith at the risk of abolition during the Japanese rule. In the end, it was a detour technique for the hope in the modernity of his poetry and the trace of healing to contemplate a way to overcome the situations of the times. It served as the base to realize the importance of shamanism, a traditional faith, and the opportunity to include pathological shamanism in his poetic literature. Unlike his contemporary poets that found a virtue in separation from traditions and tried to find urban images and western senses, Baek Seok added more depth to the meanings of modernity in that his poetry pulled up poetic words from the past and awakened the consciousness of disappearing traditional customs and that the works based on shamanism, a unique tradition, settled down as the means of healing in poetic literature. The achievement of modernity in his poetry is based on pre-modernity. In the consciousness of time and space, the works of pathological shamanism start with the heritage with a pre-modern foundation. It stemmed from the people's suffering and sense of lost perceived by the modern subjects. When a change to the consciousness of others reacts, the most modern can be obtained. The shamanistic poetic world mostly comes out of childhood memories. However, he succeeded in manifesting the most refreshing and realistic and more profound “modernity,” which was not superficial, by establishing a modern subject with the most folk and national materials and linguistic consciousness and not popularizing the unique oldness. The form of summoning the most traditional and rousing ...

      • KCI등재후보

        트랜스모더니티와 문화의 생태학

        김용규(Kim, Yong-gyu) 부산대학교 인문학연구소 2011 코기토 Vol.- No.70

        이 논문은 문화연구, 특히 라틴아메리카 문화연구의 장에서 강력한 이론적 흐름으로 등장하고 있는 근대성/ 식민성 그룹을 비판적으로 소개하는 글이다. 엔리케 두셀, 아니발 키하노, 월터 미뇰로를 필두로 하는 이 그룹의 목표는 근대성에 대한 유럽중심적 개념을 비판하고 타자의 이성에 근거한 새로운 근대성 개념을 구축하는 것이다. 이들이 유럽중심적 근대성 개념을 비판하는 것은 그것이 근대성을 오로지 유럽적 현상만 으로 간주하면서 실은 비유럽세계, 특히 아메리카에 가한 무자비한 폭력적 역사를 은폐하는 데 기여해왔기 때문이다. 이에 맞서 이 그룹은 근대성과 식민성의 착종관계, 즉 근대성의 어두운 이면으로서의 식민성에 주목한다. 우선 이런 착종관계를 이해하기 위해서는 ‘식민적 차이’를 자각하는 인식론적 전환이 요구된다. 식민성은 이 그룹의 가장 핵심적 개념 중의 하나이다. 이 그룹에 따르면 식민성이 근대성을 구성하는 결정적 요인이기 때문에 근대성은 식민성 없이 사고될 수 없다. 특히 식민성은 근대성의 기원적 순간뿐만 아니라 근대세계체제의 형성 이후 오늘날까지도 인종적/ 민족적 위계질서를 통해 유지되고 있다. 키하노는 이와 같은 근대세계체제 내부의 인종적 위계질서와 계층화를 ‘권력의 식민성’이라 부른다. 기존의 유럽중심적 근대성 개념과 권력의 식민성에 대한 대안으로 이 그룹은 트랜스모더니티와 해방의 윤리를 제시한다. 두셀의 트랜스 모더니티는 근대성과 포스트근대성에 대항하는 개념으로서 근대성의 비합리적 신화를 비판한다는 점에서는 포스트근대성과 뜻을 같이하지만 근대성 그 자체에 대한 총체적 부정을 거부한다는 점에서는 포스트근대성과 다른 입장을 취한다. 오히려 트랜스모더니티 개념은 근대성의 비합리적 폭력과 억압에 의해 은폐된 풍부한 문화적 타자들을 복원하고 이를 발판으로 타자의 이성에 근거한 해방을 상상하고자 하는 것이다. 결국 이 그룹에게 트랜스모던적 합리성은 근대성의 비합리적 신화로부터의 해방이자 문화생태학의 복원을 의미한다. This paper tries to critically introduce the recently fashioned theoretical group of modernity / coloniality, including Enrique Dussel, Anibal Quijano, Walter Mignolo and so on, which has now been shaping a powerful theoretical trend in the field of cultural studies, in particular, Latin American studies. The primary aim of this group is to criticize the Eurocentric conception of modernity and think other modernity radically. One of the reasons why it criticizes the Eurocentric conception of modernity is that the conception is an irrational myth in that it has thoroughly repressed and concealed the ruthless and violent histories of exploitation and massacre in America by the Europeans. Therefore this group tries to attend to coloniality as the darker side of modernity and to the originary entanglement between modernity and coloniality. In order to make sense of this entanglement, this group needs the recognition of colonial difference as a crucial epistemic turn. Coloniality is one of the most essential keywords in this modernity / coloniality group. According to this group, modernity could not be thinkable without coloniality because coloniality is constitutive of modernity and vice versa. It has revealed itself not only in the originary moment of modernity but also in racial / national hierarchy since the formation of the modern world-system. Quijano calls this kind of racial hierarchy and stratification as "the coloniality of power." As the alternative to the existing conception of modernity and the coloniality of power, this group proposes transmodernity and the ethic of liberation. For Dussel, transmodernity is against both modernity and postmodernity. Transmodernity basically shares the post-modern critique of the irrational myth of modernity but doesn’t agree to the total rejection of modernity itself. Rather it tries to restore the rich rational cultures and values of modernity concealed by its irrational myth and overcome the irrational limits of modernity based upon the restoration of various cultures and values. To this group, transmodern rationality means both the liberation from irrational myth of modernity and the restoration of cultural ecology.

