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우수등재

        헤겔의 건축론과 고딕 건축

        서정혁(Jeong-Hyok Seo) 한국철학회 2018 철학 Vol.0 No.137

        헤겔에 의하면 상징적 예술형식이 건축의 근본전형이지만, 건축은 그 내부에서 다시 상징적 건축, 고전적 건축, 낭만적 건축으로 구분된다. 이 점에서 낭만적 건축을 대표하는 고딕 건축이 어떤 예술형식에 속하는지가 문제될 수 있다. 헤겔은 괴테의 건축론을 수용하면서 고딕 건축이 중세에만 한정되지 않고 그 당대의 건축까지 포괄한다고 생각한다. 고딕 건축이 보여주는 특징은 대립하는 요소들의 공존을 공간적으로 구현함으로써, 인간 정신의 내면성을 강화하면서 유한성을 뛰어 넘을 수 있게 한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고딕 건축은 살아있는 인간의 다양한 일상이 발생하는 장소이기도 한데, 이를 표현하기 위해 헤겔은 ‘노마드’라는 개념을 사용하기도 한다. 이러한 점들을 고려하면 고딕건축은 낭만적 예술로 간주되어야 적절할 뿐만 아니라 ‘세상의 축소판’으로 해석될 수도 있다. 이처럼 고딕 건축에 관한 헤겔의 논의는 근대 소설이나 후기 네덜란드 장르화에 관한 그의 논의에 버금갈 정도로 근대적 삶에 대한 예술비평으로 간주될 수 있으므로, 헤겔의 건축론은 다른 예술론에 비해 과소 평가되어서는 안 된다. According to Hegel, the symbolic art form is the fundamental type of architecture and architecture is again internally divided into symbolic, classical, and romantic architecture. In this respect, it can be a question which art form Gothic architecture belongs to. Hegel accepts Goethe’s theory of architecture and thinks that Gothic architecture encompasses contemporary architecture. The characteristic of Gothic architecture is that by embodying the coexistence of conflicting elements spatially, it strengthens the inwardness of the human mind and enables it to overcome its finitude. Furthermore, Gothic architecture is a place where a variety of human lives arise and Hegel uses the concept of ‘Nomad’ to express this. Therefore, Gothic architecture should be regarded as romantic art and interpreted as a miniature of the world. Hegel’s theory of architecture should not be underestimated because Hegel’s discussion of romantic architecture can be regarded as an artistic theory comparable to his discussion of modern novels and Dutch genre paintings.

