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지역 여성 활동가들의 행위력이 소환한 미생(未生)의 `여성학`과 지역현장여성주의의 동학

        안경주(Ahn, Kyungju) 한국여성학회 2015 한국여성학 Vol.31 No.4

        본 연구는 1970년대 말 이후 수도권과 지역을 중심으로 전개되어 온 한국여성학의 제도화 과정에서 비켜 서 있었던 광주지역에서 지역 여성운동활동가에 의해 제기되고 지자체가 지원하여 개설된 전남대학교 차세대 여성정책전문가 과정의 형성과 전개과정 그리고 발전방향을 모색하는 과정에서 지역여성 활동주체들이 발휘하는 행위력을 중심으로 지역현장여성주의의 창조적 태동을 가늠한다. 기존의 지역여성주의 연구가 갖는 거시적ㆍ단체 중심적 역사구성의 기반 위에서 행위자 중심의 실천적 민족지적 연구를 통해 지역여성주의 현장의 미시적 분석을 시도한다. 지역 여성학의 미완의 제도화와 전담주체의 미비라는 한계에도 불구하고, 〈차세대 과정〉의 여성주의 인식론, 이론과 지식의 수혈을 통한 활동가 역량강화는 여성주체로서의 강화, 지역 활동가와 전문가간의 네트워킹과 연대, 그리고 지역현장여성주의 지식생산에 긍정적으로 기여해왔다. 수도권 의존적으로 전개되어 온 여성학 지식생산방식을 극복하고 지역현장 여성주의의 장(場)으로서 〈차세대 과정〉이 자리매김하기 위해서 지역 활동 주체들의 행위력이 출구를 찾아가는 과정의 분석을 통해 지역현장 여성주의의 동학을 그려본다. The Kwangju region hasn`t been influenced by the flux of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studies since the late 1970`s. Feminism Knowledge production has been made in the centered area in Korea so feminist activism has developed without feminism knowledge produced in local area. However, 〈Program of Women`s Policy for the next-generation activists〉 was established by gender-governance of local feminism leaderships in 2010. This study focuses on local feminism agency`s proactive praxis around the process of program`s formation, development and seeking for its direction. With established studies on local feminism focused on macro-level action ethnography on local space. In spite of a lack of institutionalization of women`s studies, 〈the Program〉 has brought positive outcomes such as women activists` empowerment, and expansion of local feminism in the region by providing feminist theories and methodologies and networking among participants. Overcoming dependency of feminism on the outside, 〈the Program〉 , as the stable feminism knowledge production center in local, has to institutionalize though secure feminism professorship and stable operating system. The main factor making the dynamic of local feminism is an agency of various women agents.

