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수수께끼 構造로 본 金裕貞 小說 硏究 <만무방>·<동백꽃>·<金 따는 콩밭>을 中心으로

        김유정 漢陽大學校 敎育大學院 2000 국내석사

        RANK : 247791

        본고는 김유정 소설에 나타난 전통 문학적 요소, 특히 그의 작품에 내재하고 있는 ‘질문하기와 대답하기’의 수수께끼 연행 구조에 관한 연구이다. 필자는 김유정이 작품 속에서 작중인물들에게 수수께끼를 던지고 있고, 작중인물은 그것을 풀기 위해 노력하고 있음을 발견할 수 있었다. 수수께끼의 질문은 작품에 설정된 어떤 인물에 의해서 던져지기도 하고, 서술자로부터 직접 제시되기도 하였다. 수수께끼의 제공자는 끊임없이 다른 매개체를 설정하여 수수께끼 풀기에 대한 욕망을 자극하고 있었다. 특히 그의 작품〈만무방〉에서는 ‘응고개의 쌀을 훔친 도둑은 누구인가?’를 ‘응칠’과 독자들에게 질문하고 있었다,〈동백꽃〉에서는 ‘점순과 나’라는 상징적인 두 인물을 설정하여, 이들을 연결시켜주는 ‘감자’와 ‘닭’이라는 매개체 사이에 치밀한 연결고리를 형성하면서 ‘내가 왜 네게 이럴까?’라는 수수께끼를 ‘나’에게 던지고 있었으며〈금 따는 콩밭〉에서는 수재가 ‘금’이라는 매개체를 사용하면서 ‘영식’에게 수수께끼 해결을 요구하고 있음을 살펴보았다. 김유정의 작품에 내재하고 있는 수수께끼는 일상에서 던지는 일반적인 질문과는 다르게 상대로 하여금 대답을 요구하며, 질문자는 그 답을 이미 알고 있는 질문의 담화 형태를 취하고 있었다. 특히 김유정의 작품을 수수께끼의 담화구조를 통해 살펴보면서 발견한 특징은 작가가 작중인물에게 해결하라고 던진 수수께끼가 해결을 보지 못한 채 처음의 출발선만을 확인하는 작업에 머물고 있다는 점이었다. 김유정 소설에 나오는 인물들은 작가가 제시하는 수수께끼 풀기를 작품 속에서 시도했지만 모두 좌절로 끝내고 말았다. 필자는 그 이유를 김유정이 수수께끼라는 문학적 장치를 사용하여 당대의 부조리한 현실문제를 비판적인 시각으로 확대하고자 한 것으로 보았다. 김유정의 작품 속에서의 수수께끼적 구조는 수사학적 차원의 것이 아니라 현실의 구조를 인식하는 방법으로 그 역할을 수행하고 있는 것 같았다. 그런 점에서 수수께끼적 구조는 사회 탐구적 의미가 강하다고 할 수 있다. 그의 소설에 등장하는 인물들에게 탈출의지에 맞닿은 현실은 주어지지 않고 이것을 배반하는 상황만이 주어진다는 점에서 김유정의 수수께끼식 담화 구조는 구체적인 현실인식의 소설적 장치가 되고 있는 것 같다.

