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미치는 효과

        황준성(Hwang, Jun Seong)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17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3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정신장애인에게 동기강화 상담이론에 근거한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를 실시하여 일반적 자기효능감과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 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있는 D재활원을 이용하고 있는 정신장애인들에게 사전 동질성 검사에서 동질하다 평가된 26명을 무선으로 선정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나누었다. 이 연구에서는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에 미치는 효과와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집단(실험집단, 통제집단)을 독립변인으로 자기효능감을 종속변인으로 하여 공변량 분석을 실시하였고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재,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일반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었고 일반적 자기효능감의 하위영역인 주도성, 노력성 그리고 인내성에서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사회적 자기효능감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정신장애인들의 자기효능감이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를 받은 실헙집단이 받지 않은 통제집단에 비해 확연히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이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정신장애인의 자기효능감과 기능-증상에 긍정적인 변화를 가져왔고 이는 직업적응훈련 중인 정신장애인의 심리적인 역량을 강화하는데 동기강화 재활음악치료가 효과가 있음을 의미한다. 이를 통해 사회복귀준비를 위한 직업적응훈련 중인 정신장애인에게 심리적 개입의 필요성을 제안하고자 하였다. 또한 후속 연구에서는 종속변인의 하위영역에 대한 구체적 사항을 분석 연구와 추후연구가 지속적으로 필요할 것이다. This research aimed at investigating the effect of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on disabled people’s general self-efficacy and social self-efficacy by implementing it based on motivation consultation theory. As the research objects, the researcher wirelessly selected 26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were utilizing D rehabilitation facility in D-si, evaluated same in the preliminary homogeneity inspection, and divided them into the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self-efficacy, this research conducted covariance analysis by adopting the groups(experimental group, control group) as the independent variables and self-efficacy as dependent variable, and the research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had effect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general self-efficacy, and had effect also on initiative, effort, and tolerance, the subordinate scope of general self-efficacy. Secon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had effect on mentally disabled people’s social self-efficacy.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showed definitely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Third, self efficacy of the experimental group of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d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showed definitely higher effect on self-efficacy than control group who did not receive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This research determined tha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displayed positive change in mentally disabled people’s self-efficacy positively, which means that motivation rehabilitation music therapy is effective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 work adjustment training to enhance psychological capability. Through this, the researcher intended to suggest the necessity of psychological intervention for the mentally disabled people who receive work adjustment training for rehabilitation preparation. Also, for the follow-up study, analysis research and further research on concrete points of subordinate scope of dependent variables are consistently necessary.

      •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합창중심)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성에 미치는 효과

        황준성(Hwang, Jun Seong)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16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2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합창중심)이 지적장애 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는데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광역시에 위치한 F.M.예술심리치료센터 이용자 중 지적장애초등학생을 중심으로 합창단을 조직하여 합창프로그램을 실시하였다. 실험집단은 1:1 재활음악치료서비스를 이용하는 10명으로 선정하여 매주 1회(80분) 합창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 또한 10명으로 선정하여 1:1 재활음악치료서비스만 받는 이용자들로 선정하였다. 사회지수(SQ)가 24이하이고 지능지수(IQ)가 35-69이하인 지적장애(1급, 2급, 3급) 판정을 받고 있는 총 20명의 지적장애초등학생들을 선정실행 하였다. 본 연구의 실험처치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합창중심)을 2015년 10월부터 2016년 3월까지 주 1회, 80분씩 총 24회기에 걸쳐 실시하였다. 연구도구로는 Gresham과 Elliott(1990)가 개발하고 김향지(1996)가 협력· 자기주장 · 자아통제 3개의 주요 영역으로 재구성한 사회성 척도 = 사회적 기술 척도(SSRS: Social Skills Rating System)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의 처리는 SPSS 통계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이 증명 되었다.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합창중심)이 지적장애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의 하위영역은 협동심 · 자기주장력 · 자아통제력 전체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므로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합창중심)이 지적장애초등학생의 사회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music rehabilitation program (An aspect of chorus) to development of sociality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Subject group of this research is a choir consists of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who were registered to programs of F.M. center of Art Psychotherapy in Deagu metropolitan city. Experimental group is made up of 10 members selected from men-to-men music rehabilitation program users, and 80 minutes of weekly chorus program was administerd to this group. The size of control group is identical in number with experimental group, and this group is made up of users provided with men-to-men music rehabilitation program only. Every students monitored in this research scored SQ under 24 with IQ scored between 35-69, intellectual disability confirmed from grade 3 to 1. Experimental group received weekly chorus program from October 2015 to March 2016, 80 minutes weekly for 24 times. Method of this research is SSRS (Social Skills Rating System) developed by Gresham & Elliott (1990) and reconstituted by HJ Kim (1996) by 3 major factors of cooperation · self-assertion · ego-control. Data gathered from this research is analyzed by SPSS. Conclusion of this research is as follows: Music rehabilitation program (An aspect of chorus) showed boost in scores throughout all cooperation · self-assertion · ego-control factors after administered. Therefore, the effect of music rehabilitation program (An aspect of chorus) is proved positive for sociality development in elementary school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y.

