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최면을 활용한 상담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

        김태경 전주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7 국내석사

        RANK : 249663

        본 연구는 최면을 활용한 상담이 대학생의 스트레스와 우울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 한 것이다. 연구 대상은 스트레스반응 척도를 사용하여 대학생 100명을 대상으로 실시한 후 스트레스반응 점수가 81점 이상인 대상자를 선정하여 총 10명(실험군 5명, 통제군 5명)을 대상으로 연구를 실시하였다. 5명의 실험군에는 최면을 활용한 상담을 실시하고, 5명의 통제군에는 비상담으로 진행하였다. 최면을 활용한 상담은 개인별로 진행되었으며 주 1회 2시간 내외, 총 5회로 구성하였다. 실험군과 통제군 모두 사전-사후에 스트레스반응과 우울검사를 실시하고 상담종결 3주 후에 추수 평가를 실시하였다. 연구결과는 첫째,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스트레스반응 총점과 하위변인인 긴장, 신체화, 우울, 피로, 좌절이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감소하였다. 3주 후 추수 평가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고, 하위변인 분노는 사후에 감소되지 않았으나 추수 평가에 감소하였다. 둘째, 실험군이 통제군에 비해 우울 총점과 하위변인인 우울정서, 신체저하, 대인관계가 사전에 비하여 사후에 감소하였고, 3주 후 추수 평가에도 그 효과가 유지되었다. 본 연구가 소수의 대학생을 대상으로 실시된 점과 추수 평가가 비교적 단기간인 3주 후에 이루어지는 등의 한계가 있지만, 최면을 활용한 상담의 효과성이 검증되었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을 논의하였다. 핵심어 : 최면상담, 스트레스, 우울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effects of hypnosis-based counseling on stress and depression of university students. The subjects were 100 university students using Stress Response Scale and 10 subjects (5 experimental group, 5 control group) were selected for the stress response score of 81 or more. Hypnosis-based counseling was conducted to 5 experimental groups and nothing was conducted to 5 control group. Hypnosis-based counseling was conducted individually and consisted of 5 sessions for about 2 hours a session once a week.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score of stress response and subscales such as tension, somatization, depression, fatigue and frustration decreased at post comparison in experimental group, while all the results of follow-up evaluation were the same as post-comparison’s except decreased anger. Second, the depression total score and the subscales such as the depressed affect, somatic decline and interpersonal relation were decreased at post and follow-up evaluation in experimental group. Limitations of this study and future research tasks were discussed. Key Words: hypnosis-based counseling, stress, depression

      •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형철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상담전공 2021 국내석사

        RANK : 249663

        국문 초록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김 형 철 전주교육대학교 교육대학원 초등교육상담전공 (지도교수 은 혁 기) 본 연구는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및 학교생활만족도에 미치는 효과를 검증하기 위한 것이다. 본 연구의 연구대상은 00도 0시에 소재한 H중학교 1학년 학생 1개반과 S중학교 1학년 학생 1개반에 재학하는 학생을 대상으로 사전검사로 동질성 검사를 한 후 한 학급을 실험집단으로, 다른 학급을 통제집단으로 선정하였다. 자아존중감을 측정하기 위해서 김성순(2010)의 자아존중감 검사도구를 사용하였고, 학교생활만족도를 측정하기 위해서 오경애(200 7)가 사용한 학교생활만족도의 검사 도구를 사용하였다. 실험집단은 5주 (2020년 11월∼2020년 12월) 동안 주 1회, 2회기에 90분, 총 10회기의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시행하였고, 통제집단에는 아무런 처치를 가하지 않았다. 실험이 끝난 후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사후 검사를 시행하였다. 프로그램의 효과검증을 위하여 통계 방법은 IBM SPSS/Window 22.0을 이용한 변량분석(ANOVA)을 시행하였고,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전체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둘째,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학교생활만족 전체의 향상에 유의미한 효과가 있었다.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과 학교생활만족도의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가 있다는 것이 검증되었다. 이는 자기칭찬을 함으로써 자기 본 모습에 관한 생각을 많이 하게 되고, 그것이 자기 자신과 긍정적인 관계를 형성하게 되었고, 자기 자신과 긍정적인 관계가 형성됨으로써 자아존중감이 향상되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리고 자아존중감이 향상됨으로써 친구와의 관계도 좋아지며 학교생활만족도도 같이 향상되는 것을 알 수 있다. 그러므로 본 연구에서 사용한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중학생의 자아존중감 향상과 학교생활만족도의 향상에 유용하게 활용되어 중학생의 성공적인 학교생활 적응에 도움이 될 수 있을 것이다. 주요어 : 자기칭찬 집단상담 프로그램, 자아존중감, 학교생활만족도