      • 회화에 나타난 은유의 적용과 표현 : 김유정의 프레스코화에 나타난 외상으로서의 은유를 중심으로

        김유정 단국대학교 2009 국내박사

        RANK : 247663

        인간은 동물과 달리 불완전하게 태어난다. 인간의 그러한 수동성과 연약함으로 인해, 끊임없이 고통과 상처를 받으며 살게 되기도 한다. 그런 측면에서 생각한다면, 예술과 인간 사이의 중간자로서 예술가는 고통과 상처로 얼룩진 인간을 대변하고, 이에 의미를 부여함으로써 새로운 세계를 만들어내는 존재이다. 즉 자신의 고통을 통하여 인간들 사이의 유사성이나 공통점을 찾는 사람이다. 한편 예술가는 경계선 상에 있는 고립된 삶들을 가로지르는 교차로이다. 그의 예술을 통해 인간은 타인의 느낌과 감정, 나아가 삶의 총체를 경험하게 된다. 따라서 예술작품을 통해 예술가의 삶은 개인적인 것인 동시에 집단적인 것이 된다. 작가는 상처와 고통을 회화를 통해 시각적 이미지로 담아낸다. 이미지와 정서적 울림의 관계가 너무 멀어지면 작품을 통한 소통에 문제가 생기게 되고, 너무 가까워지면 진부하고 상투적이 될 것이다. 시각적 은유란 이렇듯 너무 사적이거나 너무 진부한 것이 되지 않게끔 긴장 속에서 존재해야 한다. 알아볼 수 있는 회화가 은유적 맥락에서 새로운 힘과 의미를 획득하는 일은, 특히 재현적 회화가 일견 진지한 예술로 간주되지 않는 동시대적 맥락에서는 힘들고 어려운 일이라고 생각한다. 관람자들에게 감성과 느낌을 선사하기 위해서는 은유적 이미지의 역할이 중요하다고 본다. 공동체의 역할이 형식적 차원으로 축소되고, 개개인의 삶이 무의미 하다고 여겨지는 이 시대에 다양한 개인의 삶이 유사성을 지니고 있으며 서로 소통하고 있다는 것을 보이기가 더더욱 힘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개개인의 경험의 다양성을 바탕으로 하여 트라우마의 치유와 교류의 가능성을 모색해보고자 할 필요성이 있다고 본다. 따라서 본 논문은 은유를 논의한 문학과 철학에서 은유가 어떤 의미를 지니는지를 검토하고, 그 이론들을 기초로 자코메티(Alberto Giacometti)와 프리다 칼로(Frida Kahlo)와의 연관 속에서 연구자의 작품을 비교 분석해보고자 한다. 일반적으로 문학에서 '은유'를 사용할 때는 하나의 물체를 다른 물체와 비교하거나 하나의 원관념을 다른 관념에 직접 연결하여 원관념을 더욱 뚜렷하게 하는 하려는 것이다. 이 때 두 관념은 서로 일치관계나 유비(劉備)관계에 있게 된다. 근대 철학의 맥락에서 은유는 철학자들에 의해 긍정적으로 혹은 부정적으로 평가되었다. 우선, 니체(Friedrich Wilhelm Nietzsche)에게 있어서 은유(metaphor)란 그가 기술하고자 하는 사태(Sache) 그 자체 속에 있으며, 개념들이 동일화되는 세계를 은폐하려는 충동을 의미한다고 보았다. 또한 그것은 다양한 해석적 관점을 이끌어내는 의미산종의 세계이다. 이와 달리 하이데거(Martin Heidegger)에게 은유란 존재 자체를 왜곡할 뿐만 아니라, 그 자체에 부합되지 않는 언어의 결함을 의미한다. 은유에 대한 맹신 속에 검토되지 않은 불충분함 때문에 하이데거는 자신의 존재 사유와 횔덜린(Johann Christian Friedrich Holderlin)의 시를 받아들이려 하지 않았던 것이다. 데리다(Jacques Derrida)가 바라보는 은유는 매우 집약적이며 명료하다. 철학이 은유의 바깥에 속하면 은유는 철학의 안을 구성하게 되고, 철학이 은유의 안을 구성할 때 은유는 철학의 바깥을 구성하게 된다고 것이다. 다시 말해 은유는 철학의 구성에 반드시 전제되며, 은유는 철학적 사유를 방해하는 방해물이 아니라 사유를 가능케 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라캉(Jacques Lacan)은 은유와 환유로서의 인간의 의식은 동시에 의식 밖으로 밀려나는 무의식을 구성한다고 본다. 은유는 유사성의 원리에 입각해 무한히 대체되는 기표들의 사슬로서의 언어의 성격 자체를 규정하는 개념이다. 문학과 철학에서의 은유란 인식을 풍부하게 혹은 좌절시키는 비유법 내지 언어자체이다. 즉 은유는 의미를 직접적으로 지시하지 않는다. 대신에 간접적으로 다른 유사한 이미지나 기표를 이용하여 의미를 지연시키면서 의미를 풍부하게 만드는 예술의 메커니즘을 가리키는 개념이라 볼 수 있다. 그런 점에서 명확한 개념을 강조하는 철학이 은유에 대해 비판적인 입장을 고수해 온 것을 충분히 이해할 수 있는 대목이다. 은유는 인과론적인 목적의 달성을 지연시키면서 유사성을 이용하여 유희하는 예술 자체에 대한 표상이라고 할 수 있다. 연구자의 작품에 등장하는 '지붕'은 일반적인 지붕과는 다른 의미를 지닌다. 비·눈·이슬 등의 기후조건을 피하는 보호의 의미를 지니는 덮개, 구조만을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심리적·정신적 외상에 관해 은유적 표현으로 차용된 지붕이다. 즉 지붕은 내포, 은폐, 두려움, 비밀, 침묵과 같은 유사 언어망 속에서 공포와 폭력의 공간으로서의 집을 재현한다. 연구자에게 집은 가장 편안한 공간이면서 동시에 가장 낯선 공간이기도 하다. '집'은 사람이나 동물이 거주하기 위해 지은 건물로 벽과 지붕이 있으며, 추위와 더위·비바람을 막아준다. 집은 기원, 출발, 용서, 향수와 같은 단어를 은유적 유사성의 측면에서 모두 포괄하는 이미지이다. 이러한 집이 지니는 다의적인 의미와 식물 이미지, 지붕을 함께 배열함으로써, 전혀 다른 의미를 만들어낸다. 무기체인 집 주변에는 유기체인 식물이 있다. 집이라는 공간의 주변에는 나무 등의 자연이 존재한다. 이는 조화와 공생만이 아닌 이질적인 것들의 병치라는 점에서 불안하고 모호한 장면을 만들어낸다. 식물은 부드럽고 연약하다는 점에서 쉽게 상처 입는 인간의 삶을 암시한다. 또한 무기체인 집을 잠식하는 힘을 지닌다는 점에서는 상처가 지니는 힘, 크기를 암시하는 것이기도 하다. 작품에서 보이는 담쟁이덩굴은 안락함과 평화를 위협하는 공격과 불안의 은유이다. 즉 내부의 비밀을 감추는 지붕, 외부의 힘인 식물, 이 두 가지로 인해 화면은 불안해지며, 고통스러운 사건이 임박했다는 것을 보여준다. 그리고 연구자는 전통적인 기법인 프레스코기법을 현대적으로 차용하여 트라우마의 은유로서의 화면을 더욱 생생한 체험의 장으로 만들고 있다. 현대를 살아가는 작가에게 있어 전통적인 프레스코화를 제작하는 것은 형식과 기법을 고려할 때 오랜 세월만큼이나 힘겨운 작업이다. 전통적인 프레스코 기법인 회벽에 안료로 채색을 하는 방법과는 다른, 석회가 지니는 재료적 특성을 이용하여 표현되는 각의 표현기법은 새롭게 시도되는 표현방법임에 틀림없다. 스크래치적인 파편으로 가득한 화면을 위해 폭력을 가한다는 점에서 말이다. 연구자는 이러한 표현을 통하여 가장 영구적인 기법을 현대적으로 계속 전유함으로써 오래된 것과 새로운 것의 길항(拮抗)관계 혹은 상호중첩성의 문제를 심화시킬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은유적 표현에 대한 이론적 고찰을 시도하였으며, 작품에서 보여 지는 은유적 표현과 의미에 대해 분석하고자 하였다. 지붕, 집, 식물 등의 소재를 이용하여 개인적이고 은밀한 영역으로 회귀하고자 하는 트라우마를 은유적으로 재현하였다. 즉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지붕, 집, 식물 등의 이미지를 화면 속에 재구성함으로써 본인의 내적인 심리적 외상을 은유적으로 적용하여 연구해 보고자 하였다. 또한 관람자들의 시선을 사로잡는 관조적이고 편안한 자연적 이미지를 이용하여 상처와 고통으로 점철된 현대인들의 삶이 교감과 공감으로서의 예술경험을 통해 위로받을 수 있는 가능성을 제시해보고자 하였다. 지나치게 개인적인 체험에 경도된 은유적 이미지는 작가의 개성을 강조할 수 있다. 하지만 관람자에게 다가가고 소통하는 데에는 장애가 될 수 있다. 집, 지붕, 식물이라는 익숙하고 관성화 된 이미지를 비일상적인 맥락으로 불러들여 새로운 의미와 긴장을 창출해 내고 있다. 또한 가장 편안한 것에 깃들어 있는 불안에 침잠하는 본 연구자의 작업은 연구자 개인의 상처와 고통에 대한 기록이다. 