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억압된 것의 회귀로서의 근대사 논쟁

        손성우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Vol.2021 No.6

        본 연구는 근대사 논쟁의 뿌리가 한국의 두 근대에 있다고 보고 이를 억압과 억압된 것의 회귀로 파악하고자했다. 그래서 연구의 두 축을 ‘근대형성의 축’과 ‘근대사 형성과 논쟁의 축’으로 설정해서 진행했다. 전자가 한국에 근대가 어떻게 도입 및 형성되었는가 하는 문제와 관련된다면, 후자는 근대사를 사후적으로 형성하고 논쟁이 어떻게 이뤄졌는지와 연관된다. 식민지 근대화론은 이 두 축이 직조되면서 사후적으로 출현한 것으로 파악했다. 무엇보다도 근대사 논쟁의 문제는 단지 역사의 문제가 아니며 우리사회의 근대형성과 밀접하게 관련된다. 한국은 일제의 식민 지배를 받고, 광복 이후 반일을 겉으로 내세우고, 516혁명이후 용일을 천명하는 일련의 과정은 남한사회가 근대화의 압박을 받고 있었음을 미루어 알 수 있게 한다. 1960년대 한국의 근대화 프로젝트는 일본에 대한 이중적인 태도를 보이는데 일본을 경제적 모델을 삼지만 한편으로 반일 민족주의적 태도를 내세웠다. 한국의 근대를 설명하는 개념인 압축근대와 환원근대는 모두 한국사회가 국가에 의해 근대화 운동을 거치면서 전근대적인 것을 억압해온 것으로 볼 수 있게 한다. 경제중심의 발전 지상주의적 근대화작업은 한편으로 과거 일제에 의한 초기근대에 대한 근대사 형성과 논쟁에도 강한 영향을 미쳤다. 국가와 학계는 식민지근대화론에 대한 강한 반발 및 거부를 했는데 이는 억압의 대상이 되었다. 그런데 억압된 것은 실재의 회귀로서 1980년대 후반, 식민지근대화론으로 회귀했다. 이는 사후적이고 소급적인 시간의 흐름으로 사회-상징계에 외상을 입혔는데, 최근 2019년 뉴라이트진영의 『반일종족주의』 출간으로 다시 반복되었다. 이 책은 유령처럼 억압된 실재의 회귀로서 한국사회에 강한 충격과 파장을 미친 것이다. This study aimed to regard the root of controversy on modern history as two modernities such as suppression and regression of the suppressed. Thus, this study set up two axes such as ‘axis of modern formation’ and ‘formation of modern history and axis of controversy’. The former was related to the matter of how the modern times were introduced and formed in Korea while the latter considered how the modern history and controversy were formed afterwards.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was understood to be appearing afterwards as those two axes were formed. The issue of controversy on modern history is not just a matter of history, but closely related to modern formation in our society. A series of processes of being colonized by Japan, outwardly coming up with anti-Japan after independence, and clarifying the utilization of Japan after May 16th Revolution in Korea, shows that the South Korean society was receiving the suppression of modernization. Even though the Korean modernization project of the 1960s took Japan as its economic model, it also showed double attitude to present anti-Japanese nationalism. Both compressed modernity and reductionist modernity which are the concepts to explain the modernity of Korea could be viewed as Korean society has suppressed the pre-modern by going through the state-led modernization movement. Meanwhile, the economy-centered developmentalist modernization had great influence on the formation of modern history and controversy on the early modernity by the Japanese Empire in the past. The state and academia strongly resisted and rejected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which became an object of suppression. As a regression of the real, the suppressed came back to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in the late 1980s. As the ex-post and retrospective time flow, this caused trauma to the society-the symbolic, which was recently repeated again through the publication of 『Anti-Japan Ethnicism』 of new right camp in 2019. As a regression of the suppressed real just like a ghost, this book brought a strong impact and aftereffect in Korean society.

