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미얀마 민주주의 위기와 한국종교: 저항 민주주의에서 국경을 넘어 개입 민주주의로

        이형규 한국종교사회학회 2022 종교와사회 Vol.10 No.1

        종교는 점차 국제정치 영역에서 중요한 행위자가 되었다. 그러나 여전히 국제문제를 다룸에 있어 종교의 역할은 무시되고 있다. 오늘날 세계 시민들은 군부 쿠데타와 집단적 인권유린이라는 미얀마 민주주의가 붕괴되는 것을 목도하고 있다. 과거 군부쿠데타 정권 아래서 유사한 고통을 겪은 한국인들은 미얀마의 시민저항에 공통의 감정을 느끼고 있다. 최근에 기독교교회협의회, 천주교주교회의, 불교 조계종 같은 한국의 주요종교 단체들은 미얀마의 정치적 위기에 깊은 관심을 표명하고 나아가 민주화운동에 연대를 선언하였다. 종교는 근본적으로 일국을 초월한 국제적 조직체이기에 다른 문화와 인종 간에도 공통의 연대성을 만들어낸다. 이러한 종교의 국제적 정체성은 종교 공동체들 사이에 도덕적 책임감을 가지게 한다. 이것을 함께 나눈 종교인들은 개신교인, 가톨릭, 그리고 불교 사이의 전통적 적대감을 감소시킬 뿐만 아니라 사회운동의 종교적 자원동원으로서도 작용하게 된다. 본 논문은 미얀마 민주주의 회복을 위해 한국의 종교단체들이 국경을 넘어 적극적으로 개입하는 새로운 형태의 민주주의 현상에 주목하면서 사회운동에 있어 종교의 중요성을 연구할 것이다. 자국민의 인권을 유린하는 불량국가들에 대한 인도주의적 개입이라는 새로운 민주주의를 경험하고 있는 한국 종교들은 근현대사에서 독립과 민주주의를 위해 사회 참여의 수많은 모습을 보여주었다. 종교의 사회참여는 국제정치학 분야에서 ‘신앙이 기초된 인도주의적 개입’(faith-based humanitarian intervention) 이론에 중요한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이 연구는 한국 종교가 처음으로 국제적으로 인도주의적 개입을 하게 되는 과정을 기술한다. 종교가 민주주의 위기에서 민주화를 실현시킬 수 있는 자원동원 능력을 가지고 있는지 그리고 한 나라의 종교가 국경을 넘어 국제 정치의 갈등 해결과 인권 증진에 어떤 도움을 줄 수 있는지도 연구할 것이다.

      • KCI등재

        한국교회의 정치참여 : 사회학적 관찰

        김성건(Sung-Gun Kim) 한국종교사회학회 2010 종교와사회 Vol.1 No.1

        이 글은 먼저 ‘종교와 정치’ 사이의 관계 - 유착, 분리, 창조적 긴장- 에 주목한 것으로부터, 오늘날 세계화가 현대 종교에 미치고 있는 영향과 효과 그리고 그 결과로서 나타나는 구조적 위기를 이론적 측면에서 간단히 밝힌 다음, 해방이후 오늘까지 한국교회의 정치참여를 비판적으로 검토하였다. 그 다음 필자는 한국교회의 정치참여를 놓고서 그 동안 보수와 진보 진영 간에 상당한 논란이 일어난 것에 관한 사회학적 관찰로서 최근의 김진홍 목사, 기독당, 촛불집회 사례 등을 중심으로 고찰하여 보았다. 끝으로, 결론으로서 현 시점에서 한국교회에 관한 종교사회학적 전망을 제시해 보았다. This study reviews the structural predicament of contemporary religions in the midst of globalization, and examines Korean churches’ political participation since 1945 in terms of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politics - fusion, disjunction, and creative tension. The study provides a sociological observation on the disputes between the Conservatives and the Progressives (Radicals) in Korean Protestantism. The following cases are explored: (1) Reverend Chin-Hong Kim (2) the Kidokdang (Christian Party) (3) the 2008 Chotbul (Candle Movement). As a conclusion, the paper suggests prospects on the future of Korean Protestantism from the perspective of the sociology of religion.

