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에니어그램 성격유형별 보육교사의 스트레스 탐색

        고재순 남서울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31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stress of daycare teachers according to their personality type based on Enneagram.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60 daycare teachers who resided in the region of C.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by interviewing the selected teachers and by using Lee So-hee(2009)'s Personality Type Inventory to measure their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nd then a main survey was conducted after open-ended questionnaire was prepared. The teachers whose personality type was identical had a group discussion together and gave presentation. Their discussion and presentation were all recorded, and they were interviewed again. The transcribed data and the survey data were analyzed, and two Enneagram instructors and a childcare expert were asked to give feedback on the results. Besides, additional data were gathered through phone conversation and e-mail until September 24, 2014, to produce more accurate results. Two research questions were posed: 1. What is the distribution of the Enneagram personality types among the daycare teachers? 2. Are there any differences among daycare teachers in stress according to their Enneagram personality types? The findings of the study were as follows: The daycare teachers whose personality was type 2 and who were in charge of multiage classes were stressed when they couldn't proceed with differentiated, level-based instruction well and when they failed to attain the objects of activity or interact with preschoolers due to shortage of activity materials. They were also stressed when parents weren't interested in their own children and when they had to inform parents of the fact that their children got hurt. The teachers of this type just endured these situations, concealing their own emotion, and then unleashed it when they were heavily stressed out. The daycare teachers whose personality was type 3 felt stress when they made teaching materials or plans and when they carried out the plans or presented materials yet failed to draw attention from preschoolers. As for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y were stressed when parents weren't involved a lot. The teachers of this type told that they tended to fall into idleness and become insensitive and sometimes failed to keep themselves in control when they were under stress. The daycare teachers whose personality was type 4 suffered stress when they had difficulties preparing teaching materials and when they failed to be sensitive to the needs of individual preschoolers. In terms of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y were stressed because of parents who didn't follow the given principles when they took their children home. The teachers of this type felt stress when the person whom they talked with didn't express what's on hir os her own mind. Sometimes they said nothing in that case because their pride got hurt. The daycare teachers whose personality was type 5 felt stress when just teacher-led activities were fulfilled without considering preschoolers during an inclusive childcare program, when the behaviors of preschoolers weren't well modified and when job division was done without abiding by the standard. The teachers of this type were stressed when activities weren't fulfilled as planned, and sometimes they avoided it or gave the cold shoulder to others when they faced this situation. The daycare teachers whose personality was type 6 were stressed when the space arrangement of the daycare room was modified by their colleagues or principals, when they had to take many training courses, when things were done without sticking to the terms of the employment contract, when planning wasn't done properly