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Mitochondrial DNA aberrations in patients with aplastic anemia

        Gim, Jong-pil Chonnam National Univ. 2005 국내박사

        RANK : 232975

        This study was undertaken primarily to test the hypothesis that mitochondrial DNA (mtDNA) mutations may be associated with aplastic anemia (AA). Non-isotopic RNase cleavage assay as a screening method was performed in 16 patient’s peripheral bloods (PBs). And complete mtDNA nucleotide sequence was analyzed in 6 and 8 bone marrow (BM) specimens from the patients with AA and control subjects respectively. 27 mutations (mean = 4.5) were found which comprised 25 substitutions and 2 deletions at the protein genes for NADH dehydrogenase (n = 10), cytochrome c oxidase (n = 6), cytochrome b (n = 5), non-coding region (n = 2), ATPase 6 (n = 2), 12S rRNA (n = 1) and tRNA (n = 1). The 13 mutations (48.1%) harbored amino acid changes. The number of affected mtDNA genes in patients with AA (mean = 17.8) was higher than those of controls (mean = 12.8). There was no predominant mutation (hot spot) of mtDNA genes among the patients with AA. For checking the heteroplasmy, buccal mucosa and PB were tested additionally. Eleven mutations from two patients (1 and 2) showed heteroplasmy, but the rest of mutations from three patients (3, 4 and 6) were homoplasmy. These findings might be explained by representing the major population of mtDNA or by clonally expanded mtDNA point mutations. Although there was not predominant mutation (hot spot) of mtDNA genes among the patients with AA, each patient had several mutations that would result in a significant change in the gene products. These mtDNA mutations in AA may be associated with pathophysiology of AA. 약물, 방사선 및 화학약품 등은 재생불량성빈혈(aplastic anemia; AA)을 일으키는 중요한 원인이다. 한편 이들은 미토콘드리아 DNA (mtDNA)의 유전변이를 일으키는 대표적인 인자로 도 알려져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mtDNA 유전변이와 재생불량성빈혈의 병태생리와의 연관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먼저 16 명의 AA 환자 말초혈액 검체를 이용하여 non-isotopic RNase cleavage 분석법을 이용하여 AA와 mtDNA 유전변이와의 관련성으로 선별하였다. 다음으로 AA환자 골수 검체 6 예와 8 명의 건강인에서 채취한 골수 검체를 대상으로 전체 mtDNA 염기서열을 분석하였다. 환자군에서 2 개의 유전결손을 포함한 총 27 개의 mtDNA 유전변이가 검출되었다. 이들 mtDNA 유전변이의 분포는 NADH dehydrogenase (n = 10), cytochrome c oxidase (n = 6), cytochrome b (n = 5), non-coding region (n = 2), ATPase 6 (n = 2), tRNA (n = 1) 및 12S rRNA (n = 1)였다. 이중 13 개의 유전변이는 아미노산변이를 동반하였다. 환자군에서 ‘hot spot’ mtDNA 유전변이는 관찰되지 않았지만, 유전변이의 수 (평균 17.8)는 정상인 (평균 12.8)에 비해 높게 관찰되었다. 환자군에서만 관찰된 mtDNA 유전변이의 heteroplasmy 유무를 확인을 위하여 추가로 환자의 구강상피세포 및 말초혈액에서 mtDNA 유전변이를 검사하였다. 2 명의 환자(1 및 2)에서 검출된 11 개의 mtDNA 유전변이는 heteroplasmy 소견을 보였다. 3 명의 환자(3, 4 및 6)에서 관찰된 mtDNA 유전변이는 homoplasmy였다. 이상의 결과는 mtDNA 유전변이와 AA 의 병태생리와의 직접적인 연관성을 시사하였다.

      • Search for neutron-antineutron oscillation in super-Kamiokande

        장지승 Chonnam National Univ. 2007 국내박사

        RANK : 232975

        A search for Neutron-Antineutron Oscillation, a process of |delta B|=2 predicted by L-R symmetric gauge theories, was undertaken using the 24.5×10^33 neutron-yr exposure of the Super-Kamiokande I, incorporating most major sources of experimental uncertainties. Observing 20 candidates and 21.6 background events with 10.4% signal detection efficiency, the lower limit on oscillation time for neutrons bound in 16O has been determined to be 3.20x10^32 yr at the 90% CL without inclusion of the effect of systematic uncertainties. This limit is better than the previous best limit of 7.2x10^31 yr in Soudan 2 by factor of about 4.5. Taking 15.2% uncertainty in efficiency and 32.1% uncertainty in background rate into account, the lower limit for neutrons bound in 16O was estimated to be 1.78x10^32 yr at the 90% CL and the corresponding limit for free neutrons was calculated to be 1.25x10^8 s using a theoretical suppression factor of 3.6x10^23 s^(-1).

