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부모-아동 상호작용훈련이 중도ㆍ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
박미정,이원령 한국아동부모학회 2024 아동부모학회지 Vol.1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아동 상호작용훈련이 중도ㆍ중복장애아동의 반응하기, 요구하기, 지 시 따르기와 같은 의사소통 기술에 미치는 효과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자가 모델링한 중재기술을 바탕으로, 부모가 가정에서 직접 실행할 수 있는 부 모-아동 상호작용훈련을 설계하고 적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지적장애와 청각장애를 가진 중도ㆍ중복장애아동으로, 장애 특성상 한 명의 아동으로 제한하였다. 연구 설 계는 행동간 중다 간헐기초선 설계로 진행되었으며, 기초선, 중재, 일반화, 유지 단계로 나누어 수행되었다. 중재는 총 20회기로 발달영역 5단계에 걸쳐 실시되었으며, 중재 후에는 어머니가 일상생활 중 가정에서 매일 아동과 상호작용훈련을 실시하였 다. 관찰기록은 주 1회, 15분 동안 아동과 부모의 상호작용 장면을 녹화하여 총 38 회기 동안 의사소통 기술의 변화를 빈도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부모-아동 상호작용훈련은 중도ㆍ중복장애아동의 의사소통 기술에 긍정적인 효과를 나타냈으며, 특히 반응하기, 요구하기, 지시 따르기 순으로 효과가 있었다. 연구결론: 본 연구는 가정에서 이루어지는 부모-아동 상호작용훈련이 중도ㆍ중복장애아동의 의 사소통 기술을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적인 중재 전략임을 시사한다.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plore the effects of parent-child interaction training on the communication skills such as responding, demanding, and following instructions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Methods: Based on intervention skills modeled by the researcher, a parent-child interaction training program was designed and implemented for parents to directly apply at home. The study was limited to one child who had both an intellectual disability and hearing impairment, due to the characteristics of these disabilities. The research employed a multiple-probe baseline across behaviors design, conducted in phases: baseline, intervention, generalization, and maintenance. The intervention consisted of 20 sessions, structured across five developmental stages. Following the intervention, the mother continued daily interaction training with the child at home. The interactions between the child and parent were recorded once a week for 15 minutes over a total of 38 sessions. The frequency of changes in communication skills was analyzed. Results: The parent-child interaction training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communication skills of the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with improvements observed in the following order: responding, demanding, and following instructions.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parent-child interaction training conducted at home is an effective intervention strategy for improving the communication skills of a child with severe and multiple disabilities.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와 중학교 2학년 학생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 간의 관계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
지명원,이주연 한국아동부모학회 2024 아동부모학회지 Vol.10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중학교 2학년 학생들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의 매개효과를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NYPI)이 제공한 한국아동․청소년패널조사 2018 데이터 가운데 중학교 2학년 학생 2,039명의 자료를 활용하였으며,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 사회적 위축, 스마트폰 과의존 측정도구를 사용하여 신뢰도 분석, 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 분석, 3단계 매개효과 분석, Sobel test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년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영향을 미 치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부정적 양육태도 수준이 높을수록 청소년의 여가추구형 스 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가 청소 년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에 미치는 영향에서 사회적 위축의 부분매개효과 가 나타나 부모의 부정적 양육 태도가 청소년의 사회적 위축 수준을 높이며, 이로 인해 여가 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 수준이 증가한다고 해석할 수 있다. 연구결론: 청소년들의 여가추구형 스마트폰 과의존 예방을 위해서는 부모의 부정적 양육태도를 긍정적 양육태도로 전환하도록 돕는 것이 중요하며, 사회적 위축을 완화할 수 있는 적극적인 개입이 필요하다. 이를 통해 스마트폰 과의존 문제를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을 것이다. Purpose: This study aimed to examine the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on the relationship between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and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among 2nd grade middle school students. Methods: This study utilized data from 2,039 2nd grade students extracted from the 2018 Korean Child and Youth Panel Survey provided by the National Youth Policy Institute (NYPI). Reliability was assessed using measurement tools for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ocial withdrawal, and smartphone dependence. Correlation analysis,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three-stage mediation analysis, and the Sobel test were performed. Results: First, it was found that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significantly affect adolesc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with higher levels of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leading to increased levels of overdependence. Second, in the effect of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on adolesc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a partial mediating effect of social withdrawal is observed. This suggests that parents' negative parenting attitudes increase adolescents' levels of social withdrawal, which in turn leads to a higher level of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Conclusion: To prevent adolescents' leisure-oriented smartphone overdependence, it is important to help parents shift from negative to positive parenting attitudes and to implement active interventions that can alleviate social withdrawal. Through these measures, the issue of smartphone overdependence can be effectively prevented.