더불어 우리 모두의 상처라고 해도 과언이 아닐 것이다. Human beings are born imperfect unlike animals. Being so vulnerable and passive, we inevitably bear pain. And art is what mediates human endurance and forbearance with surrounding conditions so as to bestow values and meanings, creating a vast world anew. Artists in this sense interprets her or his own suffering in order to make it harden into historical, temporal or universal realm, thereby finding similarity and commonness in others. And this is precisely how we experience others' sensitivity and feelings; through the means of art. It is then the artists who are at both the boundaries and crossing point simultaneously before the exposure of isolated minds. The artist's life is both personal and collective, and because of this, his or her suffering becomes apparent to the observers objectively; the very essence of an artist's destiny. The above gets visualized by the creators themselves. But it is the virtual distance between the visible image itself and the echo from the beholder's heart: too far apart they are would make it harder to communicate; too close to each other would render the concept cliche and not far from conventional normalcy. Visual metaphors should be in the middle of such spectrum so as to maintain tension acting back and forth, making themselves not too personal, but not so banal either. For recognizable - figurative - painting is bound to be either misunderstood or not able to be given meanings in metaphorical sense, especially in contemporary context where representative painting at a glance would not be regarded as anything close to intrinsically serious. Furthermore, for audience to accommodate sensitivity and feelings, the role of metaphoric image is important because as communities' function gets more and more reduced into formative measures and individual life is more often deemed to be meaningless (or with less meaning), it becomes harder to visualize the way of communication and characteristics and properties in common. It is then necessary to grope for the potentiality of cure of trauma and flow athwart it based on diversity of experiences. This paper will therefore focus on the role of metaphoric expressions in the realm of literatures related to my work and areas of philosophy by making comparative analyses of interconnectedness of Alberto Giacometti and Frida Kahlo. The general use of metaphor to describe one thing in metaphoric settings is for having the former better explained or explained in different ways in accordance with common characteristics. Hence the two are in analogous relationship that shows either correspondence or parallel concepts. Modern philosophy saw metaphors in different ways. Friedrich Wilhelm Nietzsche, for example, gave his own view on the context of metaphor by stating that metaphor is the 'Sache' itself which one is describing, and therefore by designating it as being tempted to conceal the realm of conceptual sameness. On the other hand, he also stated that metaphors can offer a lush range of differing interpretations, thereby giving meanings yielded from different point of view. The negative point of view was given by Martin Heidegger in that he saw metaphors to distort the original meaning initially bestowed and got known, thereby representing defective nature of language that fails to correspond to the original subject itself. For Heidegger, both his raison d'e^tre and poem of Johann Christian Friedrich Holderlin was unacceptable because in it metaphor was blindly believed in, thus seldom checked and critically examined. For another, metaphor as Jacques Derrida knows was concise, condensed and abridged: the structural composition of metaphor in relations to ex- and interior of oneself can be mapped out such that philosophy per se belongs to metaphor's exterior while philosophy consists of metaphors (or by the parallel token, philosophy makes up the interior of oneself), and latter can substitute the former, eventually meaning metaphor is indispensible to philosophy, not even the least a factor that hampers philosophical thinking processes. Meanwhile, Jacques Lacan's view was that human unconsciousness consists of metonymy and metaphor. Metaphoric expressions, in Lacan's sense, personally bestow one's perception of characteristics