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2008년 광주촛불집회의 참여주체와 운동양상

        김형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15

        Participation Subjects and Movement Aspects of Gwangju Candlelight Rallies in 2008 Kim, Hyung Ju Department of Sociology Graduate School Chonnam National University (Directed by Professor CHoi, Jung-Gee) (Abstract) In 2008 the nationwide candlelight rallies were staged on the street for 100 days or so by bringing up various issues of mad cow disease, presidential impeachment and so on. Therefore, many studies on candlelight rallies have been conducted since then. This study was also conducted in the same context. Continuity, tension among participation subjects and movement ways and change of identities in the process of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area, viewed as social movement, are examined here. Unlike previous studies,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is analyzed generally and empirically. So Movement aspects of candlelight rallies are analyzed based on the scenes. For this references, articles in the newspapers, photo footage are analyzed and survey and interviews are conducted. Focusing on the image of the scene, candlelight rallies are reconstituted as in the photo session. Also they are reconstituted in a periodical sequence analyzing characteristics of participation subjects, movement ways and aspects of movement. First, it is necessary to examine participation subjects and their ways in the movement.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were staged with combination of political actions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direct actions of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movement ways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parallelled with social movement react to candlelight rallies in a similar form as in the past. They organized and managed 'Contingency Meeting' covering civic, social, religious organizations in Gwangju and Jeonnam area. Contingency meeting served as a momentum for candlelight rallies with attempts and efforts for sustainability. Stage and amplifier were set up in Geumnamro and MC encourag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citizens to attend the event. Launching public advertisement and organizing the events were the priorities in the process. On the other hand ways of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tended to be more autonomous and variable than those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tended to focus more on candlelight rallies, criticism, resistance and amusement rather than on revolutionary goals achieving political issues. Therefore, more dramatic elements were added to launching public advertisement and organizing events and communication was done in a horizontal way than in a vertical way. Comments and pickets along with public advertisement and organized activities of contingency meeting made a contribution to reproduction and expansion of candlelight rallies. There were differences among participation subjects in terms of their consciousness and movement ways but there were also interactions. Mobilization method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transformed from combat-like method into call for regular participation and imagination of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became much larger.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mingled with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it added subversion and resistance to existing movement ways.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identified possibilities of infinite creation and swarm intelligence simultaneously online and offline with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pondered on solidarity and coordination with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There was a change of identities in police as another participant when they were involved in candlelight rallies. Police in Gwangju were favorably seen as being friendly and protective toward citizens unlike the ones in Seoul by many people. They even communicated with protestors after candlelight rallies and tried to reach an agreement with them in a positive way. During candlelight rallies such a change of identities took place among not only protestors and citizens but also police. Next, aspects of movement can be examined through the scene. Slogans and pickets used at the scene showed characteristics of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Contingency meeting paralleled with social movement extended the agenda of candlelight rallies into privatization, education, grand canal projects and suppression of public security but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just tended to ignore or mock mad cow disease and President Lee with no specific goals. It showed that there has been an ongoing tension between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and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since their slogans and expression patterns were mixed. Considering arrangement conditions at the scene, contingency meeting tried to maximize participation rate and efficiency by setting up situation room, tents, sculpture and stage in Geumnamro. However, it ended up marginalizing