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일반 대학원의 무용학과 교과과정 분석 및 연구

        안명순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79

        College dance education is based on training and educating several directors such as dancers, educators, choreographers and the like when attempting to investigat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the dance department. And the course of graduate school is the more deepened one than anything else and should engage in diverse researches and attempts such as investigation, experiments and so forth. In the graduate school, the most advanced educational institution, dance is included in physical education in fundamental terms, and the objective of dance education is not clear. And dance is not independent of physical education and fails to lay the foundation for the education of the specialized course. Accordingly, owing to these problems, the department of dance i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can not train and educate dance scholars such as theoretical, historians, philosophers, critics and the like specializing in scientific research on overall dance arts so that dance may exist as the independent discipline on the basic premise of character formation and self-realization and carry out dance education made up of each developmental stage. Therefore, the dance curriculum would have difficulty attaining its educational objective if the systematic dance curriculum is not established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colleges. And the discipline as dance science is not well-established as the dance program of the graduate school is not institutionalized to enhance the speciality of those specializing in dance. The educational objective of dance should place an emphasis on the establishment and support of dance science including the acqurement of dance techniques and skills and the training and education of dancers. Currently, the stepwise dance curriculum in elementary, middle and high schools and colleges has no linkage with each other and is unsystematic in terms of content and fails to provide students with unspecialized education. Therefore, the new and systematic educational policy is urgently required for the period of specialized education in college and graduate school.

      • 장애유아의 놀이 관련 학위 논문 메타분석

        최유미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7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sent a basis background information by meta-analysis about the trends in master thesis on play for special early childhood.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formulated : 1. What is the general trends of thesis about play for early child hood with disability. 2. What is the thesis methodology trends in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 hood with disability. 3. What is the trends which kind of free activity play in kindergarten is effects of intervention program for research? This study analysis total seventy seven research in the 1991 through 2008. For the general trends, this study set up the stand of data analysis for research target and three yearly group. Data collected on basis of the analysis standard is examined through the frequency and percentile. The multiple check is using for the analysis of research contends ads. and sub-contents and for the research data collection method. The following are results of the meta-analysis. Trends of thesis about play for early child hood with disability. Among seventy seven papers in the 1991 through on August 2008, master thesis are seventy five papers and doctor thesis are two papers. To count up play for early child hood with disability in graduate school is increasing between 2000 to 2006. This result show the Ministry of Education formulated a policy and carried out for increase special education teacher around graduate school. Key subject for the research, social development is thirty nine(53.2%) paper. Because a characteristic children with disability that the lack of initiative social skill is the main reason. By the type of disability, mental retardation with emotional disturbance was most widely handled. This result follow by, appearance of disability is 2.71% who need special education for early child in Korea, mental retardation is 0.83%. Methodology trends in research about play for early child hood with disability. Quantitative research comes up seventy three papers and Qualitative research comes up four papers in special education. First Qualitative research is show up in 2003 that mean qualitative research is could be enhanced in special education. In research, research was place too much emphasis to role play and block than other activity. Therefore, research which effected play of intervention program was attach too much importance was program. 본 연구의 목적은 교육현장에서 연구를 하며 심화 시키는 학위 과정의 연구자들이 관심을 갖은 연구의 경향과 연구 방법의 경향, 중재프로그램으로서 놀이에 대한 분석하였다. 이것으로 장애유아의 놀이 관련한 연구 개발을 위한 기초 자료를 제시하는데 목적을 두었다. 이를 위하여 장애유아의 놀이에 대한 첫 연구가 나온 1991년부터 2008년 8월까지 장애유아와 놀이 관련의 학위 논문 77편을 본 연구에서 분석하였다. 이와 같은 연구 목적에 따라 다음과 같은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1. 장애유아의 놀이 관련 학위논문 연구의 경향은 어떠한가? 2. 장애유아의 놀이 관련 학위논문 연구 방법의 경향은 어떠한가? 3. 장애유아의 놀이 관련 학위논문 연구에 중재프로그램으로 이용된 놀이의 유형과 장애유아들의 놀이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조건들은 어떠한 것들이 있는가? 1. 장애유아의 놀이를 대상으로 하는 연구의 일반적인 경향은 장애유아를 대상으로 하는 놀이 관련 학위 논문의 대학원별 빈도와 백분율을 나타내는 분포를 알아본 결과 1991-1999년이 전체 논문 중 6.3%인 5편으로 가장 적게 나왔다. 2000-2002년은 19편(24.6%), 2003-2005년은 37편(48.0%), 2006-2008년은 16편(20.7%)이다. 장애유아와 놀이관련 연구 논문이 2000년 들어서면서 증가하고 2003-2005년 사이 가장 많이 증가하였으나 2006년 들어서면서 다시 감소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대학원별 분포를 보면 교육대학원 51편(66.2%)로 가장 많았으며, 일반대학원 23편(29.3%), 기타 대학원은 3편(3.8%)로 나타났다. 교육대학원과 일반대학원 모두 꾸준히 놀이관련 연구가 증가하나 2006년 들어서면서 감소하는 경향이 나타났다. 그리고 기타대학원에는 재활·국악· 음악치료대학원으로 다양한 전문분야에서 장애유아와 놀이를 관련된 연구·개발되고 있음을 반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1994년 특수교육진흥법이 개정되면서 가장 큰 변화가 있었다. 다양한 분야의 폭을 알아보기 위해 대상 논문 연구자들의 전공별 분포를 본 결과 교육학에 속하는 특수교육과는 58편(75.3%), 유아교육 8편(10.3%), 교육학 2편(2.5%), 심리학이 1편(1.2%)이였다. 이외로 국악교육1편(1.2%), 재활과학에 속한 전공과들은 각 각 1편(1.2%)씩 이였고, 예술과에 속한 전공과들은 예술치료 2편(2.5%), 임상음악치료 1편(1.2%), 사회체육 1편(1.2%)씩 이였다. 연구대상 논문의 주제별로 분석한 결과는 사회성 관련 논문이 총 39편(53.2%), 언어 8편( 10.3%), 인지 6편(7.7%), 기타 10편(12.9%) 이다. 그리고 놀이치료는 6편(7.7%)으로 나타났다. 사회성에 관련하여 연구는 다른 항목과 달리 매우 높은 연구가 진행되어 왔다. 이는 놀이의 특성상 체계적인 놀이 활동을 통하여 장애유아의 또래 모방과 모델링, 비적응 행동 감소시키며, 장애유아의 특별하고 개별적인 요구를 충족시킬 수 있다는 것이다. 또한 사회적인 통합을 이끌 수 있는 최선의 매개로 놀이의 중요성이 강조되고 있음을 나타낸다. 학위 논문의 연구대상인 장애유형을 분석한 결과 정신지체와 정서장애가 각각 27편(29.3%)를 나타내고 있으며 시각장애아는 2003년에 2편(2.2%)나타나고 청각장애는 2000년에 연구가 시작되어 3편(3.3%)이며, 지체부자유는 총 5편(5.5%)로 나타났다. 의사소통장애는 4편(4.4%)이며 발달장애는 총 24편(26.0%)를 나타나고 있다. 장애에 따라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하다 할 수 는 없는 것처럼 낮은 출현 율이라 하더라도 출현하고 있다는 것이 중요한 사실이다. 이에 따른 다양한 유형의 장애유아들을 위한 적극적이고 의도적인 노력을 기울여서라도 다양한 놀이관련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보인다. 연구대상 논문에 연구 대상인 장애유아의 소속된 기관별 분포를 보면 어린이집은 26편(30.5%), 유치원은 41편(48.2%), 특수학교의 유치부는 7편(8.2%)이며 기타로 나타나는 기관에는 전문 치료실이나 복지관 병원 등으로 11편(13.0%)를 나타내고 있다. 이는 특수학교 유치부를 포함한 11편 학교에서 특수교육을 받는 유아의 수가 점점 감소하고 있음을 보여준다(2004, 교육 인적자원부; 안수경, 2004). 즉 통합교육을 지향하는 현재의 특수교육의 방향에 따라 장애유아의 통합 환경 배치가 보편화 되는 바람직한 현상이 진행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2. 장애유아의 놀이 관련 학위논문 연구 방법의 경향 연구유형의 빈도와 백분율을 모면 양적연구를 보면 양적연구가 통 연구의 73편(94.6%)을 차지한다. 그리고 질적 연구는 4편(5.3%)로 양적연구가 2000년 들면서 높은 연구대상이 되는 것을 보이는 반면 2003년에 들어서야 질적 연구가 나타났다. 이런 결과는 편중된 것으로 보기 보다는 특수교육 분야에서 질적 연구의 패러다임에 대하여 수용하고 이러한 연구방법론에 대한 논의와 질적 연구물의 출판이 늘어나기 시작한 것은 양적 연구에 비해 상대적으로 길지 않다.(박은혜, 2001)는 것과 일맥상통한다. 연구대상 논문의 자료수집 방법의 빈도와 백분율을 보면 실험법은 3편(4.0%), 검사법은 19편(25.3%) , 질문지법은 9편(12.0%), 면접법은 4편(5.3%)로 , 관찰법은 37편(49.3%), 사례연구는 3편(4.0%)로 나타났다. 검사법과 관찰법은 구 대상이 장애유아, 즉 ‘유아’라는 특징으로 인하여 검사법과 관찰법의 비율