      • KCI등재

        호네트의 헤겔 해석

        서정혁(Jeong-Hyok Seo) 한국인문사회과학회 2018 현상과 인식 Vol.42 No.4

        호네트는 「비규정성의 고통」에서 헤겔의 「법철학」을 상호 인정의 맥락에서 재해석함으로써 그것을 되살려내려고 한다. 이 시도에서 호네트는 헤겔의 「법철학」에서 추상법과 도덕성의 강조로 인해 유발되는 병리적 현상에 대한 치유로 시민사회와 국가 부분의 내용은 적절하지 않다고 보고, 오히려 가족에 등장하는 사랑과 우정 개념이 시의성을 지닐 수 있는 측면에 주목한다. 그런데, 과연 이러한 호네트의 헤겔 해석이 타당한가에 관해 문제를 제기할 수 있다. 형식면에서 볼 때, 「법철학」에서 헤겔 자신이 작성했다고 단정할 수 없는 보론의 내용을 의도적으로 강조하면서, 호네트는 「법철학」과 「논리학」과의 연관성을 배제하고 「법철학」의 구조 논리와 서술 방법을 전혀 고려치 않은 채, ‘일상적으로 친숙한 표현들(병리적 현상, 치유, 고통)’을 활용해 「법철학」을 재구성한다. 또한, 내용 면에서 호네트는 대칭적인 인정 이론을 기반으로 「법철학」을 일관되게 재해석하려고 하기 때문에, 비대칭적 관계가 두드러져 보이는 국가와 같은 인륜에 대해서는 시의성을 부여하지 않고, 오히려 우정과 같은 비제도화된 느낌의 직접적 관계를 부각하려고 한다. 그러나 이러한 호네트의 헤겔 해석은 애초부터 호네트 자신의 관점에서 이루어진 것이기 때문에, 헤겔 자신의 의도에도 부합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의 헤겔 되살려내기는 얻은 것보다 잃은 것이 많다는 비판에 직면할 수 있다. In his Suffering from Indeterminacy Honneth attempts to reactualize Hegel’s Philosophy of Law by reinterpreting it in the context of mutual recognition. In this attempt Honneth argues that the contents of civil society and the state are not appropriate to heal pathologies caused by the emphasis of abstract law and morality in Hegel’s Philosophy of Law. Rather, he focuses on the actual aspect of friendship and love in the family. However, there is a question about whether Honneth’s interpretation of Hegel is valid. From a formal point of view, intentionally emphasizing contents of additional sentence (Zusatz), which is not written by Hegel himself, Honneth excludes the relation between Philosophy of Law and Science of Logic. Then he tries to reconstruct the Philosophy of Law through ‘everyday familiar expressions (pathologies, healing, pain).’ In addition, since Honneth intends to reinterpret Philosophy of Law consistently based on a symmetrical recognition theory, He will not give actual meaning to the state where asymmetric relations are prominent, but emphasize the non-institutionalized relationship of feeling like friendship. However, since Honneth’s interpretation of Hegel is originally from Honneth’s own point of view, his interpretation is not only not appropriate for Hegel’s own intentions, but also has to face criticism that his reactulization is more loss than gain.

      • KCI등재

        1부 헤겔논문 : 헤겔의 회화론의 현대적 의미

        서정혁 ( Jeong Hyok Seo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5

        회화에 관한 헤겔의 논의는 지금까지 후기 네덜란드 장르화에 관한 헤겔의 선구적 해석만이 부각되었을 뿐 헤겔 미학의 연구사 내에서 충분히 평가되거나 검토되지 못했다. 회화의 장르적 특징과 17세기에 이르는 회화의 발전 양상에서 다음과 같은 두 가지 측면에서 헤겔의 회화론이 지니는 현대적 의미를 논할 수 있다. 첫째, 회화의 내용적 소재의 다양화와 미적 범주의 다양화라는 면이다. 낭만적 예술형식에 속하는 회화의 발전과정은 내면적인 주관성의 심화를 보여주며, 주관성이 심화됨으로써 회화의 소재는 어떤 것이든 상관없다는 관점에까지 다다른다. 헤겔은 이의 대표적 사례로 일상적 대상들을 회화의 소재로 삼은 후기 네덜란드 장르화를 제시한다. 회화에서 소재의 다양화는 기존의 위계 질서의 전복과 더불어 아름다운 이념상만을 추구하던 기존의 미적 범주의 부정과 다양화를 반영한다. 둘째, 색채와 정신의 내면에 대한 강조를 통한 주관과 객관 사이의 새로운 관계 정립이라는 면이다. 헤겔은 회화에서 원근법이나 소묘보다 채색이 본질적이며 가장 중요하다라고 주장하면서 이 채색을 정신의 빛과 연관시킨다. 회화에서 표현되는 빛은 외부에서 대상을 비추는 자연의 빛이 아니라 채색하는 화가의 정신성의 반영이다. 그래서 헤겔은 채색을 ‘색 가상의 마법’으로, 화가를 ‘마술사’로 표현한다. 채색을 통한 대상의 표현에서 예술가의 독창성과 객관적 사태는 상호 영향을 미치는 새로운 관계를 맺는다. 이것은 주관과 객관 중 어느 쪽에 치우치지 않는 새로운 관계 정립이라는 현대성의 일면을 보여주며, 이 맥락에서 ‘창작-작품-감상’이라는 선형적인 관계는 상호 작용의 관계로 전환된다. 여기서 헤겔은 예술이 타율적인 기준을 수용하지 않고 동시대성을 중시하면서 현재를 살아가는 삶의 모습을 생동적으로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하며, 이에 대한 사례를 후기 네덜란드 장르화에만 한정되지 않고 좀더 다양한 작품들로 확대한다. 이러한 맥락에서 우리는 헤겔의 회화론이 지닌 현대적 의미를 파악할 수 있다. Until now only Hegel`s pioneer interpretation of 17c Dutch genre painting has stood out so far, but more various other sides in his discussions about painting were not enough examined in Lectures on Aesthetics. With reference to genre features and development of painting up to 17c contemporary meaning of G. W, F. Hegel`s theory of painting can be discovered in two aspects like this; The first is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 and aesthetic category. The developing progress of painting which belongs to romantic art form reveals the deepening of internal subjectivity, and by this deepening it reaches a standpoint which sees that contents of painting have nothing to do with anything. Hegel sees 17c Dutch genre paintings as such an important example. The diversification of content and aesthetic category reflects the overthrow of a previous hierarchy. The second is to establish a new relationship of subjective and objective by emphasizing the coloring and the inner of spirit. Arguing that the coloring is more important than perspective and drawing Hegel relates the coloring with the light of spirit. The light in painting is not natural light which shines external object but reflection of painter`s spirit. And so the coloring is regarded as the magic of color-shining and the painter is regarded as a magician. The originality of artist and the objective state of thing have a new relationship which has a mutual influence on each other in expressions of object by the coloring. This shows an aspect of modernity as a new relationship between subject and object. In this context ‘creating-work-appreciating’ turns into the relationship of interaction. Hegel argues that the art should not accept a heteronomous standard but value the contemporaneity and reflect the reality of life lively. The case for this is not limited to 17c Dutch genre painting and is extended to a variety of more works. In this respect we can understand contemporary meaning of Hegel`s theory of painting.