and when a plan wasn't carried out properly. Specifically, they were stressed because of parents who made an unfair demand as to their children's going home from the daycare centers, namely asking to take good care of their children only. The teachers of this type were stressed about self-assertive people. Sometimes they gave a flat refusal when these people asked something or treated them in a cold manner. The daycare teachers whose personality was type 7 felt stress when space arrangement wasn't easy to do, when they had to finish their daily work on time, and when they were pressed for time due to heavy workload. Also, they suffered stress when they had to observe, evaluate or keep a journal on a daily basis. The teachers of this type were under stress when someone didn't listen to them, and sometimes they lost their self-control and became distracted at that time. The daycare teachers whose personality was type 8 felt stress when they suddenly had to take care of something unplanned, when things weren't done as planned, when job division was done improperly and when there wasn't any space for them to get some rest. As to relationship with parents, they were stressed when they couldn't communicate well with parents. The teachers of this type were under stress when their colleague had no sense of responsibility. Sometimes they said something hurtful to them in that case. The daycare teachers whose personality was type 9 suffered stress when they were misunderstood by parents because of poor communication and especially when an infant or preschooler was sick. Besides, they were stressed when job division wasn't done properly among the staff members. The teachers of this type were under stress when they were in conflict with someone else, and they tried to relieve the conflicts to lead a peaceful life. Sometimes they wished there had been someone to help them. The daycare teachers whose personality was type 1 suffered stress when the duties that were assigned to each of the staff members weren't fulfilled well and when they couldn't have smooth communication with parents. As for relationship with infants and preschoolers, they were stressed when young children's basic life habits weren't good enough and when they couldn't interact with them in a positive manner. The teachers o

      • 남녀관계의 갈등과 단절의 경험을 통해 본 여성의 자아성찰과 정체성 변화에 관한 연구 : 30~40대 고학력 여성의 사랑·이별 경험 중심으로

        고재순 한양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31

        Abstract A Study on Women's Self-Reflection and Identity Change Focusing on the Conflict and Discontinuation in Love and Marriage Relationships Go, Jaesoon Department of Sociology The Graduate School Hanyang University This thesis focuses on the processes of women's self-reflection through which they have experienced the change of self-identities, while arguing how women's relationships with men have changed their identities and the point of view of life after experiencing the conflict and the discontinuation of relationships. The purpose of this thesis is to reexamine women's diverse relationships and to reevaluate women's relationships as a driving force to lead to self-reflection. Women can build up the new independent self-identity by reinforcing the self-reflection process when women have experienced the conflict and the break in their relationships with men. This research begins from the following questions: First, what and how do women experience love and sexuality in everyday life and what kind of women's identity do they show in the patriarchal culture of romantic love ? Second, what kind of clash do they experience in relationships and what is the precise contents of conflict? Do the contents of conflict and clash relate to their processes of criticism and rejection of the traditional femininity? Third, how do they overcome the confusion of self-identity and depersonalization after the discontinuation of