      • KCI등재

        중층근대성

        김상준(Kim SangJun) 한국사회학회 2007 韓國社會學 Vol.41 No.4

        근 200여년간 지배적이었던 ‘근대성=서구성, 근대화=서구화’ 등식은 오늘날 점차 실효를 잃고 있다. 이 변화의 함의는 깊다. 옛 등식에서 서구근대성은 보편성의 지위를 획득하고 있었다. 서구중심의 근대성론은 특정 시공에 영원한 특권을 부여한다. 이 이론 속에서 비서구 근대는 운명적으로 영원히 불완전한 근대일 수밖에 없었다. 최근 제기되는 다중근대성(multiple modernities) 이론은 오늘날 더욱 분명해지고 있는 근대성 표출 양식의 다양성ㆍ복수성에 주목 한다는 점에서 일단 긍정적이다. 그러나 자체의 근대성관이 분명치 않고(약점), 그들 역시 근대성의 기원을 서구에 둔다(한계). 이 글은 그 약점과 한계를 극복한 대안적 근대성 이론의 개요를 제시한다. 이를 ‘근대성의 역사적 중층구성론’, 줄여서 ‘중층근대성론’이라 한다. 이 대안적 시각은 근대성의 지난 역사를 보다 정확하고 포괄적으로 표현해 줄뿐 아니라, 근대성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설명과 예측에 있어서도 고전적 근대성론보다 우월하다. The dominant discourses of modernity presuppose the western European origin of modernity. This presupposition has been accepted as a kind of unquestionable truth. In this presupposition, European modernity obtains the status of universality. This paper questions that presupposition. Eurocentric theories of modernity inevitably privilege a specific time and space and idolize modernity. Non-European modernities are unavoidably lacking and incomplete in these discourses. Recently theories of multiple modernities have emphasized the multiple features of modernity. Understanding modernity in plural terms is an advance in the discourses of modernity. Nevertheless the discourse of multiple modernities is not free from the strong presupposition that Modernity itself - however multiply it unfolds in these days - was the exclusive invention of Western Europe. This paper locates the historical origins of modernity(proto-modernity) in the birth of ethical relig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ncient empires(Christian-Roman, Hindu-Indian, Confucian-Chinese). The historical modem era began when the encompassment of the sacred over the mundane in the civilizations of pro-modernity was completely reversed. The Western experience of Reformation is just an example of this reversion. This paper maintains that both the origin of proto-modernity and the beginning of the historical modem era are multiple. Thus begun modem era has passed the second stage of colonizing/colonized modernity and the third stage of global modernity in order. Thus formed three layers of modernity - proto, colonizing/colonized, and global - coexist and overlap these days. This paper calls this complex formation of modernity ‘multilayered historical formation of modernity’. It also expands time dimension of the theories of modernity by introducing a new concept of ‘time outside time.’

