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펼치기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酉陽雜俎》의 국내 유입과 수용에 관한 연구

        崔丁允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7647

        《酉陽雜俎》는 唐代의 대표적인 筆記小說集으로 독창성이 매우 높은 대표적인 작품으로 평가받고 있다. 이 연구는 중국뿐아니라 우리나라에도 들어와 큰 인기를 누렸던 《酉陽雜俎》라는 작품이 어떤 특징 때문에 우리나라에 들어와 유통되고 사랑받게 되었는지를 알아보려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유입되고 소장되어 있는 《酉陽雜俎》의 板本現況을 근거로 하여 그 원인을 규명해 보았다. 또한 《酉陽雜俎》를 인용하거나 고증의 자료 등으로 사용한 조선시대 문헌들을 표로 정리해 보았다. 기존에 진행된 연구들에 筆者가 경희대학교 교육대학원에 在學하면서 目錄化 작업에 참여했던 한국연구재단 토대연구 과제인 《한국 소장 중국문언소설의 판본 목록과 해제》의 板本目錄을 접목함으로서 그 의미를 찾고자 한다. 《酉陽雜俎》는 고려시대에 우리나라에 처음 유입된 것으로 추정되며, 조선시대에는 간행 직후 홍문관에서 ‘不經愧誕之書’라고 하여 탄핵하는 글이 올라와 간행 주체와 공박하는 사건이 벌어지기도 하였다. 《酉陽雜俎》가 중국 서적 가운데 가장 중요한 거래품목이었음은 국내 유입되어 소장된 板本現況에서 확인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인기는 우리나라에서 만들어진 《唐段少卿酉陽雜俎》이라는 책의 발간으로도 이어졌다. 《唐段少卿酉陽雜俎》야 말로 《酉陽雜俎》 판본 가운데 원형을 추정할 수 있는 가장 값진 판본으로 평가된다. 이런 板本現況들과 더불어 조선시대 문헌 속의 《酉陽雜俎》의 흔적도 찾아보았다. 국내에 들어와 유통되고 출판되었을 뿐 아니라 《五洲衍文長箋散稿》ㆍ《芝峯類說》ㆍ《靑莊館全書》ㆍ《與猶堂全書》에 이르기까지 단순한 인용에서 《酉陽雜俎》를 모방한 형태까지 확인해 볼 수 있었다. 筆者는 본고에서 《酉陽雜俎》가 조선시대 다양한 분야에서 어떠한 영향을 미쳤는지를 중점적으로 연구하였다. 하지만 그 분야를 확장하는 것에 대해선 앞으로 지속적으로 가치가 있는 과제로 보고 있다. 《酉陽雜俎》是唐代“筆記小說集”的代表作,可谓匠心独具. 本论文不仅在中国而且在韩国也广受大众的喜爱将其作为研究对象,对其流入韩国极其广受欢迎的原由进行研究. 为此,本论文以流入韩国国内现存的《酉陽雜俎》版本现况作为依据,对其原因进行探讨及研究. 并且用表整理了引用《酉陽雜俎》的内容以及用《酉陽雜俎》考证的朝鲜时期文献. 笔者通过在慶熙大學校敎育大學院学习期间参与过的韩国研究财团的基础研究课题《韓國所藏中國文言小說的板本目錄及解題》的目录整理工作,将其版本目录融合到先行研究中,以期探寻其中的意义. 推断《酉陽雜俎》最初传入高丽时代,在朝鲜时代刊行《酉陽雜俎》后在弘文馆用‘不經愧誕之書’弹劾《酉陽雜俎》,君臣间有了异见和争论. 《酉陽雜俎》是中国书籍中最重要的交易品目的这一事实,可从国内收藏的版本现况中得以确认. 不仅《酉陽雜俎》的原本不动的传入了韩国,受到了大众们的喜爱,因其较高的欢迎度,仅在韩国接着又撰写出《唐段少卿酉陽雜俎》. 《酉陽雜俎》版本中《唐段少卿酉陽雜俎》这一版本就是可以推断原型的. 从版本现况以及朝鲜文献里也可以查找到《酉陽雜俎》的痕迹,《酉陽雜俎》不仅传入韩国国内进行了出版发行,而且在《五洲衍文長箋散稿》ㆍ《芝峯類說》ㆍ《靑莊館全書》ㆍ《與猶堂全書》等中也发现了《酉陽雜俎》被融入的痕迹, 这不仅是引用还有模仿《酉陽雜俎》的. 本论文集中研究《酉陽雜俎》在朝鲜时期的各种部分是怎样影响. 但扩大其部分和影响就是仍有继续进行研究的价值.