      • KCI등재

        분열분석(들뢰즈), 정신분석 그리고 헤겔 철학에 관한 비교 연구 III - 들뢰즈의 안티 오이디푸스와 천 개의 고원에 대한 정신분석적, 헤겔철학적 관점에서의 비판적 고찰

        홍준기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3 현대정신분석 Vol.25 No.1

        이 논문은 헤겔 철학 그리고 정신분석의 관점에서 특히 후기 들뢰즈 철학을 비판적으로 고찰하는 것을 목표로 한다. 초기 들뢰즈는 자신의 필요에 따라 정신분석을 취사선택적으로 수용했지만, 특히 가타리와의 공동 저작인 안티 오이디푸스 이후부터는 정신분석을 근본적이고 철저하게 비판하는 입장으로 전환한다. 이러한 입장 변화는 들뢰즈 철학과 정신분석과의 관계에 관한 문제를 우리에게 제기한다. 전기 들뢰즈와 후기 들뢰즈의 정신분석 수용의 유사점과 차이점은 무엇이며, 이러한 입장 변화가 이론적, 실천적으로 설득력 있는지 등에 관한 보다 근본적인 논의가 필요하다. 그러나 국내외의 대부분의 연구가 이러한 문제에 대해 체계적인 대답을 제시하지 않거나 대답을 회피하는 경향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특히 안티 오이디푸스 와 천 개의 고원 을 중심으로 후기 들뢰즈의 존재론적, 철학적 입장을 비판적으로 재구성하고, 특히 정신분석 및 헤겔 철학의 맥락에서 후기 들뢰즈 이론이 갖는 이론적 실천적 문제점들에 대해 비판적으로 탐구한다. 안티 오이디푸스 에서 들뢰즈는 정신분석을 철저히 비판하는 쪽으로 선회하고 ‘분열증’을 특권화하지만, 이는 사실 정신분석적 개념, 그리고 정신분석적으로 재해석된 스피노자의 개념을 오히려 이용하는 자기 모순에 빠진다. 그리하여 그는 천 개의 고원 에서는 보다 철학적이고 존재론적인 비임상적 개념을 더욱 적극적으로 활용하는 방향으로 나아간다. 본 연구는 이러한 쟁점을 재구성할 것이며, 더 나아가 들뢰즈가 물론 명시적으로 언급하지 않지만 헤겔 철학을 오히려 더욱 헤겔적으로 수용하는 경향을 보이게 되었음을 보일 것이다. 이를 통해 후기 들뢰즈, 헤겔 철학, 정신분석의 관계를 비판적으로 재구성할 것이며, 끝으로 포스트마르크스주의의 길을 열었던 후기 들뢰즈 철학이 갖고 있는 정치철학적 난점에 대해 비판적으로 고찰할 것이다.

      • KCI등재

        프로이트의 정신분석학에서 밀어내기(Verdrängung)의 역할

        김현주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3 현대정신분석 Vol.25 No.1

        프로이트가 정신분석학의 중심 개념으로 삼은 Verdrängung이 ‘억압(抑壓)’으로 번역된 결과 일상적 의미와 혼용되어 정신분석학적 개념은 자주 무시되고 중요한 위치는 격하되었다. 본 연구는 이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적절한 번역어로 ‘밀어내기’, ‘가두기’를 제안하며 정신분석학에서 Verdrängung의 역할을 재조명했다. 밀어내기는 분석 기법의 조타수이자 인간 이해의 출발이다. 기법 측면에서 밀어내기가 작동하기 위해서는 인력과 척력 두 힘의 작용이 필요하며 밀어내기 과정 중에 정동과 표상은 분리되어 각기 다른 변천을 겪는다는 것을 이해해야한다. 이것은 인간의 기억체계는 성층화 구조라는 이론과 결부되어 분석 기법을 발전시켰다. 프로이트는 이성적이고 합리적인 인간관과 다르게 인간을 정신과 육체가 무의식으로 연결되어 있는 불완전한 존재로 생각한다. 밀어내기는 무의식의 시원이자 자아 출현 기제다. 그가 평생에 걸쳐 φ ψ ω 시스템, 무의식·전의식·의식 시스템, 그거, 자아, 초자아로 인간 정신 활동을 설명하는 배경에는 밀어내기가 작동하며 전, 후기 이론을 연결한다. 정신분석학은 “나는 누구인가”라는 질문에 답을 주며 자신과의 소외를 극복하도록 돕는다. 두 힘의 대립은 타나토스와 에로스의 격돌 속에서 삶이 주조되는 것을 알게 해준다. 19세기 말에 성(에로스)을 밀어냈다면 현대인은 죽음(타나토스)을 밀어내고 있다. 밀어내 잘 가둔 줄 알았던 것들은 증상, 꿈, 말실수 등으로 돌아온다. 이것을 위해 필자는 인간 정신의 보편 구조를 +A-A=X 도식으로 설명하는 시도를 했다.