      • Characterization of yliH gene in Salmonella enterica serovar typhimurium

        박경화 Chonnam National Univ. 2007 국내박사

        RANK : 232975

        Salmonella typhimurium 14028s의 DNA microarray에서 yliH 유전자가 대수발육기에 비하여 생장정지기에 25배 이상 많이 발현되는 것을 관찰하였다. 최근 발표된 논문에 따르면 Escherchia coli에서는 yliH 유전자가 biofilm형성을 조절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그러나 Salmonella typhimurium에서 yliH 유전자의 특성은 아직 규명되지 않았다. 먼저 S. enterica serovar typhimurium와 E. coli에서 yliH 유전자의 상동성을 조사하였고 76% 일치함을 발견하였다. 저자는 S. typhimurium에서 yliH 유전자의 역할을 알아보고 분자생물학적 특성을 규명하고자 하였다. 유전자 lacZ가 yliH 유전자의 promoter 부위하단에 연계된 (yliHp-lacZ) 리포터 플라스미드를 함유하는 S. typhimurium을 제조하고 b-galactosidase 활성을 이용하여 yliH의 발현양상을 조사하였다. yliH 유전자 발현은 생장정지기 sigma factor인 rpoS 의 영향은 받지 않고 긴축반응시 증가하는 ppGpp에 의해 조절되어짐을 관찰하였다. 유전자 yliH의 기능을 밝히기 위해 gene disruption technique을 이용하여 yliH 유전자가 기능을 하지 못하는 돌연변이 균을 제작하였으며 이 균주는 야생형과 성장 속도는 비슷함을 관찰하였으나 변이균의 운동성은 야생형에 비해 저하됨을 관찰하였고 장내 부착능도 감소됨을 관찰하였다. 야생형과 변이균의 생물막 형성은 미미하여 yliH 유전자가 생물막형성에 미치는 영향은 불확실하였다. Salmonella Typhimurium remains the most frequently isolated in human salmonellosis and can cause a systemic, typhoid-like disease in mice. Complete genome sequence of S. typhimurium has been determined. YliH is uncharacterized protein in Salmonella , which was found to be induced at the stationary phase of growth as determined by DNA microarray analysis. We further analyzed regulation of yliH expression and the phenotype of the mutant defective in yliH gene. The yliH gene is composed of 381 base-pair nucleotide. The overall amino acid sequence revealed 76.38% amino acid identity and 88.98% similarity with E. coli yliH. To examine the regulation of yliH expression at the molecular level, we constructed yliHp-lacZ fusion in plasmid and analyzed its activity in various mutant backgrounds. yliH was found to be induced ~25-fold at the entry of stationary phase in wild type (WT) Salmonella. This induction of yliH expression was not dependent on the stationary phase sigma factor σ38,but dependent on stringent signal molecule, ppGpp and its putative mediator, dksA. It was interpreted to mean that stationary phase gene induction may require reduction of stable RNA gene expression by ppGpp, which should allow RNA polymerase to be engaged in the transcription of stationary phase inducible genes. Alternatively, stationary phase gene induction may be achieved directly by the conserted action of ppGpp, DksA, and other component. To examine the role of the yliH gene in S. typhimurium, we constructed yliH mutant strain in S. typhimurium 14028s background and evaluated the growth rate, motility, adhesion, invasion, lethality, and biofilm formation. yliH mutant was 60% less lethal than WT as determined using BalB/c mice. yliH mutant showed decrease in motility and adherence to intestinal mucosa in comparison with WT Salmonella. However, invasion into HEp-2 cell of hepatic origin was indifferent between WT and the mutant. Neither WT nor yliH mutant formed a detectable biofilm.