      • KCI등재

        ‘성스러움의 과학’: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의 개념들과 방법론 고찰

        Hyun Jun Kim 한국종교사회학회 2021 종교와사회 Vol.9 No.2

        이 논문은 부르디외의 종교사회학을 상징폭력과 상징재화 교환경제의 관점에서 재정리하고 문화・지식・권력사회학으로서의 의의를 해명한다. 그리고 부르디외의 주요 개념들의 종교연구방법론적 함의를 설명함으로써 각종 이항대립을 해소하는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의 유용성을 개관한다. 이 과정에서 오늘날 한국기독교의 사례를 통해 부르디외의 이론적 개념들을 재서술함으로써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에 대한 우리의 이해가 증대된다. 부르디외의 사회이론은 현대 종교적 현상을 이해하는 데 강력한 개념적 도구를 제공한다. 부르디외는 “문화사회학이 오늘날의 종교사회학”이라고 말하고 이를 ‘성스러운 것에 대한 과학(science of the sacred)’이라고 정의한다. 이에 따라, 각 장에서는 부르디외의 종교관을 일루지오와 상징폭력의 차원에서 개괄적으로 고찰하고, 상대적 자율성과 상징투쟁, 그리고 대규모생산장과 상징재화 시장의 관점에서의 종교장의 구조와 특성을 검토함으로써 장 이론의 종교사회학적 유용성을 논한다. 이후 종교자본(구원재) 및 종교하비투스 개념을 ‘상징재화의 교환경제’의 맥락에서 정립한다. 결론적으로 종교적 상징폭력의 메커니즘과 ‘종교의 이중적 진실’을 보여준다. 부르디외 종교사회학에 대한 탐구를 통해서 우리는 종교사회학이 단지 사회학 내의 분과학문이 아니라, 지배와 권력에 대한 분석과 비판의 중심적 방법론임을 새삼 확인하게 된다. This paper reorganizes a sociology of religion in Bourdieu in terms of the perspective of symbolic violence and the economy of symbolic goods, and explains its significance as the sociology of culture・knowledge・power. By explaining the research methodologies of Bourdieu’s main concepts, it outlines the usefulness of Bourdieu’s sociology of religion to resolve various binary confrontations. In this process, our understanding of Bourdieu’s sociology of religion is deepened by re-explaining the theoretical concepts of Bourdieu through the case of Korean Christianity today. Bourdieu’s social theory provides a powerful conceptual tool for understanding contemporary religious phenomena. Bourdieu states that “the sociology of culture is today’s sociology of religion” and defines it as a “science of the sacred.” Accordingly, these chapters discuss the religious and sociological usefulness of the theory by examining Bourdieu’s views of religion in terms of illusio and symbolic violence, relative autonomy, symbolic struggle, and the structure and characteristics of religious fields in terms of mass production and the symbolic goods markets. The concept of religious capital (salvation goods) and religious habitus are then established in the context of the “exchange economy of symbolic goods.” In conclusion, it shows the mechanism of religious symbolic violence and “the double truth of religion.” Through the exploration of Bourdieu’s sociology of religion, we reaffirm that the sociology of religion is not just a branch within sociology, but a central methodology of analysis and criticism of domination and power.

      • KCI등재

        한국 종교 지형에서 유교 종교성이 미치는 영향

        임영빈 한국종교사회학회 2023 종교와사회 Vol.11 No.1

        이 연구에서는 한국 사회에서 유교 종교성이 종교 지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해 알아보려고 했다. 한국 사회에서 유교 종교성이 여전히 영향력이 미치는 것에 관해서는 대체로 동의가 이루어지고 있지만 실제로 이에 관한 경험 연구는 충분하지 않은 상황이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유교 종교성을 측정할 수 있는 방법에 관해 살펴보면서 유교 종교성이 한국 종교 지형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경험 연구를 시도해 보려고 했다. 이를 위해 이 연구에서는 첫째, 소속 기준에 종교에서 장례방식 기준 종교성이 어느 정도 나타나는지 살펴보았다. 두 번째로 소속 기준 종교와 장례 방식 기준을 같이 사용하여 두 기준이 일치하는 집단의 유교 성향은 낮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고 소속 기준으로 무종교 인구 가운데 유교장례 방식을 택한 집단에서는 유교 성향이 높게 나타날 것으로 예상하면서 각각의 집단에서 나타나는 유교 성향 점수를 비교했다. 세 번째로 유교 성향 척도는 한국갤럽에서 사용한 세 가지 문항을 이용했다. 한국종합사회조사 자료에서는 2018년에 세 가지 유교 성향 문항을 모두 포함시켰다. 따라서 이를 이용하여 소속 기준 종교집단과 장례방식 기준 종교집단, 두 가지 기준을 같이 사용하여 분류한 종교집단에서 각각 어떤 차이를 보이는지 살펴보았다. 이 분석에서는 예상과는 달리 무종교/유교장례 집단의 유교 성향 점수가 낮게 나타났고 불교/불교장례, 개신교/개신교장례, 천주교/천주교장례 집단의 유교 성향 점수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으로 이 연구에서는 유교의 영향력이 점차 낮아지고 있지만, 유교는 한국 사회에 여전히 영향을 미치고 있었다. 장례방식을 기준으로 했을 때는 무종교 집단에서 유교 성향을 지닌 사람의 비율이 아직까지는 높게 나타났다. 그러나 유교 성향 점수를 기준으로 했을 때는 제도 종교집단의 유교 성향 점수가 무종교 집단의 유교 성향보다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예상과 반대의 결과였기 때문이었다. 제도 종교집단의 유교 성향이 무종교 집단의 유교 성향보다 높게 나타난 이유에 관해서는 추가 연구를 통해 알아볼 계획이다.