un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unintentionally. Namely, as the size of movement forces became larger, their struggle power was enhanced and the number of organized participation subjects increased, unorganized were forcibly sent from stage and road to sidewalk. Therefore, it ironically prevented candlelight rallies from continuing and expanding in the end. This shows that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still don't belong either to centralized organization movement after May 18 democratic uprising and new movement expressed in the recent candlelight rallies. Even though candlelight rallies in Gwangju were staged with attendance of a lot of unorganized group of people in the form of cultural festival, there has been a constant tension between existing activists in Gwangju democratic movement and Gwangju citizens. Apparently, such a tension didn't only cause negative outcomes. As examined above, tension triggered mobilization of different participation subjects and change of movement ways. Last, it is necessary to provide recommendation on development of social movement after candlelight rallies. In order to develop and spread social movement, networking process should be executed in a way to express freedom and creativity. It is needed to combine voluntariness and non-coordination with certain coordination and political implications. For this, existing movement forces should give up their initiatives and voluntary group of people should not fear inconvenient solidarity. It should be expressed as a low level of networking. They need a type of 'candlelight center.' This center is a loose network created and developed in our daily lives. It will also serve as a venue to connect individuals and include a majority of citizens horizontally and autonomously. It should be open to everyone and separately managed by some of uncertain, primary figures. It can not guarantee how much can be achieved with this study on candlelight rallies and solutions to related issues. It is needless to say that candlelight rallies brought a large amount of shock and impression to nation and people. Now it is up to movement group and all the citizens whether they remember candlelight rallies as long as possible and accomplish more in different areas or not. 2008년 광주촛불집회의 참여주체와 운동양상 金 亨 柱 全南大學敎大學院 社會學科 (指導敎授 : 崔晶基) (국문초록) 2008년 촛불집회는 전국적으로 100여 일 동안 거리에서 진행되었고, 광우병 쇠고기문제부터 대통령의 탄핵까지 터져 나온 구호도 다양했다. 때문에 촛불집회를 분석하는 많은 연구가 진행되었다. 이 연구 역시 같은 맥락에서 진행된 경우이다. 여기에서는 광주지역 촛불집회를 사회운동적 의미에서 운동의 연속성과 변화, 촛불집회 내의 참여주체들 간, 운동방식간의 긴장, 그리고 그들이 어떻게 주체성이 변화하는가를 연구한다. 또한 기존연구와는 다르게 촛불집회를 총체적이고 실증적으로 분석하는 작업이 필요하다는 문제의식을 가지고 접근하였다. 따라서 촛불집회의 운동양상을 현장을 중심으로 분석한다. 이를 위해 문헌자료와 신문자료, 사진자료를 분석하였으며 설문조사와 인터뷰를 진행하였다. 현장의 이미지를 강조하여 촛불집회를 사진 찍듯이 재구성하였다. 또한 촛불집회를 시기별로 재구성하고 참여주체와 운동방식, 운동양상의 특징들을 분석하였다. 먼저, 참여주체와 그들의 운동방식에 대해 살펴보자. 광주촛불집회는 조직된 참여주체의 정치적 행동이나 비조직적 참여주체의 직접행동이 혼재되는 형태를 띠고 전개되었다. 조직적 참여주체의 운동방식은 사회운동의 연속선상에서 과거와 비슷한 방식과 형태로 촛불집회에 대응한다. 이들은 광주전남지역 시민사회종교단체를 망라한 ‘비상시국회의’라는 조직을 구성하고 운영해 나갔다. 비상시국회의는 촛불집회의 장을 만들고 지속하고 성과를 찾기 위해 노력하였다. 금남로에 무대와 엠프, 사회자를 배치하였고 소속조직과 시민들에게 참여를 독려하였다. 이를 위해 선전홍보와 조직화를 최우선 과제로 진행했다. 반면에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의 운동방식은 조직적 참여주체들 보다 자율적이고 가변적인 성격을 띤다.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은 전략적 참여보다 촛불집회 참여 그 자체에 더 비중을 두는 모습이었고 이를 통해 정치적인 과제를 실현하는 변혁적인 목표보다 촛불집회 자체, 비판과 저항, 유희로서의 집회에 더 집중하였다. 따라서 이들의 선전홍보와 조직화는 극적인 요소가 더욱 가미되었고, 의사소통 또한 수직적 통로보다는 수평적 통로를 통해 이루어졌다. 이들이 보여준 자유발언과 손 팻말은 비상시국회의의 선전홍보와 조직화 활동과 더불어 촛불집회를 재생산하고 확장시키는데 기여하였다. 참여주체들이 의식과 운동방식에서 차이를 드러내기도 했지만, 서로 상호작용을 불러일으키기도 했다. 조직적 참여주체의 동원방식은 전투적 동원에서 상시적 참여를 호소하는 방식으로 바뀌고 비조직적 참여주체의 상상력은 더욱 확장되었다. 조직된 참여주체는 비조직적 참여주체들과 뒤섞였으며 기존의 운동방식에 다른 전복과 저항이 결합된다. 조직적 참여주체들은 비조직적 참여주체에 의해 무한한 창조와 무리지성의 가능성을 온라인과 오프라인에서 확인하며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은 조직적 참여주체들에 의해 연대와 조직성에 대해 사유하게 된다. 또 다른 참여자인 경찰 역시 촛불집회 과정을 통해 주체성의 변화가 보였다. 광주경찰은 서울지역과는 달리 매우 평화적이고 시민보호 중심의 질서유지로 많은 이들에게 호평을 받았다. 이들은 촛불집회 후에도 시위대와 소통하고 합의를 일구어 내는 긍정적인 방식으로 집회와 시위에 접근하였다. 촛불집회를 통해 운동세력이나 시민뿐만 아니라 경찰도 주체성이 변화하는 모습을 드러내는 것이다. 다음으로 운동양상을 현장을 통해 살펴본다. 현장에서 드러난 슬로건이나 손 팻말은 광주촛불집회가 가지고 있는 특징을 한눈에 보여주었다. 비상시국회의는 사회운동의 연속선상에서 촛불집회의 의제를 자연스럽게 민영화와 교육과 대운하, 공안탄압으로까지 확장시켰다. 하지만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은 광우병과 이명박 대통령을 무시하거나 조롱하는 등 특정한 지향성 보다는 자체를 즐기는 경향이 있었다. 조직적 참여주체와 비조직적 참여주체의 서로 다른 구호나 표현양식이 뒤섞이면서 그들 간의 긴장이 계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현장의 배열상태를 보면, 비상시국회의는 금남로에 상황실과 천막, 조형물, 무대 배치를 통해 최대한 참여율과 효율성을 끌어올리려 했다. 그러나 이는 의도하지 않게 비조직적 참여주체들이 주변화되는 역효과가 나기도 했다. 즉 운동세력의 규모가 커지거나 투쟁성이 강화되면 될수록, 조직적 참여주체가 늘어날수록 비조직적 참여주체는 무대로부터 멀어지거나 도로에서 인도로 밀려난 것이다. 따라서 결과적으로 촛불집회의 지속과 확장이 정체되는 아이러니컬한 결과를 맞이하기도 한다. 이런 점들은 광주촛불집회가 여전히 5·18 이후에 본격화된 집중화된 조직운동의 흐름과 촛불집회로 표현되는 새로운 운동의 흐름 사이의 경계에서 긴장하고 있는 측면을 보여주고 있다. 광주의 촛불집회가 다수의 비 조직된 대중이 참여하고 문화제의 형태를 띠고 전개되었지만, 주최 측으로 대변되는 기존의 광주민중운동진영과 참여자로 불리 우는 새로운 광주시민들과의 일정한 긴장이 있었던 것이다. 물론 이러한 긴장이 부정적인 결과만을 가져온 것은 아니다. 앞서 살펴본 것처럼 긴장은 서로 다른 참여주체들의 동원과 운동방식의 변화를 이끌어냈기 때문이다. 이상에서 알 수 있듯이 광주촛불집회는 조직된 참여주체의 정치적 행동이나 비조직적 참여주체의 직접행동이 혼재되는 형태를 띠고 전개되었다. 참여주체들은 촛불집회 과정을 겪으면서 긴장을 드러내기도 하고 상호작용을 통해 새로운 주체성을 형성하기도 하였다. 광주촛불집회에서 확인할 수 있듯이 사회운동이 더욱 발전하고 확산되기 위해서는 자유로움과 창조성이 발현되는 방향에서 네트워크화가 이루어져야 한다. 자발성과 비조직성에 일정한 조직성과 정치적 함의를 결합하는 노력이 필요하다. 이를 위해서는 기존의 운동세력은 주도권을 내려놓아야 할 것이며 자발적 대중들은 불편하더라도 연대를 두려워하지 말아야 할 것이다.