      • '너무 좋은 아버지'의 상실과 심리적 독립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최정윤 인제대학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너무 좋은 아버지’의 상실과 심리적 독립과정에 대한 자문화기술지 인제대학교 교육대학원 상담심리전공 최정윤 지도교수 김명찬 본 연구에서 부모는 자녀의 성장과정에 가장 오랜 시간 동안 많은 영향력을 미치는 존재로써 자녀의 성격형성에 크게 영향을 주는 원인으로 작용한다. 그런데 청소년기의 아버지 상실이 나의 삶의 변화로 심리적 독립을 못한 나를 발견하며 취업과 만학을 통하여 심리적 독립을 해 가는 과정을 다루었다. 아버지의 상실은 가까운 애착관계의 대상, 사랑하는 대상의 상실로 슬픔, 그리움, 부정, 무기력, 우울 등 심리적 고통과 부적응을 나타난다. 심한 고통가운데서 인생의 의미를 발견하고 삶에 대해 재구조하는 단계로 외상 후 성장으로. 또는 심리적 독립으로 한 개인으로써 자신감, 자기주도성, 주체성확립이 된다면 사회적인 역할을 수행할 때에도 자신감과 자존감 있는 태도로 임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성숙하고 건강한 인간관계를 맺는데 중요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연구는 나의 경험을 기록한 자료와 회상한 자료로 정서적 경험을 중심으로 너무 좋은 아버지의 상실과 심리적 독립을 해가는 과정을 자전적 자문화기술지의 연구방법으로 심층적으로 기술하였다. 이를 가족, 친구들과의 인터뷰를 통해 객관성을 높이고, 교수 1인, 자문화기술지를 연구하는 박사 1인과 석사과정 9인의 피드백을 통해 타당도를 확인하였다. 본 연구의 구성은 양육의 개념, 유형 그리고 부모상실에 대한 의미와 심리적 독립, 결혼, 취업, 만학에 관련된 내용을 이론적 배경으로 서술하였다. 그리고 연구결과에서는 1988년부터 작성한 일기자료, 개인상담, 지도교수와의 면담 자료를 중심으로 코딩하고 분석하여 ‘너무 좋은 아버지’, ‘상실한 나의 모습’, ‘심리적 독립 홀로서기의 싸움’으로 범주화하였다. 부모상실에 대한 많은 연구 자료를 바탕으로 하여, 심리적 독립의 과정을 개인의 경험을 통해 서술하여 심리적 독립의 과정을 이해한다. 너무 좋은 아버지의 경험은 어떠했나, 아버지의 상실경험은 나에게 어떠했는가, 심리적 독립과정이 나의 삶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가에 대한 질적연구로 탐색해 보았는데 의의가 있다.