      • KCI등재

        근현대 한국불교의 사회참여 사상의 변화

        이병욱 한국종교사회학회 2010 종교와사회 Vol.1 No.1

        이 논문에서는 근현대시기 한국불교의 사회참여사상의 변화과정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근대시기 이전에도 한국불교에는 사회참여의 흐름이 있었다. 그것은 통일신라시대의 의상(義湘), 고려시대의 의천(義天), 조선시대 임진왜란과 병자호란 때 참여한 의승병(義僧兵)이다. 이러한 흐름이 있었기에 근대에 들어서서 본격적 사회참여사상이 등장할 수 있었다. 근대에 들어서서 불교의 사회참여는 본격적으로 이루어졌고, 이 때 가장 활발한 활동을 벌인 쪽은 만해 한용운과 그 계열의 인물이다. 한용운에 따르면, 불교는 평등의 가르침이고 서로 구제하라는 가르침이다. 이 입장에 서서 한용운은 독립운동에서는 민족주의 노선과 사회주의 노선을 화해시키고자 하였고, 농민운동과 여성운동에 대해서는 당시의 현실에 맞는 운동을 할 것을 조언하였다. 이처럼 한용운이 불교의 사회참여를 강조하지만, 마르크스주의에서 주장하는 반(反)종교운동에 대해서는 적극적으로 반대하였다. 그 반대내용은 불교에도 사회주의적 요소가 있다는 것이고, 또한 종교의 입장에서는 모든 주의(主義)와 제도를 넘어서서 그 시대의 중생에게 알맞은 방편으로 중생을 제도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한용운의 사회참여사상은 1945년 이후 해방공간 속에서 소멸해 버린다. 그 후 상당기간 동안 한국에서는 변변한 불교 사회운동이 없었다. 1980년대에 들어서서 한국사회의 모순을 타파하는 민중운동의 하나로서 민중불교운동이 등장하였다. 그러나 이 민중불교운동은 기존의 참여전통이 사라진 가운데 갑자기 등장한 것이기 때문에 불교사상의 이해에 문제가 있었다. 이 민중불교의 문제점을 딛고서 1990년대 새로운 불교시민운동이 등장하는데, 그 대표적인 것이 도법의 선우도량과 법륜의 정토회다. 선우도량에서는 주로 한국불교의 문제점을 극복하는 데 초점이 맞추어져 있고 그것이 점차로 불교시민운동으로 발전해 나간것이라면, 정토회는 한국사회의 문제점(또는 국제적 문제점)을 불교의 입장에서 해결하는 데 주안점을 둔 것이다. 그렇지만 도법의 선우도량과 법륜의 정토회의 관점을 한용운의 사회참여사상과 비교해본다면, 사상의 ‘폭’과 ‘정교함’이라는 점에서 여전히 한용운의 사회참여사상이 더 우월하다는 것이 필자의 견해이다. In this paper, I study the change of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of modern Korean buddhism. Before modern times, there was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in Korean buddhism. It is Uisang in Sillas era, Uicheon in Koryeos era and monk soldier in Joseons era. Because of this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buddhist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can appear in modern times. In modern times, Han Yong Woon played an active part. But Han Yong Woons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disappeared through the conflict of left wing and the right wing after the 1945 Liberation. After that, during a good long time, there was no the social participation movement in Korea. In the 1980s, Popular buddhist movement appeared as one of popular movement to break down a Korean societys inconsistency. But Popular buddhist movement had a problem to understand buddhist thought, because Popular buddhist movement appeared suddenly after the disappearance of the existing participation tradition. In the 1990s, new buddhist civil movement to overcome the problem of Popular buddhist movement appeared. The typical groups are Do Beobs Seon-U Do-Lyang and Beob Luns Jeong-To Hwi. Seon-U Do-Lyang is the group to overcome the Korean Buddhist problem mainly, and it developed into buddhist civil movement. Jeong-To Hwi is the group to solve the Korean society problem a viewpoint of buddhism. But if we compare Han Yong Woons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with Do Beobs Seon-U Do-Lyang and Beob Luns Jeong-To Hwi, from the view of thoughts breadth and elaborateness, I think that Han Yong Woons social participation thought is superior to the viewpoint of Do Beobs Seon-U Do-Lyang and Beob Luns Jeong-To Hwi.