      • 원전주변지역 주민들의 위험인식과 위험의 사회적 구성 : 고리, 영광, 울진지역을 중심으로

        양라윤 전남대학교 2016 국내박사

        RANK : 247599

        이 논문의 연구목적은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의 위험인식에 대한 다면적 측면을 이해하기 위해, 그들의 자전적 이야기를 검토하여 원전을 어떻게 의미화하고, 그에 대한 문제들에 대응하면서 살아가고 있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의 삶에 대한 이해를 높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연구목적을 위해 이 논문에서는 원전과 관련된 문제들을 ‘지역사회의 맥락(community context)’에 위치시켜 접근하고자 한다. 지역적 맥락이라는 것은 단순히 지역의 상황을 고려한다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개인은 지역의 정치, 사회, 문화적 환경에서 다른 사람들과 관계를 맺으며 살아가며, 개인의 위험인지와 수용문제는 이러한 맥락들을 고려해야만 어떤 문제들이 특별히 제기되고, 어떤 해결책들이 모색되며, 그러한 결과가 갖는 의미가 무엇인지를 설명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은 연구목적을 수행하기 위해 원전 입지지역인, 고리, 영광, 울진 세 곳의 지역을 연구대상지로 선정하고, 원자로 반경 2㎞ 이내 지역에 거주하는 주민들을 대상으로 심층면접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원전 입지지역의 공통성과 특이성이다. 원전이 지역에 입지한다는 것은 원전이 갖는 속성으로 인해 지역사회에 미치는 공통적인 특징들이 있다. 가장 큰 특징은 원전 중심으로 지역이 재편된다는 점, 원전 의존적인 경제구조를 형성하게 된다는 것이다. 둘째, 지역의 특이성에 따라 지역마다 발생하는 문제나 현안이 다르게 나타났다. 고리지역의 경우에는 집단이주문제, 영광지역의 경우에는 지역의 반핵운동과 원전주변지역 주민들의 원전시설 추가유치 갈등문제, 울진지역의 경우에는 반핵운동의 분위기에서 원전개발담론으로 지역주민들의 인식이 선회하였다. 이와 같이 원전지역은 지역의 사회적 구조 및 관계들 속에서 원전과 관련된 고유한 문제들이 발생하고 있었다. 따라서 원전 입지지역이 갖는 공통된 문제와 함께 지역마다 접근을 달리해야 할 필요성이 제기되며, 이러한 특이성을 이해하지 못하면 지역주민들의 위험인식과 대응을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셋째,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의 위험인식이 복합적인 차원에서 이뤄진다는 점이다.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은 개인적인 경험과 조건들 속에서 원전에 대한 위험을 인식하고 의미를 구성하였다. 원전의 불확실성은 원전과 함께 살아온 삶의 경험을 통해 측정되고 평가되는 것이다. 넷째, 위험은 지역의 사회적 조건과 맥락 속에서 구성된다는 점이다.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의 위험인식이 원전관련 문제에 대한 주민들의 대응에 영향을 미치지만, 주민들 역시 그들 방식대로 위험에 대해 의미를 구성하면서 원전문제에 대응하고 있었다. 따라서 동일한 원전의 안전성 문제가 제기되더라도 지역적 맥락과 조건에 따라 위험정치는 달라지며, 이러한 측면에서 주민들은 단순히 자신들을 원전의 위험에 노출된 피해자로 주장하거나 원전의 안전성을 무한 신뢰하는 지지자로 고정하지 않는다. 오히려 자신들에게 주어질 이익과 환경들을 인지하고 측정하면서 위험의 구성에 따라 피해자나 지지자 또는 대척과 상생 등 다양한 관계를 설정하는 것이다. 따라서 원전문제와 주민들의 관계는 고정적이거나 일방적으로 혀성될 수 있는 것이 아니며, 유동적이며 상호 관계 속에서 평가되고, 주민들의 사회적 조건과 삶의 맥락 속에서 형성된 것임을 이해해야 한다. 결과적으로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의 위험인식에 대한 평가는 단순히 기술적, 객관적인 안전(safety) 논리로 접근하거나, 찬핵/탈핵이라는 이분법적 논리로 접근해서는 이해할 수 없는 것이다. 원전이 지역에 입지하면서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이 어떻게 살아왔으며, 살아가고 있는지 그들의 삶의 환경과 생활의 안정성(stability)의 문제를 고려해야만 원전 주변지역 주민들의 위험인식에 대한 복합적인 면모를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 ‘5·18세계화’ 담론 형성과 변화 과정 : 1990년대 광주시민연대 사례를 중심으로

        김찬호 전남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599

        이 연구의 목적은 1990년대 광주시민연대의 ‘5․18민중항쟁’ 세계화 활동 사례를 살펴보는 한편, 이들이 생산한 ‘5․18세계화’ 담론의 의미를 분석하는 데 있다. 나아가 ‘5․18세계화’ 담론 생성의 사회적 배경과 ‘5․18세계화’ 담론으로 제기된 사회적 논제들을 다루고자 한다. 1980년 5월 광주에서 발생한 ‘5․18민중항쟁’은 한국 사회가 합법적이고 민주적인 체제로 변화하는 데 결정적인 계기를 제공한 사건이었다. 예컨대 이 사건은 시민 각자가 유신정권을 승계한 신군부의 반민주적 반인권적 억압에 주체적인 역사의식으로 저항함으로써 그 실체와 속성을 만천하에 드러나게 하였다. 항쟁정신과 대동정신을 발현한 시민들은 마침내 자율적인 공동체를 구현함은 물론 기존의 국가 및 사회체제에 대해 근본적인 회의와 인식전환을 경험하게 된다. 이는 1987년 6월항쟁과 노동자 대투쟁, 대통령직선제를 이끌어내는 동력으로 작동하였다. 한편 1993년 김영삼 정부는 5․13특별담화를 발표하고, 정부가 주도하는 ‘5․18성역화’ 사업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5․18성역화’ 사업은 시민단체의 바람과는 달리 정부와 관(광주시)이 주도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졌다. 이에 여론 수렴과 시민 참여를 요구하는 ‘5․18성역화를 위한 시민연대모임’(이하 광주시민연대)이 1994년 출범하였다. ‘광주시민연대’는 시민사회단체 활동가를 비롯하여 학자 및 법률가 등 전문직 종사자를 중심으로 구성되었다. 이들은 토론회를 거쳐 ‘5․18성역화 사업을 위한 마스터플랜’을 발표하였고 광주시는 ‘5․18성역화’ 사업에 이를 반영하였다. 광주시민연대의 특기할만한 점은 지역 간 갈등구조로 인해 ‘5․18민중항쟁의 민주적 정당성과 역사적 의의’가 다른 지역으로 확산되지 못하고 여전히 광주라는 지역에 고립되어 있던 상황을 타개하기 위해 우회적인 방식을 선택한 것이다. 그것은 바로 ‘5․18세계화’를 위한 국제적 연대활동이었다. 즉, 5․18민중항쟁의 진상을 국제적으로 널리 알리고 국외 민주세력과 연대를 모색하는 실천적 활동이 그것이다. 광주시민연대는 1994년 ‘5․18국제심포지엄’ 개최를 필두로 매년 국제행사를 개최하였다. 1998년에는 아시아인권위원회가 주도한 ‘아시아인권헌장 선언대회’를 유치하여『아시아인권헌장(Asian Human Rights Charter)』을 발표하기에 이른다. 이 헌장은 아시아의 인권과 평화 구축을 위해 150개 단체가 공동 참여하여 제정한 것이다. 이는 광주시민연대가 그동안 추진해 온 ‘5․18세계화’의 실질적인 결실이자 인권을 매개로 한 아시아 지역의 시민적 연대가 구체화된 경우라 하겠다. 광주시민연대는 1994년부터 2000년까지 ‘5․18세계화’를 위한 담론 생산과 그 실천을 위해 국제적 연대활동을 추진하였다. 그러나 2000년 이후에는 대내외 환경변화와 안정적인 재정확보가 어려워지면서 관련 활동을 이어가지 못하였다. 그러나 광주시민연대가 처음으로 ‘5․18세계화’를 제창하고 5․18 관련 담론의 패러다임을 이끌었다는 점은 평가절하 할 수 없는 주요한 업적이라 하겠다. 이는 광주시민연대가 주도한 일련의 ‘5․18세계화’ 담론의 실천사례는 2000년 이후 5․18기념재단이 주도한 국제연대 활동의 모태가 되었기 때문이다.

