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원문제공처
          펼치기
        • 등재정보
        • 학술지명
          펼치기
        • 주제분류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저자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무료
      • 기관 내 무료
      • 유료
      • KCI등재
      • KCI등재

        일상 대화의 자기 점검을 위한 분석 기준

        권순희 ( Soon Hee Kwon ),문재영 ( Jae Young Moon ),윤보라 ( Bo Ra Yoon ),허림 ( Rim Heo ) 한국화법학회 2011 화법연구 Vol.0 No.19

        현재 국어과 교육과정에서는 일상 대화 영역과 관련된 듣기·말하기 교육의 내용이 부족하고, 제시된 것마저도 구체적으로 일상 대화에서의 자신의 말하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과 관련되어 있다고 보기 어렵다. 일상 대화에서의 말하기 양상은 개인의 말하기 습관에 따라 일관된 형태를 띤다. ``일상 대화``라는 구분은 포괄적이나 그 안에서 구현되는 말하기 양상이 일관된 형태를 지니기에 일상 대화는 충분히 분석의 대상이 될 수 있다. 화법 교육의 영역에서 일상 대화 분석의 필요성은 충분하나 현재에는 그 분석 기준이 제대로 마련되어 있지 않다. 이러한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일상 대화의 분석 기준을 마련해 보았다. <화법교육론> 수업 시간에 수강생들이 자신의 일상 대화를 녹음해서 듣고 그로부터 발견되는 특징들을 자유롭게 적어 낸 결과물에 근거하여 일상 대화의 자기 점검 분석 기준을 1차로 선정하였다. 2차 선정은 1차 기준 선정에서 분석한 결과의 일부를 참고하고, 연구자들의 토의에 의해 마련되었다. 마지막 최종안은 설문지 형식으로 만들어졌다. 제작된 일상 대화의 자기 점검 문항을 통해 자가진단 및 처치방안의 파악이 가능하므로 수업시간 외의 시간에 활용하여도 좋고, 수업시간에 그 결과를 활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자신의 말하기뿐만 아니라 타인의 말하기를 듣고 평가하는 것도 말하기 습관의 중요성과 말하기의 구조 및 양상을 파악하는 데 교육적으로 유의미한 활동이 되므로 파트너를 정해 서로의 말하기를 바탕으로 점검하게 할 수도 있다. 기준을 설정하는 과정이 대부분 연구자들의 토의로 이루어졌기 때문에, 반드시 분석해야 하는 일상 대화의 특정 사항이 존재함에도 이를 고려하지 못한 것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부분은 앞으로 지속적이고 활발한 후속연구를 통해 보완해 나가야 할 것이다. Current Korean education curriculum is short of listening and speaking education contents related with everyday conversation. Also it does not help students improve their speaking ability. In everyday conversation individual speaking aspect shows a coherent form according to his or her speaking habit. Everyday conversation can be a subject of study, because individual speaking aspect shows a coherent form. In speech education analysis criteria for everyday conversation is not sufficient. Through this study analysis criteria for everyday conversation have been suggested. Preliminary analysis criteria for self-monitoring of conversation were select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found by analysis of students` recorded conversation in speech education class. The second analysis criteria for self-monitoring of conversation were selected by the discussion of the preliminary analysis criteria. Final analysis criteria were made in a form of questionnaires. Because self-monitoring is possible by answering the questionnaires, the result of questionnaires can be used in class. Class partner can check the questionnaires because not only self-monitoring but also monitoring of others is a valuable activity in order to understand the importance of speaking habit and the structure and aspect of speech. This draft proposal of analysis criteria may be lack of essential characteristics of everyday conversation, because the selection of analysis criteria was conducted by discussion of authors. This limitation should be complemented by the continuous and active succeeding studies.