      • 문화영향평가 정책의 재설계와 지속발전을 위한 전략적 접근 연구

        최정윤 추계예술대학교 문화예술경영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47

        The cultural impact assessment currently under way is likely to be uniformly applied because the evaluation criteria and indicators are uniformly specified and the evaluation deliberation is almost unchanged. In addition, the exist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s suggest a complementary point to the implementation project, but it is necessary to review whether the complementary point fully understands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the area. In fact, there were many cases in which the region already borrowed an already successful example from another region. This study recognizes these problems, and analyzes and compares the existing evaluation systems in order to rethink the evaluation system needed for the region, establish the basis for the cultural policy for the people to go right and it must be applied apply the results in the cutural activities in the region. In this regards, this study firstly summarized the understanding of evaluation logic and the main points to be discussed, and than, have analyzed and studied the logic and structure of the foreign evaluation cases. In addition, this study review the Canadian and US cultural impact assessments and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s, and errors and effects. Also this study analyzed the impact assessments on other sectors currently being implemented in Korea, such as the Environmental Impact Assessment and Employment Assessment. The analysis of these cases led to the development of a new evaluation method. As a result, the existing cultural impact assessment is ambiguous and inclusive of the cultural reference point, so there is a concern that it will infringe freedom and naturalness when it is actually applied. It is a concern that if the culture, which is the product of spontaneous, and time and individual effort, is made up of a single scale, it will undermine the essence of culture. There should be an effort to chec the impact on the business from the policy making step to prevent discriminatory effects, and to supplement and minimize adverse impacts. In order to move forward to culture advanced countries through active investment in culture, studies should be actively carried out to supplement the cultural impact assessment and reduce the negative factors and maximize the positive factors. The current cultural impact assessment is just beginning and its significance has not been recognized nationally. So the people are not aware of its importance. The form of culture does not mean the direct effect based on it. In that case, many people did not understand the importance. We emphasize the importance of cultural competence evaluation, and understand the social trends based on the realistic value judgments and objective data, and contribute to the social law and legislation in a better way. The cultural competence evaluation system for a culture-rich country with a high quality of life. It should be used as an indicator. The cultural evaluation system requires following steps: establishing a DB system for cultural impact assessment, selecting target tasks through public offerings, expanding awareness of cultural impact assessment system through aggressive public relations, and actively participating in and sharing opinions through results sharing forums, and encouraging many organizations to participate. In addition, the institutional arrangements should be made to designate and operate a culture competency evaluation authority, to strengthen the authority of policy recommendations, improvement and recommendations, and to reflect the results of this systematic evaluation into the relevant policy. The uniformity of the cultural business should be avoided because it undermines the cultural diversity. If a method for collecting various opinions is sought, the competent criteria appropriate for the region will be applied, and the result suitable for the region will be obtained. 현재 시행중인 문화영향평가는 평가 기준이나 지표가 일률적으로 지정되어 있고 평가 심의도 거의 변하지 않기 때문에 자칫 일률적인 적용이 될 우려가 있다. 또한 기존에 실시된 문화영향 평가들은 시행 사업의 보완점을 제시하고는 있지만 과연 이 보완점이 그 지역의 독특한 특수성을 충분히 이해하고 있는지에 대해서는 다시 검토 해볼 필요가 실제로 이미 성공한 다른 지역의 사례를 그 지역에 차용해서 사용하는 경우가 많았기 때문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문제점을 인식하고, 기존의 평가 체계를 분석하고, 비교하여, 지역에 필요한 평가 시스템에 대해 다시 생각 해 보고, 국민을 위한 문화 정책이 올바르게 나아가게 되는 기초를 다지고, 이를 통하여 문화 현장에 적용해야 하기 때문이다. 이러한 관점에서의 연구에서는 먼저 평가논리에 대한 이해와 논의해야 할 주요 사항을 정리 하였다. 이미 문화적 가치에 대하여 먼저 생각한 외국의 시행되고 있는 평가의 논리와 구조를 분석, 연구하였다. 또한 캐나다, 미국의 문화영향평가 및, 환경영향평가를 다루었고, 오류와 효과를 분석하였다 그리고 현재 국내에서 시행되어 지고 있는 타 분야에 대한 영향 평가를 분석하기위하여 환경영향평가와 고용평가 등을 참조하였으며, 이 사례들의 분석을 통해 새로운 평가 방법의 보완점을 생각해 보았다. 그 결과 기존의 문화영향 평가는 문화에 대한 기준점이 모호하고 포괄적이어서 실제로 이를 적용할 시에는 자유성과 자연성을 침해 할 우려가 있다. 자연 발생적이고 시간과 개별적인 노력의 산물인 문화가 한가지의 척도로 이루어진다면 문화의 본질을 훼손하는 것 이라는 우려이다. 정책 입안부터 사업에 미치는 영향을 점검하여 차별적 영향이 발생하지 않도록 하고, 불리한 영향이 발생 할 경우 이를 보완하고 최소화하기 위한 노력이 있어야한다. 향후 문화에 대한 적극적인 투자를 통해 문화 선진국으로 나아가기 위하여 문화영향평가를 보완하여 부정적인 요소를 줄이고 긍정적인 요소를 극대화 하는 연구가 적극 실행되어야 한다. 지금의 문화영향평가는 막 시작하는 단계로 그 중요성이 범국가적으로 인지되지 못했다. 그러다 보니 국민들과 지역민들도 이것을 잘 인지 하지 못한 상황이다. 그리고 문화는 형태만 가지고 직접적인 효과가 바로 나타나는 것이 아니다. 그러다보니 그 중요성을 제대로 이해하지 못하는 경우가 많았다. 우리는 문화역량 평가가 가지는 중요성을 부각시키고 현실적인 가치판단과 객관적인 자료에 의거하여 사회적 흐름을 잘 파악하고 이해하여 더 좋은 방향으로 사회 법규와 법제정에 도움을 주어 삶의 질이 높은 문화강국으로 가는 지표로 삼아야 할 것이다. 문화영향평가의 DB시스템을 구축하며, 대국민 공모를 통한 대상과제를 선정하고, 적극적인 홍보를 통하여 문화영향평가 제도에 대한 인식을 확대하고, 결과 공유포럼 등을 통해 적극적인 공유와 의견을 수렴 하며 참여 확대를 위한 인센티브를 마련하여 많은 단체들이 참여 할 수 있게 유도해야 한다. 또한 문화 역량평가 책임기관을 지정, 운영하고, 정책제언 및 개선과 권고의 권한을 강화하여, 평가 결과를 정책에 반영하기 위한 제도적 장치를 마련해야 한다. 문화 사업의 획일화는 문화의 다양성을 훼손하기 때문에 지양해야 한다. 다양한 의견수렴을 위한 방안이 모색되어진다면 지역에 맞는 기준이 적용 될 수 있을 것이고, 그 지역에 맞는 결과가 도출 될 수 있을 것이다.

