RISS 학술연구정보서비스

검색
다국어 입력

http://chineseinput.net/에서 pinyin(병음)방식으로 중국어를 변환할 수 있습니다.

변환된 중국어를 복사하여 사용하시면 됩니다.

예시)
  • 中文 을 입력하시려면 zhongwen을 입력하시고 space를누르시면됩니다.
  • 北京 을 입력하시려면 beijing을 입력하시고 space를 누르시면 됩니다.
닫기
    인기검색어 순위 펼치기

    RISS 인기검색어

      검색결과 좁혀 보기

      선택해제
      • 좁혀본 항목 보기순서

        • 원문유무
        • 음성지원유무
        • 학위유형
        • 주제분류
          펼치기
        • 수여기관
        • 발행연도
          펼치기
        • 작성언어
        • 지도교수
          펼치기

      오늘 본 자료

      • 오늘 본 자료가 없습니다.
      더보기
      • 한지공예산업 발전을 위한 디자인 경영전략 연구

        양용선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3 국내석사

        RANK : 250687

        현대사회는 기술과 정보의 발전으로 세계화됨으로써 인간의 정서와 감성 등 사회 전 분야에 걸쳐 다양성이 요구되는 시대이다. 한국은 오랜 역사와 전통에서 비롯된 다양한 문화적 자산을 가지고 있어서 문화산업을 진흥시키는 데에 매우 유리한 여건을 가지고 있다. 고유의 정서와 전통을 바탕으로 한 한지공예산업의 발전은 긍정적인 국가 이미지를 창출하고 독창적인 ‘한국적 디자인’의 방향을 제시하여 민족문화의 정체성 확립 및 국가 이미지를 널리 알리는데 중요한 단서를 제공할 것이다. 그러나 한지공예산업은 한지 수요 감소로 업체의 영세성 및 생산성, 경제성의 저하로 점점 사양화 되고, 산업화로 인한 경제발전과 더불어 현대공예상품과 공산품에 밀려 그 위치가 사라지고 있다. 현대사회는 기계화, 정보화의 발달로 소득이 증가함에 따라 소비자의 라이프스타일도 변화하고 있다. 이러한 변화로 생활패턴과 주거환경이 향상되었지만 한지공예산업은 이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하여 침체되었다. 이러한 현실에서 한지공예산업이 발전하기 위해서는 한지공예의 본질적 의미와 시대적 요구 사항에 맞게 객관적으로 해석하는 태도가 절실하다. 한지공예산업은 우리의 문화적 의식과 전통을 실질적으로 보여주는 중요한 산업으로 새로운 패러다임의 디자인 경영 전략을 통한 개선이 필요하고 생각된다. 전통 솜씨와 기술을 현대적 라이프스타일에 맞게 우리의 전통이 담긴 정체성, 고유성, 창조성을 겸비하여 세계시장에서 경쟁력 있는 제품으로서 세계시장 진출에 손색이 없는 전통공예품 개발이 필요하다. 따라서 한지공예 특성에 따른 체계적인 분석과 현대적인 디자인 요소가 더해진 디자인 개발과 전통공예의 취약점인 마케팅의 개선이 시급하다. 본 연구의 목적은 한지공예산업의 발전을 위해 디자인 경영을 접목함으로써 영세한 한지공예업계를 현대적 개선과 전략으로 발전시켜서 대중화 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함이다. 현재, 한지공예의 영역은 산업으로서 미비한 단계이지만 디자인 경영전략을 통하여 현대적인 디자인의 상품개발과 적극적인 마케팅을 통하여 세계적인 한국의 전통문화상품개발의 터전을 마련함으로써 고부가가치화를 실현할 수 있다. 본 연구는 한지공예의 시스템, 디자인, 브랜드, 마케팅 개발의 필요성을 인식하고, 현황 및 특성을 파악하여 한지공예산업 발전을 위한 디자인 경영전략을 연구하고 한지공예를 산업화 할 수 있는 방법을 제시하였다. In the modern time, technology and information are developed globally, and diversity is demanded in all of the spheres of human feeling and sensibility. Korea holds not only a variety of cultural assets originating from old history and tradition but also a good condition for promoting cultural industry. The development of Hanji handicraft industry on the basis of inherent emotion and tradition will create affirmative national image, and it will present creative 'Korean-style design' direction and offer important clue to the establishment of the identity of ethnic culture and publicity of national image. But, Hanji handicraft industry is on the decline, and businesses go through small scale, low productivity, and ineffective economy after decreased consumption. In addition its position falls down due to the modern handicrafts and industrial products after industrialization and economic development. In the modern time, mechanization and informationization leaded to income increase. So customers developed their life styles. Though this change promoted life pattern and residence circumstances, Hanji handicraft could not respond to it and sank into a slough of stagnation. On the purpose of developing Hanji handicraft industry, it is important to interpret the industry, appropriate to essential meaning and timely demand. Hanji handicraft is an important industry, for it shows our cultural recognition and tradition actually, and it has to be improved through design management strategy. It is necessary to hold identity, originality, and creativity which contain our tradition by making traditional skill and technology, appropriate to the modern life style, and to develop the modernized traditional handicrafts, the most competitive in the world markets. Designs have to be developed, by analyzing them on the basis of Hanji handicraft traits and by adding the modern design factors. Marketing, a weak sphere of traditional handicraft, has to be improved.