      • KCI등재

        대학생 자녀가 쓰는 ‘나의 어머니’ 를 통해서 본 여성의 노동ㆍ모성 그리고 가족

        안경주(Kyungju Ahn) 숙명여자대학교 아시아여성연구원 2013 아시아여성연구 Vol.52 No.2

        이 글은 페미니즘 페다고지 적용의 과정으로 진행된 대학생 자녀들의 ‘나의 어머니 연구’를 통해 1960년대 출생한 여성들의 노동ㆍ모성경험, 결혼과 가족 등을 그들의 생애사를 기초로 살펴본다. 한국의 탈식민적 사회구조하의 근대화ㆍ산업화 그리고 가부장제가 교차하는 시ㆍ공간에서 지방에 거주하는 농촌지역 출신의 중ㆍ저학력 여성들의 생애사적 경험은 그들의 노동이 가족 생계부양노동과 가사ㆍ돌봄 노동이라는 총체적 특징을 지니며 이는 결혼 후에도 지속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가부장제 이데올로기에 의해 총체적으로 얽혀 작동되는 기층 여성의 삼중노동구조는 성별분업 이데올로기와 중산층 중심의 여성 연구에 의해 비가시화된다. 그러므로 여성 내부의 차이를 고려하며, 구체적인 역사성을 담지한 여성에 대한 연구를 통해 탈식민적 페미니즘 이론 구성의 필요성과 가능성을 고려한다. 더불어 이 논문은 기층여성들의 임신으로 인한 결혼, 도구적 부성의 불안정성과 양육적 부성의 부재, 모성적 역할의 의미확대, 삶에 대한 자기 결정권 등과 같은 주제들을 여성의 노동과 모성과의 관련 속에서 다룬다. This study is based on a class project called ‘My Mother"s Life History", which applied feminism pedagogy. The “mothers” were born in the 1960"s in the rural area. Their labor and mothering experiences, marriages and family lives are all examined. Under the post-colonial social structure, Korea’s moder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juxtaposed patriarchical ideology. The labor of low-class women was characterized by a complex of production labor, house work and caring, which continued into the later of marriage phase. The structure of women"s labor is unvisualized by patriarchical ideology and the discourse of middle-class women. Therefore, considering the differences of women and the studying of each group"s historiography, this study suggests the concretization of the post-colonial feminism theory in Korea. In addition, this study deals with various subjects such as women marrying due to pregnancy, instability of instrumental fathering, and expansion of mothering roles to other women.

      • KCI등재

        성별영향평가와 젠더-거버넌스의 구축

        안경주(Ahn, Kyungju) 한국여성학회 2013 한국여성학 Vol.29 No.4

        성 주류화를 둘러싼 젠더-거버넌스의 질적 강화를 위한 제안으로서 본 논문은 성별영향분석 과제의 양적 축소 및 집중.총체적 방식의 접근, 성평등 의식 확산의 장 및 교육과정으로서의 거버넌스, 그리고 성 주류화정책과 실천적 여성운동의 균형을 제시하고 있다. 이를 위해 지역의 젠더거버넌스 구축을 위한 활동과정에 대한 보고서에 나타난 성평등 의식의 분석과 광주지역을 중심으로 한 젠더-거버넌스의 현황을 행위자들의 역할과 활동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개별화와 파편화의 방식으로 추진되는 성별영향분석의 과제수 양산에 대한 문제를 제기하고 젠더문제의 교착지점에 대한 집중과 총체적 방식의 접근을 통해 정책의 실효성을 가져올 수 있다. 또한 신자유주의와 발전주의적 유제를 벗어나지 못하고 있는 성 주류화의 주요 행위 주체인 국가기구가 갖는 본질적 한계와 주요 행위자들의 젠더 인식의 미비는 ‘어떤 관점을 갖고 있는 누가 참여하는가?’라는 젠더-거버넌스의 질을 규정짓는 핵심 문제에 집중하게 하였다. 성 주류화 정책을 위한 젠더-거버넌스는 행위자들의 현재적 수준을 반영하지만, 성 주류화가 추구하는 전략적 젠더정책의 실현을 위해 비전 제시적ㆍ의제 설정적 역할을 해 낼 수 있는 여성운동단체의 역할과 함께 성평등 의식화의 과정으로서의 거버넌스 장을 상정하고 있다. 더불어 시민과 결합한 실천적 여성운동의 활성화가 성 주류화 정책의 내용적 균형을 유지해줄 수 있음을 강조하였다. This paper is the suggestions for qualitative intensification of gender-governance around gender mainstreaming. Reducing of number and structural focusing on small items of the gender-impact analysis(GIA); gender-governance as a field of ‘process’; the balancing of movement and politics are the key points. This study analyze three regional reports in terms of gender-equality perspectives and main actors’ roles and practices based on Kwangju region. Instead of increasing fragmented and individualized items of GIA, the essential effect of politics will uplift through structural focusing on smaller items. As for proper practice of ‘transformation’ of Gender Mainstreaming politics, participants of Gender-Governance need gender-sensitivity. Therefore it is especially focused on feminist and women’s movement NGO groups which are capable of vision/agenda setting, emphasizing their axis role in the gender-governance. It is possible for the group of women to raise the dynamic power of the governance ‘from below’ by the intensification of gender-sensitivity training and organizing of women’s movement. In addition, the gender mainstreaming politics needs to be adjusted to Korean social context, which make Korean actors to develop their own strategies with proper speed and volume.