      •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의 수고생장에 관한 연구

        최영진 강원대학교 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인 소나무림, 잣나무림, 낙엽송림을 대상으로 수고생장에 미치는 요인을 파악하고자 인자별 특성 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대상지는 강원, 경북지역을 대상으로 진행하였으며 현장조사와 공간분석을 통하여 임분밀도, 임황인자, 지황인자에 DB를 구축하였다. 구축된 자료를 통계분석과 공간 분석을 통하여 수고 생장에 미치는 인자를 분석하였다. 임분밀도가 수고생장에 영향을 미치는지 파악하고자 간벌률, 입목본수, 임분 흉고단면적과의 관계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임분밀도는 수고생장량에 영향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임황인자가 수고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기 위하여 임령, 흉고직경, 수관폭 인자를 이용하였고, 분석방법으로 산점도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분석결과 임령, 흉고직경, 수관폭 인자 모두 수고 생장과의 상관계수가 높게 나타났다. 지황인자가 수고생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고자 사면방향, 해발고, 사면경사, 지형으로 나누어 분산분석과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지형은 능선거리와 계곡거리로 나누어 분석하였으며, 분석결과 사방방향, 사면경사는 수고생장에 미치는 영향이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고, 해발고에 경우 지형분석 경우 유의한 상관관계가 나타났으며, 능선거리는 능선에서 멀어질수록 수고생장이 높아지는 경향이 나타났고, 계곡거리는 계곡에서 멀어질수록 수고생장이 낮아지는 경향이 나타났다. 수고 회귀모델을 개발하고자 독립변수로 상관계수가 높은 인자인 임령, 지위지수, 흉고직경, 능선거리, 계곡거리를 사용하였다. 개발된 수고생장예측모델 중 최적모델은 소나무의 경우 임령, 지위지수, 흉고직경, 능선거리가 독립변수인 Pd3모델(n=54, =1.45, =0.74), 잣나무의 경우 임령 지위지수, 흉고직경, 계곡거리가 독립변수인 Pk4모델(n=57, =1.57, =0.81), 낙엽송의 경우 임령, 지위지수, 흉고직경이 독립변수인 Lk2모델(n=135, =1.58, =0.90)이 선정되었다. 낙엽송의 경우는 지형적 요소보다 임황인자에 요소가 큰 영향을 미쳐 지형인자의 수고생장 예측모델에 크게 반영되지 않았다. 본 논문에서는 우리나라 주요 침엽수종의 수고생장에 대하여 다양한 분석인자들을 통하여 유의미한 영향이 있는 인자들을 파악하였고 이들 인자들을 통하여 수고 생장을 예측할 수 있는 모델을 개발하였다. This study was carried out to analyze the height growth of Korean red pine (Pinus densiflora), Korean white pine (Pinus koraiensis), and Japanese larch (Larix kaempferi), which are the major tree species in South Korea. Study area was targeted on the region of Gangwon and North Gyeongsang provinces, and factors of stand density, forest stand, and site were collected through the field investigation and spatial data. The factors affecting the height growth were analyzed through statistical and spatial analysis of the collected data. To figure out the effect of stand density on height growth, thinning intensity, the number of trees, and stand basal area were analyzed, and it was found that these factors did not affect height growth. Also, age, DBH, and crown width were analyzed to figure out the effect of forest stand investigation, and scatter plots were displayed and a correlation analysis was applied for checking the characteristic of height growth. As a result, correlation coefficients of age, DBH, crown width with height growth were all high. Site factor was analyzed through Analysis of Variance and correlation analysis by dividing into the aspect, elevation, slope, and topography. Topography was analyzed by classifying into ridge and valley. As a result, height growth was affected by aspect and elevation, but was not affected by slope. Ridge distance was a positive correlation to height growth, and so height growth have a tendency to increase as a tree moves away from ridge. Valley distance was a negative correlation to height growth, and so height growth have a tendency to decrease as a tree moves away from valley. This means site factors influence height growth. In order to develop height regression model, age, site index, DBH, ridge distance, valley distance, which showed high correlation coefficient with height growth. The best model among the developed height growth models was Pd3 model (n=54, =1.45, =0.74) with age, site index, DBH, ridge distance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Korean red pine, Pk4 model (n=57, =1.57, =0.81) with age, site index, DBH, valley distance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Korean white pine, Lk2 model (n=135, =1.58, =0.90) with age, site index, DBH as independent variables for Japanese larch. In this study, the factors which influences height growth were found through various analysis, and the models for estimating height growth were suggested. This study is considered to be used for the height growth researches of Korean red pine, Korean white pine, and Japanese larch.

      •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가 생활만족도, 자아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현주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가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 서 현 주 강원대학교 녹색생명산업정책대학원 녹색생명산업정책학과 본 연구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가 조절변수인 성별, 연령, 학력, 직업, 소득, 가구구성원, 산림치유 참여 유무에 따라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하였으며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의 변화를 알아보고 그 영향을 규명하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를 위하여 전국의 성인 남·여를 대상으로 편의표본추출(Convenience sampling)방법을 활용하여 온라인 설문을 실시하였다. 자료 분석은 빈도분석, t-test 분석, 분산분석, 상관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의 통계 방법을 활용하였으며, 분석결과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 유무가 생활만족도,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령은 참여자의 생활만족도와 삶의 질에서 연령이 높을수록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비참여자는 유의하지 않게 나타났다. 학력은 높을수록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고 비참여자는 유의하지 않았다. 직업은 참여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비참여자의 자아 존중감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가구구성원은 참여자에게 유의한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비참여자의 자아 존중감에만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소득은 직접적인 만족보다는 소득에 대한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이 더 크다고 할 수 있으며, 참여자의 자아 존중감, 삶의 질과 비참여자의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산림치유 프로그램 참여자들의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이 서로 유의한 영향력을 미치는 것을 확인하였다.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통하여 생활만족도에 영향을 미치기 위해서는 정신적 건강요인 중에서도 특히, 정신적 스트레스 해소에 중점을 두고 프로그램을 운영할 때 대상자의 생활만족도 향상에 효과적인 영향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연구는 산림환경의 다양한 치유요소를 포함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참여자가 신체적 건강과 정신적 건강 및 생활만족도, 자아 존중감, 삶의 질에 미치는 영향과 효과에 대해 규명하고 분석하였다. 이를 토대로 산림치유가 예방 차원의 효과가 있다는 것을 검증하는 자료로 활용되고, 최근 코로나19 사태를 겪고 있으면서 면역력의 중요성이 다시 강조되고 있는 시기에 숲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고 심신을 달래며 자발적으로 산림치유 프로그램에 참여할 수 있도록 동기를 유발할 수 있는 계기가 되고자 한다.

