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펼치기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조선 후기 남양도호부의 농촌생활과 농법‧농업생산의 특색-이옥(李鈺)의 『백운필(白雲筆)』을 중심으로-

        염정섭 한국고전연구학회 2020 한국고전연구 Vol.0 No.50

        In this Essay, focused on Lee Baek Woon-pil of Lee Ok, a person who lived in Songsan, Namyang county from the late 18th to early 19th centuries, we examined the daily life of rural life at the time, the characteristics of farming methods, and the market orientation of agricultural production. While experiencing the daily life of rural life in Songsan in detail, Lee Ok directly practiced cultivation of seeds and flowers related to agriculture, and internalized the way of interpreting farmers' natural phenomena. In addition, Lee Ok briefly summarized the farming methods of the Namyang County area based on his own opinions, and made clear his suggestions regarding the rice farming method, varieties of rice, the importance of ploughing and weeding. He also tried how to improve or improve the farming method, or to explore and experiment with farming methods that can produce a lot of harvest. Lee Ok was approaching principle of farming in a number of ways of hearing and seeing from the old farmers, the peasants, and neighbors. At that time, in the BaekWoonPil, Lee Ok summarized and recorded various aspects of agricultural production aimed at the market. He paid attention to the appearance of making strings or nets through primary processing and conducting his business. Tobacco cultivation also emphasized the merchandise through emphasis on fragrance and spiciness. In addition, the emphasis on cultivation of ginseng, a pronoun for crops, can be found. Cases of raising beef and raising profits were found in Hoseo and Ssangbu regions, and the distribution of flowers comparable to the flower market was taking place. In this way, the characteristic of agricultural production in Namyang County, explained by Lee Ok, was that it was market-oriented. 18세기 후반에서 19세기 초반에 걸쳐 남양도호부 송산에 거주하였던 인물인 이옥(李鈺)의 『백운필』을 중심으로 당시 농촌생활의 일상, 농법 정리의 특색, 그리고 농업생산의 시장 지향성에 대하여 검토하였다. 이옥은 송산에서 농촌생활의 일상을 구체적으로 체험하면서, 직접 농업과 관련된 종수(種樹), 화훼(花卉) 재배를 실행하기도 하고, 농민들의 자연현상에 대한 해석 방식을 내면화하기도 하였다. 또한 이옥은 자신의 견문에 따른 남양도호부 지역의 농법(農法)을 간략하게 정리하여, 벼농사의 경종법, 도종(稻種), 기경과 김매기의 중요성 등에 대해서 분명하게 나름대로 자기의 주장을 제시하였다. 한편 농법을 개량하거나 개선하는 방법, 또는 수확을 많이 거둘 수 있는 농법에 대한 탐구와 실험 등 방법론적 측면의 노력도 시도하고 있었다. 이옥은 노농(老農), 농인(農人), 인인(隣人) 등으로부터 여러 가지 견문(見聞)하는 방식으로 농리(農理)에 접근하고 있었다. 이옥은 『백운필』에서 당시 시장을 지향하는 농업생산의 여러 가지 면모를 정리하고 기록하였는데, 칡을 캐어서 그대로 시장에 파는 것이 아니라 일차적인 가공을 통해 끈이나 그물을 만들어 생업을 영위하는 모습에 주목하였고, 담배 재배도 향기와 매운 맛에 대한 강조 등을 통해 상품성을 강조하고 있었다. 그리고 상품작물의 대명사인 인삼(人蔘) 재배에 주목하고, 이와 더불어 육우(肉牛)를 사육하여 수익을 올리려는 사례를 호서와 쌍부 지역에서 지목하고 있었다. 또한 꽃시장에 버금하는 화훼의 유통이 이루어지고 있다는 점도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옥이 정리한 남양도호부의 농업생산의 특징의 하나는 시장지향성이라고 할 수 있다.

