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신경역동술 중재가 엘리트 중학교 및 고등학교 스프린터의 스프린트 스타트 퍼포먼스에 미치는 영향

        정재우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서론: 짧은 거리 스프린트 스피드는 많은 스포츠에서 필수적인 요소이다. 단거리에서 빠른 스프린트 속도를 달성하는 것은 성공적인 스포츠 성과를 위해 중요하다. 실제로, 짧은 거리에서 더 가속을 잘하는 엘리트 선수들이 가속을 못하는 선수들보다 필드 스포츠에서 더 좋은 경기력을 보여준다. 따라서, 성공적인 필드 스포츠 경기력을 위해서는 운동선수가 가속, 감속 및 방향 전환을 빠르고 효율적으로 수행 할 수 있어야 하며 이 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기 위해서는 초기 가속도를 짧은 시간 안에 높일 수 있는 능력이 중요하게 고려된다. 그 말은 하지에서 일반적으로 폭발적인 강도의 지수로 사용되는 힘 발생 비율이 향상 되어야 한다는 뜻이다. 현재까지 신경역동술은 만성 근 골격계 질환에 대한 효과들도 있었지만 근육의 활성화 그리고 근력의 향상에도 효과적인 것으로 보고되었다. 본 연구의 목적은 스프린트 스타트에 가장 크게 영향을 미치는 근육들이 급성적 으로 활성화 될 수 있게 신경 역동술(neurodynamics)을 중재한 후 근육들의 활성화로 인해 수직, 수평 방향의 힘 발생 비율과 지면반력 최댓값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후향 적(Retrospective) 단면 조사연구(Cross-sectional study) 이고 연구실에서 진행 되었다. 연구대상자는 청소년 육상선수들 36(남:24, 여:12)으로 선정하였다. 인적 사항과 하지 부상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부상 여부 및 일상생활, 스포츠 활동 신체 준비도 설문조사를 실시하였고 설문 조사 시에 실험에 적합하지 않은(하지기능척도 44점 이하) 대상자는 제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사전과 사후는 신경역동스트레칭 중재 전후로 구분하였으며, 연구대상자 들은 2일 동안 참여하였고 10번의 반복측정을 하였고 그 후 5개의 데이터만 사용하였다. 결과: 신경역동술 과 대조군 그룹에서 앞, 뒷발의 수직 힘 발생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경역동술 과 대조군 그룹에서 앞, 뒷발의 수평 힘 발생 비율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경역동술 과 대조군 그룹에서 앞, 뒷발의 수직 지면반력 최댓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신경역동술 과 대조군 그룹에서 앞, 뒷발의 수평 지면반력 최댓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결론: 본 연구는 청소년 육상 선수 에게 신경역동술을 중재했을 때 수직, 수평 방향의 힘 발생 비율과 지면반력 최댓값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실험 이었다. 결과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는 나타나지 않았다. 이러한 결론의 이유로는 첫 번 째로 특정 운동학습이 이루어 지기위해서는 최소한의 운동 조절을 하는 기간과 시행착오가 필요하다. 두 번째 는 신경역동술을 중재 했을 때 만성 근골격계 질환자들은 근력에 유의한 변화가 있었지만 건강한 그룹군 에서는 유의한 변화를 나타내기에는 부적합한 실험 설계였다. 향후에 연구는 신경역동술 중재를 통한 장기적인 종단 연구가 진행되어질 필요가 있다. Introduction: Short distance sprint speed is essential for many sports. Achieving high sprint speed over short distances is important for successful sports performance. Indeed, elite athletes who are better at short distances perform better in field sports than those who are not able to accelerate. Therefore, to be successful in field sports, athletes must be able to accelerate, decelerate and turn quickly and efficiently, and it is important to improve this ability. To this end, the ability to increase initial acceleration in a short time is important. That means that the Rate of Force Development commonly used as exponents for explosive strength in lower limbs should be improved. To date, neurodynamics has been shown to have effects on chronic musculoskeletal disorders, but has been reported to be effective for muscle activation and muscle strength improvemen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ertical and horizontal Rate of Force Development and Maximal Ground Reaction Force ​​after mediated neurodynamics. Methods: This study is a retrospective cross-sectional study and was conducted in the laboratory. The subjects were selected as 36 youth athletes (male: 24, female: 12). In order to confirm personal information and lower extremity injury, a questionnaire survey was conducted for injuries, daily life, and sports activities. In this study, pre and post were divided into before and after neurodynamic intervention. Subjects participated for 2 days, repeated 10 measurements, and then only 5 data were used. Result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e and rear foot vertical direction Rate of Force Development between the neurodynamic and control groups.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e and rear foot horizontal direction Rate of Force Development between the neurodynamic and control group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e and rear foot vertical direction Maximal Ground Reaction Force between the neurodynamic and control groups.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fore and rear foot horizontal direction Maximal Ground Reaction Force between the neurodynamic and control groups. Conclusion: This study was conduct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vertical and horizontal Rate of Force Development and Maximal Ground Reaction Force on the intervention of neurodynamics in adolescent athletes.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 The first reason for this conclusion is that the minimum exercise control period and trial and error are required for the specific exercise learning to be achieved first. Second, there was a significant change muscle strength in patients with chronic musculoskeletal disorders when neurodynamic intervention was mediated. However, the healthy group was inadequate to show significant changes. In the future, long-term longitudinal studies through neurodynamic interventions need to be conducted. Key words: Neurodynamics, Rate of Force Development, Maximal Ground Reaction Force , Sprint Start

      • 저항성 슬레드 토잉이 국가대표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들의 스프린트 스타트에 미치는 영향