      • 한지문화체험마케팅에 관한 연구

        최은지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4 국내석사

        RANK : 250671

        체험은 삶을 사는데 있어서 빠질 수 없는 요소로서 사람은 태어나서 죽을 때까지 무언가를 계속해서 체험하고 배우며 살아간다. 특히나 현대에는 체험경제, 체험 마케팅 등의 용어가 대두되고 체험의 중요성이 부각되면서 산업, 경제, 문화 등의 다양한 방면에서 체험을 적극 활용하고 있으며 현대 사회에 살고 있는 우리는 체험의 홍수 속에서 살고 있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무언가를 알리고 그것에 적응하기 위해 직접 체험하는 것만큼 좋은 방법은 없다. 문화적 차원에서의 체험의 의미는 전혀 다른 생활양식의 광범위한 삶을 경험할 수 있는 광의의 의미와 잠시 즐거움을 얻어가는 간단한 공예 문화 체험까지 다양하게 그 의미를 부여할 수 있다. 본 연구는 다양한 문화체험 중에서도 현재 한지문화 체험 등에서 활용되고 있는 체험의 종류와 형태 등을 분류하고, 그 체험을 마케팅에 활용하기 위한 기본적인 연구를 목적으로 실시하였다. 제 1장에서는 본 연구의 배경과 목적 및 연구의 방법을 정리하고 제 2장에서는 체험경제이론과 체험마케팅의 개념과 특징, 유형 등에 대해 논하고 체험마케팅의 유형에 맞는 체험 활동의 예시를 살펴보았다. 여기서 체험경제이론이란 사람들이 체험을 가치 있는 것으로 여겨 소비 기준을 서비스에서 기억에 남을 만한 체험 경험으로 바뀌고 있으며 대가가 지불되기 때문에 제품이나 서비스처럼 체험에도 고유의 성격과 품질이 있어야 한다는 이론이다. 이어 고객과의 관계 관리의 시작으로 소비자의 이해를 위해 변경, 발전된 시각인 체험마케팅의 개념이 탄생하였는데 체험마케팅은 고객의 감각을 자극하는 체험을 창출하는 마케팅으로 체험을 어떻게 활용하느냐에 따라 제품의 성공의 여부를 결정하는 결정적 요소로 작용하기도 하는 체험마케팅은 다섯 가지 요소로 분류될 수 있다. 그 분류가 바로 감각마케팅, 감성마케팅, 인지마케팅, 행동마케팅, 관계마케팅인데 감각마케팅은 감각기관을 통한 체험이고 감성마케팅은 감정과 느낌을 통한 체험이며 인지마케팅은 창조적이고 인지적인 사고를 통한 체험이다. 또한 행동마케팅은 신체, 행동, 생활양식을 통한 체험이고 관계마케팅은 준거집단, 문화접촉을 통한 체험이라고 할 수 있다. 제 3장에서는 이 다섯 가지 분류를 이용하여 한지 문화 체험을 분류하기 위해 국내외의 다양한 축제와 상설 체험장에서의 체험 프로그램에 대해 조사하였으며 그 과정에서 국내의 한지 축제와 국외의 종이 축제에 대해 분석하였는데 국내의 한지 축제는 한지의 우수성을 알리고 축제 개최지의 홍보와 한지의 산업화를 우선 목표로 하고 국외 종이 축제는 종이의 이용 방법에 대한 워크샵과 교류를 통한 기술의 발전을 우선 목표로 한다는 차이점을 알 수 있으며 국내, 국외의 축제 모두 한지나 종이의 나아갈 길을 제시하고 종이의 우수성을 알리는 것에 초점을 두었다는 공통점 또한 가진다는 것을 파악할 수 있었다. 제 4장에서는 이상의 축제나 체험장에서 진행되는 한지 체험을 위의 체험마케팅에서 분류되었던 감각, 감성, 인지, 행동, 관계의 다섯 가지 유형으로 분류하였다. 감각이 사용되는 감각 체험으로는 시, 지각 발달과 창의성, 조형성을 길러주는 닥섬유 칼라믹스 체험, 감성 체험으로는 정서 발달 함양과 소속감을 느끼는데 도움을 주는 한지 소망 등 만들기 체험, 인지 체험으로는 한지의 강도와 유연성, 과거로부터의 기술을 배울 수 있는 한지 제조 체험, 행동 체험으로는 다양한 테마로 기본적 사고나 감성을 발화하고 사고를 구체화 시키는 한지 축제, 관계 체험으로는 체험 후에도 계속 관계를 이어나가고 또 다른 관계를 형성해나갈 수 있는 체험장의 홈페이지나 블로그를 각 유형의 대표로 한다. 마지막으로 제 5장은 결론으로써 위에서 다양한 한지 체험들을 유형에 따라 나눠보았으나 기본적으로 한지 체험은 다섯 가지 요소를 모두 포함하고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런 식으로 한 가지의 체험에 여러 요소가 포함되어 있다는 것은 장점이라고도 할 수 있으나 체험 경제에서 언급한 것처럼 체험에도 고유의 특징을 부여하여 집중적으로 개발한다면 단순한 체험이 아닌 교육이나 치료 등 특수한 목적을 가지고 전문성이 요구되는 체험 활동으로도 활용가치가 있다. 그와 더불어 위에서 살펴보았던 국내의 한지 축제는 다양한 체험과 더불어 축제가 진행되는 반면 국외 종이 축제는 워크샵과 작품 전시, 신기술 소개 등의 학술적, 전시적 행사로 축제가 진행되는 점에서 차이점을 보이기 때문에 국내의 한지 체험을 국외에 선보인다면 한지의 우수성과 더불어 한지의 다양한 용도와 아름다움을 체험의 즐거움과 같이 소개할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 한국 흑연산업의 현황 및 발전방안 연구