of language and stipulating it as endless substitutes of 'signifiers' based on principle of similarity. In literature and philosophy, metaphor could both expand cognizable range and reduce it, thus be used for figurative purposes or be the language in itself; in other words, it never directly gives certain meanings. It instead amplifies the original conception and functions as an art mechanism by using signifiers to delay implications. And it is via this nature of metaphor that it clashes with certain philosophical explanations that rely on definite conceptual notions. Metaphor thereby is emblematized te^te-a`-te^te the art itself in which causationist accomplishment is delayed through the use of similarity and provides artistic amusement. In my own case, and my work in particular, 'rooftop', a signifier, is also a metaphor. It gives not only its nominal function as an instrument for cover-protection, but also spiritual, psychological trauma. The concept of rooftop here is borrowed to represent contain-involvement, hiding, fear, secrecy and taciturnity, all of which form a web of languages in similarity and thereby represent the house as a place of horror and violence. This metaphor, put into my personal context, means both a comfortable and a strangely gruesome environment. If it were to be deemed as a signifier, house itself then serves to protect people from potential hazard, having been made of walls and roof. House as a signifie' then is to be regarded to give metaphoric references such as foundation, outset, forgiveness, nostalgia. As such multiple meanings are placed to create conceptual conformity, the meaning of house gives something radically different from its designation as a signifier. However, there is another factor surrounding the non-organic house - organisms such as plants forming natural environment. The scene of a house built in juxtaposition to other natural surrounding factors (which are heterogenous in substance to the house) smacks of bizarrely uncomfortable feeling. Plant, again in metaphoric respect, are akin to human in that they are weak and vulnerable. From a slightly different angle, plants can demonstrate what spiritual wounds can do, for instance by having tendrils encroach upon the house. In this instance, as shown on my work, plants like ivy as a metaphor can alternatively represent anxiety and uneasiness that attacks down on peacefulness and comfortableness. Hence, what is near at hand is the impending times of pain and apprehensions, because the scene is now accompanied by rooftop (concealing internalized secrets) and plants (which are exogenous to the house). Works of mine such as the above are done in traditional fresco technique to make it come alive. The technique, as much as an artist's own pain can show, requires enormous time and effort, especially for persons of modern era to use the old means of artistic expression. And unlike painting on plastered walls, those works have been produced using carving and etching techniques, taking advantage of the soft property that lime material has. This can be said to be a conventional mode of expression being appropriated and brought into a modern one, thereby intensifying the relationship of rivalry or reiterative superimposition. This particular inquiry probes into the concept of metaphor with theoretical approach, and makes analysis of it. Using objects common to all, internally suffered and endured psychological trauma is investigated in reconstructed scenes in which trauma is intended to be revolved back inside the house. The experience offered here, in ones mind, is the recipe for making more rapport with today's people, suggesting the possibility of comforting them and making such experience easier to get by. Newly found significance of using commonly known objects is that subjects in question that are based too heavily on personal experiences offer less to audience in terms of communicative value, then overemphasize individual mode of storytelling. Those who saw a tine of uncomfortableness in such common objects with the sense of easiness and tranquility, such as myself, show their record of painful experiences - or perhaps ours.