      • KCI우수등재

        취미의 이율배반의 헤겔적 변용

        서정혁(Jeong-Hyok Seo) 한국철학회 2017 철학 Vol.0 No.130

        취미의 이율배반을 헤겔적으로 변용함으로써 칸트 미학이 현대 예술과 관련하여 지닐 수 있는 의미를 검토해 보면 다음과 같은 결론을 얻을 수 있다. 첫째, 창작을 하는 주체인 ‘천재’를 통해 현시되는 ‘미감적 이념’이 ‘취미판단’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요구되는 ‘미감적 이념’과 다르지 않으며, 칸트 미학에서 미감적 이념을 매개로 창작과 감상의 활동은 상호 공속적인 관계를 맺을 수 있다. 둘째, ‘어떤 것이 예술인가’ 여부를 판정할 때 발생하는 ‘예술의 이율배반’에서 논쟁의 가능성의 조건으로 필요한 것은 ‘예술계’이며, 이 점에서 칸트의 미감적 이념과 단토의 예술계는 유사한 맥락에서 이해 가능하다. 셋째, 선험성을 지니는 미감적 이념은 실질적으로 논쟁을 수행하는 주체들이 처한 역사적 조건하에서 현실화된다. 이러한 고찰을 통해 칸트의 미학이 적용 가능한 의미 영역이 확장될 수 있다. By transfiguring taste’s antinomy into the Hegelian, the following conclusions can be drawn by examining the meaning that Kant’s aesthetics can have in relation to contemporary art. First, the aesthetic idea that emerges through genius as the subject of creation is not different from it as a condition of the possibility of taste judgment. Thus, in Kant’s aesthetics, the activity of creation and appreciation can establish a mutual relationship through an aesthetic idea. Second, it is the ‘artworld’ that is necessary for the possibility of controversy in the ‘antinomy of art’ that arises when judging ‘what is art’. In this respect, Kant’s aesthetic idea and Danto’s artworld can be understood in a similar context. Third, the non-empirical aesthetic idea is actualized under the historical conditions of subjects who are practically engaged in controversy. Through this review, we can extend the semantic domain applicable to Kant’s aesthetics.

