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칸트 미학과 인식의 문제

        박배형 ( Park Bai Hyoung ) 한국미학회 2018 美學 Vol.84 No.3

        칸트 미학의 주된 특징 중 하나는 그가 미에 대한 판단, 즉 취미판단을 인식판단과 엄밀히 구분함으로써, 미는 대상에 대한 객관적 인식과는 무관하게 그 자체로 독자적인 것임을 밝힌 점이다. “취미의 자율성”을 표방하는 칸트 미학의 이러한 기본적 특징에만 주목한다면, 우리는 취미판단이 인식의 요소 또는 인식적 가치와는 아무런 관계가 없는 것이라는 인상을 받을 수 있다. 그러나 실제로 우리는 칸트 미학 내에서 이런 인상에 상반되는 주장들과 부딪치게 된다. 예컨대 취미판단은 인식 내지는 인식활동과 전적으로 무관한 것이 아니라 인식과의 연관성에 기초하여 설명되고 있다. 게다가 이러한 연관성은 취미판단의 보편성과 필연성이라는 그의 주장을 정당화하기 위해 필수적인 조건이 되고 있다. 이처럼 칸트 미학이 실제로는 인식과의 깊은 연관성을 지니고 있기에 칸트가 말하는 취미판단 및 미와 예술의 경험이 사실상 인식의 성격을 갖고 있다는 해석들도 개진되어 왔다. 필자는 이런 식의 인식 지향적 해석은 칸트의 미학적 주장들을 일관적이지 않게 보이도록 만들 뿐 아니라 칸트 미학의 근본 성격을 훼손할 것이라고 우려한다. 이 논문에서 필자는 미적 자율성으로 특징지어지는 칸트 미학의 근본 성격을 훼손하지 않으면서도 위에서 언급한 인식 지향적 해석들의 문제의식을 십분 고려하는 나름의 해석을 제시하고자 한다. 칸트는 취미판단 자체가 인식을 산출하지는 않는다고 주장하지만 이러한 판단과 함께 이루어지는 미와 예술의 경험에서 동시에 인식의 경험 또는 인식적 가치를 지니는 경험이 동반될 가능성을 배제하지 않는다. 오히려 그의 미학은 이러한 인식 연관성을 포함하고 있으며, 이러한 연관성은 다음과 같은 칸트 미학의 몇 가지 핵심적 개념들에서 잘 드러난다. 필자는 2장에서 “인식능력들의 조화”라는 개념을, 3장에서는 “종속미”의 개념을, 4장에서는 “미감적 이념”이라는 개념을 서술하고 논의할 것이다. 이러한 서술과 논의를 통해 필자는 칸트 미학이 얼마나 인식과 긴밀히 연관되어 있는지를 또 어떤 방식으로 연관되어 있는지를 드러낼 것이며, 5장에서는 앞의 논의를 요약하면서, 자율성 미학으로서의 칸트 미학은 이렇듯 긴밀한 인식 연관성을 포함하면서 성립하고 있다는 결론을 제시할 것이다. One of the main features of Kant's aesthetics is his claim that judgments of taste are distinguished from cognitive judgments and beauty is independent from the objective cognition of an object. If we focus only on this feature, we can have the impression that a judgment of taste has nothing to do with elements of cognition or cognitive values. However, we encounter passages and claims in his aesthetics which are opposite to that impression. For example, his aesthetics shows that a judgment of taste is not entirely unrelated to cognition or cognitive activities, but is explained through relations to cognition. Furthermore, these relations are a necessary condition for justification of universality and necessity of a judgment of taste. In this paper, I will present an interpretation that doesn't damage his so-called aesthetics of autonomy and at the same time reveals correlations between his aesthetics and cognition. Kant maintains that a judgment of taste doesn't bring about or aim at cognition, but he doesn't exclude the possibility that experiences of cognition or of cognitive values are involved in experience of beauty and art. His aesthetics entails relations to cognition and they show themselves in such central concepts as “harmony of the cognitive faculties", "adherent beauty", and "aesthetic ideas". In the following chapters, I will explicate and discuss the three concepts in order so as to make clear how closely and in what way Kant's aesthetics is related to cognition. In conclusion, I will claim that Kant's aesthetics remain aesthetics of autonomy although it includes relations to cognition in various ways.