      • KCI등재

        중국 관료제의 근대성과 비판전통

        김창규 ( Kim Chang-gyu ) 호남사학회(구 전남사학회) 2016 역사학연구 Vol.63 No.-

        본고는 우드사이드(A. Woodside)의 논의를 중심으로 삼아 중국 관료제의 근대성을 짚어보고, 더 나아가 관료제 사회의 문제점과 이에 대한 비판을 추적하여, 동아시아 전통 속의 근대성을 재사유하자는 의미에서 기획된 글이다. 근대화의 척도로서 서구 중심적 근대성은 서구 편향을 가질 수밖에 없다. 그런데 최근 서구 중심적 근대성에 대해 서구 및 동아시아 학계에서 비판이 제기되어 오고 있다. ‘다중근대성’과 ‘유교근대성’은 그 대표적인 논의이다. 직업적 엘리트에 의해 귀족제가 대체된 것을 근대성의 한 조건으로 간주한우드사이드는, 과거를 기반으로 하는 宋代 관료제가 매우 근대적인 제도였으며, 유럽보다 훨씬 더 일찍 선취했다고 본다. 세습적 권력이 아닌 인재 교육을 바탕으로 하는 통치 실현은 이성이 일궈낸 합리화의 과정이라는 것이다. 그리고 이 관료제 하에서 문서와 능력 본위의 정치가 시행되었고, 자유로운토론과 논쟁이 전개되었다는 것이다. 서구적 근대성에 비판적인 논의들은 송대에 실시된 鄕約이 근대적인 것의 전조로서 공동체 의식을 조성하기 위한 것이었다고 본다. 또한 社倉은 민간에 공공적 공간을 만들어 사회의 변동에 부응하는 질서를 수립하고자 한 것으로 평가한다. 이로써 보면 후진적 권력과 봉건적 경제 형태로 특징 지워진 동아시아에 대한 기존의 인식은 부정되어야 한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관료제가 지닌 문제점을 가벼이 할 수 없다. 전제 권력의강화, 비현실주의, 관료의 비리와 부패, 행정의 비효율성, 사회적 실천에서 구체화된 유교의 병폐 등이 그것이다. 더불어 관료제를 떠받치는 과거제도와 그시행이 초래했던 갖가지 폐단 등은 ‘근대성’을 부정하는 논거가 되기도 한다. 근대성은 ‘단순한 모사에 의해서 뒷받침된 질서를 거부하는 정신적 태도’이며, ‘자기 자신을 자발적으로 갱신하여 활성화시키는 시대정신’이다. 곧 전통에 대한 내부의 비판과 수정은 근대성의 중요한 측면이자 자산이라 할 수 있다. 이를 구현하고자 했던 인물로 李贄와 黃宗羲를 들 수 있다. 인간의 욕망을 인정한 이지는 정통유학의 권위와 윤리에 비판을 가했다. 때문에 그는 이단으로 내몰렸지만, 그의 비판 정신은 개혁 혹 혁명가들에게 지대한 영향을 끼쳤다. 민본주의에 입각한 황종희의 사상은 선진적이고 개혁적이었다. 그의 사상이 당시에 수용되지 못했지만, 그의 공리적 민본 정치사상은 청말 민국 초 변화된 사회의 요구에 적합한 논리로서 환영받던 이론이 되었다. 관료제와 비판성을 내용으로 하는 중국의 근대성은 19세기 말부터 상실되기 시작했다. 그러나 유교적 전통과 유산의 일부는 동아시아 지역에서 구질서의 몰락에도 완전히 사라져버리지 않았다. 관료제는 그 위험요소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남아 있는 것이다. 하지만 관료제 하의 근대성이 오늘날까지 연속성을 갖는지는 의문이다. 관료제 사회의 가장 중요한 유산은 내부 비판이었으나, 오늘날 비판성은 줄어들고 있다. 따라서 우리는 이지와 황종희의 회의와 비판까지를 담을 수 있는 근대성을 재사유해야 한다. 재사유한다는 것은 동아시아 전통 그리고 비판성을 새롭게 발견하고 복원해야 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다만, 중국의 근대성을 재사유함에 있어서 中華性은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문제이다. 왜냐하면 서구 근대성에 대한 비판을 기회로 삼아 중국의 문화적 위치를 새롭게 정위시켜 문화적 패권주의로 발전할 가능성이 농후하기 때문이다. Western-centered modernity as a barometer of modernization can not help being Western-bias. Nowadays such Western-centered modernity is criticized by the academic world of the West and East Asia. The related leading discussion is on ‘Multiple modernities’ and ‘Confucian modernity’. Woodside regarded it as a condition of modernity that the aristocracy was replaced with the professional elite, and thought the bureaucracy of the Song dynasty based on the state examination called Gwageo was a very modern system much earlier than that of Europe. According to him, the governing system based on elite education, not on hereditary power is a process of rationalization by reason, and under such a bureaucracy, document and merit-based politics was enforced, with open discussion and arguments. Discussions critical of Western modernity regard Hyangyak, the village code conducted in the Song dynasty as a prelude to modernities to form a sense of community, and Sachang, the village granaries is estimated as the one to establish social order meeting with social changes by building a public building. Accordingly, it is required to deny the existing view of East Asia featured with underdeveloped power and feudal economic system. Nevertheless, we should not overlook the problems with bureaucracy, which includes strengthened dictatorship, unrealism, bureaucratic irregularity and corruption, inefficient administration, and Confucian ills represented in social practice. In addition, Gwageo system as the state examination supporting bureaucracy and its negative effect came to the grounds to deny ‘the modernity’. Modernity is not only ‘Mental attitude rejecting order supported by a copy’, but also ‘Spirit of the times which renews and activates oneself initiatively’. That is, internal criticism and revision of tradition is a key point and asset of modernity. It is Li zhi and Huang Zong-xi who tried to represent that. Li zhi who admitted human desire criticized the authority and ethics of traditional Confucianism, which made him called a cult. But his criticism had a major effect on the reformers and revolutionists. Huang Zong-xi’s thought based on democracy was advanced and innovative. His thought was not accepted at that time, but his political thought of utilitarian democracy was welcome during the period of the late Qing dynasty and the early Republic of China as a theory and suitable logic for changing social demand. Chinese modernity based on bureaucracy and criticism began disappearing from the late 19th Century. But, Confucian tradition and part of the heritage did not disappear fully despite the downfall of old order in East Asian area. Bureaucracy still remains in spite of the dangerous element it has. But it is quite doubtable that there is continuity between modernity under bureaucracy and that of today. The most important heritage of the bureaucratic society was internal criticism, but today’s criticism is decreasing. Thus, we should rethink of the modernity which can contain Li zhi’s and Huang Zong-xi’s skepticism and criticism. Rethinking here means that we should newly discover and restore East Asian tradition and criticism. Sino-centrism must be reviewed in rethinking Chinese modernity. Through the criticism against Western modernity, it is because that may be developed into a cultural hegemony by newly arranging the cultural position of China.