      • 치매환자의 음악치료에 대한 인식도 및 만족도 조사

        박진세(Jinse Park),임유미(Yumi Lim),김해유(Haeyu Kim),안은진(Eunjin Ahn),배경인(Kyoungin Bae),이영민(Youngmin Lee),박주언(Jouen Park)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18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4 No.2

        최근 치매의 비약물적 치료방법에 대한 관심이 많아지면서 여러 인지중재치료가 치매환자의 치료에 적용되고 있다. 더불어 치매 관리에 관해 치매국가책임제도의 도입과 맞물려 전국 치매안심센터를 중심으로 인지중재치료가 시행되고 있다. 본 연구는 치매안심센터 이용자를 대상으로 음악 치료에 대한 인식도, 선호도 및 만족도를 보고자 하였다. 치매음악치료 관련한 선행연구를 토대로 하여 치매 관련, 비약물치료, 음악치료 등에 관한 16문항을 통해 인식정도와 선호도를 파악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치매안심센터 이용자 중 121명이 설문에 응답하였고, 음악치료가 포함된 인지중재치료 경험군(58명)과 경험하지 못한 미경험군(63명)으로 나누었다. 주요한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치매안심센터 내원 대상자들은 치매와 치매치료에 대해서는 높은 인식도를 보였지만, 인지중재치료와 같은 비약물치료에 대해서는 낮은 인지도를 보였다. 둘째, 인지중재치료를 경험한 군과 경험하지 못한 군 모두 여러 인지중재치료 중에 음악치료에 대한 선호가 두드러지게 나타났다. 셋째, 음악치료를 경험한 대상자 중에서 음악치료에 있어서 음악 장르는 민요를 가장 선호하였고, 악기 종류는 타악기를 가장 선호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치매 국가책임제도가 도입되고 있는 시점에서 치매센터 내소자들을 상대로 음악치료의 인식도, 선호도를 조사한 첫 연구로 그 의의가 크다. 또 이러한 설문 조사 결과를 바탕으로 치매안심센터의 개소에 있어서 음악치료사들의 역할이 중요함을 시사 하는데 의의가 있다. With increasing incidence of dementia, non-pharmacological therapies have been focused in last decades. Among them, we investigate the awareness, preference and satisfaction of music therapy for managing dementia in visitant of dementia care center. We conduct a survey which is self-report of 16 items containing question about dementia, non-pharmacological therapy and music therapy. 121 participants who were visited dementia care center were enrolled and divided into experience and non-experience groups of cognitive intervention. Despite most of participants have lots of knowledge for dementia and treatment, only few participants (22.32%) know the non-pharmacological treatment. The most preferred program was music therapy in both groups (63.8%, 39.4%). The Korean traditional song (60.3%) and percussion instrument (43.3%) is the favorite items for music therapy. Our research is the first trial for awareness,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music therapy for dementia in Korea. Our result support that there are lots of demand for music therapy in patients with dementia as well as general population. Furthermore, this study can be the reference point for policy decision of dementia care plan.

