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원문제공처
        • 학술지명
        • 주제분류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건설경제산업연구 : 남북한 건설 분야 협력사례 분석과 북한 내 산업단지 개발 방안

        박용석 ( Yong-seok Park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11 건설경제산업연구 Vol.2 No.2

        향후 북한의 개방이 이루어질 경우 북한 내에서 대규모 건설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남한 건설업계의 북한 건설시장의 진출은 남한의 한정된 건설수요를 확장하는 것으로 건설업체의 새로운 성장 동력을 북한에서 찾을 수 있다. 본 연구는 북한내 건설사업에 대한 정보제공과 북한내 산업단지 개발에 따른 개략적인 건설수요를 추정함으로써 북한내 건설시장의 잠재력을 간접적으로 확인하며, 향후 북한 건설시장의 효과적 접근을 위한 정부와 건설업 계의 과제를 도출하는데 있다. 1988년 이후부터 현재까지 남북한간의 본격적인 건설분야 협력사업은 없었다. 다만, 사회문화 및 경제협력사업 중 건설사업이 파생적으로 발생하였다. 즉, 체육관, 종교시설, 공장, 관광단지 조성 통의 과정중에서 건설수요가 파생적으로 발생하였다. 대부분의 건설장비 및 자재, 기술인력은 남한에서 공급되었으며, 북한은 단순 노무직에 해당하는 인력과 기초자재를 조달하였다. 북한내산업단지 건설 수요를 개략적으로 추정해 보면, 남북한 정부에서 발주하는 기반시설공사비는 약 4.7조원, 공장건설비는 약 39.2조원으로 약 43.9조원 규모의 신규 건설수요가 발생 할 것으로 추정된다. 향후 남북한간 건설교류 활성화를 위한 정책과제로는 개성공단 활성화 및 남북연결 육상교통망 확충, 북한내 산업단지 및 SOC 개발을 위한 투자재원 마련, 나진·선봉 및 신의주 풍 경제특구에 대한 남한기업의 참여가 필요 하다. 건설업계 차원에서는 북한 건설기능인력 훈련센터 설립을 검토할 필요가 있다. Firstly,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nnation that South Korea construction firms have achieved some cooperation cases and construction experiences in the North Korea area, and to estimate the degree of development demand for six types of industrial complex in North Korea, Also, this study aims at confirming the size of a potential construction market in North Korea, and offering some themes and tasks of possible strategies for accessing construction market in North Korea to South Korea government and construction firms. Since 1988, some of South Korea construction firms constructed some construction facilities in the North Korea area, such as factories, hospitals, gymnasiums, churches, temples, and so on, to nan1e a few, The most of those construction projects were derived throuth a South-North Koreas social-culture-economic cooperation activity, Currently, the on-going mega construction projects are Kaesung industrial complex and Kumkangsan tourist region development. According to a case study of construction projects in North Korea, North Korea construction workers`` labor productivity is very low, and most of construction resources and construction devices had to have been supplied from South Korea, As a result of estimating the degree of development demand for six types of industrial complex in North Korea, where the size of new industrial complex is almost equal to that of Kaesung industrial complex, total construction cost is approxin1ately 43.9 trillions won, inter-complex construction demand for infrastructure facilities is 4,7 trillions won and construction demand for factories is 39,2 trillions won. However, these estin1ates are calculated on the basis of necessary infrastructure facilities, such as connecting roads and railroads, power plants, harbors, support cities for industrial complex, and so so which need to be supplied as auxiliary projects, this implies that North Korea``s potential construction market size is extremely huge. Some strategies to revitalize or to construct the industrial complex in North Korea that are suggested from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South and North Korea gorvenments should revitalize Kaesung industrial complex because Kaesung industrial complex will be a role business model for other new industrial complex, Secondly, South and North Korea governments should consider providing administrative and fmancial support for participating construction firms into North construction market, Thirdly, South Korea government and construction firms need to establish a center for training North Korea``s construction workers in Kaesung industrial complex.