      • 식민지근대화라는 환상과 공산주의라는 증상

        손성우(Son, Seong Woo)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Vol.2021 No.11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주장은 전(前) 근대사회와의 단절 및 기원으로서의 근대를 얘기한다. 또 그들은 일제강점기 초기근대는 1960년대 국가-재벌 연계의 근대화 프로젝트의 싹이자 연속성을 이룬다고 주장한다. 본 연구는 이에 대해 정신분석학적 입장에서 논박을 하고자 한다. 연구목적은 식민지근대화론에 내포된 사회적 환상(social fantasy)과 증상(symptom)을 규명함으로써 한국의 근대성에 대해 고찰하고자 하며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의 근대에 관한 욕망을 파악하고자하는 것이다. 먼저 초기근대화와 1960년대 근대화의 연속성은 주체의‘타자의 욕망에 대한 욕망의 연속성’이란 점에서 성립 가능할 뿐이다. 이런 소외된 욕망이 초기 근대의 식민 상황을 대변하며 1960년대 근대화 역시 과거와의 단절이라는 점에서 초기 근대와 유사하다. 그럼에도 이를 연속적인 것으로 볼 수 없는 게 사회적 맥락과 환경(한국전쟁과 열강들의 개입, 국가의 분단, 각종 사회지각변동 등)이 변화했기 때문이다. 또 두 근대(초기 근대와 60년대 근대)를 연속성을 가진 것으로 보는 것은 보편적일 수 있는 현상에 지나치게 역사적 해석을 가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이는 재생산하려는 것을 이미 주어진 것처럼 전제를 하는 서사(narrative)일 뿐이다. 반면 역사(history)는 단순한 서사이상으로 급진적이고 단절적이다. 식민지근대화론의 두 근대의 연속성은 서사일 뿐 역사라고 할 수 없다. 역사의 단절은 한국전쟁을 통해서 이전 전근대적 전통사회와의 단절 및 남북분단, 사회구조변동 등으로 나타났기 때문이다. 또 식민지근대화론자들은 식민지근대화를 근대의 기원으로 보는 한편 반공주의 사상을 고집한다. 이는 환상으로서의 근대와 이에 대한 증상으로서의 공산주의라는 상호함축적인 정신분석학적 관계를 드러낸다. 식민지근대화론자들에게 낙인찍히고 박멸되어야할 대상이 공산주의자가 된 것은 역으로 그들이 칭송하는 1960년대 근대화 작업이 환상에 기초했음을 보여준다. The argument of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talks about the severance with pre-modern society and modernity as the origin. They also argue that the early modernity in the Japanese colonial era brings a sprout and continuity of modernization project in the connection between state and conglomerates of the 1960s. This study aims to refute it in the position of psychoanalysis.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consider the modernity of Korea by examining the social fantasy and symptom implied in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and also to understand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desire for modernity. First, the early modernization and the continuity of modernization in the 1960s could be validated only in the aspect of subjects’‘continuity of desire related to others’ desire’. This alienated desire represents the colonial situation of the early modernity, and the modernization of the 1960 is also the severance with the past, which is similar to the early modernity. Nevertheless, this cannot be viewed as something continuous because the social context and environment(The Korean War, world powers’ interference, national division, all sorts of social upheavals, and etc.) have been changed. Also, viewing those two modernities(early modernity and modernity of the 1960s) as something with continuity could be excessively applying the historical interpretation to the universal phenomenon. This is just the narrative that premises something that aims to reproduce as something already given. On the other hand, the history is radical and severed more than simple narrative. The continuity of those two modernities in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y is not the history, but just the narrative because the severance of history was shown as severance with pre-modern traditional society, national division, and change in social structure through the Korean War. Also, the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view the colonial modernization as the origin of modernity, and also insist the anti-communist ideology. This reveals the mutually-implicative psychoanalytic relation between modernity as fantasy and communism as its symptom. The communists were stigmatized by colonial modernization theorists as the objects that should be eradicated, which reversely shows that the modernization work of the 1960s they praised was on the basis of fantasy.