      • KCI등재

        헤겔의 실천철학에서 국가의 목적에 관하여 -시민사회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박배형 ( Bai Hyoung Park ) 한국헤겔학회 2014 헤겔연구 Vol.0 No.36

        헤겔의 국가론은 그의 실천철학의 요체를 이루는 것이자 그의 객관정신철학의 종착점이라고 할 수 있다. 그렇기에 헤겔의 국가론에 대한 올바른 이해는 그의 실천철학이 갖는 현대적 의의를 짚어보고 평가하는 데에 반드시 요청되는 과제일 것이다. 그의 국가론의 한 핵심적인 측면은 그가 시민사회(burgerliche Gesellschaft)와 국가(Staat)를 목적과 관련하여 원리적으로 상이한 것으로 분리시켜 취급한다는 데에 있다. 헤겔 국가론의 모든 요소들이 옹호되어야 하는 것은 아니지만 적어도 목적의 관점에서 본다면, 헤겔이 행한 시민사회와 국가의 구분은 원리적으로 타당하며, 목적의 추구와 실현의 측면에서 보아 정치공동체로서의 국가가 시민사회보다 우월한 지위를 갖는다는 헤겔의 주장은 설득력 있는 주장이라고 할 수 있다. 그의 이러한 주장이 함축하고 있는 내용은 오늘날의 우리에게도 시사해 주는 바가 많은데, 이것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로 정리해 볼 수 있다. 첫째, 헤겔은 오늘날 국가권력의 행사나 제도의 시행이 지향해야 할 바를 뚜렷이 제시하였는데, 이것은 다름 아니라 그가 말하는 보편적 관심사이다. 둘째, 헤겔은 시민사회가 가질 수밖에 없는 내적인 모순과 문제점들을 명시하고 이것들을 해결하기 위해서는 결국 국가 차원의 개입과 노력이 요청된다는 것을 설득력 있게 제시하였다. 셋째, 국가의 목적으로서의 보편적 관심사에 대한 헤겔의 주장은 우리가 공적 서비스라고 부르는 교육, 의료, 또는 교통과 같은 부문의 과제들이 왜 국가의 책임 하에 이루어져야 하는지를 우리에게 명확히 알려주고 있다. Hegels Staatstheorie macht den Kern seiner praktischen Philosophie aus und ist als der Endpunkt seiner Philosophie des objektiven Geistes zu betrachten. Deswegen ist ein besseres Verstandnis dieser Theorie notig, um die aktuelle Bedeutung seiner Philosophie des objektiven Geistes zu erklaren und einzuschatzen. Eine besonders wichtige Seite dieser Theorie besteht darin, dass er die burgerliche Gesellschaft und den Staat als prinzipiell verschieden betrachtet und als voneinander getrennt behandelt. Diese Unterscheidung ist im Prinzip zu rechtfertigen und Hegels Behauptung, dass der Staat einen hoheren Status gegenuber der burgerlichen Gesellschaft besitzen muss, ist uberzeugend, obwohl nicht alle Elemente seiner Staatstheorie zu verteidigen sind. Was seine Behautung impliziert, ist im folgenden aufzufuhren. Erstens, Hegel zeigt, was der Staat zum Zweck bei der Ausubung seiner Macht und der Verwaltung der Institutionen haben muss. Dies ist nach ihm das allgemeine Interesse. Zweitens, er stellt die Widerspruche und Probleme in der burgerlichen Gesellschaft klar dar und erklart, dass, um sie zu losen, die Intervention und das Bestreben des Staats erforderlich sind. Drittens, seine Behauptung uber den Zweck des Staates macht explizit, warum der Staat offentliche Leistungen wie Bildung, medizinische Angelegenheiten usw. leiten und dafur verantwortlich sein muss.