      • 국가계약제도의 바른 정착과 주거안정을 위한 정책개선 제언

        진상화 ( Sanghwa Chin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21 건설경제산업연구 Vol.8 No.1

        국내 건설 산업은 다른 나라들과 달리 「한강의 기적」이라고 불리는 눈부신 경제발전에 결정적 기여를 하여 왔으나, 최근에는 국내외 건설 환경 변화와 시대적 흐름에 적극 대응하지 못하고 제도적 후퇴를 거듭한 결과 건설산업의 경쟁력은 선진국대비 70% 수준에 불과하는 등 글로벌 경쟁력에 훨씬 못 미치는 어려운 현실에 처해 있다. 특히, 전 국민의 관심사인 주택 대란은 건설인의 한사람으로서 많은 자괴감을 느끼게 된다. 이같이 건설 산업이 퇴행하게 된 근원은 건설 산업의 핵심인 국가계약 정책이 비합리적인 로또 복권식 운찰제로 20여년간 파행 운영되고 있다는 점과, 각종 문제 발생 시 책임유무에 대한 엄격한 법적 판단 없이 기업에 대해 무과실 연대책임 등 처벌 중심으로 건설정책을 운용한 결과가 크다 할 것이다. 주택정책 또한 「시장성과 공공성의 조화로운 정책의 묘」를 살리기보다는 대증적이고 충격적인 규제 일변도의 정책 수립과 실행의 되풀이 아닌가 한다. 이는 건설 산업의 주체인 건설인들 스스로의 자기혁신 부족과 정책당국의 개선의지와 철학의 부재가 중요한 요인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글로벌 건설시장에서 우리 건설 산업의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입찰·계약 제도의 선진화를 위한 정책개선이 시급한 실정이며, 전세계에서 유일하게 민주화와 산업화를 동시에 이룬 우리의 얼굴인 서울한강에 현수교, 보행교 건설 등 기술력 경연의 장이 되는 공공사업에서 가격이 가치개념을 갖는「창의적 대안제시」를 허용하는 국가계약 정책의 바른 정착이 절실한 상황이라 할 것이다. 또한 소득 3만불 시대의 경제발전에 걸맞은 행복을 추구할 쾌적한 주거환경을 조성할 방안은 지속적인 양질의 주택 공급임을 명심하고, 도시 재생에 대한 개념의 재정립과 함께 국민이 필요로 하는 곳에 적기에 주택이 공급될 수 있도록 「시공자선정시기」조정과「특화 및 대안」활성화 등의 정책개선을 서두르고 실행해야 할 것이다. 요컨대 공공 건설 분야에서 대·중·소기업 모두가 편법과 요행이 아닌 열과 성을 다한 땀 흘린 대가를 정당히 받을 수 있도록「국가계약 정책의 정상화」가 필요하며, 주택 정책 또한「시장경제」의 틀 안에서 시장성과 공공성을 감안한 수요·공급 기능과 디자인 혁신을 반영한 양질의 주거 환경조성을 통해「주택시장의 안정화」를 이루고, 그 결과로서 공공 및 주거공간을「관광자원화」하여 일자리 창출과 국가경제 발전에 근간이 될 수 있는 정책개선의 결실을 기대한다. Unlike other countries, the construction industry of Korea had contributed decisively to the remarkable economic development called“Miracle of the Han River”. However, in recent years, the construction industry has been under harsh circumstances with its overall competitiveness assumed only 70% of that of advanced countries, that is in consequence of sustained inactiveness to worldwide changes in industrial environment and trend along with the repeated institutional retreat. In particular, the housing crisis, general concern of people in Korea, makes sense of shame to whom has served in this industry. The core reasons of the industrial regression are deemed significantly at the national contracting system being in a mal-operation for more than 20 years as such an irrational way alike draw for lottery winners and also the punishment-oriented governmental policy for construction industry imposing faultless contractors the joint liabilities without fair legal judgement. And the housing policy is also comprehended as repetition of restriction-devoted policy establishment being just confined to symptomatic treatments or frightening measures rather than harmonizing the marketability and publicity. All these are understood resulted from the lack of self-innovation by the builders, who are the main part of the industry, and the absence in the government authorities of the improvement volition or philosophy. Thus, in order to secure the competitiveness of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in global market, it is urgent for the national bidding and contracting policy to be innovated so that“any inventive alternatives of value creation”could be allowed for public projects in such special instances of technology contests for new suspension bridges or pedestrian bridges over the Seoul Han River, a face of the only country in the world who accomplished both the democratization and industrialization. In addition, it has to be borne in mind that the very measure is constant supply of high-quality housing for building up a pleasant residential environment for the advanced society in the era of 30,000 dollars’income. Therefore, together with conceptual re-establishment of the urban regeneration, policy improvements such as adjustment of the“time of contractor selection”and invigoration of“specialized and alternative proposals”should be hurried and implemented for timely supply of housing to places of people’s demand. In short, it is essential to“normalize the national contracting policy”so that all the large, medium and small-sized companies can receive equitable compensation from their due endeavor rather than from expediency or good fortune. Also the housing policy, through improvement, is anticipated to achieve the“stabilization of housing market”by creating high-quality residential environment that reflects design innovation and demand/supply functions within the framework of the“market economy”that considers both the marketability and publicity, hence to work as a foundation for economic development and job creation of the country by transforming the public and residential area into“tourist attractions”.

