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추기경 애버리 덜레스, S.J.(1918-2008)의 다양한 교회의 모델들과 교회의 진정한 가톨릭성(보편성)을 찾는 여정

        서한석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4 가톨릭신학 Vol.0 No.24

        The goal of this research is to question what is the meaning of the true Catholicity (Universality) of the Church, presented by the ecclesiology of Cardinal Avery Dulles through models of the Church. Christ as universal savior is the only mediator between God and man; He is the fountain of the Grace, who is offered to all mankind. In one sense catholicity belongs to Christ by his very constitution as Incarnate Word. In a further sense he is catholic by reason of his primacy over all other creature, and in third sense, in so far as he is head of the Church. The catholicity of the Church cannot be adequately understood except in the light of Christ s vertical catholicity who came down from heaven. The Church may be called in the terminology of Avery Dulles, the consciously Christified portion of the world . At the same time, Dulles understood catholicity as a union of diverse parts in a community of mutual support. Based on this, we study about the dimensions of the vertical and horizontal aspects of catholicity, introduced by the Catholic Church, through the six models (Institutions, Mystical Communion, Sacrament, Herald, Servant, Community of Disciples). The various models, put in the views of Catholic as well as Protestant, become the first ecumenical element for us to examine the vertical and horizontal universality by the ecclesiology of catholicity. Our theological question is like these points: (1) How does each model persist the apostolic continuity for the mission of the Church? (this question is the dimension of the vertical and qualitative catholicity, because this catholicity maintains the apostolic continuity for proclamation of Gospel missioned by Jesus Christ from “above”) (2) Until which extent of catholicity may each model present the beneficiaries of Grace flowed out from Church? (this question is the quantitative dimension of catholicity). Theses theological points help us to meet the Church renewed in the “interior” (ad intra), and the Church toward the world and other christian brothers (ad extra). First of all, Dulles study about the dialectical and complementary relationship through which each of the models interacts with other model of the Church. At the same time, he persists the balance between the institutional catholicism and spiritual elements of catholicity, making his effort to maintain the continuity of the teaching of the Church in the prospective of the ecclesiology of “symbolic realism”. This“horizontal” catholicity is constituted from that “vertical” catholicity and this “Catholic Christianity”, that implies not only extensive universality but also qualitative wholeness, is disclosed by Catholicism. Catholicity suggests universality in a rather abstract sense, whereas Catholicism is more closely connected with the structures that make for the transmission and retention of that particular fullness which was given in Christ to the apostles and the apostolic community. 이 연구의 목표는, 덜레스 추기경이 제시하는 교회의 다양한 모델들을 통하여, 교회의 진정한 가톨릭성(보편성)의 의미는 무엇인가라는 물음에 그 해답을 찾는 것이다. 우리가 교회의 “가톨릭성” 혹은 “보편성”이라고 말할 때, 그 첫 번째 의미는 바로 저러한 가톨릭성이 육화하신 그리스도에게 속한다는 사실을 함축한다. 왜냐하면 육화하신 그리스도로부터 인류에 대한 구원적 보편성이 흘러나오기 때문이며, 이제 그리스도의 구원 사업을 일구어가는 교회 역시 그 가톨릭성을 획득하는 것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육화하신 그리스도와 그 본질적 관계를 맺는 수직적 가톨릭성의 조명 아래 이해 될 수 있을 뿐더러, 이제 이러한 수직적 가톨릭성은 기쁜 소식을 전하는 교회 공동체를 통해서 온 인류의 세상으로 뻗어나간다; 이 세상은 교회가 되는 것이고, 역으로 교회는 세상이 되는 것이다. 동시에 이 수평적 가톨릭성이 교회에 적용되었을 때, 그 의미는 서로 상이한 신앙인들의 훌륭한 그리스도교적 요소들 사이에서의 상호간의 친교를 지시하며 세상 을 향하여 그리스도교적 일치의 흐름으로 나아가는 것을 뜻한다. 이를 바탕으로 우리는, 덜레스가 제시하는 교회의 여섯 가지 모델들을 통하여(곧, 제도, 친교, 성사, 말씀의 전달자, 종, 제자들의 공동체), 가톨릭 그리스도교가 제시하는 가톨릭성의 수직적 측면과 수평적 측면을 연구하는 것이다. 가톨릭 뿐 만 아니라, 프로테스탄트의 관점에서 제시된 다양한 모델들은 가톨릭성의 신학을 점검하는 데에 기본이 되기 때문이다. 우리의 신학적 물음은 다음과 같다: (1) 각각이 제시하는 모델은 온 세상의 복음화를 위해서 그리스도께로부터 받은 교회의 사도성에 대한 그 연속성을 어떻게 지탱해 나가는가? (이는 그리스도로부터 직접 유래하는 교회 가톨릭성의 질적 수직적 차원이라고 할 수 있겠다) (2) 각각의 모델은 가톨릭성의 어느 범위에 이르기까지 교회에 대한 그 은총의 수혜자들을 포함 할 수 있는가? (보편성의 그 양적인 차원) 이러한 물음들은 우리로 하여금, 각각의 모델들의 변증법적 상호 보완성의 관계 고찰을 통해서, 그 내부에게로의 (ad intra) 교회의 쇄신과, 다른 갈라진 그리스도교 형제들과 세상을 향해서 서 있는 그 외부를 향하는 (ad extra) 교회의 가톨릭성을 만날 수 있도록 이끈다. 보편성에 대한 덜레스의 교회론은, 성사로서의 교회가 드러내는 실재 상징주의적 구원의 열쇄를 쥐고, 진정한 일치 안의 적법한 차이성에 대한 모든 관점들을 환대하며, 그리스도교의 모든 가능한 입지들을 고찰하는 것이다. 또한 그의 신학적 임무는, 한편으로는 그 자신이 에큐메니컬 다원주의적 신학에 호감을 가지고 있는 만큼 그리스도교적 다양성과 그 풍부함을 긍정적으로 평가 하는 것이며, 그러나 동시에 교회의 사도성과 가르침 들에 대한 그 연속성을 보존하려고 노력하면서, 가톨리시즘의 제도적인 요소들과 가톨릭성의 영적인 요소들의 균형을 유지하는 것이다. 여기서 우리는, “보편적 그리스도교”는 온 세상을 인류 가족이라는 범위로서 설정하는 그 가톨릭성을 포함 할 뿐만 아니라, 동시에 어떤 질적인 차원으로서의 가톨릭성도 함께 내포하고 있다는 사실에 주목해야한다. 신비로서의 가톨릭성은 어떤 추상적인 보편성을 의미하는 것이며, 가톨리시즘의 가시적 중재의 구조들안에서 유지되는데, 이러한 가시적 중재란 바로 성서, 교의, 성사와 전례, 그리고 교회의 직무 등을 의미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가톨릭시즘은 보편성으로써 이해되어질 뿐만이 아니라, 일치성, 거룩함, 사도성 혹은 좀 더 일반적으로 교회의 본질적인 온점함을 위해서 필요한 모든 요소들로써 이해될 수 있는 것이다.