      • KCI등재

        셰익스피어의 극시에 대한 헤겔의 해석

        서정혁(Jeong Hyok Seo) 철학연구회 2013 哲學硏究 Vol.0 No.101

        In his Aesthetics Hegel regards Shakespeare as the greatest playwright. This praise is grounded on the following reasons: First of all, Hegel appreciates that Shakespeare created consistent and firm characters in his dramatic poems. According to Hegel, whereas the main subject of ancient dramas is the conflict between ethical pathos like family and state in Antigone, the character which is identified with the modern is the most distinctive trait in modern dramas. Hegel thinks that the character is well expressed in Shakespeare``s dramatic poems through independence of characters and actors as complete individual (ganzes Individuum). Furthermore, Hegel appreciates that Shakespeare wrote dramatic poems through technique of similitude (Gleichnis) in order that characters reflect themselves and become more distant from themselves. Hegel wants to regard it as the most typical feature of modern subject that characters think and behave like creative playwrights. Presenting ``external feature of text`` and ``internal feature of text``, Hegel claims that Shakespeare``s dramatic poems is the best and greatest. But it is another matter how valid his interpretation is from the perspective of literary criticism. For example, Macbeth could be understood as a premodern work, and Hamlet could be interpreted from a postmodern view. But separating from the validity of Hegel``s interpretation, we can understand more clearly than before what Hegel``s philosophical standpoint which grounds literary criticism is, by reaffirming feature of the modern which Hegel understands in discussion on literature.

      • KCI우수등재

        헤겔의 미학에서 ‘소설론’의 가능성

        서정혁(Jeong-Hyok Seo) 한국철학회 2015 철학 Vol.0 No.122

        헤겔의 ‘미학 강의’에서 ‘소설’에 관련된 내용들을 루카치의 『소설의 이론』과 비교 검토하면 다음과 같은 결과가 도출된다. 첫째, 헤겔은 16세기부터 헤겔 당대까지 다양한 작품들을 ‘소설’이라고 부르고 있고, 소설의 규정과 범위는 ‘호토판 미학’ 이전으로 거슬러 올라갈수록 더욱더 불투명해진다. 이 점에서 헤겔은 처음부터 ‘소설’이라는 용어를 확정된 개념으로 사용하지 않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둘째, 헤겔의 ‘미학 강의’에서 ‘근대의 시민적 서사시’라는 핵심규정을 면밀히 검토해 보면, 소설은 독립적인 문학 장르도 아니며 ‘근대의 전형적인 예술 장르’로 규정되기도 힘들다. 이 점은 루카치가 애초에 헤겔적인 틀로 소설에 관한 ‘유형론’을 창출하려는 의도로 『소설의 이론』을 집필한 것과는 대비된다. 셋째, 헤겔은 ‘미학 강의’에서 그의 당대를 지시하는 맥락에서 ‘근대’라는 용어를 사용하면서 ‘근대 소설’의 특징을 강조한다. 루카치는 헤겔이 ‘현실’은 문제가 없고 ‘예술’만이 문제적이라고 보았다고 주장하지만, 이러한 루카치의 비판은 근대적 현실에 대한 헤겔의 비판적 논의 뿐만 아니라 예술과 철학의 새로운 관계 정립 면에서 볼 때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정되어야 한다. When many parts that make reference to novel(Roman) in Hegel’s Aesthetics are analyzed and examined thoroughly in relation to Lukacs’s The Theory of Novel, then the result can be followed like this; First, Hegel regarded a wide variety of literary works from 16c to his contemporary age as novels. Moreover, the meaning and scope of ‘novel’ becomes futher unclear as it retraces before ‘Aesthetics ed. by Hotho’. For this reason, we can understand that Hegel did not use the word ‘novel(Roman)’ as a firm concept in the first place. Second, when the most important expression ‘modern bourgeois epic(moderne burgerliche Epopoe)’ is examined thoroughly in Hegel’s Aesthetics, the novel is not an independent literary genre and typical genre of modern art. This is not a same case like Lukacs’s The Theory of Novel, which has been written in order to produce a typology about novels. Third, Hegel used the word ‘modern’ in a variety of contexts. Especially, using this term in the context of his contemporary times in his Aesthetics, Hegel emphasized the feature of modern novels. Lukacs claimed that Hegel didn’t regard the realities but the art as problematic. But his claim has to be corrected, because it isn’t suitable for Hegel’s criticism of the modern realities and his new ideas of the relation between art and philosophy.