      • KCI등재

        근대성의 내재하는 외부로서 식민지성/식민지적 차이와 변이의 문제

        조형근 ( Hyung Keun Cho ) 한국사회사학회 2007 사회와 역사 Vol.0 No.73

        한국에서의 식민지근대성 논의는 근대성과 식민지성이 동일한 사태/체계의 양측면이라는 인식을 통해 식민지근대성을 서구근대성의 특수태로 간주하지 않을 수 있는 이론적 잠재력을 제시한다. 하지만 이런 접근은 근대성의 외부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역설적인 함축을 초래할 위험성 또한 내포한다. 이 논문은 식민지적 차이/식민지성의 위치를 근대성의 내재하는 외부로 재설정하고자 한다. 첫째, 근대성에 대한 서구 내부에서의 비판은 근대성이 그 출발지점에서부터 타자에 대한 배제 메커니즘으로서 자신을 정립해왔음을 고발해왔다. 하지만 서구의 내적 비판들은 근대성이 비서구에서 수행한 역할들에 대해 거의 언급하지 않으며, 마치 탈근대 사상이 탈식민주의 논의를 이끈 것처럼 오도할 위험성을 내포하고 있다. 이는 근대성의 익숙한 논리인 서구 기원의 역사주의를 재생산하는 것이다. 둘째, 근대성에 대한 비서구적 관점에서의 비판은 근대성의 출현이 그 출발에서부터 식민주의적 실천을 통한 비서구와의 조우에서 비롯되었음을 주목한다. 서구근대성은 자신을 비서구와 대립하는 보편으로 제시함으로써 서구 기원의 세계사를 창출하였고, 이런 서구중심의 역사주의적 논리는 공간의 차이를 시간격차로 제시함으로써 비서구인의 심성에 내면화되었다. 셋째, 이런 식민지근대적 배치와 함께 식민지적 차이가 출현하고 증식한다. 그것은 구성적 외부로서 근대성 그 자체를 가능하게 함과 동시에 근대성의 완전한 실현을 끊임없이 저지하고, 근대성으로 완전히 환원되지 않는 변이를 일으킨다. 이런 의미에서 식민지적 차이, 식민지성은 근대성의 절대적 외부가 아니라 내재하는 외부이며, 이 외부를 통해서 우리는 근대성을 사유하고 그로부터의 출구를 모색할 이론적 입지를 얻게 될 것이다. Recent debates on colonial modernity in Korea open a way to see it in its own right not as a version of Western modernity. However, this kind of approach might include a dangerous implication: everything is modernity, and there is no outside of modernity. This study aims to resituate a place of colonial differences/coloniality into an outside of modernity. First, internal self-criticism from the Western perspective convicts that modernity has imposed itself as an exclusive mechanism on social minorities in the very inception. However, it hardly investigates the role of modernity in the non-West. As a result, it tends to reproduce Eurocentrism of modern historicism. Second, external criticism from the non-Western perspective finds the birthplace of modernity not in the West, but in the non-West, where the former encountered the latter through its colonial practices. Western modernity presented itself as a universal form and created a world history which seemingly originated only from the West. The non-Western people internalized this historicist logic under the colonial situation which transformed spacial differences to time lag. Third, along this colonial/modern arrangement, emerges and multiples colonial differences. While these differences take a part in producing modernity itself, they put obstacles in the way of complete realization of modernity and give rise to variations of modernity which are not totally reduced to modernity. In this sense, colonial differences, i.e. coloniality is not an absolute outside but an internal outside of modernity. Through this outside, we can continue to tackle modernity and find an exit from it.

      • KCI등재