        김재명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31

        서론: 빠르게 최대 속도에 도달하는 가속 능력은 스피드를 요구하는 다양한 스포츠 선수들에게 퍼포먼스를 결정짓고 스포츠 상황의 결과를 좌우하는 중요한 요소이다. 가속 눙력 향상을 위해 실제 스프린트 상황을 고려한 트레이닝이 필요하며 저항성 슬레드 토잉은 가속 구간의 이러한 특성에 기반한다. 하지만, 가속 구간의 기록 단축과 같은 긍정적인 결과와 달리 슬레드 토잉이 실제 가속 구간에서 필요한 운동역학적 요소 그리고 근육들을 자극할 수 있는지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국가대표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들을 대상으로 저항성 슬레드 토잉(체중 20, 30%)이 가속 구간 스프린트 스타트 운동역학에 미치는 영향을 관찰하여 슬레드 토잉에 대한 운동역학적 근거를 분명히 하는 것이다. 방법: 본 연구는 교차연구(Cross-over design)이며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 대학원 운동역학 연구실에서 진행되었다. 연구대상자는 13명의 국가대표 봅슬레이 스켈레톤 선수들(나이: 24.30±2.59, 키: 181.03±6.02, 체중: 97.18±8.71, 선수경력: 7.76±2.48)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기준 설정을 위해 무저항 스프린트를 먼저 3회 수행하였으며 이후 비교를 위해 무작위로 저항 부하를 선정 후 저항성 슬레드 토잉(체중 20, 30%)을 각각 3회씩 진행하였다. 지면 반력기와 3D 모션 분석을 통해 연구대상자의 발이 지면에 접촉한 순간부터 떨어지는 지점까지의 운동역학적 데이터를 수집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들은 R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95%의 신뢰구간을 산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 저항성 슬레드 토잉은 무저항 스프린트 대비 체중 20, 30% 부하의 발 지면 접촉 구간에서 각각 26, 37% 낮은 후방 지면 반력 힘을 나타냈으며 중간 지면 접촉 구간에서 13, 20% 높은 수평 지면 반력 힘을 생산했다. 접촉 구간에 걸쳐 57, 60% 높은 고관절 신전 모멘트 발 지면 이탈 구간에서 36, 65% 높은 무릎 신전 모멘트를 나타냈다. 발 지면 이탈 구간에서 각각 7, 9° 높은 고관절 신전 각도를 나타냈다. 결론: 저항성 슬레드 토잉은 무저항 스프린트에 비해 스프린트 스타트의 다양한 운동역학적 차이를 보였다. 스프린트 수행 시 가해지는 저항은 굴곡된 신체와 몸 중심점을 낮추고 고관절 신전 힘과 무릎 신전 힘을 증가시켰으며 지면 반력의 패턴에서 더 높은 수평 지면 반력 힘을 발생시켰다. 반면, 슬레드 토잉 수행 시 가해지는 저항은 관절 파워를 낮추는 것으로 보인다. 더 나아가, 저항의 크기에 따라 일부 구간에서 발목, 무릎, 고관절 각도가 다른 패턴을 보였으나 전체적인 스프린트 움직임 패턴에서는 부정적인 영향을 주지 않는 것으로 보인다. Introduction: The ability to accelerate to a fast maximum speed is an important factor that determines performance and determines the outcome of a sports situation for a variety of sports players who demand speed. Training is required in consideration of the actual sprint situation to improve acceleration ability, and the sled towing is based on these characteristics of the acceleration phase. However, unlike positive results, such as shorter records of acceleration intervals, studies are limited on whether the sled towing can stimulate the muscles and the kinematic factors needed in the actual acceleration phas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validate the kinematic basis for sled towing by observing the effect of resistant sled towing (BM: 20, 30%) on the sprint start kinematics of the acceleration for Korean national bobsleigh skeleton athletes. Methods: This study is Cross-over design and was conducted in the graduate athletic laboratory of Sports Medicine at the CHA University. The study participants were selected as 13 Korean national bobsleigh skeleton athletes (age: 24.30 2 2.59, height: 181.03 ± 6.02, weight: 97.18 ± 8.71, and experience: 7.76 ± 2.48). In this study, resistance-free sprinters were performed first three times for reference setup, followed by resistance-sled towing (BM: 20, 30%) three times each after randomly selecting resistance loads for subsequent comparisons. The analysis of force plate and 3D motion collected kinematic data from the moment the feet were in contact with the ground to the point where they fell. The data obtained yielded a 95% confidence interval using the R Statistical Program, and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P<.05. Results: Resistant Slade Towing represented a posterior GRF 26 and 37% lower at the toe-on phase compare to non-resistant sprint, respectively, and produced a anterior GRF 13, 20% higher at the mid-stance phase. The sled towing showed a hip extension moment of 57, 60% higher over the ground contact phase and a knee extension moment 36 and 65% higher at the toe-off phase. In addition, the angle of the hip was 7 and 9°higher at the toe-off phase, respectively. Conclusion: resistant sled towing showed various kinematic differences in the sprint start compared to non-resistance sprinters. Resistance to perform sprints lowered trunk and body center points, increased hip and knee extension moments, and produced higher anterior GRF in the pattern of ground reaction forces. On the other hand, the resistance applied to performing the sled towing appears to reduce joint power. Furthermore, the ankle, knee and hip angles in some phases showed different patterns depending on the load of the resistance, but they do not appear to have a negative effect on the overall pattern of sprint motion. Keywords: Resistant Sled Towing, Sprint, Ground Reaction Force, Moment

      • Age-related Alterations in Senior Fitness Performance and Body Composition in a Korean Elderly Population: A Sarcopenia Study

        wangkai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Age-related sarcopenia is a phenomenon with aging, which is defined as the progressive loss of physiological functions. Although physiological functions are being continuously diminished with aging, aging may have different effects on slopes of those. Also, based on sex differences, aging may also have different effects on slopes with age in a single factor.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age-related alterations in body composition and senior fitness performance in Korean older adults and between sex. Cross-sectional data from 286 Korean older adults (mean age 73.6 years; 144 females) were analyzed. The measures of body composition included body weight, fat mass, appendicular skeletal muscle mass, and calf circumference. The measures of senior fitness performance included handgrip strength, knee extension strength, ankle dorsiflexion strength, ankle plantarflexion strength, toe flexion strength, 5 sit to stand test, 4m gait speed and, single leg balance. Correlation and regression statistical analysis between age with body composition and senior fitness performance measurements were tested. The T-scores of body composition and senior fitness performance measurements were calculated and presented according to 5-year age groups to examine differences in age-related alterations. Most senior fitness performance measures showed significant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levels with age. Single leg balance showed moderate correlations and regressions levels in them. Sex differences in age-related alterations were shown in all senior fitness performance measures, older males were particularly declined than older females.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sex differences and age-related declines in body composition and senior fitness performance in Korean elderly population, which provides useful information and new strategies during early prevention. The primary finding of this study was that age-related alteration differences in various measurements. The second finding of the study was that older males likely are more influenced than old females by age-related alterations in senior performance. Clinically, these findings are potentially important for medical exercise specialists or geriatric physiotherapist or clinicians and provide useful information in developing such as goal-focused (e. g., balance training) and sex-different prevention programs for the Korean elderly population.

      • 고강도 하타 요가 시 에너지 수요 기여도 분석과 동적 및 정적 휴식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이광호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1 국내박사

