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등재정보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고령자의 인지연령 지각, 남은 생애 지각 및 현재 정서 상태가 유튜브 뉴스 콘텐츠의 선택적 시청에 미치는 영향

        김남진(Namjin Kim),강정석(Jungsuk Ka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3

        본 연구의 목적은 고령자의 인지연령 지각, 남은 생애 지각 및 현재 정서 상태가 특정 정치성향(보수 성향 vs. 진보 성향)의 유튜브 뉴스 콘텐츠에 대한 선별적 시청에 미치는 상호작용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만 60세 이상의 고령자를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한 후 총 208명의 자료를 대상으로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먼저 인지연령 지각, 남은 생애 지각 및 현재 정서 상태는 특정 정치성향의 유튜브 뉴스 콘텐츠의 시청의향에 삼원 상호작용 영향을 미쳤다. 다음으로 인지연령 지각의 중수위 분할(저 인지연령 지각 집단 vs. 고 인지연령 지각 집단) 이후 실시한 통계분석 결과, 저 인지연령 지각 집단은 남은 생애를 제한적으로(vs. 확장적으로) 지각할수록 그리고 부정 정서 상태일수록 진보 성향(vs. 보수 성향)의 유튜브 뉴스 콘텐츠 대비 보수 성향(vs. 진보 성향)의 유튜브 뉴스 콘텐츠의 시청의향이 더 높아졌다. 반면 고 인지연령 지각 집단의 경우, 남은 생애 지각과 현재 정서 상태는 특정 정치성향의 유튜브 뉴스 콘텐츠 시청의향에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이와 같은 본 연구의 결과에 대한 해석과 함의를 논의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older adults’ cognitive age percepti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urrent emotional state can have interaction effects on their selective viewing of YouTube news contents adopting a specific political orientation (conservatism vs. progressivism). To obtain the goal, statistical analyses for the data collected from totally 208 respondents were performed after an online survey with older adults over the age of 60 years was conducted.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cognitive age perception,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urrent emotional state had a 3-way interaction effect on respondents’ intention to watch YouTube news contents adopting a specific political orientation. Next, statistical analyses conducted after median split of cognitive age perception (low perceived cognitive age group vs. high perceived cognitive age group) revealed that as respondents perceived their future as more open-ended (vs. limited) and felt their current emotional state as more negative, their intention to watch conservative-inclined (vs. progressive-inclined) YouTube news contents over progressive-inclined (vs. conservative-inclined) YouTube news contents increased for low perceived cognitive age group. However, respondents’ future time perspective and current emotional state did not influence their intention to watch YouTube news contents adopting a specific political orientation for high perceived cognitive age group. Interpretations and implications of these study findings were discussed.

      • KCI등재

        간섭권한과 패션감각이 남자친구의 패션스타일 통제에 미치는 영향

        성영신 ( Young Shin Sung ),강정석 ( Jungsuk Kang ) 한국감성과학회 2015 감성과학 Vol.18 No.4

        사람들은 자신이 애정을 가지고 있는 중요 타인(예. 자녀, 배우자, 연인)을 또 다른 자기(extended self)라고 생각하고 자신의 자기 개념에 부합하는 방향으로 이들의 패션 스타일을 통제하려는 경향이 있다. 본 연구는 개념적으로 통제하려는 사람이 지각한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 수준이 중요 타인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독립적 또는 상호작용의 영향을 미칠 것이라고 제안하였다. 이를 검증하기 위해서 연애 중인 20대 여성을 대상으로 시나리오를 이용한 실험을 진행했다. 연구 결과, 20대 여성 실험 참가자가 지각한 남자친구에 대한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수준은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독립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반면 간섭권한 정도와 패션감각수준의 지각은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에 상호작용 효과를 미치는 것으로 밝혀졌다. 보다 구체적으로 지각한 간섭권한이 높은 경우는 패션감각 수준의 차이에 따른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 행동의 차이가 없는반면 지각한 간섭권한이 낮은 경우는 패션감각 수준을 높게 지각할수록 남자친구의 패션 스타일 통제를 더 많이 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People tend to perceive their loved others (e.g., children, spouse, romantic partner) as their extended selves and then control over the loved others`` fashion style corresponding to their self-concept. The study conceptually suggested that people``s perceptions on legitimacy to interfere the others and their own fashionability would separately or interactively influence their control over the loved others`` fashion style. To investigate the suggestions, an experiment with female participants in their 20``s was conducted by using a scenario. The results indicated that participants`` perception of legitimacy to interfere their boyfriends or their own fashionability did not have a separate effect on control over their boyfriends`` fashion style. However, the legitimacy and the fashionability did have an interactive effect on the control. In particular, for high legitimacy groups, there was no difference in the control between low and high fashionability groups. For low legitimacy groups, the control was stronger in high fashionability group than in low fashionability group.