      • 베이스기타 연주중심의 음악치료가 뇌성마비 청소년의 양측 손 기능에 미치는 효과

        이재훈(Jaehoon Lee),문소영(Soyoung Moon)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2022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베이스기타를 적용한 치료적 악기연주 기법이 뇌성마비 청소년의 양측 손 기능에 어떠한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 목적이 있다. 연구의 대상은 S시에 소재한 뇌성마비 복지관을 이용하는 청소년4명으로 선정하였으며, 음악치료 프로그램은 개별 세션의 형태로 1회기 30분씩 주 2~3회, 총 15회기로구성하여 진행하였다. 베이스기타 연주중심의 음악치료는 손의 기민성, 쥐는 힘, 양손 협응력, 연주의 완성도향상의 목적을 가지고 ‘현 튕기기(개방 현) 연습’, ‘반음계(chromatic) 연습’, ‘노래반주 연습’, ‘노래반주연습의 응용’으로 설계되었다. 대상의 손 기능 평가를 위해 사전과 사후에 작업치료 영역에서 사용되는 Purdue Pegboard 검사, Box & Block Test를 작업치료사가 개별적으로 실시하였다. 음악치료 측정 도구로 연구자는기능성 독립성 척도(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에 기준하여 ‘반음계(chromatic) 연습’ 시 우세손, 비우세 손, 양손에서 관찰되는 항목을 설계하여 베이스기타 연주기술의 변화를 평가하였다. FIM 평가는주 단위 (1, 4, 7, 10, 13 ,15회기) 총 6회기의 세션 영상을 분석하여 각 회기 별 우세 손, 비우세 손, 양손의점수를 합한 값을 비교하고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음악치료 프로그램에 참여한 4명의 뇌성마비 청소년은Purdue Pegboard 검사와 Box & Block Test 평가에서 공통적으로 우세 손의 기민성과 협응력이 향상된결과가 나타났다. 더불어, 회기가 진행될수록 FIM 평가를 통해 각 대상의 베이스기타 연주기술이 향상되는것을 관찰할 수 있었다. 이에 본 연구는 베이스기타 연주중심의 치료적 접근법이 베이스기타 연주기술의향상과 동시에 뇌성마비 청소년의 우세 손 기능을 향상시키는 재활 치료적 중재 방법이 될 수 있는 가능성을제시하는 데 그 의의를 갖는다. This study determined the effect of bass guitar-playing music therapy on the hand functions of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four adolescents who receive social welfare program in a center located in city S. Half-hour individual music therapy sessions were conducted two or three days per week for five weeks, consisting of 15 sessions in total. The music therapy program based on playing bass guitar was aimed at improving dexterity, grasping, and coordination of both hands of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The music therapy sessions were consisted of twanging the guitar string and practicing chromatic scale, accompaniment, as well as applied practices of accompaniment. In order to assess the hand functions, Purdue Pegboard Test and Box & Block Test were carried out by an occupational therapist, before and after the music therapy intervention. The researcher also designed modified Functional Independence Measure (FIM) to measure the differences of performance skills between dominant hand and non-dominant hand, and both hands during chromatic scale performances, by setting up lists of observed criteria. This modified FIM test was estimated by comparing and contrasting the total scores of dominant, non-dominant, and both hands, based on the analysis of six recorded sessions, once per week. The results showed that the four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who participated in this program displayed the significant improvement in dexterity of dominant hand, in both Purdue Pegboard Test and Box & Block Test. Moreover, the subjects' performance skill of playing bass guitar enhanced, as evidenced in FIM assessment. Results suggested that bass guitar playing based music therapy could be a useful intervention in rehabilitating hand functions of adolescents with cerebral palsy.