relationships? Fourth, what kind of identity is newly developed overcoming confusion of identity and depersonalization? I will approach this research problem from the viewpoint of woman's identity development and analyze the overall contents as the process of self-reflection, including 1)the inner conflict in love/sexuality, 2)the conflict and clash of relationship, 3)the discontinuation of relationship, 4)overcoming, 5)the development of new identity. In order to do this, I conducted in depth interviews to 12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with high education background who have believed that they have overcome the depersonalization after experiencing discontinuation, are as following: First, the romantic love and the dual norm of sex culture have considerably influenced on women in their thirties and forties, consciously and unconsciously. The most important factor related to the concept of romantic love or the decision to get married, turned out to be care, comfort, and dependence. They seem to accept the ideology of romantic love because they believe the social concept of romantic love relationship, i.e., it can be last and should be safely kept. Though most of them are modern educated women in the 21st century, they have severely suffered a lot from the chastity ideology and some of them decided to get married due to this. Unmarried women in their thirties are relatively more active in sexual activities, compared with women in their forties. They have the different concept and attitude related to sexual intercourse, mainly influenced by generation and personal experience. Therefore, they have believed the traditional concept of femininity in Korean society before they experience the confusion with self-identity. Even though they feel uncomfortable, they accept obedient and self-sacrificing femininity without criticism or repulsion. Second, the experience of conflict and discontinuation leads them to the confusion of self-identity. In this process, they have experienced conflict, criticism, and repulsion against the traditional femininity which demands women's self-sacrifice and obedience. The conflict begins with the diverse reasons like the limit of homemaker's role in patriarchal family culture, economic problem, delusion of infidelity in marriage life, interruption, apathy, and irresponsibility in romantic love relationship. The most influential factors of the discontinuation of relationship can be classified as following : ① extramarital affair of husband ② violence of husband ③pressure of patriarchal family culture ④ distrust of partner. Third, women experience the development of new self-identity through self-reflection, the process of overcoming confusion with self-identity and depersonalization. The main reason of their confusion are their unclear ideas on traditional and independent feminity, unsociable personality, sense of betrayal for partner. They make efforts to overcome the depersonalization and confusion with a variety of methods and these efforts show some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The most conspicuous common phenomenon in the process of overcoming conflict is the personal effort to reflect on her own life as a woman and to find out the cause of distress and depersonalization. Their healing methods are diverse and different from person to person. Some interviewees tend to forget the distress while absorbed in work alone and others tend to heal the distress with the help of other people, especially other women or support network. Fourth, the newly formed identity through self-reflection has the aiming tendency of independent relationship and the strong emphasis on social communication. That is, while the identity before the conflict was more obedient and self-sacrificing, the newly formed identity tend to make the intentional efforts to become more independent women. In conclusion, women's processes