      • 편두통 환자에서 광공포증 설문지의 유용성

        최정윤 고려대학교 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47647

        Photophobia is an important criterion for the diagnosis of migraine. However, several Asian epidemiologic surveys about migraine showed lower prevalence of photophobia than that of Western studies. This discrepancy is probably caused by underestimation of photophobia due to inappropriate questioning of patients by physicians. To investigate this issue, we developed a questionnaire about photophobia and evaluated its usefulness in 103 patients with migraine. In phase 1 of the study, we found good repeatability of the questionnaire with a 0.826 kappa coefficient. In phase 2 of the study, the prevalence of photophobia from interviews and that from the questionnaire were compared. The prevalence of interview-documented photophobia was 51.5% and questionnaire-documented photophobia was 82.5% (p<0.001). In phase 3, we attempted to make a short-form questionnaire with the same detection power of the whole questionnaire. Two short-form questionnaires were identified as a useful method for detecting photophobia. The prevalence of photophobia could be underreported via interview, especially in Asian migraineurs. Using this questionnaire to test for photophobia, the diagnostic rate of photophobia and migraine could be improved. 광공포증은 편두통 진단에 있어 중요한 인자이다. 그러나 아시아인을 대상으로 하는 많은 편두 역학조사에서는 서양인을 대상으로 하는 연구에서 보다 상대적으로 낮은 빈도의 광공포증이 관찰되고 있다. 이와 같은 광공포증의 저 평가는 환자에 대한 올바르지 못한 질문에 기인한 것으로 추정된다. 저자는 이에 대한 적절한 평가를 위하여 8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광공포증 설문지를 작성하였으며, 이를 103명의 편두통 환자를 대상으로 하여 유용성을 평가하였다. 첫 번째 분석에서 광공포증 설문지의 적절한 재현성을 확인할 수 있었다. 두 번째 분석에서는 인터뷰와 설문지에 의한 광공포증의 양성률을 비교하였고 인터뷰에 의한 양성률 (51.5%) 에 비하여 설문지의 양성률 (82.5%) 이 유의하게 높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세 번째 분석에서는 전체 광공포증 설문지와 동일한 양성률을 가지는 축소된 설문지 또는 질문의 조합을 확인하고자 하였으며, 각각 3개의 질문으로 구성된 2개의 축소된 설문지가 도출되었다. 본 연구는 아시아의 편두통 환자에서 짧은 인터뷰를 통해서는 광공포증의 존재가 저평가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설문지를 이용하면 광공포증의 양성률 및 편두통의 진단률을 향상시킬 수 있을 것이다.

      • 사물의 재발견을 통한 환원주의적 조형연구

        최정윤 성신여자대학교 대학원 2016 국내석사

        RANK : 247647

        본 논문은 2014년부터 2016년까지 진행한 본인의 작업 중 ‘사물의 재발견-세 가지 프로젝트를 중심으로’라는 주제로 이루어진 석사 청구 전에 전시된 작품 내용을 중심으로 표현 형식을 연구하고 그 의미에 대해 서술한 글이다. 디지털 사회 속에서 살고 있는 본인은 디지털 사회의 인식 형성 과정과 획일화된 인식에 주목하여 작품을 전개하였다. 디지털 기술은 인간의 삶을 윤택하게 만들었지만, 기술의 발달로 인해 생기는 문제점도 무시할 수 없다. 사이버 세상의 쏟아지는 정보, 시각적 이미지, 지식의 공급은 세상을 스크린 화면을 통해 경험하게 했고, 결과적으로 우리가 직접 세상을 바라보고 인식할 수 있는 경험을 지배하고 현대인의 사고과정을 획일화시키고 있다. 본인은 이러한 현대사회의 문제점에 주목하고, 유리병·나무·물감을 환원주의 개념을 바탕으로 해체·반복·과정 공유의 방법을 통해 작품을 형성하였다. 이에 미술사적으로 해체·반복·과정 공유의 방법을 사용한 작가들을 연구해 보았다. 조셉 코수스의 텍스트 해체, 솔 르윗의 기하학적 형태의 반복. 리처드 세라의 작품 형성 과정의 연구를 통해서 본인의 개념적 사고를 조형적으로 시각화하는 표현 방법을 탐구하였다. 즉, 디지털 사회의 인식형성의 관념적 내용을 환원주의의 개념을 기반으로 해체·반복·과정 공유하기의 방법을 통해 형태를 전환하고 재구성하였다. 본인은 사물을 예술적 가치를 지닌 도구로서 의미 확장을 시도하고 동시에 본인의 관념을 담은 사물로 바꾼다. 이는 디지털 사회 속에서 살고 있는 현대인들에게 획일화된 사고와 인식 형성의 문제점을 적극적으로 대면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고 새로운 인지 경험의 가능성을 본인의 작품을 통해 제시하고자 하였다. 나아가 본 연구를 통하여 작품이 담고 있는 내용과 형식의 조화, 그리고 조형적 표현 방법에 대한 객관적인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또한, 동시대를 살아가고 있는 현대인들이 사이버 세계에서 쏟아져 나오는 많은 정보와 시각적 이미지들을 구별하여 개인의 경험의 세계를 방해받지 않고 획일화된 사고방식을 넘어 올바른 인지의 결과를 얻기를 바란다.