      • KCI등재

        영국의 감리교와 노동계급 그리고 한국 개신교

        김성건(Kim, Sung-Gun) 한국종교사회학회 2011 종교와사회 Vol.3 No.1

        고전 사회학에서 종교 연구는 주로 다음 두 가지 큰 주제에 관한 것이었다: (1) 종교가 사회 질서의 유지에 어떻게 기여하였나? (2) 종교와 자본주의 사회 간의 관계는 무엇이었나? 알레비는 개신교의 중요성을 강조하는 측면에서 19세기 영국의 사회적, 정치적 안정을 설명하였다. 알레비는 감리교가 기술공(숙련공), 비국교도 및 영국 국교의 권력복합체 사이에서 일종의 사회적 사다리 역할을 해서 결과적으로 당시 영국 사회가 부르주아화의 과정에 도달하는데 기여했고 또한 사회적 갈등을 감소시켰다고 말하였다. 종교의 부수적인 사회적 효과에 주목하는 필자는 이 글에서 우선 ‘알레비 논제’를 재고찰한 다음, 이 알레비 논제를 산업화 시기 한국 개신교의 사례에 적용하여 보았다. 영국에서 감리교의 성장 사례와 비슷하게, 근대 한국에서 도시화와 산업화로 인해 촉발된 급진적 에너지가 종교적 부흥운동 속에서 쓰여졌다. 한국에서 개신교가 전파된 데는 급격한 사회변동의 결과 옛 문화는 쓸모없는 것이 된 반면 새롭게 분출된 욕구를 오순절 성령운동 같은 복음주의 종교가 잘 표현한 것을 주목할 필요가 있다. 결론적으로, 개신교의 개종은 ‘압축적 근대화’ 속에서 특히 상승이동의 열망을 가졌던 사람들 가운데서 주로 이루어졌고, 그 결과 한국 개신교는 현재 중간계급의 종교로 자리 매김 되었다. In classical sociology, the study of religion was primarily concerned with two broad issues: (1) how did religion contribute to the maintenance of social order? (2) what was the relationship between religion and capitalist society? Elie Halevy explained the social and political stability of England in the nineteenth century in terms of the importance of Protestantism. Halevy said that Wesleyan Methodism acted as a social ladder between artisan, noncomformist dissent and the Anglican establishment, thereby contributing to the process of social embourgeoisement and reducing social conflicts. Considering the social side-effects of religion, in this article I have reexamined Halevys thesis and applied the thesis to the case of Korean Protestantism. As in the case of rise of Methodism in Britain, the radical energy precipitated from urban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was expended in a movement of religious revival in modern Korea. Protestantism has spread in Korea because rapid social change has made the old culture obsolete and created new needs which evangelical religion such as Pentecostalism is better able to address. Appearing to be more plausible, it thus attracts converts, specifically people with upward moving aspirations under the so-called compressed modernization, thereby becoming a conservative middle-class religion.