      • A Study on algebraic integers : 김유정

        김유정 경원대학교 2010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orem 3.3. Let be an algebraic number. Then the followings are equivalent. (1) α is an algebraic integer (2) there exist n∈N and υ_(i)∈Z[α] such that each element of Z[α] is of the form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 for some α_(i)∈Z. Theorem 3.4. Suppose that u is an algebraic number. Then (1) There exists an integer n such that nu is an algebraic integer. (2) If u∈Q and algebraic integer, then u∈Z. Theorem 3.5. Suppose that u is an algebraic integer. Then for any n∈Z, u+n and nu are algebraic integers. Theorem 3.6. Suppose that u and υ are algebraic integers. Then u+υ and uυ are algebraic integers. 본 논문에서는 代數的整數의 성질을 알아보았다. 본 논문의 主結果는 다음과 같다. 定理 3.3. α가 代數的數일 때, 다음은 同値이다. (1) α는 代數的整數이다. (2) Z[α]의 각 원소가 n∈N, α_(i)∈Z, υ_(i)∈Z[α]일 때, 각 원소는 ◁그림 삽입▷(원문을 참조하세요)의 꼴이다. 定理 3.4. u가 代數的數일 때, 다음이 성립한다. (1) nu가 代數的整數인 정수 n이 존재한다. (2) u∈Q이고 代數的整數이면 u∈Z이다. 定理 3.5. u가 代數的整數이면 n∈Z이고 u+n와 nu는 代數的整數이다. 定理 3.6. u와 υ가 代數的整數이면 u+υ와 uυ도 代數的整數이다.