        최재두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Graphite is a very important material that accounts for more than 40% of the global carbon market. As the demand for electric vehicles, smart phones and IT devices increases, the lithium-ion battery market is developing greatly. And also, the demand for graphite is increasing due to the growth of domestic and overseas graphite application industries, but recently, Korea has almost no natural graphite production, and artificial graphite also has no original manufacturing technology, so most of the domestic demand is imported from China and Japan. Korea produced and exported graphite very actively until 1991, but production began to fall sharply in 1992 due to the coal industry rationalization policy in 1989, and no output has been reported since 2011. In April 2006, the government jointly developed Jeongchon Graphite Mine with North Korea in order to secure natural graphite, but because of the 5.24 Action of Government in 2010, it has not been brought into South Korea since 2011. Some Korean companies are trying to mine natural graphite production in some areas such as Gapyeong, Gyeonggi-do, but they are not in full production stage. In addition, many companies continue to develop and commercialize technologies for high purity refining of natural graphite and manufacturing artificial graphite, but few have succeeded in commercialization so far due to various reasons such as lack of technology and funds. Therefore, in order to improve the international competitiveness of graphite industry in Korea, it is very urgent to produce natural graphite and develop the high purity refining technology and also, develop the source technology for manufacturing artificial graphite. In this study, I focused on realistic methods for the development of graphite industry in Korea. First, I reviewed the government-level support and promotion plans for the development of graphite industry, And then, proposed various methods of fostering and supporting natural graphite production using 14 dormant mines and development of the high purity refining technology of natural graphite and securing source technologies of manufacturing artificial graphite. 흑연은 전 세계 탄소 소재 중 시장규모 40% 이상을 차지하고 있는 매우 중요한 재료이다. 전기자동차 및 스마트폰과 IT기기의 수요증가에 따라 리튬이차전지 시장이 크게 발전하고 있고 국내 외 흑연 응용산업의 성장에 따라 흑연의 수요는 날로 증가하고 있으나 근래 우리나라는 천연흑연 생산량이 거의 없고 인조흑연 역시 원천제조기술이 없어 국내 수요물량의 거의 대부분을 중국 및 일본 등에서 수입하고 있는 실정이다. 우리나라는 1991년까지는 매우 왕성하게 흑연을 생산하고 수출하였었으나 1989년 석탄산업합리화정책으로 인해 1992년부터 생산량이 급격히 감소하기 시작하였으며 2011년부터는 전혀 생산량이 보고되지 않고 있다. 정부는 천연흑연 확보를 위해 2006년 4월 북한과 합작으로 정촌흑연광산을 개발하였으나 2010년 5.24조치로 인해 현재까지 국내 반입이 되지 못하고 있으며 우리나라 일부 기업들이 천연흑연 생산을 위해 경기도 가평 등 일부지역에서 채광을 시도하고 있으나 본격적인 생산단계에는 이르지 못하고 있다. 또한 상당수의 기업들이 천연흑연의 고순도 정제 및 인조흑연 제조를 위해 꾸준히 기술을 개발하고 사업화를 위해 노력 중에 있으나 기술 및 자금부족 등 여러 가지 원인으로 인해 현재까지 사업화에 성공한 사례는 거의 없는 것으로 파악되고 있다. 따라서 우리나라 흑연산업의 국제경쟁력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천연흑연의 생산과 고순도 정제기술의 개발, 그리고 인조흑연 제조를 위한 원천기술의 개발이 매우 시급한 과제이다. 본 연구에서는 우리나라의 흑연산업 발전을 위한 현실적인 방안을 중심으로 연구를 진행하였다. 그 방안으로 우선 정부 및 지방정부 차원의 지원 및 육성방안을 검토해 보았고, 14개의 휴면광산을 활용한 천연흑연의 생산과 고순도 정제기술 개발 및 인조흑연 제조를 위한 원천기술을 확보하기 위한 다양한 육성 및 지원방안을 제시하였다.