        RANK : 249615

        [국문 초록] 고강도 하타 요가 시 에너지 수요 기여도 분석과 동적 및 정적 휴식이 회복에 미치는 영향 서론 : 바쁜 일상에 쫓기는 현대인은 자신에게 하루 동안 필요한 운동량을 짧은 시간 동안에 실행하기를 선호한다. 요가는 2000년대 이후 미국을 중심으로 빠른 속도와 짧은 유지 시간으로 대표되는 파워 요가(Power Yoga) 혹은 빈야사 요가(Vinyasa Yoga)로 불리는 고강도 수업으로 발전하며 인기를 얻고 있다. 운동의 강도를 설정하는 생리학적 지표로는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을 가늠하는 최대 심박수 또는 최대 산소 섭취량의 백분율이 사용되어왔다. 에너지 시스템 수요 기여도 분석은 최대 심박수와 최대 산소 섭취량의 백분율만으로 파악되지 않는 고강도 하타 요가 수련에 사용된 3가지 에너지 대사 시스템의 동원력 비율을 분석 유·무산소성 운동능력을 파악하게 된다. 하타 요가를 고강도로 실행하게 되면 운동 후 효과적인 회복 방법을 고려하여야 한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하타 요가 시 에너지 시스템 수요 기여도를 분석하여 운동 강도를 평가 분석하고 동적 휴식과 정적 휴식의 생리학적, 심리학적 회복 효과를 비교 분석하고자 한다. 방법 : 본 연구의 변인은 고강도 하타 요가 동안 phosphagen (W_(PCR)), ,glycolytic (W_(Gly)), oxidative (W_(Oxi))의 절대값(kJ),W_(PCR), W_(Gly), W_(Oxi)의 수요 기여도(%), peak heart rate (HR_(Peak)), mean heart rate (HR_(mean)), peak oxygen uptake (VO_(2Peak)), mean oxygen uptake (VO_(2mean))값, 회복 후 Recovery La-와 Recovery ∆La-, Peak La-, 기분 상태 척도(Mood states)이다. 연구 대상자는 여성 요가 강사(나이: 31 ± 4.2 years, 키: 163.7 ± 4.2 cm, 몸무게: 54.6 ± 5.3 kg) 20명이다. 본 연구에서는 고강도 하타 요가 시 심박수와 산소 섭취량을 측정하였다. 고강도 하타 요가 후 안정 시 젖산염과 회복 시 젖산염 농도를 분석하였다. 두 가지 회복 방법인 동적(걷기; HR_(max)의 40-45%) 및 정적(Savasana)휴식에 따른 기분 상태 척도는 K-POMS-B(Korean version of Profile of Mood States-Brief)를 이용하였다. 측정된 모든 변인의 데이터 값은 Shapiro-Wilk test를 통해서 정규분포를 확인하였다. 에너지 시스템 기여도는 Repeated-measures ANOVA Test를 실시하였고 변인 간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경우 사후 검정으로 Bonferroni Post-hoc test를 실시하였다. 기분 상태 척도는 비모수 통계인 Mann-Whitney & Wilcoxon Rank Test를 실시하였다. 혈중 젖산염 농도는 Independent T-test를 실시하여 분석하였다. 효과 크기를 분석하기 위해 모수 통계일 경우 Effect size Cohen’s d를 실시했고, 효과 크기는 small (0.2), moderate (0.5), 그리고 large (0.8)로 각각 설정되었다. 비모수 통계일 경우 effect size (r = Z/√N)를 실시했으며 효과 크기는 small (0.1), moderate (0.3), 그리고 large (0.5)로 각각 설정되었다. 통계적 유의 수준(α)은 p < .05로 설정 하였다. 결과 : 고강도 하타 요가 동안 세 가지 에너지 대사 시스템의 절댓값은 W_(PCR)과 W_(Gly)사이에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0232, d = 0.93). W_(Gly)과 W_(Oxi)사이에도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를 나타내었다(p<.0001, d=-1.30). W_(PCR)과 W_(Gly)를 합한 Anaerobic과 W_(Oxi)간 에너지 대사 시스템의 절댓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p<.0001, d = 7.41). 고강도 하타 요가 동안 HR_(Peak), HR_(mean), VO_(2Peak), VO_(2mean) 값은 175.77, 162.37 beats·min^(-1)및 38.21, 31.44 mL·kg^(-1)·min^(-1)로서 통계적 유의한 차이는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p >.05). 결론 : 본 연구의 목적은 고강도 하타 요가 동안 에너지 대사 시스템 수요 기여도를 파악하여 하타 요가가 고강도 운동으로 활용 가능한지를 알아보고, 고강도 하타 요가 후 동적 휴식과 정적 휴식이 생리학적 회복에 미치는 영향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에 따르면 고강도 하타 요가 시 에너지 대사 시스템 기여도는 유산소성 에너지 시스템 사용 비율이 81.96%에 해당하는 고강도 운동으로 나타났다. 또한, 고강도 하타 요가 후 동적 회복이 정적 회복에 대비하여 VO_(2After), ∆VO_(2), Recovery La-, recovery ∆La-값은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고강도 하타 요가 수리야 나마스카라B 동작은 바쁜 현대인들에게 짧은 시간 고강도 운동으로 활용될 수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한 세션이 아니라 두 세션 이상 연결된 고강도 인터벌 운동으로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사료 된다. 또한, 고강도 하타 요가 후에는 생리학적 지표로 보았을 때 정적 휴식에 대비해서 동적 휴식이 회복에 더 도움이 되는 것으로 사료 된다. 핵심어 : 고강도 하타 요가, 에너지 대사 시스템 기여도, 동적 회복, 정적 회복, 유·무산소성 운동능력, 기분 상태 척도, 젖산염 농도