      • 영아기 교육공간으로서의 문화센터에서의 어머니들의 경험

        정현주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This is the research on the experiences of the parents how they feel about 'community centers' as educational spaces for their infants. With all the importance of educations in early childhood, we can see lots of parents starting early education on their children. Community centers in major 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have held a special place in every parents' heart as an educational space by the facts that it's easy to access, parents also can deal with many things at the same time at the same place and most of all they feel really comfortable to use facilities and services. As one of the various ways of an early education in infancy, lectures in the form of groups of children and their mothers are very active. Therefore this research shows how parents react to educational programs provided by community centers which are reflecting periodical and social characteristics in Korea and what meanings those experiences have educationally through in-depth interviews. Ten mothers out of among who were taking classes at community centers in major markets and department stores more than 6 months were interviewed closely. According to their experiences on the classes, they say it brings meaningful experiences to their kids and themselves. They can be classified into 4 ways. First of all, it's 'Changing Lives of Baby and Me'. Community centers are the places mothers can get out of so-called homes which are very limited to them and have new experiences at the new place. They're also able to find who they are as a mother of a child among the group of people. And those are the places where babies also can enjoy themselves through new experiences at the new place. Secondly, it's 'Small Changes in the Families'. Classes in the community centers don't stop there but continue to affect on their families, change their daily lives and in the end, become the source of satisfaction. Next, it's 'Big Steps to the Social Relations'. Through the space in the community centers, children can enter into relations with new people for the first time by these group studies. Besides mothers form new relationships by meeting colleagues who they can rely on and be with one another while raising kids to cultivate intimacy among themselves. Lastly, it's 'Mutual Exchange of Information Between Neighbors'. This is the development from interests in early educations to great amount of exchange of educational information among parents. With this, they can build up their interests on popular lectures, find various methods of early educations and they can encounter the passion for their children's education in the area. Now, looking into the next issue on educational meanings for mothers who experience early educations, they can be categorized into 3 things - timing, space and programs. It can be said that community centers are the places where they revise the timing of early educations downward and diversify them. Also mothers can appreciate fundamental concept and values of an early educations and often change them there. Finally one of the benefits of the programs in community centers is educational spending. They can solve the problems of great pressure on excessive expenses and become a starting point of an early education and information channels at the same time. Moreover community centers are the ones where they maximize the effect of education giving children emotional stability and make time for them to step up to the next level. Through this research, it can be concluded that new and more various educational programs are needed in the centers. Also, careful examination on the programs has to be done so that they can be the suitable places for both mothers and children to communicate. 이 연구는 영아들의 교육공간으로 ‘문화센터’에 대한 부모들의 경험에 관한 연구이다. 영아기 교육의 중요성과 함께 현재 우리나라에서 부모들이 다양한 조기교육을 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접근이 용이하고 한 공간에서 다양한 일들을 해결 가능하다는 점과 교육비의 경제성 등으로 인해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문화센터라는 공간은 부모들이 부담 없이 이용할 수 있는 교육 공간으로 자리 잡아 가고 있다. 영아기 조기교육의 다양한 방법 중의 하나로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문화센터에서는 영아들과 엄마들이 함께 하는 그룹 형태의 강좌들이 매우 활성화 되고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한국 사회의 시대적, 사회적 특성을 반영하고 있는 문화센터에서 제공되는 영아기 교육프로그램을 수강하는 어머니들의 경험은 무엇이고 그러한 경험은 교육적으로 과연 어떠한 의미를 갖는지에 대해 심층면담을 통해 알아보고자 하였다. 대형마트와 백화점의 문화센터의 수업에 영아와 함께 6 개월 이상의 수업을 경험한 어머니들 중 10 명의 어머니들과의 심층면담이 이루어졌다. 이들의 경험에 의하면 문화센터에서 수업은 자신과 아기에게 의미 있는 경험을 가져왔다. 그 경험을 4 가지로 범주화시키면 먼저 ‘나와 애기의 일상의 전환’이다. 문화센터는 영아와 엄마에게 있어서 집이라는 제한된 공간 안에서 벗어나 새로운 공간에서 새로운 경험을 하며 ‘나’라는 한 아이의 엄마로 집단 안에 들어가 나를 발견하고 애기 또한 반복된 시간에서 벗어나 새로운 경험을 느끼며 즐거움을 느끼는 곳이었다. 두 번째는 ‘가정에서의 작은 변화’를 들 수 있는데, 문화센터에서 엄마와의 수업은 그 공간 안에서 일시적 경험으로 끝나는 것이 아니라 가정으로 이어져 엄마와 영아가 함께 경험했던 수업이 가정의 일상을 변화시키고 그러한 변화를 이끌어가는 존재감을 느끼게 하는 만족감의 원천이었다. 세 번째는 ‘사회적 관계의 첫걸음’이다. 문화센터라는 공간을 통해 아이들은 처음으로 집단 수업을 매개로 새로운 사람들과의 관계를 맺게 되며 집에서와는 다른 약속과 규칙이라는 것에 대해 접하게 된다. 어머니들 또한 아이를 양육하면서 함께할 수 있는 친구를 만나 새로운 관계를 형성하고 자녀를 키우는 부모로서의 친밀성을 키워가는 공간이었다. 마지막으로 ‘동네와 교육열의 교류’이다. 이는 영아기 교육에 대한 관심으로 시작된 문화센터라는 공간에서의 경험을 통해 부모들 간의 교육적 정보를 주고받으며 인기 강좌와 영아기 교육방법에 대한 관심을 키워가고 그 지역의 교육열과 접하게 되는 초기 허브로서의 문화센터라는 공간의 의미이다. 문화센터에의 영아기 교육에 대한 어머니들의 경험이 가지는 교육적 의미를 시기, 공간, 프로그램의 3가지로 나누어 살펴보면, 첫째로 문화센터는 영아들의 교육시기를 하향화하고 다양화하는 곳이었다. 그리고 어머니들이 문화센터를 통해 영아기 교육에 대한 개념과 가치관을 의식하게 되기도 하고 변화하기도 하는 곳이었다. 마지막으로 영아교육이 이루어지는 문화센터의 이점은 과도한 교육비에 대한 심리적 부담감을 해소하고, 처음 시작하는 영아교육의 시작점인 동시에 사람들과의 관계맺음이 매우 적합하여 교육적 정보의 통로가 되며, 영아들의 정서적 안정감으로 교육의 효과를 높이고 다음 단계 교육을 위한 준비의 시간이 될 수 있는 이점을 가지는 공간이었다. 연구 결과를 통해 문화센터에서 영아기 어머니들의 교육의 경험은 더 다양하고 새로운 교육을 필요로 하며, 문화센터의 수업에 대한 신중한 교육적 검토가 필요하고, 문화센터가 영아기교육의 적절한 소통의 장소가 되어야 함을 결론으로 제시하였다.