      • 公演藝術의 마케팅에 관한 硏究 : 인터넷 마케팅을 중심으로

        박민선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0 국내석사

        RANK : 250671

        영화산업이 일찌감치 인터넷 및 모바일 문화를 수용했지만, 공연 예술계는 인터넷 및 모바일 마케팅 전략을 활용하는 데 인색한 것이 사실이다. 이러한 점을 감안해서 본 논문은 공연예술 분야의 홍보와 마케팅에서 인터넷과 모바일 문화를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연구하고자 했다. 지역 공연예술의 활성화를 위한 통합 마케팅 전략으로는 세 가지 전략적 제안이 제시되었다. 첫째, 인터넷 홈페이지 공동 활용 및 관객 공유, 둘째 인터넷 및 모바일 통합 인터넷 마케팅, 셋째, 관객 세분화 전략 및 인터넷 커뮤니티 홍보의 필요성 등이 제시되었다. 첫째로 인터넷 홈페이지 공동 활용 및 관객 공유라는 전략적 제안은 문화정보 114와 같은 형태의 인터넷 홈페이지를 공동 활용하고, 지역의 공연 예술 관객을 공유하고 이들에 대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해야 한다는 제안을 담고 있다. 한 예로 전주지역의 공연예술을 홍보하는 인터넷 홈페이지는 현재 한국예총 전북지부의 홈페이지와 한국예총 전주지부의 홈페이지가 대표적이다. 여기에는 다양한 지역 예술단체들이 회원 단체로 가입돼 있고, 지역의 문화예술계의 소식을 전하고 있다. 이들 홈페이지는 공연예술 및 문화 행사에 대한 안내가 충실한 편이기 때문에 적극적인 활용이 필요하다. 이러한 공동 홈페이지를 통해 공연예술 단체의 관객을 공유하고 데이터베이스화 하는 전략이 필요하다. 관객의 수를 극대화할 수 있는 획기적인 방안으로는 공연예술 단체 간의 관객을 교환 · 공유하는 방법을 제시할 수 있다. 지역의 각 단체가 보유하고 있는 관객 데이터를 서로 공유하자는 것이다. 특정 장르의 공연예술 관객은 다른 장르의 공연예술의 잠재적 관객일 가능성이 높다. 따라서 공연예술 단체 간의 관객을 교환 · 공유하는 방안은 지속적인 관람 수요를 창출할 수 있는 방안이 될 것이다. 이러한 전략과 더불어 공연예술단체간의 네트워크화, 그리고 공연장과 예술단체간의 네트워크화를 통한 물적 · 인적 교류가 필요하다는 점도 지적된다. 둘째, 인터넷 및 모바일 통합 인터넷 마케팅 전략으로는 이메일 및 문자 · 멀티미디어 메시지 서비스 제공과 함께 공유 관객에 대한 모바일 멤버십 및 뉴스 제공이 필요한 것으로 지적되었다. 지역 공연예술 단체 간의 관객이 공유되고, 관객에 대한 DB가 구축된다면 본격적인 모바일을 이용한 홍보 전략을 구사할 수 있을 것이다. 이메일은 작품의 공연이 없는 경우라 하더라도, 비용을 거의 들이지 않고 지속적인 정보 제공을 가능하게 함으로써 공연예술에 대한 관객의 관심과 공연예술단체에 대한 인지도를 유지하고 강화할 수 있는 중요한 수단이며, 모바일을 이용한 마케팅은 공유된 관객을 대상으로 문자메시지(SMS)와 멀티미디어를 이용한 문자 메시지를 보낼 수 있을 것이다. 메시지 내용에는 공연 관련 일정과 뉴스를 다양한 형태로 담을 수 있을 것이다. 이를 통해서 공연예술단체는 공연 정보를 관객에게 수시로 제공할 수 있게 되며 관객과 친밀도를 높일 수 있다. 또한 기존 이동통신사와의 제휴를 통한 홍보 전략을 사용할 수 있는데, 이는 이동통신사가 확보하고 있는 특정 지역의 모바일 고객을 상대로 광범위한 서비스 전략을 구사하는 것이다. 이를 통해서는 관람료 할인 등의 이동통신사가 보유하고 있는 다양한 형태의 서비스 제공이 가능할 것이다. 셋째, 관객 세분화 전략 및 인터넷 커뮤니티 홍보 전략에는 가족 관객을 타깃으로 한 기획 공연이 활성화 및 인터넷 커뮤니티를 대상으로 한 홍보 전략이 있을 수 있다. 지역의 경우 많은 축제와 행사의 고유 관객이 어린이를 포함한 가족 단위의 관객이기 때문에 가족 관객을 타깃으로 한 공연이 활성화되어야 한다. 주 5일제 근무 효과를 이용해 주말에 가족들이 편하게 볼 수 있는 공연을 기획함으로써 관객을 모을 수 있을 것이다. 여기에서는 가족 관객의 특성을 잘 파악한 공연 기획이 필요한데, 예를 들면 관객이 직접 체험할 수 있는 시간을 제공하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러한 배려는 지속적인 관객의 창출이라는 점에서 크게 기여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되며, 이 같은 마케팅 세분화 전략은 지역의 학교, 부녀회와 동호회 등으로 확대시킬 수 있다. 