      • KCI등재

        세계시민주의에 대한 헤겔의 입장과 타자성 ― 칸트의 세계시민주의와의 연관성을 중심으로 ―

        박배형 ( Park Bai Hyoung ) 한국헤겔학회 2016 헤겔연구 Vol.0 No.40

        헤겔은 일반적으로 민족국가(nation-state)의 틀을 벗어나지 못한 사상가로서 그리고 세계시민주의와 이것의 정치적 실현을 위한 국제적 연맹체 설립에 비판적이고 회의적인 사상가로 알려져 있다. 또한 동시에 헤겔은 흔히 세계시민주의나 국제관계에 관한 이론의 면에서 칸트와는 대척점에서 있는 인물로 묘사되곤 한다. 그러나 필자는 이 논문에서 모든 인간이 기본적으로 인간으로서 동일한 권리를 가지고 그 구성원으로 참여하는 세계 공동체에 대한 지향을 헤겔이 지니고 있었으며, 또 그런 점에서 그는 결코 세계시민주의에 반하지 않을 뿐 아니라, 오히려 냉엄한 국제정치적 현실에서 세계시민주의의 이상을 실현하는 데 있어 중요한 통찰을 제공한 사상가로 재정립되어야 함을 주장하고자 한다. 같은 맥락에서 이 논문은 헤겔이 특히 칸트의 세계시민주의를 전적으로 반대하고 있지도 않다는 것을, 그리고 지구상의 많은 국가와 민족들의 문화적 차이와 타자성에 대해 칸트에 비해 더 많은 고려를 함으로써, 칸트의 입장을 보완하고 세계시민주의의 실질적 구현에 기여할 수 있는 이론을 제시하고 있음을 밝히고자 한다. Hegel`s Philosophy is often regarded as antagonistic towards cosmopolitan thought and as opposite to Kant`s cosmopolitan conception of a peaceful world order. In this paper, I will account for the possibility of a cosmopolitan reading of Hegel`s philosophy and claim that Hegel offers us a subtle and differentiated view of cosmopolitanism despite of his critique of Kant`s cosmopolitanism. Furthermore I show Hegel gives an understanding of a cosmopolitanism that takes global differences and diversity into account and contains realist-nationalist concerns. First, I reconstruct and investigate Hegel`s critique of Kant`s cosmopolitanism in order to gain a clear view of Hegel`s position on cosmopolitanism and to present how Hegel integrates the difference and particularity of diverse peoples and cultures into his position. Secondly, I argue for the possibility of a cosmopolitan reading of Hegel`s philosophy by analyzing and interpreting his thoughts concerning cosmopolitan principles. Finally, I conclude by showing that his position provides us with reasonable and useful insights for realizing the cosmopolitan ideals in the globalized world.