      • 스마트 건설 촉진을 위한 정책 과제와 방안

        김태황 ( Taehwang Kim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21 건설경제산업연구 Vol.8 No.1

        본 연구의 목적은 건설사업의 단계별 스마트 체계를 정립하고 산업적 경제적 관점에서 스마트 건설의 의미와 이행을 위한 법 제도적 지원 방안을 제시하는 것이다. 스마트 건설에 대한 논의를 ICT 기술 접목이라는 협의의 개념이 아니라 산업 패러다임의 변화라는 광의의 개념으로 확장하고 심화할 필요가 있다. 스마트 건설 패러다임은 산업 경제적 측면과 기술적 측면과 법 제도적 측면에서 통합적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산업경제적 측면에서는 스마트 건설 패러다임 이행을 위한 비용-편익 유발 요소에 대한 분석을 체계적으로 추진해야 한다. 기술적 측면에서는 건설산업의 내재적 기술 개발과 혁신과 병행하여 ICT 기술을 융복합적으로 접목할 수 있는 지원체계를 효과적으로 운영할 수 있는 방안을 기업과 산업 차원에서 마련해야 한다. 법 제도적 측면에서는 건설산업의 혁신과 패러다임 발전을 계획하고 추진할 수 있도록 관련 법과 제도를 보강해야 한다. 건설산업기본법과 건설기술진흥법에 분산되고 중복된 건설산업의 통합 정보 체계는 통합하거나 재구성하되 “통합 정보 체계”의 기능을 대폭 강화할 수 있도록 보강할 필요가 있다. 정책적 이행 방안으로는, 먼저 스마트 건설 패러다임의 구축 기반을 확충하여 건설산업의 상승효과와 외부 경제효과를 증대시킬 수 있는 기반을 마련해야 한다. 스마트 건설 역량을 강화하기 위해서는 건설부문별 스마트 건설에 필요한 역량 진단과 교육 및 훈련 플랫폼과 방식에 대한 심층적인 분석과 전략적 선택에 대한 논의와 연구를 촉진해야 한다. 또한 스마트 건설 시스템이 내생적으로 확대 발전하고 외향적으로 확산될 수 있도록 지속가능한 환류체계를 가동해야 한다. 스마트 건설 체계를 통합적으로 기획하고 모니터링하고 분석 및 재구성할 수 있는 스마트건설혁신센터(가칭)를 혁신적으로 운영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establish a smart system for each phase of the construction project and to present the meanings of smart construction from an industrial and economic point of view and a legal and institutional support plan for its implementation. It is necessary to expand and deepen the discussion on the smart construction not to the consensus concept of grafting ICT technology, but to the broader concept of a change in the industrial paradigm. The smart construction paradigm should be considered in an integrated manner in terms of industrial economic, technical and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In terms of industrial economics, the analysis of cost-benefit factors for implementing the smart construction paradigm should be systematically promoted. In terms of technology,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plan at the corporate and industrial level to effectively operate a support system that can fusion and combine ICT technology in parallel with the development and innovation of intrinsic technolog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terms of legal and institutional aspects, related laws and systems should be reinforced in order to plan and promote the innovation and paradigm developmen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which is distributed and overlapped by the Framework Act on Construction Industry and the Construction Technology Promotion Act, needs to be integrated or reorganized, but it is necessary to reinforce the function of the “integrated information system”. As a policy implementation plan, first, the foundation for building a smart construction paradigm should be expanded to establish a foundation to increase the synergy and external economic effects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In order to reinforce smart construction capabilities, it is necessary to facilitate discussions and research on strategic choices, in-depth analysis of education and training platforms and methods, diagnosis of capabilities required for the smart construction. In addition, a sustainable feedback system should be operated so that the smart construction system can expand endogenously and spread outwardly. There is a need to innovatively operate the Smart Construction Innovation Center (tentative name) that can comprehensively plan, monitor, analyze, and reconstruct the smart construction system.

