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펼치기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Milton and Jeremiah: The Biblical Characteristics of Milton’s “On the Late Massacre in Piemont”

        이병은 한국중세근세영문학회 2013 고전·르네상스 영문학 Vol.22 No.2

        Sonnet XVIII, like the Bible, can be divided into two substantive parts. This division is indicated by the dividing line “Their moans / The Vales redoubl’d to the Hills, and they / To Heav’n.” This paper thinks that the tone of the Old Testament parallels the first division in which the immediate event is associated with the desire for vengeance. The God of the first part is a God of vengeance, an Old Testament Jehovah, invoked by the true believer for terrible retribution upon the oppressors of the chosen people. Especially, biblical imagery in Jeremiah is used quite often in this sonnet; almost every expression can find an antecedent verse in Jeremiah, either in thought, structure or language. There are several reasons that explain why Milton probably had Jeremiah in mind throughout the sonnet. The prophet of the Old Testament, like Milton himself, stood apart from his people much of his life and at great cost to himself gave them an unpopular message. Often he opposed the entire nation and was found sitting alone, despised and rejected. Because he was alone, Jeremiah could take no physical action against what he knew to be wrong, but applied his bold message to try to awaken the people. However, this paper believes that from “Their martyr’d blood and ashes sow / O’er all th’ Italian fields,” the sonnet begins to resolve as the poet recognizes, beyond Jeremiah, the New Testament God, who brings good out of evil. The echoes of Jeremiah in the sonnet become overshadowed by the language of the New Testament and the predominant Christian thought.

      • KCI등재

        The Influence of Stars: Milton's Astrology

        이병은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05 중세근세영문학 Vol.15 No.1

        In the "Nativity Ode," Lycidas, Comus, Paradise Lost, and Paradise Regained, and in some of his prose works, such as History of Britain, An Apology against a Pamphlet, The Doctrine and Discipline of Divorce, and the Art of Logic, Milton referred to astrology on many occasions: he mentioned various types of the influence shed by stars. It might be little perplexing to see that Milton, who was a religious reformer agreeing with Calvin who opposed to the occult sciences, who had emancipated his intellect from many tyrannical traditions and superstitions, apparently took more than a metaphorical interest in astrology. Milton also possessed a horoscope and kept the records of the hours of family births. However, the facts astrology was so much pervasive and acceptable in seventeenth century England, and so many astrological tracts were published at that time make us understand that Milton was unwilling or unable to shake off his belief in this superstition.

      • KCI등재

        Anti-Préciosité in the Drama of Thomas Shadwell

        이병은 한국중세근세영문학회 2016 중세르네상스 영문학 Vol.24 No.1

        England’s literature, as well as her society, was affected by préciosité which originated in France and made its appearance in England during the reign of Charles I. Prevalent during the first decade of Charles II’ reign was the comic theme of the love-game in which a gay hero and heroine in accordance to the inflexible code of the time would make a point of not being serious, carry on a witty courtship, but would never marry. This code called préciosité, in which the lady was accorded divine characteristics, appeared in many of the Restoration dramas including those of John Dryden, William Congreve, William Wycherley, and George Farquhar. Not all seventeenth-century dramatists, however, were in favor of préciosité as we can see in the comedies of Thomas Shadwell. It is the purpose of this paper to show evidence of anti-préciosité as it appears in the plays of Shadwell. Serving best to illustrate this point are the following comedies: The Sullen Lovers: or, the Impertinents (1693), The Virtuoso (1691), The Squire of Alsatia (1693), Bury Fair (1689), and The Scowrers (1691). For example, since the précieuse, the heroine, was the center of préciosité, much of Shadwell’s ridicule is of her. Most prominent of his comedies in this aspect is Bury Fair. Wildish says of Madam Fantast, “I must confess, God has given her one good Face; but by her most insupportable Affectation, she screws it into twenty bad ones.” As well as making jabs at the précieuse, Shadwell ridicules the lovers. This is perhaps best seen in The Sullen Lovers, and even narrowed down in the character of Sir Positive-At-All. Since préciosité was often seen in Restoration comedies, and, the précieuse was the center of Restoration comedy, and, moreover, when Restoration comedy deals with love, it is a conscious mixture of préciosité and anti-préciosité elements, and a knowledge of préciosité increases the appetite for the mock-précieuse and furnishes a target for manners wit, it seems that Shadwell’s attack on préciosité would be an important part of seventeenth-century drama.