      • KCI등재
      • KCI등재

        소아청소년 정신치료 소모임

        한국정신분석학회 한국정신분석학회 2016 精神分析 (Psychoanalysis) Vol.27 No.2

        Division of Child and Adolescent Psychotherapy 소아청소년 정신치료 소모임

      • 가면무도회, 퀴어링, 비커밍: 동시대 한국미술 현장에서 섹슈에이션과 젠더 이슈, 정은영, 남화연, 제인-진 카이젠의 경우

        최정은(Choi, Jeongeun)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1 한국라깡과현대정신분석학회 학술발표대회 프로시딩 Vol.2021 No.11

        본 연구는 한국현대미술에 나타난 섹슈에이션과 젠더 표상들을 통해 그와 연루된 갈등의 구체적 모습을 라캉 정신분석학 담론의 견지에서 살펴보았다. 다양한 가능한 사례들 중 제58회 베니스 비엔날레 한국관 초청작가였던 정은영, 남화연, 제인 진 카이젠 세 작가에 주목하였다. 이들은 각기 근현대사 기술에 있어 잊혀졌거나 누락된 부분을 영상과 퍼포먼스, 아카이브 설치로 형상화했다. 정은영은 한국전쟁 이후 전성기를 누렸던 현재는 사라진 여성국극단을 가시화했고, 남화연은 월북으로 인해 공식 역사에서 삭제된 인물이었던 일제강점기 무희 최승희를 리서치 아카이브로 복원했다. 정은영과 남화연은 욕망 대상으로서의 여성, 즉 상상적 팔루스로서 가정되는 여성을 리서치 아카이브를 통해 무대화한다. 이들의 작업은 ‘마치..처럼’‘그럼에도 불구하고’의 윤리, 가면무도회라는 젠더 수행성, 히스테리적 구조, 상상적 팔루스의 무대화, 여성의 남성-되기의 욕망으로 읽을 수 있다. 남성과 여성 모두 말하는 존재로서 상징계에 등록되어야 하며, 남성뿐 아니라 여성 편에도 거세가 있다는 사실은 상상적, 상징적 팔루스 둘다에 내재한 결핍을 고려하게 한다. 그 결핍은 대타자의 결여를 지시한다. 여성은 다른 모든 것을 출현시키기 위해 비존재를 떠맡는다. 제인 진 카이젠의 《이별의 공동체》는 이같은 여성의 비존재라는 측면을 살펴보기에 적합하다. 카이젠의 작업은 간과되었던 한국의 무속과 바리데기 설화 그리고 디아스포라 문제를 엮은 것으로 아카이브 속에 출몰하는 부재하는 산죽은 유령성을 대면케 한다. 그의 작업은 김혜순 시인의 낭독 퍼포먼스와 더불어 ‘여성은 존재하지 않는다’ 혹은 ‘대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 ‘대타자의 대타자는 존재하지 않는다’는 라캉의 말을 숙고하게 한다. 그자체 비가시적이며 표상불능한 ‘다른 향유’, 여성성의 진리라 할만한 것을 그린다. 누락된 역사를 재구성한 이들의 리서치 아카이브 상연은 인식과 함께 일정한 치유 효과를 가져온다고 말할 수 있다. This paper purposes to approach gender and sexuation issues and the features of conflicts involved in view of Lacanian psycho-analysis. Among possible variable examples, I especially focus on three main artists, Chung Eunyeong, Nam Hwayeon and Jane Jin Kaisen. They all were invited as representatives of Korean artists to the 58<SUP>th</SUP> Venice Biennale. They visualized a missing part or the overlooked in Korean modern history, via film, performance and research archives. Through resecrches and archives, Chung Eunyeong has staged the “Group of Traditional Women National Theater” that enjoyed its heyday after the Korean War in the 50’s and disappeared since, while Nam, Hwayeon has recovered the colonial era dancer Choi-Seonghee who crossed to the North, thus her name was erased in the history. Chung Eunyeong and Nam Hwayeon are staging a woman as a desirable object, who assumed to have the phallus. Their works can be read in the view of gender performitivity such as a masquerade, hysterical structure, staging of imaginary phallus, a desire of “becoming”. From the fact that both sexes ought to be registered at the Symbolic as a ‘(parlêtre; speaking beings), there is the castration not only to the masculine but also to the feminine, and it makes us take account of a lack of inherence in both sexes. The ‘lack’ signifies ‘the lack of the Other’. Even in the woman’s side, “becoming-woman” is necessary such as the case in the myth of Baridegi who has to be the “non-being” in order to bring all other things of woman communities “into-being”. Jane Jin Kaisen’s Parting Community is a proper example to approach the issues of “women’s non-being”. Kaisen deals with the issue of erased women’s existence as a S(A) or La via Korean shaman culture, the myth of Baridegi and diaspora. These issues conjures and haunts the absent ghost-like remainder in the archives. Kaisen’s film makes viewers confront the Lacan’s propositions, ‘There is no woman’, or ‘Other’s Other can not exists’. Kaisen suggests invisible and unrepresentable “other pleasure” that might be called the truth of the feminine. It can be said that their films bring about the effects of recovery through performance and archival staging, such sas analytic experience, reconstruct the missing part of Korean modern history.