      • 초파리 돌연변이인 pyrexia의 특성 분석

        김유정 전남대학교 대학원 2007 국내석사

        RANK : 247647

        Recent advance in research on ion channels in sensory neurons reveals molecular mechanism underlying how various types of stimuli can be transduced to neural signals transmitted to the brain for pain perception. When these channels are activated, inward currents or outward currents are generated, which will lead to depolarization or hyperpolarization of the membrane causing increased or decreased excitability of sensory neurons. TRPV1 is a ligand-gated cation channel with preference for divalent cations, especially Ca2+ and selectively express in a subpopulation of nociceptive, primary sensory neurons. We generated PainFly, missexpressed hVR1 by MD-Gal4. The threshold probe temperature for eliciting this behavior of PainFly is 30℃. Pyrexia is to protect flies from high-temperature stress. It is ubiquitously expressed along the dendrites of a subset of peripheral nervous system neurons and is more permeable to K+ than to Na+. So we compared temperature preference, heat probe test and thermotolerance in PainFly and Pyrexia mutant and missexpressed fly larvae. About 50% of control, MD>UAS-GFP display nociceptive behavior in 40℃. But about 50% of PainFly display nociceptive behavior in 32℃. And homomeric misexpressions and mutants of pyx had a similar reaction percentage to that of MD>UAS-GFP. But heteromeric misexpression of Pyx display lower noxious behavior than control. PainFly larvae were a higher thermotolerance than that of MD>UAS-GFP in 39℃, but were a similar thermotolerance to that of MD>UAS-GFP in 42℃. pyxDf9 larvae also were a higher thermotolerance than that of MD>UAS-GFP in 39℃, but were a similar thermotolerance to that of MD>UAS-GFP in 42℃. pyx3 and pyxDf4 larvae were a higher thermotolerance than that of MD>UAS-GFP in 39 and 42℃. And misexpressions of Pyx were a similar thermotolerance to that of MD>UAS-GFP in 39 and 42℃. From these findings, we found that PainFly larvae are sensitive to normal heat, pyx mutant larvae are sensitive to high-temperature stress and misexpressions larvae of Pyx don't protect from high-temperature stress.

      • 담배에서 고염분 스트레스에 의해 축적된 ROS에 대한 폴리아민의 효과에 관한 연구

        김유정 순천대학교 대학원 2015 국내석사

        RANK : 247647

        1. 고염분 스트레스를 처리하면 ROS가 과다하게 생성되는데, ROS를 DCFH-DA로 염색하여 공초점 현미경으로 관찰하면 공변세포의 세포막, 엽록체와 핵에서 현저하게 증가하였다. 2. 식물 생장조절물질인 polyamine은 스트레스 반응과정에서 ROS 생성을 억제시키는 scavenger로서 작용하게 된다. 그러나, polyamine oxidase 활성이 증가하게 되면 polyamine이 분해되기 때문에 scavenger로서 효과는 감소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polyamine은 ROS scavenger로서 스트레스 저항성을 유도한다는 것을 증명하기 위해서 폴리아민 생합성 효소인 SAMDC 유전자 형질전환 식물체와 폴리아민 분해 효소인 PAO 유전자 형질전환 식물체를 이용하여 ROS 축적을 관찰하였다. ROS 축적은 pao S2.2 형질전환 식물체에서 현저하게 증가한 것을 확인하였다. 세포 내 polyamine 함량이 높은 S16-S-4 와 pao A6 형질전환 식물체에서는 ROS 생성이 억제되어 PCD도 감소한 것을 관찰하였다. 이는 polyamine이 ROS scavenger로서 역할을 하며, 세포 내 polyamine이 함량이 높을수록 ROS 생성을 억제하고 엽록소 분해를 지연시키고 세포 죽음도 감소시켜서 스트레스 저항성을 높이는 것으로 여겨진다. 3. 고염분 스트레스를 처리한 35S::RbohF-GFP 형질전환 식물체에 polyamine을 같이 처리하게 되면, ROS가 현저하게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olyamine이 고염분 스트레스에서 ROS scavenger로 작용하여 ROS 생성을 억제하는 것으로 여겨진다. 4. 고염분 스트레스 조건에서, RbohF-GFP 단백질은 공변세포의 엽록체와 세포막에서 관찰되어진다. Protoplast에서 RbohF-GFP 단백질은 엽록체에서 관찰되어지지만, 핵에서는 관찰되지 않았다. 고염분 스트레스에 polyamine을 같이 처리하면 RbohF-GFP 단백질의 발현은 감소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polyamine이 ROS를 생성하는 RbohF 단백질을 분해하여 고염분 스트레스에 대한 ROS 생성을 억제시킬 수도 있다는 가능성을 보여준다.