      • PNF 스트레칭과 신장성 중량 스트레칭이 관절 가동 범위, 지속 효과, 최대 수직 점프 높이에 미치는 영향

        이은석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0 국내석사

        RANK : 249615

        서론: 인체 관절 내에서 관절 가동 범위에서의 제한은 스포츠 부상의 위험인자가 되기도 하며, 근골격계 질환의 위험 인자가 되기도 한다. 제한된 관절 가동 범위를 해결해주는 것은 일반적으로 스트레칭으로 알려져 있으며, 지금까지 스트레칭 기법 중 관절 가동 범위의 증가에 가장 큰 효과를 나타내는 스트레칭은 고유 수용 감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고유 수용 감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은 신경적인 변화를 일으키는 메커니즘에 의해 관절 가동 범위의 지속시간이 짧으며, 점프나 스프린트와 같은 퍼포먼스 변인에서의 저하를 유발한다고 알려져 있다. 또한 근래에 고찰된 문헌들에 따르면 신장성 스트레칭이라는 새로운 스트레칭 기법이 등장하여, 이는 관절 가동 범위 증가에 구조적으로 영향을 미치는 스트레칭 기법으로 관절 가동 범위의 지속시간 또한 오래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하지만 현재까지 두 스트레칭에 대한 직접적인 비교와 관절 가동 범위 증가의 지속시간과 퍼포먼스 변인에 대한 비교는 전무하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고유 수용 감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과 신장성 중량 스트레칭의 관절 가동 범위 증가 효과 및 지속시간의 비교와 반동 점프 높이의 비교를 통해 어떠한 스트레칭 기법이 엘리트 스포츠 선수들에게 더욱 더 효과적인 스트레칭 기법인지를 파악하는데 목적이 있다. 방법: 본 연구는 이원배치 분산분석 연구이다. 독립 변인은 제한된 관절 가동 범위를 가진 일반인, 고유 수용 감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과 신장성 중량 스트레칭이다. 종속 변인은 관절 가동 범위 증가 크기, 관절 가동 범위 증가의 지속시간(직후, 10분 후, 20분 후, 30분 후), 반동 점프 높이이다. 연구 대상자는 사전 연구 설문지를 통해 최근 6개월간 하지의 부상이나 근골격계 질환이 없었던 일반인과 우세다리의 햄스트링의 제한된 관절 가동 범위를 가진 일반인들을 대상으로 모집하였다. 만 19세~35세의 일반인 36명(남자 : 27명, 여자 : 9명)이 두 개의 스트레칭 그룹으로 무작위 분배되었다. 고유수용감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 그룹(남자: 13명, 여자:5명, 나이: 30.5±5.2세, 키: 168.6±7.9cm, 몸무게: 69.4±12.7kg, 사전 햄스트링 관절 가동 범위: 58.1±13.1°)과 신장성 중량 스트레칭 그룹(남자: 14명 , 여자: 4명, 나이: 22.5±2.8세, 키: 173.6±8.4cm, 몸무게: 75.2±11.8kg, 사전 햄스트링 관절 가동 범위: 59.8±10.6°)으로 선정 되었다. 본 연구에서는 신장성 중량 스트레칭 그룹의 개별적 무게 설정을 위해 1회 최대 반복 횟수를 측정하는 공식인 Lombardi 1RM 공식을 사용하여, 피험자의 1RM을 측정한 후, 해당 무게의 20%를 신장성 중량 스트레칭 시 사용하였다. 사전 햄스트링 관절 가동 범위를 수동적 무릎 폄 평가를 3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데이터로 사용하였으며, 사전 반동 점프 높이를 Vertical Jump mat and belt(Takei Jump meter, Japan)총 3회 실시하여 평균값을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이후 각 스트레칭 그룹별로 스트레칭을 실시하였으며(고유수용감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 3세트, 30초: 정적 스트레칭, 10초:햄스트링 등척성 수축, 20초: 이완 및 정적 스트레칭)(신장성 중량 스트레칭: 5세트 15회), 스트레칭이 끝난 후 3분의 휴식 이후 사후 반동 점프 높이 3회의 평균값과, 관절 가동 범위 증가(사후, 10분 후, 20분 후, 30분 후)모두 3회의 평균값을 데이터로 사용하였다. 본 측정은 2 way(Group x Time) repeated measures of ANOVA, Group(Treatment vs. Control), Time(pre, post, 10-min post, 20-min post, 30-min post)를 활용하였다. 이때 통계적 유의수준은 .05로 설정하였다. 모든 통계처리는 JMP Pro 14.0(software(SAS Institute INC, Cary, NC)을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신장성 스트레칭 그룹이 스트레칭을 실시한 결과 사전의 햄스트링 관절 가동 범위(59.83±10.60°)와 사후의 관절 가동 범위(67.53±8.81°)에서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전과 10 분 이후의 가동 범위(67.42±8.57°)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스트레칭 실시 이후 사후 관절 가동 범위와 30분 이후까지의 관절 가동 범위(66.20±8.89°)에서는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지 않았다. 고유 수용 감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 그룹이 스트레칭을 실시한 결과 사전의 햄스트링 관절 가동 범위(58.16±13.13°)와 사후의 관절 가동 범위(68.79±12.70°)에서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으며, 사전 관절 가동 범위와 10분 이후의 가동 범위(66.38±13.17°)에서도 유의한 차이를 나타냈다. 하지만 스트레칭 직후의 관절 가동 범위와 스트레칭 실시 후 30분차 관절 가동 범위(58.88±13.56°)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관절 가동 범위의(Group x Time)상호작용에 따른 변화를 보았을 때, 각 스트레칭 그룹(PNF: 58.88±13.56°, ELS:58.16±13.13°)이 스트레칭 실시 후 30분의 평균값 또한 그룹 간의 유의미한 차이를 나타내었다. 반동 점프 능력의 (Group x Time)의 상호 작용에 따른 높이 변화 그래프에서는 각 스트레칭 그룹 간 유의미한 차이가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지금까지 관절 가동 범위 증가에 가장 효과적으로 알려진 고유 수용 감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과 새롭게 연구되어지고 있는 신장성 중량 스트레칭이 관절 가동 범위 증가의 지속성과 관절 가동 범위 증가의 크기, 점프 높이에 미치는 영향을 비교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신장성 중량 스트레칭이 고유 수용 감각 신경근 촉진 스트레칭에 비해 관절 가동 범위 증가의 지속성이 길었으며, 관절 가동 범위 증가의 크기에선 두 가지 스트레칭 모두 가동범위에서 증가하였으나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는 없었다. 또한 점프 높이에서는 두가지 스트레칭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없었다. 하지만 신장성 중량 스트레칭 이후 점프 높이가 증가하는 경향을 나타내는 의미있는 결과들을 발견하였다. 해당 연구는 스트레칭 관절 가동 범위의 변화와 지속성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한 것 뿐 아니라, 퍼포먼스 변인에 미치는 영향까지 알아본 연구이다. 이는 제한된 관절 가동 범위를 가진 일반인이나 스포츠 현장의 지도자들, 선수들이 보다 실용적이고 효과적인 스트레칭 기법의 사용을 통한 유연성 증가 및 퍼포먼스 적인 변인들을 증가시키는데 도움을 줄 것 이라고 본다. Introduction- : Restrictions on the range of movement within the human joint may be a risk factor for sports injuries and musculoskeletal disorders. Improve the limited range of motion(ROM) of the joint is known as stretching, and so far the stretching technique that has the greatest effect on the increase of the range of motion of the joint is known as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tretching(PNF Stretching). However, PNF stretching is known to cause shorter durations of ROM increasement time by mechanisms that cause neurological changes, leading to degradation in performance variables such as jumps and sprints. In addition, according to recent studies, a new stretching technique called Eccentric stretching has emerged, which is a stretching technique that structurally affects an increase in the range of motion of joints and more longer duration of ROM increasement. To date, however, there are no direct comparisons between the two stretching technique and no comparison of the duration of ROM increasement time and performance variables and increased range of motio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the effect of increasing the range of motion and duration and countermovement jump height of PNF stretching and eccentric load stretching(EL Stretching) for efficacy of each stretching technique. Methods- : this study was a 2 way(Group x Time) repeated measures of ANOVA. Independent variables - subjects Who had a limited ROM of hamstring (male : 27, female : 9), PNF stretching, EL stretching. dependent variables - included ROM increasement, duration of ROM increasement time(pre, post, 10-min post,20-min post,30-min post), Counter Movement Jump height. Subjects were within 19~35 years old. 36 subjects who passed pre-participate survey. subject exclusion criteria included lower limb injuries and chronic ankle instability within 6 months prior to the study, a history of lower limb fracture or surgery, and being unable to perform functional jump tasks. Subjects were randomly divided into two stretching group(PNF Group : male : 13, female : 5; age : 30.5±5.2; height: 168.6±7.9cm; mass: 69.4±12.7kg, pre hamstring ROM: 58.1±13.1; ELS Group : male : 14 , female: 4; age: 22.5±2.8 ; height: 173.6±8.4cm; mass: 75.2±11.8kg, pre hamstring ROM: 59.8±10.6° ). In this study the Lobardi 1RM formula, which is a formula for measuring the maximum number of repetitions, was used to set the individual 20% of the weights was used for ELS Group. The average Pre-hamstring ROM was used as the data of three trials of passive knee extension test, the pre countermovement jump was performed 3 times in total by Vertical Jump mat and belt(Takei Jump meter, Japan) and the average value was used as data. After each stretching group was stretched (PNF Group : 3set, 30seconds: Static stretching; 10seconds: hamstring isometric contraction; 20seconds: relax and static stretching, ELS Group: 5set, 15reps). The average value of the three post-counter movement jump heights after the three-minute rest break after stretching and the increase of the joint ROM (post-, 10-minute, 20-minute, and 30-minute) were used as data. JMP Pro 14.0(software(SAS Institute INC, Cary, NC) was used for statistical analysis. Statistical significance was set at 0.05. Result- : ELS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OM of the Pre-hamstring ROM(59.83±10.60°) and Post-hamstring ROM(67.53±8.81°). After stretching,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Post-hamstring ROM(67.53±8.81°) and 30-min post hamstring ROM(66.20±8.89°). Stretching by the PNF group showe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range of pre-hamstring ROM (58.16 ± 13.13 °) and the post-hamstring ROM (68.79 ± 12.70 °). Significant differences are also seen in the pre-hamstring ROM(58.16±13.13°) and the post-10 min hamstring ROM (66.38 ± 13.17 °). However,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ost-hamstring ROM(68.79 ± 12.70 °) and post-30 min hamstring ROM (58.88 ± 13.56 °). As a result of the (Group x Time) interactions, each group of stretching in 30-min post hamstring ROM (PNF: 58.88 ± 13.56 °, ELS: 66.20 ± 8.89 °) also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groups. In the height change graph according to the interaction of the (Group x Time) countermovement jump height , there was no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the stretching groups. Conclusions- : This study investigated the effects of PNF stretching and the newly studied EL stretching on the persistence of increased range of motion, the magnitude of the range of motion and the jump height. The results of this study showed that EL stretching had a longer duration of increased ROM time compared to PNF stretching. In terms of the increase in the range of motion, both stretching technique increased in the range of motion, but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There was also no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two stretches in jump height. However, we found significant results indicating a tendency to increase the jump height after EL stretching. This study not only examined the effects of changes in increased ROM and persistence, but also the effects on performance variables. This will help the general people who had limited ROM, sports field coaches and athletes with limited ROM to increase flexibility and performance variables through the use of more practical and effective stretching techniques. Key word : Eccentric stretching, Proprioceptive neuromuscular facilitation stretching, Range of motion, Counter movement jump, hamstring, flexibility