      • 경도 인지장애 노인을 위한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 및 효과성 검증

        노희주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3 국내석사

        RANK : 247599

        우리나라는 고령인구의 증가로 초고령 사회의 진입이 예상되는 상황에 놓여있으며, 치매 노인 증가는 고령인구 증가에 따른 가장 큰 문제로 대두되는 요인 중 하나이다. 이에 본 연구는 치매 노인 증가에 비약물적 요법을 활용한 해결책을 제시하기 위해 보완대체요법인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선행 문헌 고찰을 통해 운동요법과 행동활성화요법을 기반 설정하였다.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적절한 연구 대상지를 선정하고 효과성을 높일 수 있도록 세부 프로그램은 단계적 프로그램으로 행동활성화요법을 함께 적용하는 걷기 운동 기반 4회기의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매뉴얼에 대한 평가를 거쳐 적절한 프로그램으로 검증 받았다. 개발된 산림치유 프로그램의 효과성을 검증하기 위해 60세 이상 경도 인지장애 노인을 모집하였다. 대상자 선정 요건에 따라 52인이 모집되었으며 실험군 27인과 대조군 25인으로 분류하여 실험군은 4주간 프로그램을 적용하였다. 효과성 검증 도구는 한국판 간이 정신진단 검사(MMSE-K), 언어유창성(Verbal Fluency), 혈압, 심박수, 보행속도(Usual Gait Speed), 일어서서 걷기(Timed Up & Go)를 사용하였다. 효과성 검증 결과, 인지 기능의 한국판 간이 정신진단 검사는 유의하게 증가하였고 언어유창성의 하위 범주 중 음소유창성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증가했으나 범주유창성은 긍정적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생리 기능의 혈압 중 이완기 혈압은 유의하게 감소했으며, 수축기 혈압은 유의하지 않았지만 감소하였으나 심박수는 개선 효과를 보이지 않았다. 신체 기능은 보행속도와 일어서서 걷기 모두 개선되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또한 추적관리 인터뷰 결과, 운동 습관 형성과 신체 능력 향상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외에서 대두되고 있는 고령 노인 증가에 따른 가장 큰 문제점 중 하나인 치매 노인 증가를 예방하기 위하여 다양한 요법을 활용하여 산림치유 프로그램을 개발하였다. 경도 인지장애 노인 대상 효과성 분석을 위한 신뢰성 있는 지표를 선정하고 유의한 효과성을 도출했다는 데에 의의가 있다. 또한 신체 기능 저하와 심리적 우울감의 주요 개선 방법으로 여겨지는 운동 습관의 형성에 큰 도움을 주어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치매 예방을 위한 프로그램으로써 실효성을 입증하였다. 따라서 급격한 고령화가 진행되는 현 시대에서 경도 인지장애 노인의 인지 기능 향상을 위한 실효성 있는 산림치유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가 될 수 있을 것이며, 개발된 프로그램의 보급을 통해 노인 증가 문제를 해결하는 데 이바지하여 사회·경제적으로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Korea is facing the impending transition to an ultra-aged society due to the increase in the elderly population, with the rising number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being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s. In light of this, this study aimed to propose a non-pharmacological intervention for addressing the increase in dementia among the elderly population by developing a complementary and alternative therapy called forest therapy program. The program was designed based on exercise therapy and behavior activation therapy, which are effective in preventing the progression of dementia and enhancing cognitive functions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ho have a higher risk of developing dementia compared to cognitively normal older adults. To achieve the objectives, appropriate study site were selected, and a detailed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effectiveness. The developed program, consisting of four sessions based on walking exercises with the incorporation of behavior activation therapy, was validated as an appropriate program through assessments of its suitability for the target site and the program manual.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developed forest therapy program, participants aged 60 and above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ere recruited. Ultimately, 52 individuals were recruited, with 27 assigned 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25 to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received the program for four weeks. The effectiveness was assessed using the Korean version of the Mini-Mental State Examination (MMSE-K), Verbal Fluency, blood pressure, resting heart rate, Usual Gait Speed (UGS), and Timed Up & Go (TUG). The results of the effectiveness assessment revealed a significant increase in cognitive function as measured by the MMSE-K, and while there was no significant improvement in the sementic fluency, the sub category of verbal fluency, the phonemic fluency showed an increase. Regarding physiological functions, there was a significant decrease in diastolic blood pressure, a decrease in systolic blood pressure (although not significant), and no significant effect on resting heart rate. In terms of physical functions, both UGS and TUG improved, although not statistically significant. Furthermore, the results of the telemonitoring interviews confirmed the formation of exercise habits and improvements in physical abilities. This study holds significance in developing a forest therapy program that utilizes various interventions to prevent the increasing number of individuals with dementia, which is one of the most significant challenges posed by the growing elderly population both domestically and globally. It also contributes by selecting reliable indicators for evaluating the effectiveness among individuals with cognitive impairment and deriving significant outcomes. Moreover, it proves the efficacy of the program as an intervention for preventing dementia among older adults with mild cognitive impairment, which is considered a major method for improving the risk factors of dementia, such as declining physical functions and psychological depression. Therefore, in an era of rapid aging, this study can serve as foundational data for the development of an effective forest therapy program aimed at preventing dementia and enhancing cognitive functions among older adults, and through its widespread implementation, it is expected to contribute to resolving the issue of increasing dementia cases and make socio-economic contributions.