      • Anticancer activity of PEGylated matrix metalloproteinase cleavable peptide-conjugated adriamycin against brain tumor cell

        임승호 Chonnam National Univ. 2007 국내박사

        RANK : 232975

        Although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s) play a crucial role in the invasion and growth of malignant gliomas, their increased activity in tumor environment can be used as a specific target for chemotherapy. The author investigated whether polymer-drug conjugates formed via MMP-cleavable peptide linkages could provide MMP-responsive tumor targeting and cytotoxicity for malignant glioma cells. One end of an MMP-cleavable peptide was attached to the end of methoxy polyethylene glycol (MPEG) while the other end was attached to adriamycin (ADR). The release of drugs in the presence of conditioned media of U87MG cells was investigated. The cytotoxicities of the MMP-cleavable MPEG-peptide-ADR (PPA) conjugates and non cleavable MPEG-ADR (PA) conjugates were investigated using U87MG cells. The 1H nuclear magnetic resonance (NMR) spectra confirmed the conjugation of the two ends of the peptide to the ends of MPEG and ADR, respectively. Gelatin zymography showed that MMP-2 was strongly expressed in the media of U87MG cells. The PA conjugate did not release ADR either in the phosphate buffered saline (PBS) or conditioned media of U87MG cells. The PPA conjugate released ADR in the presence of the conditioned media of U87MG cells, but not in PBS only. In the cytotoxicity test using U87MG cells, ADR and PPA conjugate showed similar antiproliferative activities, while the cytotoxicity of PA conjugate was lower than that of ADR. Considering that the cytotoxicity of the PPA conjugate was similar to that of ADR, MMP-cleavable polymer-drug conjugates can be used as targeting carriers for the purpose of inhibiting the proliferation of malignant glioma cells. 뇌종양은 주로 암세포의 국부침윤에 의한 종양의 확산이 치사율을 높이는 주요인으로 알려져 있다. Matrix metalloproteinases (MMP)-2 와 9는 암세포의 침윤과 전이 성장에 결정적인 역할을 하는 효소 중 하나로 알려져 있다. 그러므로 침윤을 억제할 수 있는 항암제의 개발이 뇌종양의 치료에 중요하다. MMP-분해성 펩타이드 연결을 이용한 고분자약물의 개발은 항암제의 MMP 반응성 암표적화가 가능하므로 뇌종양의 침윤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을 것이다. MMP 반응성 고분자 약물을 합성하기 위해 MMP-분해성 펩타이드(Pro-Val-Gly-Leu-Ile-Gly)를 MPEG에 공유결합시키고 항암제인 아드리아마이신을 펩타이드에 공유결합시켰다. MMP 비반응성 고분자약물을 만들기 위해 MPEG에 아드리아마이신을 공유결합시켰다. U87MG 세포로부터 추출한 MMP를 첨가하여 약물 방출 실험을 하였다. 또한, MMP 반응성 MPEG-peptide-ADR 공유결합체 (PPA) 와 MMP 비반응성 MPEG-ADR 공유결합체 (PA)의 세포 독성을 각각 U87MG 세포에 대하여 비교하였다. 1H NMR 스펙트라를 통하여 펩타이드가 MPEG의 말단에 공유결합 되었으며 아드리아마이신이 펩타이드의 말단에 합성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젤라틴 자이모그라피 결과 U87MG 세포의 배지에서 MMP-2가 가장 강하게 발현되었으며 다른 세포에서는 약하거나 거의 발현되지 않았으며 세포 자체에서는 거의 발현되지 않았다. 약물방출실험에서 MMP 비반응성 PA는 인산완충용액과 U87MG 세포의 배지, 모두에서 아드리아마이신이 방출되지 않았다. MMP 반응성 PPA는 U87MG세포의 배지를 첨가한 경우 아드리아마이신이 공유결합체로부터 분해되어서 방출되었으나 인산완충용액을 첨가한 경우에는 아드리아마이신을 방출하지 않았다. U87MG세포를 이용한 독성 비교실험에서 MMP 분해성 PPA는 ADR과 비슷한 세포독성을 보였으나 MMP 비반응성 PA는 ADR보다 세포독성이 약함을 알 수 있었다. 결론적으로 PPA는 암세포의 MMP-2의 분비에 반응성을 가지고 있으므로 암세포에 표적성 약물전달체로써 가능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으며 특히 뇌종양세포의 침윤을 억제하는데 효과가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 Comparative study of angiostatic and anti-invasive genes expression in gastric cancer