      • KCI등재

        정신분석적 해석에 대한 철학적 고찰:항우울제에 부재하는 해석의 차원을 찾아서

        김서영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18 현대정신분석 Vol.20 No.1

        The aim of the paper is to explore the philosophical meaning of the concept of ‘interpretation’ and to reveal the fact that the latter is at the very center of Freud's work. Having theoretically constructed the basis of psychoanalytic healing in this way, the paper will point out that the work of interpretation is often missing in prescribing and taking the antidepressant drugs, which are not accompanied by the psychoanalytic sense of talking cure. Ever since the term has been coined by Bertha Pappenheim to describe the psychoanalytic method of approaching the past of the patient, it has been the core of the psychoanalytic process of cure. However, both the importance and the practical effect are so often neglected in the present. The paper thus aims at emphasizing the therapeutic function of the interpretation drawing upon the theories of the philosophers such as Gadamer and Nietzsche. The point of departure of the discussion is the early work of Freud, where he rejects hypnosis and moves on to a new tool of free association. 본 논문의 목적은 고통과 고통의 극복에 대한 철학적 고찰을 통해 정신분석학적 해석 과정의 의미를 이론화하는 것이다. 해석학자인 가다머는 ‘고통을 극복하다’라는 의미를 가진 ‘verwinden’을 강조한다. 그것은 고통을 대면하여 그 아픔을 이겨내는 과정을뜻한다. 니체는 <짜라투스트라는 이렇게 말했다>의 시작을 「세 번의 탈바꿈」으로 열고 있다. 여기서 ‘탈바꿈’(Verwandlung)이란 정신의 고양을 의미하는 변화로서, 그 이전 단계를 넘어서는 질적변화를 뜻한다. 그것은 ‘übervinden’의 차원이라 할 수 있다. 정신분석학에서 프로이트가 사용하는 ‘변하게 하다’(verwandeln) 라는 동사는 결코 바꿀 수 없는 과거의 사건을 새롭게 ‘해석’함으로써 ‘히스테리적 비참을 평범한 불운으로 바꾸는 치유 과정’ 을 뜻한다. 그런 의미에서, 넘어설 수 없는 고통을 전제로 그 고통의 극복을 강조한 가다머의 고통에 대한 이론이 정신분석학의 변화 개념에 더욱 가깝다고도 할 수 있다. 그러나 프로이트는 해석이라는 정신분석의 무기에 의해 과거 자체가 재배열되며 새로운 현재와 미래가 가능해 지는 과정을 보임으로써, 그변화의 과정을 니체적 탈바꿈의 차원으로 이론화했다. 해석에의해 과거가 달라지기 때문이다. 정신분석적 해석은 과거의 의미를 찾아내는 발굴의 과정이라기보다는 부재하는 전갈을 능동적으로 해석하여 그 치유의 과정 끝에서 자신의 편지를 수신하는 창조의 과정이다. 본 논문은 프로이트, 가다머, 니체의 이론적 연대를 통해, 부재하는 전갈의 자리를 점유하여 모든 해석행위를 파괴하는 항우울제의 기제 및 그 문제점을 이론적으로밝히고, 고통의 극복을 위한 정신분석학적 해석의 중요성을 강조하고자 한다.