      • 견갑골 운동장애 유무에 따른 Prone Horizontal Abduction 운동에서의 견갑주변근육 두께변화 비교

        송태현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서론: 많은 어깨 질환들이 견갑골의 운동이상과 관련되어 일어난다. 견갑골 운동장애는 다양한 원인들에 의해 일어나지만, 대부분의 주요한 원인은 견갑골 주변에 있는 근육들의 변형된 활성화 혹은 수축패턴으로 인해 전인된 견갑골의 위치가 견갑골의 여러 가지 움직임의 질을 떨어뜨린다. 견갑골 운동장애의 관리에 있어 주요한 목표는 기능적 후인능력의 회복이다. 여러 견갑안정화 운동 중 Prone Horizontal Abduction(PHA)운동은 견갑골 운동장애와 관련한 단기적, 장기적인 중재에 있어 효과적인 운동이다. 하지만 PHA 운동에 대한 지금까지의 연구들은 상, 하부 승모근을 조사하는데 집중되어 있었고, 견갑골 운동장애의 유무를 구분하지 않았었다. 본 연구는 목적은 견갑골 운동장애 유무를 구분하고 초음파 기기를 사용해 PHA 운동 3가지 동작에 대해서 견갑골 주변 근육 두께를 측정하고 남성과 여성의 견갑골 운동장애 유무에 따라 견갑골 주변 근육의 두께, 그리고 수축률의 차이를 조사하는 것이다. 방법: Scapular dyskinesis test를 통해 정의된 견갑골 운동장애가 있는 사람(남자:26, 여자:29)과 없는(남자:28, 여자:26) 무증상 성인 109명이 참여했다. PHA 동작 Neutral Rest, Neutral isometric(N), Thumb-up isometric(TU), Thumb-down isometric(TD) 자세에서 초음파 측정 장비를 사용해 능형근, 중부 승모근, 하부 승모근, 상부 승모근의 두께를 측정하였으며 수축률을 구하였다. 결과: 남성, 여성에서 공통적으로 견갑골 운동장애 그룹에서 능형근의 두께가 두꺼움을 나타냈고(p<0.05), 중부 승모근의 두께가 매우 얇게 나타났다(p<0.05). 또한 수축률(%)에서는 견갑골 운동장애 그룹에서 중부 승모근의 수축률(%)이 매우 낮게 나타났다(p<0.05). 또한 각각 그룹 내에서 TU, N, TD중 TU에서 중부 승모근, 을 포함함 모든 근육에서 N자세에 비해 더 높은 수축률이 나타났다(p<0.05). 결론: 견갑골 운동장애 유무에 따라 PHA 동작에서는 상승모근의 과 활성화나 하승모근의 활성화문제보다는 능형근 이나 중부 승모근에서 견갑주변근육 의 변형된 활성화가 도드라지게 나타났다. 조사한 PHA 운동 중 TU 자세는 약화된 MT의 선택적 활성화에 도움을 주는 것으로 밝혀졌다. 이는 견갑 주변 근육의 활성화 패턴이 변형되거나 약한 환자들의 선택적 활성화 운동 선택에 있어 도움이 될 것으로 보인다. 핵심되는 말 : 견갑골 운동장애, Prone horizontal abduction, 중부 승모근, 능형근, 근육 두께, 수축률 Introduction: Shoulder injuries are related to scapular dyskinesis (SD), and altered neuromuscular control could cause SD. Recovering retraction function of scapular is important to treat SD. Prone horizontal abduction Exercise (PHAE) is a widely used scapular stabilization exercise. However, PHAE muscle thickness with scapular dyskinesis is unknown.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compare the thickness of periscapular muscles during PHAE with and without SD. Methods: Scapular dyskinesis test is used to measure SD. Twenty-six male and 29 female w SD, and 28 male and 26 no SD (normal) were participated in this study. An ultrasound sonography was used to measure the thickness and the rate of contraction for upper, middle, lower trapezius, and rhomboids with PHAE 3 positions (neutral (N), thumb-up (TU), and thumb-down (TD)). Results: The thickness of rhomboids was higher w SD, and the thickness of middle trapezius was lower (p<.05) in both male and female. The rate of contraction was lower in middle trapezius in SD (p<.05). TU position showed the higher rate of contraction in all 4 muscles (p<.05) compared to N position. Conclusion: Scapular retractors (rhomboids and middle trapezius) showed altered contraction in SD. TU PHAE showed no change of contraction between SD and normal. Further research is need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TU PHAE in SD. Keywords : Scapular dyskinesis, Prone horizontal abduction, Middle trapezius, Rhomboid, Muscle thickness, Contraction ratio