조기 입학 아동에 대한 초등학교 1학년 교사의 인식 -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중심으로
이선영,김수향 한국아동부모학회 2021 아동부모학회지 Vol.7 No.1
본 연구의 목적은 조기 입학에 대한 교사의 인식과 조기 입학 아동의 학교 적응 정도 를 진단해보고 추후 조기 입학 아동에 대한 이해도를 높이고, 학교 생활 적응에 도움을 줄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연구 참여자는 조기 입학한 아동 1명과 아동이 재학 중인 A 초등학교에서 근무하는 1학년 교사 5명이며 자료 수집을 위해 포커스그룹 인터뷰를 활용하였다. 연구 결과를 살펴보면 첫째, 교사들은 연구 대상 아동 의 학교 생활 적응 정도는 우수한 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둘째, 교사들은 연구 대상 아 동의 학업성취도는 우수한 편으로 인식하고 있었다. 셋째, 교사들은 연구 대상 아동의 교우관계에 있어 다소 문제점이 보인다고 인식하였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조기입학을 준비하는 아동의 취학 전 가정교육과 유아교육기관에서의 학습 태도와 사회적 기술을 경 험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야 함을 시사한다. 아울러 본 연구 참여 아동을 대상으로 진 급에 따른 종단 연구를 지속적으로 진행한다면 조기 입학 아동의 학교 생활 적응에 도움 을 줄 수 있는 심도 깊은 정보를 제공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iagnose the teacher's perception of early admissions and the degree of early admission children adaptation to school and to provide basic data to enhance their understanding of early admission children and help them adapt to school. Participants in the study were one child who entered the school early and five first-year teachers who worked at A elementary school where the child was attending and used focus group interviews to collect data. First, teachers recognized the degree of adaptation of the children studied to school life as superior. Second, teachers recognized the academic performance of the children studied as excellent. Third, teachers recognized that there were some problems with the fellowship of the children studie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study, it suggests that children who prepare for early admissions should prepare a foundation to experience their pre-school home education and learning attitudes and social skills in early childhood education institutions. Furthermore, it is believed that continuing to conduct long-term studies on children participating in this study will provide depth information that can help early admission children adapt to school life.