이에 더하여 특정한 주제를 중심으로 한 인터넷 커뮤니티는 웹사이트 홍보와 해당 웹사이트가 제공하는 공연예술 상품의 마케팅에 효과적이라는 점에서 지역 공연예술을 위한 마케팅을 위해서는 인터넷 커뮤니티에 대한 적극적인 홍보 활동을 통해 이들을 공연예술 관객으로 유인하는 방안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이러한 전략적 제안이 실효를 거두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지역 공연예술단체에 대한 자치단체의 지원이 절실하다. 공연예술을 위한 인터넷 및 모바일 마케팅의 활성화를 위해서는 기반이 될 공동 홈페이지의 데이터베이스를 강화하고 또한 모바일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솔루션을 구축해야 할 것이다. 이를 위해서는 적지 않은 예산이 필요하다고 할 수 있다. 지역의 공연예술은 지역 주민을 위한 소중한 공공재라는 인식이 전제된다면 자치단체는 이를 위한 지원에 적극적인 자세를 가져야 할 필요가 있을 것이다. Cultural-art performance art is developing fast because of the increase of cultural art performance's value. However, as the competition in performance art market gets hotter, many groups of performance art are suffering from money problem and this is showing economic polarization badly. In this case, making profitable model became very important as well as making good performance art in marketing view. For this, first, I researched about how performance art has changed through time, what characteristics it has, and the diversities and plans that follow the performance art marketing. Second, I researched types and characteristics of Internet marketing that is seen as very helpful lately, examples of successful Internet marketing that was based on websites, successful mobile marketing that was based on consumer’s database, successful Internet marketing through strategic cooperation and divided into types and found the topic. Third, based on information of existing Internet marketing, I researched for marketing strategies that performance art groups can easily use, and explained in more detailed to make this essay’s result to be more useful information. According to the research, the view of performance art means that the view must be changed into producer’s view, then to consumer’s view, and change into objective view in the result. Consumers are living in a society that relies on information technology, which is usually about Internet and mobile. It is hard not to consider the Internet and mobile nowadays and it is even harder to think in objective way without these. Performance art groups should accept the information technology society and utilize these into marketing strategy. Especially places where performance art groups are suffering from money, they need to use the Internet and mobile marketing more than others do. For example, utilizing websites, utilizing consumer’s database, Internet or mobile strategy, using Internet community and cooperating system would be helpful.