      • 견갑골 운동 이상에 따른 견봉하공간의 변화

        김지원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Introduction : Scapular Dyskinesis(SD) is closely related to shoulder pathology. In previous studies, they suggest that decreased upward rotation, external rotation and posterior tilt contribute to subacromial space narrowing and thus occur subacromial impingment. However, There are lack of studies about the relationship between scapular kinematics and subacromial space and has no consistent results.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compare subacromial space among groups depending on scapular dyskinesis. Method : 88 healthy participants(age : 20-40) were recruited. First, participants were divided through Scapular Dyskinesis Test. And then, subacromial space was measured using ultrasound. Subacromial space was measured at rest, 30°, 45° and 60° of active scapular plane arm elevation. Mean differences among groups(normal versus SD, normal versus subtle versus obvious) were calculated. Results : Significant differences of subacromial space were found at 60° among the groups(normal versus SD, normal versus subtle versus obvious). Significant differences of reduction in subacromial space were found at 45°, 60° between normal and SD groups and at 60° among normal, subtle, obvious groups. In post-hoc analysis, significant difference of subacromial space was found at 60° between normal and subtle groups and almost significant difference was found between normal and obvious groups. Also, significant difference of reduction in subacromial space was found at 60° between normal and subtle groups. Depending on sex, male SD group has significant larger subacromial space at 60° than normal. Female SD group has a tendency of larger subacromial space at 60° than normal. Also, female subtle group has significant larger subacromial space than normal. But, male group has no significant differences depending on scapular dyskinesis severity. Conclusion : Groups with scapular dyskinesis have larger subacromial space. However, we did not consider scapular dyskinesis type in this study. In the future studies, scapular dyskinesis type and severity have to be considered. Also, ultrasound measurement of subacromial space has a limitation so more accurate measurement tool has to be developed. And we have to identify which muscles activation pattern and kinematic alterations make larger subacromial space. Lastly, we need to identify which variables contribute to different findings depending on sex. 서론: 견갑골 운동 이상(Scapular Dyskinesis; SD)는 어깨 손상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특히 견갑골의 상방회전, 외회전, 후방경사의 감소가 견봉하공간의 감소를 발생시켜 어깨 충돌 증후군에 기여한다고 제안되어왔다. 그러나, 현재까지 견갑골의 움직임과 견봉하공간의 관계에 대한 연구가 부족하며 일관된 결과가 보고되지 못하였다. 견봉하공간을 측정하는 장비 중 초음파가 가장 저렴하고 접근성이 좋으며 신뢰도가 높은 장비이다. 따라서, 본 연구의 목적은 견갑면에서 팔을 올렸을 때 SD의 유무와 정도(정상, 미세, 명백)에 따라 분류된 집단 사이 견봉하공간의 차이를 초음파를 사용하여 비교하는 것이다. 방법: 만 20세~만40세 미만의 건강한 일반인 88명을 모집하였다. 모집된 연구대상자는 Scapular Dyskinesis Test(SDT)를 진행하여 SD의 유무와 정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였다. 또한, 성별에 따라 분류하여 비교하였다. 그 후, 초음파를 사용하여 견봉하공간을 측정하였다. 먼저, 휴식자세에서 측정을 진행한 뒤 고니오미터와 room divider를 사용하여 견갑면을 설정하고 Plaincode clinometer를 사용하여 팔의 각도를 30°, 45°, 60°를 결정하였다. 대상자의 손은 곧게 펴고 엄지는 위를 가르키도록 하며 발이 땅에 온전히 닿은 채 무릎은 90°로 굽히도록 하고 시선은 항상 정면을 바라보도록 지시하였다. 각 자세마다 총 2회 측정하며 두 측정 값의 평균을 사용하였다. 각도마다 견봉하공간의 높이를 측정하고 측정값을 이용하여 견봉하공간 감소량(휴식자세 – 각도)을 계산하여 비교하였다. SD 유무에 따른 비교를 위해 Independent T test를 사용하였으며 효과크기는 Cohen’s d를 사용하였다. SD 정도에 따른 비교를 위해 정규성을 만족하는 경우 One way ANOVA를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에는 Bonferroni test를 사용하였고 정규성을 만족하지 못하는 경우 Kruskal Wallis test를 사용하였으며 사후검정을 위해 Mann Whitney U test를 사용하였다. 효과크기는 각각 η2, η2p를 사용하였다. 통계적 유의 수준은 .05, .01로 설정하였다. 결과: SD의 유무에 따른 집단 간 비교를 하였을 때 휴식 자세와 견갑면 30˚, 45˚에서 두 집단 간 견봉하공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견갑면 60˚ (에서 두 집단 간 견봉하공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휴식 자세에서 팔을 올렸을 때 발생한 견봉하공간의 감소량은 30˚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45˚ 에서 견봉하공간의 감소량은 두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SD의 정도에 따라 집단 간 비교를 하였을 때 휴식 자세와 견갑면 30˚, 45˚에서 세 집단 간 견봉하공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그러나, 견갑면 60˚ 에서 세 집단 간 견봉하공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휴식 자세에서 팔을 올렸을 때 발생한 견봉하공간의 감소량은 30˚와 45˚에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으며 60˚에서 견봉하공간의 감소량은 세 집단 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사후검정을 진행한 결과, 60˚에서 SD 1 집단과 SD 2 집단 간 견봉하공간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SD 1과 SD 3 집단 간 거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리고 60˚에서 견봉하공간의 감소량은 SD 1 집단과 SD 2 집단 간 감소량의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성별에 따라 집단을 분류하여 비교하였을 때 남성집단은 60˚에서 SD가 있는 집단의 견봉하공간이 더 높았으며 여성 집단은 60˚에서 SD가 있는 집단의 견봉하공간이 더 높은 경향성이 나타났고 감소량 또한 SD가 있는 집단이 더 작았다. 그리고 SD를 세분화하여 비교하였을 때 남성 집단은 SD의 정도에 따라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반면, 여성 집단은 60˚에서 subtle SD가 정상 집단보다 견봉하공간이 더 높게 나타났으며 감소량 또한 더 작게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 결과는 SD가 있는 건강한 일반인이 SD가 없는 건강한 일반인 보다 견갑면 60˚에서 더 높은 견봉하공간을 가지고 있고 감소량 또한 작게 발생했다. 또한 성별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남성 집단은 SD를 가진 집단이 정상 집단 보다 더 높은 견봉하공간을 가지고 있었지만 SD의 정도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유의미한 차이를 발견하지 못하였다. 반면, 여성 집단은 SD를 가진 집단이 정상 집단 보다 더 높은 견봉하공간을 가지고 있었고 SD의 정도에 따라 비교하였을 때 subtle SD를 가진 집단이 정상 집단 보다 유의미하게 더 높은 견봉하공간을 가지고 있었다. 본 연구에서 사용한 SDT는 SD의 유형을 고려하지 못하였기 때문에 향후 SD의 유형과 정도를 함께 고려한 연구가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또한, 초음파를 이용한 견봉하공간의 측정은 측정방법의 기술적인 제한점이 존재하기 때문에 더 정확한 측정방법의 개발이 필요한 것으로 사료된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SD 집단에서 나타난 더 높은 견봉하공간은 어떤 운동학적 요인과 어떤 근육의 활성도 변화로 인해 발생하였는지 규명할 필요성이 있으며 남성 집단이 여성 집단에 비해 SD의 영향을 제한적으로 받은 원인 또한 규명할 필요성이 있다.