      • KCI등재

        ‘콩쥐팥쥐’류 동화의 문화 맥락 탐구학습과 다문화 이해 교육

        권순희(Kwon Soon-hee),김승연(Kim Seung-yeon) 국어교육학회 2011 국어교육연구 Vol.48 No.-

        Educational value of traditional fairy tale like 'Kongjwi and Patjwi' type was studied in the knowledge that development of teaching material is important. Traditional fairy tale is the old story reflecting children's childlike innocence and containing ethnic characteristics. Education using traditional fairy tales should not give students the superiority or the inferiority complex of their own country. It should give students open point of view through evoking sympathy and understanding about culture of different countries. If children are guided to recognize the differences and similarities of different countries, multicultural education can be realized. Traditional fairy tale plays the major role in passing down the style of living, traditional values, and religions from mouth to mouth, forming social and cultural consensus among country members, and preserving and reinventing cultural values. Traditional fairy tale is one of the excellent teaching material, because it has the function of transmitting the values and style of living of the day to children by showing them the lives of ordinary citizen. ‘Kongjwi and Patjwi', ‘Mulgogi Gasi', and ‘Cinderella' were selected as the three countries' traditional fairy tales having similar story structure. Each country's cultural difference and similarity were appreciated by analyzing the three stories. An example of listening and writing education was suggested using a Chinese fairy tale, ‘Seophan' as the educational method for improving multicultural literacy. Through this study education for enlarging cultural schema was suggested as a educational content for Korean education.

      • KCI등재

        표어의 긍정,부정적 표현을 통한 표현 교육 방향

        권순희 ( Soon Hee Kwon ) 국어교육학회 2008 國語敎育學硏究 Vol.32 No.-

        일상 생활에서 쉽게 접하는 표어를 분석함으로써 긍정적 표현교육의 방향을 논의하였다. 표어는 어떤 사회나 집단에서 의견이나 주장을 호소하거나 알리기 위해 간결하게 표현한 것이다. 표어는 짧은 문구이면서 사람들의 인식 속에 강한 인상을 주어야 한다고 보고, 언어 사용자들은 자극적이고 극단적인 표현을 사용하기도 한다. 밝은 면을 바라보는 긍정적 표현과 어두운 면을 바라보는 부정적 표현을 선택하게 하는 표현 교육을 논의할 필요가 있다. 긍정적 사고는 신체적, 정신적 건강과도 상관관계가 있으며, 언어 사용 윤리 차원에서도 바람직하다. 긍정적 표현을 위한 표현 장식을 논의함으로써 감정, 감각, 생명을 불러 일으키는 표현 교육의 방향을 제시하였다. 표어를 텍스트 차원에서의 문식성, 사회 문화적 환경 차원에서의 문식성, 사회적 주체 즉 인간 차원에서의 문식성이라는 3차원적 입장에서 분석하였다. 전주지역, 2005년 12월부터 2008년 6월까지 현수막으로 내걸렸던 표어를 대상으로 조사 분석하였다. 표어에 나타난 이데올로기와 사회적 태도와의 관련성 속에서 직업적 특성에 따라 달리 나타나는 표어 표현 양상을 분석함으로써 긍정적 표어 사용의 필요성과 이를 통한 표현 교육의 바람직한 방향을 연구하였다. The direction of positive expression education was discussed by analyzing slogans which could be easily catched in daily life. A slogan is a memorable brief motto or phrase used for expression of an opinion or contention by a social group. Slogan users sometimes use stimulating and extreme expressions for producing deep impressions to human recognition. For the desirable direction of expression education, positive expressions and negative expressions should be comparatively discussed. Positive expressions are correlated with physical and mental health and they are also desirable for ethics of language utilization. Through this study, a direction of expression education bringing about emotion, sensation, and life was suggested by discussing expression aspects for positive expression. Slogans were analyzed in the three directions of literacy, text level, sociocultural environmental level, and human being level. Slogans expressed on placards from December, 2005 to June, 2008 in Jeonju province were analyzed. The necessity of positive expression of slogans and a desirable direction of expression education were studied by analyzing aspects of differently expressing slogans according to occupational characteristics in relation with ideology and social attitude.