      • KCI등재

        숙종대 후반 양전론의 추이와 경자양전의 성격

        염정섭 한국역사연구회 2000 역사와 현실 Vol.- No.36

        머리말 숙종대 후반 양전론(量田論)의 추이 경자양전 시행과정의 양전 논의 맺음말

      • KCI등재

        18세기 후반 徐命膺의 『本史』 편찬과 『本史』의 구성 체제

        염정섭 국민대학교 한국학연구소 2018 한국학논총 Vol.49 No.-

        Bonsa written by Seo Myeong-eung was covered in the Bomanjaechongseo. He wrote this farming manual based on the physiocracy and family discipline ie. science of agriculture about A. D. 1785. He compiled Bonsa in historiography pattern of Sima Qian, which was used in Sagi(史記). Examining the characteristics of Bonsa closely, we had to consider nine Ji(志) as the most important parts of Bonsa. So we thoroughly examined nine short scripts attached in front of every Ji. In our opinion, there are four important characteristics of Bonsa. First of all, Seo's aim in compiling Bonsa was to totally arrange every agricultural techniques. He gathered many farming manuals compiled in China and Joseon and utilized them in the way of reassigning contents in farming manuals. Secondly, he urged to acquire systematic completion and whole containment of knowledge and information. Therefore he sought to make a new foundation of science of agriculture, which is considered to leap the limit of many farming manuals compiled in China and Joseon. Thirdly, he defined his attitude as one of the patron on the scientific method, but he also showed flexibility in understanding magical information derived from long-time agricultural experience. Lastly, he proceeded from step of scientific research to practical solution. So we argue that he was trying to compile perfect farming manual. 徐命膺이 편찬한 『本史』는 『보만재총서』에 수록되어 있다. 그는 重農의식과 農學을 家學으로 삼은 학문적 바탕을 토대로 『본사』를 편찬하였다. 그는 농정, 농사에 관련된 사항을 史書의 紀傳體 형식으로 새롭게 구성하여 『본사』를 편찬하였다. 八穀을 本紀로 삼고 있고, 八穀이 세상에 나오게 만드는 일과 관련된 것은 志로, 채소와 과실과 관련된 것을 世家로, 그리고 樹木, 草卉, 藥材 등 그 밖의 식물들은 列傳으로 정리하였다. 『본사』의 農書로서의 성격에 대해서 검토할 때 보다 깊은 분석이 필요한 부분이 바로 ‘九志’였다. 九志마다 각 志의 서술 배경, 서술 목표 등을 간략하게 소개하는 짤막한 引에 해당하는 글이 붙어 있다. 九志의 引을 검토하여 『本史』의 성격, 내용 서술의 특징을 찾아 네 가지로 정리할 수 있다. 첫 번째로 서명응은 『본사』 편찬을 통해 古今에 모두 부합하는 農法의 정리를 지향하였다. 이를 위해 그는 중국과 조선의 農書를 모두 수합하여 각 농서에 서술되어 있는 내용을 자신의 주장에 따라 재배치하여 통섭하는 방식으로 활용하였다. 두 번째로 서명응은 『본사』에서 농서로서의 체계적인 완결성, 지식과 정보의 온전한 수록 여부에 전력을 기울이고 있었다. 이는 새로운 농서인 『본사』를 통해 중국과 조선의 농서를 뛰어넘는 農學의 정립을 지향한 것이라고 평가된다. 세 번째로 서명응은 자연과학적인 탐구 태도를 보여주면서도 전래되어 온 농사 경험에 의거한 지식이 주술적인 것이라 하더라도 배격하지 않는 입장을 보여주고 있다. 마지막으로 서명응은 農學의 정립이라는 학술적인 연구 자세에서 한 단계 현실 속으로 진일보하여 농업현실의 해결에 기여하려는 입장에서 『본사』를 편찬하였다. 그러한 현실적 해결책의 제시라는 성격은 『본사』에 들어 있는 각종 農法에 담겨 있는 것이었다.

      • KCI등재후보

        조선후기 대동강 하류 河中島의 개간과 宮房田의 성립 및 변천

        염정섭 서울대학교 규장각한국학연구원 2010 규장각 Vol.37 No.-

        18세기 중반 이후 대동강 하류 신합도 등 河中島의 개간 과정을 살펴보면, 18세기 중엽 이전에 첫 번째 단계인 泥生處의 형성단계가 거의 완료되었고, 또한 두 번째 단계인 泥生處의 蘆田化단계에 도달해 있었다. 개간과정의 셋째 단계인 蘆田의 作畓化 과정은 19세기 초반인 1804년 이후에 진행되었다. 그리고 1813년과 1832년 사이에 큰 畓 斗落數의 증대가 나타나고 있었다. 특히 1813년 무렵에 舊蛤島의 作畓이 대대적으로 이루어지고 있었다. 1832년 무렵이 되면 거의 作畓이 마무리되었다. 1794년에 新蛤島와 주변 泥生處인 舊蛤島 그리고 所當島는 內需司에 소속되었다. 內需司에서 新蛤島 蘆田의 田主인 金錫樞에게 新蛤島의 주변의 泥生處인 舊蛤島, 所當島 등을 같이 買得하였고, 蘆田에서 蘆稅로 매년 500냥씩 수취하였다. 1798년 내수사에서 龍洞宮으로 이속된 이후 新蛤島 등의 田土는 1808년 무렵부터 .畓과 蘆田으로 나뉘어 수취되었다. 1831년 무렵 신구합도와 소당도는 德溫宮(德溫公主房)에서 관할하게 되었는데, 이는 洪同敦寧宅이라는 인물로부터 買得한 것이었다. 그 사이 1813년에 1,070두락지였던것이 1832년에 1,190두락지로 크게 증대되었다. 덕온궁 관할 아래에 있넌 新蛤島 등 주변 河中島는 1854년에 다시 소속처가 바뀌었다.

      • KCI등재후보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