      • 한국 가톨릭대학교 신학 교육의 반성과 전망

        심상태(Shim, Sangtae)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09 이성과 신앙 Vol.40 No.-

        본 논문의 주 목적은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에서 제2차 바티칸 공의회 (1962-1965) 이래 시행해온 신학 교육의 현실을 분석하고 평가하며 그 미래를 전망하는 것이다. 첫째로, 논자는 현행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의 성격을 형식적 관점에서 파악하고, 다음에 이 대학교들이 지난 십수 년간에 걸쳐 실시해 온 교육 내용의 실제를 평가하고자 시도하였다.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의 형식상의 신학 교육 정책과 교과 과정들은 한국 정부와 보편 로마 가톨릭 교회의 상이한 두 지침들을 면밀하게 따라서 이루어지고 있다. 이 대학교들은 정부 지침에 따라서 4년의 학부 과정과 2 내지 3년의 대학원 과정으로 교과 과정을 채택하였으며, 교회 규정에 따라서 대신학교로서 1년간의 예비 과정, 2년간의 철학 과정과 4년간의 신학 과정으로 전 가톨릭교회의 정식 사제 양성의 교육 과정을 수행하고 있으며, 이것은 한국 주교회의 지침에 따라 몇몇 특수한 한국 주제들을 포함하고 있다. 그리고 전 신학 교육은 네 개의 구별되는 부분, 즉 인격적이고 지성적이며, 영성적이고 사목적 양성 부분으로 구성된다. 교회 지도자들과 교육자들은 매년 정례 합동회의를 개최하여 현행 교육 체계를 평가하고 사제 양성을 위해 보다 나은 길을 모색하기도 한다. 한국에서 양질의 사제 양성을 이룩하기 위한 괄목할만한 노력이 도모되었음을 쉽게 간과할 수 없으나, 현재 신학 교육의 상황은 꽤 비판적으로 보인다. 이 기간 동안 7개 한국 가톨릭 대학교들이 시행해 온 신학 교육의 수준은 전국에서 모인 학자들과 교육자들이 유일 전국 신학교로서의 신학 대학에서 전국 차원의 신학 교육을 담당했던 과거 1970년대보다 상대적으로 빈약하고 낮은 것으로 보인다. 전국에서 소수의 자격 있는 학자 성직자들이 7개 다른 기관들로 나뉘어져서 상당히 무거운 과업들을 또 다른 추가적인 행정적이고 사목적 업무와 함께 담당해야 한다. 그리고 교회 지도자들에 의해 학자들에 대한 임면이 너무 자주 이루어져서 대학교들에서 안정되고 충분히 높은 수준의 교육을 유지하기가 너무 어렵다. 근래에 이르러 적지 않은 수효의 성직자들의 유감스러운 행태에 대한 비판적 지적들이 지역 교회들 안에서 이루어지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와 교황의 가르침과 지침들은 교과 과정들이 몇몇 사회적이고 심리학적이며, 교육학적이고 자연 과학들도 포함시켜야 한다고 요청하고 있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신학 기관들은 이 요청들을 제대로 시행할 수 없는 처지에 있는 것으로 보인다. 전체 신학 교육이 외부 사회로부터 격리되어 있는 전통적 신학교 영역 안에서 시행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리고 전체 신학 패러다임의 서구 지향성은 한국 신학 체계의 미숙성을 특징적으로 나타낸다고 볼 것이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가 비서구 지역 교회들에게 이미 반세기 전에 토착화를 요청하였음에도 불구하고 한국 교회는 로마보다 더 로마적으로 머물러 있는 것이 사실이다. 제삼천년기의 현 단계에서 이 지역 교회의 지도자들이 학자와 교육자들로 하여금 수효와 기간 면에서 이 나라의 어느 다른 대학교 교수들과 교육자들처럼 안정된 조건에서 그들의 업무를 수행하도록 할 때에 보다 나은 신학 교육에 커다란 공헌을 하게 될 것이다. 그리고 아직 약한 교육을 강화하기 위하여 훌륭한 자질을 지닌 학자에게 교구와 관구, 그리고 국가를 초월하여 가르치고 지도할 기회가 부여되기를 권장한다. 그리고 신학 교육의 폭을 넓히고 강화하기 위하여 7개 대학교들이 공통의 권리와 과업을 지니고 참여하는 소수의 공동 대학원을 구성하여 학생들이 보다 많은 주제들의 강의를 접하고 그들 자신의 학부 대학에서보다 더 많은 다른 학생들을 알게 되는 더 나은 기회를 갖도록 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본다. 한국 사회와 전 교회의 비판적인 상황 속에서 한국 교회는 대부분의 작고 미약한 아시아 교회들과 노쇠한 서구 교회들과는 대조적으로 생동적인 역동성을 보여주고 있다. 한국 교회 지도자들과 학자들은 성숙한 한국 교회를 발전시키기 위하여 토착화의 절박한 필요성에 직면하고 있다고 생각한다. The main purpose of this paper is to analyze and evaluate the reality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s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since the Second Vatican Council(1962-1965), and then to point out its future perspective. Firstly, I tried to character the present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in a formal view, and to evaluate their reality of educational contents that these universities have practiced during the last several decades. The formal theological educational policies and curricula of Korea Catholic Universities have followed carefully two different directions of the Korea Government and the universal Roman Catholic Church. According to the governmental directives, they have took commonly the formal educational system with four years' undergraduate courses and two or three years' graduate ones as the university, yet according to the ecclesiastical one, they as major seminaries have peformed the educational curricula of the formal priestly formation for the entire Catholic Church with one year's preliminary course, two years' philosophy courses and four years' theology ones that contain also some specific Korean topics or subjects according the directives of Korea Bishops' Conference. And the entire theological education consists of four different parts, that means, personal, intellectual, spiritual and pastoral formation. The church leaders and the educators have an annual joint meeting regularly to evaluate the ongoing educational system and to seek a better way for the priestly formation. It is not simply overlooked that remarkable efforts have been done to make better quality of the priestly formation in Korea, but yet the present situation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seems to be quite critical. The level of the theological education that have been pursued at 7 Korea Catholic universities in these periods, seems to be relatively weaker and lower than in the past 1970th years, when the national theological education had been taken by the scholars and educators from the whole country at a single theological faculty as National Major Seminary. Few qualified clerical scholars around the country who have been divided in seven different institutions, have to take quite heavy tasks with another additive managerial and pastoral works. And too frequent nominations and releases of scholars and educators that have been done by the Church leaders make it hardly difficult, to keep the steady and sufficiently high level of education at these universities. In recent years, various critical remarks about regrettable attitudes of not few priests have been made in the local churches. Although the teaching and direction of the Second Vatican Council and the popes demand that the educational curriculum has to imply also the areas of several social, psychological, educational, and natural sciences, the Korea theological institutions seem to be not able, to fulfill properly these demands, because the whole theological education has been pursued in the traditional seminary area which is secluded from the outer society. And the Western orientation of the whole theological paradigm should be characterized as the immaturity of the Korean theological system. Although the Second Vatican Council asked every not-Western local church for the inculturation almost a half-century ago, it is quite true that the Korean Church has remained more rom than Rom as such. At the present phase of the Third millennium responsible leaders of this local Church would contribute powerfully to the better theological education, when they let scholars and educators do their works in a stable condition of numbers and periods like other professors and educators of any other universities in this country. And it would be recommendable that any well qualitied scholar might be given the teaching and leading opportunity beyond any diocese, province, and nation to strengthen the quality of still weak education. And to broaden and strengthen the theological education, it seems to be necessary, to form few joint postgraduate schools that 7 universities partake with common rights and tasks, so that the students have better opportunities to get lectures of more subjects and to know more other students than in their own undergraduate school. In the present critical situation of the Korea society and universal Church the Korean Church manifests a vital dynamism in contrast to most small and weak Asian Churches and antiquated Western Churches. I think that the Korean Church leaders and scholars are confronting pressing needs of Inculturation to develop a more mature Korean Church.