        E. 두셀의 초근대성과 해방철학의 의미 소고

        박치완 ( Tchi-wan Park ) 한국하이데거학회 2021 현대유럽철학연구 Vol.- No.61

        엔리께 두셀의 철학은 ‘초근대성(transmodernity)’ 개념으로 축약이 가능하다. 초근대성의 의미는 i) 근대성의 극복 또는 초월, ii) 비유럽적 관점에서 유럽중심적 근대성에 대한 재고, iii) 이분법적·배타적 논리의 극복, 이를 통한 탈식민적 인식의 전환, iv) 세계적/초대륙적 철학의 구상, v) 철학을 넘어서는 철학으로서 해방철학(Liberation Philosophy), 바로 이 5가지로 간추릴 수 있다. 이 5가지 함의만으로도 우리는 두셀 철학의 지향과 목표를 충분히 짐작하고도 남음이 있을 것이다. 그의 초근대성 개념은 기본적으로 근현대를 통해 유럽이 생산·전파한 근대성과 포스트-근대성의 담론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면서 철학의 새로운 지형을 그리는 데 있다. 그가 그리는 새로운 철학의 지형 속에는 근대성의 타자, 식민성의 외재성, 지배층의 이타 성인 민중이 포함된다. 이 과정에서 그는 근대성의 발현체인 유럽중심주의를 비판하며, 유럽중심주의를 소거(消去)하는 데 실패한 포스트-근대성 또한 극복의 대상으로 삼는다. 이렇게 근대성과 포스트-근대성 양자를 모두 비판하면서 동시에 아우르는 것이 두셀의 초근대성의 철학이자 인식론이다. 두셀에게 초근대성은 ‘지구촌적 요구’를 모두 담아내 문자 그대로 ‘세계적인 철학 (global/world philosophy)’을 수립하는 데 있다. 이렇듯 그의 해방철학은 유럽의 철학과는 ‘다른 길’, ‘다른 대안’을 제시하면서 마침내 비유럽적 관점, 즉 제3세계적 관점, 이타성의 관점을 철학의 본류에 포함시키고자 한다. 한국철학계에는 다소 생소하게 비칠 수 있는 두셀의 탈서구-탈유럽-탈식민 철학을 소개하면서 ‘한국철학’의 미래를 설계하는데 반면교사로 삼고자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Enrique Dussel’s philosophy can be summarized as “transmodernity.” The meaning of transmodernity can be summarized as five concepts: i) overcoming or transcending modernity; ii) overcoming European-centered modernity from a non-European perspective; iii) overcoming dichotomous and exclusive logic and the conversion of decolonial perception through it; iv) global/transcontinental philosophy; and v) the liberation philosophy as a movement beyond Western (traditional) philosophy. With these five concepts alone, I can fully guess the direction and goal of Dusselian philosophy. His concept of transmodernity seeks basically to draw a new landscape of philosophy, critically reviewing the discourses of modernity and post-modernity produced and propagated by Europe. The new topography of his philosophy includes the Other of modernity, the Exteriority of colonialism, and the “pueblo(people)”, which corresponds to the alterity of the dominant class. Through this process of redrawing of transmodernity, he criticizes Eurocentrism as a manifestation of modernity and uses post-modernity, which has failed to eliminate Eurocentrism, as the means of surpass. It is the philosophy and epistemology of Dussel’t is the philosophy and epistemology of Dusselliminate Eurocentrismpost-modernity at the same time. For Dussel, transmodernity means the creation of a global/world philosophy through the capture of all the “planetary claims.” Thus, his liberation philosophy offers a “different path” and “different alternative” to European philosophy and incorporates a non-European perspective, a third-world perspective, and an altruistic perspective into mainstream philosophy.