      • 어머니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 : 사교육,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

        김유정 연세대학교 교육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어머니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고자 하며, 주요 매개변인으로 사교육 경험과 자아탄력성을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다음과 같다. 먼저 어머니 양육태도, 사교육 경험, 자아탄력성,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간에 어떤 관련성이 있는지 살펴보고, 어머니 양육태도가 사교육 경험과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고자 하였다. 이를 통해 초등학생의 과도한 학업스트레스를 예방하고 감소시키기 위한 적절한 지도 방안과 학교 현장에서 아동과 그 부모의 상담 및 교육에 활용될 수 있는 기초 자료를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러한 연구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선정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연구문제 1. 어머니 양육태도, 사교육 경험, 자아탄력성,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는 어떤 관계가 있는가? 연구문제 2. 어머니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사교육 경험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가 유의한가? 2-1. 어머니 양육태도는 사교육 경험을 매개로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2-2. 어머니 양육태도는 자아탄력성을 매개로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가? 본 연구는 서울특별시 양천구에 소재한 초등학교 5, 6학년 남녀 학생들 561명을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를 통해 이루어졌으며, 수집된 자료는 SPSS Version 19.0 통계패키지 프로그램과 AMOS 7.0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어머니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사교육 경험과 자아탄력성이 매개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선행 연구에 기초하여 구조적 관계를 이론적으로 설정하고, 모형이 경험적 자료에 얼마나 잘 부합되는지 구조방정식 모형 검증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어머니 양육태도와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 간 관계에서 사교육 경험과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어머니 양육태도를 어머니 애정-거부, 어머니 자율-통제의 2개의 하위요인으로, 자아탄력성을 감정통제 및 호기심, 대인관계 및 낙관성의 2개의 하위요인으로 나누어 변수로 사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적이거나 거부적인 양육태도는 초등학생의 사교육 경험과는 큰 관련이 없으며, 어머니가 통제적인 양육태도를 보일 경우에는 초등학생의 사교육 경험이 많아진다. 이러한 사교육 경험은 초등학생들의 학업스트레스를 높이는 요인이 되는 것이다. 또한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이고 자율적일수록 아동의 자아탄력성이 높으며, 자아탄력성이 높은 초등학생일수록 학업스트레스의 영향을 적게 받는다고 할 수 있다. 그리고 어머니가 애정적일수록 아동은 학업스트레스를 적게 받고, 통제적일수록 학업스트레스를 많이 받게 된다. 둘째, 어머니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사교육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어머니 자율-통제가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사교육은 완전매개효과를 나타냈다. 이는 어머니의 통제적인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직접적 영향을 주는 것이 아니라 사교육이라는 매개변수를 통해 간접적으로 영향을 준다는 것이다. 따라서 이 시기의 아동들은 어머니의 통제적인 양육 태도 자체에 스트레스를 받기 보다는 자신들에게 직접 물리적으로 가해지는 압력인 사교육에 더 큰 스트레스를 받는다고 볼 수 있다. 과도한 사교육 학습으로 인한 아동의 발달단계에 맞지 않는 무리한 지적 자극은 초등학생들에게 학업스트레스를 주고 전인적인 성장을 저해하기 때문에 적정한 수준으로 이루어져야 하고, 어머니들은 그러한 어려움을 파악하고 자녀들에게 크게 부담을 주지 않도록 해야 할 것이다.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줄이기 위해서 먼저 우리 사회에 팽배해 있는 부모들의 막연한 불안 및 경쟁 심리에 의한 사교육 경쟁을 해소해야 할 필요성을 시사한다. 셋째, 어머니 양육태도가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자아탄력성의 매개효과를 검증한 결과, 어머니 양육태도의 하위요인인 어머니 애정-거부가 학업스트레스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및 낙관성은 부분매개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연구 결과는 어머니의 양육태도가 애정적일수록 자아탄력성의 하위요인인 대인관계 및 낙관성이 높아지게 되고 이는 학업스트레스를 덜 지각하게 되는 요인이라는 것이다. 수많은 스트레스 요인이 있는 현대 사회에서 아동의 건강한 적응을 위해 자아탄력성이 아동의 중요한 성격자원이 될 수 있다. 즉, 아동의 자아탄력성은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적응적 보호요인으로 작용한다고 볼 수 있다. 따라서 이러한 아동의 자아탄력성을 증가시키는 교육 및 상담 프로그램의 필요성이 시사된다. 그리고 어머니의 애정적인 양육태도 역시 초등학생의 학업스트레스를 감소시키는 요인이 되므로 자녀 교육에 있어서 어머니의 역할이 얼마나 중요한가를 보여준다. 어머니는 아동의 성장에 있어 양육태도의 중요성 및 영향력을 인식하여 애정적인 태도로 자녀를 바람직하게 양육할 수 있도록 노력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