      • KCI등재

        프랑스 제3공화국의 정치세력 -우파와 가톨릭교회-

        임종권 숭실사학회 2012 숭실사학 Vol.0 No.29

        프랑스 가톨릭교회는 반혁명 세력으로서 공화국의 적이었다. 프랑스 대혁명 이후 계속 지속되어 온 가톨릭교회의 반혁명 사상은 교권 지상주의 흐름 속에서 꾸준히 유지되어 왔다. 그러다가 제3공화국 시기에는 이 사상의 신학적 이론을 떨쳐버리고 새롭게 부활을 하기 시작했다. 그리하여 종교의 우위를 바탕으로 <신 왕정주의>를 창설한 샤를 모라스(Charles Maurras)는 20세기 초에 갑자기 반혁명 이론을 떼어버린 <정치가 최우선 Politique d’abord!>이란 새로운 질서의 용어를 주창했다. 이것이 1880년대에 민족주의가 출현한 시기와 함께 나타난 극우파의 새로운 근거가 되었던 것이다. 이것이 1880년대에 민족주의가 출현한 시기와 함께 나타난 극우파의 새로운 근거가 되었던 것이다. 특히 반혁명 사상의 문화는 본질적으로 독재성을 띠고 있으며 가톨릭 신앙은 예배가 자유로운 유일한 종교로서 인식돼야 하고 교회와 국가는 상호 헌신하는 관계로 연결돼야 한다고 주장하고 있다. 1880년대 세속주의 흐름 속에 반성직주의의 흐름이 뚜렷한 시기였다. 따라서 제3공화국의 안전을 위하여 1894년 초 강베타(Gambetta)의 정치적 후계자인 외젠느 쉬필러(Eugène Spuler) 등 여러 온건한 공화파 의원들은 종교 문제에 대하여 공화파 국가와 교회국가가 서로 공존하기 위한 <새로운 정신 l’esprit nouveau> 즉, <진실한 관용의 정신>을 주창했다. 이 담론은 가톨릭교회에 대항하기 위한 온건한 공화파 정부의 정신이었으며 당시 보수파 전체를 가라앉히는데 큰 역할을 했다. 그러나 대혁명 이후 가톨릭교회는 오랫동안 적대적이고 반가톨릭적인 국가로부터 지배와 통제를 받아 왔고 이로 인한 상실감과 더불어 공화국에 대한 반감에 휩싸여 있었다. 가톨릭교회의 중간 계급과 민중계급의 교인들은 대혁명이 만들어낸 자유와 세속적인 관행, 민주주의 등 공화국의 이점을 향유하고 있었고 여기에 근대성이 가톨릭교회로 하여금 공화국에게 지지를 보내게 했던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투쟁적인 가톨릭교회는 모든 사회 세력과 반드레퓌스파 지식인들과 더불어 보다 까다로운 가톨릭 사상을 지니고 있었다. 그러나 레오13세는 『교황의 회칙 Au milieu des sollicitudes』을 통해 프랑스의 모든 가톨릭교회에게 공화국에 참여하라고 당부했으나 가톨릭교회는 공화국에 별로 찬동하고 싶지 않았다. 왜냐하면 성직주의와 반성직주의 사이의 오래된 적대관계가 상호의 불신감을 거의 그대로 남겨 두고 있었기 때문이었다. 관용과 상식 그리고 도덕 및 지식의 혁신이라는 높고 큰 정신으로 해석되는 <새로운 정신>이 곧 가톨릭교회와 온건 공화국이 서로 협력하게 된 동기였던 셈이다. 그러나 드레퓌스 사건이 성직자주의와 반성직자주의에게 권력을 다시 회복시켜 주면서 <새로운 정신>은 다시 논란이 됐다. 이처럼 프랑스 가톨릭교회는 대혁명 이후 공화국과 적대 혹은 화해의 길을 모색하면서 제3공화국 시기 정치적으로 큰 영향력을 발휘했다. A force against the Revolution, the catholic church of France was an enemy of the Republic. Since the Revolution, the thought of Anti-Revolution that had sustained in Catholic church had kept steadily through the current of clericalism. Then, this thought of Catholic church began to rise again, after abandoning its theological theory. So, in the early of the 20th century Charles Maurras advocated suddenly “Politique d’abord!” that was backed down a theory of anti-Revolution This was a new base of ultra-right appeared with the nationalism in 1880. The culture of anti-Revolution had an autocracy essentially. And it insisted that catholicism had to be realized as a only religion whose worship was free, and the a relation between church and republic had be connected with a devotion each other. therefore about a problem of the religion, Eugène Spuler and moderate republicans advocated <l’esprit nouveau>, that was ‘a mind of tolerance’ for the coexistenc of the Republic and church in the early of 1894. This was a mind of the government moderate republicans against catholic church, and did a role to calm the conservatives down. French Catholic church put under the control of Republic for a long time since the Revolution, as a result, catholic church was under a sense of ross and hostility toward