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과학관의 평생교육 기능 활성화를 위한 기초 연구 :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과학관 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을 중심으로

        문성채 한국방송통신대학교 평생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8639

        Science museum, an institution of lifelong education, educates the people through various science programs including exhibition, scientific principles and scientists' moral from children to adults. In this aspect national science museums of Korea are inefficient because they deficits the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adults compared to those for infants and children. This study is to solve the problem which is a lack of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adults at science museum.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italiz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ts at science museum, and the research subjects are as follows; first, in national science museums(Seoul National Science Museum and National Science Museum) how are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what is the problems of the programs?, second, in the science museums of foreign countries(Science Museum in England and Exploratorium in USA), how is the educational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what is the lessons from them? third, how is the condition of science education at school?, and how is the preference and recognition of adolescents and their science teachers for school outreach programs at science museum?, forth, how were the school outreach programs developed? The subjects in this study were 308 middle-school students and 40 science teachers from 6 schools at Seoul, Kyung-gi and In-cheon, which are choiced randomly. The methods of research are the analysis of science museum homepages on web, interviews with officials and researchers at science museum, and the surveys of students and science teachers. Through web pages of two national science museums in Korea, the only program for adolescents is 'Meet Scientists in a Science Museum'. Education officials explained the reason lacking adolescent programs at science museum as the deficiency of their requirements. In contrast to national science museum in Korea, the science museum in England has school outreach programs for adolescents, and Exploratorium in USA provides a lot of educational programs to adolescents. The results of survey for adolescents are as follows; Adolescents lacked outdoor activities of science(15.3~16.9%). They were interested in science(59.7%) but recognized it difficult(34.5%). High interest in school outreach program at science museum was observed(65.3%), and interested programs were practical science(65.9%) and textbook science(39.6%). Attendance in school unit(75.6%) was more preferred at school outreach programs than that in individuals(23.7%). Science teachers in survey requred direct participation in designing(60.0%) and instructing(50.0%) of school outreach programs with curators. The teachers also prefer to attend the programs at school(72.5%) rather than go to science museum(27.5%). The teachers and adolescents selected the capters for school outreach programs, which are difficult for doing experiments in schools because of unequipped. The summary of this study is as follows. First, the school outreach programs should include textbook sciences and practical sciences, and the programs must be developed not only by curators but by teachers and curators. Second, the place for running of programs should be both schools and science museums. Third, the managers of programs should be teachers supported by science museum, and the instructors of programs should be teachers as well as curators. Forth, the previous aquisition of programs should be via web site or direct visiting to science museum. It should be also considered for science teachers to provide experimental movies and manuals. The programs of science museum have been developed by the officials or researchers in science museum without