      • 건설 경기종합지수를 활용한 공종별 건설경기 예측

        박철한 ( Cheol Han Park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21 건설경제산업연구 Vol.8 No.2

        지난 2020년부터 국내 경제는 코로나19로 인하여 불확실성이 높아진 상황으로 공종별 건설경기 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예측할 필요가 있어 본 연구를 진행하였다. 과거 연구를 참고 건설시장을 건설 생산시장, 건설 노동시장, 건설 금융시장, 건설 자재시장, 그리고 건설 소비시장인 부동산시장으로 구분하여 관련 시계열 통계를 취합했다. 경제적 중요성(Economic Significance), 통계적 적합성(Statistical Adequacy), 경기 속보성(Currency), 경기 대응성(Conformity)을 변수 선정의 기준으로 평가하였으며, 공종별 건설투자에 대응한 수준변수, 로그차분변수, 순환변동치 그리고 전년 동기비에 대한 시차상관변수 분석을 수행해 종합지수 선정에 사용되는 지표를 선정하였다. 공종별 경기종합지수는 일반적인 통계청(NBER)이 사용하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통해 지수화해 분석을 수행했다. 2000년 1월∼2021년 6월까지 데이터를 토대로 공종별 경기동행지수와 공종별 경기선행지수를 토대로 공종별 전망모형을 구축한 이후 이를 해석할 보조 지표를 HP 필터와 마코프 국면전환 확률을 사용했다. 이후 1년치 전망(2021년 7월∼2022년 6월)을 수행하였다. 선정된 공종별 동행지수와 선행지수를 ARIMA 모형을 사용해 2021년 7월부터 2022년 6월까지 1년치를 전망하였으며 이를 통하여 최근 공종별 건설경기를 판단하고 예측치가 시사하는 바를 해석하였다. 특히, 선행지수의 순환 변동치를 마코프 국면 전환 모형을 이용해 침체국면(low regime) 확률을(Recession Probability) 도출해 향후 공종별 건설경기의 침체 여부를 판별하였다. 본 연구를 통한 1년 전망치가 제시하는 시사점은 건설경기 양호하지만 2022년 2/4분기 선행지수의 상승세가 둔화될 가능성을 제시하고 있는데 이는 예상했던 것보다 주거용 건축경기 침체 시점이 빨라질 수 있음을 시사하고 있으며, 비주택 건축과 토목 건설경기의 호조세가 2022년 상반기까지 지속될 것임을 시사하고 있다. Since 2020, in South Korea, the domestic economy is in a situation of increased uncertainty due to the continued re-proliferation of COVID-19. In such a situation, predicting the future construction market is an important and meaningful study. In this study, through the NBER method I made 4 composite leading indicator indexs and 4 coincident composite indexes, calssified construction type such as residential buildings, non-residential buildings, civil engineering and total construction, in order to understand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by type. I forcasted each coincident composite indexes from July 2021 to June 2022 using ARIMA model with leading indicator data and analysed their fluctation through HP(Hodrick - Prescott) filer and calculated the recession probability through basic Markov swiching model. The implications of the one-year forecast through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though the construction market is healthy in 2021, it suggests the possibility of a transition period in the first half of next year, especially in the second quarter. Based on the data through June 2021, it suggests that the transition point of the residential construction market may proceed earlier than expected. Second, the transition point of the non-residential construction market is judged to be delayed compared to the residential construction market. It is expected that the non-residential construction market will adjust after the residential construction market is adjusted. Overall, it is analyzed that the increase in the non-residential construction market is likely to continue until the first half of 2022. Third, the recovery of the civil engineering construction industry is expected to be slower than that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it is expected to be achieved in a gradual fashion. This study can be said to be an early study in examining and forecasting changes in the construction market by construction type. In order to accurately monitor economic changes, continuous follow-up studies are needed. Above all, it is necessary to study how rapidly changing financial and macro-environmental changes will affect the construction industry by construction type. In addition, research is needed to continuously update the forecast model prepared for each type of construction and improve it into an optimal model with high predictive power for each period.