Republic. So, Leon XIII advised all catholic churches to participate in the Republic through the 『Au milieu des sollicitudes』. But Catholic church could not do with participation with the Republic. Because long hostility between clericalism and anticlericalism had left a mutual distrust to the Republic and church. <L’esprit nouveau> to be understood as a great mind of a tolerance, common sense, morals, and the innovation of knowledge, was a motive that catholic church and Republic entered into partnership. Like this, as Catholic church of France tried seek an way of reconciliation or a hostility with Republic, had exercised influence on the politics of the Third Republic.

      • KCI등재

        키프리아누스의 진술과 로마 카톨릭 교회에 관한 연구

        김칠성 ( Kim Chil Sung ) 한국복음주의선교신학회 2016 복음과 선교 Vol.35 No.-

        이 연구는 ‘교회밖에는 구원이 없다’는 키프리아누스의 진술에 대한 로마 가톨릭 교회의 오해를 주로 다루고 있다. 오랜 세월 동안 로마 가톨릭 교회는 ‘가톨릭 교회 밖에는 구원이 없다’는 것을 강조하였다. 로마 교회의 우위권을 담고 있는 이 교리는 주로 키프리아누스의 글에 대한 해석들로부터 기인한다. 그러나 키프리아누스의 원문(i.e., 교회밖에는 구원이 없다)은 오직 로마 가톨릭 교회 안에만 구원이 존재한다는 것을 말하는 것이 아니다. 키프리아누스의 “가톨릭 교회의 연합”이라는 제목의 글은 가톨릭 교회의 우위권을 확실하게 하기 위해서 기록된 것이 아니라, 오히려 박해 이후에 교회연합을 보호하려는 목회적인 목적으로 기록되었다. 키프리아누스의 본래적인 의도와 상관없이, 로마 가톨릭 교회는 로마교황의 우위적 힘과 오직 가톨릭 교회 만을 통한 구원을 강조하기 위해서 키프리아누스의 어구를 잘못 사용했던 것이다. 즉 로마 가톨릭 교회는 그리스도 교회의 통치기관은 자신들의 교회이고, 그 통치기관의 보이지 않은 수장은 유일한 자, 그리고 지상의 대리자인 로마교황 임을 강조하였다. 그래서 대부분의 가톨릭 교인들은 교황 무오설에 근거하여 다른 종교와 다른 기독교에 대한 배타적인 태도를 유지하면서 오직 가톨릭 안에만 구원이 있다고 아주 오랫동안 믿어 오다가 제 2차 바티칸 공의회(1962-65) 때 비로소 이러한 사상을 수정하기에 이르렀다. This study mainly deals with the misunderstanding of the Roman Catholic Church towards Cyprian’s statement: there is no salvation outside the Church. For many centuries, the Roman Catholic Church insisted that ‘there is no salvation outside the Roman Catholic Church.’ This doctrine concerning Roman supremacy was largely started from interpretations of Cyprian’s writing. However, Cyprian’s original statement (i.e., Salus extra ecclesiam no est: there is no salvation outside the Church) did not intend to suggest that salvation is only possible by the Roman Catholic Church. Cyprian’s “the Unity of the Catholic Church” was written focused on pastoral issues to protect church unity after the persecution rather than to explicate Roman Supremacy. Without Cyprian’s essential intention, the Roman Catholic Church misused the phrase to establish the power of the Supreme Pontiff and salvation through the Roman Catholic Church. That is, the Roman Catholic Church insisted that Christ’s ecclesial government is the Roman Catholic Church, and its invisible Head is the Pope (extraordinary one), His vicar on earth. For many subsequent centuries, therefore, most Roman Catholic Christians believed in salvation within only the Roman Catholic Church based on the infallibility of the Roman Pope with having an exclusive attitude to other religions and even other Christian Churches until the Second Vatican Council (1962-65).