      • KCI등재

        칸트 미학에서 미감적 이념의 문제

        박배형 ( Bai Hyoung Park ) 한국미학회 2015 美學 Vol.81 No.3

        이 논문에서 필자는 미감적 이념이라는 칸트 미학의 한 문제적 개념으로부터 출발하여 이 이념의 의미에 대해 상술하고 나서, 이이념이 지니는 두 가지 문제점들을 해결할 수 있는 길을 제시하고자 시도한다. 이 문제점들 중 하나는 미감적 이념을 도입하는 것의 정당화와 관련된 것이며, 다른 하나는 형식주의로 알려진 그의 미학적 입장과 미감적 이념의 도입이 낳을 수 있는 표현주의적 성격 양자가 상충할 수 있다는 문제점이다. 첫 번째 문제점에 대해 필자는 칸트의 선행하는 비판서들에서가 아니라 『판단력비판』에서 처음으로 도입된 미감적 이념이라는 특이한 개념이 무엇을 뜻하며 왜 이념이라는 이름으로 불릴 수 있는가를 칸트의 서술을 통해 설명할 것이고 이 이념이 그의 미학에서 얼마나 중요한 의미를 지니는지를 서술하게 될 것이다. 두 번째 문제점과 관련하여 필자는 우선 미감적 이념의 도입과 이를 통해 미를 규정하는 칸트의 언급이 그의 미학적 입장을 표현주의적으로 보이게 하고 이러한 측면이 그의 미학이 갖는 형식주의적인 성격과 상충할 수 있다는 점, 그리고 이로 인하여 칸트의 주장의 일관성이 손상될 수 있다는 점을 지적할 것이다. 그러나 필자는 칸트의 형식주의를 드러내는 『판단력비판』의 서술들에 대한 고찰과 해석을 통해, 그가 언급하는 아름다운 대상의 형식적 요소와 주관적 형식적 합목적성, 이와 결부되어 있는 우리 마음의 능력들(상상력과 오성)의 특수한 활동상태, 그리고 미감적 이념 모두를 고려하면서도 그의 미학적 형식주의가 침해받지 않는 설명방식을 제시할 것이다. 이러한 설명방식이 타당한 한에서, 미감적 이념은 칸트의 형식주의적 입장에 반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러한 입장을 구성하는 한 핵심적인 요소로 간주되어야 할 것이다. In dieser Untersuchung beginne ich mit einem problematischen Begriff der Kantischen asthetik "asthetische Idee", erklare die Bedeutung des Begriffs und mache einen Versuch, einen Weg zu zeigen, zwei Probleme zu losen, die dieser Begriff mit sich bringt. Das eine Problem bezieht sich darauf, es zu rechtfertigen, dass Kant die asthetische Idee als eine neue Art von den Ideen in seine dritte Kritik einfuhrt. Das andere ist dies, dass Kants asthetische Position, die als formalistisch bekannt ist, mit dem expressionistischen Aspekt, den seine Einfuhrung der asthetischen Idee herbeifuhren kann, nicht vereinbar zu sein scheint. Fur das erste Problem vesuche ich dadurch eine Losung zu finden, dass ich erklare, was die asthetische Idee ist und welche grosse Bedeutung sie in Kants Aesthetik hat. In bezug auf das zweite Problem zeige ich zuerst, dass Kans Einfuhrung der asthetischen Idee und seine Bestimmungen derselben seine asthetische Position expressionistisch erscheinen lassen, dies mit dem formalistischen Charakter seiner asthetik nicht kompatibel sein kann und damit seine zentralen asthetischen Behauptungen inkonsequent zu sein scheint. Dann betrachte und erlautere ich Kants Behauptungen, die sich auf seinen Formalismus beziehen, seinen Begriff der subjektiven formalen Zweckmaßigkeit und seine Konzeption der speziellen Operation der Erkenntniskrafte in der astehtischen Erfahrung. Dabei stelle ich eine Interpretation an, die klar macht, dass Kants asthetischer Formalismus trotz seiner Einfuhrung der asthetischen Idee erhalten bleibt und mit derselben vereinbar ist. Insofen meienr Interpretationsversuch gelten kann, soll die asthetische Idee nicht als inkompatibel mit seiner formalistischen Position, sondern vielmehr als ein Element dieser Position angesehen werden.

      • KCI등재

        단토의 헤겔주의와 헤겔 미학의 현대성

        박배형(Park Bai Hyoung) 현대미술학회 2010 현대미술학 논문집 Vol.14 No.-

        In this paper, I attempt to explain the characteristic features of Danto' Hegelianism and to show the contemporary significance of Hegel's aesthetics. There is no doubt that Danto is an important living figure in art theory and art criticism and Hegel is famous for his contributions to the philosophy of art and the history of art. It is well-known that, developing his theory of art, Danto presents his thesis of 'the End of Art' which Hegel also claimed nearly two centuries ago. It is also well-known that Danto's theory of art is partly founded on Hegel' s theory of art. In section II and III, I delineate Hegel's concept of art and Danto's idea of art, and compare Hegel' version of the thesis of 'the End of Art' with Danto's. And then I show in what respect Danto's theory of art depends on Hegel's thoughts. In section IV, I explain the consequences of Danto's theory of art which include 'pluralism' in contemporary art, and clarify to what extent they correspond to Hegel‘s theory of art. In conclusion, I maintain that Hegel's aesthetics has an actual significance as long as Danto's theory of art provides us with an important insight into the contemporary art world.