      •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상담활동 실태 조사 및 활성화 방안 연구

        주효림 전주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의 상담활동 실태와 상담에 대한 인식 및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하여 전라북도 지역에서 근무하는 초등 특수교사 237명을 대상으로 특수교육대상자 상담 활동 실태와 인식 및 활성화 방안에 관한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상담 실태를 살펴본 결과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는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상담을 월 6회 이상 실시하고, 1회 상담 시 10분 미만의 상담을 실시하였다. 또한 상담 횟수를 지정하기보다는 수시로 상담하는 비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 유형은 주로 학생의 문제행동에 대한 것이었으며, 주로 사용하는 기법은 개방적 질문이었다. 상담 전 관련 정보는 학생을 직접 관찰함으로써 얻었으며, 상담 결과는 학생 교육 및 생활지도에 활용하였다. 상담에 대한 만족도와 효과에 대해서는 긍정적으로 인식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둘째, 교육 상담에 대한 인식을 살펴본 결과 특수교육대상자도 전문적 상담과 지원이 필요하다고 인식하는 응답자가 많았다. 전문적 상담 및 전문가의 지원이 필요한 장애유형으로 정서행동장애라고 응답하였다. 상담활동의 바람직한 방향으로는 상담교사(또는 전문기관), 특수교사, 담임교사가 상담 업무를 협력해야 한다는 의견이 가장 많았으며, 상담자의 역할로는 학생의 심리적 안정이 가장 많은 것으로 나타났다. 상담활동 저해요인으로는 특수교육대상자 상담을 위한 전문적 지식 부족을 지적하였다. 셋째, 교육 상담 활성화 방안에 대해 살펴본 결과 특수교육대상자 상담을 위한 교사의 전문적 연수가 필요하다는 응답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또한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상담에 대한 유관기관의 관심 정도를 묻는 질문에서는 관심이 없다고 느끼는 응답자가 가장 높았다. 특수교육대상자 교육 상담과 관련된 연수 확대는 응답자의 대부분이 필요하다고 인식하고 있었으며, 연수 참석에도 긍정적인 인식을 하고 있었다. 또한 초등 특수학급 담당교사를 위한 지속적 상담 필요성에 대해서 응답자 대부분이 필요성을 높게 인식하고 있었으며, 지속적 상담에 참석하겠다는 응답자도 높게 나타났다. 본 연구의 한계점과 향후 연구 방향이 논의되었다. 주요어 : 특수교육, 특수교사, 초등학교, 상담활동 및 활성화 방안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was to investigate the real conditions of counseling activity of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For this purpose, 237 elementary special education teachers working in Jeollabuk-do region were surveyed about the actual situation of counseling activities, recognition and activation plan of special education subjects. The main results were as follows. First of all, after looking at the current state of education counseling, elementary special class teachers conducted education counseling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at least six times a month, and each consultation took less than 10 minutes. Also, rather than limiting the number of counseling sessions, the frequency of counseling rate was high. The type of counseling was mainly about the student's problematic behavior, and the counseling methods mainly used were open questions. Pre-counseling related information was obtained by observing the student in school, and the counseling results were used to educate and evaluate the student's study habits. Many respondents positively perceived the satisfaction and effectiveness of counseling. Secondly, after examining the awareness of education counseling, many respondents recognized that professional counseling and support were very needed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The type of disability requiring professional counseling and expert support was emotional and behavioral disturbances. The most desirable counseling activities were that counselors (or professional institutions), special education teachers, and teachers in charge of counseling were required to cooperate with each other, and the role of counselors should provide psychological stability to students. The lack of specialized knowledge for counseling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was the reason why counseling activities were ineffective. Thirdly, a study on the measures to activate education counseling showed that teachers of special education need professional training very much. In addition, when asked about the level of interest of related institutions in education counseling for special education subjects, respondents felt that they were not interested. The expansion of training related to education counseling for special education for subjects was very needed by most of the respondents, and was positive about attending the training sessions. Lastly, most of the respondents have very strong needs for continuous counseling for teachers in charge of primary special education classes, and many were willing to attend continuous counseling. The limitations and future tasks of this study were discussed. Key words: Special education, Special education teacher, Elementary school, Counseling activities and activation plan