      • 유치원 교사의 인터넷 인지도와 활용실태에 관한 연구

        송경남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에서는 유치원 교사의 인터넷 인지도와 활용실태를 조사하여 분석함으로써 인터넷의 바람직한 교육적 활용을 위한 시사점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교육정보화 사업 추진 결과로 거의 모든 유치원에 컴퓨터가 보급되었고 유치원 교실에서도 인터넷 활용이 가능해 집에 따라 인터넷을 유치원 교육에 활용할 수 있도록 유치원 교사의 인터넷 인지도와 활용실태를 조사하여 유치원에서 인터넷의 효과적인 수업활용을 위한 활성화 방안을 제시하고자 함이 본 연구의 목적이다. 연구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설정된 구체적인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유치원에서 인터넷의 시설환경과 교사들의 인터넷 활용 행태는 어떠한가?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인터넷 관련 지식은 공·사립과 연령, 학력, 재직년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셋째, 유치원 교사들의 인터넷 활용 능력은 공·사립과 연령, 학력, 재직년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넷째, 유치원 교사들의 인터넷 교육적 활용 실태는 공·사립과 연령, 학력, 재직년수에 따라 어떠한 차이가 있는가? 본 연구의 대상은 경기도 북부지역, 구리·남양주,의정부,포천, 연천, 파주에 위치한 공·사립 유치원에 근무하는 교사들을 대상으로 설문지 221부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통계 패키지 프로그램인 SPSS/PC 10.0 Version을 사용하여 빈도분석, t-검정, 일원배치분산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인터넷을 활용하기 위한 접속 환경은 모든 유치원에서 인터넷 접속이 가능하고 대부분이 초고속망으로 인터넷을 속도감있게 활용하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교사들은 매일 접속하고 있으며 대부분의 교사들이 인터넷 카페와 PC장을 이용하기 보다는 가정이나 유치원에서 접속하였다. 둘째, 유치원 교사들의 인터넷 고나련 지식은 공립보다 사립유치원 교사들이 높았다. 연령이 낮고 학력이 낮을수록 인터넷 관련지식이 보두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이는 대학원을 졸업한 교사들이 연령이 높은 것을 볼 때 학력과 관계된 결과 라기 보다 젊은 층일수록 인터넷 관련 지식이 높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할 수 있다. 셋째, 유치원 교사들의 인터넷 활용 능력은 공·사립이나 재직년수에는 차이가 없고, 40대 이상의 집단이 20,30대보다 상품구매를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대학원을 졸업한 집단이 생활정보를 구하기 위해 인터넷을 더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는데 이는 교육수준이 높을수록 인터넷을 실생활에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다. 넷째, 인터넷의 교육적 활용에 관한 실태는 공립 유치원 교사들이 사립 유치원 교사들보다 인터넷을 교육적으로 많이 활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40대 이상 집단과 대학원 졸업 집단이 가장 높은 활용도를 보였고, 재직년수도 10년 이상인 집단이 가장 높은 활용도를 보였는데, 이는 연령이 많고 경력이 많은 교사들이 인터넷을 교육적으로 많이 활용하고 있다고 해석 할 수 있다. 글나 학부모 면담에나 동료교사들의 활용, 관리자들의 인터넷 활용은 공립유치원 보다 사립유치원이 훨씬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By investigating and analyzing kindergarten teacher’s internet Cognition degree and practical use in this research, we wished to supply suggestion point for desirable educational practical use of internet . Computer was supplied to almost kindergarten by education information business propulsion result, according as internet practical use becomes possible in kindergarten classroom, we investigated kindergarten teacher’s internet cognition degree and practical use so that can utilize internet in kindergarten education. It is purpose of study that we suggest activation plan for on the effective class practical use of internet in kindergarten basis of this research. Established specific subject of study to achieve research purpose is as following First, How does institution environment of internet and the way of teacher’s internet using in kindergarten? Second, What kind of distinction, according to public institution or private establishment, attainments in scholarship and tenure of office, is kindergarten teachers’ internet connected information? Third, What kind of distinction, according to public institution or private establishment ,attainments in scholarship and tenure of office, is kindergarten teachers’ practical use of internet? Forth, What kind of distinction, according to public institution or private establishment ,attainments in scholarship and tenure of office, is the actual conditions of kindergarten teachers’ educational practical use ? The subjects of this research were teachers who work in public institution kindergarten and private establishment that is situated in Guri, Namyangju, Pochen, Yeoncheon and Paju and 221 questionnaires were used. The Processing of collected data executed frequency Analysis, making use of SPSSRC 10.0 t -test, One-way ANOVA test Version, statistic program. Summary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ing. First, Connection environment for utilizing internet is possible internet connection in all kindergartens and most were exposed that is utilizing internet as there is speed permission to superhigh speed network. All most teachers connect to internet almost everyday and connect internet at home or kindergarten instead of connecting at internet cafe or PC shop. Second, In kindergarten teachers’ internet connection knowledge, private establishment kindergarten teachers scored higher average than public institution kindergarten teachers. As age is low and attainments in scholarship is low, all internet connection knowledge clause showed high average. When we consider higher age of teachers who graduate from graduate school, this result shows that the youngers have more knowledge than the olders about internet. Third, In internet using ability of kindergarten teacher, there have no connection with public institution or private establishment and tenure of office. Over 40s buy more goods than 20s and 30s by internet and teachers who graduate from graduate school are more using internet as a way to get living information. Forth, In actual conditions about educational practical use of internet, the public institution kindergarten teachers are more using internet as an educational way than the private establishment kindergarten teachers. Over 40s and group who graduate from graduate school showed the highest average and more than 10 years teachers in tenure of office showed the highest average , too. It means older and career teachers are more using internet as an educational way. But students’ parents interview or colleague teachers’ practical use, and administrators’ internet practical use showed more using in private establishment kindergarten than public institution kindergarten.