      • KCI등재

        향후 교회의 변화와 평신도의 역할

        정희완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6 가톨릭신학 Vol.0 No.29

        가톨릭교회의 현재 흐름과 미래 전망은 크게 보아 세 가지 방향으로 움직여간다. 남반부 지역에서의 신자 수의 증가는 가톨릭교회를 세계 교회의 형태로 변하게 했다. 성직자는 감소하는 데 반해 교회 안의 평신도 역할은 점점 증가하고 있다. 그리고 가톨릭교회는 세속 자본주의의 영향을 받아, 제도로서의 교회 안에 자본주의 논리가 점점 내재화되고 있다. 21세기의 출발과 더불어 교회 안에 평신도의 역할은 전방위적으로 확산 되고 있다. 평신도 선교사들은 각 대륙으로 파견되고 있고, 평신도 교회 직무자들의 역할도 강화되고 있다. 제2차 바티칸 공의회 이후의 다양한 교회 운동들은 교회 안에 평신도를 위한 공간을 더 확장시켰다. 평신도 사도 직, 보편 사제직, 신자들의 신앙 감각, 대중 신심 등에 대한 새로운 신학적 이해는 교회 안의 평신도 역할에 대한 새로운 비전을 제시했다. 또한 교회 쇄신에 있어서 평신도의 역할 역시 중요해졌다. 교회 쇄신을 위해 가톨릭 정체성에 대한 새로운 상상력이 요청된다. 교회 공동체 문화에 대한 비판적 성찰과 교회 안에 대안적 문화의 형성을 위한 노력이 필요하다. 또한 평신도들 역시 교회의 통치행위에 참여할 수 있어야 한다. The aim of this article is to survey the most important currents shaping the Catholic Church today, and to observe the role of the laity that is expanding in the future church during the rest of the twenty-first century. The distinctive features of the current Catholic Church are global Catholicism, which means the growth of Catholicism across the global South since the late twentieth century; the decline of clergy and at the same time expanding lay roles; and the capitalization of the church, in which the church has bent to capitalism and economic power so that its own practices and beliefs become shaped by the corporate form and spirit, in other words, in which the church internalizes the ideologies and practices of for-profit firms while those same firms increasingly utilize religious symbols, stories, and meaning structures in pursuit of corporate advantage. Expanding lay roles at the outset of the twenty-first century are so ubiquitous. Lay missionaries are scattered to the four corners of the earth. Lay ecclesial ministers are leading parishes, catechizing, preparing people for the sacraments, and guiding people in worship, especially in US Catholic Church. Ecclesial movements in the postconciliar period are forming highly motivated corps of laity serving the Church and the world. The expanding lay roles are not merely a matter of returning to the early church models, but a result of the intersection of historical forces, which means priest shortages, ecclesial movements since Vatican II, a need for lay ecclesial ministers, and new theological understandings. The theological backgrounds of expanding lay roles, which envision a new leading role for the learning Church, are the notion of the apostolate of the laity, the common priesthood, the sense of the faithful, and popular piety. What roles do lay people perform for the Church renewal? they need a new imagination of Catholic identity, a critical reflection on the culture of the Church community and a building of an alternative culture, and the participation of lay people in the Church governance. 54)