        Roh, Jung Ho Chonnam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2001 국내박사

        RANK : 232975

        암이 발생하여 일정한 크기에 이르게 되면 주위의 간질조직에 침윤이 일어 나게 되고, 지속적인 성장을 위해서는 혈관신생이 필요하게 된다. 따라서, 암의 침윤과 혈관 신생은 암의 원격전이와 밀접한 관계가 있으며, 이러한 혈관 신생과 침윤에 관여하는 유전자는 암의 진행과 전이에 있어서 매우 중요한 역할을 한다. 본 연구에서는 위암에서 이러한 혈관신생 억제 유전자 및 항침윤 혹은 전이 억제 유전자의 발현 양상과 전이 등과의 관계를 규명하고자 하였다. 32예의 위암 환자에서 원발암 조직, 인접한 정상 점막, 전이된 림프절, 정상 림프절 및 원격전이 병소를 얻어서 RT-PCR 검사로 여러 가지 혈관신생 관련 유전자인 AGP2, TSP2와 BAI1의 발현을 분석하였고, 침윤관련 유전자인 MMP-2와 이의 조직내 억제 유전자인 TIMP-2 및 전이 억제 유전자인 nm23 과 E-cadherin의 발현 양상을 비교하였다. 전이의 억제 유전자인 nm23과 세포 유착인자로서 전이에 억제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는 E-cadherin은 정상 점막에 비해서 위암조직에서 그 발현정도가 높았다. 혈관신생 관련 유전자인 AGP2와 TSP2는 인접한 점막에 비해서 위암조직에서 발현이 증가되어 있었고, 최근 뇌조직에서 혈관신생을 억제하는 유전자로 새로이 발견된 BAI1은 위암조직과 림프절의 전이 병소에서 정상 점막과 정상 림프절에 비해서 발현의 정도가 낮았다. 그러나, 간장이나 복막으로 전이가 진행되고 예후가 불량한 환자의 위암조직에서는 BAI1의 발현이 인접 점막에 비해서 증가 되어 있었다. 침윤과 관계가 있는 MMP-2와 침윤과 전이의 억제재로 알려져 있는 TIMP-2는 위암조직에서 인접 점막에 비해 발현정도가 높았으나, 예후가 좋았던 환자군에서는 이러한 발현 증가 양상이 다소 둔화되어 있었다. 위암에 대한 혈관신생 억제 유전자와 침윤관련 유전자 연구의 결과, 위암 수술 후 생존율이 양호한 환자군에서는 정상 점막과 전이가 없는 림프절에서 BAI1 과 TIMP-2의 발현 증가가 관찰되었으나, 위암 조직내 TSP2, TIMP-2, nm23과 E-cadherin의 발현 증가와 위암 수술 후 환자 예후와는 관련성이 없었다. 본 실험 성적은 위암 주위의 정상 점막내 BAI1와 TIMP-2의 발현 정도가 위암 수술 후 예후나 생존율을 예측 할 수 있는 인자로 사용 될 수 있음을 시사한다. Genes involving angiogenesis and metastasis play an important role in the progression and infiltration of cancer. I examined the expressions of various angiostatic and potential invasion/metastasis suppressor genes through RT-PCR analyses in 32 gastric cancer specimens with or without distant metastasis. The expressions of the invasion/metastasis suppressor, nm23 and E-cadherin increased much more in the cancer tissue (CT) and metastatic lymph node (MLN) than the extraneoplastic mucosa (EM) and non-metastatic lymph node (NLN), respectively. The expressions of the angiostatic factor, angiopoietin 2 and thrombospondin 2 increased in the CT and MLN as compared with the EM and NLN, respectively. The newly cloned angiostatic factor, brain-specific angiogenesis inhibitor 1 (BAI1) decreased much more in the CT and MLN than the EM and NLN, respectively. However, BAI1 increased in the CT compared with the EM among the patients with poor prognosis and distant metastasis, such as liver or peritoneum. The expressions of the invasive factor, matrix metalloproteinase-2 and its suppressor, tissue inhibitor metalloproteinase-2 (TIMP-2) increased in the CT as compared with the EM, but increased expression pattern of these genes in the CT ecame blunted among the patients with good prognosis. My results indicated that BAI1 and TIMP-2 expressions in the EM and NLN were not suppressed in the patients with good prognosis, but the increased expressions of angiopoietin 2, thrombospondin 2, TIMP-2, nm23 and E-cadherin in the tumor tissue did not lead to the long survival after operation. It suggests that the extent of BAI1 and TIMP-2 expression in the gastric mucosa may be an important prognostic factor for predicting survival in gastric cancer.