      • 건설경기 변동이 건설보증시장에 미치는 영향 -전문건설공제조합 보증을 중심으로-

        박선구 ( Sun-gu Park ),김태준 ( Tae-jun Kim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12 건설경제산업연구 Vol.3 No.1

        건설경기의 부진이 이어지면서 건설업체들의 어려움이 가중되고 이는 개별업체의 부실로 귀결되어, 그 부 정적 파급효과가 건설보증기관에 미치고 있다. 본 연구는 국내 건설보증기관 중 실제 건설공사 시공을 담당하는 전문건설업체를 주요 조합원으로 두고 있는 전문건설공제조합을 대상으로 건설경기 변동이 보증시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 이에 대한 시사점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를 위해 전문건설공제조합의 보증실적과 보증지급에 대해 순환분석, 교차상관관계 분석, 다중회귀분석 등을 수행하였으며,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순환분석 결과 보증실적과 지급의 방향성이 상당히 유사한 것으로 나타났다. 즉 보증실적이 증가할수록 보증지급도 커져 전문건설공제조합의 경영성과가 악화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교차상관관계 분석 및 다중회귀분석 결과 전문건설공제조합의 보증실적은 전체적으로 건설지표 및 거시경기변수와 연관성이 크게 나타났으며, 모형의 설명력도 비교적 높았다. 반면, 보증지급의 경우 전체적으로 모형의 설명력이 낮게 나타났다. 이는 최근 보증사고가 동시다발적으로 급증한 것이 주요 요인으로 보인다. 또한 보증지급은 건설 및 거시경제지표에 비해 원 · 하도급 간의 보증지급 관행, 청구방식의 변화 등에 따른 영향이 더 클 수 있음을 시사한다. The slump of construction economy has worsened the situations of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led to poor performance, and it is affecting even construction surety bond companies.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conomic fluctuation on the surety bond market based on the Korea Specialty Contractor Financial Cooperative whose members are specialty construction industry that actually work on construction, and make suggestions. For it, cyclical analysis, cross-correlation analysis, multi-linear regression analysis, etc. were performed on the surety bond performance and payment of KSCFC. Overall, there was a huge correlation of the surety performance of KSCFC and surety performance among the surety payment variables with the construction variables and economic variables, and the model had relatively high explanatory power. By contrast, surety payment had overall low explanatory power of the model. This seems to be due to recent rapid increase in surety accidents. Also, it shows that there is certain limitation in the construction and macroeconomic variables set in this study in terms of analyzing surety payment.