홍혜교 한국아동부모학회 2017 아동부모학회지 Vol.3 No.1
본 연구는 시설보호아동들이 시설 입소 전후로 자신들에게 다양하게 제공되는 상담프로그램 들을 어떻게 경험하고 있는지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I 지역의 아동양육시설에 거주하고 있는 시설보호아동 5명을 대상으로 2016년 6월부터 7월까지 심층면담을 통해 자료를 수집하고, 질적 연구방법을 적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 첫째, 시설보호아동들이 경험한 상담은 ‘상담의 주인공은 누구인가요?’라고 생각하게 되는 것이었다. 내가 왜 상담을 받아야 하는지, 언제 시작하 는지, 언제 끝나는지 알 수 없는, 상담의 주체는 ‘내’가 아닌 것이었다. 둘째, 시설보호아동들은 상담실에서 “있는 그대로의 나”로써 수용되지 못하였다. 나의 시간을 갖고 싶지만 정해진 시간에 상담실에 가야만 하고, 하고 싶지 않은 작업을 강요받으면서 대충대충 한다는 지적을 받기도 한다. 셋째, 시설보호아동들은 내가 사는 세상과 상담실의 세상의 상반된 경험을 하게 된다. 아동들이 사는 세상에서 경험하는 반복되는 폭력과 학대를 상담자에게 털어놓았을 때, 상담선생님이 제안 하는 방법들은 상담실 밖의 나를 도와주지 못했다. 마지막으로 시설보호아동들은 상담실을 진정 한 나를 발견하는 곳으로 경험하게 된다. 아동들은 상담실에서 내가 꾸미고 싶은 나만의 세상을 꾸미기도 하고, 나의 이야기에 집중하여, 공감하고 들어주며 편안함을 주는 상담 과정을 통해 자신 감을 갖게 되고, 예전과는 다른 ‘나’를 발견하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결과에 기초해서 시설보호아 동의 상담 프로그램은 아동들의 특수성을 고려하여 보다 전문적으로 계획되고, 체계적으로 제공 되어야 한다는 점을 제언하였다. This study analyzes the counseling experiences of institutionalized children with qualitative research method. According to the study, it is revealed that institutionalized children had no idea of why they started counseling, let alone when the counseling started and ended. Institutionalized children actually wanted to have free time, but they had to go to the counseling room at a fixed time and were forced to do what they did not want. So institutionalized children did not feel that they were accepted as “just as they are” in counseling. Also, when the counselor suggested the ways to overcome the violence and abuse from which the children suffered, it was found out that they were far from helpful. However, in the counseling room it was also reported that the children were able to create their own world, and the counselors listened to their stories intentively with empathy. Institutionalized children gained confidence through this process. These results suggest that counseling programs for institutionalized children should be planned carefully and professionally so
초등돌봄교실에서 아동권리를 바탕으로 한 교육환경 발전방안에 대한 고찰
이선영,김수향 한국아동부모학회 2021 아동부모학회지 Vol.7 No.2
연구목적: 본 연구는 초등돌봄교실의 교육환경의 활용 및 운영실태에 대한 학부모와 교 사의 인식을 아동권리적 관점에서 비교 분석함으로써, 아동권리가 실현되는 초등돌봄교 실의 교육환경 발전방안을 제시하여 초등돌봄교실의 아동 중심 정책 추진의 기반을 마 련하는데 기여하고자 한다. 연구방법: 경상북도교육청 관내 초등학교 10개교의 초등돌봄교실을 이용하고 있는 학부모 150명과 초등돌봄교실 담당 경험이 있는 교사 150명이 참여하였다. 회수된 247부 중 유 효 설문지 214부를 분석하였다. 설문조사는 2021년 9월 1일부터 2021년 9월 10일까지 실시하였다. 분석 방법은 빈도분석, 신뢰도분석, t-검증, 교차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학부모와 교사 모두 돌봄교실 시설환경에 대한 만족도는 높은 편이나 학부모는 다양한 교육활동이 가능한 교구 확보 등 교육활동 측면의 시설환경 개선에 관심이 높 았던 반면, 교사는 돌봄교실의 위치와 전용 교실 확보 등 외형적인 시설환경에 더 관심 이 많은 것을 볼 수 있다. 아동 의견 반영 및 놀이 환경 구축에 대하여 교사가 학부모보 다 우선시하고 있었다. 연구결론: 제4차 저출산⋅고령사회 기본계획의 아동정책의 핵심과제인 아동의 기본권에 대한 보편적 보장을 달성하기 위하여 초등돌봄교실 교육환경 면에서 학부모와 교사 양측 모두의 의견을 균형 있게 수용함과 동시에 아동권에 기초한 초등돌봄교실 정책의 비전 이 마련되어야 함을 시사한다. Purpose: This study aims to contribute to laying the foundation for the promotion of child-centered policies in elementary care classes by comparing and analyzing the perceptions of parents and teachers on the use and operation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care classes from a child rights perspective. Methods: 150 parents using elementary care classes at 10 elementary schools in the Gyeongsangbuk-do Office of Education and 150 teachers with experience in elementary care classes participated. Of the 247 copies collected, 214 copies of the valid questionnaire were analyzed. The survey was conducted from September 1, 2021 to September 10, 2021. As for the analysis method, frequency analysis, t-verification, and cross-analysis were performed. Results: Both parents and teachers were highly satisfied with the facility environment of the care class, but parents were interested in improving the facility environment in terms of educational activities, such as securing teaching aids for various educational activities, while teachers were more interested in the location of the care class. Teachers prioritized the reflection of children’s opinions and the establishment of a play environment over parents. Conclusion: This suggests that in order to achieve universal guarantee of children’s basic rights, which is the core task of the 4th Basic Plan for Low Fertility and Aged Society, both parents and teachers should be balanced in terms of the educational environment of elementary care classes.