      • KCI등재
      • KCI등재

        1부 특집: 헤겔과 종교 : 직관에서 표상으로: 헤겔의 정신철학에서 예술로부터 종교로의 이행 문제

        박배형 ( Bai Hyoung Park ) 한국헤겔학회 2013 헤겔연구 Vol.0 No.34

        헤겔 철학에서 예술, 종교, 철학은 하나의 동일한 영역, 즉 절대정신의 영역을 이루는 세 계기들이다. 헤겔은 예술로부터 종교로의, 종교로부터 철학으로의 이행을 주장하는데, 특히 전자의 이행에 있어 해석상의 여러 난점들이 존재한다. 이런 난점들은 우선 헤겔이 예술과 종교에 부여하는 특별한 성격과 관련되어 있다. 즉 예술과 종교가 모두 절대정신의 영역을 이루고, 근본적으로 동일한 내용을 지니면서 그 형식에 있어서만 차이가 있다는, 다시 말해서 예술은 직관의 형식을, 종교는 표상의 형식을 갖는다는 헤겔의 입장과 관련되어 있다. 또 이 난점들은 그의 철학적 완숙기의 노작 『철학 대계』나 그의 『미학강의』에 서술된 이행과 그의 다른 저작들, 특히 『정신현상학』에서 서술된 이행이 서로 간에 일치하지 않는다는 사실과도 관련되어 있다. 이러한 난점들이 난점들로서 계속 남아 있게 된다면, 헤겔은 일관적이지 못한 이론을 제시했다는 혐의에서 벗어날 수 없을 것이고, 이러한 의심은 헤겔의 체계 자체에 대한 의심으로 이어질 수밖에 없다. 필자는 이와 같은 난점들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이행에 관한 헤겔의 주장들이 일관성을 잃지 않고 있음을 보여줄 수 있는 해석이 가능하다는 입장의 표명과 함께, 이러한 해석을 제시하였다. 그것은 헤겔이 예술로부터 종교로의 이행을 논할 때, 이를 참된 예술에서 참된 종교로의 이행이라는 구조 속에서 서술하고 있다는 것이다. 이 해석에 의거하자면, 우리는 예술로부터 종교로의 이행에 대해 말할 때 참된 예술과 참된 종교를 기준으로 삼아, 즉 고전적 예술과 기독교를 기준으로 삼아 생각해야만 한다. 필자는 이 해석을 통하여 이러한 이행과 관련된 모든 난점들이 일거에 제거될 수 있다고 주장하지는 않았지만, 몇 가지 중요한 난점들이 어느 정도 해결될 수 있음을 밝힘으로써, 이 해석이 갖는 장점과 타당성을 제시하였다. In der Hegelschen Philosophie des Geistes befinden sich Kunst, Religion und Philosophie in derselben Sphare, in der absoluten Sphare des Geistes. Diese drei Momente des absoluten Geistes bilden als unteschiedliche Weisen des Wissens eine Hierarchie. In der Hegelschen Philosophie des absoluten Geistes geht die Kunst in die Relinion, diese in die philosophie uber, genausowie die Anschauung in die Vorstellung, diese ins Denken in der philosophie des subjektiven Geistes. Die Struktur dieses Ubergangs ist von grundlegender Bedeutung in der logischen Entwicklung in dem Hegelschen philosophischen Sysem. Ohne diese Struktur zureichend zu verstehen, istnahres Verstandnis von Hegels Philosophie des Geistes kaum moglich. Aberes gibt mehrere Schwierigkeiten in der Deutung des Ubergangs von der Kunst zur Religion. Sie beziehen sich zuerst auf die Seite, dass nach Hegel die Kunst und die Religion ein und denselben Inhat haben, aber die erstere die Form der sinnlichen Anschauung, die letztere die Form der Vorstellung hat Sie beziehen sich auch auf die Tatsache, dass jener Ubergang in Hegels Enzyklopadie oder in seinen Vorlesungen uber die Asthetik mit dem Ubergang in seiner Phanomenologie des Geistes nicht ubereinstimmt. Ich habe einerseits die Meinung vertretten, dass eine Interpretation moglichist, die Hegels Behauptungen uber den Ubergang trotz jener Schwierigkeiten als konsequent erscheinen last. Andererseits habe ich solche Intepretation prasentiert: Hegel stellt, genau gesehen, den Ubergang in der Struktur einessolchen von der wahrhaften Kunst zur wahrhaften Religion dar. Nach dieser Intepretation mussen wir diesen Ubergang von der wahrhaften Kunst zur wahrhaften Religion, von der klassischen Kunst zum Christentum zur Basis der Berachtung machen, wenn wir uberhaupt einen Ubergang von der Kunst zur Religion in der Philosophie Hegels verstehen wollen. Ich behaupte nicht, dass wir von allen Schwierigkeiten durch meine Interpretation befreit warden konnen. Aber ich habe Vorteile und Gultigkeit dieser Interpretation dadurchvor Augen gebracht, dass diese ein paar entscheidende Schwieirigkeiten auflosen kann.