      • 해외건설 지원제도와 활성화 전략

        김태황 ( Taehwang Kim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12 건설경제산업연구 Vol.3 No.1

        최근 2~3년간 해외건설 수주실적을 살펴보면, 해외건설산업을 지속적으로 발전시킨다면 한국 경제의 성장 동력이 될 수 있다. 과거 구조적인 수익성 악화 문제도 고부가가치의 플랜트 사업 중심으로 수주 역량을 강화함에 따라 개선되고 있다. 해외건설사업은 경상수지 개선, 일자리 창출, 경기 조절, 국내총생산 증대 등의 경제적 파급효과를 유발한다. 해외건설 활성화를 위해 정부는 가칭 ``해외건설 로드맵 2020-2030``을 추진할 필요가 있다. 녹색성장과 자원개발에 연계된 사업 발굴과 사업 제안을 위한 입체적인 외교통상적 노력을 배가해야 한다. 정상이나 각료의 경제외교 순방을 정례화할 필요도 있다. 리스크가 큰 사업을 중장기적으로 추진하기 위해 공기업과 민간기업의 공동 시장진출도 권장해야 한다. 한편 기업은 근시적이고 일회성의 저가 경쟁을 최소화하고 지속가능한 유효 수주 경쟁력을 확보하기 위해 사업성과 경제성 분석력을 강화하고 현지 정부와의 협력 채널의 강화, 현지 또는 제3국 기업과의 전략적 제휴나 파트너십을 확대해야 한다. 또한 우리 기업들이 핵심 부문별 역량을 강화하고 현지 경제적, 사회적 여건에 부합하는 현지화 전략을 강화해야 한다. Examining, for the last 2-3 years, the foreign construction performances of the Korean firms in global market, we should consider the foreign construction as future growth industry to promote the Korean economy. The foreign construction industry contributes to improvement of current balance, job creation, regulate business cycle, growth of GDP. To activate the foreign construction, above all, Korean government should go ahead with so called ``Foreign Construction Road Map 2020-2030``. The government has to also make efforts related to complex foreign affaires and trade, by which it could propose and manage divers business and activities closely linked with green growth and local resources development. It should be useful to regularize President`s or Ministers` official visits. To manage more efficiently high risk projects, I recommend strongly a cooperative strategies and activities between public firms and private firms to enter the local market. And Korean companies, to catch up a sustainable effective competitiveness, should come to an end the irrational bidding with absolutely low price and rather should reinforce the feasibility study of project and the cooperation network with local governments. It`s still necessary to extend a strategic coalition or partnerships with local companies or of other countries. Finally, Korean companies have to reinforce core competency in the global market and promote a localization strategy corresponding to the local socio-economical constraints.

      • 우수 중소건설기업의 선정 및 육성방안 연구

        이치주 ( Lee Chijoo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23 건설경제산업연구 Vol.9 No.1

        정부의 정책이 건설산업에 안착하기 위해서는 건설산업에서 비중이 큰 중소건설기업이 정책 변화에 잘 적응하는 것이 중요하다. 하지만, 자금력이 부족한 기업들은 정책변화에 적응하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된다. 이 연구에서는 건설산업의 환경과 정책 변화에 중소건설기업이 적응하는 것에 도움을 주기 위하여 중소건설기업 육성방안을 강소 건설기업과 생활밀착형 중소건설기업으로 분류하여 제안하였다. 강소 건설기업은 생산구조 개편에 따라 국내 시장진출을 확대하고자 하는 기업과 해외 시장으로 진출하고자 하는 기업, 그리고 기술개발 및 사업화를 목표로 하는 기업을 대상으로 한다. 생활밀착형 중소건설기업은 국민 개인이 발주하는 국민 생활에 밀착된 소규모 공사를 수행하는 기업이다. 그 기업에 대한 신뢰할 수 있는 정보를 제공하여 건설산업에 대한 전문지식이 부족한 국민 개인이 직접 공사를 발주하는데 도움을 주는 것을 목표로 한다. 생활밀착형 기업의 지원방안은 인증기업 공표와 보증수수료 할인, 전문지식 컨설팅으로 구성된다. 정부가 인증하는 기업 인증제도 중에서 건설기업을 대상으로 하는 것은 드물다. 이 연구에서 제안한 우수 중소건설기업 육성방안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법제화된 인증제도 수립에 대한 연구가 필요하다. For the government's policy to take root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t is important for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which account for a large portion of the construction industry, to adapt well to policy changes. However, companies with limited funding power take a lot of time to adapt to policy changes. In this study, in order to help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adapt to change of environment and policy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a plan for fostering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proposed by dividing them into small hidden champion and life-friendly company. The small hidden champion companies target companies that want to expand their business field in domestic construction market based on a reorganization of construction industry’s production structure, advance into overseas markets, and develop and commercialize of construction technology. The life-friendly companies carry out small-scale construction projects that are closely related to people's lives and ordered by people. The goal is to provide reliable information about life-friendly companies to help people who lack expertise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when people order a construction project. The support plan for life-friendly companies are announcement of certified companies, discounts on guarantee fees, and consulting of professional knowledge. Among the corporate certification systems of government, it is rare to target construction companies. For the proposed activating the fostering plan of excellent small and medium-sized construction companies, the study on the establishment of a legislated certification system is need.