      • 보육 시설 아동의 코티솔 수준 : 보육 경험, 사회계층,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의 관계

        최정윤 연세대학교 대학원 2008 국내박사

        RANK : 247631

        본 연구는 보육 시설의 질적 수준과 가정의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라 보육 시설에 다니는 아동의 코티솔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고 보육 시설의 질적 수준, 보육 시간, 보육 시작 시기,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이 아동의 코티솔 수준과 어떠한 관계가 있는지 살펴보았다.연구 대상은 서울시와 수도권에 위치한 5개 보육 시설에 다니는 만 4~5세 저소득층 아동 60명과 중류층 아동 57명으로 총 117명이었다. 아동의 타액 코티솔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 Becton, Dickinson and Company의 Visispear와 Salivette 용기를 사용하여 아동의 타액을 같은 날 오전과 오후에 1회씩 이틀에 걸쳐 총 4회 수집한 후 Salimetrics사의 Salivary Cortisol Enzyme Immunoassay Kit를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보육 시설의 질적 수준을 측정하기 위하여「어린이집 프로그램 관찰 척도(이은해, 최혜영, 송혜린, 신혜영, 2003)」중 유아반에 해당하는 문항을 사용하였다. 아동의 보육 시간, 보육 시작 시기와 어머니의 양육행동(박주희, 2001)을 측정하기 위하여 어머니 질문지를 사용하였으며,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을 측정하기 위하여 교사 질문지(Social Competence and Behavior Evaluation: LaFreniere & Dumas, 1996)를 사용하였다.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사회경제적 지위에 따른 각 변인의 기술적인 통계치를 산출하고 t 검증을 실시하였다. 보육 시설의 질적 수준과 가정의 사회경제적인 지위에 따라 아동의 코티솔 수준에 차이가 있는지 알아보기 위하여 이원변량분석을 실시하였다. 측정 변인들 간의 관계를 알아보기 위하여 Pearson 적률상관계수를 산출하였고, 아동의 코티솔 수준에 대한 보육 시설의 질적 수준, 보육 시간, 보육 시작 시기, 어머니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의 영향력을 알아보기 위하여 중다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본 연구에서 나타난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아동의 코티솔 수준은 가정의 사회경제적인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저소득층 아동이 중류층 아동보다 오전과 오후 코티솔 수준이 모두 높게 나타났다.둘째, 아동의 코티솔 수준에 영향을 미치는 변인은 코티솔 오전, 오후 수준과 코티솔 패턴에 따라 차이가 있었다. 코티솔 오전 수준은 아동의 불안-위축 행동과 관계가 있어 아동이 또래 놀이에 참여하지 않고 고립된 행동을 나타낼수록 코티솔 오전 수준이 높았다. 코티솔 오후 수준은 보육 시간과 아동의 불안-위축 행동과 관계가 있어 아동이 기관이나 부모 외의 사람에게 맡겨지는 시간이 길고 불안-위축된 행동을 나타낼수록 코티솔 오후 수준이 높았다. 코티솔 수준의 변화 패턴은 보육 시간, 어머니의 양육행동 중 거부, 방임과 한계설정과 관계가 있었다. 즉 아동이 기관이나 부모 외의 사람에게 맡겨지는 시간이 길고, 아동의 어머니가 아동을 수용하지 못하고 화를 내거나 의견을 무시하는 행동을 나타내고 일상생활에서 아동 행동의 한계를 설정하지 않을수록 아동의 코티솔 수준이 오전에 비해 오후에 증가하였다.결론적으로 아동의 코티솔 수준은 사회경제적인 지위에 따라 차이가 있다. 아동의 코티솔 수준은 보육 경험, 어머니의 양육행동, 아동의 사회적 유능성과 관련이 있어 불안-위축 행동을 나타내는 아동은 오전과 오후의 코티솔 수준이 모두 높고, 기관이나 부모 외의 사람과 지내는 시간이 길수록 아동의 오후 코티솔 수준이 높고, 오전에서 오후로 갈수록 코티솔 수준이 높아진다. 어머니가 거부, 방임 행동을 보이고 일상생활에서 한계를 설정하지 않을수록 아동의 코티솔 수준은 오전에서 오후에 걸쳐 증가한다.