      • 엘리트 유소년 야구선수의 스쿼트 기립 동작 시 힘 생성비율의 타당도 및 신뢰도 검증

        주송희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2 국내석사

        RANK : 249615

        서론: 스포츠 상황에서 엘리트 선수가 뛰어난 능력을 발휘하고 실제 능력이 발현되는 것은 다양한 퍼포먼스 변인 요소의 발달에 따라 다르다. 이러한 다양한 퍼포먼스 변인 중 근력(Strength)은 선수의 능력을 평가하는 가장 기본적인 지표이며 퍼포먼스와의 관계는 여러 과학적 문헌을 통해 잘 기록되어 있다. 기존의 근력을 측정하는 모델인 지면반력기(Force Deck)는 이미 많은 과학적 연구를 통해 신뢰도 높게 측정할 수 있는 기구이다. 하지만, 대부분 연구실에서 사용하는 모델로 세팅 과정이 복잡하며, 이동의 효율성이 떨어지는 제한점이 있다. 최근 줄의 장력을 활용한 간편한 근력 측정장비가 나오고 그것에 대한 신뢰도 높은 연구가 계속해서 발표되고 있으나, 측정 동작의 동적인 움직임 구간에서의 근력을 평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따라서, 본 연구는 엘리트 유소년 야구선수들을 대상으로 근력 측정의 골드 스탠다드인 지면반력기와 줄의 장력을 활용한 선형 위치 분석기의 등속성모드(Isokinetic Mode)를 동시에 실행시켜 스쿼트 기립 동작에서 발생하는 힘 생성비율(Rate of Force Development)을 비교하여 타당도(Validity)와 신뢰도(Reliability)를 파악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 선형 위치 분석기의 활용 가능성에 대해 검증해 보려 한다. 방법: 본 연구는 대한야구소프트볼협회(Korea Baseball Softball Association)에 등록된 서울지역의 고등학교 야구부에 소속된 만 15세 ~ 18세 야구선수 29명을 대상자(나이: 17.31±0.09, 키: 177.4±1.03, 몸무게: 79.9±1.41)로 선정하였다. 하지 부상이 있는 대상자를 제외하기 위해 사전조사를 진행하였으며, 타당도 및 신뢰도를 검증하여야 하는 연구로 스포츠사이언스랩에서 2일간 동일한 조건에서 측정이 이루어졌다. 본 연구에서는 근력의 힘 생성비율을 상관분석 하기 위해 지면반력기(Force Decks Lite, Vald, Australia)와 선형 위치 분석기(CrossMasts, 마이크로오토메이션, Korea)를 동시에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모든 대상자에게 동일한 조건에서의 실험 환경을 조성하기 위해 선형 위치 분석기의 등속성 모드에서 저항 값을 350mm/s(약 6kg)로 설정하였으며, 데이터의 큰 변화를 줄이기 위해 충분한 사전 연습이 진행되었다. 무릎의 굽힘 각도는 90˚로 지정한 후 그 지점에서부터 기립 동작을 수행하는데 최대한의 힘을 발휘하여 1세트당 총 5번을 실시하였으며, 세트 간 휴식 시간은 30초 동안 주어졌다. 2일간 동일한 시간과 순서로 총 4세트가 진행되었으며, 각 세트에서 도출된 힘 생성비율 값은 마무리 동작 시 움직임이 있던 데이터를 제외한 3-5회의 데이터를 사용하였다. 본 측정은 Pearson 상관분석과 신뢰도분석을 활용하였으며, 통계적 유의수준은 p≤0.05으로 설정하였다. 상관관계는 0.1~0.29=작음, 0.30~0.49=보통, 0.50~0.69=큼, 0.70~0.89=매우 큼, 0.90~0.99=거의 완벽, 1.0=완벽으로 평가하고 신뢰구간(Confidence Interval, CI)은 95%로 설정하였다.1 통계처리는 Microsoft office excel software(Microsoft corporation, Redmond, WA, USA), SPSS 21.0(SPSS, Inc., Chicago, IL, USA), GraphPad Prism v9(GraphPad Software, USA)를 이용하여 실시하였다. 결과: 근력을 측정하는 장비인 지면반력기와 선형 위치 분석기를 동시에 활용하여 등속성 모드에서의 스쿼트 기립 동작 시 발생하는 힘 생성비율을 상관분석 하였고, 분석한 결과 높은 상관성을 띄는 것으로 나타났다. 날짜별로 각각의 측정 기계를 분석한 결과는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다. 마지막으로 각 기계별 힘 생성비율을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차이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결론: 본 연구는 하지 근력을 측정하는 장비인 지면반력기와 선형 위치 분석기에서 도출된 힘 생성비율의 값을 비교 분석한 결과 유의미한 값이 도출되었다. 이로써 선형 위치 분석기의 활용도가 높음을 나타낼 수 있으며, 동적 움직임 구간의 등속성 모드에서 하지 근력 측정의 효과가 퍼포먼스와의 관계의 중요한 과학적 자료가 될 수 있고 이와 관련된 정보는 야구를 포함한 모든 종목의 선수의 퍼포먼스 능력과 그것을 향상시키는 방향을 제시할 수 있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사료된다. The performance of elite athletes and their actual abilities in the sports field depends on various performance variable factors. Among these different performance variables, strength is the most fundamental indicator to evaluate an athlete's ability, and the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has been well documented through various scientific literature. The Force Deck, a model that measures muscle strength, is an instrument that can be measured reliably through many scientific studies. However, most of the laboratory models have limitations in that the setting process is complicated, and the efficiency of movement is lowered. Recently, a simple muscle strength measuring device using the tension of a string has emerged, and reliable research on it has been continuously published, but studies evaluating the strength in the dynamic movement section of the measurement motion are limited. Therefore, this study identified validity and reliability to compare the isokinetic mode of the linear position transducer using the string tension, which is the gold standard of force plate, which was simultaneously executed for elite youth baseball players to generate the rate of force development in the squat standing motion. This study will try to verify the applicability of the linear position transducer. Methods: This study was conducted on 29 baseball players aged 15 to 18 who belonged to a high school baseball club in Seoul registered with the Korea Baseball Softball Association (Age: 17.31±0.09, Height: 177.4±1.03). ,weight: 79.9±1.41). A preliminary survey was conducted to exclude subjects with lower extremity injuries. As a study to verify validity and reliability, measurements were made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2 days in the Sports Science Lab. In this study, to correlate the force generation rate of muscle strength, it was measured using a ground reaction force device (Force Decks Lite, Vald, Australia) and a linear position analyzer (CrossMasts, Microautomation, Korea) at the same time. Create an experimental environment under the same conditions for all subjects, the resistance value was set to 350 mm/s (about 6 kg) in the isokinetic mode of the linear position analyzer, and sufficient prior practice was conducted to reduce large changes in data. After designating the knee bending angle as 90˚, from that point, the maximum force was exerted to perform the standing motion, and a total of 5 times per set were performed, with a rest period of 30 seconds between sets. A total of 4 sets were performed in the same time sequence for 2 days, and the data for the rate of force development derived from each set were used 3-5 times, excluding the data with movement during the finishing operation. Pearson correlation analysis and reliability analysis were used for this measurement, and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was set to p≤0.05. Correlation was evaluated as 0.1 to 0.29 = small, 0.30 to 0.49 = moderate, 0.50 to 0.69 = large, 0.70 to 0.89 = very large, 0.90 to 0.99 = near perfect, and 1.0 = perfect, and the confidence interval (CI) was It was set to 95%.1 Statistical processing was performed using Microsoft office excel software (Microsoft Corporation, Redmond, WA, USA), SPSS 21.0 (SPSS, Inc., Chicago, IL, USA), GraphPad Prism v9 (GraphPad Software, USA). was used. Result: The rate of force development generated during the squat standing motion in the isokinetic mode was correlated and analyzed using the force plate and the linear position transducer, which are instruments for measuring muscle strength, and the results showed a high correlation.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analyzing each measuring machine by date. Finally,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force generation rate for each machine, it was found tha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Conclusion: In this study, a significant value was derived as a result of a comparative analysis of the importance of the rate of force development ratio derived from the force plate and the linear position transducer, which are equipped for measuring lower extremity strength. It can indicate that the linear position analyzer is highly useful, and the effect of measuring lower extremity muscle strength in the isokinetic mode of the dynamic movement section can be an essential scientific data on the relationship with performance, and related information is available for players in all sports, including baseball. It is considered meaningful in that it can suggest the performance capability and a direction to improve it.