      • KCI등재

        부모 참여 국어 교육

        권순희(Kwon Soon-hee) 우리말교육현장학회 2008 우리말교육현장연구 Vol.2 No.2

        교육의 본질을 생각하면서 부모가 국어 교육에 참여할 수 있는 부분을 생각해 보았다. 국어 교육을 가정에서 지도한다는 것은 학습 지도에 ‘부모가 참여’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국어 교육은 학부모와 교사가 함께 지도해야 할 영역이다. 그러나 가정에서 국어 교육을 할 수 있는 방법이나 내용을 알려주는 책이 없으니 이는 쉬운 문제가 아니다. 국어 교육 전문가이면서 학부모인 입장에서 가정에서 지도할 수 있는 국어 교육의 방법을 논의하고자 주변의 사례를 수집하고 이에 대해 해석을 하는 방식으로 연구를 하였다. 긍정적 말하기 듣기 교육에 대한 방법, 음성 언어를 문자 언어로 전이하는 지도를 통해 쓰기 교육의 긍정적 태도를 키워주는 방법, 부모와 함께 하는 읽기 교육을 통해 매체 교육의 자연스러운 교육 방법, 읽기를 통해 창의적 글쓰기를 지도하는 방법, 일상생활 속에서 탐구 학습을 가능하게 하고 공부에 대한 메타인지를 하도록 돕는 방법을 논의하였다. 학원으로만 내몰리면서 인지적인 영역만을 교육하고 있는 현실 속에서 정의적 영역의 교육을 놓치지 않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부모 참여 국어 교육을 논하였다. While thinking the true nature of education, I considered the education area which parents could take part in. Home education of Korean language means that parents take part in the education of their children.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an area which parents should cooperate with teacher. But, it is not easy for parents to teach their children, because there are few books about teaching methods or contents. From my standpoint of an expert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as well as a parent, I collected and discussed examples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order to suggest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for parents. Through this study, I proposed several teaching methods; teaching method for positive speaking and listening, teaching method to translate a spoken language to a written language in order to improve positive attitude on writing, natural education method by reading or discussing about books with children, instruction method for creative writing through reading, upbringing method for children's pursuit study and meta-cognition in everyday life. I studied parents-participating Korean language education methods in the hope that we should recognize the importance of affective area of education on the current real conditions that cognitive area of education is emphasized.

      • KCI등재

        다문화 사회의 (한)국어 수업 : 다문화시대 문화간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한 교육 자료

        권순희 ( Soon Hee Kwon ) 국어교육학회 2010 國語敎育學硏究 Vol.38 No.-

        문화간 의사소통이란 낯선 문화와 가치 체계를 이해하고 낯선 문화를 가진 사람들과 알맞은 방식으로 의사소통하고 행동하며, 그들을 이해하는 능력을 의미한다. 즉, 다른 문화권을 배경지식으로 하고 있는 사람과 효율적인 상호작용을 할 수 있는 실질적인 능력을 의미한다. 문화간 의사소통을 향상시키기 위해 문화간 의사소통에 관련된 실질적 교육 자료를 제시하는 것이 필요하다. 이 연구는 문화간 의사소통 교육에 필요한 교육 자료를 제시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문화간 의사소통에 대한 자료를 제시하는 틀로 문화간 의사소통적 지식, 문화간 언어적 감수성, 문화간 풍속과 행위를 교육 요소로 정하고, 인식, 이해, 수용, 창작, 표현을 학습자의 반응 틀로, 차이로 인한 오해 사례, 비교 사례, 조화로운 수용 사례와 같은 관계틀을 제시하였다. 그러나 이 제시 틀을 분석적으로 접근하기보다는 통합적으로 접근할 필요가 있다. 이 연구에서 제시한 교육 자료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간 의사소통의 일화를 제시하여 문제 의식을 제공하였으며, 둘째, 세계화됨으로써 언어문화 이해에 변화가 일어날 수 있음을 자료로 제시하였다. 셋째, 중국 언어문화를 소개하고, 광고, 영화에 나타난 외국인의 관점으로 살펴본 언어문화 이해를 기술함으로써 문화간 의사소통 자료를 제시하였다. 문화간 의사소통 자료는 방대한 양을 다루어야 할 문제이기 때문에 공동 연구를 통해 체계가 이루어져야 할 것이다.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s to understand different cultures and their systems of value, to communicate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the appropriate manner, and to understand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other words, that means the practical ability to interact with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In order to improve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bility, it is necessary to present substantial materials. The purpose of present study is to present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As the frame work for presenting materials for the education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intercultural communication knowledge, intercultural linguistic sensitivity, and intercultural customs and actions were chosen for educational elements. Recognition, comprehension, reception, creation, and expression were offered as the learners` action framework. Examples of misunderstanding due to differences, examples of comparison, and examples of harmonious acceptance were exhibited as the relations framework for different languages and cultures. These frameworks should be studied not by analytical manner but by integrated manner. Through this study educational materials were suggested as follows: 1) Awareness of issues was offered by showing episodes of intercultural communication, 2) Data, supporting the idea that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ulture could be varied by globalization, were presented, 3) Material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were presented by introducing Chinese language and culture, and analyzing the foreigners` understanding of language and culture appeared in advertisements and movies. Further joint studies will be necessary to make the systems for treating a large amount of materials for intercultural communication.