      •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이미현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결과들을 메타분석 접근방법에 의해 그 효과정도를 종합적으로 규명하는 것이다. 본 연구를 위해서 2000년부터 2009년까지의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과 관련한 83편의 석·박사 학위논문을 분석하였다. 선행연구 결과들을 통합하여 종합적인 결론을 내리는 메타분석 방법을 사용하였다. 그 결과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크기가 1.21로 나타나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종류별에 따른 자아존중감 향상 효과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 그 결과 많이 사용하는 자기성장 프로그램과 미술치료의 효과크기가 1.13, 1.24로 나타나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독서치료·음악치료·인지행동·현실치료 등의 집단상담 프로그램의 효과크기가 모두 1.00을 넘어 효과가 큰 것으로 분석 되었다. 집단상담자 특성 중 학력에 따라 분석한 결과, 석사의 경우는 1.21, 박사의 경우는 1.23으로 나타나 효과가 크지만 둘 간의 효과크기의 차이는 없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또한 집단상담자의 특성중 성별에 따른 효과크기 차이는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자일 경우는 1.28로 효과크기가 크고, 남자일 경우는 0.71로 중간수준의 효과크기를 가진 것으로 분석되었다. 집단상담에 참여하는 집단원의 연령별에 따른 자아존중감 향상 효과크기의 차이를 분석하였다. 그 결과 유치원·초등학생·중학생·고등학생의 경우 각각의 효과크기가 1.53, 1.12, 1.13, 1.79의 결과를 가져와 모두 효과가 크며, 유치원생과 고등학생의 경우가 상대적으로 효과가 높은 것으로 분석되었다. 본 연구는 집단 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 향상에 미치는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결과 집단상담 프로그램이 자아존중감에 미치는 효과가 크며, 프로그램 종류·집단상담자의 특성·집단원의 연령에 따라 효과크기가 큰 것으로 분석되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상담가들이 상담현장에서 자아존중감 향상을 위해서 집단상담 프로그램을 적극적으로 활용하고 발전시킬 필요성이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comprehensively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self-esteem. This study adopts meta-analysis to analyze the effect of group counseling program. This study analyzes eighty-three papers for master's and Ph.D degrees involved in group counseling programs for enhancing self-esteem from 2000 to 2009. Meta-analysis is used to draw a comprehensive conclusion from precedent studies. According to this study, the effect size of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self-esteem is 1.21, and it indicates that the group counseling program is effective in enhancing self-esteems of participants. Furthermore, this study compares the effect sizes of various kinds of group counseling programs and concludes that the self growth program and the art therapy which are used commonly are more effective as having the effect size of 1.13 and 1.24 respectively. Bibliotherapy, music therapy, cognitive therapy, and reality therapy are also effective in enhancing self-esteems of participants. All of them is over 1.00 in the effect size. Analysed based on academic background of participants, the effect size is 1.21 in case of participants with master's degree and 1.23 with doctorate. This result indicates that academic background of participants affects on the effect of the programs, but there is few difference between participants with master's degree and with doctorate in the effect size. However, in case of analysis based on gender of participants, there is much difference in the effect size. Women show 1.28 of effect size and men show 0.71. This study also analyzes effect size for enhancing self-esteem on the bases of ages. The result is that the effect size of preschoolers, grade-schooler,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show 1.53, 1.12, 1.13, and 1.79 respectively. It indicates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for enhancing self-esteem is effective regardless of age, and especially in preschoolers and high school students. The result of meta-analysis demonstrates that group counseling program has a great effect on enhancing self-esteem of participants and the effect size can make difference by variables such as kinds of programs and academic background or age of participants. This conclusion indicates counselors should use and improve group counseling programs as much as possible to enhance self-esteem of participants.

