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남부아프리카에서 신지역주의와 안보공동체의 구성주의적 접근 : SADC 사례를 중심으로

        황규득(Hwang Kyu Deug) 한국아프리카학회 2006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23 No.-

        Historically, the Southern African Development Community (SADC)'s region had experienced antagonism between many of the states. In Southern Africa: that is, the politics of apartheid in combination with the Cold War polarized the regional dynamics with a division between the Front Line States (FLS) and South Africa. Thus, until the collapse of the Cold War, the region could be characterized as a security complex with relations dominated by patterns of enmity rather than amity. Since the end of the Cold War and the demise of the apartheid, however, the region has experienced significant changes in which particular regional dynamics have played a critical role. Given the crucial issue of SADC, an analysis and evaluation of the processes of transformations of the region is called for in order to assess the prospects and challenges for moving toward security community that might result in peace-making linked to matured security cooperation. The purpose of this article is to explore the extent to which regional security cooperation in the SADC region contributes to the transformation of what Raimo Varynen calls regional conflict formations into regional security communities. In exploring the evolutionary processes of Southern African security cooperation in the context of the new regionalism, this article argues that it is necessary to open a space for alternative explanatory perspectives and prompt us to move away from a narrowly-defined and Western-centred view of rationalist theories such as neo-realism and neo-liberalism. In pointing out that rationalist theories have not given serious attention to the questions of social or ideational structures, but mainly to the questions of material structures, however, this article asserts that constructivism is useful not only to explore how norms, institutions and identities are (re )making the processes and characters of regional security mechanisms, but also to illuminate whether and to what extent SADC's new regionalism can be applied to the picture of regional security community in Southern Africa.

      • KCI등재후보

        Linking Human Security and Regionalism in Southern Africa : Some Conceptual Approaches

        Hwang Kyu-Deug(황규득) 한국외국어대학교 아프리카연구소 2006 Asian Journal of African Studies Vol.20 No.-

        탈냉전과 후기아파르트헤이트 시대가 도래한 이후 남부아프리카 지역은 소위 세계화 또는 지구화(globalization)라 일컫는 세계정치경제의 구조적 변화와 맞물려 ‘안보(Security)’와 ‘지역주의(Regionalism)’에 대한 포괄적 개념의 변화를 초래하였다. 대표적으로 이 글에서는 최근 국제정치경제의 화두로 떠오르고 있는 인간안보(Human Security)와 지역주의(Regionalism)가 남부아프리카 지역에서는 어떻게 적용 가능한 가를 살펴본다. 먼저 남부아프리카의 지역적 맥락에서 재해석된 인간안보와 지역주의의 개념적 접근을 시도한 후에 두 개념의 연결점을 찾아보도록 한다. 남부아프리카 지역은 냉전의 유산과 그보다 앞선 정치적, 경제적 그리고 사회적인 식민주의의 유산으로 인해 ‘인간 비안보(Human Insecurity)’적인 측면이 현실적으로 더 우세하다. 이 글에서는 탈냉전기에도 남부아프리카 지역에서의 안보와 지역주의가 국가중심적인 제한된 접근방식에 매몰된 점을 지적하면서 보다 통합되고 다층적(multi-layered)이며 포괄적(comprehensive)인 이론-실재의 변화 가능성에 도전해 본다.

      • KCI등재

        Revisiting Regional Security Mechanisms in Southern Africa

        Hwang, Kyu-Deug(황규득) 한국아프리카학회 2014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2 No.-

        본 논문은 1998년부터 2004년 기간 동안 발생한 콩고민주공화국의 분쟁과 역내 지역기구인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의 지역안보 및 분쟁관리 메커니즘에 초점을 두어 살펴보고 있다. 또한 아파르트헤이트 시기에 전선국가체제(FLS), 남부아프리카개발조정회의(SADCC)로 출발하여 진화 발전한 지역안보체제의 관점에서, 본 논문은 남부아프리카 개발공동체(SADC)의 정치방위안보기구(SADC Organ on Politics, Defence and Security: OPDS) 설립과 이 기구의 지역안보 문제에 대한 접근방식, 의미 및 한계점을 다루고 있다. 특히, 본 논문은 역사적 변화의 상황 속에서 새롭게 발전해온 남부아프리카 지역안보 메커니즘을 살펴 보기 위해 남부아프리카개발공동체(SADC)가 어떠한 방식과 성격 및 양상으로 콩고민주공화국 분쟁을 접근하여 다루고 있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보고 있다. This article reviews the regional security mechanisms with a special focus on the emergence of SADC Organ and conflict management in the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DRC) crisis (1998-2004). In fact, one year after the regional involvement in the DRC in 1998 a SADC intervention demonstrated the inability of the SADC Organ to fulfil its functions. In this context, the article illuminates how conflict management in the DRC crisis has been developed in particular terms of the regional level, with the purpose to understand the type and nature of eclectic security cooperation/integration in the region. In doing so, the article attempts to emphasize the historical evolvement of regional security structures such as the FLS, SADC(C) and the OPDS(C) showing that the ‘regional states’ are concerned with seeking structural stability to enhance the regional security community in Southern Africa. Given the haphazard and ad hoc SADC interventions in the DRC, the restructuring of the OPDS can be seen as an important development in setting out the primary goals for SADC security integration.