부모의 양육 태도가 만 5세 유아의 또래관계와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
이성주,김수향 한국아동부모학회 2019 아동부모학회지 Vol.5 No.1
본 연구는 부모의 양육태도가 만 5세 유아의 또래관계와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데 목적을 두었다. 부모의 양육태도 측정도구는 상형자(1992)와 오화심(1994)이 Schaefer(1959)의 MBRI를 참고하여 만든 질문지 사용하였고, 만5세 유아의 또래관계를 측 정도구는 Fantuzzo, Manzd와 McDermott(1998)이 제작한 PIPPS를 번안한 정현빈(2011) 의 또래관계 평정척도 사용하였다. 만5세 유아의 자기조절력을 측정하기 위해서는 이정란 (2003)이 개발한 부모용 평정척도로 개발한 도구를 사용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Window용 SPSS 20.0프로그램을 사용하여 , 빈도분석,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연구결과 본 연구결과 부모의 양육태도에서 아버지와 어머니의 양육태도에 따른 유아의 또래관계에 미치는 영향의 차이가 있고, 부모가 자녀를 대하는 양육태도가 애정적 일수록 만 5세 유아의 자기조절능력수준을 높일 수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는 학령 전 만 5세의 유아를 대상으로 하여 부모의 양육태도가 또래관계와 자기조 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에 대해 살펴봄으로서 가정에서 자녀를 양육함에 있어서 부모의 효율 적인 양육태도에 따른 개선방안을 마련하고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를 제공하고자 한다. This study ascertained an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and self control ability of children aged five. A tool which was developed by HyeongJa Sang(1992) and HwaSim Oh(1994) by referring to MBRI of Schaefer(1959) was used to measure parenting attitude. A tool for rating peer relationship developed by HyunBin Jeong(2011) who adapted PIPPS made by Fantuzzo, Manzd and McDermott(1998) was used to measure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aged five. A tool developed by JeongRan Lee(2003) was used to measure self control of children. Frequency analysis, reliability analysis and multiple regression analysis were conducted by using SPSS 20.0 program for window to analyze data collected. First, when examining an influence of parenting attitude on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it was ascertained that parenting attitude had a significant influence on peer relationship of children aged five. It was found that the higher father's affectionate attitude was, the higher interaction of children in play with peers was. The study showed that there is a difference in the child's peer relationship with the parent's upbringing and that the more loving the parent's upbringing, the higher the level of self-regulating the 5-year-career.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한국의 문화예술 관련 초중등 교육과정 비교연구
이지윤,정대련 한국아동부모학회 2024 아동부모학회지 Vol.10 No.1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curricula of Korea and three Norway, Sweden, Finland in detail in terms of class time allocation, achievement goals and content system, and content elements in order to compare and analyze the relevance of cultural arts. Methods: In the first and second stages of the International Standard Classification of Education (ISCED) stage, the curriculum, class hours, and educational contents of culture and art were compared and analyzed using Norwegian, Swedish, Finnish, and South Korean curriculum