      • KCI등재

        한국 근대성의 정당성 위기

        장은주 ( Eun Joo Chang ) 동양철학연구회 2009 東洋哲學硏究 Vol.57 No.-

        이 글은 우리 근대성의 ‘다름’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통상적 근대성 담론의 한계를 지적하면서 유럽적 근대성뿐만 아니라 우리의 고유한 근대성도 함께 포괄할 수 있는 새로운 근대성 개념을 가공해 보고자 하는 이론적 시도의 일부다. 이 시도에서 핵심적인 것은 유럽중심적 근대성 이해와 함께 동아시아적 근대성의 신비화도 함께 거부하면서 사회이론적으로나 규범적으로 좀 더 포괄적이고 설득력 있는 근대성 개념을 발전시키는 것이다. 이런 접근법은 단지 서구만이 아닌 모든 문명권에 내재하는 공통된 도덕적 진보의 지향, 특히 ‘존엄의 평등’에 대한규범적 지향과 그 사회적 실현을 통해 근대성을 이해한다. 이러한 이해는 서구적 근대성에 정당한 자리를 매겨주면서도 근대성을 서구의 합리화된 자본주의적 근대성과 등치시키지 않고, 우리의 유교적 근대성과사회주의적 근대성을 포함하는, 그 다양한 양상 속에서 포착할 수 있게 해 준다. 우리의 경우, 유교적 근대성이라는 특징적인 형식 속에서 매우 속물주의적인 양상을 띠는 자본주의적 근대성이 관철되었다. 문제는 이러한 근대성이 삶과 사회의 인간화를 향한 우리의 근대화 기획이 내세운 약속에 대한 자기배반 또는 역설의 형식으로 우리 사회가 발전시킨 근대적 삶의 양식의 정당성의 토대를 허무는 ‘정당성 위기’를 낳고 있다는 것이다. This article is a part of the theoretical attempt to develop a new concept of the modernity which can overcome limits of usual discourses on the modernity developed in the West. It starts from the `otherness` of Korean modernity and tries to grasp not only the European modernity, but also this peculiarity of Korean modernity. The point lies in the refusal of the mystification of East-Asian modernity as well as Eurocentric understanding of modernity, while making an attempt to develop a concept of the modernity which is, normatively as well as social-theoretically, more comprehensive and more plausible. This approach understands the modernity through the moral orientation which is immanent not only in the West but also in all societies of civilization, especially through the normative orientation for the `equality of human dignity` and its social realization. It can give us the possibility to understand the modernity in its various modus including our confucian modernity and socialistic modernity, recognizing legitimate place of the western modernity, but refusing to equate the modernity itself with the rationalized capitalistic western modernity. In Korea the capitalistic modernity with its cultural orientation to snobbism has been realized in the peculiar form of confucian modernity. The problem is that this modernity has yielded the `legitimation crisis` which destroys the basis of the legitimacy of the form of life of Korean modern society. It is, one can say, a self-betrayal or a paradox of the modernization project of Korea which has started with the promise of the humanization of life and society.