      • KCI등재

        중등 귀국 학생의 국어 교육 적응 및 한국어 사용 양상에 대한 자기 성찰적 고찰

        권순희 ( Soon Hee Kwon ) 국어교육학회 2015 國語敎育學硏究 Vol.50 No.4

        국제화 시대가 됨에 따라 한 해 출국하는 학생 수는 2만 명을 넘고있으며 우리나라에 귀국하는 학생 수 또한 2만 명을 웃돌기도 하고 현재는 1만 4천여 명이다.귀국 학생은 문화 충격 과정을 거친다. 모국을 떠나 외국에서 생활하는 시기에 (1)허니문 혹은 여행자 단계, (2)위기 혹은 문화적 쇼크단계, (3)적응, 재통합, 점진적인 회복 단계, (4)수용, 해결, 문화 친숙단계 등 4단계를 거치고, 외국에서 다시 모국으로 돌아와서 적응하는 시기에 3단계를 거친다. 그런데 엄밀하게 살펴보면 모국-외국-모국의 문화 충격 과정을 거치기도 하고, 외국-모국-외국 순으로 문화 충격과정을 거치기도 한다. 본 연구는 귀국 학생의 문화 충격의 과정을 학습 및 학교생활 차원에서 살펴보기 위해 심층 면접을 실시하였다. 중고등학교 시절 한국에서 교육을 받은 경험이 있는 귀국 학생 중 현재 대학생, 대학원생과 그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 방치하는 한국, 제도 만드는 외국, 익숙하지 않은 선후배 문화, 언어 차이, 수업 차이, 평가관의 차이 면에서 문화 차이 및 적응 실태를 살펴볼 수 있었다. 또한 이중 언어 환경에서 생활하다가 온 귀국 학생이 스스로 한국어 사용 양상을 성찰할 수 있는 언어 인식 능력이 있는지를 살펴보기 위해 과거에 잘못 썼다고 생각하는 한국어 사용 양상이나 현재 잘못 사용하고 있다고 생각하는 한국어 사용 양상을 조사하였다. 그리고 중등 귀국학생 교육을 위한 국어교육 차원의 제안을 제시하였다. 다모드 교수학습법(multimodal instruction)이 필요하며, 귀국 학생 개인 학습자에 대한 면담 등으로 개인에 초점을 둔 연구보다 교실 상황과 같이 교육공동체 차원의 연구가 필요하다는 제안을 하였다. 또한 문화적으로 반응하는 국어교육 접근이 필요하며, 학습자 개개인이 가진 문화적 정체성,상대방이 가지고 있는 문화적 정체성을 받아들이며 상호작용을 하는 교육적 접근을 통해 문화적 정체성, 언어 정체성 면에서 성찰적 사회화가 이루어지도록 지도할 것을 제안하였다. Since Korea entered the era of globalization, over 20,000 Korean students have been leaving Korea for their study abroad every year and almost the same number of students is returning to Korea. According to the recent statistics, the number of returning students reached 14,000. Returning students are experiencing a culture shock again. They have already experienced the following stages of culture shock in a foreign country: (a) Honeymoon or Traveler’s Stage, (b) Culture Shock Stage, (c) Adjustment, Reintegration, or Progressive Recovery Stage, and (d) Acceptance, Resolution, or Celebration Stage. When returnees come back to Korea, they go through three stages of culture shock while they are readjusting themselves to their own culture. Strictly speaking it could be a domestic-foreign-domestic culture shock or a foreign-domestic-foreign culture shock, in that order. To investigate the process of returnees’ culture shock with respect to their learning and school life, a survey was conducted. The subjects were 4 undergraduates, 1 graduate, and their mother who had once attended a secondary school in Korea after they returned Korea. The results showed how they were coping with the following issues: laissez-faire education compared to systematized education in a foreign country, uncomfortable culture of seonhubae‘senior-junior relationship’; differences in language usage; differences in classroom atmosphere; and differences in evaluation criteria.Another survey of returnees’ reflections on their usage of the Korean language was also conducted to find whether they could recall their former errors or monitor their current misusages. Somesuggestions were made to propose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for returning secondary school students. First, returnees need a multimodal instruction. Second, further study should focus on educational communities including classroom settings rather than on an individual learner’s case study. Third, a new approach to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is required; teachers should be aware of their learners’ culture shock. Finally, teachers’ instruction should be based on reflective socialization; language teachers should accept every individual learner’s cultural and linguistic identities.