and other official documents and research reports as data. Results: First, the four countries commonly incorporated arts and culture into their curricula in the following subjects: national language, music, fine arts (visual arts and crafts), and physical education. Norway, Sweden, Finland additionally incorporated arts and culture into religious education, ethics, social studies, and history. Second, in all four countries, the national language is the most important subject in the classroom, with literature playing an important role. Third, in ISCED1, the proportion of arts and culture courses in all four countries was more than 50%, but in ISCED2, the proportion of arts and culture courses decreased overall. In ISCED2, Norway, Sweden, Finland maintained the content of arts and culture at around 50.97% to 59.76%, but Korea saw a significant decrease to 33.39%. Fourth, when analyzing the achievement goals and contents of the curriculum, the four countries had similar achievement goals, and children's literature, songs, stories, dance, and artworks were commonly used in cultural education, while the three Nordic countries also emphasized architecture and digital tools. Fifth, in terms of arts and culture content, South Korea emphasizes the arts, while the three Nordic countries reflect cultural diversity with an aesthetic perspective throughout the curriculum. Conclusion: : South Korea education education should understand the need for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in curriculum organization, and refer to the cases Norway, Sweden, Finland for future curriculum improvement and promotion to improve the quality of cultural and artistic education and its contribution to educational subjects and beneficiaries. 연구목적: 본 연구는 한국과 북유럽 3국(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의 교육과정을 기초로 하여 문화예술과의 관련성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수업시간 배분, 연구방법: 노르웨이, 스웨덴, 핀란드, 한국의 교육과정 및 기타 공식 문서, 연구보고서 등을 자료 로 활용하여 국제표준교육분류체계(ISCED) 단계의 1단계(초등학교)와 2단계(중학교)에 서 문화예술이 교육내용으로 활용되는 교과와 수업시간, 교육내용을 비교 분석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4개국 공통적으로 문화예술이 활용되는 교과는 국어, 음악, 미술(시각예술 및 공예), 체육 등이었다. 북유럽 3국은 추가적으로 종교교육 및 윤리, 사회, 역사 교과에서도 문화 예술을 교육내용으로 활용하였다. 둘째, 4개국 모두 수업시간의 비중에 있어서 국어 교과 가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문학을 통한 교육이 중요한 역할을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 났다. 셋째, ISCED 1단계에서 4개국에서문화예술을 활용한 교과가 50% 이상을 상회하였 으나, 2단계가 되면서 문화예술 관련 교과의 비중이 전반적 줄어들고 있었다. 한편 2단계 에서도 북유럽 3국은 문화예술 관련 내용을 약 50.97%~59.76% 수준에서 유지하고 있으 나, 한국은 33.39%, 큰 폭으로 감소하였다. 넷째, 교과의 성취목표와 내용을 분석한 결과 4개국이 추구하는 성취목표가 유사하였으며, 문화예술교육에 아동문학, 노래, 이야기, 춤, 미술작품 등이 공통적으로 활용하고 있었으며, 북유럽 3국은 추가적으로 건축, 디지 털 도구 등도 강조하고 있었다. 다섯째, 교과에 관련한 문화예술 내용에 있어서, 한국은 예술적인 부분을 강조하고 있으며, 북유럽 3국은 교과 교육 전반적으로 미학적 관점과 더불어 문화적 다양성을 반영하고 있었다. 연구결론: 한국의 초중등 교육과정 구성에 있어서 문화예술교육에 대한 필요성을 이해하고, 향 후 교육과정 개선 및 추진을 위해 북유럽 3국의 사례를 참고하여 문화예술교육의 질 적 개선 및 교육 주체와 수혜자들에 대한 기여를 도모해야 할 것이다.