      •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이 학교부적응 초등학생의 우울에 미치는 효과

        채민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13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1 No.1

        본 연구는 아동의 정신적 발달에 직접적이고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학교에서의 부적응 등 심리, 정서적 재활에 초점을 두고, 잠재적으로 장애로 발전될 우려가 있는 우울 성향 아동을 대상으로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효과를 검증하고자 하는데 목적이 있다. 연구대상은 대구시 소재 1개 초등학교 Wee Class 상담이용 학생 22명에게 부모 동의서와 참여 의사를 묻고, 참여에 동의한 18명을 실험집단과 비교집단에 무선 배정하여 각각 9명씩 구성하였다. 실험집단의 아동에게 매회 40분씩 10회기에 걸쳐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을 실시하였고 통제집단은 아무런 처치를 하지 않았다. 본 연구의 측정도구 중 우울척도는 이영호?송종용(1991)이 번안한 자가 우울 평정척도 CDI(Children"s Depression Inventory)를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은 우울이 유의하게 낮아져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다. Wee Class에서 의뢰된 상담프로그램 중 좀 더 학생들에게 유연하고 자기표현을 자유롭게 전달할 수 있는 재활음악치료 프로그램의 중요성을 되짚어 볼 수 있는 시간이 된 것은 큰 의의라 하겠으나 소수의 사례로 일반화 하기에는 부족함이 있음을 제언하는 바이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and analyze the function and scale on aspect of construction planning with examples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facilities constructed recently in domestic and foreign area. Also, it was to provide the result for basic data for construction planning and architecture of similar facilities constructed later. The study methodles, but they had characteristics to use the space with compound purpose for exhibition, conference, etc through installing multi-purpose hall. Finally, for effective construction planning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facilities, it was required to decrease the ratio of common area gradually and derive rationalization of whole space composition by deriving complexity of function rather than planning of single purpose of each facility for exhibition and conference function. was to analyze the characteristics of construction planning for composition and scale of exhibition, conference, public use, support, maintenance functions, etc and placement composition of unit rooms by each floor on the basis of internal area of exhibition and convention facility in Korea and Japan. As the result of analyzing 10 examples(K1∼J5), the placement of auditorium and multi-purpose hall was affected according to location of exhibition room and conference room in the composition of unit rooms by each floor and the installment ratio of support facility in Korean examples was higher than in Japanese examples. In case of facility scale, the Japanese examples were overall small in the whole scale relatively to Korean examp

      • 시설노인을 위한 음악치료프로그램 분석

        김석훈,윤혜영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13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1 No.2

        본 연구의 목적은 국내에서 발표된 시설노인 대상 음악치료 학위논문을 중심으로 연구 동향을 파악하고 프로그램의 내용을 분석하는데 있다. 이를 위해 분석 대상 논문들을 연도별로 분류하고 해당 프로그램을 치료 목적, 활동 내용 별로 구분하여 조사하고 정리하였다. 특히 학위논문에 사용된 프로그램을 노래 부르기 활동과 악기연주 활동으로 나누어 분석하고 정리하여 국내 시설노인 음악치료에서 노래 부르기 활동과 악기연주 동이 실질적으로 어떻게 진행되어 왔는지를 소개하고자 한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시설노인 음악치료 연구에서 노래활동과 연주위주 활동의 치료 목적 영역 분석에서 노래 부르기 활동은 표현력과 사회성, 회상영역 순으로 많았고 악기연주활동에서는 표현력, 사회성, 인지, 신체영역 부분 순으로 나타났다. 둘째, 시설노인 음악치료 연구에서 노래위주와 악기연주 위주의 활동 내용을 분석한 결과, 노래 부르기 활동은 단순히 노래를 따라 부르기가 가장 많았고 다음으로 가사 만들기, 가사토의 순으로 나타났다. 악기연주 활동에서는 치료사의 지시데로 연주하기와 자유연주 순으로 나타났지만 큰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노래부르기 활동과 악기 연주 활동의 프로그램 구성을 분석한 결과 프로그램에 사용된 곡은 민요와 트롯트가 가장 많았고 노래활동의 주 내용은 과거경험의 긍정적 표현과 그룹원간의 의견교류가 악기연주에서는 치료사가 제시한 리듬연주와 그룹원간의 상호교류 연주가 가장 높은 비율을 차지하였다. 넷째, 시설 노인의 음악치료에서 사용된 심리적 측정도구와 생리적 측정도구가 사용되었고 그 중 심리적 측정 도구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다. 이러한 연구 결과를 토대로 시설노인 대상의 논문 분석 결과를 통하여 이후에 개발된 음악치료의 연구 방법과 연구 목적, 프로그램 구성에 방향성을 제시할 수 있을 것이다.