      • 농인의 집단상담 경험에 관한 현상학적 연구

        김용태 전주대학교 상담심리대학원 2018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지역사회에서 소수집단으로 살아가는 농인이 집단상담을 통해 무엇을 경험했는지 살펴보고, 그 본질을 깊게 이해하는 것이다. 이를 위해 집단상담에 참여한 농인 8명을 대상으로 심층면담을 진행하고 그 경험의 의미를 분석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한 결과 38개의 주제와 14개의 주제군 그리고 5개의 범주가 도출되었다. 도출된 범주는 <청인이 알지 못하는 농인만의 어려움>, <집단상담을 하면서 한계에 부딪힘>, <수어통역사에 대한 기대와 우려>, <집단상담을 통해 삶이 긍정적으로 변함>, <상담에 대한 기대>로 나타났다. 본연구가 시사하는 바는 농인을 대상으로 하는 집단상담은 농인의 문화를 충분히 이해하고 그 특성에 맞게 설계되어야 하며, 수어를 잘하는 전문 상담사를 양성하는 동시에 수어통역사에게 체계적인 상담교육이 이뤄져야 한다는 점이다. 더 나아가 수어로 제작된 심리검사지도 개발될 필요가 있다는 것이다. 핵심어 : 농인, 집단상담, 수어통역사, 의사소통, 농인문화, 현상학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what Deaf persons—a minority in the local society—experienced through group counseling and profoundly understand its true nature. An in-depth interview was conducted to 8 of Deaf to analyze the significance of their experience. As a result of analyzing the collected data, 38 topics were produced, 14 topic groups and 5 categories were drawn out. The drawn-out categories were; <The difficulties of the Deaf that the ones with hearing don’t know>, <Hitting the limit during group counseling>, <Expectations and concerns towards sign language interpreter>, <Life changed in a positive way through group counseling>, and <Looking forward to counseling ses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group counseling of the Deaf need to be constructed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and by fully understanding their culture; that special counselors with good Korean sign language skill be cultivated; and that a systematic counseling education be made to sign language interpreter. Furthermore, there is a need for a Korean sign language-based psychological examination development. Keywords: the Deaf, group counseling, communication, phenomenology, Deaf culture, Sign language interpreter

      • 노인일자리 사업에서 상담교육 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남은숙 전주대학교 상담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의 목적은 노인일자리 사업에 참여하고 있는 노인들의 상담교육 참여가 자기효능감과 생활만족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는 데에 있다. 연구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자기효능감의 하위 변수인 과제난이도선호를 제외한 모든 변수가 상담교육 이후에 통계적으로 유의하게 증가했으므로 상담교육은 자기효능감 증진에 효과가 있다고 볼 수 있다. 둘째, 상담교육은 생활만족도 면에서 미래생활만족도를 제외한 생활만족도, 과거생활만족도, 현재생활만족도 증진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와 같은 연구결과는 노인 일자리사업에서 상담교육의 효과를 보여주는 것으로 노인 일자리사업에서 양적 성장과 함께 질적 성장도 중요함을 보여주는 결과라 할 수 있다. 또한 이로 인해 현재 많이 다루어지고 있지 않은 노인진로상담에 대한 이론적 점검과 함께 차후 노인 일자리사업에서 상담을 통한 일자리프로그램이 개발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This study aims to investigate the effect of elderly's participation in counseling training during a job offering project for them on self-efficacy and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all variables except for preference on level of difficulty according to assignment as a sub-variable has statistically and meaningfully increased after the counseling training, which indicates the counseling training had an effect on improvement of self-efficacy. Second, the counseling training affected improvement of life satisfaction, past life satisfaction and current satisfaction except for future life satisfaction in terms of life satisfaction. The results of the study verified the effects of counseling training during the job offering project for the elderly, which means not only quantitative development but also qualitative improvement is significant for the project. The study suggests that theoretical research on career counseling for the elderly that have not currently dealt with much, and needs to develop job offering programs through counseling for the elderly are required.