      • '영어유치원'에 근무하는 한국인 유아교사의 역할과 갈등

        안채윤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영어유치원’에 근무하는 한국인 유아교사가 이곳에서 어떠한 역할과 갈등을 경험하는지 밝히고 그 의미를 분석한 것이다. 즉, 유아교사들의 시각을 통해서 ‘영어유치원’에서 경험하는 의미를 깊이 있게 이해함으로써 ‘영어유치원’ 유아교사의 본질적인 위상을 도모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에 부합하기 위하여 수도권에 위치한 프랜차이즈 ‘영어유치원’ 세 곳에 근무하는 유치원 정교사 소지자 5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실시하였다. 자료 수집은 심층면담과 참여관찰을 통하여 관찰일지와 동영상, 전화 및 메신저를 활용하였으며 자료의 수집과 분석과정에서 연구의 신뢰성에 대한 지속적인 검증절차를 거쳤다. 본 연구의 이러한 과정을 통하여 ‘영어유치원’에서 유아교사들은 다음과 같은 경험을 하는 것으로 요약되었다. 첫째, ‘영어유치원’의 특수성으로 인하여 유아교육을 전공한 유아교사들의 전문성이 의미 있게 돋보이며, 유아에게 교육적 경험을 제공하는데 전문성을 지원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영어중심인 ‘영어유치원’의 특성상, 간접적인 일부 참여의 한계로 인하여 갈등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원어민 교사와 함께 생활하는 유아교사들은 다양한 문화적 차이를 경험하며 문화중재자로서의 중간자적 역할을 수행하고 있었으나 문화적 차이의 한계에 있어 일관성 갖기 어려운 지도에 갈등을 느끼고 있는 것으로 밝혀졌다. 셋째, 유아교사들은 유아를 보호하는 전반적인 보육자의 역할을 수행하며 유아에게 심리적 위안이 되어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이는 곧 업무의 모호성을 초래하여 원어민 교사 중심체제로 전환됨을 알 수 있었다. 이에 유아교사들은 위치 상실을 경험함에 따라 정체성에 혼란을 경험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유아교사는 원활한 생활의 연계를 위하여 생활 속에서 간극을 채워주는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생활의 흐름을 원만하게 해주는 필수적인 부분으로 유아교사가 적절하게 대처해 주는 것을 알 수 있었으나 유아교사에게만 치중되어 있어 유아교사만의 진정성이 간과되며 이에 따라 ‘영어유치원’에서의 유아교육은 수단적으로 존재화 됨을 나타내고 있었다. 이상과 같이 ‘영어유치원’ 유아교사들의 역할과 갈등을 분석하여 이들의 이야기 속에 숨겨져 있는 의미를 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사회적으로 이슈화 되고 있는 ‘영어유치원’에서 유아교사의 진정성을 찾고자 하였으며 제언을 통해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 영화감상교육프로그램 개발 연구 : 세종청소년 영화교실 감상수업을 중심으로

        박성현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영화교육이 문화예술교육의 한 부분으로써, 일반계 고등학생들을 대상으로 영화감상교육의 필요성과 영화감상교육프로그램을 제시한다. 현재 진행되고 있는 청소년 영화 교육프로그램들은 영화제작 워크숍의 비중이 높게 진행됐다. 그러다 보니 자라나는 청소년들에게 과도한 제작기술 중심의 수업이 필요한가? 라는 의문과 일반계 고등학생들에게 적절한 영화감상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느끼게 되었고, 이후 짧은 수업 시간에 편집 된 영화 한 장면을 보고 어떻게 영화를 깊이 감상하며, 새로운 시각을 가질 수 있을까? 라는 의심이 들기 시작했다. 이 연구는 영화교육이 이뤄지고 있는 일반계 고등학교와 취업을 목적으로 하는 특성화 고등학교의 교수·학습 지도안을 살펴보고, 영화감상교육프로그램 등의 사례연구를 통해 일반계 고등학생들에게 효과적인 영화감상교육프로그램의 모델을 제시하려 하는 데에 있다. 본 연구에서 얻어진 연구의 주요 결과를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영화 감상교육을 통해, 첫째, 다양한 문화적 접근이 가능하다. 영화는 인간의 삶을 보여줄 뿐만 아니라, 다양한 국가에서 제작되고, 시대적 역사성을 기록하고 있다. 영화에서 보여주는 인간의 생활양식과 문화는 청소년들에게 시각적인 즐거움과 문화적 패러다임을 한눈에 파악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둘째, 비평적 이해를 기를 수 있다. 영화는 허구를 통해 언어가 아닌 이미지로 소통한다. 우리가 같은 영화를 보더라도 다르게 이해하고 받아들이는 이유다. 스크린 뒤에 숨겨진 의도를 생각하고, 비판적 접근을 통해 통찰력을 기를 수 있다. 셋째, 창의적인 활동이 가능하다. 영화의 이야기를 이해했다면, 영화가 어떻게 제작되는가? 에 대한 의문이 생기고, 자연스럽게 영화제작 과정에 관심을 두게 된다. 영화 제작과정을 통해 협동심, 사회성, 창작성 등을 함양하고, 기술적 기교와 이미지의 생산을 통해 자신만의 새로운 창의적 사고를 얻을 수 있다. 영화감상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전문 인력 양성의 목적보다는 문화예술 교육의 일환으로써 영화라는 하나의 수업 도구를 활용하여 청소년들의 자아 발달에 도움을 줄 것으로 기대된다. 하지만 이 연구의 한계점이라 함은 <세종청소년 영화교실>이라는 프로그램 안에서 영화에 관심 있는 학생들을 중심으로 모집하였다는 점, 대학진학의 목적을 위해 활동 이력으로 참여한 학생들이 다수였다는 점, 영화 한 편을 다 보아야 한다는 시간적 한계가 존재한다는 점, 영화제작 중심 보다는 영화감상교육프로그램의 완성을 위해 구성했다는 점을 명시한다. 그리고 영화교실을 진행하는 강사들은 충분한 수업의 내용, 연결성, 테마를 구성하여 강사 개개인의 재량으로 준비하였다.