      • KCI등재

        호모루덴스, 대학 축제 놀이콘텐츠 분석

        안경주(Kyungju Ahn) 한국콘텐츠학회 2018 한국콘텐츠학회논문지 Vol.18 No.5

        본 논문은 사이버공간에서의 개별화된 놀이문화가 지배적인 가운데, 대학청년들의 오프라인상의 공동체 놀이문화를 분석하면서 새로운 놀이문화의 창출 가능성을 모색하기 위한 연구이다. 사이버리아(cyberia)는 놀이의 생산자와 소비자가 소통하는 거대한 플랫폼을 제공하며 가상의 놀이 문화를 형성하고 있지만, 이 공간이 갖는 개별화와 탈신체화의 한계는 오프라인상의 현실화된 공동체적 놀이에 대한 필요와 당위성을 소환하고 있다. 본고는 대학 캠퍼스의 축제를 중심으로 한 공동체 놀이문화사속에서 최근 대학생들의 축제문화의 특징과 의미를 분석하고, 다양한 놀이이론을 적용하여 공동체놀이 기획안을 분석하였다. 2016-7년도 대학생들의 놀이기획안은 향수를 불러일으키는 ‘보드게임,’ ‘게임을 통한 인생설계,’ 그리고 철학적 성찰을 담은 실험극 등과 같이 문화산업 현장의 틈을 비집어 주체의 공간을 만들고자 하는 시도는 있으나, 대체로 청년놀이 문화사를 관통하는 현기증(일링크스)적 음주문화와 운(알레아), 모방(미미크리)이 결합한 파이디아(쾌락)의 원칙이 강하게 작동하는 문화적 특징을 보인다. 최근 신자유주의적 경쟁구도 하에서 청년들의 부정하고픈 현실은 놀이라는 비현실적 공간에서 현기증(음주문화)을 통해 경쟁구도의 무력화로 나타나며, 체험의 모방(미미크리)은 체현이 아닌 문화적 경계에서의 흉내 내기로 드러나는 경향을 보인다. This study is to think a new arena of collective play culture at the university campus festival for digital generation used to be individually consuming play in cyberspace. While cyberia is virtual cultural space by providing gigantic platforms in which producers and consumers meet, this space has characterized as individuality and disembodiment, that is why recalling the collective play culture at the off-line. This article is to examine the characteristics and meaning of the recent campus festivals during the history of Korean college festivals, and to analyze proposals of play-contents applied by various theories. The 2016-7’ proposals include several kind of board game and experimental theatre sublimed philosophical reflection, which shows a kind of attempt to escape from the cultural industrial logic, however they are characterized by Ilinx(drinking culture) and Alea(board game) emphasized more than Agon, and Mimicry combined with paidia rule strongly. Under the neoliberalism, college students’ gloomy reality is represented emasculating of the structure of competitions in the context of an unreal world and Mimicry of experience stay in front of the limen before entering the embodiment