      • KCI우수등재

        ‘절대 정신’으로서 예술 -헤겔 『철학백과』의 556절부터 563절까지 분석을 중심으로-

        서정혁(Jeong-Hyok Seo) 한국철학회 2020 철학 Vol.- No.145

        헤겔의 『철학백과』는 세 번(1817년, 1827년, 1830년)에 걸쳐 발간되었다. ‘초판과 재판 사이의 시간적 간격’이 ‘재판과 삼판 사이의 그것’보다 크기 때문에, 지금까지 연구자들은 주로 후자보다 전자에 주목하여 비교 분석을 진행해 왔다. 이 점은 『철학백과』에서 ‘절대 정신’의 첫 번째 계기인 ‘예술’의 경우도 마찬가지다. 그러나, 『철학백과』의 ‘예술’ 부분의 내용을 검토해 보면, 27년 재판과 30년 삼판 사이의 변화에서 예술에 대한 헤겔의 주장과 관련해 매우 중요한 결정적 차이를 발견할 수 있다. 그 주요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상징, 고전, 낭만이라는 세 가지 예술형식들은 30년 삼판에서야 비로소 명시적으로 서술된다. 이점은 헤겔이 자신의 ‘미학 강의’의 관점을 『철학백과』의 30년 삼판에서 절대 정신인 예술을 서술하는데 분명하게 반영하고 있다는 사실을 보여준다. 이를 통해 헤겔은 그의 체계에서 예술의 위상을 좀 더 확장하고 구체화 한다. 둘째, 27년 재판에서와 달리 30년 삼판에서 예술은 더이상 고전적 예술중심으로 서술되지 않는다. 헤겔은 27년 재판에서와 달리 30년 삼판에서 낭만적 예술과의 비교를 의식하면서 고전적 예술의 의미와 한계를 좀 더 분명히 서술한다. 이러한 서술을 통해 헤겔은 자신의 철학 체계에서 예술이 차지하는 위상을 지속적으로 고민하고 수정했다는 사실이 드러난다. Hegel’s Encyclopedia was published three times(1817, 1827, 1830). Since the ‘time gap between the first edition and the second edition’ is greater than the ‘it between the second edition and the third edition’, researchers have so far conducted comparative analyses focusing primarily on the former rather than the latter. The same applies to ‘art’, which is the first moment of the ‘absolute spirit’ in Encyclopedia. However, looking at the contents of the ‘art’ section in Encyclopedia, one can find very important decisive differences in relation to Hegel’s claim to art in the changes between the second edition and the third edition. The main content is as follows. First, the three art forms of symbolic, classic and romantic are explicitly described only in the third edition, not in the second edition. This shows that Hegel clearly considers his standpoint of ‘Aesthetic Lectures’ in describing art as the absolute spirit in the third edition of Encyclopedia. Through this, Hegel further expands and embodies the status of art in his system, which is related to the second aspect. Second, Hegel no longer focuses on classical art in the third edition. Unlike in the second edition, Hegel describes the meaning and limitations of classical art more clearly, conscious of its comparison with romantic art. What is revealed by the above discussion is that Hegel was constantly concerned about the actuality of art in his philosophical system.

      • KCI등재

        개별 논문 : 비판적 읽기와 논술 교육

        서정혁 ( Jeong Hyok Seo ) 한국독서학회 2008 독서연구 Vol.0 No.20

        현행 논술 시험에서는 쓰기 못지않게 읽기가 중요한 요소이다. 특히 주어진 문제와 제시문을 비판적으로 읽고 이해하는 과정은 매우 중요하다. 그런데, 논술 교육과 관련해서는 비판적 사고의 의미를 제한하고 비판적 읽기의 방법을 좀더 단순화할 필요가 있다. 이 글은 논술 교육에 적합한 비판적 읽기가 무엇인지를 보여주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이를 위해 비판적 사고의 요소를 툴민 모형으로 환원하여 논술 교육에 좀더 효과적인 비판적 읽기의 방법을 적절한 예시를 통해 제시한다. Reading is as important as writing in current examination of essay writing(argumentative writing). Above all it is very important to read and understand given questions and texts critically. By the way the meaning of ``critical thinking`` should be more restricted and the manner of ``critical thinking`` should be more simple than now in relation to the education of essay writing. It is more adequate that 9 elements of ``critical thinking`` are reduced to the Toulmin`s model of argumentation. This article suggests this point by a concrete illustration.