      • KCI등재

        한국의 근대성 연구와 "근대주의"

        황정아(Jung-A Hwang) 사회와철학연구회 2016 사회와 철학 Vol.0 No.31

        포스트모더니즘의 위세가 꺾이고 근대-이후(post-modern)를 말하기가 한층 어려워지면서 근대가 갖는 근대다운 성격, 곧 근대성을 해명하는 과제는 한층 중요해졌다. 다시금 활발해진 근대성에 관한 연구는 한국 학계에서도 역사학, 사회학, 문학등의 분야에서 그간 여러 논쟁을 거치며 성과를 축적해왔으나 하나의 통합적 연구의 짜임새를 갖추고 진행되지는 않았다. 이 글은 여러 분야에서 이루어진 한국의 근대성연구가 어떤 공통의 수렴 혹은 결절의 지점을 만들어내는가를 살펴보려는 시도이다. 먼저 한국 역사학계의 오랜 논쟁구도였던 내재적 발전론 대(對) 식민지근대화론을 넘어서려는 시도로서 제시된 몇몇 역사담론을 대상으로 삼아 오랜 이분법의 극복을 향한 이론적 탐색이 어떤 근대성 개념에 기대고 있는지 알아본다. 이어 그 가운데 특히 탈근대주의 범주로 분류되고 근대성에 대한 근본적 비판을 표방한 식민지근대성론의 주장들을 상세히 읽어보면서, 이 담론이 식민성과 근대성 개념을 실패와 공백과 불가능이라는 전형적인 포스트-주의적 논리를 통해 정의함으로써 오히려 근대성의 경계를 확장해주는 결과에 이른 점을 분석한다. 한국 근대성연구에서 또 하나 두드러진 특징은 유럽중심주의적 근대성개념을 넘어서려는 문제의식이다. 이와 관련해서는 먼저 서구적 근대성 담론을 뚜렷이 의식하면서 그와의 대비혹은 대조를 통해 한국 및 동아시아의 독자적 근대성 개념을 구축하고자 한 몇몇 논의들이 도달한 지점을 가늠해본다. 이런 대안근대성 담론 가운데 최근 특히 주목받고 있는 유교적 근대성 논의가 현재의 근대성 연구 지형에서 어떤 함의를 갖는지도 살펴본다. 이상의 분석을 토대로 결론에서는 식민성에서 출발하면서도 기존의 탈식민담론과 구별되는 동아시아 혹은 한국 특유의 역사 서사 구축이 갖는 중요성을 강조한다. 또한 근대성을 온전히 해명하는 일은 역설적으로 근대의 지평에 갇히지 않고 근대 이후에 대한 모색을 유지해야만 가능하다는 점에서 ‘근대주의’의 극복이 여전한 과제임을 지적한다. With the theoretical popularity of post-modernism petering out, it became much harder to discourse on the “post-modern” period and the task of elucidating modernity has become ever more im portant. Studies on modernity have thus far built up some notable achievements in Korean academia as well, with wide-ranging debates in the realm s of history, social science, and literature. However, it does not mean that those studies have progressed in a highly structured manner. This paper explores whether such various discourses on modernity are indeed creating certain convergent points. First, some theoretical attempts to transcend the dichotomy between the Indigenous Development Discourse 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Discourse that generates long-standing debates in the Korean historical studies, will be investigated in an effort to understand the sem antics of the m odernity concept in those attem pts. The Colonial Modernity Discourse will also be exam ined, as it supposedly presents fundam ental criticisms on modernity, and it w ill be shown that the discourse has paradoxically led to the expansion of the boundaries of the modern as it defines the concepts of modernity and coloniality based on the archetypal postmodern logic which is highlighted by failure, lacuna, impossibility, and soon. Another noticeable element in the studies of modernity in South Korea is the problem atics of overcoming the Eurocentric concept of modernity. In this regard, as some discourses aim to establish a different modernity concept grounded on peculiarly Korean or East Asian historical experiences, this paper seeks to evaluate how well those discourses have achieved their professed goal. A particular emphasis will be placed on the Confucian Modernity Discourse, which has been drawing much theoretical attention recently among “alternative m odernity” discourses. In the conclusion, this paper underlines the importance of developing historical narratives unique to East Asia or Korea through redefining the coloniality concept. The task of overcom ing ‘Modernism’ is also a remaining challenge, because modernity can never be fully elucidated insofar as the perspective is trapped in the modern horiz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