      •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교사와 부모의 인식 조사

        장희수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아동은 태어나면서부터 자신의 권리를 향유할 가치 있는 권리의 주체로 존재하며 아동의 권리증진을 위해서는 교사와 부모들이 아동권리에 대한 필요성을 인식하는 것이 중요하다. 자신의 기본 권리를 존중받지 못한 아동들의 경험은 자신의 권리와 타인의 권리를 존중하고 옹호하는 성인으로 자라나기 힘들기 때문이다. 연구자는 세이브더칠드런에서 제공한 프로그램을 기초로 수정 보완된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에 대한 아동권리프로그램들을 현장에서 5년 동안 유아들에게 직접 적용하여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였으며, 현장에서 유아들과 생활하는 교사와 유아들의 부모들에게 아동권리교육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교사와 부모를 대상으로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과 지식수준을 조사하여 아동권리프로그램의 효과적인 운영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1. 교사와 학부모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의 지식 수준과 필요성 인식비교 2.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수준 3.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 인식 4.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수준과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들 의 영향력 위 문제를 알아보기 위하여 서울시에 위치한 국·공립 어린이집 20곳을 선정하여 그곳에 재직 중인 교사와 재원 중인 영유아의 학부모에게 각각 170부를 배포였으며 교사 159부, 학부모 153부가 최종 분석 자료로 사용되었다. 수집된 자료의 분석을 위해 평균과 표준편차를 산출하였으며 t-test, One-way ANOVA, Scheffe 사후검증, 단계적 중다회귀 분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 제시한 연구문제에 따른 결론을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1. 교사와 학부모의 인구사회학적 변인에 따른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의 지식수준과 필요성을 다음과 같이 해석하였다. 첫째, 교사의 연령, 경력, 담당연령에 따라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의 지식수준과 필요성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학부모를 조사한 결과 연령, 학력, 소득수준, 자녀수에 따른 지식수준에는 차이가 없었으나 필요성 인식에 있어서는 자녀의 수가 1명인 경우에는 2명 이상일 경우와 비교하여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2. 교사와 학부모의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수준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의 지식수준에서는 기본개념, 생존권, 보호권, 발달권, 참여권의 모든 영역에서 교사가 학부모보다 유의하게 높게 나타났다. 이는 교사가 학부모보다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정보에 접근이 용이하며, 아동권리에 대해 더 잘 알고 있는 것으로서 유아교육과 보육의 전문가로서 매우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해석된다. 둘째, 아동권리협약의 기본개념에 대한 프로그램 지식수준에서는 교사와 학부모 모두 아동권리와 역사에 대한 지식수준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이는 아동권리의 기본개념에 대한 정확한 지식과 홍보가 미흡해 프로그램을 접해보지 못한 현실적인 어려움으로 해석될 수 있다. 3. 교사와 학부모의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필요성에 대한 인식수준을 알아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부모의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 인식을 비교해본 결과 교사가 학부모보다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성을 더 높게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 보호권에 대한 프로그램 필요성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기본개념에 대한 필요성이 가장 낮게 나타났다. 둘째, 아동권리협약 기본개념에 대한 프로그램 필요성의 인식을 알아본 결과 교사와 학부모가 유의미한 차이를 보인 문항은 ‘비차별’과 관련된 문항이며, 학부모가 교사보다 높게 나온 문항은 ‘체벌’과 관련된 문항이다. 4. 교사와 학부모의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수준과 필요성에 영향을 미치는 관련변인들의 영향력을 알아보았다. 첫째, 교사의 인구사회학적 변인들 중 연령, 학력, 경력, 담당아동연령이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한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가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지 못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교사의 아동권리 교육 프로그램에 대한 지식과 프로그램의 필요성에 대한 인식이 적기 때문이다. 둘째, 학부모 가정의 인구사회학적 변인들 중 연령, 성별, 학력, 소득, 자녀수가 학부모의 아동권리 프로그램 지식수준에 미치는 영향력을 알아본 단계적 중다회귀분석 결과에서도 위 변인들이 유의한 설명력을 가지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 앞서 설명한 교사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학부모에게 아동권리와 관련된 정보를 제공하는 교육이 실시된다면 프로그램의 필요성과 인식도 높아질 것임을 보여준 의미 있는 결과라고 할 수 있겠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제언은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권리협약에 대한 프로그램을 모든 유아교육기관이 적용할 수 있고 이해하기 쉽게 연구 개발이 필요하다. 둘째, 아동들의 참여를 독려하는 참여권 교육이 From the moment he is born, a child is the subject of rights who can enjoy his rights. That is to say, a child is not an adult's property, nor an incapable being that should always be protected only because he is young. A child who had experienced his basic rights being ignored is less likely to become an adult who respects his and other people's rights. To enhance children's rights, it is important for teachers and parents to know the necessity of children' rights. Thus, in this study, I have presented and developed programs about right to live, right to be protected, right to be developed and right to participate by monitoring and modifying a program for children's rights based on the program provided by Save the Children, and an educational program for enhancing children's rights that has been used in my day care center for five years. I wanted to know the necessity and the knowledge level toward children's rights by presenting educational program for children's rights to teachers and parents and by studying their awareness of the issue. Research topics are as below. 1. Compare the necessity and knowledge level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change of sociology of popul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2. Knowledge level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3. Necessity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4. The effectiveness of changes that affect necessity and knowledge level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In order to study the above topics, 20 day care centers in 00-gu in Seoul both state-run and public were chosen, 170 copies were sent to teachers working there and parents whose kids were using the centers each, and 159 copies from the teachers and 153 copies from the parents were used for the final analysis. To know the necessity and knowledge level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through statistical analysis of the collected materials, average and standard deviation were calculated. To verify the difference as the necessity and knowledge level changes when the object of study changed, t-test and One-way ANOVA, scheffe post verification have been conduted, and to figure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change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as used. Conclusions to the research topics in summary are as below. 1. I have interpreted the necessity and knowledge level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the change of sociology of population of teachers and parents as such. First of all, there were no differences of the necessity or level of knowledge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based on a teacher's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experience or the age of the child the teacher is taking care of. Second, for the parents, the knowledge level showed no difference. However, parents with the only child were more likely to think that the program is necessary than those with two children or more. 2. The level of knowledge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of teachers and parents was as below. First of all, through the entire part, teachers knew remarkably better than parents about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This is a meaningful result for an expert in child education and nurture. Second, among the questions about knowledge level of basic concepts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ren, both teachers and parents showed the lowest level about children's rights and history. This shows that until now, not many have encountered programs about basic concepts of the rights of children. 3. The awareness of the necessity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of teachers and parents was as below. First, by comparing the necessity level of teachers and parents, more teachers have been proven to think that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s are necessary that parents. Among them, the necessity level toward a program related to the right to be protected was the highest, while the lowest was a program about basic concepts. Second, the results of necessity toward a program related to basic concepts of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ren, those answers showed a remarkable difference between teacher and parents were questions about nondiscrimination, and the questions in which parents felt more necessary than teachers were about 'punishment'. I think 'sharing the feeling of being punished' has been difficult for teachers. 4. I studied on the effectiveness of changes that affect necessity and knowledge level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First of all, it turned out tha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the effectiveness of teachers' changes in sociology of population such as age, educational background, career experience, and the age of the child the teacher is taking care of, have not provided a good explanation. This is because the knowledge and necessity toward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of teachers were low. Second, it turned out that the results of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o see the effectiveness of parents' changes in sociology of population such as age, sex, educational background, family income, and the number of their children, have not provided a good explanation either. This is a meaningful result that suggests a meaningful lesson that when there are programs that provide information about children's rights to parents, their necessity and knowledge level will go up. The proposals this study is offering are as below. First of all, programs about the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ren should be developed in a way that everyone can easily understand and adopt. Second, education programs that encourage more participation of children should be applied more often. Third, as the research shows that the more you know about children's rights educational program, the better you feel the necessity. Thus, it is important to let people know more about children's rights and hav