survey for spectators' requirements and preferences. In consequence the program developers put value on the programs for infants and children, and they cannot find the solution about the absence of programs for adolescents. Therefore this study suggested the school outreach programs of science museum to take adolescents into science museum and to assist their concern for science. In conclusion, the science museums's outreach programs visiting schools(such as moving museum) should be considered, and these programs should be developed by the connection between schools and science museums. Also it is suggested that the network should be constituted on the web site(homepage of science museum), as the direct visiting to science museum is hard. This study suggested the fundamental way for science museum to become a adequate institute of lifelong education by increasing its visitors from infants and children to adolescents. It is suggested that the education of adults in science museum should be considered for further study. 과학관은 과학관학적으로 가치 있는 전시물에 대한 교육, 작동 전시물을 통한 과학원리 이해에 대한 교육 뿐 아니라 과학기술과 관련된 사회/윤리 문제까지 다루는 곳으로써, 유아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일반 시민을 위한 평생교육의 장으로써 다양한 프로그램을 통해 과학교육 서비스를 제공하는 곳이다. 이러한 국민 과학평생교육 기관으로서 우리나라 국립과학관은 유아 및 아동에 비해 청소년과 일반 시민을 위한 프로그램이 부족하며, 학교에서의 과학관 접근성의 어려움으로 인해 과학관 활용도가 낮을 뿐 아니라 과학관 전시내용과 프로그램들이 관람객들의 수요에 맞춰 계획되지 않고 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청소년을 대상으로 한 과학관의 평생 교육적 기능을 활성화시키기 위한 한 방안으로,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의 기본 방향을 모색하는 것이며, 이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연구 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국립과학관(국립서울과학관, 국립중앙과학관)의 청소년 교육프로그램 현황 및 문제점은 어떠한가? 둘째, 외국과학관(국립영국과학관, 미국 익스플로라토리움과학관)의 청소년교육프로그램 구성 및 운영은 어떠하며 시사점은 무엇인가? 셋째, 청소년 과학교육 현황과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에 대해 청소년과 과학교사의 인식 및 선호도는 어떠한가? 넷째,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은 어떻게 되어야 하는가? 이 연구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대상은 서울, 경기, 인천에 위치한 중등학교 6곳의 3학년 학생(308명)과 이들의 과학교사(40명)이며, 연구방법은 과학관 홈페이지분석, 과학관 교육담당자와의 인터뷰, 청소년과 과학교사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로 구성되어 있다. 연구문제와 관련하여 우리나라 국립과학관(국립중앙과학관과, 국립서울과학관)의 청소년 대상 상설 교육프로그램을 분석한 결과, 청소년 대상 상설 교육프로그램은 국립서울과학관의 '과학명사와의 만남' 뿐이었다. 이렇게 청소년 상설 교육프로그램 부재에 대해 국립과학관의 교육담당자와의 인터뷰 결과 이들 프로그램이 없는 이유는 과학관 교육프로그램에 대한 청소년 수요가 적기 때문인 것으로 나타났다. 이에 외국 과학관의 청소년 대상 교육프로그램을 조사해 본 결과, 영국국립과학관은적은 프로그램을 가지고도 학교와 연계해 과학관에서 학교를 찾아가 효율적으로 운영하고 있었으며, 미국 익스플로라토리움은 체험형 과학관으로써 연령에 따른 구분 없이 다양한 수준의 체험활동을 제공함으로써 과학을 일상과 자연스럽게 연결시켜 흥미를 유발하고 과학을 친근하게 생활 속에서 느끼도록 하고 있었다. 국내 과학관의 청소년 교육 실태를 분석하고 외국 과학관의 프로그램 운영을 참고하여 중학교 3학년 학생과 중학교 과학지도교사를 대상으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설문조사 결과, 학생들은 학교 밖 과학활동 경험이 적은 것(15.3~16.9%)으로 나타났다. 또한 과학과목에 대한 흥미는 가지고 있지만(59.7%) 과학을 다소 어려운 과목으로 인식(35.4%)하고 있었다. 학생들은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참여에 대해 높은 관심을 나타냈으며(65.3%), 선호하는 프로그램은 실용과학(65.9%)과 교과과학(39.6%) 이었다. 프로그램 참여 방법은 개인단위로 참여하기(23.7%)보다는 학교단위로 참여하기(75.6%)를 원했다. 중학교 과학지도교사들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 결과 및 결론은 다음과 같다. 과학교사들은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 개발 시 과학관 전문연구사와 함께 직접 개발에 참여하기(60.0%)를 원했으며, 개발된 프로그램을 지도하는 데 있어서도 과학관전문지도사와 함께 지도하기(50.0%)를 원했다. 그러나 프로그램 진행에 있어 과학관을 직접 방문해서 하는 방식(27.5%)보다는 과학관에서 학교를 찾아가 진행하기(72.5%)를 원하고 있었다. 중학교 교과 과정 단원 중 과학교사와 청소년이 실험 또는 실물 수업이 필요하다고 지적한 단원을 비교·분석한 결과, 이들이 공통적으로 지적한 단원은 물리와 지구과학 영역의 경우 학교 내 장비로 관측을 하기 어려운 실험들을 과학관-학교 연계 교육프로그램으로 선호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설문조사 결과를 토대로 한 과학관-학교 연계 프로그램 개발에 대한 방안을 요약,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과학관-학교 연계 프로그램 내용은 과학교과와 실용과학이 포함되어야 하며, 프로그램 개발 방법은 과학관 단독이 아닌 과학교사들과 연계해 공동으로 개발되어야 한다. 둘째, 프로그램 실행 장소는 과학관에서뿐 아니라 과학관에서 학교를 찾아가 운영하는 방안이 검토되어야 한다. 셋째, 프로그램 운영은 과학관에서 교사들을 보조해서 이루어져야 하며, 프로그램 지도는 과학관 전문지도사 단독 또는 교사와 함께 지도한다. 넷째, 교사들의 프로그램 내용 사전습득 방법은 과학관홈페이지를 통해서나 과학관 직접 방문을 통하여 이루어져야 한다. 그 외 주관식 설문조사 결과에 따라 과학관 홈페이지를 활용하여 실험 시연 프로그램을 동영상으로 제공하고 과학교사를 위해 학습 지도안을 탑재하는 방안도 고려되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