      • 자연친화적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

        이정숙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7599

        본 연구는 자연친화적인 숲 체험활동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파악하기 위하여 수행하였다. 특수아동이란 생후 8세 이전의 발달 과정에서 정상적인 발달이 이루어지지 않은 상태로 인해 발달 지연이나 발달 지체로 인해 독특한 발달 양상을 보이는 아동으로 장애인복지법 제2조에 의해 10종류의 대표적 장애로 구분되며, 지체장애, 뇌병변, 정신장애, 심장, 발달장애(자폐증), 신장, 시각, 청각, 언어, 정신지체장애 등으로 장애정도가 경증의 수준에 해당되는 다수의 아동들을 말한다. 특수아동을 대상으로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미치는 영향을 분석해보고자 기초조사 및 프로그램 개발, 사전검사, 프로그램 진행, 사후검사의 순서로 수행하여 기초자료를 확보하였다. 자연친화적인 숲 체험활동 프로그램(이하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이라 한다.)은 기초조사를 바탕으로 ADDIE 모델을 적용하여 개발·구성한 후 특수아동에게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의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올 수 있도록 개발하였다. 연구 대상 아동은 9개 초등학교 특수학급에 재학 중인 경제적, 사회적으로 가정환경이 비슷한 특수대상 아동 53명으로 선정하였고, 특수대상 아동들에게 적합하도록 개발한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을 적용하여 2020년 5월부터 11월까지 8회를 진행하였다.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 기초조사로는 특수대상 아동에 대한 특이성 조사와 특수전담교사들과의 사전 면담을 실시하였으며, 사전·사후검사로는 프로그램 만족도를 도출하기 위해 프로그램 매 회차 마다 표정스티커 검사를 진행하고 기록하였다. 그리고 특수아동의 행동변화를 특수전담교사와 연구자가 직접 관찰·기록하였고, 프로그램의 만족도와 사회성 발달 및 정서지능에 대한 영향과 변화도를 분석하였다.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대한 영향과 변화도를 분석하기 위하여 대응표본 t-검정을 실시한 결과,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 만족도는 프로그램 진행 사전·사후검사의 비교결과에서 전반적으로 모든 회차에서 향상된 만족도를 보였고, 체험적 요소가 많은 프로그램일수록 만족도가 높았다. 둘째, 사회성 발달은 사회성 발달을 구성하고 있는 네 가지 하위요인 즉 협동성, 타인 이해성, 자율성, 또래 간 상호작용 모두 긍정적인 영향을 주었다. 셋째, 정서지능은 신체 발달 5개 영역 중, 지적장애, 자폐성·정서행동장애 아동의 경우 의사소통 영역, 인지적 영역, 정서적 영역, 사회적 영역 등의 4개 영역에서 모두 긍정적인 향상을 보였으며, 뇌병변·발달지체장애 아동의 경우는 정서적 영역에서만 긍정적으로 변화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종합해보면 자연친화숲체험프로그램이 특수아동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대해 긍정적인 행동 변화가 관찰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이 같은 결과를 통해 숲 체험활동이 특수대상 아동들의 사회성 발달과 정서지능에 대해 기여했음을 알 수 있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to understand the impact of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on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re those who show delayed or abnormal development, which are classified by 10 major disabilities such as Physical and mental disorders, mental retardation, brain lesions, heart disorders, developmental disorders (autism), kidney disorders, sight disorders, hearing disorders, language disorders by Article 2 of the Act on Welfare of Persons with Disabilities. Basic data were secured by conducting basic surveys and program development, pre-examination, program progress, and post-examination to analyze the impact on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o bring positive influence of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o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was developed and constructed by applying the ADDIE model based on basic surveys. The study was focused on 53 elementary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who had similar economic and social home environments and were attending special classes in nine elementary schools Eight sessions were held from May to November 2020 by applying the nature-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developed to be suitable for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s a basic survey of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a specificity survey was conducted on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subject to special treatment and interview with special education teacher, and as a pre- and post-inspection survey, facial stickers were inspected and recorded every episode of the program. The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researchers directly observed and recorded changes in behavior of the subjects and analyzed the subjects’ program satisfaction level, social development, and affects and changes in emotional intelligence. A response sample t-test was conducted as a way to analyze the influence and change on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The following is the summary of this study’s findings: First, the forest experience program showed improved satisfaction level in all episodes as a result of the comparison between the pre- and post-inspection survey of the program, and the more experiential elements, the higher the satisfaction level. Second, the social development has a positive impact on all four sub_factors that make up social development, which are cooperation, understanding of the others, autonomy, and peer-to-peer interactions. Third, emotional intelligence showed positive improvement in all four areas of emotional intelligence, except for the physical areas of the children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autism, and emotional disorders.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program contributed to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and that the nature friendly forest experience activities contributed to the social development and emotional intelligence of the children with special needs.

      • 장애자녀돌봄에 대한 가족의 역할갈등 : (장애자녀 어머니의 증언을 중심으로)

        김정심 전남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599

        장애인이 있는 가족은 장애당사자뿐만 아니라 가족구성원 전체가 심리적, 정신적, 육체적 고통과 갈등을 경험할 수 있다. 장애자녀의 주 양육을 맡고 있는 어머니가 느끼는 고통과 갈등은 장애인 가족구성원 전체에게 영향을 끼치게 되고 결국 가정 해체까지 이를 수 있는 역기능적인 가족 문제를 유발할 수 있게 된다. 본 연구는 장애자녀의 돌봄에 있어 가족들의 고통과 역할갈등이 무엇인가? 라는 연구문제를 가지고 갈등해결을 위해 대처해가는 어머니의 역할과 가족구성원들의 변화를 살펴보았다. 부모들의 증언을 중심으로 심층면담을 통해 얻은 자료를 수집하여 스트라우스와 코빈(Strauss & Corbin)의 지속적 비교접근방법을 적용하여 범주화하는 방식을 택했다. 본 연구의 참여자는 중증 장애자녀를 돌보는 어머니12명과 아버지5명이다. 참여자들의 심층면담은 참여자의 사전 동의를 얻어 녹음하였으며, 녹음한 내용은 면담 직후에 자료를 필사하였다. 본 연구 결과 총99개의 개념이 도출되었고 개념들을 통합하여 21개의 하위범주를 도출하였다. 이러한 하위범주를 토대로 ‘양육부담의 갈등’, ‘가족구성원내 갈등’, ‘장애수용에 대한 갈등’, ‘사회적 편견’, ‘ 인식의 전환‘, ‘새로운 어머니 역할’의 6개의 범주로 분류하여 장애자녀로 인해 현실적으로 겪고 있는 가족들의 고통과 갈등의 내용을 분석하였다. 장애자녀를 양육하는데 있어 주 양육자 역할을 하는 어머니들은 비장애자녀를 양육하는 어머니들과 견주어 보았을 때, 어머니역할을 수행함에 있어 보다 복합적이고 다층적인 갈등구조에 놓여 있다. 특히 중증 장애자녀를 돌보는 어머니는 정신적, 육체적, 경제적으로 더 힘든 생활을 하고 있다. 자녀의 장애를 수용하고 장애자녀의 돌봄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지금까지의 ‘어머니 역할이 무엇인지’, ‘장애자녀는 나에게 어떤 의미인지’, ‘내 삶에서 중요한 가치는 무엇인지’, ‘다른 가족구성원들은 어떻게 대처해야 하는지’ 등에 대해 늘 갈등하고 새롭게 고민하는 시간을 갖게 되면서 어머니 자신의 변화는 물론 나머지 가족구성원들의 변화까지 경험하게 된다. 본 연구에서는 경제적 상황과 자녀의 장애를 인식하고 수용하는 어머니의 태도나 역할이 가족구성원들의 변화에 영향을 미치는 변수로 작용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즉, 장애자녀를 돌보는 어머니의 역할태도에 따라 가족의 기능이 제대로 작동하기도 하고 가정이 해체되기도 하는 경향을 볼 때 어머니들의 양육부담과 갈등을 줄여나갈 수 있는 전문적이고 체계적인 지원이 충분히 이루어져야 함을 알 수 있었다. 장애인 가족지원에 대한 제도적 흐름은 점차 가족에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로 이양되고 있는 추세이다. 즉, 사회서비스 바우처 제도를 시행하여 가족의 문제를 단순히 가족에게 부담시키기보다는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가 적극적으로 개입함으로써 가족의 해체와 위기를 예방하는 방안들이 마련되고 있다. 그러나 현재 지원되는 장애인 가족에 대한 지원서비스는 예방적 차원보다는 양육이나 돌봄 서비스를 지원함으로써 가족의 기능을 유지하는 수준에 머무르고 있다. 특히 장애인가족은 장애자녀의 발달상태, 장애유형, 생애주기에 따라 다양한 문제가 발생하고 장애인가족 자살, 가정해체 등이 사회적 문제가 되고 있는 상황이다. 장애인가족의 기능 강화를 위해서는 장애자녀의 주 양육자 역할을 맡고 있는 어머니를 중심으로 다른 가족구성원들이 갈등과 양육부담을 줄여나갈 수 있도록 제도적 지원이 필요하다. 따라서 사전에 가족 해체 및 위기를 예방하기 위한 국가 및 지방자치단체의 적극적인 개입이 이루어지는 방향으로 정책적․ 제도적 기조가 바뀔 필요가 있다.