      •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에 관한 메타분석

        임찬오 전주대학교 국제상담대학원 2003 국내석사

        RANK : 249647

        본 연구는 메타분석 방법을 이용하여 국내에서 개발·운영되고 있는 진로 프로그램들의 성과들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자 수행되었다. 이를 위하여 1993년∼2002년의 10년동안 이루어진 논문 및 학술잡지 중 국회도서관과 국립중앙도서관에서 원문을 제공하는 92편을 대상으로 총 683건의 효과크기를 계산하였다. 먼저 국내 진로 프로그램의 전체 평균효과 크기를 알아본 후, 진로프로그램의 형태 및 프로그램의 운영변인에 따라 효과크기를 알아보았다. 프로그램 변인으로는 학교급, 지도자 유형, 고등학교 형태, 성, 실시지역, 무선배정 여부, 실시 장소, 멀티미디어 사용 유·무, 참여유형, 회기수, 회기기간, 회기시간에 따른 평균효과 크기를 비교·분석하였다. 또한 학교 급별, 성별, 실시지역, 무선배정 여부, 실시 장소, 멀티미디어 사용 유·무, 참여유형, 회기수, 회기기간, 회기시간에 따라서 진로지도 프로그램, 지도/상담프로그램, 상담프로그램, 상담/지도프로그램 중 어떠한 프로그램이 보다 큰 효과를 나타내는지도 비교·분석하였다. 자료 분석은 SPSS 10.1 통계프로그램을 이용하여 t-test 혹은 일원변량분석(ANOVA)을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연구의 대상 논문들의 전체 평균효과 크기는 0.86으로 국내에서 실시되는 진로지도 및 상담 프로그램의 효과는 상당히 큰 편으로 나타났다. 둘째, 프로그램의 형태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진로상담 프로그램(ES=1.28)이 가장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으며, 다음으로 상담/지도 프로그램(ES=1.08), 지도/상담 프로그램(ES=0.75), 지도 프로그램(ES=0.70) 순으로 나타났다(p< .001). 셋째, 참가자의 학교 급별 평균효과 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대학생 (ES=1.16)을 대상으로 할 경우가 가장 높았으며, 지도자 유형에 따라서는 전문가(ES=1.09)가 할 경우에 연구자(ES=0.74)가 직접 실시하는 것보다 높게 나타났고, 무선배정(ES=0.91)이 임의배정(ES=0.76)보다 높게 나타났다. 또한 프로그램 실시장소에 따라서 상담실(ES=1.01)이 교실(ES=0.80)보다 더 높은 효과를 보였고, 프로그램 회기수에 따라 효과크기를 비교해 본 결과, 6∼10회기(ES=0.98)로 운영될 때 더 높은 효과를 보였고, 회기시간에 있어서는 76∼105분(ES=0.99)에서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통계적으로 유의미하게 컸다. 한편 고등학교의 형태, 참가자 성별, 실시지역, 멀티미디어 사용 유·무, 참여유형, 회기기간에 따라서는 평균효과간의 차이는 유의미하게 나타나지 않았다. 넷째, 프로그램 운영변인과 유형에 따른 평균효과 크기를 비교한 결과 학교 급, 성, 실시지역, 무선배정 여부, 실시장소, 멀티미디어 사용 유·무, 참여유형, 회기수, 회기기간, 회기시간의 하위변인에서 프로그램의 유형에 따른 하위변인 중 상담 중심의 프로그램을 실시할 경우 지도 중심의 프로그램보다 평균효과 크기가 크게 나타났다. 본 연구결과물을 통해 밝혀진 진로 프로그램의 효과적인 형태 및 운영 변인들은 진로 프로그램의 연구와 실제의 발전에 의미있는 자료를 제공하고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analyze effects of career program which was developed and has been operating in Korea. For this purpose, this study researched over the 683 effect sizes of 92 theses and 3 journal articles, which were provided in the National Assembly Library and The National Library of Korea. Among these, I analyzed. First, the average size effect in domestic career programs in Korea, the types of career programs and the dependant variables of each programs were analyzed. For figuring out the effectiveness of the programs, I this study considered variables of the program which includes the year of the school, the style of the leader, operating style of the high school, sex, regional area, the place, use or not using the multi-system, type of involvement, the frequency, the period and the time of operation. In addition to this, the researcher compared and analyzed which program is more effective among the career guidance program, guidance/counseling program, counseling program, and counseling/guidance program. The analysis was done through SPSS 10.1 statistical program, t-test or ANOVA. These are the results of my study; First, the overall of mean effect size in target theses was found to be 0.86. The result showed that the effectiveness of the career program in Korea was highly effective in overall. Second, compared with the size of the effectiveness depends on the type of program; the career-counseling program (ES=1.28) was the best in its effetiveness. The following one is counseling/guidance program (ES=1.08), guidance/counseling program (ES=0.75), and guidance program (ES=0.70) (p< .001) Third, looking at the comparison with participants year of school, the programs for the undergraduate students (Es=1.16) were most effective. And considering to the type of the leader, when the expert (ES=1.09) did it directly is much higher than by researcher (ES=0.74). In addition the radom assigned group(ES=0.91) also higher than the intentional assigned group(ES=0.76). And according to the executed place of program, counseling room (ES=1.01) is more effective in just doing in classroom (ES=0.80) and 6-10 times (ES=0.98) of the frequency of participating the program is most effective. Considering the time per session 76-105 minutes(ES=0.99) is the most proper. These results considerably contribute for the development of career counseling and guidance profession by showing what is the most effective variables and types of career programs.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