      • KCI등재

        기부 광고 효과에 대한 ERP 연구: 심상과 주의

        성영신 ( Young Shin Sung ),김지연 ( Jiyoun Kim ),강정석 ( Jungsuk Kang ) 한국감성과학회 2014 감성과학 Vol.17 No.2

        기부 광고가 기부의향을 효과적으로 촉진시키기 위해서는 목표 청중이 동정심, 공감이나 심리적 불편감등의 정서를 느끼도록 하는 전략이 필요한 것으로 알려졌다. 선행연구들은 기부 광고에 의해서 유발되는 정서적 경험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요인으로 광고의 언어적 요소인 메시지의 속성(구체성과 정서가)과 그에 따른 심리적 반응(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을 제안한다. 기부 광고를 처리하는 심리적 기제를 이해하기 위해서, 본 연구는 선행연구들을 근거로 ‘기부 광고의 메시지 속성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 →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 → 정서적 경험 → 기부의향’의 개념적 모형을 제안하였다. 이와 같은 개념적 모형 중 본 연구는 메시지의 구체성과 정서가가 (1) 심상 유발과 주의 집중에 미치는 영향을 ERP로 측정하고, (2) 기부의향에 미치는 영향을 기부의향금액을 측정하여 실증적으로 검증하고자 했다. 그 결과, 구체적인 메시지는 추상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심상을 더 유발시키며, 부정적인 메시지는 긍정적인 메시지에 비해서 더 많은 주의를 불러일으키는 것으로 밝혀졌다. 또한 메시지가 구체적이면서 부정적일 경우, 기부희망금액이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A way to increase effectiveness of charitable donation ads is to activate or magnify emotional experiences (e.g., sympathy, empathy, psychological distress) among target audience. Past studies suggest that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which activate or magnify emotional experiences, can be influenced by verbal message attributes (i.e., message concreteness and valence) of charitable donation advertisements. Based on the previous research, the study built a conceptual framework for processing of charitable donation advertising: message concreteness and valence →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 emotional experiences → donation intention. To verify the framework, the study investigated on the influence of message concreteness and valence on mental imagery and attention through assessing ERP responses. It also examined how message concreteness and valence have an effect on the intent to donate through measuring the amount of donation. The study revealed that concrete message activated mental imagery more than abstract message whereas negative message enhanced attentional level more than positive message. Compared to the other conditions, when the message was concrete and negative, the amount of donation was significantly large.

      • KCI등재

        온라인 광고 내용특성과 실행특성의 효과성에 대한 메타분석 연구: 국내 연구를 중심으로

        김봄(Bom Kim),김도연(Doyeon Kim),강정석(Jungsuk Kang) 강원대학교 사회과학연구원 2021 사회과학연구 Vol.60 No.2

        본 연구의 주요 목적은 국내 선행연구에서 검증한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과 실행특성이 온라인 광고 효과성에 미친 영향력을 알아보는 것이다. 또한 본 연구는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 또는 실행특성과 온라인 광고 효과성간의 관계를 조절하는 연구 특성이 무엇인지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2008년 – 2019년의 기간 중 6개의 국내 광고 관련 주요 학술지에 게재된 온라인 광고 연구 논문들을 대상으로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은 브랜드구입의향(매우 강하게), 브랜드태도(매우 강하게), 광고태도(강하게), 광고회상(강하게) 및 광고수용의향(강하게)에 영향을 미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온라인 광고의 실행특성은 광고주의, 광고태도, 브랜드태도 및 브랜드구입의향에 강한 영향을 미쳤다. 둘째,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은 실행특성보다 광고태도와 브랜드구입의향에 더 큰 영향을 미친 것으로 밝혀졌다. 마지막으로 선행연구의 몇몇 연구 특성(예.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 또는 실행특성의 조작 또는 측정)에 따라서 온라인 광고의 내용특성과 실행특성이 온라인 광고 효과성에 미치는 영향력이 달라진다는 점을 발견하였다. The main goal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how much online ad content and execution characteristics examined by Korean past research influenced online ad effectiveness. This study is also to explore what types of research characteristics moderate the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ad content or execution characteristics and online ad effectiveness. To obtain the goals, meta analyses were conducted for the studies on online ad effectiveness in six major ad-related journals published in Korea between 2008 and 2019. The study findings are as follows. First, online ad content characteristics affected brand purchase intention (very strongly), brand attitude (very strongly), ad attitude (strongly), ad recall (strongly) and ad acceptance intention (strongly). And online ad execution characteristics strongly influenced ad attention, ad attitude, brand attitude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Second, online ad content characteristics were more likely to affect ad attitude and brand purchase intention than online ad execution characteristics. Lastly, the strengths of relationships between online ad content or execution characteristics and online ad effectiveness differed depending on some research characteristics of previous studies (e.g., manipulation or measure of online ad content or execution characteristics).