      • KCI등재

        문화 텍스트적 관점의 번역 동화 이해 교육

        권순희 ( Soon Hee Kwon ) 한국독서학회 2006 독서연구 Vol.0 No.15

        언어에는 문화가 반영되기 마련이며 텍스트에도 문화가 반영되기 마련이다. 번역 동화를‘문화’라는 표지(marked)로 이해하고 읽어 가자는 의도에서 문화 텍스트적 관점이라고 명명하였다. ‘문화 텍스트적 관점’으로 번역 동화에 나타난 언어 문화를 분석하고 이해하도록 초등학생에게 교육하고자 연구가 이루어졌다. 대한출판문화협회의 출판 통계에 의하면 10년 전에 비해 2000년대에 번역 도서와 번역 동화의 발행부수가 급증한 것을 알 수 있다. 2002년에 전체 도서 발행 종수 대비 번역도서의 비중을 보면, 아동 도서의 경우 46.8%, 만화의 경우 41.43%인 것으로 나타났다. 초등학생이 접하게 되는 도서 중 번역 동화의 공급이 커지고 있는 점을 주목해야 한다. 번역 동화에 대한 연구는 국어 교육 측면에서 거의 전무한 상태다. 간혹 번역에 대한 일반론에서 원전과 번역본과의 대조를 다루는 경우는 있으나 국어교육적 측면에서 다룬 연구는 찾기 어렵다. 세계화 정보화 시대에 대응해 나갈 미래의 일꾼을 위한 연구 과제로 번역 동화는 언급하지 않을 수 없는 분야이다. 번역 동화를 읽으면서 한국문화와 외국문화 사이에서 다양한 방법으로 문화 요소를 탐구하는 과정은 창의적 사고 능력을 신장시키는 것은 물론 국어교육의 새로운 방향을 설정할 수도 있다. 또한 번역 동화에 나타난 언어 문화적 현상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에서 나타나는 논리적 구조 및 언어 문화적 현상을 다양한 방법으로 비교 검토, 분석하는 과정을 통해 논리적, 분석적, 비판적 사고력은 물론 하이브리드적 사고 능력(종합적 사고 능력 +관계적 사고능력)이 향상될수있다. 독일의 전래동화『개구리 왕자』와 영국의 창작 동화『이상한 나라의 앨리스』, 미국의 창작 동화『찰리와 초콜릿 공장』등을 등장인물, 표현, 가치관이라는 틀로 분석하였다. 작가의 문화적 텍스트 구성에 초점을 두어 분석의 틀로 삼았다. 작가가 텍스트를 구성하는 차원을 염두에 두고 이야기 구성에 대표성을 띠는 등장인물(텍스트 내적 요인), 텍스트표현(텍스트 외적 요인), 텍스트의 기반을 이루는 작가의 가치관(텍스트 기반 요인) 등을 고려 요소로 선택하여 번역동화를 살펴보았다. 이 분석은 번역 동화에 대한 교육 내용이 될 것이다. 번역 동화의 교육 내용에 근거하여 교수 학습법을 창안하였다. 국어교육 학습내용에 근거한 교수 학습법 창안은, 기존의 형식적 교수 학습법에 대한 새로운 대안이다. 국어교육 내용학 차원에서 교수 학습법이 창안되어야 한다는 생각으로 문화 탐구 학습법, 이야기 분석 학습법, 이야기 구조 학습법, 관점 선택 학습법 등을 제안하였다. Text as well as language reflects culture. In the point that translated children`s story should be understood and read as a mark of culture, a reading education method was suggested for elementary school students. The ratio of translated children`s stories and comics in the published children`s books in 2002 were 46.8% and 41.4%, respectively. Although studies on the translated children`s story are very important for Korean education of children, little has been studied. The culture-inquiring process through reading translated children`s story can enlarge original thinking ability of children and this kind of education can open a new direction of Korean education. Children`s hybrid thinking ability as well as logical, analytical, and critical thinking ability can be developed through comparing and analyzing linguistic culture phenomena of translated children`s story. A German traditional tale ‘The Frog Prince’, an England fiction ‘Alice in Wonderland’, and an American fiction ‘Charlie and the Chocolate Factory’ were analyzed in the point of characters (a primary internal factor of text), expression (a primary external factor of text), and the writer`s sense of values (a fundamental factor of text). These factors can be education contents of the translated children`s story.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children`s story teaching methods such as culture inquiry teaching method, story analysis teaching method, story structure teaching method, and taking perspective teaching method were proposed.

      • KCI등재
      • KCI등재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