      • 코로나 시대의 신앙생활과 가톨릭 교회의 역할: 수원교구를 중심으로

        변미리(Byun, Miree),최영균(Choi, Youngkyun) 수원가톨릭대학교 이성과신앙연구소 2021 이성과 신앙 Vol.70 No.-

        이 연구는 코로나19시대의 가톨릭 신앙인들의 신앙과 공동체의 현실을 살펴보고 교회론적 전망을 제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 연구는 코로나19 시기의 가톨릭신자들의 신앙 인식과 코로나19 이후 교회의 역할과 관련해서 다음과 같은 결과를 제시한다. 먼저 수원교구 신자들을 대상으로 한 조사의 결과에 근거해, 신자들의 종교인식은 세대 간 어느 정도의 차이를 나타내고 있지만 전반적으로 신자들은 자신의 삶에서 신앙생활이 중요하며, 특히 가톨릭 신자들은 종교의 사회적 영향력이 크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종교를 믿는 이유는 ‘개인의 영적 평안과 질서’가 가장 중요하게 나타났으며, 교회를 통해 맺는 관계성이나 공동체 규범 등의 이유는 상대적으로 크게 역할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코로나19 시기에 가톨릭 신자들은 ‘신앙과 교회 공동체의 소중함을 더욱 깊이 인식’하고 ‘일상생활에서 신앙실천이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있으며, 유투브나 다른 소셜네트워크 매체를 통한 의례와 공동체 생활을 접하고 있으며, 코로나19 이후에도 온라인 매체를 활용한 다양한 형식의 신앙생활은 지속적으로 발전할 것으로 전망하였다. 코로나19시기와 향후 교회의 역할에 대해 신자들은 교회의 사회적 역할(‘신자들이 환경, 인권, 경제, 정의 등 사회생활과 관련된 문제)을 적극적으로 행사해야 한다고 인지하고 있었다. 신자들의 주관적 행복감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으로는 개인의 일상생활에서 신앙이 중요하다고 느낄수록, 그리고 교회공동체의 소중함을 더 깊이 인식할수록 신자들의 행복감이 커진다는 분석을 통해 향후 신앙과 교회공동체의 미래를 긍정적으로 전망할 수 있었다. 이번 연구에서는 코로나19 상황에서의 신자들의 신앙생활 조사 분석에 근거해 가톨릭교회의 미래 와 관련된 세 가지 성찰적 전망을 제시하였다. 첫째, 교회와 신자 사이의 약한 유대(weak tie)가 증가하며 이는 전통적 교회공동체의 형태가 변할 가능성이 크다는 점이다. 이는 교회공동체의 역할 변화와 관련한 성찰의 필요성을 강조한 것이다. 둘째, 종교의 공공성 혹은 사회적 책무가 더 요구될 것이라는 점이다. 가톨릭교회 신자들은 교회의 사회적 영향력이나 사회적 역할에 대해 강조하는 경향이 높은 편이다. 마지막으로 교회운영과 공동체의 민주주의적 합리성의 요구이다. 신자들이 교회나 사제의 리더쉽에 바라는 요소들이 변화하고 있으며, 이는 교회 공동체의 운영에 대한 변화를 요구하는 것에 다름 아니다. 교회는 코로나19 이후 변화의 흐름을 성찰하고 대안을 모색해 나가야 한다. This research aims to examine the faith of Catholics and the reality of the community during the COVID-19 pandemic, and presents some ecclesial perspective. The conclusion is presented in the following two categories: that of faithful sense and ecclesial role. First, according to the survey looking at the believers' perceptions of religious faith in Diocese of Suwon, although some differences among generations were shown, they generally considered faith as a significant part in their lives. The survey shows that especially Catholics have stronger perception of religion’s social influence. The most common reason for faith was to obtain ‘individual spiritual peace and order’, and relationships and community norms themselves were did not have much significance to individual faith. Nonetheless, they recognized the importance of faith and the church community during the pandemic, and thought that ‘practicing faith is important in everyday life’. They became familiar with rituals and community activities through YouTube or other social network media, and are expected to constantly lead and develop such diverse forms of religious lives even after the end of the pandemic. In terms of the church's role, believers responded that the church should actively practice and play a significant role in issues concerning the society, such as environmental issues, human rights, the economy, and justice. Finally, we could have a positive outlook regarding the future faith and church community, since the study shows that people who could gain happiness through faith were more deeply aware of the importance of faith and the church community in their daily lives. This study suggests three reflective prospects related to the future of the Catholic Church post pandemic. First, weak ties between the church and the believers will increase and the traditional form of the church will change. The advent of modern society leads to an increase in sociality (extension of social networks) of the individual, which leads to the enhancement of individualism. Second, religion's public role or social responsibility will be required more than missionary work to increase religious strength. Third, demand for democratic rationality in church’s management and communities will be higher than ever before.

      • KCI등재

        가톨릭신앙에서 보는 안락사 문제

        정종휴 한국교회법학회 2023 교회와 법 Vol.9 No.2

        가톨릭교회는 ‘유한한 생명’이 ‘무한한 생명’을 얻을 수 있도록 예수 그리스도께서 신적인 방법으로 세우신 조직이다. 가톨릭 교리는 ‘생명에 대한 분명한 긍정’이고, 그것은 바로 ‘그리스도에 대한 분명한 긍정’이다(Bendedict XVI). 가톨릭교회는 모든 형태의 안락사를 반대한다. 인간 생명은 신성하고, 안락사는 살인행위이기 때문이다. 교회는 환자에 대한 ‘지나친 지료를 거부“한다. 일정한 경우에는 진통제 사용이 장려된다. 가톨릭교회의 안락사에 대한 관심은 교황 비오 13세의 회칙 ’그리스도의 신비체‘(Mystici Corporis, 6.29. 1943)에서부터이다. 그 후 의사단체들의 요청에 따라 교황은 직접 또는 교촹청 조직의 이름으로 안락사를 반대하는 다양한 반응을 보였다. 안락사에 관한 윤리적 교리의 종합은 「안락사에 관한 선언(Iura et bona)」(1980년 5월5일, 교황청 신앙교리성)과 회칙「생명의 복음(Evangelium Vitae)」(교황 요한 바오로 2세)(1995년)이라 할 수 있다. 가톨릭교회의 교리는 변함은 없으나 발전은 있다. 특히 한편으로는 의료기술의 눈부신 발달에 따라, 다른 한편으로는 안락사 정당화를 위한 합리화 논리가 보다 교묘해짐에 따라 가톨릭교회의 안락사에 대한 대응도 정교해질 수밖에 없다. 죽음의 문화가 창궐하는 오늘날 가톨릭교회는 생명 보호의 최후의 보루이다. 가톨릭교회의 대응방식이 다른 종교의 그것과 다른 것은 가톨릭교회는 신앙의 진리라는 절대적이고 불변적이고 객관적인 계시 진리의 바탕 위에 모든 것을 ‘가치의 단계’에 따라 설명한다는 것이다. 하지만 가톨릭의 안락사 반대를 비롯한 죽음의 문화에 대한 반대의 목소리는 인류에 대한 호소력이 별로 없는 것으로 보일 때가 많은 것 같다. 왜 그런가? 그것은 가톨릭교회의 성직자/수도자/평신도들이 생명의 주인이신 하느님께서 세우신 교회의 교리대로 살지 않기 때문이다. 가톨릭교회에서는 지난 60년 이상 '공의회의 정신'이라는 기치 아래 수많은 개혁이 뒤따랐고, 결과적으로 교리, 미사 전례, 신학교, 사제직, 수도생활 둥 가톨릭 문화 전체가 역사상 그 어느 때보다도 흐트러졌다. 죽음의 문화에 진정으로 항거하고 생명의 문화를 세우기 위해서는 교회의 내적인 정화, 즉 ‘교리에 대한 순수한 믿음’과 더불어 ‘신앙의 유산’의 회복이 있어야 한다.