      • KCI등재후보
      • KCI등재후보

        정부개혁은 민주주의를 담보하는가? : 김대중 정부의 정부개혁 과정을 중심으로

        이병량(李秉亮) 한국정책과학학회 2002 한국정책과학학회보 Vol.6 No.3

        일반적으로 정부개혁은 전통적인 정부관료제가 지니고 있는 경직성과 비반응성, 비효율성을 치유하고자 하는 관리기법의 도입으로 이해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개혁의 근저에는 국민으로부터 거두어들인 돈을 정부가 제대로 사용해야 한다는 생각이 흐르고 있다. 그렇다면 정부예산의 올바른 사용을 강제할 수 있는 제도적 장치, 즉 예산에 대한 민주적 통제를 이루어낼 수 있는 제도의 수립은 정부개혁의 성패를 좌우하는 관건의 하나라 할 수 있겠다. 이 논문은 바로 이러한 관점을 가지고 김대중 정부가 추진한 정부개혁의 과정을 평가하였다. 분석의 결과 김대중 정부의 정부개혁은 형식적인 측면에서 예산개혁의 우선성을 강조하고는 있지만, 실질적인 내용에서는 예산과정의 민주적 통제에 대한 고려를 전혀 발견할 수 없는 불완전한 것임을 알 수 있었다. 예산과정에서의 행정부의 일방적인 통제권을 그대로 유지하고 있는 이런 개혁은 김대중 정부의 개혁이 전체적으로 국민들의 요구나 바람과는 무관한 것이 되도록 하였고, 결국에는 그 성과가 만족스럽지 못한 수준에 이르게 한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새로운 관리기법의 도입에만 초점을 맞추었던 이제까지의 개혁논의는 앞으로 정부가 국민의 돈을 제대로 사용하고 있는지를 감시하고, 동시에 정부가 수행하는 일의 결정과 집행에 국민의 의지와 요구를 제대로 반영할 수 있는 민주적 통제의 방식에 대한 논의와 연결되어야 보다 의미있는 성과를 이룰 수 있을 것이다.

      • KCI등재

        韓国における集団的労働関係法上の使用者

        李炳雲(이병운) 한국비교노동법학회 2013 노동법논총 Vol.28 No.-

        집단적 노동관계법상의 사용자 개념에 대해서는 한국은 물론 일본에서도 중요한 연구주제가 되고 있다. 한국에서도 이에 관한 일본의 논의현황을 검토하면서 연구를 하고 있기 때문에 이 글에서는 한국의 현행 노동관계법상의 사용자 개념을 개관한 후, 집단적 노동관계법상 문제가 되는 사용자성에 대해서 한국의 판례를 중심으로 검토하기로 한다. 집단적 노동관계법상의 사용자 개념이라고 하면, 주로 노조법상의 개념이라고 할 수 있다. 한국의 현행 노조법(정식명칭은 「노동조합 및 노동관계조정법」이라고 한다.) 제2조 2호에서 “「사용자」라 함은 사업주, 사업의 경영담당자 또는 그 사업의 근로자에 관한 사항에 대하여 사업주를 위하여 행동하는 자”라고 하고 있다. 그리고 노조법상 사용자는 법 제3조·제4조에 따라 노동조합의 노동쟁의조정과 정당한 쟁의행위를 감수하여야 하고, 법 제30조의 단체교섭의무를 부담하며, 부당노동행위를 할 경우 법 제81조, 제90조에 따라 노동위원회의 구제명령이나 형사처벌의 대상이 되기도 하기 때문에 노조법상의 사용자는 중요한 지위가 된다. 이러한 사용자 개념은 직접 고용의 경우에는 별로 문제가 되지 않지만, 예를 들어 사내 하도급관계와 같이 간접고용의 형태에서 근로계약의 당사자인 사업(고용)주 외에 배후에 근로자들의 근로조건 및 조합활동과 관련하여 일정한 영향력을 행사하는 제3자가 있는 경우에 그 제3자에게도 사용자성을 인정할 수 있느냐는 것이 문제가 되고 있다. 한국의 집단적 노동관계법상의 사용자성에 관하여 대법원은 간접고용에 있어서도 단체교섭이나 단체협약 등에 관한 노동조합법상의 사용자 개념과 같은 논리, 즉 실질적인 지배개입으로 판단하고 있다. 원청회사가 자신의 책임을 회피하려는 수단으로 이름뿐인 형식적인 하청회사를 이용한 것이라고 볼 수 있는 경우 그 하청회사의 근로자에 의해서 조직된 노동조합과의 관계에서도 사용자로서의 지위를 인정하고 있다. 사견으로서도 원청회사가 사내하청회사를 통해서 구체적으로 업무지시와 감독을 하는 등 실질적으로 근로조건을 결정하고 있었다면 예를 들어 조합의 존부, 조합의 사무실이나 휴게실의 설치, 연장근로, 업무범위의 조정 등의 사항에 관하여 원청회사는 단체교섭의무가 있다고 본다. 따라서 하청회사의 근로자들이 구성한 노동조합인 경우에도 본래의 노조법 등의 입법취지에 비추어 그 존폐나 조합활동의 보호라는 관점에서 그 실질적 지배개입의 여부를 판단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다만 구체적 사안에서 그 판단대상이 되는 내용이 개별적 노동관계의 문제인지 집단적 노동관계의 문제인지 불분명하거나 중첩적일 경우에 어떻게 구분하여 그 한계를 정하여 자의적 판단을 배제할 것인지가 향후의 과제가 될 것으로 생각한다.