      • 노래심리치료가 노인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

        윤경섭(Kyoung-seop Yoon),문소영(Soyoung Moon)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2020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1 No.1

        본 연구는 노래심리치료가 노인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고자 시행되었다. 연구기간은 2019년 3월 18일부터 4월 30일까지였다. 연구대상은 경기도 K시의 노인커뮤니티들에 소속된 노인 33명으로 실험집단 15명, 통제집단 18명이었다. 실험집단을 두 그룹으로 나누어 주 2회, 매 회기 50분, 총 12회기로 프로그램을 진행하였으며, 통제집단은 중재를 적용하지 않았다. 프로그램의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노인의 삶의 의미 척도와 심리적 안녕 척도를 프로그램 시행 전과 후에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삶의 의미, 삶의 의미 하위 요인인 삶의 가치와 삶의 원천이 향상되었다. 그리고 실험집단에서 삶의 의미, 삶의 의미 하위 요인인 삶의 가치는 사전 점수보다 향상을 보였다. 둘째, 실험집단은 통제집단과 비교했을 때 심리적 안녕, 심리적 안녕 하위 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와 개인성장 점수가 향상되었다. 그리고 실험집단에서 심리적 안녕, 심리적 안녕 하위 요인인 긍정적 대인관계와 자아수용 점수는 사전 점수보다 향상을 보였다. 연구결과를 토대로 본 연구의 의의를 살펴보면 다음과 같다. 노래심리치료는 노인의 삶의 의미와 심리적 안녕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침으로써, 노인의 정신건강에 도움을 줄 수 있다. This study was conducted in order to verify a song psychotherapy’s effects on the meaning in lif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 study period was from March 18, 2019 to April 30, 2019. Subjects were 33 older adults belonging to elderly communities in a K city, Gyeonggi-do. 15 subjects belonged to an experimental group, and 18 subjects belonged to a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was divided into two groups and participated in programs twice a week for 50 minutes per session (12 sessions in total), whereas no intervention was applied to the control group. In order to investigate effects of the programs, a meaning in life scale and a psychological well-being scale for the older adults were measur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s.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for the experimental group, scores were improved in the meaning in life, the value of life and the source of life (as subfactors of the meaning in life), as compared to those for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scores were improved after the programs in the meaning in life, the value of life as the subfactor of the meaning in life, as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programs. Second, for the experimental group, scores were improved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the self-acceptance as the subfactor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s compared to those for the control group. For the experimental group, scores were improved after the programs in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nd the positive relations with others and the personal growth (as subfactors of the psychological well-being), as compared to those before the programs. Therefore, it was found that the song psychotherapy is effective intervention in the meaning in lif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On the basis of the above results, the significance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The song psychotherapy has a positive effect on the meaning in life and the psychological well-being of the elderly, thereby helping the elderly to stay mental healthy.