      • 영어 조기 몰입교육의 교육과정 비교 :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 중심으로

        최문주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8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의 목적은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을 비교하여 영어 조기 몰입교육과정의 활성화를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 데 있다. 이러한 목적을 위하여 설정한 연구 내용은 첫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육과정 성격 및 목표를 알아보았다. 둘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육과정의 내용체계 구성을 비교하였다. 셋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수학습방법을 비교하였다. 넷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의 교수학습환경과 하루일과는 어떻게 구성되어 있는지 비교하였다. 본 연구 내용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의 성격과 목표는 모두 자연스러운 환경을 통한 언어습득과 각 나라의 문화를 경험하는데 있으며 미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말하기, 듣기, 쓰기, 읽기의 언어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고 영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유아의 다양한 경험에 중점을 두고 있으며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전인적인 아동교육에 중점을 두고 있다. 둘째, 교육과정의 내용체계에 있어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 모두 언어교육과 다양한 활동으로 구성되어 있었다. 미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일상생활에 관련 있는 소재로 언어습득이 이루어지며 영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주제 중심으로 이루어져 있었다.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과목 중심으로 수업의 내용이 이루어졌다. 셋째, 교수학습방법과 교재에 있어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 모두 많은 차이를 보였다. 미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내용중심 접근 방법과 데일리 루틴 교수법을 바탕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다양한 교재를 사용하고 있었다. 영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데일리 루틴 교수법과 의사소통중심 교수법을 중심으로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며 개인별 교재를 이용하지 않고 활동지를 사용하였다.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내용중심 교수법과 학습자 중심의 교수법을 이용하여 교수학습이 이루어지며 교재는 사용하지 않고 교사가 제작한 활동지를 대신 이용하였다. 넷째, 교수학습환경과 하루일과를 살펴보면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 모두 하루에 6시간씩 활동이 이루어지고 있으며 원어민 교사와 한국인 교사가 함께 지도하였다. 하루일과 시간표 분석 결과, 미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언어습득에 중점을 두어 계획되어 있고 영국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미술, 게임, 음악, 체육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있었다.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기관은 창의성과 상상력 개발을 위해 수학과 과학, 미술활동이 중점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이렇게 미국, 영국, 캐나다식 교육기관은 각기 다른 교육과정을 가지고 있었다. 이 세 가지 형태의 교육과정 중 어떤 교육과정이 좋다고 단정 지을 수 없지만 분명 각 교육과정 마다 우리 영어 조기 몰입교육에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지고 있다. 특히 우리나라의 경우 영어 조기 몰입교육과정을 따로 가지고 있지 않으므로 어떤 하나의 교육과정을 가져와 적용하기 보다는 미국, 영국, 캐나다식 영어 조기 몰입교육과정을 바탕으로 우리나라에 맞는 영어 조기 몰입교육과정이 만들어져야 할 것이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provide substantial resources for the improvement and activation of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by comparing and analysing the curriculums of three countries: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Canada. For those purposes, this research includes four different targets: First, what are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Britain, and Canada? Second, how are the contents illustrated in the three curriculums? Third, what are the teaching and learning methods in the three curriculums? Fourth, how do the differences in the three curriculum affect teaching environments and daily routines? The results of this study can b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of all, the characteristics and goals of the three curriculums are focused on learning a foreign language and cultural experiences through school life. For instance,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are focused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abilities; and, British early English immersion programs are based on many different kinds of experiences. Also, the Canadian early English immersion programs emphasize the entire development of children. Secondly, all curriculums not only focus on language study but also have many different activities.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are taught based on subjects in daily life, and early immersion programs in Britain are taught using theme-based English.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Canada are taught based on contents-based English. Thirdly, there are diverse teaching methods and textbooks. Teachers use a content-based teaching method, a daily routine method, and various textbooks which are used in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The British immersion schools do not use any textbooks; they use a daily routine method, a communicative approach. A contents-based, learning-centered teaching method is used in the early immersion programs of Canada; and, these Canadian programs do not have any textbooks like the British immersion schools. It means that all of the materials are made by the teachers. Finally, all of the three immersion schools stay and do some activities for six hours every day. In this case, two teachers cover one class; one is an English native speaker and another is a Korean who is able to speak English. Early English immersion programs in the United States focus on the improvement of English abilities, and Brit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clude art, games, music, and physical education activities. For developing children's imagination and creativity, English early immersion programs in Canada provide math, science, and art activities. As a result, three countries have dissimilar curriculums; however, educators should carefully select and develop a new curriculum, ideally one which is a combination of the United States, British, and Canadian curriculums.