      • 플랜트건설노동자 집단의 특성과 질병행동 연구 : 광양지역을 중심으로

        김용주 전남대학교 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7599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look at the causes and mechanisms associated with medical access constraints that can cause the comparative health inequity of plant construction workers through peer and social attitudes regarding disease. To this end, this study notes the illness behavior associated with the characteristics of the group and both their awareness and attitude about health and disease. Existing discussions on medical care accessibility have revolved around how socioeconomic resources, such as the cost and time for medical use and the level of education to accommodate medical knowledge, are prepared based on the concept of biomedical disease and depending on the existence of a specific disease. However, this is largely based on the medical profession’s view of its opinions and diagnoses being both accepted and taken for granted. This subsequently limits the practical approach that affects health care users’ medical choices. Accordingly, this study examined how workers perceive and respond to biological, physical illness in the social interactions and peer relationships of the group through an empirical study of plant construction workers known to suffer from medical access constraints. To this end, this study presents unique characteristics and behavior of the group towards illness in which plant construction workers belong in order to identify various social-level variables affecting medical use. Plant construction workers' beliefs and subjective experience with illness were also identified to see what it actually means to them. Through this, it was attempted to approach the issue of medical care accessibility by revealing the social meaning and perceptions of illness within the group.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Plant construction workers had different understandings and interpretations of symptoms and illnesses depending on the collective characteristics they had. A typical example is ‘Nogada Golbyung’ which is familiar at construction sites. In addition to the usual musculo-skeletal disorders, construction workers even label fatigue and pain in their bodies as ‘Nogada Golbyung’. Such ‘Nogada Golbyung’ is a case of symptoms but not recognized as an illness. Underlying this is the perception that it is an illness that everyone experiences while working at a construction site and thereby has to accept. In other words, because pain and ‘always being in pain’ is common at construction sites, musculo-skeletal symptoms associated with pain in the area of illness but rather in the sphere of health. Another example can be found in the treatment of ‘a sick person’ in a peculiar condition at a construction site. At plant construction sites, people tend to see workers who need help and protection from others because of sickness as being fragile or as being more “feminine”. They also tend to regarded as having lost control over their bodies. In addition, construction workers with physical conditions that are not suitable for construction work will eventually be forced to leave the site. Therefore, if they no longer have any other career options as they are involuntarily forced out of the general labor market, they should try to show their own “good” health by intentionally hiding the illness or refusing to recognize it as an illness. In other words, in order to keep their jobs as plant construction workers, they will be given a moral responsibility for the maintenance of physical health that is a necessary condition for such labor, and, moreover, unconsciously internalize that they ‘shouldn't be a sick person’ as both an obligation and a required discipline. The reason why illness is regarded in a different manner to social norms with plant construction workers is, above all, related with their realistic working conditions. They have to step up to keep more income and potentially seek reemployment under unstable employment conditions. In addition, the impact of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within the group, along with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they face, cannot be overlooked. The unique cultural characteristics acquired collectively in the specific working environment and working culture of the construction site also affect each member’s awareness and attitude toward health and illness. It can be extremely difficult to move beyond relationships with co-workers, their peer group, and act on personal interests and needs. This is because they prioritize the sense of collective unity ahead in unstable and adverse labor conditions. One’s reputation, especially of reliability, among peers and a team is of paramount importance. In particular, daily plant construction workers who only earn per day worked without the benefits of sick-leave feel that they should come to work under any circumstance, no matter how bad. The burden of this payment system weighs heavily on them so many work when they are clearly unfit to do so. This situation serves as a condition in which plant construction workers are unable to exercise their own control over decisions and actions on a daily basis. In particular, it is important to note the collective perception and practice of health, disease and medical care in the socioeconomic conditions that plant construction workers face and the socio-cultural environment they experience in relation to medical accessibility issues. Plant construction workers sometimes understand and accept their own symptoms and illness in their own position through social restructuring. The result is that even physical symptoms that need medical treatment from a medical perspective can be recognized within these groups as healthy symptoms, not as a condition of illness. Through this, they want to consistently prove that their bodies are suitable for the construction site. In other words, sick but still able. The above-mentioned awareness and attitudes about health and illnesse are the background of their passivity about medical use even though plant construction workers are diagnosed with diseases or experience physical abnormalities. Subject words : medical care accesibility, plant construction worker, illness behavior, Nogada Golbyung, social composition of disease 본 연구는 질병이 갖는 사회적 의미를 통해 플랜트건설노동자의 건강 불평등을 야기할 수 있는 의료접근성 제약과 관련한 원인과 기제를 살펴보는데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그들 집단의 특성과 관련되어 나타나는 질병행동 및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 주목하였다. 기존의 의료접근성 논의는 생의학적 질병 개념에 입각해서 질병 유무에 따라 의료 이용을 위한 비용과 시간, 의료 지식을 수용할 만한 학력 수준 등의 사회경제적 자원이 얼마나 준비되어 있는가를 중심으로 진행되어 왔다. 하지만 이는 의료 수용을 당연하게 바라보는 의료전문가적 관점에 대체적으로 기반하고 있기에 의료 이용자의 의료 선택에 영향을 미치는 실체적 접근에는 한계를 보이고 있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의료접근성 제약을 겪는 것으로 알려진 플랜트건설노동자 대상의 경험 연구를 통해 노동자들이 생물학적 실재인 신체적 질병을 집단 내 사회적 관계 속에서 어떻게 인식하고 대응하는지 살펴보았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플랜트건설노동자들의 의료 이용에 영향을 미치는 사회적 차원의 다양한 변수들을 확인하기 위해 그들이 속한 집단의 고유한 특성 및 질병행동을 파악하였다. 또한 플랜트건설노동자들의 질병에 대한 신념과 주관적 경험을 파악하여 실제적으로 질병이 그들에게 어떤 의미로 이해되고 해석되는지 확인해 보았다. 이를 통해 집단 안에서 질병이 어느 정도의 사회적 위치를 갖는지 드러내 봄으로써 의료접근성 문제에 다가서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플랜트건설노동자들은 그들이 가지는 집단적 특성에 따라 증상과 질병에 대한 이해와 해석을 달리하고 있었다. 대표적인 예로 건설 현장에서 익숙하게 받아들여지는 ‘노가다 골병’을 들 수 있다. 건설 현장에서 일상적으로 겪는 근골격계 이상 증상뿐만 아니라 몸의 피로와 아픔을 통틀어 건설노동자들은 ‘노가다 골병’이라 부른다. 이러한 ‘노가다 골병’은 증상은 있되 질병으로 인정받지 못하는 경우라 할 수 있다. 이러한 인식 저변에는 건설 현장에서 일하는 동안 누구나 겪는 병이며 어쩔 수 없이 받아들여야만 하는 병이라는 인식이 깔려있다. 즉, 통증이 일상화되고 ‘늘 아픈 것’이 자연스러운 건설 현장에서 통증과 관련된 일반적인 근골격계 증상은 질병 영역이 아닌 건강 영역에 속한다고 볼 수 있는 것이다. 또 하나의 사례로 건설 현장이라는 특수성 속에서 나타나는 ‘아픈 사람’을 대하는 시선의 문제를 들 수 있다. 플랜트건설 현장에선 아파서 다른 사람의 도움과 보호가 필요한 것이 여성처럼 연약한 것으로, 또한 자신의 몸에 대한 통제의 상실로 간주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건설 작업에 적합하지 않은 신체 상태를 가진 건설노동자는 결국 현장에서 퇴출당할 수밖에 없다. 그러기에 일반노동시장에서 밀려 비자발적으로 유입된 플랜트건설노동자로서 더 이상의 직업적 선택지가 없는 경우 이들은 의도적으로 질병을 감추거나 질병으로 인정하기를 거부함으로써 스스로 건강함을 나타내 보여야 한다. 즉, 플랜트건설노동자로서 본업을 계속 유지하기 위해서 이들은 노동의 필요조건이 되는 신체적 건강에 대해 도덕적 책임감을 부여 받게 되며, 더 나아가 ‘아픈 사람이 되어서는 안 된다는 것’을 의무와 규율로서 무의식적으로 스스로 내면화하는 것이다. 이렇듯 플랜트건설노동자 집단에서 질병이 통상적인 사회적 위치를 점하지 못하는 이유는 무엇보다 불안한 고용 조건에서 더 많은 수입 보전과 재취업을 위해 나서야만 하는 노동자의 현실적 조건이 자리하고 있다. 그리고 그들이 처한 사회경제적 조건과 함께 집단 내 사회문화적 환경이 끼치는 영향 또한 간과할 수 없다. 건설 현장이 갖는 특수한 노동 환경과 작업 문화 속에서 집단적으로 채득된 고유한 문화적 특성들은 각 구성원들의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인식과 태도에도 영향을 미치게 된다. 불안정한 노동과정과 팀별 협업에 의해 진행되는 현장 작업, 집단적 일체감을 앞세우고 인맥과 평판을 몹시 중요하게 생각하는 그들만의 관계를 벗어나 개인의 이해와 요구에 따라 행동을 취하기란 몹시 어려울 수밖에 없는 것이다. 특히, 작업 일수만큼 수입을 올릴 수 있는 일용직 플랜트건설노동자 입장에서는 아프거나 다른 사정이 있더라도 ‘일이 있으면’가능한 현장에 나와서 일을 해야 한다는 생각이 크다. 고용계약이 느슨해 본인의 결정에 의해 언제든지 현장 일을 쉴 수가 있음에도 현장을 고집하는 플랜트건설노동자에게는 하루 일당의 무게가 몹시 크다고 볼 수 있다. 이러한 조건들은 플랜트건설노동자들이 일상 영역에서 의사 결정 및 행동과 관련된 스스로의 통제 역량을 발휘하기 힘든 조건으로 작용하고 있다. 특히 의료접근성 문제와 관련해서 플랜트건설노동자들이 처한 사회경제적 조건과 그들이 경험하는 사회문화적 환경 속에서 건강과 질병 및 의료와 관련한 집단적 인식과 실천은 어떠한지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플랜트건설노동자들은 때때로 자신들이 경험하는 질병에 대한 사회적 재구성을 통해 본인들의 처지와 입장에서 증상과 질병을 이해하고 수용한다. 그 결과 의료적 관점에서 치료의 대상으로 여겨지는 신체적 증상이더라도 이들 집단 안에서는 질병 상태가 아닌 건강 상태로 인식할 수 있다. 자신의 몸이 건설 현장에 적합한 상태라는 것을 꾸준히 증명하기 위해 “아프기는 하지만 환자는 아닌”상태로 있을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플랜트건설노동자들이 질병을 진단받거나 신체적 이상 증상을 경험하면서도 의료 이용에 소극적인 배경에는 이러한 건강과 질병에 대한 인식과 태도가 깊게 자리하고 있다. 주제어 : 의료접근성, 플랜트건설노동자, 질병행동, 노가다 골병, 질병의 사회적 구성