스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에서 만 6세 아동의 프로그래밍 과정
백은영 한국아동부모학회 2022 아동부모학회지 Vol.8 No.2
Purpos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plore the programming process of 6–year– old children in play using ScratchJr and find implications for the programming education for 6–year–old children. Methods: The participants were four 6–year–old children enrolled in the M Center in D city. The activities was carried out once a week with 50-minute duration per session, eight times in total in the designated classroom of the M Center from July 3 until August 28, 2021. The collected materials were onsite videotaping, the researcher’s study note, videotaping of individual activities using ScratchJr, and ScratchJr project outcome. The material analysis was conducted as follows: After putting togethering how the four children carry out programming in the onsite videotaping transcription, screen recording transcription and screen capture, and photo records of the project outcome in the order, the phases were separated on the basis of the time when change was shown. Results: According to the study result, the children programmed their own project by intentionally designing with words and setting sequence in such programming phases as major function prediction and application, peers’ influence and coding, and thinking and expressing. Conclusion: Through this study, it was found that enough time to explore by themselves, interactions with peers, and listening and questioning through which ideas can be created in the programming education for 6–year–old children are important. 연구목적: 본 연구는 스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에서 만 6세 아동의 프로그래밍 과정을 탐구하 여 만 6세 아동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에 시사점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연구방법: 연구참여자는 대전광역시 M센터에 재원 중인 만 6세 아동 4명이었다. 연구자료는 참여관찰과 면담의 방법으로 2021년 7월 3일부터 8월 28일까지 연구참여자들의 스 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 활동이 주 1회 50분씩 수집되었다. 수집된 자료는 연구자 가 캠코더로 녹화한 현장 관찰 기록, 연구참여자별 스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 과정 이 기록된 태블릿PC의 화면 녹화본, 개별 스크래치주니어 프로젝트에 자동 저장되 는 결과물의 사진 기록, 연구자의 연구노트 등이었다. 자료분석은 수집된 자료의 전 사, 전사본의 반복적인 검토와 이해, 연구참여자 행위 변화 단계 구분, 단계별 전사 내용의 정리로 진행되었다. 연구결과: 스크래치주니어 활용 놀이에서 만 6세 아동의 프로그래밍 과정은 주요기능의 예측 과 시도, 또래의 영향과 코딩, 계획과 순서의 표현 단계로 진행되었다. 연구결론: 만 6세 아동은 프로그래밍 언어 스크래치주니어를 가지고 스스로 주요 기능을 탐구 하고 또래와의 상호작용을 통해 코딩을 이해하며 점차 의도를 가지고 설계 및 순서 정하기를 포함한 프로그래밍을 하였다. 이를 통해 만 6세 아동의 프로그래밍 가능성 을 확인하였고, 이들을 위한 프로그래밍 교육에서는 스스로 탐색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 또래와의 상호작용, 아이디어를 창안할 수 있는 경청과 질문 등이 중요하다는 시사점이 제시되었다.
이은희,김수향 한국아동부모학회 2017 아동부모학회지 Vol.3 No.2
2015년 어린이집의 CCTV 설치의무화는 아동학대의 문제점이 우리사회에 인식되었기 때 문에 나타난 정책적 도입이라 할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CCTV 도입이 가진 문제점, 어린이 집 증가에서 나타난 문제점, 아동인권에 대한 우리사회의 인식을 중심으로 유아교육기관 내 에서의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방안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연구결과 첫째, 현재의 법적 환경 에서 CCTV 도입은 불가피하기 때문에 문제가 될 수 있는 자기결정권 침해, 교사의 행동제약 과 사생활 침해, 영유아의 인권침해를 최소화하기 위해 녹화된 영상정보의 열람에 있어서 통 제의 강화를 제시하였다. 둘째, 2000년대 이후 보육의 양적 증가 과정에서 교사들이 적절한 양육방법을 습득하지 못하였으며, 업무과중으로 인해 보육교사가 역할 수행을 하는 것이 어 려울 수 있음을 지적하였다. 이에 어린이집의 경우 공적 기능의 수행을 위한 제반 여건의 마 련이 선행되어야 할 필요성을 제시하였다. 