      •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 운영을 위한 교사용 체크리스트 개발 연구

        장선경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9663

        유아기는 직접적이고 구체적인 경험과 실물자료를 통해 개념을 형성해 나가는 시기로 유아의 발달단계와 학습과정을 고려할 때 현장학습은 가장 바람직한 교수방법으로 최근 많은 유아 교육 기관들이 월1회 정도의 현장학습을 실시하고 있어 중요한 교육방법으로 자리 매김하고 있다. 대다수의 유아교육기관들이 과거 단체 관람식 현장학습에서 체험식 현장학습으로 바뀌어 가려는 노력을 하고 있으나, 안전에 대한 문제, 다양한 현장학습 장소의 부재, 교사 및 인력 부족 등의 이유로 현장학습에 대한 의미를 제대로 살리지 못하고 있어 현장학습의 효율적인 운영을 위한 지원방안이 필요할 때다. 현장학습은 유아기에 가장 바람직한 교육방법이지만 교사가 어떻게 적용하느냐에 따라 그 효과가 극대화 될 수도 있고 반감될 수도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현장학습 운영을 위한 기본적인 체크리스트를 개발하여 교사들이 현장학습을 운영하는데 도움이 되고, 교육적인 효과의 편차를 최소화시킴으로써 현장학습의 효율성을 제고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연구목적에 따라 유아교육기관의 교사가 현장학습을 운영함에 있어 점검해야 될 항목은 무엇이며, 개발된 항목에 대한 교사들의 필요도 의견은 어떠한가를 연구문제로 설정하였다. 본 연구는 문헌연구와 기초설문조사로 진행되었다. 문헌연구는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에 관한 선행 연구 중 2000년 이후 발표된 논문을 중심으로 참고하였으며, 기초 설문 조사는 서울 및 경기지역에 위치한 보육시설에 재직 중인 교사 및 원장 100명을 연구대상으로 선정하고, 자료 분석은 연구대상의 빈도, 백분율, 평균을 산출하고 t-test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현장학습에 관한 문헌연구를 통해 현장학습의 절차를 5단계로 구분하여 각각 현장학습 주제 및 장소 선정 단계, 사전답사 단계, 현장학습 시작단계, 현장학습 전개단계, 현장학습 마무리 단계로 정하였다. 각 단계에서 유아교육기관이 현장학습을 운영할 때 점검해야 될 항목은 현장학습 주제 및 장소 선정 단계 11개 항목, 사전답사 단계 10개 항목, 현장학습 시작단계 12개 항목, 현장학습 전개단계 15개 항목, 현장학습 마무리 단계 6개 항목으로 총 54개로 개발되었다. 개발된 항목에 대한 5점 척도에 의한 필요도 설문조사 결과 전체 항목에 대한 평균 필요도는 4.0점의 응답을 얻었으며, 현장학습 주제와 장소 선정 단계 3.9점, 사전 답사 단계 3.9점, 현장학습 시작단계 4.0점, 현장학습 전개단계 4.2점, 현장학습 마무리 단계 3.8점의 필요도를 각각 응답받았다. 본 연구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결론은 다음과 같다. 첫째,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은 체크리스트의 가장 기본적인 사항에 대한 점검과 확인을 바탕으로 운영되어야 한다. 둘째, 유아교육기관의 현장학습운영 절차를 5단계로 체계화 한다는 것은 현장학습의 효율적인 운영과 더불어 유아교육기관에서 현장학습의 문제점으로 제기된 인력 부족에도 큰 도움이 된다. 셋째, 유아교육기관은 현장학습 활동자료와 평가내용을 보고서로 작성하고 보관하여 경험의 지식을 추후 현장학습에 반영하고 후배 교사에게 전수할 수 있도록 한다. 넷째, 점검항목에 대한 필요도 조사 결과 가장 낮은 필요도의 항목은 학부모 관련으로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 운영에서 학부모와의 의사소통이 원활하지 않음을 시사하고 있다. 이에 유아교육기관이 현장 학습을 운영하면서 학부모에게 정보를 제공받고, 자원봉사자로서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조성하여 학부모의 적극적인 참여와 지원을 꾀해야 한다. 다섯째, 유아 대상 현장학습기관이 본 연구의 체크리스트를 참고한다면 유아교육기관 현장학습에 대한 이해를 높이고 나아가 실질적인 유아대상 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제공하는 자료가 될 것이다. 본 연구 결과 및 결론을 토대로 한 제언은 다음과 같다. 본 체크리스트는 일반적인 현장학습 모형을 기초로 작성하였기에 추후 연구에서는 현장학습 주제에 맞는 각각의 체크리스트 개발이 이루어져야 하며, 현장에서의 실제 활용과 점검을 통해 각 문항의 내용을 명확히 하고, 문항 수를 축소하여 교사의 활용도를 높여야 할 것이다. 또한, 현장학습의 다양한 실천 사례들을 현장학습 표준자료집으로 제작하고 공유하여 많은 유아교육기관이 참고할 수 있도록 할 것을 제언한다. Childhood is the period when a child forms the notion of life through direct and specific experiences and physical materials. Field studying based on a child's developmental stage and educational process has become an important educational method that many preschools have adopted once in a month. Although preschools have been trying to emphasize the importance of the method by changing group-watching field studying to personal-experiencing field studying, there are limitations such as safety issues, lack of fields and teachers. Field studying is a desirable educational method, but it can either be helpful or harmful based on how the teacher applies it. This study is to develop a basic checklist for managing a field studying so that it can help teachers manage the educational method and enhance the effectiveness of field studying by minimizing the gap of its educational result. Considering the study's purpose, the subjects are, what are the items the teacher in a preschool should check when managing field studying, and what do the teachers think about the necessity of each item on the checklist. The study was done by studying documents and conducting basic surveys. Most documents were preceeding studies on field studying at preschools that were published after 2000. Survey respondents were 100 teachers at preschools in Seoul and Gyungi province, and analysis were done by calculating frequency, percentage, and average of the study object and conducting t-test.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below. Through document studying on field studying, I have classified field studying into five steps, selecting the subject and place for field studying, pre-visit, beginning stage of field studying, developing stage of field studying and finishing stage of field studying. Items to be checked at each stage when the system is adopted at preschools were 54 including 11 for selecting the subject and place for field studying, 10 for pre-visit, 12 for beginning stage of field studying, 15 for developing stage and 6 for finishing stage. Survey on the necessity of each item showed that based on a full credit of 5, 4.0 was the average necessity for the entire items. For each, 3.9 for selecting the subject and place for field studying, 3.9 for pre-visit, 4.0 for begging stage of field studying, 4.2 for developing stage and 3.8 for finishing stage. Results and proposals from the study are as below. First of all, Field studying at preschools should be done based on checking and confirming the basic items on the checklist. Second, preschools should plan each stage of managing field studying, and try to overcome the problem of lack of teachers by training existing teachers to check main tasks at each stage. Third, preschools need to make a report on activities and evaluation results of field studying, and keep it so that they can reflect their education experiences on following field studying programs. Additionally, they should try to hand down the experiences to newly appointed teachers. Fourth, items related with parents that recorded low necessity in the survey, show that communications with parents when managing field studying have not been successful. Thus, more support and active participation of parents are needed by having them provide information and take a role as a volunteer while managing field studying. Fifth, this study will offer better understanding about field studying for preschools, and be a material that can provide them with practical programs for children. This checklist is based on the model of general field studying. Therefore following studies would have to work on the checklists based on each different subject of field studying. Details of each item should be clarified by practicing and checking them in a real situation, and the number of items should be reduced to enhance teachers' usability. Additionally, I propose that various examples of field studying be made into a source book and share it, so that more and more preschools can use it as a good reference.