      • KCI등재

        Wien 교회를 통해서 본 가톨릭교회의 실상과 미래 전망

        전헌호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4 가톨릭신학 Vol.0 No.24

        한국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Wien의 가톨릭교회 상황을 살펴본 것은 결국 우리 한국 가톨릭교회의 현재와 미래에 대한 염려 때문이다. 한국 가톨릭 교회의 실상을 제대로 깊이 들여다보고 있는 사람들은 그 미래에 대한 우려의 목소리를 적지 않게 내고 있다. 오늘날 세계적으로 발전된 교통과 통신 덕분에 지구촌에 존재하는 모든 삶의 방식들이 쉽게 서로 알려지고 교류한다. 이러한 점은 종교적 세계에도 그대로 적용되어 Wien 대교구를 비롯한 유럽교회의 신앙생활 방식이 그 안에만 머물지 않고 세계 전체에 알려지고 영향을 미친다. 그들이 오늘날 처해 있는 상황은 길지 않은 미래의 우리 상황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이러한 현상을 정확하게 알고 그 원인을 분석하여 우리에게는 오지 않게 할 수 있는 합리적이고 적절한 방안들을 강구해야 할 것이다. 지금의 오스트리아 젊은이들에게 가톨릭교회의 언어, 음악, 미술, 전례가 낯설어졌다는 것이다. 학교교육과 글로블 시대의 메스미디어를 통해 들어오는 일반사회의 영향들 때문이다. 이 문제에 대해서는 많은 생각과 연구를 해야 하고 시의적절한 시행을 해나가야 할 것이다. 시대의 조류에 맞추기만 해서는 교회의 정체성과 나아갈 방향을 잃는 위험에 처할 수 있고, 시대의 조류를 외면하기만 해서는 새로운 세대의 사람들로부터 외면당하 는 난관에 부닥칠 수 있다. 그러므로 본질과 전통을 지켜가면서도 역동성도 지니는 적절한 균형감각을 찾아내야 한다. 이러한 변화의 상황에서도 하느님께서는 늘 변함없이 계시고 교회와 함께하신다. 그렇기 때문에 우리는 근본적으로 교회의 현재와 미래에 대해 언제나 희망할 수 있다. 어떤 상황에서도 믿음과 희망 그리고 사랑으로 살아가야 하는 것이 우리 그리스도교인의 정체이자 임무인 것이다. 강해진 자의식과 더불어 비판의식도 강해진 현대인들에게 가톨릭교회의 교리를 전하는 일은 순교에 못지않은 수고를 해야만 하는 일이 되었다. 어떻게 하면 복음이 교회의 기존 구성원들과 새롭게 구성원이 될 사람들에게 실질적인 축복이 될 수 있도록 할 것인가를 더 깊이 숙고해 보아야 한다. 이것을 잘 수행하기 위해서 제시할 수 있는 종합적인 방안은 기성세대에 속한 성직자, 수도자 그리고 평신도들이 좀 더 올바르고 기쁜 신앙생활을 해나가는 것이다. The Future Vision and Reality of the Catholic Church As Seen Through The Wien Chuch The circumstances of Wien s Catholic church, which is far from Korea, was the concern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our Korean Catholic church. People who look deep into the true picture of the Korean Catholic church are considerably voicing their concern about the future. Thanks to developed transportation and telecommunications all over the world today, all of life that exists in this global village know each other and can interact easily. This also applied intact to the religious world, and the way of religious life in the European church, including the archdiocese of Wien, which doesn t remain in there, and doesn t hold to the spiritual way of living of only that at the Wien Church, but which is well known and influential all over the world. We should be moving towards the creation of a reasonable and proper plan to have this phenomenon have no affect us by knowing what it exactly is and by analyzing the causes, because the situation that they are encountering could be ours in the not too distant future. Language, music and rituals of the Catholic Church are unfamiliar to current young people of Austria. This is because of the influences of general society pushed through education in school and the mass media of this global age. We will have to research much more with deep thinking and will have to start well-timed implementation. If the church comforts these current times, we could face the danger of losing the church s identity and direction, and if we disregard these current times, we could meet with difficulty that which is ignored by the younger generation. Therefore, we should find a relevant sense of balance between keeping the essence and tradition and keeping it dynamic. Under these circumstances of change, God still Exists and Is with the Church. That is why we always can essentially hope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of the Church. In any condition, living with belief, hope and love is Catholicism’s identity and mission. It became laborious having to make the effort, as much as martyr, letting the contemporary people who have a stronger self-conscious and stronger criticism know Catholic doctrine. We should deliberate deeper on how we can make the gospel into an actual blessing for both existing members and potential members of the Church. To fulfill this well, comprehensive ways which are possible to suggest are that the priests, monks, and laity who are of the older generation apply a religious life rightly and pleasurably.