      • KCI등재

        한국의 아프리카 지역연구

        황규득(Hwang, Kyu-Deug) 한국아프리카학회 2016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7 No.-

        국제사회에서 아프리카의 부상과 변화된 맥락 속에서, 특히 2000년대부터 아프리카에 대한 사회적 관심 증대와 함께 국내 아프리카 지역연구는 과거에 비해 양적으로 크게 성장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성장세에도 불구하고 학계나 시민사회에 끼친 한국의 아프리카 지역연구의 기여도는 여전히 미력한 수준에 머물러 있다. 이는 국내의 아프리카 연구자 수가 여전히 소수에 불과하고 제도적으로 아프리카를 교육 및 연구할 수 있는 학문적 기반이 미비한 현실에 기인한다. 시민사회 또한 복잡 다양한 아프리카의 현실을 지나치게 단순화 시키는 접근으로 아프리카에 대한 오해와 편견을 지속화 하고 있는데 문제점이 제기된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이 글은 한국의 아프리카 지역연구가 그 동안 어떤 과정을 통해 태동•발전되어 왔으며, 최근까지 국내 아프리카 연구자들과 이들의 학술연구 분야가 어떠한 구성분포를 형성해 왔는지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본다. 이를 통해, 이 글에서는 궁극적으로 국내의 아프리카 지역연구가 가지고 있는 문제점을 파악한 후, 이에 대한 개선 방향과 몇 가지 중요한 제언을 제시한다. Within the context of rising Africa in international society, the quantitative growth of African studies in Korea has been unfolded since particularly 2000. Despite such a growth of African studies, the degree of its contribution to the academic circle and civil society still remain meager. This situation is mainly ascribed not only to a small number of Africanists committed to African studies but also to the deficient reality of fragile academic foundations related to research and education on African studies in Korea. Moreover, the tendency of civil society to overgeneralize the state of African societies worsens the misperceptions and preconceptions about the African continent. In this sense, this paper tries to depict to what degree and scope the African studies in Korea have evolved and attempts to examine how the Korean Africanists’ research fields and issue-areas have been dealt with. Ultimately, as a result of this process of examination, the paper is to propose some of important ways forward for the development of African studies in Korea following the exploration of problems and challenges African studies in Korea face.

      • KCI등재

        Some Reflections on Indigenous Approaches to Building Peace in Africa: Focusing on the Case of Ubuntu in South Africa

        Hwang, Kyu-Deug(황규득) 한국아프리카학회 2019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7 No.-

        그 동안 식민주의, 세계화, 자유주의적 평화론 등 다양한 요소들이 아프리카에서 평화구축을 위한 토착적 접근방식의 가치를 경시하는데 일조하였다. 본 논문에서는 아프리카의 토착적 접근방식의 잠재력을 무력화시키는데 주요한 역할을 해 온 여러 요소들 중 특히 서구중심주의적 접근방식인 자유주의적 평화론에 대한 비평에 초점을 두고, 이를 본 연구의 문제제기로 출발한다. 아프리카의 분쟁을 해결하는데 있어 아프리카 외부세력이 주도하는 국제적인 접근방식이 전통적으로 아프리카 평화구축 및 분쟁해결을 위해 필요한 아프리카 내재적 및 장기적 접근의 중요성을 간과해왔다는 사실을 인식하여 본 논문은 아프리카의 평화구축에 있어 토착적 접근방식에 주안점을 두고 살펴본다. 특히 본 연구는 우분투 사상과 이러한 사상적 가치가 남아공의 진실화해위원회(TRC)에 어떻게 적용되어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남아공 사회의 치유와 회복에 어떠한 역할을 하였는지를 살펴본다. 이와 함께, 본 연구는 아프리카의 평화구축에 있어 토착적 우분투 사상의 접근방식이 가지고 있는 주요한 한계점과 도전은 무엇인지에 대해 살펴본 후, 향후 아프리카 평화구축에 있어 토착적 접근방식의 의미를 재고한다. It is generally argued that a number of factors, which mainly include the legacy of colonialism, globalization and the liberal peace project, contributed to neglecting the values of indigenous approaches to building peace in Africa. Amongst these different factors negatively affecting the utility of indigenous approaches, the paper restricts the critiquing discussion of Western-oriented approaches to the liberal peace which has played its massive role in compromising the potentials of indigenous approaches in Africa. Given that externally driven international approaches to resolving conflict in Africa have traditionally disregarded the importance of an inner-oriented and long-term approaches to conflict transformation and peacebuilding, that is, this article deals with some of reflections on indigenous approaches to building peace in Africa with a focus on the indigenous Ubuntu philosophy and its application to the case of how Truth and Reconciliation Commission (TRC) has played the role in promoting the healing and restorative processes in the post-Apartheid South Africa. Before concluding the paper, it projects some of important limits and challenges of the indigenous Ubuntu approaches to building peace in Africa.