of self-reflection through conflict and discontinuation of relationships show us that women's obedient and self-sacrificing relationships are changed to more equalized relationships, as women consider and recognize other people as well as oneself explained in Carol Gilligan's third stage of development process. This study has a significance in that it analyzes women's experience and the change of identity through self-reflection in conflict and discontinuation of relationships by applying self-reflection and Carol Gilligan's three stage theory, and that this study attempted a richer analysis on the contents and methods of women's self-reflection. 국문 요지 이 논문은 여성의 관계 지향적 정체성이 관계의 갈등과 단절의 경험을 통해 어떻게 변화․강화되어 가는지 여성의 자아정체성 변화 과정 속에서 수행되어지는 자아 성찰에 초점을 맞춘 연구이다. 여성의 이러한 정체성은 관계의 갈등과 단절의 경험 시 삶을 되돌아보게 하는 성찰성을 발동시키며, 정체성 혼란의 상태를 극복하였을 때 더욱더 주체적이고 의사소통적인 정체성을 발현시킬 수도 있다는 점을 밝히고자 하는 것이 이 연구의 목적이다. 즉 여성의 관계 지향성은 기존과는 다른 시각으로 재평가 될 수 있으며, 이러한 관계 지향적 정체성이 현대 사회가 필요로 하는 성찰성을 이끄는 원동력이 될 수도 있음을 고찰하려고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목적에 따라 본 연구가 드러내고 분석하고자 하는 여성의 관계 지향적 자아 성찰에 관한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여성들의 사랑과 성의 경험은 구체적으로 어떠한 내용이며 이는 낭만적 사랑의 문화 속에서 어떤 여성성을 수용하고 있는 모습인가? 둘째, 관계 안에서의 갈등 요소는 무엇이며 충돌의 내용은 무엇인가? 갈등과 충돌의 내용은 어떤 여성성과의 충돌, 비판, 거부의 과정인가? 셋째, 관계 단절 후 자아정체성 혼란과 자아 상실감은 어떻게 극복하는가? 넷째, 정체성 혼란과 자아 상실감 극복 후 새롭게 발현되는 정체성은 어떠한 모습인가? 이러한 연구문제들을 여성의 정체성 발달 단계의 관점에서 보고자하며, 사랑/성 문제의 자신 안에서의 갈등→ 관계의 갈등과 충돌→ 관계의 단절→ 극복→ 새로운 자아정체성 발현 등 경험 수준의 내용을 성찰의 과정으로 분석하고자 하는 것이다. 이러한 연구 문제를 가지고 우리사회 수도권에 거주하는 30~40대 고학력 여성 중 특히 단절 경험 후 자아 상실감을 극복했다고 생각하는 여성 12명을 심층 면접하여 얻어진 자료를 분석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낭만적 사랑 이데올로기와 이중적 성문화는 우리사회 30~40대 여성들에게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지 간에 많은 영향을 미치고 있음을 볼 수 있다. 사랑에 대한 정의나 결혼 결심의 계기에서 중요한 요소로 부각되는 것은 배려와 보살핌, 편함, 의존 등의 성향이었으며, 사랑을 기반에 둔 관계는 지속적일 수 있고 지속되어야만 한다는 낭만적 사랑의 내용을 수용하고 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2000년대를 살고 있는 현대 여성들임에도 불구하고 여전히 여성의 성은 수동적이고 정숙한 모습이어야 한다는 강박관념에 시달리고 있는 모습도 있었는데, 순결의식은 결혼 결심의 주요 계기로 작용하는 사례도 있었다. 그러나 30대 비혼 여성들은 40대에 비해 성에 대해 적극적인 모습을 보이기도 하여, 세대와 자신의 경험에 따라 성의식과 태도가 차이가 나타난다는 점도 알 수 있었다. 그러나 결론적으로는 자아정체성의 혼란을 경험하기 전 여성들이 수용하고 있는 여성성은 전반적으로 우리사회가 규정하고 있는 전통적 여성성에 가까운 모습이었고 이러한 여성성에 대해 불편함은 토로하지만 커다란 비판이나 거부감 없이 수용하는 순응적, 자기희생적 여성성의 모습이었다. 둘째, 심층 면접한 여성들에게 있어 관계에서의 갈등과 단절의 경험은 자아정체성의 혼란을 야기하는 주요 사건으로 그 과정에서 자기희생적이고 순응적인 전통적 여성성에 대한 갈등과 비판, 거부의 과정을 겪는 다는 것을 볼 수 있다. 갈등의 시작은 결혼 안에서는 가부장적 가족 문화에서의 주부 역할의 한계, 경제적 문제, 의처증 등으로부터 시작되며, 연애 관계에서의 갈등은 상대방의 간섭, 무관심, 무책임성 등으로부터 시작되었다. 면접자들을 통해 알 수 있었던 관계 단절의 요인들은 크게 4가지로 분류할 수 있는데 ①남편의 외도 ②폭력 ③가부장적 가족 문화의 압박 ④상대방에 대한 신뢰성 상실 등이었다. 셋째, 여성들은 자아정체성의 혼란과 자아상실감의 극복 과정인 자아 성찰을 통해 새로운 자아정체성의 발현을 경험한다는 점이다. 면접자들이 자아정체성 혼란을 느끼게 되는 주요 원인으로는 전통적 여성성과 주체적 여성성 사이의 혼란, 자신의 폐쇄성, 상대방에 대한 배신감 등으로 분석될 수 있다. 그들은 모두 자아상실감과 혼란을 극복하기 위해 여러 가지 방법으로 노력하는데, 그 방법에는 유사성과 차별성이 있음을 알 수 있다. 면접자들의 극복 과정에서의 공통점은 자신의 삶을 반성하며 되돌아보기를 시도하고, 괴로움과 상실감의 원인을 찾아내는 것으로부터 시작한다는 점이다. 차이가 나는 점은 상처 치유 방법이었는데 몇 명의 면접자는 혼자서 다른 일에 몰두하며 괴로움을 잊는 방법을 택하였고, 또 다른 면접자는 지지 네트워크 또는 주위 사람들의 도움을 통해 상처를 치유하는 방법을 선택하는 경우도 있었다. 넷째, 성찰과정을 통해 새롭게 발현되는 정체성은 타자와 더불어 자신도 배려하는 주체적인 관계성을 지향하고 의사소통을 중시하는 여성성을 담보한 것으로 나타났다. 예전의 내가 순응적이고 자기희생적이었다면 현재는 보다 주체적인 여성이 되려고 노력하는 모습이었다. 결론적으로 관계의 갈등과 단절의 경험을 통해 본 여성의 자아 성찰 과정은 길리건(Gilligan)의 보살핌의 3단계 발달 과정에서 설명하는 순응적․자기희생적 관계 지향성이 자신과 타인을 동시에 배려․인정하는 관계 지향성으로 변화한다는 관점과 일치됨을 볼 수 있었다. 이 논문에서는 관계의 단절 경험을 겪은 여성만 한정하다보니 단절 경험 없이 자아정체성 재구성을 한 여성이나, 관계의 사랑, 갈등의 경험 없이 정체성 변화를 경험하는 여성들은 연구 분석에서 포함하지 못했다. 또한 단절 후 자아상실감을 극복했다고 생각하는 여성들이 면접 대상자이다 보니 갈등과 단절의 경험 이후 새로운 정체성을 발현하지 못하고 이전 단계로 회귀한 경우도 포함하지 못했다. 따라서 모든 여성들이 이러한 자아정체성 변화를 거친다는 일반화를 주장하지는 않지만 여성의 정체성 연구에 보다 풍부한 분석을 위해선 앞으로 더 많은 사례 분석이 필요할 것이다. 이 연구는 이러한 점에서 한계를 갖지만, 여성들이 관계의 갈등과 단절의 경험 안에서 성찰을 통해 자아정체성 변화를 겪는다는 관점을 길리건의 보살핌의 도덕 발달 3단계 이론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는 점, 그리고 성찰 내용과 방법에 대해 보다 풍부한 분석을 도출하고자 했다는 점에서 그 의미를 찾을 수 있겠다.