      • 피아노듀오중심 음악치료프로그램이 장애⋅비장애아동의 형제관계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 영향

        조은별(Eun-Byul Cho),문소영(Soyoung Moon) 한국음악치료심리재활학회 2022 음악치료심리재활연구 Vol.3 No.1

        본 연구는 피아노듀오중심 음악치료프로그램이 장애⋅비장애아동의 형제관계 및 상호작용에 미치는영향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만 18세 미만의 발달장애판정을 받은 아동과 비장애아동으로구성된 형제 3쌍으로 선정하였다. 피아노듀오중심 음악치료프로그램은 단일집단으로 2017년 1월 7일부터2017년 4월 8일까지 주 1회 총 12회기씩, 한 회기 당 40분씩 진행하였으며, 프로그램 전후로 사전-사후검사를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비장애아동이 지각한 형제관계와 어머니가 지각한 형제관계가 전반적으로 증가된모습을 보였다. 형제 C의 어머니가 지각한 형제관계의 경우 12% 감소되는 변화율을 보였으나 하위영역으로나누어 살펴 볼 때 형제 C의 경우 경쟁의식 및 부정성 점수가 감소되어 형제간 상호작용에 변화가 나타났음을도출하였다. 이를 통해 피아노듀오중심 음악치료프로그램이 장애⋅비장애아동의 형제관계 및 상호작용에영향을 미칠 수 있음을 시사하며 음악치료분야에서 피아노듀오의 치료적 사용 및 장애⋅비장애아동이 함께하는 프로그램의 기초 연구로써 의의를 둔다. This study analyzes the effects of piano duo-based music therapy program on the sibling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For the research, three pairs of siblings consisting of children under the age of 18 with developmental disabilities and non-disabled children were selected. Using single-subject research design, total 12 sessions of a 40-minute the piano duo-based music therapy program were provided once a week for from Jan. 7th 2017 to Apr. 8th. Pre- and post-tests were performed before and after the program. The result of this study suggests that there was an general improvement in the scores for sibling relationships reported by the non-disabled children and the mothers. Sibling relationships score reported by the mothers from pair C decreased by 12%; however, pair C still showed decrease in scores for negative domains especially the sense of rivalry/competition score indicating a lower level of negativity in their sibling relationship. In conclusion, the study proves that piano duo-based music therapy program can influence the sibling relationships and interactions of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 The study attempted to provide a basis for further researches investigating programs for disabled and non-disabled children’s sibling relationships and the therapeutic use of piano duo-based program.

      • 미술치료가 노인의 우울완화에 미치는 효과 분석

        임국희,윤혜영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 2013 한국재활음악치료학회지 Vol.1 No.2

        산업화와 도시화가 급속도로 진행되면서 이에 따른 가치관의 변화로 인해 노인들의 사회지위가 예전보다 턱없이 낮아지고 이로 인해 노인들에게 여러 가지 측면에서 많은 문제를 야기되고 있다. 그 중 노인 우울은 삶의 질에 부정적인 영향을 미치며, 특히 노인의 자살의 중요한 원인이 되고있다. 본 연구에서는 2000년도부터 2013년까지의 국내 미술치료 연구 중 노인의 우울을 주제로 한 논문 51편을 선정하여 노인우울치료에 사용된 미술치료적 기법의 경향을 분석하고자 하였다. 연구 결과, 노인우울을 치료하기 위해서 매체기법 상 평면매체가 가장 많이 사용되었으며, 표현기법 상만들기 기법이 가장 많이 사용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내용분석 상 가장 많이 사용되는 기법은 회상 기법이었으며, 특히 유년시절, 고향, 결혼, 친구를 주제로 한 회상 기법의 사용이 두드러졌다. 즉 노인은 회상을 통하여 과거에 가족들과 함께 했던 따뜻하고 행복했던 기억들을 재경험 함으로써 우울이나 불안을 극복하고 만족감을 얻는 것으로 분석된다. 뿐만 아니라 부담 없는 미술이란 매체를 이용해서 집단원들 간의 상호작용을 촉진함으로써 자아존중감이나 자아성취감이 향상되어 심리적 안정을 찾게 되는 것 또한 노인들의 우울감을 감소시킬 수 있는 것으로 여겨진다. 이러한 결과를 토대로 프로그램을 구성한다면 노인 우울을 위한 미술치료의 보다 효과적인 프로그램의 방향을 제시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