      • KCI등재

        인도의 대 아프리카 접근 전략

        황규득(Hwang, Kyu-Deug) 한국아프리카학회 2017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52 No.-

        최근 인도의 대 아프리카 접근 전략은 경제적인 측면 뿐 아니라 다방면에서 상호협력관계가 한층 고조되고 있으며, 이에 대한 중요성 또한 더욱 부각되고 있다. 무엇보다도, 21세기 중국의 부상과 함께 아프리카는 인도 정부에 있어 보다 중요한 연관성을 갖게 되었고, 특히 인도 기업은 아프리카 대륙의 여러 지역에 활발히 활동하며 이러한 역할을 주도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인도의 대 아프리카 접근 전략이 경제협력 관계를 넘어 다방면으로 확대되고 있다는 점에 주목하여, 크게 무역/투자 및 개발협력, 대화 협력포럼을 통한 다자주의적 제도화 구축 그리고 평화안보의 차원에서 인도의 대 아프리카 접근 전략을 살펴본다. 본 연구는 탈냉전 이후 인도의 대 아프리카 접근 전략의 변화가 가시화되고 있는 상황에 초점을 두고, 다차원적으로 확대되고 있는 상호협력의 범위와 정도 그리고 인도의 대 아프리카 관여의 본질과 성격을 살펴보는데 주안점을 두고 있다. Recently, India’s strategic approach to Africa has intensified to include multi-dimensional levels of mutual cooperations beyond economic ones. Above all, India’s deepening involvement in Africa has been affected by the China’s dominant emergence in the 21st century. In particular, a number of Indian enterprises have played a leading role in opening the window opportunity for an India government to expand its engagement with Africa on the continent. Paying attentions to the fact that India’s strategic approach to Africa has broadened to overcome the confines of economic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India and Africa, thus, this paper tries to deal with multi-dimensional aspects of history, trade/investment and development cooperations, multilateral institutionalization through dialogue forums and peace·security issues. This will be conducive to understanding not only the scope and extent of mutual cooperations for India-Africa relations, but also the nature and character of India’s engagement with Africa within the changing context of post-Cold War.

      • KCI등재

        탈아파르트헤이트 시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이주에 대한 소고

        황규득(Hwang, Kyu-Deug) 한국아프리카학회 2013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38 No.-

        After the establishment of the first post-Apartheid government in 1994, the new South Africa is confronted with difficulties related to the issue of migration. In the post-Apartheid era, in particular, South Africa has been pressured to strike a balance between (illegal) immigrants and the national interests. Together with the aforementioned challenges, it is also demanded to address the gap between xenophobia/racism and the rhetoric of African Renaissance. Illuminating the focal points of migration issues in the first decade (1994-2004) of post-Apartheid South Africa, within this context, this article begins to deal with the discontinuity and continuity of migration patterns in the post-Apartheid era. Challenging the negative perspectives of South African government and society toward (illegal) migration, thereafter, it tries to search for the alternative opportunities and possibilities for South Africa in dealing with the issue of migration in the post-Apartheid era.