      • KCI등재

        빈곤에 관한 한 인식과 한국의 복지정책

        이병량(李秉亮),박성진(朴成鎭) 경인행정학회 2003 한국정책연구 Vol.3 No.1

        이 논문에서는 ‘빈곤’의 본질에 대한 이해와 인식이 빈곤정책 나아가서 복지정책의 내용을 결정짓는다는 가정하에, 우리 사회에서의 빈곤에 대한 인식과 이해를 분석하고자 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방송에 나타난 사례를 분석의 대상으로 삼았다. 분석결과, 첫째, 우리 시회에서는 빈곤의 문제를 구조적, 사회적 차원에서 원인을 찾기 보다는 개인적 차원의 사건으로 주로 인식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빈곤은 결국 “개인적 불행의 중첩”을 통하여 주로 나타나게 되며, 개인적 불행은 주로 사고나 질병, 개인의 자발적 선택 등으로 나타났다. 셋째, 그럼에도 불구하고 빈곤층은 빈곤에 대하여 이를 벗어나기 위한 강의 의지와 긍정적인 태도를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가족간의 유대와 사랑이 이들 빈곤층의 빈곤탈피를 위한 의지가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적으로 우리 사회에서는 빈곤은 누구도 책임질 수 없고 책임질 필요가 없는 개인적 차원의 문제로 주로 인식되는 것으로 나타났지만, 이에 더하여, 이들 빈곤층은 빈곤하지만 인간관계와 가족관계를 파괴시키지 않고, 공동체에 대한 원망이나 반항심을 표출하지 않을 정도의 나름의 규범의식을 가진 것으로 나타났다. 즉 우리사회에서의 빈곤은 소위 ‘빈곤의 이상형’ 혹은 ‘존중받을 만한 빈곤’, ‘자격 있는 빈곤’의 특징을 가진 것으로 파악되었다. 이러한 빈곤의 일반적인 이해는 “생활보호법”등 우리 사회에의 복지정책에서도 근간이 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 연구에서는 한 방송 프로그램에서 나타난 사례를 중심으로 우리사회의 빈곤에 대한 이해와 인식을 살펴본 것으로 향후 추가적인 분석을 통하여 개념의 외연을 확장함으로써, 발전직, 생산적 복지정책의 근간을 넓힐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KCI등재후보
      • KCI등재

        악마의 나만코스와 바요나 요새: 『리시다스』에 나타난 밀턴의 영국주의

        이병은 한국중세근세영문학회 2009 고전·르네상스 영문학 Vol.18 No.2

        In lines 161-62 of Lycidas Milton imagines that the body of Lycidas might be driven down to the southwestern end of Cornwall where “the great vision of the guarded Mount / Looks toward Namancos and Bayona’s hold.” This paper attempts to explain why Milton specifically chose these two small places which had hardly been considered as representing Spain. Milton’s reference to the two places carried many connotations: Namancos and Bayona belonged to Galicia where Roman Catholic background including a saint’s tomb was especially strong; this region had a reputation for lawlessness of the nobles; the province was notorious for the severity of the Inquisition; the province had the main ports for the “infamous” Armada to attack England; the national hero Francis Drake failed to conquer Bayona more than a couple of times; and the despised Gondomar succeeded in defending Bayona. Furthermore, Galicia’s location in the northwest corner of Spain corresponded to the directional symbolism used by Milton himself in other works.

      • KCI등재

        “From forth the fatal loins”: Heredity in Romeo and Juliet

        이병은 한국고전중세르네상스영문학회 2020 중세근세영문학 Vol.30 No.1

        Two lines from the prologue to Romeo and Juliet are often cited as part of the evidence for the basis of the formulation of Fate or Providence as the main theme: “From forth the fatal loins of these two foes / A pair of star-cross'd lovers take their life.” Much is made of the fact that the lovers are star-crossed, but little is said about the "fatal loins" and the influence of heredity in the lives of Romeo and Juliet. This paper tries to insist that Shakespeare’s plays, including Romeo and Juliet, of course, always intensify the dominant Elizabethan view that heredity or blood determines human individuals, and that heredity, acting through the "fatal loins," determined that Romeo, Juliet and other characters would have the characteristics of their respective famil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