      • KCI등재

        한반도 분단체제하 종교폭력에 대한 비판적 고찰

        이형규(Hyung Kyu Lee) 한국종교사회학회 2020 종교와사회 Vol.8 No.2

        본 연구는 종교폭력(religious violence)에 대한 연구들을 비판적으로 검토하고 한반도 분단체제 생성기에 종교폭력으로서 나타난 전투적 반공주의를 평가한 것이다. 국내에 구체적으로 소개된 적이 없는 대표적 종교폭력이론가들인 마크저겐스마이어와 스콧 애플비가 주장하는 폭력의 발생 원인이나 확증자로서 종교의 역할에 대한 주장들을 정리하며 비판적 성찰을 한다. 이들은 세계 도처에서 종교가 폭력을 조장하는 역할을 하고 있다고 주장한다. 또한 종교가 세속의 이념이나 제도들과 달리 역사와 지역을 초월해 인간을 충동적으로 만들며 좀 더 폭력을 촉진한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러한 주장들을 거부하며 이를 위해 한국전쟁 전후 한국개신교가 행한 종교폭력으로서 전투적 반공주의를 검토할 것이다. 한국교회의 전투적 반공주의는 분단폭력에 무방비로 노출되고 이에 대응하는 과정에서 이러한 종교폭력이 발생하였음을 강조할 것이다. 분단체제의 비극은 하나의 민족에서 두 신생국가가 탄생함으로써 시작된다. 국가의 폭력과 희생의 요청에 한국개신교는 생존을 위해 적극적으로 참여하였다. 냉전체제의 구조적 압박과 무신론-공산주의와 종교자유-자본주의라는 이항대립적 세계관의 형성은 기독교와 반공주의가 선택적 친화성으로 결합하게 만들었고 전투적 반공주의가 발현되게 하였다. 미소냉전의 이념 차이로 발생한 한국전쟁은 한반도를 선과 악의 종말론적 싸움으로 채색시킨 우주적 전쟁터로 만들었다. 한국교회는 분단체제로부터 폭력으로의 요청을 강요받았고 생존과 이익을 위해 합리적으로 이 기회를 적극 활용하였다. 본 연구는 신의 뜻으로 행한 종교폭력은 세속적 폭력과의 다양한 관계에 대한 조사가 필요함을 강조한다. 종교는 폭력을 조장하지 않는다. 냉전과 분단체제에 의해 요청되고 허용되었던 특별한 시간과 공간 속에서 종교에 의한 시연적 폭력이 발생했던 것이다. This study provides a sociological study of militant anti-communism that propagated religious violence during the Korean War. The Cold war system brought out a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between 1940s and 50s. According to religious violence theory, religion has a peculiarly dangerous inclination to promote violence. After being exiled from communist North Korea, North Korean Christian defectors vigilantly served for South Korean military with militant, anti-communism during the Korean War. In particular, they were often involved with anti-communist terrors under the Korean government. Korean churches adopted this militant anti-communism from the defectors that came from up North. Furthermore, they became the leading group and the majority power of South Korean Church. By evaluating anti-communism as religious violence by the Korean Church, the Church did not promote violence. What I challenge is the argument that the Korean Church was more inclined toward violence than were both governments of the two new Korean states during war time. This study reveals that, rather, two Korean governments coercively required the killing and sacrifice of their people. It is evident that North Korea Christian defectors were raised as militant, anti-communist warriors against communist North Korea during Korean war. I would help us to see that they were the scapegoat of the division system on the Korean peninsula constructed by the Cold War.

      • KCI등재

        밥 피어스(Bob Pierce) 선교사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

        이병성(Byongsung Lee) 한국종교사회학회 2021 종교와사회 Vol.9 No.1

        본 논문은 국제 월드비전(World Vision International)의 창립자인 밥 피어스(Bob Pierce, 1914-1978) 목사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과 그 의미를 논한다. 한국전쟁기의 한국에서 활동한 선교사들의 선교 활동은 정치적 이데올로기, 경제 체제, 사회를 구성하는 가치 등과 내재적으로나 제도적으로 깊게 연결이 되어 있었다. 피어스 선교사의 활동과 사상은 이러한 측면을 잘 보여주고 있다. 논문은 세가지 점을 중심으로 논의한다. 첫째, 피어스의 반공주의가 어떤 의미를 갖는지 논의한다. 피어스는 공산주의 운동과 사상이 영적인 차원과 종교적 요소를 가지고 있다고 보았다. 그에게 반공주의는 기독교 신앙을 지키는 신앙인의 사명이고, 기독교 국가인 미국을 수호하는 애국의 표현이며, 종교의 자유를 지키는 자유주의의 길이고, 한국인들을 마귀의 손길에서 구원하는 복음의 사역이었다. 둘째, 한국전쟁과 함께 시작된 월드비전의 구호 사업은 인도주의적 차원과 함께 이데올로기적 차원을 가지고 있었다. 구호사업을 통하여 자유주의적 가치, 미국주도의 냉전질서, 미국의 패권주의가 전파되고 있었고 또한 정당화하고 있었다. 셋째, 미국 출신 선교사인 피어스 자신의 한국전쟁에 대한 인식은 그의 미국에 대한 자기 인식을 반영하고 있다. 그는 공산주의를 기독교에 위협이 될 뿐 아니라 자유와 개인주의라는 미국적 가치에 대한 중대한 도전으로 이해하였다. This article discusses the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by Rev. Bob Pierce, founder of World Vision International. Activities of missionaries who were active in Korea during the Korean War are intrinsically and institutionally deeply linked to political ideology, economic system, and social values. Pierces missionary activities in Korea illustrate this aspect well. This article focuses on three points. First, it discusses the meaning of Pierces anti-communism. Pierce saw that the communist movement and thought had a spiritual and religious element. For him, anti-communism was a mission of believers to defend the Christian faith, an expression of patriotism to protect the United States, a Christian nation, a way of liberalism to protect religious freedom, and a ministry of the gospel to save Koreans from the hands of the devil. Second, the relief project of World Vision, which started along with the Korean War, had both a humanitarian dimension and an ideological dimension. The project was spreading and justifying liberal values, US-led Cold War order, and American hegemony. Third, Pierces own perception of the Korean War reflects his self-consciousness of the United States. He understood communism not only as a threat to Christianity, but also as a grave challenge to American values of freedom and individualism.