      • 탄소산업이 전북연구개발특구의 활성화에 미치는 영향에 관한 연구

        안기선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탄소는 저탄소 녹색성장의 핵심소재이다. 인류는 아주 오랜 옛날구석기시대부터 탄소를 사용헀다. 알타미라 동굴의 벽화가 바로 숯을 이용한 그림이다. 또한 중국은 터에서 발견된 묵서로 보아 먹이나 벼루를 이미 사용한 것이다. 탄소재료는 금속, 비철금속, 플라스틱, 세라믹의 장점을 모두 갖춘 소재로 어느 재료보다 최대 열적투성,최대경도,최대비표면적,나노구조를 가지고 있다. 특히 탄소소재는 에너지, 나노 및 환경 분야에서 각광을 받고 있으며, 2005년 미국에서 선정한 21세기 향후 기술에 탄소나노튜브 및 인조다이아몬드와 함께 탄소섬유간화 복합재료가 선정될 만큼 핵심소재이다. 그러나 세계 탄소시장의 60%를 일본의 3개사가 독점하고 있어 우리나라도 일본에서 수입하는데 게다가 질좋은 탄소섬유는 수입이 통제되고 있다, 그런데도 지금미국에서는 9.11사태이후 도로, 항만, 교량등 노후화보수교체의 필요에 따라 전체교량 40%의 교량을 보수해야하기 때문에 탄소섬유가 급증할 것이다[00]. Javis(전북특구 특화분야 중심특허기술 DB시스팀)기준 융·복합소재부품분야 관련기술은 총4,183건으로 전북지역전체 특허 6,767건의 63%를 차지하고 있다. 전체 융·복합소재부품분야 전체특허 4,183건 중, 초경량·고강도소재 와 신재생에너지 소재부품 기술이 2,378건(57%)을 차지하고 있으며 그 뒤를 탄소 복합소재부품(706건/17%)와 방사선융합기술(RFT)응용 고기능소재부품(629/15%), 인쇄전자소재부품기술(470건/11%)이 뒤따르고 있는 것으로 분석되며[08], 초경량·고강도소재 또한 탄소 복합소재부품으로 응용 됐을 거라 판단 되어 탄소산업의 기술경쟁력을 확보하여 고부가가치화 하고 일자리창출과 4차산업혁명 등 신성장 동력사업으로 자리잡기 위해서는 R&D와 탄소클러스터 기반구축과 국가적 차원에서의 전략수립이 필요한 실정으로 탄소산업에 대한 종합적인 정보수집 및 분석과 이론을 활용하여 체계적이고 종합적인 탄소육성전략을 수립하기 위하여 탄소산업과 관련하여 2016년5월 탄소소재법이 제정과 2017년 11월30일 에 시행령이 공포되고 2017년9월에 전주국가산업단지조성 예비타당성조사가 통과되어 앞으로 한국탄소진흥원섭립에 대한 노력을 집중해야 될것으로 판단된다. Carbon is a key material for low carbon green growth. Human beings have used carbon from a very long time ago, the Paleolithic. The murals of Altamira cave are charcoal-painted paintings. In addition, China has already used food and ink stuffs in view of the encyclopedia found at the site. Carbon materials have the advantages of metals, nonferrous metals, ceramics and plastics. They have maximum thermal conductivity, maximum hardness, maximum specific surface area and nano structure than any other materials. In particular, carbon materials are gaining popularity in the fields of environment, energy and nano technology, and the key material for carbon fiber nano composite materials with carbon nano tubes and artificial diamonds will be selected in the next 10 selected 21st century technologies selected by the US in 2005. However, since 60% of the global carbon market is monopolized by three Japanese companies, imports from Japan are imported from Japan. Moreover, imports of high quality carbon fiber are controlled. But now, in the US, Carbon fiber will increase because of the need to repair bridges of 40% of total bridges as needed.

      • 국내 탄소산업의 현황 및 향후 발전 방안 연구 : 탄소소재법 제정 이후 국가 정책을 중심으로

        이기선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21 국내석사

        RANK : 250671

        탄소소재는 그 탁월한 재료 특성으로 인해 철강 등 기간산업에서부터 최첨단 기술 집약체인 우주항공산업에 이르기까지 여러 산업분야에 걸쳐 광범위하게 활용되고 있다. 이처럼 탄소소재는 미래의 핵심 산업으로 일본을 비롯한 탄소산업 선진국에서는 기술이 유출되지 않도록 탄소소재를 국가 간 수입 제한 품목으로 지정하는 등 탄소산업을 보호하기 위해 많은 노력을 기울이고 있어 다른 산업에 비해 진입 장벽이 매우 높다. 우리나라의 탄소산업은 선진국에 비해 열악한 상황으로 특히 고가의 탄소소재 가격과 공정기술의 한계로 인하여 탄소소재의 활용이 활발하게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으며, 탄소복합재 제조 과정의 숙련공 및 탄소소재를 설계하고 해석할 수 있는 전문 인력이 부족한 실정이다. 이런 문제를 해결하고 탄소산업을 육성하기 위해 정부에서는 2016년에 탄소소재법을 제정하여 탄소산업 육성의 토대를 마련하였고, 2030년 탄소소재 융복합 산업 3대 강국 도약을 목표로 2021년에 탄소소재 융복합산업 종합 발전 로드맵을 제시하는 등 적극적인 국가 정책을 추진하고 있으나 여전히 미흡한 점이 있다. 따라서, 본 논문은 대한민국의 탄소산업의 현황과 법률에 대하여 조사하고, 이를 바탕으로 탄소소재의 고단가 문제 해결방안, 탄소복합재 기술 확보방안, 안정적인 기업생태계 조성방안, 환경과 경제적 상황을 고려한 시장 확대 방안 등 향후 대한민국의 탄소산업 육성에 대한 미래 방향성을 제시하였다. Due to the excellent material properties, carbon materials have widely been used in various fields, e.g., steel, or aviation industries, which are regarded as state-of-the-art technologies. Carbon-based technologies are the future promising industries, and therefore, the advanced countries have made great efforts to prevent carbon-related technology leakages by designating them as import restrictions. For that reason, we, Korea, are in a worse situation because of several reasons, i.e., the high price of carbon materials, limitation of process technology, and lack of experts to manufacture or do engineering design. In order to solve the aforementioned problems and further develop the carbon industries in South Korea, the government enacted the Carbon Material Act in 2016 to lay the foundation for fostering the carbon industry. Therefore, this thesis investigates the current status and laws of the carbon industry in Korea and based on this, a solution to the problem of the high cost of carbon materials, a method to secure carbon composite technology, a method to create a stable corporate ecosystem, and market expansion considering the environment and economic situation. Finally, the present work is finalized with the future direction for the development of Korea's carbon industry.