      • KCI등재

        내한 선교사 번하이슬(C. F. Bernheisel 1874-1958)의 가톨릭교회 비판: 「神學指南」을 중심으로

        임걸 한신대학교 신학사상연구소 2015 신학사상 Vol.0 No.169

        이 글은 1900년에 한국에 온 내한 선교사였으며 산정현교회의 초대 목사이자 평양 장로회 신학교 교수였던 번하이슬(C. F. Bernheisel)의 신학을 살피는 것이다. 특히 이 논문의 목적은 먼저 가톨릭교회에 대한 그의 비판을 살펴보고 분석하는 것이다. 또한 번하이슬의 천주교에 대한 비판이 가지고 있는 신앙적이고 정치적인 동기는 무엇이었는지 밝히려고 한다. 번하이슬의 가톨릭 비판을 통해서 초기 내한 선교사들의 가톨릭교회에 대한 생각을 알아보고, 현대 한국 개신교가 가지고 있는 가톨릭교회에 대한 평가가 한국 교회 초기 내한 선교사들의 영향임을 보여주고자 한다. 마지막 으로 본 연구는 초기 한국 개신교와 가톨릭교회와의 충돌과 반목이 있었음에도 불구하고 현대 한국 개신교는 가톨릭교회와 교회 일치 운동을 진행해나가야 한다는 것을 말하려고 한다. The aim of this paper is to investigate the theological thoughts of C. F. Bernheisel (1867-1951), especially his view of the Catholic Church. Bernheisel was an outstanding missionary from the Presbyterian Church in the U.S.A, the first pastor and co-founder of ‘Sanjunghyeon’ Church in 1902 and a professor at the Pyeongyang Union Theological Seminary. He strongly criticized the Catholic Church in many articles published in the 1930's. The first goal of this study is to examine his view of the Catholic Church, based on his articles which were published in ‘TheTheological Review’ 「神學指南」in the 1930's.Secondly. this study tries to show that the Korean Reformed Church‘s views of the Catholic Church, which dominate in the Korean Church until the present day, were strongly influenced by missionaries like C. F. Bernheisel.Thirdly, this study tries to explain the religious and political motivation behind Bernheisel's critique of the Catholic Church during the Japanese colonial period. Finally, this study will try to find opportunities for cooperation and an ecumenical movement with the Catholic Church in the future, despite the very exclusive and intolerant attitude of the Korean Reformed Church towards the Catholic Church from the beginning of the Korean Mission

      • KCI등재

        교회법 제368조에 나타난 보편교회와 개별교회 사이에 존재하는 ‘상호 내재성(mutua interioritas)’에 대한 고찰

        한영만(Young Man Han) 한국가톨릭신학학회 2018 가톨릭신학 Vol.0 No.32

        교회법 제368조는 그 외형적 형태를 주의 깊게 관찰하면 “하나이고 유일한 가톨릭 교회는 개별교회들 안에 또 그것들에서 존립한다”라는 교회헌장 23항의 표현과 1917년 교회법전 제215조 1항의 형태를 취하고 있음을 알게 된다. 교회헌장 23항의 표현은 신학적이고 교회론적 의미를 드러내고 있는 반면에 구 교회법전 제215조 1항은 속지적 원칙에 근거한 교회 구역의 법률적 성격을 제공한다. 제368조가 지닌 법률적 성격과 신학적, 교회론적 성격을 분리된 것으로 보지 말고 하나의 가톨릭교회의 실재를 표현하는 두 가지 방식으로 이해할 필요가 있다. 하나의 가톨릭교회의 실재는 지역이라는 공간적, 문화적 차원에서 실재이기도 하지만 그것을 초월하여 전 세계, 더 나아가 천상교회와 지상교회가 일치해 있는 신비로운 실재이기도 하다. 아니, 교회는 신비인 것이다. 교회의 신비를 표현하는 두 가지 방식을 이해하고 그것을 연결하는데 도움이 되는 개념이 바로 ‘상호 내재성(mutua interiorità)’이다. 이것은 제368조에서 드러난 개별교회들, 특히 교구들 안에, 또 그것들로부터 하나이요 유일한 가톨릭교회가 존재한다는 신앙을 설명해 줄 수 있는 개념이다. ‘상호 내재성’이란 용어는 개별교회가, 그것들 안에서 그것들로부터 존립하고 있는 보편교회와 맺는 관계성의 밀접함, 그 신비로운 연관성을 표현한다. ‘상호 내재성’이란 표현을 통해 개별교회 안에 존재하는 보편교회가 개별교회들과 맺고 있는 연관성의 밀도는 더 강하게 표현된다. ‘상호 내재성’은 교회의 본질을 형성하는데 상호 구성적 요소이기도 하다. 따라서 개별교회의 주를 이루는 교구들이 속인적 원칙에 근거한 교회 구역임에는 분명하지만 교회의 본질을 형성하는 상호 구성적 요소인 ‘상호 내재성’의 개념을 바탕으로 그것들 간의 친교를 위해 개방적 자세로 가톨릭교회와의 친교를 이루어야 할 것이다. “Particular churches, in which and from which the one and only Catholic Church exists”(CIC can. 368). Taking a close examination of can. 368 in terms of its external structure, one can find similarities with the structure of can. 215 §1 in the 1917 Code of Canon Law, and the expression of Lumen Gentium n. 23: “in and from which churches comes into being the one and only Catholic Church.” The latter reveals theological and ecclesiological meanings whereas the former offers a juridical character of ecclesial territory based on the territorial general rule. It is required to understand that the reality of the one and only Catholic Church is expressed in two ways; the juridical character of can. 368 cannot be separated from the theological and ecclesiological character. The reality of the Catholic Church refers to the reality in regional and cultural dimensions, but beyond that, also the reality in universal dimension. Furthermore, the Church is a mystical reality in which the Church on earth is in union with the Church in heaven, that is, the Church itself is a mystery. Hence, the concept of ‘mutua interiorità’ can be a help to understand and unite the said two ways. This concept can explain the faith that the one and only Catholic Church exists in particular churches, especially in and from dioceses, as can. 368 defines. The term, ‘mutua interiorità’, expresses the intimate and mystical connection between the universal Church and particular churches in which and from which the former comes into being. The expression ‘mutua interiorità’ highlights the intense relationship between particular churches and the university Church. The ‘mutua interiorità’ is an indispensible and definitive element to constitute the essence of the Church. It is evident that dioceses, major parts of particular churches, have limit of ecclessial territory in accordance with the territorial general rule. However, they, with open mind, should remain in communion with the Catholic Church in order to form the communion among themselves, based on the ‘mutua interiorità,’ an indispensible and definitive element to constitute the essence of the Church.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