      • 외국인 유학생 이동의 공간적 특성에 관한 연구

        고재순 한국교원대학교 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국인 유학생의 변화를 주요한 시기로 구분하고, 각 시기별로 우리나라에 입국한 외국인 유학생 출신지역의 공간적 특성과 우리나라와의 관계를 파악한 것이다. 또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전공과 한국유학을 선택한 배경을 출신국가별로 구분하여 공간적으로 해석하였고 그들의 일상생활 장소의 특성을 경관을 중심으로 분석·기술하였다.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우리나라에 유입한 유학생은 1980년, 2004년, 2010년을 급변점(break point)으로 상승하였다. 통계자료 확인이 가능한 1965년부터 2012년까지 국내 외국인 유학생 변화를 이 3개의 급변점을 중심으로 크게 4개 시기로 구분하여 그린 그래프에서 2000년 이전까지는 완만하게 증가하고, 이후로는 급격한 상승곡선을 그렸다. 특히, 2004년을 급변점으로 매년 평균 10,000명씩 급격한 상승을 하게 되는데 이러한 급상승은 2010년을 급변점으로 주춤하고 있다. 전체적으로 우리나라에 유입된 외국인 유학생의 변화는 각 시기별 우리나라의 정치, 경제, 사회, 문화와 관련된 국제적 위상변화와 정부와 각 대학의 외국인 유학생 정책의 영향으로 공간적으로 변화하였다. 둘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출신 국가 배경은 우리나라에 입국하는 유학생 수와 밀접한 관련이 있었다. 각 국가의 GDP와 경제규모, 우리나라와의 교역량 등의 경제적 배경 요소와 외국인 유학생 수와의 상관관계는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한국과의 교역량은 r=.842로서 절대종속의 정적상관관계로 확인되었다. 이는 물적 교류가 증가할수록 그만큼 인적 교류도 활발함을 확인할 수 있는 부분이다. 또한 각 국가의 인구수와 우리나라에 입국한 여행자 수 모두 국내 입국한 유학생 수와 유의미한 정적상관관계를 보였다. 그러나 1인당 GDP와의 관계는 r=-.057로 관계가 거의 없는 것으로 드러났다. 출신 국가의 거리 역시 낮은 부적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는데, 이는 우리나라와 가까운 아시아대륙에서 유학생의 유입이 가장 많으나, 해외 유학생의 흐름은 항공교통이나 해상교통에 따른 시간거리 측면의 영향도 크고, 정치·경제·문화·학술적 교류가 이러한 지리적인 거리를 극복하는데 중요한 요인으로 작용하기 때문인 것으로 해석된다. 셋째, 본 연구의 외국인 유학생들은 대체로 한국의 전공분야와 연구시설 및 교육과정이 본국보다 뛰어나다고 인식하였다. 또한, 한국 문화에 대한 높은 관심을 보였다. 장학금 혜택은 한국 유학을 선택하는데 결정적으로 작용했지만, 지인과 이전의 한국 관광 경험의 영향은 낮은 것으로 확인되었다. 또한 응답자들은 전공분야에 대한 한국유학이 유학 후 한국보다는 본국에서의 취업에 크게 유리하다고 생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에 입국한 유학생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학생들의 전공 분야에 대한 인식들을 단계적회귀분석(Stepwise)한 결과 외국인 유학생들이 전공을 선택할 때 본국 취업을 가장 염두에 두는 요인으로 확인 되었다. 한편, 외국인 유학생들은 한국 유학을 선택한 배경과 목적을 알아보기 위한 조사에서 전체적으로 한국의 경제발전과 연구 환경, 과학기술, 기업경영, 문화, 정치·행정에 대하여 배우고 싶다는 응답이 그렇지 않다는 응답에 비해 높게 나타났다. 특히 한국의 경제발전과 정치·행정요소, 문화(종교, 민족, 언어)에 대해 알고 싶다는 비율이 높아 주목되는 부분이다. 이에 비해 한국의 고용기회, 농업기술에 대해 배우고 싶다는 응답은 상대적으로 낮게 나타났다. 한국에 입국한 유학생 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유학생들의 한국 상황에 대한 인식들을 단계적 회귀분석 결과는 한국의 경제발전 경험이 우리나라에 입국한 외국인 유학생들이 한국 유학을 선택한 배경과 목적에 가장 큰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넷째, 외국인 유학생들의 일상생활은 평일 주간에는 전공연구(43%), 여가활동(22%),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20.4%), 파트타임 잡(7.8%), 종교 활동 및 봉사활동(6.2%) 순으로 조사되었다. 