      • 흔적에 내재된 그 집적현상의 이미지 표현 연구 : 본인의 작품을 중심으로

        최정윤 경희대학교 대학원 2002 국내석사

        RANK : 247631

        예술은 언제나 새로운 것을 추구하지만 오늘날의 미술에 있어서 이러한 추구는 대부분이 이미 존재하는 것들에 대하여 비판하거나 극복하는 상대적 성격을 지닌다. 내가 살고 있는 지금 비판과 극복의 소용돌이 속에서 존재하는 예술로서의 현대 회화는 과거의 전통적인 인습에 얽매이지 않고 자신의 주관적이며 독특한 내면의 세계를 시각화 하고자 한다. 또한 자신의 고유하고 각기 다른 내면의 상(像)을 표현하고자, 재료와 기법 면에서도 더욱 새로운 양식과 다양성을 추구하게 되었다. 작가는 직ㆍ간접적인 삶의 체험을 예술작품이라는 매질(媒質)을 통하여 표출하고, 그 작품을 표현하는데 있어 자신의 내ㆍ외적인 감정의 변화에 따른 변형과 상징적 암시를 통해 화면의 질서를 추구한다. 본 논고에서는 본인의 행위를 본인의 과거와 현재, 그리고 미래에서 내면세계를 재인식하는 수단으로서 과거에 경험되어진 기억의 흔적을 추적하고 그 결과로서, 나의 경험 속에서 표출된 가치와 부합되는 감정을 벽이라고 하는 미술방법의 소재에 그 행위들을 투영하여 그것을 지금 작업되어지는 물리적 재료에 표현했다. 이는 불확정적인 현실의 존재자(存在自)로서 그 존재의 살아있음을 드러내는 본인의 태도이며, 내 존재에 잠재된 무의식적 추억의 본질과 의미를 감지하고 들추어냄으로서 정신보다 물질의 양(量)적 팽창이 우세한 현대의 일상에서 사라져 잠식(蠶食)된 내면의 아름다움을 찾고자 함이다. 이러한 태고적 기억과도 같은 무의식의 원형을 작업동기로 정하고 그것에 따르는 경험적 사고를 자연스럽게 작품화하는 것에 중점을 두었으며, 그 결과적 바램으로서는 우리들 인간 삶의 작용인 생성과 소멸, 흔적의 이미지들을 원초적 감수성을 통한 작업방법으로 드러내어 일상 생활에서 잃어버린 자의식을 회복해 보려 했다. 그리고 작품 분석에서는 그 흔적의 가시적(可視的) 형상인 벽이라는 이미지를 저부조로 형상화되는 과정을 서술하였으며 그밖에 표현된 형식은 색채와 각각의 비어있는 공허한 공간을 빌려서 회벽(灰壁)의 질감을 나의 주관적 감정 색채로써 그 이미지를 드러내 보고자 했다. 이러한 흔적을 소재로 하여 시각화된 나의 작품들은 시적 세계( 여기에서 시라는 것은 본인의 의견으로서, 독특한 언어의 배열에서 주어지는 또는 생겨나는 각 개인마다의 감정경험을 말하는 것임)를 넘어선 참다운 자아(내 자신이 아는 것만큼 동의되어지는 것을 말하며, 이 동의에는 사회구성원 간의 도덕, 윤리적 보편성을 벗어나지 않음을 지칭하는 것임)로 이어지는 길을 열고자 하며 앞으로 본인 회화가 나아가야 할 방향성을 모색해 보고자 한다. Although art always pursues new things, most of this pursuit in the world of today has the relative aspects that criticize or overcome what has already existed. At this time when I live, modern paintings as the art to exist in the whirlpool of criticism an d surmount are to visualize the subjective and peculiar inner world without restricted by the traditional convention. Also, in order to express their own unique and dissimilar internal images, they come to seek after a newer modes and diversities. An artist represents the direct and indirect experiences of life through the medium of his or her arts as well as pursues the regularity of the canvas through his or her own transformation by means of inner and outer emotional variation and symbolic allusion. In this thesis, I myself track the indications of my memory to have experienced in the past as a means to recognize my own act and inner world in my past, present and future, as a result I project the act on the art methodic material the same as the emotional wall which coincide with the value to be flown from my experience, and now I give expression on the physical material to be operated. This is my own attitude to expose the existence to be alive as an indefinite real existence and I intend to look for the inward beauty encroached and vanished in the modern daily routine of material quantitative superior expansion to spirit through the exposing and perceiving the essence and the meaning of the potential unconscious retrospection. I decided to fix the unconsc ious original form such as ancient memory in the operation motive and the experiential thought followed this is emphasized on working naturally. Therefore my desire is to reveal the formation and extinction that is functions of our human beings lives and try to recover the lost self-consciousness in the daily routine. Also, in analysis of the works, I described the process that wall image, the visual form of trace, is formalized by low carving. I made plans to reveal the image that the rest of the expressed form which is the color and the vacant space is filled with the feeling of the quality of lime plastered wall and my subjective emotional color. I will let my works visualized by trace opened up a road to be connected with a genuine self (I mean it for being agreed within my knowing, and this agreement means that the members of the society should not get rid of moral and universality of the ethics) beyond the poetical world (the meaning of the poet here is my own opinion and individual emotional experience given or made by the arrangement of the peculiar language), and from now on I have the intention to take my course for the paintings to go forward.