      • Impacts of Thinning Intensity on the Biomass of Coniferous Plantations in South Korea

        Bui Minh Hieu 강원대학교 대학원 2024 국내석사

        RANK : 247599

        Thinning is important in forest management, it can impact the stability of the ecosystem. However, there is not much data on how it affects biomass and carbon stock. This study analyzed the effect of thinning intensity on biomass in plantation forests of coniferous species (Pinus densiflora, Pinus koraiensis, Larix kaempferi) located in Gangwon province and the North of Gyeongsang province in South Korea. These three coniferous tree species dominate large forest areas. Study data were collected from 75 different sites. To conduct experiments to evaluate the impact of thinning intensity, each study site were divided into 3 different plot including heavily thinned plot, lightly thinned plot, and control plot based on the basal area removed, corresponding respectively to 40%, 20%, and 0%. The inventory was conducted for 9 years and was repeated 4 times at 3-year intervals. According to the analysis results, thinning intensity had a strong influence on the biomass stocks of individual trees. As the thinning intensity increased, the biomass of individual trees was found to increase (heavy > light > control), but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opposite direction, for stand biomass, thinning intensity indicates a negative impact. As the thinning intensity increased, the total stand biomass decreased (heavy < light < control). As mentioned, the total standing biomass was greatest in the control plot. However, the amount of biomass in the lightly thinned and heavily thinned plots tended to be distributed in trees with larger DBH classes than the control plot. Thinning also has an effect on the growth of stand biomass. In the control plot, stand biomass increased the greatest but the growth rate was the smallest (heavy > light > control). Carbon stock was also largest in control plots, while it was smallest in heavy thinning plots. This study is evaluated to be useful with basic information for forest management to mitigate climate change in these coniferous plantation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