      • KCI등재

        1부 헤겔 논문 : 헤겔의 천재론

        서정혁 ( Seo Jeong Hyok ) 한국헤겔학회 2015 헤겔연구 Vol.0 No.37

        헤겔의 미학에서 천재에 관한 논의는 영감과 독창성과 관련해 다음과 같은 특징을 지닌다. 첫째, 헤겔은 천재에 관한 논의를 통해 그의 체계에서 예술을 제한적으로 위치 지우려 했을 뿐만 아니라, 참된 예술작품을 산출하기 위해 필요한 것으로 천재성 뿐만아니라 내ㆍ외적 세계에 대한 학습을 통해 획득되는 지적인 측면도 강조하고 있다. 이점에서 예술을 철학보다 더 고차적인 것으로 간주하거나, 규칙이나 학습, 사상의 도야 보다 해체와 부정의 주체로서 ‘천재’를 절대적으로 강조한 천재 시대 및 낭만주의의 여타 사상가들과 헤겔은 구분된다. 둘째, 헤겔은 영감이나 독창성과 관련해서 예술가의 자의적인 주관성이 아니라 주관성과 객관성의 일치를 강조하며 참된 예술가는 객관적 사태, 사태의 실체성을 제대로 표현해야 한다고 주장한다. 이로 인해 헤겔의 천재론은‘신들림/신에 사로잡힘(enthusiasmos)’을 뜻하는 고전적인 영감론과 유사한 것이 아닌가라는 질문도 가능하다. 그러나, 헤겔의 입장은 자기의식적 주체의 능동적인 학습을 더 불어 중요시한다는 점에서 고전적인 영감론과 차이난다. 이 점은 헤겔이 취미보다 감식력을 중시하면서 지적인 측면을 강조하는 것에서도 드러난다. 특히 헤겔은 역사적 맥락 이나 기술적 측면, 다른 많은 외적인 상황들에 관여하는 감식력의 필요성을 강조하는데, 이는 현대 예술에서 예술가의 창작이 지적인 측면을 토대로 하는 감상과 무관치 않다는 점과 연관하여 중요한 의미를 지닌다. 결국 창작과 감상이 특정한 예술적 맥락을 반영하면서 상호성의 관계를 맺을 수밖에 없다는 점을 헤겔의 천재론은 일정 부분 선취하고 있으므로, 이 점에서 헤겔의 천재론은 현대적 관점에서 재해석될 여지가 충분하다고 판단된다. The theory of genius in Hegel`s Aesthetics has in relation to ‘inspiration(enthusiasm)’, ‘originality’ these features; First, Hegel not only gave art a limited location in his system by theory of genius, but also emphasized learning about inner - and external world with genius in order to produce true works of art. At this point, Hegel’s position is distinct from thinkers in the Genius Times(Strum und Drang) and Romanticism who gave art higher location than philosophy and had to focus on genius as subject of destruction and negation than following rules, polishing thought. Second, discussing ‘inspiration(enthusiasm)’ and ‘originality’, Hegel emphasized unity of subjective and objective more than arbitrary subjectivity of artists. And he claimed that true artists should express the objective situation and substance well. For this reason, it seems to be possible to claim that Hegel’s theory of genius is similar to the ancient theory of inspiration(enthusiasm). But Hegel’s theory of genius is different from the ancient, because he regarded active studying of self-conscious subject as very important element. This is also evident in such a respect that Hegel emphasized discernment more than taste. Hegel emphasized the neccessity of discernment that is involved in historical context, technical aspects and many other external circumstances. Hegel’s claim has very important meaning in connection with such a point that artist’s creation is not independent with appreciation based on intellectual side in the contemporary art. Eventually because Hegel’s theory of genius preoccupied the fact that creation and appreciation reflect a particular artistic context and there is an interactive relation between both, his theory has enough room to be reinterpreted in the contemporary point of view.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