      • 햄스트링 부상이 육상 단거리 선수들의 스프린트 운동역학에 미치는 영향

        이정준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서론: 햄스트링 부상은 스프린트가 주를 이루는 육상 단거리 선수에게 빈번히 발생하고, 주 원인으로는 스프린트 중 햄스트링에 가해지는 높은 하중으로 나타났다. 이에 따라 운동형상학 변수와 근력, 근전도를 통한 연구가 많이 이루어졌지만, 부상이 스프린트 운동역학 요소에 미치는 영향에 대한 연구는 제한적이다. 또한 햄스트링은 스프린트에서 파워를 생산하는 주 발생기이기 때문에 부상이 지면반력에 미치는 영향을 알아볼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연구는 한국 엘리트 육상 단거리 선수들에게 햄스트링 부상이 운동역학적 요소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종합적으로 이해하기 위해 햄스트링 부상을 경험한 그룹과 그렇지 않은 그룹의 지면반력과 근위, 원위를 포함한 근전도와 신장성 최대 근력 차이를 분석하는 것이다. 방법: 본연구는 만 19세 이상의 실업과 대학교 소속 엘리트 육상 단거리 선수 24명을 모집하였다. 연구 대상자는 햄스트링 부상 유 무에 따라 두 그룹으로 나눠졌다. (부상 경험[n=12, 나이: 24.1±4.3 키: 178.3±5.3 체중: 71.8±7.2] vs. 대조 그룹[n=12, 나이: 22.3±4 키: 181.5±5.6체중: 74.3±5.9]). 본 실험은 3차원 동작 분석 장비 8대와 1대의 지면반력기, 그리고 근전도와 신장성 근력 측정기를 이용하여 스프린트 생체역학적 데이터를 수집 및 분석하였다. 지면반력과 동작분석 데이터는 기능적 통계 방법을 이용하여 스윙과 지지단계 전체에 대하여 두 그룹 간 차이를 비교하였다. 획득한 데이터들은 R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하여 95%의 신뢰구간을 산출하였으며, 모든 통계적 유의 수준은 P<.05로 설정하였다. 결과: 햄스트링부상 경험 그룹에서 초기 지지 시 무릎에서 1.1W/kg 낮은 파워 흡수와 엉덩이에서 0.62Nm/kg 높은 모멘트를 발생시켰고, 초기 지지 시 엉덩이에서 1.3W/kg낮은 파워 흡수와 후기 지지 시 무릎에서 0.7W/kg 낮은 파워를 발생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햄스트링부상 경험 그룹 발목에서 0.45Nm/kg 낮은 발목 모멘트를 생성하였고 이는 0.06BW 낮은 전방 지면반력과 관련된 것으로 보인다. 후기 스윙 시 발목과 엉덩이 각은 각각 2.7°-3.5°, 4.1°-5.2° 감소하였고 이러한 감소가 초기 지지에서 엉덩이 굴곡 감소로 이어진 것으로 보인다. 위치별 근전도에서는 대퇴 이두근의 근위, 원위 모두 활성도가 각각 47%, 66% 감소하였으며 반건양근은 원위의 중, 후기에서 21% 감소하였다. 지지에서 근전도 또한 유사한 패턴으로 대퇴이두근 근위, 원위와 반건양근 원위에서 활성도가 각각 45%, 64% 그리고 26% 감소하였다. 신장성 최대 근력에서 두 그룹 간 유의한 차이가 존재하였다. 그 차이는 절대 값에서 18.6%, 체중으로 평균화한 값에서는 11.9%를 보였다. 결론: 본 연구에서 부상 그룹과 대조 그룹 사이에서 분명한 운동역학적 차이와 위치 별 근전도의 감소가 발견되었다. 결론적으로 햄스트링 경험 그룹에서 1)전방 지면반력의 힘이 낮았고 2)무릎과 엉덩이에 높은 모멘트가 가해졌으며 3)근전도에서 근활성도와 4) 신장성 근력이 감소하였다. 이러한 특징들은 스프린트 주기 내에서 시간이 지남에 따라 연속적으로 다음 움직임에 영향을 미치고 궁극적으로 스프린트 역학에 변화를 일으킨 것으로 보인다. 따라서 이러한 변화된 운동역학 패턴을 복원하는 스프린트 근신경 특정 재활 운동이 필요하다고 사료된다. Introduction: Hamstring injury occurs frequently in sprinters and its major cause is high load on hamstring during sprinting. Based on the fact, many researches have been conducted on kinematical factors, strength, and electromyography, However, most of the prior research was conducted without considering the kinetical factors in sprinting where the hamstring is main generated power by ground reaction forces by stance phase. It is necessary to find the affect between injury and ground reaction force. Therefore,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eccentric hamstring strength, biomechanical differences during sprinting between previously hamstring injury experiences sprinters and without hamstring injury experiences in Korean elite sprinters. Method: This study subjects recruited 24 elite sprinters. Subjects were divided into hamstring injured group(injury experience [n=12, age: 24.1±4.3 height: 178.3±5.3 weight: 71.8±7.2] vs. healthy control group [n=12, age: 22.3±4 height: 181.5±5.6 weight: 74.3±5.9]). We used 8 three-dimensional motion analysis and 1 force plate and electromyography and eccentric strength dynamometer. R statistical program was used to evaluate differences between two groups for kinematics and kinetics variable during swing and stance entire phases. The obtained data yielded 95% conference interval using the R Statistical Program, and all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s were P<.05. For the discrete data such as eccentric maximal strength was performed by independent t-test. Result: Compared to the control group, the hamstring injury group showed 1.1W/kg lower power absorption in the knee and generated a 0.62Nm/kg higher moment in the hip at the early stance phase. Also, injury group represented that 1.3W/kg lower power absorption in the hips at the early stance phase and 0.7W/kg lower power generation in the knee at the late stance phase. In addition, the hamstring injury group showed 0.45Nm/kg lower moment in the ankle, which led to 0.06BW lower in the anterior ground reaction force. At the late swing phase, the ankle and hip angles decreased respectively 2.7°-3.5°, 4.1°-5.2°. In the swing phase EMG activity was decreased in the proximal and distal biceps femoris respectively 47%, 66% in injury group, and the distal semitendinosus decreased 21% in the middle and late phases. In stance, EMG activity decreased bicep femoris in the proximal, distal, and distal semitendinosus respectively 45%, 64% and 26%. In the maximal eccentric strength, injury group appeared 18.6% lower in absolute value and 11.9% lower in weight-normalized value than control group. Conclusion: In this study showed difference in biomechanics variable and decreased regional EMG activation between injury group and control group. Conclusively, in injury group, 1) anterior ground reaction force was low, 2) higher moment placed on the knee and hip, 3) regional EMG activity and 4) eccentric strength decreased. These characteristics continuously influenced the next movement with time within the sprinting cycle and ultimately changed the sprint biomechanics. Therefore, it is considered that sprint neuromuscular rehabilitation exercise is needed to restore such changed kinetics patterns.

      • 만성 발목 불안정성, 코퍼, 대조군 그룹 사이에 섭동에 대한 동적 자세 조절

        김민준 차의과학대학교 스포츠의학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49615

        서론: 자세 조절의 손상은 외측 발목 염좌와 만성 발목 불안정성을 일으키는 부상 위험 인자로써, 동적 자세 조절 평가 방법인 자세 회복 시간은 특정 동작 수행 이후 안정 상태로 회복되는 데 소요되는 시간으로 정의된다.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 또는 코퍼 환자는 정상인 사람과 비교하여 자세 회복 시간에 차이가 나타나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어느 특정 방향에서 자세 회복 시간이 지연되는지는 아직까지 상반된 결과를 보이고 있다. 또한, 실제 부상 발생은 예측하지 못한 상황에서 발생하는 반면, 이전 선행 연구는 연구 대상자가 모든 측정 과정을 인지하고, 자세 흔들림의 변수를 예측한 상태에서 측정된 결과이다. 본 연구의 목적은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 그룹, 코퍼 그룹, 그리고 정상 그룹 사이에 네 방향(전방, 후방, 내측, 외측)의 무작위 섭동 시 방향에 따른 그룹 간 자세 회복 시간의 차이를 알아보는 것이다. 방법: 연구 대상자는 만 18-35 세 남녀 대학원생 25 명이 선정되었으며, 만성 발목 불안정성 환자 그룹 10 명(age= 29.60 ± 2.80 y, height= 170.60 ± 8.90 cm, mass= 76.60 ± 14.45 kg), 코퍼 그룹 5 명(age= 27.60 ± 3.91 y, height= 171.60 ± 7.23 cm, mass= 67.80 ± 8.40 kg), 정상 그룹 10 명(age= 29.70 ± 1.52 y, height= 170.20 ± 7.22 cm, mass= 67.80 ± 7.13 kg)으로 분류되었다. 동적 자세 조절 평가는 XY stage 지면 반력 장비를 사용하여 15 초 동안 Single-leg Balance Test 수행 중 네 방향의 무작위 섭동 시 전후방 및 내외측 지면 반력을 측정하였다. 그룹 간 네 방향의 섭동에 따른 자세 회복 시간의 차이를 알아보기 위해 Two-way ANOVAs 분석과 Tukey's HSD post-hoc 분석을 실시하였다. 모든 데이터 값의 통계적 유의 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결과: 내측 섭동 시 만성 발목 불안정성 그룹과 정상 그룹 간 내외측 자세 회복 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0056). 또한, 코퍼 그룹과 정상 그룹 간 내외측 자세 회복 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P < 0.0001). 외측 섭동 시 만성 발목 불안정성 그룹과 정상 그룹 간 전후방(P < 0.0001) 및 내외측(P < 0.0001) 자세 회복 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또한, 코퍼 그룹과 정상 그룹 간 전후방(P < 0.0001) 및 내외측(P < 0.0001) 자세 회복 시간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다. 이와 반대로, 전방 및 후방 섭동 시 각 그룹 간 전후방 및 내외측 자세 회복 시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결론: 만성 발목 불안정성 그룹과 코퍼 그룹은 대조군과 비교하여 내측 섭동 시 내외측 자세 회복 시간이 지연되었으며, 외측 섭동 시 전후방 및 내외측 자세 회복 시간이 지연되었다. 이와 반대로, 전방 및 후방 섭동 시 각 그룹 간 전후방 및 내외측 자세 회복 시간에 차이는 나타나지 않았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