      • KCI등재

        아프리카의 전략적 부상과 미국의 대 아프리카 에너지 안보

        황규득 ( Kyu Deug Hwang ) 한국세계지역학회 2011 世界地域硏究論叢 Vol.29 No.3

        최근 미국과 중국을 위시로 한 강대국들 사이에서 ``신(新) 아프리카 쟁탈전(New Scramble for Africa)``으로 회자되기도 하는 아프리카 에너지 자원 주도권 경쟁이 본격적으로 가시화되고 있는 가운데, 중국은 아프리카에서 정치·경제적 영향력을 급속히 확대하고 있으며 미국은 이에 대한 군사적 대응 조치를 늦추지 않고 있다. 사실 미국 은 2001년 9/11 사태를 기점으로 아프리카에 대한 새로운 전략적 접근을 시도하고 있는데, 이는 단순한 식량원조나 구호기금 지원대상국이 아닌, 에너지 자원 확보와 세계의 강대국 간 패권 경쟁에서의 우위 획득 측면에서 접근하고 있다. 이러한 세계의 강대국 간 패권 경쟁의 장으로서 아프리카에 대한 미국의 전략적 가치의 재인식에 따라 아프리카의 안보와 개발에 대한 새로운 기회와 도전이 제기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다음 장에서 먼저 아프리카의 전략적 부상의 배경을 살펴 볼 것이다. 최근 국제사회에서 아프리카의 전략적 가치가 재확인되고 있는 동인들을 아프리카의 안과 밖에서 찾아 본 후, 본 논문에서는 21세기 아프리카에 대한 새로운 안보전략을 추구하고 있는 미국의 대 아프리카 에너지 안보 전략의 성격과 특징을 규명해 볼 것이다. 이를 바탕으로, 본 논문은 마지막 장에서 아프리카의 전략적 부상과 긴밀하게 맞물려 나타난 미국의 대 아프리카 에너지 안보 전략의 모색이 향후 우리나라의 대 아프리카 외교에 어떠한 정책적 함의를 내포하는지 고찰해 보고자 한다. Recently, Africa has been experiencing a ``New Scramble`` with the United States and China actively competing for access to Africa`s natural resources, particularly energy resources. Since 9/11, in fact, the United States has attempted to play a more prominent role on the troubled continent of Africa with a new and much more proactive engagement in Africa. The United States has increased its foreign policy presence and capability in Africa as a means to counterbalance growing Chinese influence, which results in both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for Africa concerning the issues of security and development. Examining the underlying forces of Africa`s strategic influence gained from within and outside, thus,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nature and characters of U.S energy security strategy toward Africa. Within this context, this article tries not only to illuminate the U.S proactive engagement in Africa concerning the energy security, but also to disclose some policy implications for South Korean government`s diplomacy toward Africa in the 21st century.

      • KCI등재

        아프리카의 안보 거버넌스 도전에 대한 아프리카 연합(AU)의 대응과 역할

        황규득(Hwang, Kyu-Deug) 한국아프리카학회 2016 한국아프리카학회지 Vol.49 No.-

        대륙적 차원에서 아프리카는 유럽연합(EU)과 같은 정치·경제적 통합기구 창설을 목표로 1963년에 설립된 아프리카단결기구(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OAU)를 2002년에 아프리카연합(African Union: AU)으로 진화·발전시켰으며, 아프리카의 빈곤퇴치, 지속가능한 성장 및 개발을 위해 AU의 아프리카 개발 프로그램으로 활용되는 ‘아프리카 개발을 위한 신 파트너십(New Partnership for Africa"s Development: NEPAD)’이라는 지역 발전전략을 채택하였다. 하지만, 아프리카 국가 지도자들은 역내 “평화와 안보”가 보장되지 않는 한, 궁극적으로 아프리카의 “발전과 통합”을 현실화 할 수 없다는 공통된 인식을 바탕으로 새천년에 들어서 소위 “아프리카평화안보체계라는 아프리카의 안보 거버넌스 구축을 추구하였다. 이러한 맥락 하에서, 본 논문은 먼저 아프리카 연합(AU)의 생성과 진화·발전 과정을 OAU와의 연속성과 불연속성 차원에서 살펴본다. 이후 다음 장에서는 AU의 전신인 OAU와의 차별성에 초점을 두면서, 아프리카의 안보 거버넌스 도전에 대한 아프리카 연합(AU)의 대응과 역할을 아프리카평화안보체계를 구성하는 주요 행위자들의 성과와 한계점을 중심으로 살펴 본 후, 결론에서는 21세기 아프리카의 안보 거버넌스에 대한 함의를 모색하는데 주안점을 둔다. At the continental level, African countries have developed the Organization of African Unity (OAU) established in 1963 into the African Union (AU) similar to the model of European Union (EU) in 2002. In order to support the function of AU, African leaders adopted the New Partnership for Africa"s Development (NEPAD) as a crucial program to assist the AU agenda. African leaders have acknowledged, however, that they cannot actualize the goals of African "development and unity" unless African countries guarantee "peace and security" on the continent. Noting the interrelated nature of peace-security-development nexus, the member countries of the AU have sought to establish security governance in Africa, so called African Peace and Security Architecture at the threshold of new millennium. In this context, this paper first examines the creation and process of evolutionary development of AU compared to OAU at both dimensions of continuity and discontinuity. In the following section, it endeavors to explore the role of AU as a response to the challenges of security governance with focusing on the achievements and limitations of main agents of African Peace and Security Architecture. In conclusion, the paper aims to search for the implications of African security governance in the 21st century.

      • KCI우수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