      • KCI등재

        정신증에 대한 라캉학파의 정신분석 실천: 정신증 주체를 위한 연안 지대를 만드는 길

        이수진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0 현대정신분석 Vol.22 No.2

        This study is a discussion about how to create the coastal zone for the psychotic subject as a practice of Lacanian psychoanalysis of psychoses in our society. In psychoanalysis, psychosis is the subject that reconstructs a new reality in accordance with the desires of the id after the rupture between ego and reality. Lacan describes psychosis in an existential structure caused by the foreclosure of the Name–of–the–Father as the fundamental mechanism. He explains the mechanisms of psychoses through L, R, and I schema in Écrits. The L schema signifies that the condition of the subject, S(the psychosis) depends on what the Other, A is. The R schema shows that the various intermediate stages occurring when the narcissistic mirage(a-a´) visualizes the divisions of the imaginary and the symbolic, construct the real as the field of the psychotic reality. The I schema shows that the reconstruction of the subject occurs around the hole in the symbolic following the foreclosure of the Name–of–the–Father, so that the psychotic structure represents an elegant solution rather than confusion. Hallucination is the effect of the segmentation of signification between the signifier and the signified, and delusion is the production of new meaning. The two elementary phenomena testify to the defect of the effect of the Name–of–the–Father(the quilting point) in psychoses. Accordingly, the psychosis appears identifying words with things (invasion of Jouissance), uncontrolled drives, feminization, and absence of questions. The psychoanalytic practice of psychoses is possible only as a supplement to the imaginary that builds a world of meaning that can sustain life. Therefore, the analyst should create the coastal zone as an analytical space and the meaning for exploring the restoration of the psychotic’s knot through the imaginary and real transference. 본 연구는 우리 사회의 정신증에 대한 라캉학파의 정신분석 실천으로서 정신증 주체를 위한 연안 지대를 만드는 길에 대한 논의이다. 정신분석에서 정신증은 자아와 현실 사이의 단절 이후, 이드의 욕망에 일치하는 새로운 현실을 재구성하는 주체이다. 라캉은 아버지의 이름의 폐제를 근본 메커니즘으로 한 실존적 구조로 정신증을 설명한다. 그는 에크리에서 L 도식, R 도식, I 도식을 통해 정신증의 메커니즘을 구명한다. L 도식은 주체의 조건이 대타자에서 전개되는 것에 달려 있음을 설명한다. R 도식은 나르시시즘적 환영(a-a´)이 상상계와 상징계의 구획을 개념적으로 가시화하는데 그 사이에서 발생하는 여러 상상적 타자에 기초한 자아의 동일시 단계들이 정신증의 현실의 장인 실재를 구축함을 보여준다. I 도식은 아버지의 이름의 폐제에 따른 상징계의 구멍 주위에서 주체의 재구성이 발생하여 정신증 구조가 혼란이 아닌 우아한 해결을 표상함을 보여준다. 정신증에서 두 기초 현상은 아버지의 이름(고정점)의 효과의 결함을 증언하는데, 환각이 기표와 기의의 의미화의 분절이라면, 망상은 새로운 의미의 생산이다. 조현병은 환각을, 편집증은 망상을 주요 현상으로 하여 정신증자는 단어를 사물과 동일시(주이상스의 침입), 통제되지 않는 충동들, 여성화, 질문 부재를 나타낸다. 정신증 주체를 위한 분석 실천은 삶을 지속할 수 있는 의미의 세계를 구축하는 상상계(또는 실재)의 보충으로 가능하다. 따라서 유사자로서의 분석가는 상상적·실재적 전이를 통해 정신증 주체의 매듭의 복원 작업을 하는 분석 공간과 그 의미로서의 연안 지대를 만들어야 한다.