      • 북한 건설수요의 유형

        박용석 ( Yong-seok Park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13 건설경제산업연구 Vol.4 No.2

        북한이 남한과 미국 등과의 정치·군사적 긴장관계 해소될 경우 북한에 대한 국제사회의 지원이 급증하고 남북한간의 사회·문화경제적 협력사업도 활성화될 것이다. 북한 경제의 재건은 남북한간의 평화 공존을 가능케 하고 경제적 격차를 줄여 향후 통일 비용을 경감시킬 수 있다. 현재 북한의 인프라 수준은 대단히 열악한 상황으로 ``통일 이후``는 물론이고 ``통일 이전인 남북 경제 협력 시기``에 대규모 건설수요가 발생할 것으로 예상된다. 본 연구에서는 북한의 주요 건설수요의 유형인 농림수산업, 경제특구(산업단지), 교통시설(도로, 철도, 항만, 공항), 에너지 및 전력, 주택 등 5개 분야의 북한내 현황과 문제점, 예상되는 분야별 건설수요를 살펴보았다. 북한 내 최우선 공급이 필요한 건설투자는 첫째, 농림수산업 기반시설의 확충, 둘째, 경제특구(산업단지)의 개발, 셋째, 경제 발전을 지원할 수 있는 전력, 통신, 도로·절도·항만 등 교통시설 등 각종 인프라의 공급이 필요하다. 건설 분야의 남북 협력사업은 남북한 모두 상생(win-win) 할 수 있는 사업방안이 모색되어야 하는 데, 한반도 종단절도와 대룩철도(TCR. TSR)와의 연계, 나선경제특구 개발 참여, 개성공단 2, 3단계 확대 등을 적극 검토할 필요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information the construction market in the North Korea, and to analyze the needed infrastructure facilities in the North Korea at present time. Chapter Two, "a type of construction market in the North Korea" explains and analyzes infrastructure facilities about agriculture, a special economic zone and industrial complex, roads, railroads, harbors, airports, electric power facilities, and housing in the North Korea. Most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have been antiquate. As a result, most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need to be improved or to be re-constructed. If the North Korea fail to improve or newly construct these infrastructure facilities, the economic development of the North Korea is hardly to be achieved. Chapter Three, "priority infrastructure facilities in the North Korea at present" analyzes the priority of infrastructure facilities in need. In particular, the North Korea needs the infrastructure facilities for agriculture, industrial complex, and transportation network. As a conclusion, the South Korean government and construction firms need to have a consistent interest on the North Korean construction market, since it will be one of dynamic forces for the construction industry and economic growth of Korea, both South and North.

      • 건설업 경기지표에 따른 건설임금 상관성 분석

        김형근 ( Hyeong-geun Kim ),임묵 ( Mook Im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15 건설경제산업연구 Vol.6 No.1