셋째, UN의 아동인권협약과 관련하여 체벌에 대 한 불명확한 인식과 암묵적으로 유아에게 모범적인 모습을 강요하는 경향을 제시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방안으로 교사의 유아인권 인식을 강화하기 위한 보수교육 도입이 대책임을 주장하였다 Since child abuse have surfaced in our society, childcare education institutes are required by law to install CCTVs. Therefore, this study aims at searching for fundamental solutions for child abuse prevention at childcare education institutes especially focused on the problems arising out of CCTV installation, an increase of childcare education institutes, and social recognition regarding child rights. Firstly CCTV installation is inevitable in the current legal environment. We suggest that controls in accessing to the video footage recorded should be tightened up in order to minimize the infringement of teachers' autonomy, of their privacy, and of child rights. Secondly, since 2000, the number of childcare education institutes have been greatly increased. Childcare teachers fail in acquiring proper training in relation to the parenting styles. Moreover, their heavy workload makes them hard to be faithful to their true roles. We suggest that childcare educational institutes be required to arrange conditions for their normal public function. Thirdly, in regards to CRC (Convention on the Rights of the Child) of the UN, we take notice of the reality of our indefinite recognition on the corporal punishment and of the tendency to force children implicitly to behave well as an exemplary model. We assert that in-service education for teachers and specific measures for child abuse eradication should be introduced to help childcare teachers strengthen the awareness of child rights
복혜린 한국아동부모학회 2017 아동부모학회지 Vol.3 No.2
본 연구는 유아교사 인성교육을 위한 기초 연구로서 퇴계의 삶을 알아보고, 그의 교육 저 서인 성학십도 중 숙흥야매잠도를 연구하였다. 최근 교육의 현장에서 일어나는 여러 도덕 적 해이와 폭력의 증가 속에서, 교사들을 위한 인성교육에 대한 중요성은 점점 더 강조되고 있다. 인성교육에 대한 논의는 오랜 세월 동안 이어져왔는데, 미래를 위한 인성교육방법으로 퇴계에 주목하였다. 특별히 퇴계의 대표적인 교육서인 성학십도 중 제10도 “숙흥야매잠 도”에서 인성교육의 의미와 실천 가능성을 알아보고자 하였다. 기존의 문헌연구에서 퇴계의 삶과 숙흥야매잠도의 인성교육적 측면을 살펴보고, 교육적 의미를 찾아보았다. 퇴계의 마음공부, 수양론, “경” 공부라고 일컫는 부분들은 유아교사들을 위한 기존 인성교 육 연구의 핵심 덕목들과도 이어진다. 유아교사들의 인성을 위한 교육방법으로서 “퇴계”의 삶을 고찰하고 숙흥야매잠도를 통해 교육적 의미와 실천 가능성을 탐구하고 퇴계의 인성교 육적 가치를 재해석하고자 하였다. 퇴계의 삶과 숙흥야매잠도에서는 나타나는 덕성함양의 삶, 교육에 대한 신념과 실천의 소 신, 마음의 수렴할 수 있게 하는 ‘경’ 공부는 유아교사들의 자기조절력과 심리적 건강, 민감 성, 인내심 등의 마음의 힘을 기를 수 있는 인성 핵심덕목과도 관련 있어 보인다. ‘유아교사 는 국가의 원기’라는 명제를 이끌어 유아교육자의 중요한 위치임을 각성시키고, 퇴계와 관련 된 한국 교육고전에 대한 고취는 본 연구의 의의라고 볼 수 있겠다. 앞으로 유아교사 인성교 육을 위한 프로그램 등 퇴계학 관련 연구가 현대 시대에 맞게 이어져야겠다. This study aims at in-depth investigation, to gain insights on our present nursery education, on Toegye's life and his ideas of character education based on close reading of "Sookhungyamaejamdo" in one part of "Sung Hak-sipdo" which is his book on education. With the moral hazards and violence increasing in the field of education, the importance of character education is emphasized more and more. The debate over character education has long been debated, and researchers have directed their attention to Toegye as a desirable source of education for the present and the future. In particular, I explore the meaning of character education and its practicality in "Sookhungyamaejamdo" which is the 10th figure of the "Sung Hak-sipdo" Through the literature review, I investigate into the educational aspects of Toegye's life, his views on education, and educational insights. "Mind study" of Toegye, his "Theory of nursing", which are referred to as " Kyung" education are consistent with the core courses of Character Education Promotion Act implemented in 2015, and are also in line with the core virtues of education for infant teachers. In other words, as an educational method for early childhood teachers, a study on Toegye's life and an exploration of its practicality in "Sookhungyamaejamdo" are invaluable. In conclusion, more research should be followed, in relation to Toegye with a focus on character education for infant teacher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