      • 민화를 응용한 한지 문화상품 개발 연구

        김현미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19 국내석사

        RANK : 250671

        최근 들어 우리는 ‘문화의 심장’, ‘아시아의 심장’이라는 표현을 거론하며 우리문화가 세계의 중심으로 향하고 있다고 한다. 가장 한국적인 것이 세계적인 것이 되고, 한국의 대표적인 문화의 정서가 고스란히 내재되어있는 회화가 바로 민화이다. 민화는 우리 민족 고유의 생활철학과 감정, 미의식이 회화형식으로 구체화된 주체성이 강한 그림이다. 자연을 근간으로 하면서 소박하고, 해학적이며 무기교와 단순함 등 다양한 성격을 가진다. 본 연구자는 민화에 내재되어 있는 상징성뿐만 아니라 서민들의 미의식이 반영된 조형적 아름다움을 한지에 접목시켜 문화상품으로서의 가치 있는 상품을 개발하는데 중점을 두었다. 민화에서 주로 차용되고 있는 화훼도 뿐만 아니라 자수에 쓰이는 수화문, 호피문, 책거리 등을 한지에 접목시켜 연구하였다. 우리 인간의 삶이 추구하는 궁극적인 목표가 결국에는 행복을 추구하듯이 우리 조상들 또한 소망하고 기원하는 모든 일들을 민화를 통하여 표출시켰다고 본다. 이는 민화가 가지고 있는 도상들의 상징성에서 흔히 엿볼 수 있다. 민화에 대한 인식은 국내외 관광객들 대다수가 강한 채색을 한 그림을 민화라고 알고 있으며, 이런 이미지가 디자인 된 상품을 한국적인 상품이라고 인식함을 알 수 있다. 이는 민화의 범주가 어디까지 인지 명확하지 않아서 생긴 이유도 그 중 하나라고 본다. 민화의 도상들 중 한정된 주제의 표현이 아니라 다양한 종류의 도상을 활용하여 예술적 측면과 전통적 측면을 조화롭게 현대화시킨 문화상품을 제작하고, 나아가 실용성에 바탕을 두고 공간 장식효과를 줄 수 있는 한국의 문화성을 대표할만한 상품개발 방안이 되어야 할 것이다. 문화는 정치, 경제, 사회 등 전반적인 분야를 앞세우며 앞으로의 세계화를 이끌 원동력과 초석이 될 것이다. 문화적 성장이 자국의 성장과 함께 경제성장으로 가는 지름길이 될 것임은 부인할 수 없는 현실이다. 우리 문화의 전통이 숨 쉬고, 우리의 독특한 문화예술을 꽃피울 수 있는 계기를 마련 할 시기라고 본다. 본 연구자는 여기에 조류 하여 이 연구가 문화산업 발전에 밑거름이 되는 자리가 되기를 바란다. Recently, our culture heads for the center of the world as the phrases ‘hearts of culture’ and ‘hearts of Asia’ hint. The folk painting shows that the most ‘Korean style’ becomes the most ‘global style’. In the folk painting, the most representative emotions of Korea are contained. The folk painting shows a strong independence of our people because it contains unique life philosophy, feelings, and beauty perception of our people by concrete painting style. It connotes a variety of characteristics such as plain, simple, humorous, unartful, and simple, on the basis of the nature. This author grafted symbolism contained in folk paintings and molding beauty, where citizen's beauty perception is reflected, to Hanji and placed emphasis on the development of commodities as valuable as cultural ones. This author studied the flowers applied for folk paintings, the patterns containing animals and flowers, the patterns containing tiger skins, and books used for embroidery by grafting to Hanji. As we humans persue happiness absolutely, so our ancestors expressed almost of all hopes and wishes on folk paintings. It is known from symbolism expressed on folk paintings. Many tourists in and out of our country think our folk paintings to be painted in harsh colors and Korean-style commodities to be designed in this kind of image. In some aspects, it is because the folk painting is not defined clearly by a limitation. It is necessary to produce cultural commodities by harmonizing artistic aspect and traditional aspect with a lot of painting styles, rather than with limited theme, to lay an emphasis on practicality, and to develop so good commodity as to represent Korea. Culture is a coner stone and a power leading politics, economy, and society to help head for globalization. Cultural growth is a shortcut we have to go to grow our country. Now, we have to activate our tradition and grow unique cultural arts. This author expect this study to be a foundation for culture and industry following the trend.