      • KCI등재

        재한 중국 유학생의 사회적 자본 형성에 있어서 호혜성과 선물의 `문화적 하우(hau)` : 지방 H국립대를 중심으로

        안경주 ( Ahn Kyungju ) 한국문화인류학회 2016 韓國文化人類學 Vol.49 No.3

        본고는 지방 H국립대에 재학 중인 중국 학생들을 중심으로 그들의 일상적 경험세계를 구성하는 사회적 관계망에 주목한다. 특히 이들 관계망에 작동하는 호혜성의 규칙과 교환되는 정서, 언어적 자원, 물질(선물)등에 관한 분석을 통해 문화적 다름의 경계 위에서 형성되는 사회자본의 규명에 집중한다. 한국 지방대학에 재학 중인 중국 유학생들이 글로벌 대학의 위계 하에서 한국 지방대학의 사회적 위치성과 일상적인 문화 접변의 맥락을 어떻게 해석하는가, 또한 그들이 한국에서의 관계지형을 위해 어떤 전략적 선택과 집중을 해나가는가를 통해 사회자본 구성의 동학을 살펴본다. 여기에는 월드클래스(world class)나 글로벌시티 즌십(global citizenship)과 같은 구호는 이들 유학생들의 현실적인 목표에 견주어볼 때 공허한 기표이다. 오히려 그들은 유학 생활을 통해 취업 시장에서의 경쟁력을 획득하여 본국에서의 취업이라는 목표를 갖고 있다. 따라서 그들은 회귀할 공간에 대한 전망 속에서 본국인 가족관계와 친구관계를 사회자본 형성의 중심에 배치한다. 한국인과의 관계가 언어자원의 교환을 중심에 둔 반면, 본국인과는 정서적·문화적 편안함과 함께 중국에서의 실질적 관계자본의 기능을 기대하며 호혜성의 규칙에 따라 관계를 정렬한다. 중국인 유학생들의 `선물을 통한 인맥 맺기`는 국가 경계 간의 문화적 차이를 적극적으로 활용하여 `문화적 혼`의 증여를 통해 국가(민족)의 `하우`에 자신의 문화적 본성을 결합·동일시 함으로써 수증자로 하여금 증여자의 문화적 정체성을 각인시킨다. 이에 수증자는 받을 의무와 되돌려줘야 할 의무에서 파생되는 부담 대신에 문화적 각인과 인정을 돌려줌으로써 관계에의 접근을 용이하게 한다. 또한 사이버커뮤니케이션을 통한 초국적 이주자들의 다중적 관계성은 `이곳`과 `저곳`의 동시성을 유지하게 하는데 본국의 가족 및 친구관계는 정서적·재정적 지원의 통로이자 회귀할 이주궤적의 종착지가 된다. 혈연가족을 중심으로 한 가족주의적 연대는 초국적인 사회적 장에서의 연애 및 사랑할 대상의 범주를 한정하여 친밀한 영역에서의 자민족(문화)동질성을 강화시키는 경계를 명확히 하는 데 기여한다. 본 연구는 한국의 지방대학이라는 초국적 사회적 장에서 사회자본의 형성을 위해 전략적 선택을 하는 행위자들의 미시적 관계망들과 다중 관계성의 배치 그리고 이를 통해 구사되는 다양한 문화적 전략과 변용 등을 고찰하였다. 이는 퍼트남과 콜먼 그리고 부르디외의 논의가 간과하고 있었던 국가(민족)적 경계를 넘어서는 맥락에서 형성되는 사회자본 연구의 한 단초가 될 수 있겠다. This research focuses on Chinese students` social networks at a National University located in the southern part of South Korea. I focus on examining the formation of social capital in terms of reciprocity, exchanged emotions, language resources, and materials (gifts) in the context of cultural diversity. Within the frame of stratified transnational higher education, the students recognize their social positions, based on their choice of a local university in South Korea, which in turn influences their strategies of making social relationships. Their goals lie in expanding the choices of job market and future family life in China, rather than “global citizenship” and “cosmopolitan educational pursuit,” so they give more weight to building relationships with Chinese, rather than with Koreans. Their relationships with Koreans are arranged by exchanging language resources. Chinese students` practice of “making relationship through gift-giving” has as its goal that the receiving end should recognize their cultural identity through combining national “hau” and the individual`s hau. This kind of gift reduces a receiver`s obligation to pay it back, and makes it easier to build up the relationship as well as to provide the giver`s cultural image. Transmigrants maintain long-distance relationships through ICT(Internet based Communication Technology), which makes it possible to have multiple simultaneous relationships in the sending country and in the receiving country. Long-distance relationships with family members and friends are the main channel of emotional and financial support, an inevitable part of the migration trajectory. The strong family bond has the function of limiting possible marriage partners in an effort to keep immediate family relatives within the same nationality. This study reveals the transmigrants` strategic choices and arrangement of multiple relationships, and their accumulation of social capital in the context of transnational social space, which partially contradicts the notions of social capital put forth by Putnam and Coleman in their studie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