      • KCI등재

        모던정신분석에서의 정신분열증 개념화에 대한 재해석: 신경과학 모형의 적용

        한호성,이준호 한국현대정신분석학회 2020 현대정신분석 Vol.22 No.2

        This study aims to critique and reinterpret Hyman Spotnitz’s conceptualization of schizophrenia via the theoretical perspectives of Sigmund Freud and Donald Winnicott, and to propose a schematized neurological model based on the results. Spotnitz, the founder of modern psychoanalysis, asserted that three primal factors of aggression, object protection, and self-sacrifice formed the core of the schizophrenic character. That is, these three components combined, compose the ‘narcissistic defense’ in which, the aggressive impulses that should be directed towards external objects, are discharged into the ego or the mental apparatus. Spotnitz based the conceptualization of schizophrenia on the narcissistic defense and presented a neurodynamic model to explain the underlying neurobiological processes. The researchers critically reinterpreted Spotnitz’s conceptualization, based on the theories of Freud and Winnicott, and named it the ‘reconstructed narcissistic defense’. The psychological process of the reconstructed narcissistic defense was applied to the triple network model of psychopathology, which consists of the three core networks of the central executive network(CEN), default mode network(DMN), and the salience network(SN), to create an ‘integrated model’. This task of fusion showed that the theories of modern psychoanalysis and contemporary neuroscience of schizophrenia were not only compatible, but that they shared major emphases. 본 연구는 정신분열증에 대한 스팟닛츠의 개념화를 프로이트와 위니캇의 정신분석적 관점에서 비판적으로 재해석하고 그 결과를 도식적으로 보여주는 신경과학 모형을 제안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모던정신분석의 창시자인 스팟닛츠는 공격성, 대상 보호 그리고 자기의 희생이라는 세 가지 일차적 요소들이 정신분열적 성격의 핵을 이룬다고 보았다. 즉 이 세 요소들이 서로 결합해, 외부 대상에게 향해야할 공격적 충동을 자아 내부에 혹은 정신 기관 내부로 방출시키는 ‘자기애적 방어’가 만들어진다. 스팟닛츠는 바로 이 자기애적 방어를 중심으로 정신분열증을 개념화했으며 기저의 신경생물학적 과정을 설명하는 신경역동 모형 또한 함께 제시했다. 연구자들은 이런 스팟닛츠의 개념화를 프로이트와 위니캇의 공격성 이론을 통해 비판적으로 재해석하고 이를 ‘재구성된 자기애적 방어’라고 명명했다. 그리고 이렇게 재구성된 자기애적 방어라는 심리적 과정을 세 개의 핵심 연결망인 중앙집행 연결망(CEN), 기본모드 연결망(DMN) 그리고 현출성 연결망(SN)으로 이뤄진 정신병리의 삼중망 모형(triple network model) 안에서 구현한 ‘통합 모형’을 제안했다. 위와 같은 융합 작업을 통해 정신분열증에 대한 모던정신분석적, 현대 신경과학적 개념화가 상호양립 가능할 뿐만 아니라 이 둘이 주요 강조점을 공유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