      • KCI등재

        칸트 미학에서 미와 도덕성의 관계에 대하여

        박배형 ( Bai Hyoung Park ) 한국미학회 2014 美學 Vol.77 No.-

        칸트는 『판단력 비판』의 59절을 "도덕성의 상징으로서의 미에 관하여"라는 제목으로 시작하면서 미와 도덕성을 연관시키고 있다. 주지하다시피 그는 자신의 이 저작에서 취미 판단이 인식 판단과 무관함을 밝히고, 미가 도덕적 선과는 원리적으로 상이한 것임을 주장함으로써 미가 독자적인 성격을 지니고 있음을 설파한 바 있다. 게다가 이로부터 귀결되는 미적 자율성과 미적인 영역의 독자성 주장은 칸트가 근대 미학을 체계적으로 정립했다는 역사적 평가를 얻는 데에 결정적으로 기여한 바 있다. 그런데 미와 도덕성을 연결시키는 칸트의 주장은 마치 미가 독립적인 가치가 아니라 도덕성의 표현인 것으로, 그러니까 본래 도덕성과 결합되어 있거나 아니면 도덕성에 종속하는 것으로 말하는 것처럼 보인다. 미의 독자성 주장과 미의 종속성 주장은 양립불가능하기에 이 모순적 사태가 해명되어야만 한다. 우리의 해석에 따르면 칸트에게서 미는 도덕성 또는 도덕적 이념과 불가분의 관계를 맺는 것이지만 동시에 그의 미적 자율성 주장은 유지될 수 있다. 반면에, 그가 말하는 취미 판단의 독자성과 미적 자율성이란 미와 도덕성 간의 전적인 분리를 함축함으로써 미적인 차원을 도덕성의 영역으로부터 고립시킨다는 식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오히려 칸트 미학에서 주장되는 미적 자율성은 이를테면 제한적인 또는 온건한 자율성인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Kant beginnt den Pragraphen 59 der Kritik der Urteilskraft mit "Von der Schonheit als Symbol der Sittlichkeit" und bezieht damit die Schonheit auf die Sittlichkeit. Bekanntermaßen stellt er in diesem asthetischen Werk den selbstandigen Charakter der Schonheit dadurch fest, dass er den Unabangigkeit des Geschmacksurteils vom Erkenntnisurteil klarmacht und die prinzipielle Verschiedenheit der Schonheit von dem moralischen Guten behauptet. Kants Behauptung der asthetischen Autonomie und der Selbstandigkeit des Asthetischen, die sich daraus ergibt, hat dazu beigetragen, die Beurteilung zu bekommen, dass er die moderne Asthetik systematisch gegrundet hat. Aber Kants These, welche die Schonheit mit der Sittlichkeit in Beziehung setzt, scheint zu besagen, als ob die Schonheit keinen unabhangigen Wert hatte und ein Ausdruck der Sittlichkeit ware, so dass sie eigentlich mit der Sittlichkeit in Verbindung stande oder von der Sittlichkeit abhangig ware. Indem die Behauptung der Selbstandigkeit der Schonheit und die Behauptung der Aabhangigkeit der Schonheit nicht kompossibel sind, ist dieser Sachverhalt zu erklaren. Nach meiner Interpretation hangt die Schonheit bei Kant mit der Sittlichkeit eng zusammen, aber Kants Behauptung der asthetischen Autonomie kann sich aufrechterhalten. Jedoch sollten diese asthetische Autonomie und die Eigenstandigkeit des Geschmacksurteils, die Kant behauptet, nicht in dem Sinne interpretiert werden, dass sie die absolute Trennung der Schonheit von der Sittlichkeit beinhalten, so dass sie die asthetische Sphare von dem Bereich des Sittlichen abschließen. Vielmehr muss die asthetische Autonomie in Kants Asthetik als eine eingeschrankte oder gemaßigte verstanden werden.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