      • 주의집중훈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과 수업집중력, 자기조절학습능력에 미치는 영향

        최정윤 서울교육대학교 교육전문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47631

        주의집중력은 학습과 같은 어떠한 일을 수행할 경우 성공과 실패를 결정짓는 데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구인 중 하나로 주위의 자극에 주의를 기울인 다음 이것을 지속적으로 유지할 수 있는 힘을 뜻한다. 주의집중력은 선천적이거나 고정불변인 것이 아니라 훈련을 통하여 향상시킬 수 있으며(송영옥, 2006), 따라서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의집중훈련을 구상 및 실시하여 그 효과를 검증하는 것은 의미 있는 일이다. 수업집중력은 수업 중이라는 특수한 상황에서 학습자들에게 요구되는 주의집중력으로 수업집중력 역시 하나의 행동개념으로 상정될 수 있으며 훈련시킬 수 있다(박화엽, 강경열, 2001). 또한 수업집중력은 학교 수업장면에서 관리할 수 있는 주요한 교수-학습 변인 중 하나인 학습행동을 지배하는 요인이기도 하다(박화엽, 강경열, 2001). 자기조절학습은 학습자가 자신의 학습에 적극적으로 참여하면서도 목적지향적인 행동을 보이는 현상을 설명하기 위해 구안된 개념으로(양명희, 2000), 학습자가 사용하는 가장 높은 수준의 인지활동이다. Corno와 Mandinach(1983)에 의하면 이러한 자기조절학습이 가능하기 위해서는 주의집중력이 필수적이다. 본 논문의 목적은 연구자가 직접 구상하여 실시한 주의집중훈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및 수업집중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확인하는 것에 있다. 그리고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및 수업집중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하나의 방안을 제시하는 데에 본 논문의 교육적 의의가 있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본 논문에서는 주의집중훈련을 독립변인으로, 주의집중력 및 수업집중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종속변인으로 두고 초등학생들을 연구 대상으로 하여 실험 연구를 진행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행하여 검증한 연구 가설은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집중훈련은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둘째, 주의집중훈련은 초등학생의 수업집중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셋째, 주의집중훈련은 초등학생의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킬 것이다. 위의 연구 가설 검증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뇌의 메커니즘에 대한 이해를 바탕으로 우뇌와 좌뇌를 균형적으로 자극하고 발달시킬 수 있는 주의집중훈련을 연구자가 직접 구상하고 진행하였다. 연구 대상으로는 서울특별시 소재의 H초등학교 5학년 한 개 학급(27명)을 실험집단으로 선정하였으며, 실험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전 주의집중력 검사 및 사전 수업집중력 검사와 사전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를 실시한 후 주 3회씩 4주 간, 총 12회기의 주의집중훈련을 진행하였다. 그리고 모든 주의집중훈련을 끝내고 나서 동일 실험집단 학생들을 대상으로 사후 주의집중력 검사 및 사후 수업집중력 검사와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를 실시하였다. 통계 분석 방법으로는 대응표본 t-검정을 사용하였으며, 정량적 분석 결과를 보완하기 위하여 안구추적기로 측정한 학생들의 시선경로를 분석하여 결과 해석에 활용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의집중훈련은 실험집단 학생들의 주의집중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후 주의집중력 검사 결과가 사전 주의집중력 검사 결과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다만 예외적으로 주의집중훈련 실시 후 주의집중력 향상이 나타나지 않은 학생이 있었는데, 연구자는 그 원인을 파악하기 위해 안구추적기로 얻은 학생들의 시선경로를 정성적으로 분석하였다. 둘째, 주의집중훈련은 실험집단 학생들의 수업집중력 전반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후 수업집중력 검사 결과 총점이 사전 수업집중력 검사 결과 총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았다. 이러한 결과를 수업집중력의 하위 변인별로 나누어 살펴보니 수업정신지향 집중행동, 수업자세지향 집중행동, 수업태도지향 집중행동, 수업심화지향 집중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나 학습지향 집중행동에서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주의집중훈련은 실험집단 학생들의 자기조절학습능력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사후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 결과 총점이 사전 자기조절학습능력 검사 결과 총점에 비해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높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이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하위 변인별로 나누어 살펴보니 인지 조절 요인, 동기 조절 요인, 행동 조절 요인 모두에서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위의 연구 결과를 종합하여 보면 주의집중훈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및 수업집중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 기여했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의 의의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초등학교 현장에서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주의집중훈련의 한 가지 사례와 그 적용 방안을 제시하였다. 본 연구는 초등학교 현장에서 별도의 시간을 따로 마련하지 않고 일과 시간 내의 창의적 체험활동 시간만을 활용하더라도 학생들의 주의집중력 및 수업집중력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을 향상시키기 위한 주의집중훈련을 충분히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었다. 그리고 특별한 교구 없이 교사가 준비할 수 있는 학습 자료만 있어도 효과적인 주의집중훈련이 가능함을 보여주었다. 둘째, 주의집중훈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검증하였다. 주의집중력은 고정불변의 것이 아니라 훈련을 통해 향상시킬 수 있는 것인데(전도근, 2014),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이론적 배경을 바탕으로 하여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구체적인 주의집중훈련의 내용을 연구자가 직접 구상하여 실시하였고 그 효과를 실험을 통해 검증하였다. 셋째, 주의집중훈련이 초등학생의 주의집중력뿐만 아니라 전반적인 수업집중력 및 자기조절학습능력의 향상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을 실제적으로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보면 학습지향 집중행동을 제외한 수업집중력의 모든 하위 변인과 자기조절학습능력의 모든 하위 변인에서 주의집중훈련의 효과가 긍정적으로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다.