      • KCI등재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의 개발 및 타당화

        김도연 ( Kim¸ Doyeon ),송찬기 ( Song¸ Changi ),강정석 ( Kang¸ Jungsuk ) 한국소비자학회 2021 소비자학연구 Vol.32 No.4

        본 연구의 목적은 한국인의 감정욕구를 측정하기 위한 신뢰할 만하고 타당한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를 제안하는 것이다. 이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3개의 하위 연구를 온라인으로 진행하였다. 연구 1에서 Maio와 Esses(2001)의 감정욕구 척도에 대한 한국인 대상의 타당화를 진행하였다. 그 결과, 21개 문항의 3요인 구조 (감정회피, 감정이해, 감정체험)로 구성된 한국판 감정욕구 척도를 개발하였다. 연구 1에서 확정한 한국판 감정욕구 척도를 기반으로 연구 2에서 9개 문항의 3요인 구조로 구성된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를 국내용으로 개발하고 타당화하였다. 두 하위 연구(연구 1과 연구 2) 결과에 의하면,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가 한국판 감정욕구 척도보다 심리측정학적으로 그리고 경제적으로 우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한국인(만 20-29세 집단 vs. 만 60세 이상 집단)을 대상으로 실시된 연구 3에서 한국판 단축형 감정욕구 척도의 교차 타당도와 준거 타당도가 높음을 확인하였다. The goal of this study is to suggest a Korean version of a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to measure Koreans’ need for affect reliably and validly. To obtain the goal, three sub-studies were conducted online. In Study 1, the need for affect scale developed by Maio and Esses(2001) was validated for a Korean sample. As a result, a Korean version of need for affect scale with a 21 items, three-factor structure (emotional avoidance, emotional understanding, emotional experience) was developed. Based on the Korean version of need for affect scale, a Korean version of a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with a 9 items, three-factor structure was developed and validated for the same Korean sample in Study 2. The results of the two sub-studies (Study 1 and Study 2) confirm that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is psychometrically and economically superior to the Korean version of need for affect scale. In Study 3 with other Korean sample (Koreans aged 20 - 29 years vs. Koreans over 60 years), the cross validity and the criterion validity of the Korean version of the short-form need for affect scale were found to be high.

      • KCI등재

        초기 부적응 도식, 정서조절곤란, 그리고 SNS 중독의 관계

        김수성 ( Sue-sung Kim ),이영순 ( Young-soon Lee ),강정석 ( Jungsuk Kang ) 한국감성과학회 2017 감성과학 Vol.20 No.2

        심리치료의 궁극적인 목표는 특정한 심리적 문제를 유발하는 근본적 원인을 파악하여 이를 수정하고 변화시키는것이다. 본 연구는 이와 같은 관점에서 최근 사회적 문제로 급부상하고 있는 SNS 중독의 근본 원인을 파악해서 향후 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에 도움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통해서 부적응적 자기개념(예: 낮은 자기존중감), 부적응적 성격 특성(예: 강한 자기애), 그리고 강한 부정적 정서 경험(예: 높은 수준의 불안)이라는 SNS중독의 표면적 원인을 파악하였다. 이후 본 연구는 선행 연구 개관을 기반으로 이들 표면적 원인 기저의 근본적 원인으로 인지적 차원의 초기 부적응 도식과 정서적 차원의 정서조절곤란을 도출하고 `초기 부적응 도식 → 정서조절곤란→ SNS 중독`이라는 심리적 부적응 기제를 개념적으로 제안하였다. SNS 중독의 고위험군인 20대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한 결과, 20대 여성 집단에서 이와 같은 심리적 부적응 기제가 나타났지만 20대 남성 집단에서는 `초기 부적응도식 → SNS 중독`의 관계만 유의미한 것으로 밝혀졌다. 본 연구 결과는 20대 남녀의 초기 부적응 도식에 대한 인지치료나 20대 여성의 정서조절곤란에 대한 정서치료가 SNS 중독 치료에 실질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는 함의를 제공한다. The ultimate purpose of psychotherapy is to identify covert causes of a psychological problem and then to modify and change the causes. The goal of this study is also to make contribution to SNS addiction intervention program development through exploring the covert causes of SNS addiction which recently became social issue. Previous research identified such overt causes of SNS addiction as maladaptive self-concept (e.g., low self-esteem), maladaptive personality (e.g., strong narcissism) and strong negative emotions (e.g., high level of anxiety). Based on previous research, the study explored early maladaptive schema (i.e., cognitive dimension) and emotion dysregulation (i.e., emotional dimension) as the covert causes of SNS addiction and conceptually developed psychological maladaptive mechanism of `early maladaptive schema → emotion dysregulation → SNS addiction.` As a result of a survey with respondents in their 20`s who are at high risk for SNS addiction, the mechanism was confirmed for females. However, a significant relationship of `early maladaptive schema → SNS addiction` was found for males. The findings offer an implication that interventions of early maladaptive schema for males and females in their 20`s and interventions of emotion dysregulation for females in their 20`s can fundamentally help cure their SNS addiction.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