      • c-Fos expression in the brain after noxious intrapulpal stimulation of the rat upper and lower incisors

        Park, Hee Ju Chonnam National Univ. Graduate School 2001 국내석사

        RANK : 232975

        c-fos는 신경의 흥분성이 증가되면 신경 세포체에 c-Fos 단백질이 발현된다. c-Fos 단백질은 다른 형태의 oncogene인 jun 유전자에서 발현된 Jun 단백질과 결합하여 이중 결합체를 형성하며 이것은 다시 핵으로 이동하여 DNA의 activator protein one site(AP-1)에 결합한다. 이러한 결합은 핵에서 다른 유전자 전사를 조절하여 다양한 세포기능을 조절하기 때문에 c-Fos 단백질은 일명 전사인자 (transcription factor) 또는 제 3의 전사인자라 불리운다. 이러한 이유로 현재 신경 활동성의 지표로 c-Fos 단백질이 사용되고 있으며 중추신경계에서 신호 전달 경로를 추적하는데 중요한 방법으로 쓰고 있다. 본 연구는 첫째 치수 동통의 중추성 경로를 밝히고 둘째 치수동통이 심혈관계 중추등 다른 뇌영역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자 흰쥐 상하악 중절치를 절단하여 치수를 노출시키고 치수에 2M KCl의 유해한 자극을 준 후 뇌에서 c-Fos 발현 양상을 관찰하였다. c-Fos 단백질이 발현된 신경은 뇌간 삼차신경 척수 감각핵중 미측소핵과 극간소핵이 이행되는 지점에서 다량 관찰되었고 시상의 복후내측핵과 중심측방핵에서 관찰되었다. 또한 c-Fos는 사지 및 뇌와 연수를 연결하는 올리브핵과 의식 조절에 관여하는 연수 중간 망상체에서 발현되었다. 유해한 치수 자극은 전신 혈압 및 심박동수를 증가시켰다. c-Fos는 심혈관계를 조절하는 부위들인 시상하부의 supraoptic nucleus (SON)과 paraventricular nucleus (PVN), 고속핵, 문측 복외측 연수에서 발현되었다. 이상의 실험결과는 치수동통신호가 삼차신경을 통해 뇌간의 삼차신경 척수 미측소핵에 전달되고 2차 구심성 신경이 시상의 복후내측핵과 중심 측방핵에서 투사됨을 시사하였다. 또한 치수동통은 시상하부의 SON, PVN, 고속핵 및 복수외측 연수를 통해 심혈관계 반사를 일으킬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Expression of c-fos, an immediate early gene, has accepted to be a marker of functional activity in neurons. This study was aimed to investigate the tooth pulpal pain pathway and the affection of dental pain on other brain regions such as the cardiovascular regulaion center using c-Fos immunohistochemistry. c-fos expression in Sprague Dawley rats weighing 300-350 g was examined 1.5 hour after intrapulpal noxious stimulation elicited by intrapulpal injection of 2M KCI into upper and lower incisor pulps exposed by bone cutter. c-Fos positive neurons were demonstrated in the trigeminal subnucleus caudalis (Vc) and the transitional region between subnucleus caudalis and subnucleus interpolaris (Vi). c-Fos positive neurons were also observed in thalamic ventral posteromedial nucleus (VPM) and centrolateral nucleus (CL), inferior olivary nucleus and intermediate reticular formation. The intrapulpal noxious stimulation enhanced arterial blood pressure and heart rate. In addition, c-Fos positive neurons were observed in hypothalamic supraoptic nucleus (SON) and paraventricular nucleus (PVN), nucleus tractus solitarius (NTS) and rostral ventrolateral medulla (RVLM), central cardiovascular regulation centers. These results suggest that 1) the tooth pulpal pain impulses elicited by intrapulpal noxious stimulation enter in the Vc and Vc/Vi transitional region and 2nd afferent neurons synapse in thalamic VPM and CL, 2) tooth pulpal pain elicited cardiovascular reflex mediated by hypothalamic SON and PVN, NTS and RVLM.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