      • 수사경찰 전문화를 위한 교육훈련 개선방안에 관한 연구

        최정윤 동의대학교 2018 국내석사

        RANK : 247631

        최근 우리 사회는 급변하는 정치·경제·사회적 현상으로 인하여 새로운 치안수요와 변화하는 관계법령에 적극적이고 능동적으로 대처하는 분야별 전문가의 양성이 간절히 요구되고 있다. 이 중에서 수사 분야는 범죄행위를 신속하고 완벽하게 처리해야하므로 경찰수사 전문화에 대한 국민들의 기대와 관심이 높다고 할 수 있다. 현재 논의되고 있는 수사구조개혁을 통해 경찰이 독자적인 수사권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경찰수사의 전문성 강화가 반드시 해결해야 할 당면 과제이다. 이 연구는 경찰수사의 전문성 강화를 위한 제도 개선노력 중, 수사경찰의 교육훈련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에 대하여 고민하였다. 이를 수행하기 위해서 현행 수사경찰의 교육을 재검토하고, 수사경찰이 인식하는 수사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중요도 - 실행도 분석을 활용한 수사경찰의 전문화를 논의하였다. 논의 방법으로 우선, 수사경찰에 대한 이해를 위해 우리나라 수사권 구조와 수사경찰의 실태를 살펴보았고, 수사권과 수사경찰 교육훈련 현황을 통하여 수사경찰의 의의와 교육훈련에 대한 문헌 검토를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수사경찰의 재교육이 이루어지고 있는 경찰수사연수원의 교육과정에 대해 수사경찰이 인식하는 각 프로그램별 중요도-실행도 분석결과를 도출하기 위하여 SPSS 프로그램을 활용하여 빈도분석 (frequency analysis), 독립표본 t-검정 (independent sample t-test)과 일원배치 분산분석(one-way ANOVA), IPA 분석 등 통계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분석 결과 바탕으로 문제점 논의와 수사경찰의 전문화를 위한 교육과정 개선, 교육자료 개발 등을 제언하였다. 이 연구를 수행하기 위해서 경찰수사연수원에서 직무교육을 받은 전국의 수사경찰관 210명을 대상으로 수사교육의 중요도-실행도에 관한 설문지를 배부하였고, 배부한 설문지 중, 172부(90%)를 유효표본으로 하여 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수사경찰이 인식하는 수사 교육훈련 프로그램의 중요도와 실행도 차이분석결과 모든 프로그램에서 중요도-실행도간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고 모든 문항에서 중요도 인식이 실행도 인식보다 높았다. 둘째, 인구사회학적 특성에 따라 수사교육훈련 중요도-실행도 인식 차이를 분석한 결과 성별에서는 개념 및 법률, 수사기법, 실습 프로그램의 중요도에서 성별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직급에서는 개념 및 법률 프로그램의 실행도에서 직급에 따른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났다. 그러나 그 외 연령 및 직무담당기간에 따른 프로그램별 중요도와 실행도 인식에는 유의미한 차이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IPA매트릭스 분석을 통해 각 분야별 우선순위를 알아본 결과 직무전문분야에서 개념 및 법률 프로그램 중 "과학수사의 이해", 그리고 실습프로그램 중 "디지털증거의 이해 및 실습" 두 프로그램이 중요도는 높으나 실행도가 낮은 2사분면에 위치해 시급히 개선이 필요한 교육프로그램의 최우선 순위로 나타났다. 위와 같은 분석결과를 바탕으로 수사교육을 담당하는 실무자들은 수사경찰이 인식하는 교육 프로그램의 필요도 및 욕구를 파악하고, 이를 반영한 교육훈련을 개발하여 제공함으로써 교육훈련의 실행도를 높여야 할 것이며, 나아가 수사경찰 교육훈련에 대한 지속적인 후속연구를 통해 수사경찰 전문화에 기여해야 할 것이다.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