      • KCI등재

        종교 사회복지의 성격과 과제

        노길명(Ro, Kil-Myung) 한국종교사회학회 2010 종교와사회 Vol.1 No.1

        종교사회복지는 사회복지 서비스에 필요한 동기와 자원 그리고 전달체계를 갖추고 있을 뿐 아니라 오랜 역사 과정을 통해 축적된 사회복지 서비스 경험을 지닌 가장 강력한 민간기구라 할 수 있다. 실제로, 한국종교계는 근대적인 사회복지서비스의 제공과 사회복지학의 발전에 지대한 공헌을 하여왔으며, 현재도 한국복지계에서 차지하는 중요성은 막중하다. 종교사회복지는 인간애에 바탕을 두고 있다. 따라서 그것은 종교의 부차적인 업무가 아니라 종교의 사명을 수행하며 존재가치를 구현하는 본질적 역할이다. 대부분의 종교들이 초기부터 자선을 포함한 복지서비스를 중요한 업무로 삼아온 것은 이러한 활동이 종교이념의 사회적 구현을 위한 기본적 활동이었기 때문이다. 그러나 현대사회에서는 신앙심이나 소박한 열정만으로는 부족하다. 효율적인 사회복지활동을 위해서는 사회복지실천에 대한 지식뿐 아니라 주어진 시대적 사회적 상황에 대한 정확한 분석과 함께 그에 따른 종교적 차원의 해석, 그리고 그러한 해석에 바탕을 둔 구체적인 실천방안이 마련되어야 한다. 그리고 이러한 사회교리가 종교지도자는 물론 신자들의 의식구조에 확립될 수 있어야 한다. 그렇게 될 때, 종교가 지닌 막대한 자원과 효과적인 전달체계는 사회복지에 활용될 수 있을 것이고, 종교의 본질적 사명과 존재가치는 구현될 수 있을 것이다. 한국의 종교적 유산은 풍부하며, 한국의 종교적 열기는 대단히 강하다. 따라서 한국종교들이 지니고 있는 영성을 찾아내어 그것을 사회복지서비스로 연결시킨다면 사회복지실천기술은 크게 발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Religious social welfare is the strongest civil organization that has motivation, resources and delivery systems needed for social welfare services as well as cumulated social welfare service experiences through its long history. In fact, Korean religious organizations have made a great contribution to providing modern social welfare services and growth of social welfare studies in Korea, also take tremendously significant roles in Korean welfare communities. Religious social welfare is based on humanity. In this respect, social welfare is not a subservient role of religion, but the essential role of religion for fulfilling its religious missions as well as realizing its existence value. Because welfare services were a basic activity to realize a religious society, most religious organizations performed welfare services including charity as their important duties from their early days. However, religious faith and simple passion are not enough for performing efficient social welfare services in modern society. For that, there should be accurate analyses and interpretation of social situations of the times at a religious level as well as knowledge about practice of social welfare, and specific action plans based on that interpretation. In addition, this kind of social teaching should be established in the minds of religious leaders and members of congregation. If all these prerequisites are met, the tremendous resources and the delivery system of religious communities can be best utilized for the social welfare, also the religious mission and the existence value can be realized. There are rich religious heritage and a strong desire for religion in Korea. Therefore, if the spiritualities in Korean religions are well identified and connected to social welfare services, the practice skills in social welfare services will be far more advance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