      • 연극을 활용한 초등학교 고학년 융합교육의 교수-학습 전략 개발 : 프로젝트 학습법을 중심으로

        이지원 세종대학교 교육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종합예술로서의 연극의 특성을 활용한 <연극 제작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하여 다양한 교과 간 융합, 나아가 학생들의 생활이 반영된 경험과 융합하여 학습 환경의 개선과 더불어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을 위한 융합교육 실천의 실제적 방법을 모색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교육부는 다양한 분야를 결합하고 새로운 가치를 창출하는 능력이 요구되는 미래 사회에 대응하기 위하여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 ‘창의‧융합형 인재 양성’과 ‘행복한 학습 구현’을 주요 과업으로 삼았다. 기존 학교 현장에서 나타나는 문제점들에 대한 대응으로 「2015 개정 교육과정」에서는 융합교육, 통합교육, 프로젝트 학습, 토론학습, 연극교육, 독서교육 등에 관하여 수차례 언급하고 있으나 그 필요성에 대한 인식에 비하여 아직까지 국내 학교 현장에서는 이러한 교육이 활발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실정이다. 그 원인은 교사의 수업 연구 및 설계를 위한 시간 부족으로 인한 업무 부담의 우려,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학습 자료의 보급이 원활히 이루어지지 않는다는 점, 객관적 채점 기준의 부재와 적합한 평가 방법 및 평가 문항 제작의 어려움 등에 있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연극을 활용한 융합교육 프로그램 개발 및 교수-학습 전략과 평가 방법을 개발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융합교육’, ‘프로젝트 학습’, ‘예술교육’ 관련 다양한 선행 연구 및 세 가지 영역 중 두 가지 이상의 개념을 포함하는 선행 연구들에 대한 문헌 조사와 프로젝트 학습과 연극 수업이 정착되어 효과성이 검증된 다양한 해외의 수업 사례에 대한 조사를 실시하였다. 이후 ITL 루브릭을 활용하여 한 학기 동안 진행되는 94차시의 <연극 제작 프로젝트> 수업을 설계하였고, 프로그램의 효과성 검증을 위해 질문지와 면담을 활용한 전문가 평가를 실시, 그 결과를 바탕으로 프로그램 수정․보완을 진행하였다. 전문가 평가 결과, 본 연구에서 설계한 <연극 제작 프로젝트>는 융합교육의 수업 모델로 실효성을 가진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평가에 참여한 전문가 3인은 모두 본 프로그램을 통해 핵심 역량의 성취가 가능하다고 판단하였으며, 교수-학습 전략이 학습 목표 성취를 촉진하도록 적절하게 설계되었다고 평가하였다. 반면 <연극 제작 프로젝트>는 실제 교육 현장에서 학생들을 대상으로 시행되지 않아 학습자 주도로 진행되는 모든 프로젝트 내 활동을 연구자가 모의하였다는 점에서 제한점을 가진다. 향후 프로그램을 직접 시행하여 학습자 설문 및 면담까지 진행된다면 구체적인 검증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융합교육에 대한 필요성과 더불어 연극교육과 프로젝트 학습의 전략적 가치에 대한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는 만큼 학교의 제반 환경과 교육활동 참여자의 협력적 연대가 형성된다면 <연극 제작 프로젝트>와 같은 프로그램의 개발 및 시행이 활발히 이루어지며 충분히 실효성을 거둘 수 있을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design <Theater Production Project> by utiliz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ater as a synthetic art to achieve convergence between various subjects and, by extension, exploring practical ways of practicing convergence education to foster creative and convergent talents as well as improve the learning environment by converging with students' experiences reflecting their lives. The Ministry of Education made 'cultivating creative and convergence talents' and 'realization of joyful learning' as its main tasks in the 「2015 Revised Curriculum」 to cope with future societies that require the ability to combine various fields and create new values. In response to existing problems at school field, the 「2015 Revised Curriculum」 refers to convergence education, integrated education, project based learning, discussion based learning, theater education, and reading education several times. Until now, such education has not been actively conducted in the field of domestic schools, compared to the recognition of the need. The causes are the concern of the burden of work due to the lack of time for the teacher's class research and design, the development of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s and the dissemination of teaching-learning materials, the absence of objective scoring standards, and difficulties in producing appropriate evaluation methods and evaluation questions. Therefore, in this paper,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 convergence education program using theater and to develop teaching-learning strategies and evaluation methods. To this end, a literature survey was conducted on various prior studies related to 'convergence education', 'project based learning', and 'art education', and prior studies including two or more concepts from three areas, and various overseas class cases where project learning and theater classes were established and their effectiveness was verified. After that, using ITL rubric to design the 94th <Theater Production Project> class, which is held for one semester.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 expert evaluation was conducted using questionnaires and interviews, and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supplemented based on the results. Expert evaluations have confirmed that the <Theater Production Project> class, designed in this study, has effectiveness as a class model for convergence education. All three experts who participated in the assessment judged that the core competency could be achieved through this program, and evaluated that the teaching-learning strategy was properly designed to facilitate the achievement of learning objectives. On the other hand, <Theater Production Project> has limitations in that the researcher simulated all activities within the project led by learners because they were not implemented in the actual education field. In the future, if the program is conducted directly to student surveys and interviews, it is judged that detailed verification will be possible. With the need for convergence education and a consensus on the strategic value of theater education and project learning, the development and implementation of programs such as <Theater Production Project> will be active and sufficiently effective if the school's environment and cooperative solidarity of educational activity participants are form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