        본 연구는 건설업 경기지표가 건설임금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고 있는 정도를 파악하여 시사점을 제시하기 위함이다. 첫째. 공공공사 부문에서 대형 SOC 공사 물량이 감소함에도 불구하고 건축공사, 산업설비, 조경공사 등 중소부문에서 2008년 이후부터 Construction Contract 증가율을 나타내 임금인상에 영향을 주었다. 둘째, 건설경기 BSI 추이를 살펴보면 서울, 지방의 대형, 중견부문에서 2014년 10월 이후 상승추세를 나타냈다. 특히, 2008년 이후 건축 허가면적 증가 및 Construction license 증가는 상호 상관관계를 나나내어 건설노동시장에서 일용직 등 건설노임증가 요인으로 나타냈다. 셋째, 건설업 취업자 수는 매년 증가 추세로 나타냈다. 상관분석 결과 건설업 주요 경제지표인 경영지표 (MI), 업종별 경영상태, CBSI, 건설업 취업자, GDP 동향을 분석한 결과 공사계약 증가, 건설면허 증가, 주택건설, 인허가 증가, 건설업 취업자 수 증가가 건설임금 인상과 상관관계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pose implications related to the effects of business indicators related to the construction industry on construction wage. First, the Construction Contract represents growth since 2008 in the small and medium business and large sac Ltd. Despite the reduced volume and building construction, industrial equipment, Landscaping 00 in construction sector had an impact on wages. Second, look at the construction sector BSI trend showed an upward trend since October 2014 in the large and medium sectors of the Seoul region. In particular, since 2008, building permits increased area and Construction license showed increases in the daily wages increasing factor in the construction and construction labor market, taking a cross-correlation Nana. Third, the construction workers are shown to be increasing every year. Analysis of the management indexes (MI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management status by business, CBSI, number of employees in the industry, and GDP trends showed that inc ease of construction contract, construction license, permits for house construction, and number of employees in the construction industry is correlated to increase of construction wage.

      • 다자주의와 지역주의의 국제통상 체제에서 건설산업의 대응 전략

        김태황 ( Tae Hwang Kim ) 한국건설경제산업학회 2010 건설경제산업연구 Vol.1 No.1

        다자주의와 지역주의의 국제통상 체제는 상호 배타적이면서도 보완적인 역할을 수행해 왔다. WTO 처|제의 강화와 FTA의 확산은 자유 무역주의를 견인하고 있다. 국제통상 환경은 개방주의와 보호주의, 다자주의와 지역주의의 앙면성이 공존하며 복합성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 의제의 범위는 수평적으로 확대될 뿐만 아니라 상호 연관성도 증대되는 양상을 보이고 있다. 다자주의와 지역주의 모두 통상협상은 공산품과 농산품 중심으로 논의되어 온 반면에 정부조달을 포함한 건설 서비스의 교역 협상은 제한적이었다. 하지만 국제통상 협상 이 전산업화하고, 산업간 융복합화 추세에 부합하여 복합적이고 통합화하는 경향을 보이므로 건설산업의 전략적 대응책이 긴요하다고 판단한다 우리나라 건설산업은 FTA를 통해 건설 서비스 시장 개방을 적극적으로 주도해 나아가는 것이 국내 경쟁력 유지와 해외건설 활성화에 기여할 것으로 판단된다. 해외 사업 구조조정 과 시장 및 상품 다변화, 부문멸 비교우위의 핵심 역량 강화, 패키지형 건설 서비스의 해외수요 창출 전략 등을 적극적으로 추진하는 것이 유효할 것이다. The international trade system of multilateralism and that of regionalism have functions which are mutually exclusive and supplementary. The trade liberalism is being driven by reinforcing the WTO regime and spreading FT A. The international trade conditions are characterized by a complexity and by a duality of liberalism and protectionism, of multilateral ism and regionalism. The extent of the international trade issues is becoming more inclusive and also more related mutually. Both trade negotiations of multilateralism and of regionalism have been focusing to the manufacturing products and agricultural products, while on the other hand the trade negotiations of construction services trade including government procurement are in fact restricted. However, as the international trade negotiations tend to spread into all of the sectors and to be complex and integral corresponding to the fusion-complexity trend among the industries, it`s indispensable to find out strategic coutermeasures in the middle of construction industry. The strategies by which the Korean construction industry takes initiatives of a further openness of the construction service market would strongly contribute to maintain the Korean companies` competitivity and to revitalize their foreign construction activities. The strategies, such as restructuring foreign business in construction, as diversification of market and of products(sectors), as reinforcement of sectorial core competencies with comparative advantage, as demand driving construction services in terms of package linked with other industries, should be pushed ahead with strong policy oriented mind.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