평일 야간에는 여가활동(39.2%), 전공연구(34.5%),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17.4%), 파트타임 잡(6.9%), 종교 활동 및 봉사활동(2%) 순으로 나타났다. 대체로 평일에는 60%이상이 교내에서 활동하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평일 주간의 전공 연구 활동이 야간에는 여가 활동으로 바뀌는 것으로 나타났다. 휴일은 평일과 달리 학교 밖의 활동이 많이 이루어지고 유학생들이 즐겨 찾는 장소가 다양하게 나타났다. 휴일 주간에 외국인 유학생의 일상생활은 여가활동(46%),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33.2%), 전공연구(11.9%), 종교 활동 및 봉사활동(4.9%), 파트타임 잡(4%) 순으로 확인되었다. 특히,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이 평일 주간에 가장 비율이 높았다. 휴일 주간에 이루어지는 외국인 유학생의 일상생활 장소는 대체로 강북의 신촌과 홍대 일대, 도심권 일대, 이태원과 용산 일대에 집중하는 것을 확인 할 수 있다. 휴일 야간에는 전공 연구(30.7%),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27.3%), 여가 생활(18.3%), 종교 활동 및 봉사활동(3%), 파트타임 잡(2%) 순으로 조사되었는데 휴일 야간에는 숙소에 머무는 학생들의 비율이 높게 나타났다. 다섯째, OECD 국가의 유학생들은 다른 유학생들에 비해 전공 연구 활동은 대체로 평일에 더 많이 하고 휴일에는 주로 한국어 및 한국문화 체험과 여가활동을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체험과 관련해서는 비OECD 국가 학생들은 주로 주간에 비교적 많이 활동하고, OECD 국가 유학생들은 주로 야간에 이루어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종교 활동 및 봉사 활동은 OECD 국가 유학생들의 활동이 더 높게 나타났고, 파트타임 잡 활동도 평일 주간을 제외하고는 OECD 국가 유학생들이 더 많이 활동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가활동 비율은 모두 비OECD 국가 학생들이 더 높게 나타났다. 또한, 대륙별로는 아시아 출신의 학생들의 활동장소는 교내와 숙소를 제외하면, 명동, 신촌, 이태원, 영등포, 종로 등지에서 비교적 높게 조사되었다. 유럽 학생들은 홍대, 신촌, 종로, 이태원 활동이 상대적으로 높았고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 체험 활동과 지방 여행, 종교 활동의 비율이 다른 대륙과 비교하여 가장 높게 조사되었다. 특히 종교 활동 장소는 여의도, 신촌, 신림동, 이태원 등지의 교회나 성당이었는데 이들의 활동 목적은 한국어 학습 및 한국문화 체험으로 응답한 비율이 높은 것을 볼 때, 종교 활동을 통한 한국인들과의 교류 및 한국문화 체험을 고려한 활동으로 해석된다. 북아메리카 학생들은 평일에 교내활동이 가장 높았으며, 특히 파트타임 잡의 경우 대부분 언어를 활용하여 어학학원이나 방문 수업, 번역, 통역 등의 종류가 많았는데 이는 유럽의 학생들도 마찬가지였다. 일상생활 장소는 교내와 지방 여행지를 제외하면 종로를 비롯한 도심 일대, 홍대, 신촌, 용산 등지가 높게 확인되었다. 본 연구는 1차 설문에서 50개국 195명의 유학생, 2차 설문에서 33개국 출신의 102명의 외국인 유학생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외국인 유학생의 전공 선택 및 한국 유학 선택 배경, 일상생활 장소를 출신국가별로 해석하기에 각 국가를 대표하는 사례 학생 수가 적어 일부 국가를 제외하고는 대륙별로 해석한 점이 한계점이라고 할 수 있다. 각 대륙별로 유학생을 만나 심층 면담을 실시하려다 보니 전공별로 학교별로 고르게 분포하지 않는 점도 본 연구의 한계점으로 작용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