      • 한국전통가옥의 조형미에 관한 일러스트레이션 연구 : 전주한옥마을에 관한 시각적 표현을 중심으로

        윤성식 전주대학교 문화산업대학원 2009 국내석사

        RANK : 250655

        자연이외의 모든 인공물이 건축물이라 해도 과언은 아닐 것이다. 인간의 손을 거쳐 나온 물건은 역으로 다시 인간을 지배한다. 그 중에서 건축물만큼 그 영향력이 큰 것은 없다. 이러 물리적인 지배뿐만 아니라 건축에 적용된 건축주나 건축가의 철학이 사람들의 사고와 심리를 지배하고 결국에는 생활과 행동 양식가지 지배한다. 이처럼 건축물은 인간과 밀접한 관계를 가지며 시대의 변화에 따라 자연과 조화롭게 변화하였다. 도한 모든 예술분야의 소재로서 계속적인 관찰과 표현의 대상이 되어왔다. 문화의 정의에는 묘사적 정의가 있는데, 이는 광범위한 전체로서 문화가 담지하는 내용을 하나하나 열거하면서 성격을 강조하는, 주로 타일러식의 정의에 영향을 받은 것이다. 일찍이 타일러는 문화를 “지식, 믿음, 예술, 법, 도덕, 관습과 사회의 일원으로서 얻은 습관과 다른 능력들을 포함한 복잡한 전체”라고 정의했다. 이러한 유형의 정의들은 다소 약간씩 차이가 있지만 대개 복잡한 전체로서의 관습, 관습에 의해 결정된 개별정인 행위와 산물들을 나열하려는 특징을 지닌다. 전통은 우리의 행위로서 전통이 되는 것이며 따라서 전통도 우리들이 만드는 것이라고 할 수 있다. 창조 없이는 전통도 없으며 전통 그것이 하나의 창조에 속하고 있다. 전통은 사회에서 인간의 행위가 습관적으로 됨으로서 만들어진다. 행위가 습관적으로 되는 일이 없으면 전통은 만들어지지 않을 것이다. 그런데 습관적으로 된다고 하는 것은 자연적으로 된다고 하는 것이며, 습관적으로 됨으로서 이데아 적인 것은 자연 가운데 잠기는 것이다. 이와 같이 전통은 점차로 신체 안에 잠기게 되어 밖으로 전통을 인정치 않을 경우에 있어서도 우리들은 이미 전통적이다. 전통은 객관적인 형태로서 존재함과 함께 주체적으로 사회적 신체로서 존재한다. 전통은 원래 초월적인 동시에 내재적인 것이다. 신체 안에 잠긴 전통은 다만 우리들의 창조를 통해서만 새로운 형태의 형성으로 부활 할 수는 있다. 창조는 전통을 살릴 수 있는 오직 하나의 길이다. 주위를 둘러보면 곳곳에 우리의 옛 모습과 전통을 간직하고 있는 건축물들이 남아 있으며 그 전통은 현대화 되어 가고 있다. 그것은 현재의 우리들 몸속에서도 살아 숨 쉬는 공간 의식인 것이며, 바로 전통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연구는 우리 한옥들의 모습에서 잊혀진 우리들만의 전통성의 고찰과 그 이미지를 모색하여 한옥이 지니고 있는 인위적이지 않는 자연스러운 조형미를 본인의 작품에 응용, 표현하고자 하였다. It is not saying too much that all man-made things except the nature are structures. The things created by human hands, on the contrary, have dominion over human. There is nothing more influential than structures. The structures have dominion over human physically. In addition, the philosophy of structure owners or architects, applied to construction, has dominion over the thoughts and mentality and at last the styles of living and behaviors. As mentioned above, structures had a close relationship with human and were changed in harmony with the nature, as age went by. They also have been objects of continuous observation and expression as materials of all art areas. One of the definition of culture is descriptive definition affected by Tyler-styled definition. Tyler-styled definition gives an emphasis on characteristics, enumerating the contents that culture , as a whole, comprises. Tyler defined culture, "complex whole chich includes knowledge, believe, art, morals, law, custom, and any other capabilities and habits acquired by man as a member of a society". This kind of definition has not only sone differences, but also distinctions of enumerating custom, as a complex whole, and respective behaves and products concluded by custom Tradition is a product of our behaviors, so we produce tradition. There is no tradition without creation and tradition belongs to creation. Tradition is accumulated by habitual human behaviors. Without habitual behavior, tradition will not be accumulated. Then, 'habitual' means 'natural'. So, getting habitual makes idea get into the nature. As mentioned above, tradition gradually gets into a body. So even if we should not admit tradition, we would be traditional, already. Tradition exists as an objective styles. In addition tradition exists as a subjective social entity. Generally. tradition is transcendent and immanent. Tradition getting into our body can revive as a new entity only through our creation. Only creation can keep tradition. There are a lot of structures holding our old shapes and tradition around us, which gets modern more and more. It is our spatial recognition breathing in our body and tradition itself. This study investigates our tradition forgotten from the shapes of Korean traditional houses, searches for images, and applies the natural modeling beauty from the Korean traditional houses, not man-made beauty, to my works, and expresses it.

      연관 검색어 추천

      이 검색어로 많이 본 자료

      활용도 높은 자료

      해외이동버튼